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456B1 - 단열 구조 - Google Patents

단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456B1
KR102534456B1 KR1020197022276A KR20197022276A KR102534456B1 KR 102534456 B1 KR102534456 B1 KR 102534456B1 KR 1020197022276 A KR1020197022276 A KR 1020197022276A KR 20197022276 A KR20197022276 A KR 20197022276A KR 102534456 B1 KR102534456 B1 KR 10253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vacuum
vacuum insulating
insulating sheet
laminated
f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285A (ko
Inventor
히로키 나카도
카즈토 고칸
타츠야 이마이
료스케 우라구치
오사무 무라기시
타카시 코우모토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28Shape spherical or ellip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08Radiation shi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08Radiation shield
    • F17C2203/032Multi-sheet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91Thermal insulations by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6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1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 F17C2260/033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by enhancing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1Filled with gas other than air; or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단열 구조는,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고정구와,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단열 대상면을 덮는 적어도 2개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고정구 사이에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경계를 덮는 적어도 1개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덮는 적어도 2개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고정구에 고정되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유지하는 누름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열 구조
본 발명은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포함하는 단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을 적층 진공 단열 시트로 덮는 단열 구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의 도 2에는 볼트로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단열 대상면에 고정하는 단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단열 구조에서는,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단열 대상면에 복수의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가 적층 진공 단열 시트의 관통공을 통해 나사 구멍에 끼워지고, 볼트의 헤드부에 결합된 와셔에 의해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유지(保持)되고 있다.
일본실용신안공개 실개소49-132776호 공보
그러나,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서로 독립적인 유연성이 있는 다수의 층이 함께 봉합된 것이기 때문에,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설치되는 관통공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단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열 구조는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상기 단열 대상면을 덮는 적어도 2개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경계를 덮는 적어도 1개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덮는 적어도 2개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유지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이용하여 고정구가 배치되므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와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 사이에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비록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에 틈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틈새 및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통해 단열 대상면이 노출되는 것이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띠 형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우회하여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에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까지 이르는 경로가 미로 형상이 되기 때문에 해당 경로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높은 단열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적어도 상기 고정구 각각의 근방에서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에 의해 상기 단열 대상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의 사이에서 한 쌍의 제2 면 파스너에 의해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접합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한 쌍의 제3 면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면 파스너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단열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인접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일체화하는 역할을 달성하기 때문에, 겹쳐진 적층 진공 단열 시트들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단열 대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적층 진공 단열 시트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 중 한 쪽의 제1 면 파스너는 상기 단열 대상면에 접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겹쳐진 고정 플레이트에 리벳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나사 구멍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인접한 비원형 단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비원형 단면부와 결합하는 비원형 회전 방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고정구와 고정 플레이트의 상대적인 회전이 불능이 된다. 고정 플레이트는 제1 면 파스너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대해서도 회전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정구도 회전하기 어렵게 되어 고정구의 빠짐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원형이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기 제1 면 파스너는 원형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가 어떤 방향으로 있어도 제1 면 파스너끼리의 결합력을 같은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3개 이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 각각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고정구용 관통공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복수의 고정구 열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판은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누름판 각각은 인접한 고정구 열의 고정구에 결합되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막대 형상 부재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누름판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의 중앙 부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누름판을 고정구에 고정할 때, 누름판의 양단부를 고정구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누름판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열 구조는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고정구와,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상기 단열 대상면을 덮는 적어도 2개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경계를 덮는 적어도 2개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있고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덮는 적어도 2개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유지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일 측면에 따른 단열 구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설치되는 관통공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 선을 따른 평면도이다.
도 1 ~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구조가 도시된다. 이러한 단열 구조는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1)(도 3 참조)으로의 열 침입 또는 단열 대상면(1)으로부터의 열 방출을 막기 위한 것이다.
단열 대상면(1)을 가지는 구조체(11)는 예를 들어 구형 또는 원통형의 탱크이다. 이 경우, 단열 대상면(1)은 곡면이다. 예를 들어, 탱크는 그들 사이에 진공 공간이 확보된 내조(內槽) 및 외조(外槽)를 포함하는 이중 껍질 탱크이고, 단열 대상면(1)은 내조의 외측면이다. 그러나, 단열 대상면(1)은 평면이어도 좋다. 또한, 단열 대상면(1)을 가지는 구조체(11)는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물건이라도 좋다.
