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553B1 - 우유 공급 장치 및 우유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우유 공급 장치 및 우유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553B1
KR102532553B1 KR1020197033937A KR20197033937A KR102532553B1 KR 102532553 B1 KR102532553 B1 KR 102532553B1 KR 1020197033937 A KR1020197033937 A KR 1020197033937A KR 20197033937 A KR20197033937 A KR 20197033937A KR 102532553 B1 KR102532553 B1 KR 10253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connection
line
cleaning
clea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929A (ko
Inventor
페터 아른트
프랑크 괼텐보트
요헨 구스만
알렉산더 키에퍼
필립 쉬어마허
아르민 슈타르츠
Original Assignee
베엠에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엠에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엠에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유(M)를 우유 저장 용기(1)로부터 우유 배출 장치(4)로 공급하기 위한 우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유 공급 장치는, 우유 운반 라인 단부(7, 21) 중 제1 단부(7)에서 우유 저장 용기(1)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우유 운반 라인(20)을 포함하고, 이 우유 운반 라인에 의해, 우유 저장 용기(1)로부터 흡인된 우유(M)는 우유 운반 라인 단부(7, 21)의 제2 단부(21)를 통해 우유 배출 장치(4)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 방향 결합부(6, 6', 6")가 제1 단부(7)와 제2 단부(21) 사이에서 우유 운반 라인(20)에 유체 연결되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선택적으로, ·우유(M)가 우유 유동 작동 상태(MFBZ)에서 우유 저장 용기(1)로부터 결합부(6, 6', 6")를 통해 우유 배출 장치(4)로 운반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우유 운반 라인(20)이 결합부(6, 6', 6")에 의해 유밀 방식으로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또는 ·세정제(R)가 하나 이상의 세정 작동 상태(들)(RBZ1, RBZ2, RBZ3)에서 결합부(6, 6', 6")를 통해 우유 배출 장치(4)의 방향으로 및/또는 결합부(6, 6', 6")에 유체 연결된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우유 공급 장치의 출구(11)의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유 공급 장치 및 우유 공급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 그러한 우유 공급 장치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특히, 전동식 커피 머신) 및 우유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유 공급 장치 또는 그러한 우유 공급 장치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이후에 대안적으로 우유 시스템이라고도 명명됨)는 잠재적인 미생물 성장과 우유 잔류물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세정되어야 한다. 우유 시스템의 정기적인 세정을 위해, 전문적인 사용 및/또는 대응하는 사용에서 흔히 매일 수행해야 하는 수동 개입이 요구된다. 이는 시간 소비적이며, 전문적인 사용의 경우에, 세정을 구현하기 위한 해당 지식을 갖춘 조작 인력이 현장에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유 공급 장치 또는 음료 제조기의 세정을 개선하고, 특히 세정 동안 자동화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우유 시스템에서 수동 개입이 거의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 청구항 16에 따른 음료 제조기 및 또한 청구항 17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변형예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각각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는 청구항 1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세정제 운반 라인의 우유 운반 라인과의 유체 연결은 우유 운반 라인으로의 세정제 운반 라인의 입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유 유동 작동 상태에서, 세정제 운반 라인의 우유 운반 라인으로의 입구는, 예를 들어 3 방향 결합부의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라인 시스템 상태(상기 라인 시스템은 우유 운반 라인 및 또한 세정제 운반 라인을 포함함)에 따른 작동은, 우유 공급 장치가 제1 작동 상태(제1 탄환점에 따른 우유 유동 작동 상태: 우유 유동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세정제 유동의 경우에 및/또는 세정제 유동이 중단된 경우에, 우유 분배 장치를 향한 우유 유동)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이한 작동 상태/상태들(제2 탄환점에 따른 세정 작동 상태 또는 세정 작동 상태들: 세정제 유동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우유 유동의 경우에 및/또는 우유 유동이 중단된 경우에, 우유 분배 장치 및/또는 배출을 향한 세정제 유동) 중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그리고 그 반대가 가능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우유 공급 장치는 복수의 세정 작동 상태가 제2 탄환점에 따라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또는 컴퓨터 제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우유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적절한 제어 프로그램(들)이 저장될 수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를 갖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우유 공급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유닛을 가질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우유 유동 작동 상태와 세정 작동 상태/상태들 사이의 장치의 작동을 변경(전환)하기 위한 또는 하나의 세정 작동 상태로부터 다른 세정 작동 상태로 변경(전환)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러한 제어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 작동 상태들 사이를 변경하거나 전환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밸브/밸브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우유 공급 장치는, 별도의, 즉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자립형") 장치,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별도의 하우징 내에 수용됨), 자동 음료 머신(예를 들어, 전기 커피 머신 또는 완전 자동 커피 머신 또는 또한 차 머신)에 연결 가능한 장치, 즉 자동 음료 머신 외부의 장치, 또는 또한 그러한 자동 음료 머신에 통합된 장치(즉, 그 하우징 내의 상기 모두)일 수 있다.
우유 공급 용기는 일반적으로 우유 공급 장치의 외부에 있다(하지만, 우유 공급 장치의 일부일 수도 있음). 일반적으로, 여기서 외부는 우유 공급 용기가 우유 공급 장치의 하우징 외측에 별도로 위치 설정되고 우유 공급 장치에 또는 우유 공급 장치의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세정제는 세정제 저장조로부터 공급될 수 있으며, 즉 예를 들어 세정제 저장조로부터 세정제 운반 라인으로 그리고 세정제 운반 라인을 통해 3 방향 결합부로 안내될 수 있다. 세정제 저장조는 우유 공급 장치의 외부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우유 공급 장치에 통합된 세정제 저장조일 수도 있다. 우유 운반 라인은 일반적으로 그 단부 중 하나에 의해 우유 공급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다.
