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716B1 - 궤도 권선기 - Google Patents

궤도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716B1
KR101111716B1 KR1020100042355A KR20100042355A KR101111716B1 KR 101111716 B1 KR101111716 B1 KR 101111716B1 KR 1020100042355 A KR1020100042355 A KR 1020100042355A KR 20100042355 A KR20100042355 A KR 20100042355A KR 101111716 B1 KR101111716 B1 KR 10111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winding
variable
winding machine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969A (ko
Inventor
전서훈
Original Assignee
전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서훈 filed Critical 전서훈
Priority to KR102010004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71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타이어 대신에 전차나 자주포 등의 군용 차량이나 포크레인이나 불도저 등 건설현장의 중장비와 같이 무한궤도를 사용하는 무한 궤도 차량의 궤도를 원형으로 감기 위한 궤도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한 궤도 차량의 궤도를 감는 궤도 권선기는 하부에 구동 바퀴(12)가 부착되어 이동 가능한 몸체(10);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부착된 상승용 실린더(28)의 구동에 의해 중심축(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지지팔(20);
상기 지지팔의 부착되어 지지팔의 내부에 설치된 길이 가변용 실린더에 의 그 길이가 가변되며, "ㄱ"자형으로 꺽인 형상을 갖는 가변팔(22);
상기 가변팔의 끝단에 형성되어 궤도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고 권선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궤도 고정부(23); 및
상기 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궤도의 권선시에 상기 궤도 고정부에 끝단이 고정된 궤도가 원할히 권선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궤도 권선기{machine for winding the caterpillar}
본 발명은 궤도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타이어 대신에 전차나 자주포 등의 군용 차량이나 포크레인이나 불도저 등 건설현장의 중장비와 같이 무한궤도를 사용하는 무한 궤도 차량의 궤도를 원형으로 감기 위한 궤도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전차, 자주포 등의 군용 차량이나 포크레인, 불도저 등 건설현장의 중장비 들은 평지가 아닌 험지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으로 통상의 차량과 같이 고무로 이루어진 타이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무한 궤도(캐터필라)를 사용하게 된다.
무한 궤도는 단위 궤도들을 커넥터 핀(또는 연결핀이라고도 함)으로 연결하여 폐루프를 이루도록 하여 바퀴에 해당하는 보기륜에 결합한 것이다. 무한 궤도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지면과의 마찰이나 장매물 등과의 충돌 등에의한 손상이 발생할 뿐만아니라 대부분 철로 제작되어 부식이 발생하여 가동 중 궤도가 끊어져 차량의 기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무한궤도를 점검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궤도를 교체하여야 한다. 궤도를 교체하기 위해서, 궤도를 분리하여야 하는 데, 분리된 궤도나 새로운 궤도를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에는 철재로 제작된 궤도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여간 힘든 일이 아니였다.
따라서, 무한 궤도의 일단을 분리하여 이를 길게 늘어뜨린 후, 궤도를 한쪽에서부터 원형으로 감아서 체적을 최대한 줄인 후 이를 옮겨야 한다.
