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17B1 -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6817B1 KR102536817B1 KR1020220160449A KR20220160449A KR102536817B1 KR 102536817 B1 KR102536817 B1 KR 102536817B1 KR 1020220160449 A KR1020220160449 A KR 1020220160449A KR 20220160449 A KR20220160449 A KR 20220160449A KR 102536817 B1 KR102536817 B1 KR 102536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angle
- frame
- coupled
- detection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60S9/1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of telescopic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리더의 실린더로드가 하방으로 인입출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지지판이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평조절부의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각도 조절됨으로써, 자중을 통해 수평조절부를 수직으로 배치시켜 다양한 지형에서 차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장차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크레인, 고소작업차 등과 같은 특수 목적의 차량들은 작업시 차량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아우트리거들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아우트리거들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베이스 빔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빔과 상기 아우트리거 빔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잭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아우트리거에 대한 일 예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69909호, 제10-2002-0025528호 및 제10-2012-008452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아우트리거는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선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내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튜브에 고정되며 상기 내측 튜브와 함께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잭 실린더 및 상기 잭 실린더의 하부에 장착되는 발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아우트리거의 경우 잭 실린더 조립체가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선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형태이므로 상기 잭 실린더가 수축된 상태인 경우에도 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우트리거 빔과 상기 잭 실린더 조립체의 외측 튜브가 통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이므로 과도한 무게와 부피로 인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양한 지형에서 차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실린더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린더의 각도 조절 시 인접한 타이어와 간섭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리더의 실린더로드가 하방으로 인입출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지지판이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중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각도조절모터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각도 조절 시 상기 각도조절모터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면 중 상기 회전축의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축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축이 안내되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가이드축과 가이드공에 의해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회전축의 원심을 중심으로 하는 호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에 따르면, 수평조절부의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각도 조절됨으로써, 자중을 통해 수평조절부를 수직으로 배치시켜 다양한 지형에서 차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평조절부의 지지프레임이 가이드공에 의해 각도가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이 일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의 길이 연장 시 로드의 단부가 인접한 타이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는 차체의 수평을 다양한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100)는 고정부(110) 및 수평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0)는 특장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특장차 차량의 차체(1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특장차는 고소작업용 사다리차나 크레인과 같이 수평 조절이 필요한 차량을 말한다.
상기 고정부(110)에는 상기 차체(1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11)은 상기 차체(10)에 단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프레임(111)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아우트리거 (Outrigg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11)은 차체(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각 양단부에는 각도조절모터(11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각 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모터(112)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113)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각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13)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축(114)이 결합된다.
상기 수평조절부(120)는 상기 차체(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각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조절부(120)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1)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회전축(113)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자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13)이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축(114)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이드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121a)은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축(114)이 인입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회전축(113)에 의해 회전 시 상기 가이드축(114)이 상기 가이드공(121a)의 단부에 걸림에 따라 회전 반경이 제한된다.
상기 회전축(113)의 원심을 기준으로 한 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내부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길이조절되는 유압실린더(122)가 결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22)는 작동 시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하방으로 실린더로드(122a)가 인입출된다.
상기 실린더로드(122a)에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지지판(123)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123)은 지면의 경사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로드(122a)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수평조절부(120)에는 제1 감지센서(124), 제2 감지센서(125) 및 제어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센서(124)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감지하여 각도값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모터(112)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 및 구동해제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감지센서(124)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가 0도일 경우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0도 초과 시 구동해제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감지센서(125)는 상기 특장차의 차체(10)에 결합된 타이어(11)의 휠(12)을 감지하는 것으로,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판(123)에 설치되고 상기 휠(12)의 최하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판(123)과 휠(12)이 평행할 경우 시 일시정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제1 감지센서(124)로부터 구동신호 수신 시 상기 각도조절모터(112)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축(113)의 각도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각도조절모터(112)에 의해 각도가 고정된다.