KR102540902B1 - 스트레치 밴딩 머신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밴딩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902B1
KR102540902B1 KR1020210090891A KR20210090891A KR102540902B1 KR 102540902 B1 KR102540902 B1 KR 102540902B1 KR 1020210090891 A KR1020210090891 A KR 1020210090891A KR 20210090891 A KR20210090891 A KR 20210090891A KR 102540902 B1 KR102540902 B1 KR 10254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nding
clamp unit
clamp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396A (ko
Inventor
함강호
Original Assignee
함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강호 filed Critical 함강호
Priority to KR1020210090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9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7Length adjustment of the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with progr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 또는 빔 형태의 소재(1)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소재(1)가 수용된 소정형상의 금형(2)의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판(11)을 구비하는 안착유니트(10); 상기 안착유니트(10)의 양측으로 측면 이동이 가능하여 소재(1)의 양측으로 근접 가능하게 볼스크류(21)의 회전력으로 이동하는 측면이동유니트(20); 상기 측면이동유니트(20) 상에 근접된 소재(1)의 양측을 면밀하게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대(32)와 지지대(33)를 구동하는 가압실린더(31)를 구비하는 클램프유니트(30); 상기 클램프유니트(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에 따라 클램프유니트(30)의 고정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회전유니트(40); 상기 클램프유니트(30) 상에 연동되어 클램프유니트(30)를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시켜 소재(1) 상에 곡률이 형성되게 밴딩(bending)하고,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stretching)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밴딩유니트(50)(50'); 상기 측면이동유니트(20) 상에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상하이동유니트(60); 및 상기 각각의 유니트(20)(30)(40)(50)(50')(60)와 상호 연동하여 소재(1)의 규격에 맞게 설정하고, 소재(1)의 곡률에 따라 제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재를 다양한 각도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성과 작업성이 향상되고, 소재 상에 곡률을 형성 시 소재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곡률을 형성 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소재가 절곡된 곡률이 일정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소재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치 밴딩 머신{Stretch band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재를 다양한 각도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성과 작업성이 향상되고, 소재 상에 곡률을 형성 시 소재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곡률을 형성 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소재가 절곡된 곡률이 일정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소재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산업 현장에서는 우수한 강도를 통한 다양한 작업을 위한 금속재 또는 알루미늄재 등의 판재 또는 빔, 파이프 등의 소재를 다양하게 사용한다. 이러한 판재 또는 빔, 파이프 등의 소재에 경우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지만, 평평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제품에 따라 사용 용도에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밴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밴딩 작업에 경우 소재의 양끝단 또는 모서리 등을 밴딩 시 동일한 각도의 곡률을 가지기 어려워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2-0066101호(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002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무수히 많은 롤러들을 상하 2열로 프레임(2)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롤러들이 모터(3)의 회전을 전달 받아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판재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딩장치(1)의 2-4쌍의 진입부(4)측 롤러는 하측에 원통롤러(41)를 구성하고, 진입부(4) 상측은 절곡할 스테인레스 판재(60)의 절곡부분 숫자만큼의 V형돌기(43)를 형성한 V돌기롤러(42)를 구성하며, 절곡가공부(5)측 롤러는 하측에 절곡할 두곳 사이의 내측은 원통이고 절곡할 두곳의 외측은 테이퍼진 복합롤러(51)를 구성하고, 절곡가공부(5) 상측은 원주부분이 V형상 단면을 갖는 접시롤러(52)와 다각형 롤러(53)를 복합롤러(51)의 원통과 테이퍼가 접한 위치에 맞춰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스테인레스 판재 밴딩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스테인레스 판재 밴딩장치는 다양한 각도의 롤러에 의해 많은 수의 롤러를 통해 곡률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한 곡률을 형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선행문헌 2는 소재(R)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소재(R)의 밴딩작업시 소재(R)의 파지 및 파지 해제가 이루어지는 클램프수단(100)과; 상기 클램프수단(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소재(R)의 양측 상,하부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소재(R)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재(R)의 양측을 말아주는 제1,2파지수단(140,142)과; 상기 제1,2파지수단(140,14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2파지수단(140,14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 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수단(100)은, 