단열 대상면(1)에서는 적어도 2개의 고정구(2)가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 대상면(1)이 넓기 때문에 다수의 고정구(2)가 서로 평행한 세 개의 직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평행한 고정구 열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고정구 열은 적어도 2개의 고정구(2)를 포함한다. 그러나, 고정구 열은 반드시 서로 평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단열 대상면(1)이 좁은 경우는 고정구 열은 1열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대상면(1)이 적어도 4개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로 덮여 있다. 각각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는 넓은 폭으로 고정구 열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리고,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는 고정구 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2개의 고정구(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고 있다. 다만,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형상은 반드시 직사각형 형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사다리꼴이나 삼각형 등이어도 좋다. 또한, 단열 대상면(1)이 좁은 경우에는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가 적어도 2개 설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단면들이 면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구(2)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폭 방향의 단부가 고정구(2)에 눌려져 변형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도 좋다.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는 3개 이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로 덮여 있다. 여기에서 「경계(31)」는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영역을 말한다.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는 좁은 폭의 띠 형상이고, 고정구(2) 사이에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를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폭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폭의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폭이 좁으면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의 고정구(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 사이의 거리가 고정구(2)의 두께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접한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 사이의 거리가 고정구(2)의 두께 미만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길이 방향 단부가 고정구(2)에 눌려져 변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및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를 덮는 적어도 4개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레이아웃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레이아웃과 동일하다. 다만,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레이아웃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레이아웃과 상이하여도 좋다.
즉, 각각의 제 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는 넓은 폭으로 고정구 열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리고,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는 고정구 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2개의 고정구(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의 경계(51)는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와 겹치도록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의 경계(51)는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를 사이에 두고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에, 그들 사이의 경계(51)를 덮도록 알루미늄 테이프(7)가 접착되어 있다.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는 폭 방향에서는 전체 면적에 걸쳐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겹쳐 있다. 그러나, 고정구 열 사이에서 복수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및 복수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는 길이 방향으로 엇갈린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단면들이 면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고정구(2)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폭 방향의 단부가 고정구(2)에 눌려져 변형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도 좋다.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각각은 서로 독립적인 유연성이 있는 다수의 층이 함께 봉합된 것이다.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 및 제 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층 수는 모두가 동일하여도 좋고, 모두가 상이하여도 좋다. 다만,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사이의 틈새를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층 수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층 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층 수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각각의 층 수는 20 ~ 60이고,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층 수는 10 ~ 30이다. 여기서, 제1 ~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 5) 각각은 적은 층 수(예를 들어, 10 ~ 30층)의 2개의 적층 진공 단열 시트로 분할되어 있고, 이러한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한 쌍의 면 파스너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도 좋다.
더 상세하게는, 적층 진공 단열 시트의 다수 층은 교대로 쌓아 올린 복사 차폐 필름 및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복사 차폐 필름은, 예를 들어, 수지 시트의 표면에 알루미늄(금 또는 은으로도 좋다)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스페이서는 열전도율이 작은 시트이다. 이러한 시트로는 수지제의 그물, 직포, 부직포 등이나, 종이, 유리 섬유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고정구(2)는 단열 대상면(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각각의 고정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대상면(1)에서 각각의 고정구(2)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접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용접 또는 나사 고정에 의해 단열 대상면(1)에 접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원형을 이루고 있고, 그 중심에는 나사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베이스 플레이트(12)가 생략되고, 나사 구멍(13)이 단열 대상면(1)에 직접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직사각형이나 육각형 형상과 같은 다각형이라도 좋다.
한편, 각각의 고정구(2)는 일단에 나사 구멍(13)과 나사 결합하는 제1 나사축(21)을 구비하고, 타단에 제2 나사축(24)을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고정구(2)는 제1 나사축(21)에 인접한 비원형 단면부(22)와, 비원형 단면부(22)와 제2 나사축(24) 사이의 대경부(23)를 구비한다.
그러나, 각각의 고정구(2)는 반드시 나사 구조로 단열 대상면(1)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고정구(2)의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단열 대상면(1)에 끼워져도 좋다. 또한, 각각의 고정구(2)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고정구(2)가 용접에 의해 단열 대상면(1)에 고정되어도 좋다.