종래에도 무한 궤도를 감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들이 제한되어 왔으나, 무한 궤도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무한궤도의 권선이 쉽지 않을 뿐만아니라, 무한궤도의 권선시의 반발력으로 인해 권선속도가 떨어지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한 궤도 차량의 궤도를 안정적으로 적은 반발력을 감기 위한 궤도 권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궤도를 권선함에 따라 커지의 원형의 직경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궤도를 감기 위한 궤도 권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한 궤도 차량의 궤도를 감는 궤도 권선기는 하부에 구동 바퀴(12)가 부착되어 이동 가능한 몸체(10);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부착된 상승용 실린더(28)의 구동에 의해 중심축(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지지팔(20);
상기 지지팔의 부착되어 지지팔의 내부에 설치된 길이 가변용 실린더에 의 그 길이가 가변되며, "ㄱ"자형으로 꺽인 형상을 갖는 가변팔(22);
상기 가변팔의 끝단에 형성되어 궤도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고 권선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궤도 고정부(23); 및
상기 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궤도의 권선시에 상기 궤도 고정부에 끝단이 고정된 궤도가 원할히 권선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궤도 고정부(23)는 안쪽 끝단에 형성된 회전가능한 회전판(24),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궤도의 커넥터 핀을 고정 결합시키는 핀 아답터(24a),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6), 및 상기 회전판을 전후진시켜 핀 아답터를 궤도의 커넥터 핀에 탈부착시키는 회전판 이동용 실린더(25)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가이드부(30)는 몸체 전단의 양단에 형성되며, 측면에 가이드공(32a)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32), 상기 고정 브라켓에 중심축(36)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측면 고정대(35), 상기 측면 고정대에 부착되어 회전가능한 상부 가이드 롤(33)과, 하부 가이드 롤(34), 및 상기 측면 고정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공의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핀(37)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가이드 롤(33)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34)은 일자형의 롤 형상이며, 표면에는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쿠션 부재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궤도 권선기는 감은 궤도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가변팔의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에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궤도의 권선이 가능하며, 가변팔이 "ㄱ"자형으로 꺽여 있어 권선시의 반발력을 줄여 권선속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전단에 형성된 회전가이드부로 인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권선시에 궤도를 지탱하고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권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권선기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권선기의 회전 가이드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권선기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궤도 권선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권선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궤도 권선기의 한쪽 가변팔을 제거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궤도 권선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궤도 권선기는 차량과 같이 자체의 동력에 의한 4개의 구동 바퀴(12)의 회전에 의해 자체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궤도 권선기는 몸체(10), 몸체 양단의 지지팔(20),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팔 끝단의 가변팔(22), 가변팔 끝단에 설치된 궤도 고정부(23), 궤도의 권선을 용이하게 위한 몸체 전단에 설치된 회전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궤도 권선기 차체의 중심골격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유압탱크,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 등이 설치된다. 몸체(10)의 하부에는 구동바퀴(1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팔(20)은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데, 중심축(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다. 지지팔의 하부에 부착된 상승용 실린더(28)의 구동에 의해 중심축(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궤도를 권선함에 따라 궤도를 감는 원형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지지팔의 끝단이 위로 향하도록 상승용 실린더(28)를 작동시켜 중심축(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지지팔의 내부에는 지지팔의 끝단에 설치된 가변팔(22)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서 길이가변용 실린더(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가변팔(22)은 지지판에 부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부분이다. 궤도를 권선함에 따라 궤도를 감는 원형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길이가변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가변팔의 길이를 점차적으로 늘리게 된다. 상승용 실린더 및 길이가변용 실린더는 모두 원격 조정되는 리모콘의 작동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가변팔(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으로 꺽인 형상을 갖는 데, 이는 직선형(일자형)으로 제작된 경우에 비하여 무거운 하중의 궤도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마찰력(권선시 발생되는 반발력)을 줄여 권선속도를 원할히 하여, 보다 원할히 궤도를 권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꺽인 각도는 직각(90도)보다는 더 큰 각도, 약 100-120° (바람직하게는 110°)를 가지는 데, 이는 궤도를 감은 원형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지지팔을 위쪽으로 올려야 하고, 권선시의 반발력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포크레인의 경우에 팔이 직각이 아닌 것과 같은 이유로 할 것이다.
가변팔의 끝단에는 궤도의 일측 끝단을 고정시키고 궤도 권선시 중심축 역할을 하여 궤도를 감는 궤도 고정부(23)가 설치된다. 궤도 고정부(23)는 양쪽의 가변팔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변팔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데, 안쪽 면에는 회전가능한 회전판(24)가 설치된다. 회전판의 표면 일측에는 궤도의 커넥터 핀을 고정 결합시키는 핀 아답터(24a)가 형성된다.
궤도는 커넥터 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데, 궤도의 한쪽 끝단에 있는 커넥터 핀의 양단을 양쪽의 핀 아답터(24a)로 잡아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궤도의 한쪽 끝단의 커넥터 핀을 양쪽의 핀 아답터(24a) 사이에 놓은 상태에서, 회전판(24)에 부착된 회전판 이동용 실린더(25)를 작동시켜 회전판(24)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진시켜, 커넥터 핀의 양단을 핀 아답터(24a)가 각각 잡아 고정하게 된다. 궤도의 권선이 모두 이루어진 후, 권선된 궤도를 궤도 권선기에 분리하는 경우에는 회전판 이동용 실린더(25)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커넥터 핀의 양단을 핀 아답터(24a)에서 해제키고 이에 따라 권선된 궤도를 분리하게 된다.