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제1 감지센서(124)로부터 구동해제신호 수신 시 상기 각도조절모터(112)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회전축(113)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회전축(113)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가 0도 일 경우,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유압실린더(122)를 구동시켜 상기 지지판(123)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 감지센서(125)는 상기 지지판(123) 하방 이동 시 상기 휠(12)의 최하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판(123)과 평행하게 위치 시 이를 감지하여 일시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제2 감지센서(125)로부터 일시정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유압실린더(12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지지판(123)이 상기 휠(12)과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1 감지센서(124)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측정하여 다시 한번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조정 후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0도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23)이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주변 작업자들로 하여금 상기 지지판(123)이 하방으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지지판(123)이 상기 휠(12)과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재조정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모터(112)의 작동을 잠시 멈췄다가 작동 후 상기 유압실린더(122)를 구동시켜 상기 차체(10)의 수평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각도를 정밀하게 0도로 맞춰 상기 차체(10)의 수평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지지판(123)이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멈춤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에 따르면, 수평조절부의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각도 조절됨으로써, 자중을 통해 수평조절부를 수직으로 배치시켜 다양한 지형에서 차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평조절부의 지지프레임이 가이드공에 의해 각도가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이 일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의 길이 연장 시 로드의 단부가 인접한 타이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체 11: 타이어
12: 휠 100: 수평조절장치
110: 고정부 111: 고정프레임
112: 각도조절모터 113: 회전축
114: 가이드축 120: 수평조절부
121: 지지프레임 121a: 가이드공
122: 유압실린더 122a: 실린더로드
123: 지지판 124: 제1 감지센서
125: 제2 감지센서 126: 제어부
12: 휠 100: 수평조절장치
110: 고정부 111: 고정프레임
112: 각도조절모터 113: 회전축
114: 가이드축 120: 수평조절부
121: 지지프레임 121a: 가이드공
122: 유압실린더 122a: 실린더로드
123: 지지판 124: 제1 감지센서
125: 제2 감지센서 126: 제어부
Claims (5)
- 차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리더의 실린더로드가 하방으로 인입출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지지판이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차체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중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각도조절모터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각도 조절 시 상기 각도조절모터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면 중 상기 회전축의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축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축이 안내되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가이드축과 가이드공에 의해 각도가 제한되고,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회전축의 원심을 중심으로 하는 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조절부에는 제1 감지센서, 제2 감지센서 및 제어부이 결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회전된 각도가 0도 일경우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0도 초과일 경우 구동해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기 차체에 결합된 타이어 휠의 최하단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판이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휠과 평행하도록 도달 시 일시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로부터 구동신호 수신 시 상기 각도조절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고정시키며, 구동해제신호 수신 시 상기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각도조절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센서로부터 일시정지신호 수신 시 상기 각도조절모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회전되도록 재조정 후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0449A KR102536817B1 (ko) | 2022-11-25 | 2022-11-25 |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0449A KR102536817B1 (ko) | 2022-11-25 | 2022-11-25 |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6817B1 true KR102536817B1 (ko) | 2023-05-26 |
Family
ID=8653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0449A KR102536817B1 (ko) | 2022-11-25 | 2022-11-25 |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6817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64496A (ja) * | 1990-03-14 | 1991-11-25 | Kobe Steel Ltd | X型アウトリガ装置 |
KR19980069909A (ko) | 1997-02-24 | 1998-10-26 | 도미키 마사히코 | 건설 기계등의 아우트리거 |
KR100379236B1 (ko) | 2000-09-29 | 2003-04-08 |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 크레인의 아우트리거장치 |
KR20110049461A (ko) * | 2009-11-05 | 2011-05-12 | 육상조 | 크레인 차량의 지지대를 제어하기 위한 수평 제어 시스템. |
JP2012101617A (ja) * | 2010-11-09 | 2012-05-31 | Zennikku Motor Service Kk | 航空機用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ドライブコラム可動機構 |
KR20120084525A (ko) | 2011-01-20 | 2012-07-30 | 강희곤 |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
KR20180110822A (ko) * | 2017-03-30 | 2018-10-11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크레인 차량 및 크레인 차량의 안전 제어 방법 |
KR102418021B1 (ko) | 2020-08-12 | 2022-07-07 |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결합구조 |
-
2022
- 2022-11-25 KR KR1020220160449A patent/KR1025368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64496A (ja) * | 1990-03-14 | 1991-11-25 | Kobe Steel Ltd | X型アウトリガ装置 |
KR19980069909A (ko) | 1997-02-24 | 1998-10-26 | 도미키 마사히코 | 건설 기계등의 아우트리거 |
KR100379236B1 (ko) | 2000-09-29 | 2003-04-08 |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 크레인의 아우트리거장치 |
KR20110049461A (ko) * | 2009-11-05 | 2011-05-12 | 육상조 | 크레인 차량의 지지대를 제어하기 위한 수평 제어 시스템. |
JP2012101617A (ja) * | 2010-11-09 | 2012-05-31 | Zennikku Motor Service Kk | 航空機用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ドライブコラム可動機構 |
KR20120084525A (ko) | 2011-01-20 | 2012-07-30 | 강희곤 | 특장차의 아우트리거 |
KR20180110822A (ko) * | 2017-03-30 | 2018-10-11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크레인 차량 및 크레인 차량의 안전 제어 방법 |
KR102418021B1 (ko) | 2020-08-12 | 2022-07-07 |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결합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36660B2 (en) | Overhead hazard warning systems | |
JP5148322B2 (ja) | 自走式セグメント組立装置及び自走式セグメント組立方法 | |
CN107678026B (zh) | 隧道衬砌状态检测装置 | |
JP2010126309A (ja) | 軌陸作業車 | |
KR102536817B1 (ko) | 특장차용 수평조절장치 | |
CN108842767B (zh) | 一种打桩机倾斜调节装置 | |
KR20210030128A (ko) | 도로교통 표시장치 | |
CN215441589U (zh) | 一种具有防撞功能的交通管制用限高架 | |
JP2016113218A (ja) | 地切り補助装置 | |
JP2863359B2 (ja) | 高所作業装置 | |
JP6324265B2 (ja) | 軌陸車の転車台 | |
JP3808682B2 (ja) |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 |
JP2016172973A (ja) | 法面作業車 | |
JP3787097B2 (ja) | 作業車の作動制御装置 | |
JP6662672B2 (ja) | 高所作業車の速度検出装置 | |
JP6482145B2 (ja) | 法面作業車 | |
JP3836288B2 (ja) |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 |
KR102646249B1 (ko) |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 |
CN215621912U (zh) | 支腿装置和工程机械 | |
KR20220029998A (ko) | 이동식 크레인의 전복 방지장치 | |
KR20110122969A (ko) | 궤도 권선기 | |
JP6041639B2 (ja) | 高所作業車のサブブーム装置 | |
KR20150112532A (ko) | 자동 선회 장치 및 그의 레벨링 방법 | |
JP2001002393A (ja) | フォークリフト | |
JP2023004687A (ja) | 輪止め設置支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