세정제가 우유 분배 장치를 향한 방향으로 3 방향 결합부를 거쳐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은, 세정제가 우유 운반 라인의 유출 부분을 통해 우유 분배 장치 내로(그리고 우유 분배 장치로부터, 예를 들어 컵과 같은 외부 용기 내로) 안내되어 유출 부분이 완전히, 즉 시작부터 끝까지 세척되는(즉, 3 방향 결합부로부터 우유 분배 장치를 포함하여 유출 부분의 반대쪽에 위치된 유출 부분의 단부까지(단부를 포함) 세척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도 4 및 도 5에 따른 후속 실시예를 비교한다. 그러나, 이는 또한 유출 부분의 세정제가 예를 들어 우유 분배 장치의 상류에 위치 결정되는 밸브에 의해 유출 부분으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부를 통해 별도로 배출(그 후에, 상기 밸브와 우유 분배 장치 사이의 짧은 라인 피스는 세정제로 세척되지 않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예컨대, 도 3의 후속 실시예 참조). 명백하게는, 예를 들어 배출부 및 상기 짧은 라인 피스 둘 모두가 또한 동시에 세척될 수 있다.
어쨌든, 우유 공급 장치가 세정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우유 공급 장치에 대한(또는 그 구성요소에 대한) 우유 공급 용기의 유체 연결이 본 발명에 따라 중단될 수 있다.
먼저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2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유체는 (우유 유동 작동 상태에서) 우유일 수 있거나 또는 (세정 작동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 참조) 세정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방향 결합부는 또한 그 유체 운반 방향에 대해 전환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세정제 운반 라인으로부터 우유 운반 라인의 3 방향 결합부를 통해 세정제를 유체로서 도입한 후) 3 방향 결합부로부터 우유 운반 라인의 유입 부분으로의 유체 유출이 가능해진다(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도 5에 따른 실시예 또는 이후에, 제3 세정 작동 상태 참조).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3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 제1 세정 작동 상태 - 그러나 마찬가지로 또한 가능하게는 다른 추가의 이용 가능한 세정 작동 상태 -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절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세정 작동 상태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제의 유동 변형예를 설명하며, 이는 이후에 또한 대안적으로 기본 세정으로 명명된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4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부는 세정제 운반 라인으로 개방되는 라인을 갖는다. 상기 입구는 예를 들어 T형 라인 피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세정제 운반 라인으로의 제2 연결부의 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세정제 저장조와 3 방향 결합부 사이에서 실행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3 방향 결합부의 유체 상류에서 실행된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5에 설명되어 있다.
이 제2 세정 작동 상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제의 유동 변형예를 설명하며, 이는 이후에 또한 대안적으로 급속 세정으로 명명된다. 바람직하게는, 우유 분배 장치를 향한 방향으로 세정제의 안내는, 세정제가 우유 분배 장치의 상류에서 여전히 분기되고 우유 분배 장치에 대해 별도로 구성되는 우유 공급 장치의 배출부를 상기 우유 공급 장치 밖으로 배출되도록 실행된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6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후에 예를 들어 또한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이 세정 작동 상태 변형예는 집중 세정을 설명한다. (게다가, 우유 공급 용기는 또한 일회용 용기가 아닌 경우 그러한 집중 세정 동안에도 세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유 분배 장치를 향한 방향으로의 세정제의 안내는 세정제가 우유 분배 장치를 통해 외부 용기 내로 배출되도록 실행된다(이에 따라, 우유 분배 장치가 또한 세정된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7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 상태 검출 장치는 센서, 바람직하게는 홀 또는 리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유체 불투과성 연결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생성되었다고 연결 상태 검출 장치가 확립하면 세정 작동 상태가 자동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연결 해제-방지 장치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로킹 모터 또는 리프팅 자석)를 포함할 수 있는 로킹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안전 장치로서, 로킹 장치는 또한 배출 방향으로 3/2 방향 유출 밸브를 전환시킬 수 있으며, 3 방향 결합부가 세정에 이용 가능한 경우에만 이송 장치(예를 들어, 펌프)가 켜져 있는 것을 보장한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8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분은 특히 우유 공급 용기에 대한 제1 연결부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연결 부분은 우유 공급 용기의 우유 용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은,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 상태에서, 제1 연결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세정제로 세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정제는 제2 연결부로부터 제1 연결부로(또는 그 반대로) 유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과 비교한다. 제3 연결부(이후에 또한 도 5 참조)는 제2 연결부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제1 연결부와 제3 연결부의 페어링이 또한 제2 연결 부분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제2 연결 부분은 이후에 상이한 형상의 제3 연결부에 대한 제1 연결부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9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이패스 라인은 부분적으로(또는 또한 전체적으로) 강성 라인 가이드, 예를 들어 강성 튜브일 수도 있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10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제3 세정 작동 상태에 따라, 집중 세정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세정제 유동 가이드에 추가하여, 세정제는 또한 우유 운반 라인의 유출 부분을 통해 우유 공급 장치의 배출부로 안내되고 및/또는 우유 공급 장치의 우유 분배 장치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세정 작동 상태와 관련하여, 또한 도 5에 도시된 세정제의 유동 변형예를 참조한다. 이에 의해, 유출 부분측(즉, 우유 운반 라인의 유출 부분)이 유체 유동으로부터 분리되도록 3 방향 결합부가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유 운반 라인의 유입 부분(또는 유입 부분으로서 제1 연결부 및 가요성 호스)만이 세정되고 세정제는 바이패스 라인 및 우유 공급 장치의 배출부를 통해 우유 공급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3 방향 결합부는, 우유 운반 라인의 유출 부분측 또는 유출 부분이 또한 세정제의 유동을 위해 개방되어 또한 이 유출 부분측이 세정되도록(도 5 참조) 전환될 수 있다. 