궤도의 권선시에, 궤도의 한쪽 끝단의 커넥터 핀을 양쪽의 핀 아답터(24a)에 고정 결합시킨 후 본격적인 궤도의 권선이 이루어지는 데, 초기에는 권선을 위해 회전판(24)을 일정한 힘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회전판(24)의 측면에 회전 모터(26)가 부착된다. 회전 모터(26)는 회전판(2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나, 회전 모터(26)의 회전력만으로 권선을 감는 것은 아니다. 초기에 회전모터(26)를 이용하여 회전판(24)을 회전시키고 나면, 다음부터는 몸체(10) 하부의 구동 바퀴(12)가 회전하면서 앞으로 전진해 나감에 따라, 이 힘에 의해 자동으로 궤도의 권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회전판 이동용 실린더(25) 및 회전모터(26)는 모두 원격 조정되는 리모콘의 작동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몸체(10)의 전단에 설치된 회전 가이드부(30)은 궤도의 권선시에 궤도가 원할히 권선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회전 가이드부(30)는 롤 형상의 상부 가이드 롤(33)과 하부 가이드 롤(34)이 양쪽의 측면 고정대(35)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측면 고정대(35)는 몸체(10)의 전단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32)에 고정된다. 측면 고정대(35)는 중심축(36)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측면 고정대(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삼발이 형상을 가지는 데, 한쪽은 상부 가이드 롤(33)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하부 가이드 롤(34)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또다른 한쪽은 가이드 핀(37)이 결합된다. 측면 고정대(35)의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 핀(37)은 고정 브라켓(32)에 형성된 가이드 공(32a)를 따라 움직이면서, 측면 고정대(35)가 일정각도, 즉 가이드 공(32a)이 형성된 각도만큼만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권선기의 회전 가이드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회전 가이드 부(3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도 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궤도의 권선이 시작되면 궤도가 상부 가이드 롤(33)에 부딪히게 되며 이 때 궤도는 상당한 하중을 지님으로 상부 가이드 롤(33)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중심축(36)을 기준으로 측면 고정대(35)가 일정각도 움직이게 된다. 점차 궤도를 감은 직경이 커짐에 따라 측면 고정대(35)는 더 큰 각도로 움직여, 도 3의 (b)와 같이 최대한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회전 가이드부는 궤도의 권선시에 궤도를 가이드 하여 보다 원할히 권선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상부 가이드 롤(33)과 하부 가이드 롤(34)는 측면 고정대(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표면에는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쿠션 부재가 설치된다. 이는 궤도의 하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상기 롤에 궤도가 부딪혔을 때 충격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완충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쿠션 부재는 고무재, 발포수지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본 발명의 궤도 권선기를 이용하여 궤도를 권선하는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궤도 일측단의 커넥터 핀을 궤도 고정부(23)의 회전판(24)에 형성된 핀 아답터(24a)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승용 실린더(28)을 이용하여 지지팔(20)을 일정각도 들어 올린 후, 궤도 고정부(23)의 측단에 설치된 회전모터(26)를 구동시켜 회전판(24)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몸체의 구동바퀴(12)를 작동시켜 앞으로 전진해 나가면서 권선을 시작한다. 궤도의 권선이 진행함에 따라 리모콘(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상승용 실린더(28)는 점차 길이가 연장되어 점점 더 지지팔(20)의 끝단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지지팔 내부의 길이가변용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가변팔(22)이 지지팔에서 점점 더 연장되게 된다. 또한, 궤도의 권선이 진행됨에 따라 회전 가이드부(30)는 도 3의 (a) 상태에서 도 3의 (b) 상태로 변화되면서, 궤도의 권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궤도의 권선이 끝나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궤도 고정부(23)의 핀 아답터(24a)에서 궤도 커넥터의 핀을 해제시켜 궤도를 분리하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구동 바퀴
20: 지지팔 21: 중심축
22: 가변팔
23: 궤도 고정부 24: 회전판
24: 핀 아답터 25: 아답터 이동용 실린더
26: 회전모터
28: 상승용 실린더
30: 회전 가이드부
32: 고정 브라켓
32a: 가이드 공
33: 상부 가이드 롤
34: 하부 가이드 롤
35: 측면 고정대
36: 중심축
37: 가이드 핀

Claims (4)

  1. 무한 궤도 차량의 궤도를 감는 궤도 권선기에 있어서,
    하부에 구동 바퀴(12)가 부착되어 이동 가능한 몸체(10);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부착된 상승용 실린더(28)의 구동에 의해 중심축(2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지지팔(20);