소재(R)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소재(R)와 면접촉되어 소재(R)를 파지하는 가압부(104)가 형성되는 가압부재(102)와; 상기 가압부재(102)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재(R)의 중앙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6)의 하부에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재(R)가 원형 링 형상으로 변형되면 소재(R)가 감겨지는 감김몸체(134)로 이루어지는 클램프몸체(132)와; 상기 가압부재(10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재(10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몸체(106)와; 상기 승강몸체(106)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하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승강안내홀(110)과;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승강안내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안내홀(110)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핀(126)과; 상기 승강핀(126)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핀(126)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송부재(120)와; 상기 전후이송부재(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송부재(12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클램프실린더(130);를 포함하는 소재 밴딩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소재 밴딩장치는 소재의 양측으로 가압되는 돌출부에 의한 가압으로 소재를 절곡 시키지만 양측의 정확한 곡률을 형성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2-0066101호 "스테인레스 판재 밴딩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002호 "소재 밴딩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를 다양한 각도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성과 작업성이 향상되고, 소재 상에 곡률을 형성 시 소재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곡률을 형성 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소재가 절곡된 곡률이 일정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소재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스트레치 밴딩 머신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 또는 빔 형태의 소재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있어서: 상기 소재가 수용된 소정형상의 금형의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판을 구비하는 안착유니트; 상기 안착유니트의 양측으로 측면 이동이 가능하여 소재의 양측으로 근접 가능하게 볼스크류의 회전력으로 이동하는 측면이동유니트; 상기 측면이동유니트 상에 근접된 소재의 양측을 면밀하게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대와 지지대를 구동하는 가압실린더를 구비하는 클램프유니트; 상기 클램프유니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에 따라 클램프유니트의 고정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회전유니트; 상기 클램프유니트 상에 연동되어 클램프유니트를 중심축으로부터 회전시켜 소재 상에 곡률이 형성되게 밴딩하고,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밴딩유니트; 및 상기 측면이동유니트 상에 클램프유니트와 밴딩유니트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상하이동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유니트는 클램프유니트가 소재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클램프유니트 상에 다수의 치열을 갖는 피니언과, 피니언과 서로 맞물려 클램프유니트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한 쌍의 랙을 가지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밴딩유니트는 클램프유니트를 중심축으로부터 회전시켜 밴딩이 가능하게 회전축을 가지는 경사실린더와, 소재를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평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이동유니트는 클램프유니트와 밴딩유니트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클램프유니트와 밴딩유니트 상에 장착되는 이동판과, 이동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와, 클램프유니트와 밴딩유니트의 높이를 제어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밴딩유니트는 중공의 소재를 밴딩시 소재의 두께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유연성을 지닌 코어와, 선단의 로드 상에 연결되면서 소재의 중공 상에 코어를 내재시키도록 로드를 이동시키는 자바라 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트레치 밴딩 머신은 소재를 다양한 각도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성과 작업성이 향상되고, 소재 상에 곡률을 형성 시 소재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곡률을 형성 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소재가 절곡된 곡률이 일정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소재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측면이동유니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상하이동유니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밴딩유니트를 통해 소재를 절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측면이동유니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클램프유니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밴딩유니트와 상하이동유니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상하이동유니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밴딩 머신의 밴딩유니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 또는 빔 형태의 소재(1)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관련되며, 안착유니트(10), 측면이동유니트(20), 클램프유니트(30), 회전유니트(40), 밴딩유니트(50)(50'), 상하이동유니트(6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유니트(10)는 상기 소재(1)가 수용된 소정형상의 금형(2)의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판(11)을 구비한다. 