서로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는 도 3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각각의 고정구(2)의 근방에서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81, 82)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4) 및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통해서 단열 대상면(1)에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생략되는 경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가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81, 82)에 의해 직접적으로 단열 대상면(1)에 접합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81, 82) 중 한 쪽의 제1 면 지퍼(81)가 리벳(16)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4)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1 면 파스너(82)는 봉합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14)는 베이스 플레이트(12)보다 큰 직경의 원형이고,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겹쳐져 있다. 여기서, 고정 플레이트(14)의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직사각형이나 육각형 형상과 같은 다각형이라도 좋다. 그러나, 고정 플레이트(14)의 형상은 설치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면 파스너(81)는 원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 파스너(81)가 반원 형상의 2개의 피스(81a, 81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14)가 베이스 플레이트(12)로부터 돌출되는 영역에 리벳(16)이 배치된다. 다만, 제1 면 파스너(81)는 원형의 단일 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중심에 비원형인 회전 방지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 구멍(15)은 고정구(2)의 비원형 단면부(22)와 동일한 형상이고, 비원형 단면부(22)에 삽입 관통되어 비원형 단면부(22)와 결합한다. 고정구(2)의 대경부(23)는 고정 플레이트(14)를 베이스 플레이트(12)로 누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 파스너(82)가 2개의 띠 형상의 모양의 피스(82a, 82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82a, 82b) 각각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과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폭 방향의 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1 면 파스너(82)는 2열에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선 4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의 사이에서 한 쌍의 제2 면 파스너(83, 84)에 의해 서로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에 접합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면 파스너(83, 84) 중 한 쪽의 제2 면 파스너(83)는 봉합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에 부착되고, 다른 쪽의 제2 면 파스너(84)는 봉합에 의해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 파스너(83)는 2개의 띠 형상의 피스(83a, 83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83a, 83b) 각각은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폭 방향의 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2 면 파스너(83)는 2열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선 4개 이상의 조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 파스너(84)가 2개의 띠 형상의 피스(84a, 84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84a, 84b)는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2 면 파스너(84)는 2열로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선 4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제2 면 파스너(84)는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와 같은 정도의 크기의 단일 피스로 구성되어 좋다.
서로 인접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의 사이에서 한 쌍의 제3 면 파스너(85, 86)에 의해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에 접합되어 있다. 한 쌍의 제3 면 파스너(85, 86) 중 한 쪽의 제3 면 파스너(85)는 봉합에 의해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3 면 파스너(86)는 봉합에 의해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 파스너(85)가 2개의 띠 형상의 피스(85a, 85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85a, 85b)는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제 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3 면 파스너(85)는 2열로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서 4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제3 면 파스너(85)는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와 같은 정도의 크기의 단일 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 파스너(86)는 2개의 띠 형상의 피스(86a, 86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86a, 86b) 각각은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폭 방향의 단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3 면 파스너(86)는 2열로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길이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선 4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구(2)에는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를 유지하는 복수의 누름판(6)이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누름판(6)은 인접한 고정구 열의 고정구(2)에 결합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각각의 누름판(6)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구(2)가 고정구 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누름판(6)도 고정구 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한 고정구 열에서 고정구(2)의 위치가 어긋나 있고, 각각의 누름판(6)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도 좋다.
각각의 고정구(2) 주위에서는 인접한 누름판(6) 단부끼리 겹쳐져 있다. 각각의 누름판(6)의 양단부에는 고정구(2)에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누름판(6)의 양단부에는 관통공 대신 고정구(2)와 맞물리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누름판(6)이 너트(91)에 의해 고정구(2)에 고정되어 있다. 너트(91)는 각각의 고정구(2)의 제2 나사축(24)과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나사축(24)에 너트(91)의 빠짐 방지로서 스냅 핀(9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냅 핀(92) 대신에, 예를 들어 분할 핀 등이 채용되어도 좋다.