우유 운반 라인의 유입 부분과 유출 부분을 모두 세척하기 위해, 3 방향 결합부는 3/3 방향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 통과를 위해 우유 운반 라인의 유입 부분 및/또는 유출 부분에 세정제 운반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2개의 연결 상태가 요구되고; 또한, 세정제 운반 라인이 우유 운반 라인에 대해 유체 불투과성이 되도록 차단하고 유입 부분을 유체 통과를 위해 3 방향 결합부를 통해 유출 부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연결 상태가 필요하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11에 설명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에 따라, 우유 유동 작동 상태, 한편으로는 세정 작동 상태 중 하나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그리고 그 반대로), 상이한 세정 작동 상태 사이에서 변경, 특히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유 공급 장치의 상이한 시간에 또는 상이한 상태에서 상이한 유형의 세정(예를 들어, 집중 세정 또는 기본 세정)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작동 상태(우유 유동 작동 상태 및 세정 작동 상태/상태들)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밸브/밸브들의 전환 또는 연결 상태이다(또한 이후를 참조). 따라서, 3 방향 결합부는, 우유 유동 작동 상태에 추가하여, 오직 정확히 하나(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세정 작동 상태만이 생성되거나 선택될 수 있도록, 또는 정확히 2개(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세정 작동 상태가 생성되거나 선택될 수 있도록, 또는 위에서 언급한 3개의 세정 작동 상태가 생성되거나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유 유동 작동 상태에 추가하여) 3개 초과의 세정 작동 상태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물론 생성될 수 있으며(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제어로), 즉 우유 공급 장치는 3개 초과의 세정 작동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유리하게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세정 작동 상태가 임의로 작동될 수 있다. 후속 실시예 또는 도면을 또한 참조한다. 이에 의해, 세정제는 상이한 유동 방향으로 3 방향 결합부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3 방향 결합부의 상이한 입구를 통해 3 방향 결합부로 유입되고 및/또는 3 방향 결합부의 상이한 출구를 통해 3 방향 결합부로부터 다시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단계 세정 방안이 가능한데, 제1 단계에서, 세정제는 우유 공급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우유 운반 라인의 유입 부분이 연결되어 있거나 가요성 호스가 제1 연결부를 통해 우유 공급 용기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한다. 제2 단계에서, 이어서(이 목적을 위해, 우유 운반 라인 또는 가요성 호스의 유입 부분은 미리 사용자측에서 제1 연결부를 통해 제2 연결부에 연결됨) 급속 세정이 구현될 수 있다. 급속 세정은 사용자에 의해 단지 무의식적으로만 인식된다: 능동적으로, 단지 제1 연결부만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 다음, 제2 연결부를 제1 연결부에 커플링시키는 것이 검출될 수 있고, 이어서 급속 세정이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상기 검출은 전자기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어닛 커플링(bayonet coupling)이 캠으로 마이크로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전기 접점을 가지며; 기계적 커플링 동안 2개의 전기 접점이 접촉되면, 전류 회로가 폐쇄될 수 있으며, 이는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기 스위치 또는 리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 단계 초과의 다단계 세정 방안이 가능하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12 및 13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청구항(또한, 도 2 참조)에 따르면, 그러한 복귀 유동은 적어도 제1 세정 작동 상태 동안 바람직하지 않다.
복귀 유동 안전 장치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식 펌프로서 구성된 펌프가 역방향으로 실행될 수 있다.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너무 낮거나 미리 정해진 압력 미만인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복귀 유동의 존재가 검출된다. 대안적으로, 순방향으로의 펌프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압력 센서가 충분한 압력을 측정하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복귀 유동이 검출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펌프 대신에 임의의 다른 유체 이송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복귀 유동이 검출되면, 예를 들어 상태 보고가 우유 공급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스크린(즉, 디스플레이) 상에 공표될 수 있다. 그러한 스크린 상에 또한 알람 보고가 공표될 수도 있다. 그러한 알람은 또한 음향적으로(또는 또한 광학적으로, 예를 들어 점멸 신호를 통해) 공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복귀 유동의 경우에 우유 공급 장치 또는 음료 제조기는 자동으로 꺼질 수 있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14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우유 공급 장치는 원하는 우유 종류에 따라 상이한 우유 공급 용기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상이한 우유 공급 용기는, 예를 들어 저지방 우유, 일반 우유 및 유당없는 우유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우유로 충전될 수 있음). 우유 유동 작동 상태에서, 우유는 현재 선택된 우유 공급 용기로부터 3 방향 결합부를 통해 우유 분배 장치로 각각 운반될 수 있는 반면, 동시에 우유 운반 라인은 3 방향 결합부에 의해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세정제 운반 라인에 대해 밀봉된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도 6에 따른 실시예를 비교한다.
더 유리하게 달성 가능한 피쳐는 청구항 15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디스크 요소는 평탄한(예를 들어, 평탄한 실린더형) 본체일 수 있다. 그러나, 평탄하지 않은, 예를 들어 입방형 본체가 또한 디스크 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들 평탄한 본체의 디스크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서로 평행하고 회전축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복수의 라인 연결부는 모두 2개의 디스크 요소 중 정확히 하나에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수의 밸브는 다중 연결 장치에 의해 공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설명하고, 청구항 17은 우유를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유 시스템(또는 우유 공급 장치)에 대한 개입이 요구되는 일 없이 고급 자동 세정이 구현될 수 있다. 포함될 수 없는 우유 시스템의 개별 구성요소는 정상적인 우유 충전 프로세스 중에 급속 세정으로 우유 잔류물을 간단히 세척할 수 있으며 열(또는 심지어는 화학) 수단으로 소독될 수 있다. 조작 인력이 참석할 때 거의 또는 전혀 제한을 받지 않으며, 통상적인 우유 충전 프로세스를 제외하고는, 실제로 추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유입 부분이 가요성 호스로서 구성되면, 우유 연결 호스가 우유 공급 용기에 삽입될 때 우유 공급이 세정제에 의해 오염될 위험 없이 세정제가 우유 공급 장치에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유 공급 장치 또는 커피 머신의 우유 안내 부품을 위한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들 부품의 세정은 우유 공급 용기와 완전 독립적으로 이러한 용기까지 완전히 가능하다. 따라서, 고도의 시스템 자동화가 제공된다. 일시적으로 오프셋되어 발생하는 우유 공급 용기에 대한 우유 공급 장치의 세정 또는 우유 공급 용기의 교환에 의해 일시적으로 오프셋되어 발생하는 우유 공급 장치의 세정은 공급 용기 상의 연결부의 우유 공급 장치에 대한 교차 오염 없이 그리고 그 반대의 교차 오염 없이 최적화된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우유 공급 용기로부터 다른 한편으로는 머신측 우유 시스템 또는 우유 공급 장치의 기술적 유체 분리가 실행된다.