안착유니트(10)는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 또는 빔 형태의 소재(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판형의 회전판(11)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판(11)은 중앙에 축(12)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소재(1)의 회전과 함께 금형(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이동유니트(20)는 상기 안착유니트(10)의 양측으로 측면 이동이 가능하여 소재(1)의 양측으로 근접 가능하게 볼스크류(21)의 회전력으로 이동한다. 측면이동유니트(20)는 상술한 안착유니트(10)의 양측으로 장착되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는 클램프유니트(30), 회전유니트(40), 밴딩유니트(50)(50'), 상하이동유니트(60)를 소재(1)의 양측으로 근접 또는 멀어질 수 있도록 볼스크류(21)의 회전력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이동유니트(20)는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LM가이드 등으로 레일 형태로 형성하여 보다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유니트(30)는 상기 측면이동유니트(20) 상에 근접된 소재(1)의 양측을 면밀하게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대(32)와 지지대(33)를 구동하는 가압실린더(31)를 구비한다. 클램프유니트(30)는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 또는 빔 형태의 소재(1)의 양끝 또는 모서리 등에 근접하여 밴딩 작업이 가능하게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가압실린더(31)와 지지대(33) 사이로 소재(1)가 유입되도록 한 다음, 가압실린더(31)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대(32)의 가압을 통해 소재(1)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대(32)와 지지대(33)를 통해 소재(1)를 안전하게 가압 고정한 상태로 밴딩 작업이 원활하도록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유니트(40)는 상기 클램프유니트(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에 따라 클램프유니트(30)의 고정이 가능하게 회전한다. 회전유니트(40)에 경우 클램프유니트(30)에 장착되어 클램프유니트(30)가 소재(1)의 형상 등에 따라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이러한 회전유니트(40)는 클램프유니트(30)를 회전시켜 소재(1)의 고정할 수 있는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회전유니트(40)는 클램프유니트(30)가 소재(1)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클램프유니트(30) 상에 다수의 치열을 갖는 피니언(41)과, 피니언(41)과 서로 맞물려 클램프유니트(30)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한 쌍의 랙(42)(43)을 가지는 회전실린더(44)(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유니트(40)는 소재(1)의 위치 또는 형상 등 고정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클램프유니트(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램프유니트(30)의 일측으로 다수의 치열을 갖는 피니언(41)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 피니언(41)의 치열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랙(42)(43)을 형성되고, 랙(42)(43)에 회전실린더(44)(45)가 각각 설치되어 회전실린더(44)(45)의 개별적 가압으로 랙(42)(43)의 이동하면 피니언(41)이 각각의 랙(42)(43)의 이동에 따라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램프유니트(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은 적합하게는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각각 30°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소재(1)에 따라 그 이상의 다양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밴딩유니트(50)(50')는 상기 클램프유니트(30) 상에 연동되어 클램프유니트(30)를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시켜 소재(1) 상에 곡률이 형성되게 밴딩(bending)하고,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stretching)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밴딩유니트(50))(50')는 클램프유니트(30)에 의해 소재(1)를 고정한 상태로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되어 소재(1)의 양측을 밴딩하여 금형(2)의 형상 대로 곡률을 형성하고, 밴딩 시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일정 압력으로 당기거나 밀어 스트레칭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중심축(51)에 경우 장시간 사용 시 유격이 발생할 수 있고, 중심축(51)의 얼라이먼트(alignment) 즉,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 어긋나 흐트러지지 않도록 사각축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밴딩유니트(50)는 클램프유니트(30)를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시켜 밴딩(bending)이 가능하게 회전축(52)(53)을 가지는 경사실린더(54)와, 소재(1)를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안내레일(5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평실린더(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딩유니트(50)는 소재(1) 상에 곡률을 형성하면서 곡률 형성 시 소재(1)가 변형되지 않고 원만하게 스트레칭과 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경사실린더(54)를 통해 중심축(51)으로부터 클램프유니트(30)를 회전시켜 밴딩 작업을 시행하게 되는데 회전축(52)(53)을 통해 클램프유니트(3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수평실린더(56)를 통해 스트레칭이 가능하도록 안내레일(55)을 따라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밴딩유니트(50')는 중공의 소재(1)를 밴딩시 소재(1)의 두께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유연성을 지닌 코어(57)와, 선단의 로드(58) 상에 연결되면서 소재(1)의 중공 상에 코어(57)를 내재시키도록 로드(58)를 이동시키는 자바라 실린더(5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딩유니트(50')는 클램프유니트(30)에 의해 소재(1)를 고정한 상태로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되어 소재(1)의 양측을 밴딩하여 금형(2)의 형상대로 곡률을 형성하고, 밴딩 시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일정 압력으로 당기거나 밀어 스트레칭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술한 밴딩유니트(50)의 작동과 동일하다.