다만, 누름판(6)을 고정구(2)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반드시 너트(91)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구(2)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누름판(6)의 삽입 구멍에 그 환형 홈에 끼워지는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고정구(2)가 헤드부를 가지는 볼트인 경우는 그 헤드부에 의한 가압에 의해 누름판(6)이 고정구(2)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열 구조는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의 경계(51)를 이용하여 고정구(2)가 배치되므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에 설치되는 관통공의 수를 줄일 수(본 실시예에서는 0)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와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의 경계(51)의 사이에 띠 형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를 개재하고 있다. 따라서, 비록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 사이에 틈새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틈새 및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를 통해 단열 대상면(1)이 노출되는 것이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띠 형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우회하고,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로부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 사이의 경계(51)까지 이르는 경로가 미로 형태가 되기 때문에, 그 경로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높은 단열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 파스너(81, 82)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가 단열 대상면(1)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 파스너(83, 84) 및 제3 면 파스너(85, 86)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가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와 인접한 제 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를 일체화하는 역할을 달성하기 때문에, 겹쳐진 적층 진공 단열 시트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 대상면(1)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층 진공 단열 시트들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 파스너(81)가 부착되는 고정 플레이트(14)에 회전 방지 구멍(15)이 형성되고, 이 회전 방지 구멍(15)에 고정구(2)의 비원형 단면부(22)가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구(2)와 고정판(14)의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다. 고정 플레이트(14)는 제1 면 파스너(81, 82)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에 대해 회전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정구(2)도 회전하기 어렵게 되므르, 고정구(2)의 빠짐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14)가 원형이고, 제1 면 파스너(81)도 원형이기 때문에, 고정 플레이트(14)가 어떠한 방향으로 있어도, 제1 면 파스너(81, 82)끼리의 결합력을 같은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누름판(6)이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를 횡단하도록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누름판(6)에 의해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및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5)의 중앙 부분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누름판(6)을 고정구(2)에 고정할 때, 누름판(6)의 양단부를 고정구(2)에 결합시켜도 좋기 때문에, 누름판(6)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누름판(6)은 반드시 막대 형상 부재일 필요는 없고, 원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고정구(2)는 단열 대상면(1)에 장착된 쇠장식에 연결된 결속 밴드라도 좋고, 구부러진 금속 조각이라도 좋다.
또한, 제1 면 파스너(81, 82), 제2 면 파스너(83, 84) 및 제3 면 파스너(85, 86)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인접한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3) 사이의 경계(31)는 고정구(2) 사이의 거리보다 긴 적어도 1개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로 덮여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에 고정구(2) 용의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좁은 띠 형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에는 관통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의 길이가 고정구(2)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가 각각의 고정구(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면,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4)에 고정구(2) 용 관통 구멍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1: 단열 대상면 12: 베이스 플레이트
13: 나사 구멍 14: 고정 플레이트
15: 회전 방지 구멍 2: 고정구
21, 24: 나사축 22: 비원형 단면부
3: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4: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5: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 31, 51: 경계
6: 누름판 81, 82: 제1 면 파스너
83, 84: 제2 면 파스너 85, 86: 제3 면 파스너

Claims (7)

  1.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고, 상기 단열 대상면을 덮는 2개 이상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경계를 덮는 1개 이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고,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덮는 2개 이상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유지하는 누름판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적어도 상기 고정구의 각각의 근방에서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에 의해 상기 단열 대상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한 쌍의 제2 면 파스너에 의해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접합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한 쌍의 제3 면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 중 한 쪽의 제1 면 파스너는, 상기 단열 대상면에 접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겹쳐진 고정 플레이트에 리벳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나사 구멍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인접한 비원형 단면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비원형 단면부와 결합하는 비원형 회전 방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원형이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기 제1 면 파스너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가 3개 이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의 각각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복수의 고정구 열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판은 복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누름판 각각은, 인접한 고정구 열의 고정구에 결합되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막대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