우유 공급 장치는 자동으로 세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우유 공급 용기와 우유 공급 장치 사이의 유체 연결이 중단되고(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를 통해, 이후를 참조) 세척제 또는 세정제가 우유 공급 장치에 공급되거나 우유 공급 장치를 통해 안내된다. 가요성 우유 연결 호스 또는 우유 운반 라인의 유입 부분은, 우유 공급 용기의 우유를 채우는 짧은 간격으로 또는 우유 공급 용기를 교체하는 동안 제1 연결부(어댑터)에 의해 높은 강도로 세정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그 이점을 비롯하여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피 머신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본 발명에 필수적인 커피 머신 및 우유 공급 장치의 구성요소만 도시되고; 이는 후속 도면 또는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기 커피 머신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전기 커피 머신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 특히 도 6에 따른 제3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 방향 결합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중 연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우유 공급 장치는 전기 커피 머신(여기서는, 완전 자동 커피 머신)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통합된다. 이 하우징 외측에는, 유입 부분(20a)의 가요성 호스(8)의 제1 연결부(7)를 통해 우유 공급 장치의 우유 운반 라인(20)(유입 부분(20a) 및 유출 부분(20b)을 포함함)에 연결될 수 있는 머신-외부 우유 공급 용기(1)가 위치된다. 따라서, 또한 가요성 호스(8) 또는 유입 부분(20a)의 제1 연결부(7)를 향해 배향된 단부는 커피 머신의 외측에 위치되어, 우유 공급 용기(1)에 대해 유체 불투과성 연결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입 부분(20a)의 상기 단부를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제1 연결부(7)에 의해 제2 연결부(9)에 연결할 수 있다(이후를 참조).
마찬가지로, 머신 또는 완전 자동 커피 머신의 외부(즉, 도시되지 않은 완전 자동 커피 머신의 하우징 외측)에, 컵(5) 형태의 외부 용기가 위치된다. 예시된 경우에, 상이한 유형의 세정제(R)를 위한 복수의 공간 또는 챔버(22a 내지 22d)를 포함하는 세정제 저장조(22)는 완전 자동 머신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개별 공간 또는 챔버(22a 내지 22d)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의 플랩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제1 변형예("변형예 1")에서, 3 방향 결합부는 3/2 방향 밸브(6)로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점선으로 예시된 도 1의 중심에 있는 원을 참조한다. 대안적으로,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변형예 2")에서, 3 방향 결합부는 정확히 2개의 밸브, 즉 2/2 방향 밸브(6") 및 압착 튜브 밸브(6')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도 1의 좌측에 있는 점선 원 참조). 이어서, 먼저 변형예 1을 설명하고, 변형예 2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변형예 1과의 차이점만을 이후에 설명한다.
따라서, 우유 운반 라인(20)의 유입 부분(20a)의 일단부는 제1 연결부(7)에 의해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우유 공급 용기(1)에 연결될 수 있다(도 1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단부의 반대쪽에 위치된 유입 부분(20a)의 단부는 밸브(6)의 3개의 입구 중 하나에 연결된다(변형예 1). 예시된 경우에, 제1 연결부(7)와 밸브(6) 사이에 완전 가요성 라인 연결이 제공되며, 즉 우유 운반 라인(20)의 유입 부분(20a)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가요성 호스(8)로서 구성된다. 3/2 방향 밸브(6)의 제2 입구는 우유 운반 라인(20)의 유출 부분(20b)을 통해 완전 자동 커피 머신의 우유 분배 장치(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7)는 공급 용기(1)를 향해 배향된 우유 운반 라인(20)의 제1 단부(7)에 대응하고, 이 제1 단부(7)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상태로 위치된 우유 운반 라인(20)의 제2 단부(21)를 통해, 우유 운반 라인(20) 내에 안내된 유체는 우유 분배 장치(4)로 그리고 거기서부터 외부 컵(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우유 운반 라인(20)의 2개의 부분(20a 및 20b)은 밸브(6)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밸브(6)가 우유 운반 라인(20)에 위치 설정된다.
밸브(6)로부터 우유 분배 장치(4)를 향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유출 부분(20b)은 후속 순서에서 아래의 구성요소들을 갖는다(즉, 밸브(6)로부터 분배 장치(4)로 부분(20b)에서 유동하는 유체는 후속 순서에서 이들 구성요소를 통해 유동함): 유체 이송 수단(2)(여기서는 펌프),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및/또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및/또는 유체에 증기를 도입하기 위한(예를 들어, 따뜻한 우유 또는 우유 거품을 생성하기 위해) 시스템(3) 및 3/2 방향 유출 밸브(23). 3/2방향 유출 밸브는, 제1 연결 위치에서, 밸브(23)의 제1 입구에 연결되고 밸브(23)와 우유 분배 장치(4) 사이에 위치된 부분(20b)의 우유 분배 장치(4)를 통해서만(즉, 짧은 라인 피스(20b')를 통해) 유출 부분(20b)으로부터 유체의 유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유체는 컵(5)으로 유동한다. 밸브(23)의 제2 연결 위치에서, 밸브(23)의 제2 입구가 이어지는, 별도의 배출부(11)를 통한 유체의 유출만이 가능해진다. (밸브(23)의 제3 입구는 시스템(3)에 연결되고, 즉 시스템(3)으로부터 밸브(23)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입의 목적에 알맞다.) 배출부(11)는 특히 유체로서 세정제(R)를 배출하는 목적에 알맞다(이후를 참조). 마지막으로, 밸브(23)는, 중간 연결 위치에서, 배출구(11)를 통해 그리고 우유 분배 장치(4)를 통해 동시 유체 유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송 수단(2)으로서, 펌프(예를 들어, 기어식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동 펌프, 진동 임펠러 펌프 또는 베인 셀 펌프가 이송 수단(2)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3/2 방향 밸브(6)의 제3 입구를 통해, 3/2 방향 밸브(및 이에 따라 우유 운반 라인(20))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연결된다. 입구로부터 멀어지게 밸브(6)로 배향된 상태로 위치된 라인(12)측에서, 세정제 저장조(22)가 구성되며, 이 저장조는 챔버(22a 내지 22d)로서 총 4개의 상이한 세정제 용기를 갖는다. 라인(12)으로의 출구는 각각의 챔버(22a 내지 22d)로부터 이어지므로, 4개의 상이한 세정제가 저장조(22)로부터 라인(12)으로 유동하게 될 수 있다. 제1 세정제로서, 냉수(KW)가 챔버(22a)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제2 세정제로서, 온수(HW)가 챔버(22b)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제3 세정제로서, 증기(DA)가 챔버(22c)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제4 세정제로서, 세정액(RE)이 챔버(22d)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각각의 이들 세정제 자체 또는 복수의 이들 세정제의 혼합물은 라인(12)에 세정제(R)(또한 이후를 참조)로서 첨가될 수 있다.