이에 따른 도 1 내지 도 7에 적용한 안착유니트(10), 측면이동유니트(20), 클램프유니트(30), 회전유니트(40), 밴딩유니트(50), 상하이동유니트(60), 제어유니트는 동일하고, 여타의 주요 구성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에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작용도 전술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안착유니트(10), 측면이동유니트(20), 클램프유니트(30), 회전유니트(40), 밴딩유니트(50), 상하이동유니트(60), 제어유니트 등의 주요구성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밴딩유니트(50')는 상기의 밴딩유니트(50)와 그 세부 구성을 달리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밴딩유니트(50')는 중공의 소재(1)를 밴딩할 시 사용하고, 밴딩유니트(50)는 중공이 아닌 소재(1)를 밴딩할 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밴딩유니트(50')는 중공을 지닌 소재(1)를 밴딩할 시 소재의 두께에 변형을 초래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공의 소재(1) 내부에 유연성을 지닌 코어(57)를 삽입하여 밴딩시 소재의 두께에 대한 변형을 미리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자바라 실린더(59)를 이용하여 선단의 로드(58)에 코어(57)를 설치한 다음, 자바라 실린더(59)의 작동에 의해 로드(58)를 이동시켜 소재(1)의 중공 상에 코어(57)를 내장시키고, 이후에 밴딩 작업을 시행하면 소재의 두께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이동유니트(60)는 상기 측면이동유니트(20) 상에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상하이동유니트(60)는 소재(1)에 따라 클램프유니트(30)의 위치를 설정하여야 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이에 따른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상하이동유니트(60)는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 상에 장착되는 이동판(61)과, 이동판(6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62)와,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의 높이를 제어하는 엔코더(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하이동유니트(60)는 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판(61)을 형성하고, 이러한 이동판(61)이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실린더(6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별도의 엔코더(63)를 설치함에 따라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의 높이를 제어하여 다양한 소재(1)에 따라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유니트는 상기 각각의 유니트(20)(30)(40)(50)(50')(60)와 상호 연동하여 소재(1)의 규격에 맞게 설정하고, 소재(1)의 곡률에 따라 제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제어유니트는 상술하였던 각각의 유니트(20)(30)(40)(50)(50')(60)의 전체적인 시퀀스(sequence)에 대한 제어와 함께 작업자가 설정하는 소재(1)와 금형(2)에 의한 밴딩 각도 등에 따른 작업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1 내지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있어서, 안착유니트(10) 상에 안착된 소재(1)와 금형(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판(11)이 회전되도록 하고, 측면이동유니트(20)와 상하이동유니트(60)에 의해 클램프유니트(30)를 소재(1)에 근접하여 원활한 가압이 가능하게 회전유니트(40)에 의해 회전시켜 방향을 설정한 다음, 가압한 상태로 밴딩유니트(50)(50')로 소재(1) 상에 곡률이 형성되게 밴딩과 밴딩의 원활함을 가져오게 스트레칭을 가하여 소재(1)를 일정 각도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재를 다양한 각도로 곡률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성과 작업성이 향상되고, 소재 상에 곡률을 형성 시 소재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소재의 곡률을 형성 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소재가 절곡된 곡률이 일정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소재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소재 2: 금형
10: 안착유니트 11: 회전판
12: 축 20: 측면이동유니트
21: 볼스크류 30: 클램프유니트
31: 가압실린더 32: 가압대
33: 지지대 40: 회전유니트
41: 피니언 42, 43: 랙
44, 45: 회전실린더 50,50': 밴딩유니트
51: 중심축 52, 53: 회전축
54: 경사실린더 55: 안내레일
56: 수평실린더 57: 코어
58: 로드 59: 자바라 실린더
60: 상하이동유니트 61: 이동판
62: 수직실린더 63: 엔코더

Claims (5)

  1.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 또는 빔 형태의 소재(1)를 일정 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스트레치 밴딩 머신에 있어서:
    상기 소재(1)가 수용된 소정형상의 금형(2)의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판(11)을 구비하는 안착유니트(10);
    상기 안착유니트(10)의 양측으로 측면 이동이 가능하여 소재(1)의 양측으로 근접 가능하게 볼스크류(21)의 회전력으로 이동하는 측면이동유니트(20);
    상기 측면이동유니트(20) 상에 근접된 소재(1)의 양측을 면밀하게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대(32)와 지지대(33)를 구동하는 가압실린더(31)를 구비하는 클램프유니트(30);
    상기 클램프유니트(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에 따라 클램프유니트(30)의 고정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회전유니트(40);
    상기 클램프유니트(30) 상에 연동되어 클램프유니트(30)를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시켜 소재(1) 상에 곡률이 형성되게 밴딩(bending)하고,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stretching)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밴딩유니트(50)(50');
    상기 측면이동유니트(20) 상에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상하이동유니트(60); 및
    상기 각각의 유니트(20)(30)(40)(50)(50')(60)와 상호 연동하여 소재(1)의 규격에 맞게 설정하고, 소재(1)의 곡률에 따라 제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유니트(40)는 클램프유니트(30)가 소재(1)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클램프유니트(30) 상에 다수의 치열을 갖는 피니언(41)과, 피니언(41)과 서로 맞물려 클램프유니트(30)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한 쌍의 랙(42)(43)을 가지는 회전실린더(44)(45)를 구비하고,
    상기 밴딩유니트(50)는 클램프유니트(30)를 중심축(51)으로부터 회전시켜 밴딩(bending)이 가능하게 회전축(52)(53)을 가지는 경사실린더(54)와, 소재(1)를 일정 압력으로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안내레일(5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평실린더(56)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이동유니트(60)는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 상에 장착되는 이동판(61)과, 이동판(6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62)와, 클램프유니트(30)와 밴딩유니트(50)(50')의 높이를 제어하는 엔코더(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밴딩 머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니트(50')는 중공의 소재(1)를 밴딩시 소재(1)의 두께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유연성을 지닌 코어(57)와, 선단의 로드(58) 상에 연결되면서 소재(1)의 중공 상에 코어(57)를 내재시키도록 로드(58)를 이동시키는 자바라 실린더(5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밴딩 머신.