  6. 진공에 노출되는 단열 대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1개 이상의 고정구와,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고, 상기 단열 대상면을 덮는 2개 이상의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고,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경계를 덮는 2개 이상의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고,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덮는 2개 이상의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 및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를 유지하는 누름판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적어도 상기 고정구의 각각의 근방에서 한 쌍의 제1 면 파스너에 의해 상기 단열 대상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한 쌍의 제2 면 파스너에 의해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접합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3 적층 진공 단열 시트는, 상기 고정구 사이에서 한 쌍의 제3 면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2 적층 진공 단열 시트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
  7. 삭제
KR1020197022276A 2017-02-08 2018-02-02 단열 구조 KR102534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1257 2017-02-08
JP2017021257A JP6924035B2 (ja) 2017-02-08 2017-02-08 断熱構造
PCT/JP2018/003559 WO2018147177A1 (ja) 2017-02-08 2018-02-02 断熱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285A KR20190116285A (ko) 2019-10-14
KR102534456B1 true KR102534456B1 (ko) 2023-05-19

Family

ID=6310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276A KR102534456B1 (ko) 2017-02-08 2018-02-02 단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47038B2 (ko)
EP (1) EP3581842A4 (ko)
JP (1) JP6924035B2 (ko)
KR (1) KR102534456B1 (ko)
CN (1) CN110291322B (ko)
WO (1) WO201814717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247A1 (ja) 2013-09-12 2015-03-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断熱材を備える断熱容器
WO2015125476A1 (ja) * 2014-02-21 2015-08-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8150A (fr) * 1963-09-18 1964-11-13 Comp Generale Electricite Dispositif d'isolation thermique
US3331525A (en) * 1963-12-13 1967-07-18 Kieler Howaldtswerke Ag Device for connecting liquefied gas tank linings with the bulkheads of a ship
GB1313918A (en) * 1970-09-14 1973-04-18 Hitachi Shipbuilding Eng Co Insulation of ultra low temperature liquid storage tanks
US3713560A (en) * 1971-04-19 1973-01-30 Gen Dynamics Corp Spaced wall container
FR2217628B1 (ko) * 1973-02-15 1975-03-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JPS535495Y2 (ko) 1973-03-15 1978-02-10
JPS49132776A (ko) 1973-03-31 1974-12-19
FR2270512A1 (en) * 1974-05-10 1975-12-05 Technigaz Composite metal/plastic wall structure - partic. for insulating/sealing walls of reservoirs for liquefied petroleum gases
JPS52131607U (ko) * 1976-03-01 1977-10-06
JPS5576287A (en) * 1978-12-04 1980-06-09 Mitsubishi Heavy Ind Ltd Adiabatic structure
JPS6034197U (ja) * 1983-08-15 1985-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断熱極低温容器
JPS6061596U (ja) * 1983-10-03 1985-04-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保冷パネル取付構造
FR2876437B1 (fr) * 2004-10-08 2007-01-19 Cryospace L Air Liquide Aerosp Dispositif d'isolation cryogenique,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d'isolation, et lanceur equipe d'un tel dispositif d'isolation
DE102007059293B4 (de) * 2007-12-08 2009-09-10 R & M Ship Tec Gmbh Auskleidung eines Flüssig-Gas-Behälters mit Mehrschicht-Paneelen und Mehrschicht-Paneel für eine Auskleidung
DE102008003626B4 (de) * 2008-01-09 2010-01-21 R & M Ship Tec Gmbh Auskleidung eines Flüssig-Gas-Behälters
CN103807569A (zh) * 2012-11-12 2014-05-21 苏州维艾普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薄叠层的真空绝热板芯材及其制备方法
US9464751B2 (en) * 2013-02-0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sulation case unit, and refrigerator
JP2017036790A (ja) * 2015-08-10 2017-02-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断熱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247A1 (ja) 2013-09-12 2015-03-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断熱材を備える断熱容器
WO2015125476A1 (ja) * 2014-02-21 2015-08-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1322B (zh) 2021-03-02
JP6924035B2 (ja) 2021-08-25
CN110291322A (zh) 2019-09-27
WO2018147177A1 (ja) 2018-08-16
KR20190116285A (ko) 2019-10-14
JP2018128069A (ja) 2018-08-16
EP3581842A1 (en) 2019-12-18
US10947038B2 (en) 2021-03-16
US20200002085A1 (en) 2020-01-02
EP3581842A4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2532A1 (en) Thermally conductive bod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534456B1 (ko) 단열 구조
CN107850255B (zh) 绝热构造
US10886038B2 (en) Exterior member-equipped wire
JP2018204781A (ja) 多層断熱材
JP2016177187A5 (ko)
ES2519368T3 (es) Sistema espacial con una placa de radiador refrigerada
JP2018071730A (ja) ガスケット
JP4904193B2 (ja) 熱電モジュール
JP2012112605A (ja) 断熱式貯湯装置
JP6432295B2 (ja) 排熱デバイス
EP3135475A1 (en)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JP5998034B2 (ja) 角柱形弁のヒータ、及びそのヒータを備える角柱形弁
US10738889B2 (en) Gasket
JP5473480B2 (ja) ガスケット
JP3960273B2 (ja) 半導体装置
KR20090000383U (ko) 방열판
JP5210133B2 (ja) 接触検知スイッチ
CN112590320A (zh) 复合材料结构及具有该复合材料结构的oled面板
KR101541806B1 (ko) 판형열교환기 전열판의 가스켓
JP2012221421A (ja) Icタグ
JP2013171936A (ja) 電子機器
JP2017015011A (ja) 排気管継手シール体
JP2009249972A (ja) 板ガラスの支持構造
KR20080004415U (ko) 방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