라인(12)의 입구를 향해 밸브(6)로 배향된 측에서 저장조(22)로부터(4개의 챔버(22a 내지 22d)의 합류점 사이 및 밸브(6)의 입구로부터) 보았을 때, 라인(32)은 T형 라인 피스(31)를 통해 라인(12)으로 개방된다. 라인(32)을 통해, 우유 공급 장치의 제2 연결부(9)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연결되며, 라인(32)의 2/2 방향 밸브(30)는 제2 연결부(9)와 T형 라인 피스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밸브(30)의 연결 상태에 따르면, 제2 연결부(9)로부터 나오는 유체는 라인(32) 및 T형 피스(31)를 통해 라인(12)으로 유동할 수 있거나 (마지막의 경우에, 밸브(30)가 폐쇄되면) 유동될 수 없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우유 공급 장치의 우유 유동 작동 상태(이후, MFBZ로 약칭됨)를 도시한다. 후속 도면에서와 같이, 여기서, 굵은 라인으로 묘화되고 및/또는 화살표가 제공된 라인 또는 라인 부분은 순간적인 상태에서 유체가 유동되고, 가는 라인으로 묘화된 라인 또는 라인 부분 및/또는 또는 화살표가 제공되지 않은 라인 또는 라인 부분은 순간적으로 유체가 유동되지 않는다.
MFBZ에서, 우유(M)는 용기(1)로부터 제1 연결부(7) 또는 운반 라인(20)의 제1 단부를 통해 호스(8)로 이송된다. 우유(M)는 호스(8) 또는 유입 부분(20a) 내에서 밸브(6)로 그리고 밸브로부터 유출 부분(20b)으로 유동한다. 밸브(6)는, 이 밸브의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의 입구가 폐쇄되어 저장조(22)로부터 또는 라인(12)으로부터 라인(20)으로 세정제(R)(후속 도면 참조)의 유입이 신뢰성 있게 방지되도록 연결된다. 펌프(2)는 우유(M)의 이송을 보장하고, 이 펌프를 통해 우유(M)는 최종적으로 시스템(3)(이곳에서, 우유가 가열될 수 있거나, 증기와 혼합될 수 있거나, 공기와 혼합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는 증기 및 공기 모두와 혼합될 수 있음)으로 유동되고, 이 시스템으로부터 밸브(23)로 이송된다. 예시된 MFBZ에서 밸브(23)의 연결 위치는, 우유(M)가 이 밸브(23)를 통해 라인 부분(20b')으로, 이 라인 부분으로부터 분배 장치(4)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분배 장치(4)로부터 컵(5) 내로 유동하도록 된다(따라서, 예시된 MFBZ에서 밸브의 배출부(11)로의 입구는 폐쇄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 2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작동하며, 그 차이는, 밸브(6)가 여기서 2개의 개별 밸브, 즉 유입 부분(20a)에 수용된 압착 튜브 밸브(6'), 및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수용된 2/2 방향 밸브(6")로 대체된다는 점이다. 이에 의해, 간단한 T형 라인 피스는 유입 부분(20a), 유출 부분(20b) 및 운반 라인(12)을 연결한다(도면에서 좌측의 점선 원 참조). 따라서, 예시된 MFBZ에서, 2/2 방향 밸브(6")는 저장조(22)로부터의 세정제 공급을 차단하는 반면, 압착 튜브 밸브(6')는 라인(20)을 통한 우유(M)의 통류를 가능하게 하도록 개방된다.
도 1은 우유(M)가 우유 용기(1) 내에 저장되는 우유 시스템을 도시한다. 우유(M)는 이송 수단(2)에 의해 유입 부분(20a) 또는 가요성 호스(8)를 통해 배출 영역(우유 분배 장치(4))으로 이송된다. 우유 용기(1)와 배출 영역(4) 사이에, 가열 시스템 또는 따뜻한 우유 또는 우유 거품을 준비하기 위해 공기 및/또는 증기를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참조 번호 3)이 위치된다. 이들 시스템(3)은 여기서 개략적으로만 예시되어 있다. 시스템(3)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그 후, 단지 용기 내에 존재하는 형태 또는 온도의 우유(M)의 첨가가 가능하다).
우유 흡입 호스(8)는 연결 피스 또는 연결부(7)에 의해 우유 공급원(1)에 연결되거나 우유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세정제 또는 세척제(12)를 위한 공급 장치 또는 공급 라인을 통해 시스템이 세척 또는 세정될 수 있다. 세정제(R)가 우유 공급원(1)으로 그리고 우유 운반 라인(20)에서 유동하는 우유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유 공급 라인 또는 우유 운반 라인(20)은 세정제 공급 영역(즉, 라인(20)으로의 라인(12)의 입구)과 우유 공급원(1) 사이에서 분리 장치(6) 또는 (6', 6")에 의해 분리된다.
변형예 1에서, 분리 장치(6)는 3/2 방향 밸브(그러나, 3/3 방향 밸브도 사용될 수 있음)로 이루어진다. 변형예 2에서, 분리 장치(6', 6")는 세정 공급을 위해 압착 튜브 밸브(6') 및 2/2 방향 밸브(6")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머신측 우유 시스템은 위치(6 또는 6')까지 연결 호스 피스를 제외하고 완전 자동 방식으로 세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형예 1에서, 분리 지점은 세정 동안 블라인드 경로에 있지 않다(이와 관련하여, 변형예 2의 경우에, 그러한 블라인드 경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변형예 1이 변형예 2보다 우수하다).
분리 지점의 밀봉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세정될 시스템에 (예를 들어, 이송 장치(2)에 의해) 압력이 축적될 수 있다. 그러한 압력 축적은 압력 센서(16)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 1에서, 이 센서(16)는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존재한다). 이에 의해, 센서(16)는 한편으로 라인(20)에 또는 다른 한편으로 3 방향 결합부(6) 또는 (6', 6")와 이송 장치(2) 사이의 유출 부분(20b)에 존재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이에 의해, 압력은, 예를 들어, 이송 장치(2)를 기어식 펌프로서 형성하고 기어식 펌프를 역으로 실행함으로써 인가될 수 있다. 이어서, 센서(16)가 압력이 충분히 높지 않다고 확립하면, 호스(8)를 향한 방향으로 분리 지점(6) 또는 (6', 6")을 통한 누설이 존재한다. 그러한 경우, 우유 공급 장치는 경고 또는 알람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2의 유체 유동 상태(후속을 참조)에서 분리 지점(6) 또는 (6', 6")의 영역에 바람직하지 않은 누설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립될 수 있고(이는 세정제(R)에 의한 우유(M)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음), 세정제(R)에 대한 펌프 작동에도 불구하고, 센서(16)가 충분히 높은 압력을 측정하지 못하면(즉, 압력값이 미리 결정된 압력 기준값 미만이면), 그러한 경우에, 유체 또는 액체가 호스(8)의 방향으로 또는 단부(7)를 향해 분리 지점을 통해 가로지르기 때문에 압력이 불충분하다.