  5. 삭제
KR1020210090891A 2021-07-12 2021-07-12 스트레치 밴딩 머신 KR10254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891A KR102540902B1 (ko) 2021-07-12 2021-07-12 스트레치 밴딩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891A KR102540902B1 (ko) 2021-07-12 2021-07-12 스트레치 밴딩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396A KR20230010396A (ko) 2023-01-19
KR102540902B1 true KR102540902B1 (ko) 2023-06-05

Family

ID=8507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891A KR102540902B1 (ko) 2021-07-12 2021-07-12 스트레치 밴딩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9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683A (ja) * 2005-06-13 2006-12-28 Toko Seisakusho:Kk ストレッチベンダー機を用いた湾曲長尺材の製造方法、及びストレッチベンダー機
JP2016112568A (ja) 2014-12-11 2016-06-23 株式会社マコト精機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の曲げ加工装置及び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の曲げ加工方法
KR101640322B1 (ko) 2014-12-18 2016-07-22 함강호 차량 범퍼용 빔의 제조장치
KR101892444B1 (ko) 2017-03-14 2018-08-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밴딩 장치
KR101939176B1 (ko) * 2017-09-01 2019-01-23 동재공업(주) 벤딩 머신용 가공물 장력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101A (ko) 2001-02-09 2002-08-14 주식회사 유진서스뱅크 스테인레스 판재 밴딩장치
KR101541002B1 (ko) 2014-03-06 2015-08-03 황상교 소재 밴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683A (ja) * 2005-06-13 2006-12-28 Toko Seisakusho:Kk ストレッチベンダー機を用いた湾曲長尺材の製造方法、及びストレッチベンダー機
JP2016112568A (ja) 2014-12-11 2016-06-23 株式会社マコト精機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の曲げ加工装置及び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の曲げ加工方法
KR101640322B1 (ko) 2014-12-18 2016-07-22 함강호 차량 범퍼용 빔의 제조장치
KR101892444B1 (ko) 2017-03-14 2018-08-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밴딩 장치
KR101939176B1 (ko) * 2017-09-01 2019-01-23 동재공업(주) 벤딩 머신용 가공물 장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396A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4347A1 (en) Device and system for positioning circular work pieces
JP3834704B2 (ja) 金属板の円錐曲げ加工方法および装置
CN211161643U (zh) 一种钢筋折弯机
US7104100B2 (en) Bending device for tube
JP2000280029A (ja) ベンディングロール
KR102540902B1 (ko) 스트레치 밴딩 머신
JP2012079793A (ja) 巻線導体供給装置
CN209830704U (zh) 一种用于机器人焊接的翻转支撑机构
JPH07204744A (ja) 円筒体の矯正装置
JP2016153137A (ja) ベンディング装置及び鋼板のベンディング方法
KR20080013248A (ko) 강판 교정장치
CN212551415U (zh) 弯板机自动上下料装置
CN218903381U (zh) 一种高稳定性校直机
KR101607719B1 (ko) 벤딩 가공용 프레스 장치
CN116637969A (zh) 一种板料折弯的自动定位系统
JP5937958B2 (ja)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方法
JP6204795B2 (ja) ワークの掴み換え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したワークの掴み換え方法
CN112976026B (zh) 一种柔性夹爪
JP5196659B2 (ja) 研削台車
KR101665603B1 (ko) 슬리브 이송장착장치
KR101250861B1 (ko) 2반경- 튜브 연속 굽힘기 시스템
CN112250285A (zh) 一种光棒调直装置
KR101451557B1 (ko) 배관용 컬링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743274A (zh) 一种装配台和装配方法
US3016942A (en) Metal plate flan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