    상기 지지팔의 부착되어 지지팔의 내부에 설치된 길이 가변용 실린더에 의 그 길이가 가변되며, "ㄱ"자형으로 꺽인 형상을 갖는 가변팔(22);
    안쪽 끝단에 형성된 회전가능한 회전판(24)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궤도의 커넥터 핀을 고정 결합시키는 핀 아답터(24a)와,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6)와, 상기 회전판을 전후진시켜 핀 아답터를 궤도의 커넥터 핀에 탈부착시키는 회전판 이동용 실린더(25)를 포함하여, 상기 가변팔의 끝단에 형성되어 궤도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고 권선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궤도 고정부(23); 및
    상기 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궤도의 권선시에 상기 궤도 고정부에 끝단이 고정된 궤도가 원할히 권선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궤도를 받쳐주는 회전 가이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권선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30)는
    몸체 전단의 양단에 형성되며, 측면에 가이드공(32a)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32),
    상기 고정 브라켓에 중심축(36)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측면 고정대(35),
    상기 측면 고정대에 부착되어 회전가능한 상부 가이드 롤(33)과, 하부 가이드 롤(34), 및
    상기 측면 고정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공의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핀(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권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롤(33)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롤(34)은 일자형의 롤 형상이며, 표면에는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쿠션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권선기.

KR1020100042355A 2010-05-06 2010-05-06 궤도 권선기 KR10111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55A KR101111716B1 (ko) 2010-05-06 2010-05-06 궤도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355A KR101111716B1 (ko) 2010-05-06 2010-05-06 궤도 권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69A KR20110122969A (ko) 2011-11-14
KR101111716B1 true KR101111716B1 (ko) 2012-03-13

Family

ID=4539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355A KR101111716B1 (ko) 2010-05-06 2010-05-06 궤도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150A (zh) * 2014-10-14 2015-03-04 广西大学 一种可切换半履带式行走或全轮式行走的挖掘机底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941B1 (ko) * 2019-04-24 2023-09-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선단연결기 조립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81B1 (ko) * 2006-11-08 2007-10-30 주식회사 삼영필텍 유압식 궤도정비 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81B1 (ko) * 2006-11-08 2007-10-30 주식회사 삼영필텍 유압식 궤도정비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150A (zh) * 2014-10-14 2015-03-04 广西大学 一种可切换半履带式行走或全轮式行走的挖掘机底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69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05588U (zh) 拱架台车机械手和拱架台车
JP6032872B2 (ja) 電動式作業機械への電力供給システム
CN205805583U (zh) 拱架台车
KR101111716B1 (ko) 궤도 권선기
CN206569285U (zh) 无杆飞机牵引车抱轮顶升机构
JP5978438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2018177432A (ja) フロート格納装置
CN205858383U (zh) 拱架台车机械手的调整机构和拱架台车
JP2017103995A (ja) 作業車の支持装置
JP6853128B2 (ja) 車輪式カウンターウエイト
CN207028744U (zh) 用于行走装置的悬挂机构和具有其的行走机器人
JP6166932B2 (ja) 軌陸両用杭打機
CN205805589U (zh) 拱架台车工作台的调平机构和拱架台车
CN104843599A (zh) 一种起重机配重装置及具有其的起重机
JP5454308B2 (ja) クレーン
JP6610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JP2009040602A (ja) 移動式クレーン
CN210855097U (zh) 一种三维液压顶升机和三维顶升系统
JP2013177059A (ja) セミクローラ式作業車両およびセミクローラ式作業車両の水平制御方法
JP6969736B2 (ja) 門型クレーン
CN206750172U (zh) 无杆飞机牵引车抱轮开关门装置、顶升机构及牵引车
JP5936194B2 (ja) 傾斜地用作業機械
CN206664954U (zh) 一种具有锁紧功能的无杆飞机牵引车抱轮开关门装置
JP7249035B2 (ja) 自走式作業機
CN113279551B (zh) 地面抹平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