도 2에서, 기본 세정 상태 또는 제1 세정 작동 상태(이후, "RBZ1"로 명명됨)가 도시되며, 이 상태에서 다음이 발생한다.
3 방향 결합부(6) 또는 (6', 6")는, 세정제(R)(저장조(22)로부터, 여기서 저장조(22b)의 일부로부터 비롯됨)가 운반 라인(12) 및 운반 라인에 연결된 결합부(6)의 입구를 통해 그리고 또한 유출 부분(20b)에 연결된 결합부(6)의 입구를 통해 유출 부분(20b)으로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 부분(20a)에 연결된 결합부(6)의 입구는 폐쇄된다. 세정제(R)는 펌프(2), 시스템(3), 유출 밸브(23) 및 또한 부분(20b')을 통해 유동하고 따라서 우유 운반 라인(20)의 단부(21)를 통해 우유 분배 장치(4)로 유동하며 분배 장치로부터 컵(5) 내로 유동한다. 이 기본 세정의 경우, 라인(12), 라인 부분(20b)(그 안에 위치된 요소(2, 3, 23)를 포함) 및 또한 분배 장치(4)가 세정된다. 따라서, 우유 시스템은 공급 용기(1)와 독립적으로 기본 세정을 받을 수 있다.
우유 용기(1) 상의 제1 연결부(7)를 포함하는 나머지 호스 부분(8)은 실제로 이송 수단(2) 및 또한 시스템(3)보다 오염을 덜 받는다: 그러나, 요소(2, 3)와 관련하여, 단백질을 통한 우유 축적이 발생하지 않고 세균이 형성될 수 없거나 세포의 생장 후 다시 허용 가능한 양으로 급속히 분해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본 세정(RBZ1)은 간격을 두고 구현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제1 연결부(7)는 그 파킹 위치로 삽입될 수 있으며, 즉 제2 연결부(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도 3을 참조한다.) 기본 세정(RBZ1)은 하루에 한 번 또는 중지 시간 동안 또는 덜 바쁜 시간에 구현될 수 있다. 기본 세정은 일일 커피 머신 세정과 함께 진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한 수동 세정은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RBZ1의 기본 세정 프로그램(커피 머신의 메모리에 저장됨)은 커피 머신의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에서 시작될 수 있다. 통상적인 시간은 5-15 분이다.
도 3은 제2 세정 작동 상태(RBZ2로 약칭됨)를 도시한다. 이는 여기서 급속 세정을 나타낸다.
RBZ2에서, 제1 연결부(7)는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제2 연결부(9)에 연결된다. 결합부(6)는, 유입 부분(20a)에 연결된 결합부(6)의 입구와 유출 부분(20b)에 연결된 결합부(6)의 입구가 유체 통과를 위해 연결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운반 라인(12)에 연결된 결합부(6)의 입구는 폐쇄된다. 밸브(30)가 개방되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세정제(R)는 저장조(22)로부터(여기서, 부분(22d)으로부터) 저장조(22)와 입구(31) 사이에 위치된 라인(12)의 일부(12')를 통해 밸브(30)로 유동할 수 있고, 밸브로부터(라인(32)에서) 제2 연결부(9) 및 제1 연결부(7)를 통해 호스(8) 또는 유입 부분(20a)으로, 결합부(6)를 통해 그리고 유출 부분(20b)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출 부분(20b)에서, 세정제(R)는 이송 수단(2), 시스템(3) 및 밸브(23)를 통해 유동한다. 여기에서, 밸브는 세정제(R)가 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도록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유출 부분(20b)의 부분(20b')(및 이에 따라 또한 분배 장치(4))은 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론, 밸브(23)는 배출부(11) 및 요소(20b' 및 4) 모두가 세정제(R)의 유동을 받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시된 상태에서, 입구(31) 및 라인(12)에 대한 결합부(6)의 입구 사이에 존재하는 운반 라인(12)의 라인 부분(12")은 마찬가지로 세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급속 세정(RBZ2)은 마찬가지로 (우유 공급 용기(1)의 추가 외부 용기(34)를 통한) 충전 동안에 매일 여러 번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7 및 9)가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되면 용기(1) 내의 우유(M)의 재충전이 실행될 수 있다. 우유 경로(20a)(20b)의 이 세척(RBZ2)은 1 내지 2 분의 통상적인 지속 시간을 필요로 한다. 상태(RBZ2)에서, 연결부(7)를 포함하는 호스(8)가 또한 세정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신장부가 라인(12)(부분(12'))을 통해 세척될 수 있고 세정제(R)는 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세정제(R) 이외에 저장 챔버(22a 내지 22c)의 세정제가 또한 장치의 대응하는 제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경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9) 또는 또한 제1 연결부(7)는 센서 수단(예를 들어, 리드 또는 홀 센서 형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 수단은 요소(7 및 9)의 유체 불투과성 커플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커플링이 존재한다면, 센서 요소는 도 3에 도시된 세척 사이클을 자동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그러한 세척 사이클이 종료되기 전에 요소(7 및 9)의 연결이 우발적으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로킹 보조구(예를 들어, 로킹 모터, 전자석 또는 유압식이나 공압식 로킹 보조구)로서 작용하는 액추에이터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세정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신호하는 광학 수단(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상태 디스플레이)이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 대신에) 연결 영역에서 광의 형태로 또한 실행될 수 있다. 상태 표시기는 또한 디스플레이 상의 애니메이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상태(RBZ2)에서, 우유 시스템 또는 우유 공급 장치가 고도로 자동화된 방식으로 세정될 수 있고, 또한 우유 수집부가 정기적으로 세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많은 양의 우유(M)가 용기(1) 내에 저장되어 있거나 우유 소비가 적기 때문에 제1 연결부(7)(호스(8)를 갖춤)가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세정될 수 없는 경우, 우유 공급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세정 사이클 RBZ2를 개시해야 하는 강제 세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단지 2개의 연결부(7 및 9)를 수동으로 함께 연결해야 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도 4는 집중 세정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완전 자동 커피 머신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를 도시한다. 여기서의 구성은 간단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따르고, 여기서 차이점은 3 방향 결합부(6)가 3/2 방향 밸브로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집중 세정의 경우에 연결 위치는 운반 라인(12)(또는 운반 라인의 부분(12")에 연결된 밸브(6)의 입구 및 유입 부분(20a) 또는 호스(8)에 연결된 밸브(6)의 입구 모두가 세정제(R)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도록 된다. 여기서, 세정제(R)는 저장조(22)의 챔버(22d)로부터 비롯된다. 다음 상태들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앞뒤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세정제(R)는 입구(31), 밸브(30), 2개의 연결부(9, 7) 및 호스(8)를 통해 밸브(6)로 유동한다. 제2 상태에서, 세정제는 입구(31)로부터 부분(12")을 통해 밸브(6)로 직접 유동한다. 유출 부분(20b)에 연결된 밸브(6)의 입구는 마찬가지로 개방되고 라인 부분(8, 12")으로부터 함께 유동된 세정제(R)의 유출의 목적에 알맞다. 요소(2), (3) 및 (23)의 하류에서 세정제(R)의 배출은 여기서 부분(20b')을 통해, 즉 분배 장치(4)를 통해 실행된다. 그러나, 3/2 방향 유출 밸브(23)는 또한 세정제(R)가 추가로 또한 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집중 세정은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세정으로서 일주일에 한 번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유와 접촉하는 모든 구성요소가 세정될 수 있다. 세정제 및/또는 소독제(R)의 사용은 또한 고농도로 가능하다. 또한, 긴 작동 시간(지속 시간: 15 내지 30 분 이상, 예를 들어 1 내지 2 시간)이 가능하다. 또한, 원한다면 수동 세정 또는 식기 세척기에서 세정하기 위해 구성요소 또는 부품이 해체될 수 있다. 우유 공급 용기(1)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우유 공급 장치로부터 커플링 해제된다.
도 5는 완전 자동 커피 머신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에 의해,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만 후속하여 설명된다(동일한 참조 번호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서, 구성요소(9), (30), (31) 및 (32)는 생략된다. 추가로(제1 실시예에 존재하지 않음), 가요성, 부분적으로 가요성, 또는 완전히 강성(튜브로서의 라인)인 바이패스 라인(10)이 제공되어,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배출부(11)에 연결되거나 배출부(11)로 이어진다. 배출부(11)의 반대쪽에 위치된 단부에서, 바이패스 라인(10)은 제1 연결부(7)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3 연결부(33)를 갖는다. 도 5는 제3 연결부(33)와 제1 연결부(7)가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함께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게다가 결합부(6)는 3/3 방향 밸브로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이후에 제3 세정 작동 상태, 약어: RBZ3으로도 명명되는 집중 세정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브(6)는 세정제(R)를 통과시키기 위해 유입 부분(20a) 및 유출 부분(20b)을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세정제(R)는 운반 라인(12)으로부터 밸브(6)로 그리고 호스(8) 또는 유입 부분(20a), 제1 연결부(7), 제3 연결부(33) 및 바이패스 라인(10)을 통해 배출부(11)로 유동될 수 있다. 동시에, RBZ3에서, 세정제(R)는 라인(12)으로부터 밸브(6)를 통해 또한 이송 수단(2), 시스템(3), 밸브(23) 및 우유 분배 장치(4)를 통해 컵(5) 내로 유동될 수 있다. RBZ3에서, 3/3 방향 밸브(23)는 3개의 입구가 모두 개방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세정제(R)는 또한 추가로 밸브(23)를 통해 배출부(11)로 유동한다.
그러나, 도 5의 우유 공급 장치는, 밸브(6)가 오직 경로(20a)만을 개방하면(세정제는 요소(8), (7), (33) 및 (10)을 통해 배출부(11)로 유동함), 급속 세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자동 커피 머신에서 우유 공급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태(MFBZ, RBZ1 및 RBZ2), 및 도 4와 유사하게, 마지막에 언급된 도면에 도시된 세정 작동 상태도 제3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이는 전환이 특히 개별 작동 상태들 사이의 3 방향 결합부(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이다. 밸브(6)는 제3 실시예에서 3/3 방향 밸브로서 구성된다.
제3 실시예(도 6)는 제1 실시예(도 1 내지 3)의 모든 구성요소를 갖는다. 더욱이, 추가 구성요소(7'), (8'), (9'), (30'), (31'), (32') 및 (15)가 제공되며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제1) 우유 공급 용기(1)에 추가하여, 여기에서 상이한 유형의 우유(M')가 존재하는 제2 우유 공급 용기(1')가 제공된다. 유입 부분(20a)은, (용기(1)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7) 및 제1 연결부에 연결된 가요성 호스(8)에 추가하여, 추가의 가요성 호스(8')에 연결되는 추가의 제1 연결부(7')를 포함한다. 요소(7' 및 8')를 통해, 유입 부분(20a)은 추가로(용기(1)에 대한 연결에 추가하여) 또한 추가의 외부 용기(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추가의 3/2 방향 밸브(15)가 제공되며, 이는 추가의 제1 연결부(7')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상태로 위치된 호스(8')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입구를 갖고 제1 연결부(7)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상태로 위치된 호스(8)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입구를 갖는다. 밸브(15)의 제3 입구는 유입 부분(20a)의 강성 파이프 라인 부분을 통해, 라인(12)에 연결되지 않고 유출 부분(20b)에 연결되지 않은 밸브(6)의 입구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밸브(15) 및 이 강성 파이프 라인 부분은 완전 자동 커피 머신의 하우징(여기에 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위치 설정되어, 밸브(15)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상태로 위치된 호스(8 및 8')의 부분만이 그 연결부(7 및 7')와 함께 상기 하우징 외측에 위치 설정된다.
제1 실시예에 대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7)는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제2 연결부(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7)과 (9) 사이의 점선을 참조한다. 게다가, 완전 자동 머신은 추가 라인(32')을 통해 개방되는 추가의 제2 연결부(9') 및 또한 추가의 입구(31')를 통해 운반 라인(12)으로 이어지는 추가의 2/2 방향 밸브(30')(밸브(30)와 같이 구성됨)를 갖는다. 이에 의해, 추가의 입구(31')는 마찬가지로 T형 라인 피스로서 구성되고 한편으로는 저장조(22)와 다른 한편으로는 입구(31)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추가의 제2 연결부(9')는, 우유 용기(1')로부터 추가의 제1 연결부(7')를 제거한 후에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추가의 제1 연결부(7)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7')와 (9') 사이의 점선을 참조한다.
밸브(15)의 연결 위치에 따르면, 우유 유동 작동 상태(MFBZ)((7) 및/또는 (7')이 우유 용기(1), (1')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서, 우유(M')가 용기(1')로부터 또는 우유(M)가 용기(1)로부터 밸브(15)를 통해 그리고 유입 부분(20a) 및 밸브(6)를 통해 유출 부분(20b)으로(라인(12)에 대한 밸브(6)의 입구가 차단된 경우) 유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정 작동 상태(RBZ)는 제1 연결부(7)가 제2 연결부(9)와 쌍을 이루고 및/또는 추가의 제1 연결부(7')가 추가의 제2 연결부(9')와 쌍을 이룸으로써 가능하다. 그 후, MFBZ에서 폐쇄된 밸브(30 및 30')가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 세정 상태가 가능하다: 연결 쌍(7)과 (9) 그리고 또한 (7')과 (9')의 페어링, 즉 용기(1) 및 (1')로부터 커플링 해제. 2개의 밸브(30) 및 (30')의 개방. 호스(8) 또는 호스(8')로부터의 유입 및 밸브(6)를 향한 유출이 가능해지도록 3/2 방향 밸브(15)의 연결. 유입 부분(20a) 또는 밸브(15) 또는 운반 라인(12)으로부터의 유입이 가능해지도록 밸브(6)의 연결(이 2개의 상태 사이에서 주기적인 전후 전환이 발생할 수 있음). 밸브(6)로 유입된 세정제는 유출 부분(20b)을 통해 배출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따른 RBZ2와 유사한 상태와 같은 다른 RBZ(이 경우, 라인(12)에 연결된 밸브(6)의 입구가 폐쇄됨)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는 또한 복수의 우유 용기(1), (1')에 대해 연장될 수 있으며, 밸브(15)는 다양한 우유 용기들 사이의 전환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밸브(15)는 또한 2개의 개별 2/2 방향 밸브 또는 2개의 호스 클램프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원하는 병렬의 급속 및 집중 세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연결부(7') 및 (9')를 통해 추가 연결부가 제공된다.
도 6은 도 8 내지 도 10에 후속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중 연결 장치(500)의 6개의 라인 연결부(A, B, C, D, E 및 F)를 추가로 도시한다. 장치(500)의 위치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우유 공급 장치의 상이한 통류 상태가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에 관한 후속 설명도 참조한다.
도 7은 제1 연결부(7) 및 제2 연결부(9)(마찬가지로: 도 6에 따른 추가의 제1 연결부(7') 및 추가의 제2 연결부(9'))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1 연결부(7)는, 호스(8)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상태로 위치된 단부에서(그리고 호스(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먼저 제2 연결 부분(7-9)을 그 후에 제1 연결 부분(7-1)을 갖는다. 제1 연결 부분(7-1)의 직경은 용기(1)의 우유 용기 연결부(40)(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형상 끼워맞춤 및 또한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연결 부분(7-9)은 제1 연결 부분(7-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2 연결 부분(7-9)의 직경은 제2 연결 부분(7-9)의 영역이 연결부(40)로 더 이상 도입될 수 없을 정도로 우유 용기 연결부(40)의 내부 직경(또한 도 7에서 D1로 명명됨)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우유 용기(1)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연결부(7) 사이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은 제1 연결 부분(7-1)(도 7의 좌측)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제2 연결 부분(7-9)은 제1 연결 부분(7-1)의 외부 직경보다 상당히 큰 외부 직경을 가지며, 제2 연결 부분(7-9)이 정확하게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되어 제2 연결부(9)에 의해 유체 불투과성 시일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된다(도 7의 우측 참조). 따라서, 제2 연결부(9)의 내부 직경(D2)(이 경우, D2 > D1이 적용됨)은 외주측에서 (7)과 (9)의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연결부(9)가 제2 연결 부분(7-9)을 둘러싸도록 된다. 따라서, 우유 용기(1)로부터 제1 연결부(7)를 분리한 후, 먼저 제1 연결 부분(7-1), 그리고 이후에 또한 제2 연결 부분(7-9)(후자가 제2 연결부(9)에 시일을 형성함)이 제2 연결부(9)에 도입됨으로써 도 7의 우측에 따라 2개의 연결부(7 및 9)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부(7)는 2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제1 밀봉 직경(D1)은 우유 공급 용기(1)와 쌍을 이룰 수 있고 제2 밀봉 직경(D2)은 연결부(9)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는,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 연결 부분(7-1)이 연결부(9) 내부의 세정액(R)(도 7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완전히 세척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1 연결부(7)(또는 추가의 제1 연결부(7'))를 새로운 또는 세정된 우유 공급 용기(1)에 연결할 때 영역(D1) 또는 (7-1)에서 교차 오염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 공급원과 우유 공급을 위한 복귀 유동 안전 장치 사이에 3 방향 결합부(6) 또는 (6', 6")의 분리 수단으로서, 간단한 3/2 방향 밸브 또는 간단한 3/3 방향 밸브가 (예를 들어, 자기 밸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특히, 도 6의 경우 - 따라서 이 (500)도 도 6에 나타냄),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연결 장치(500)가 모든 실시예에서 3 방향 결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6개의 라인 연결부(A 내지 F)를 갖는 다중 연결 장치(500)를 도시하는데, 라인 연결부는 이들 라인 연결부에 연결된 라인 부분(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3 방향 결합부(6)의 유체 가이드 및 도 6에 따른 연장된 유체 경로 가이드를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장치(500)는 공통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한 2개의 평탄한 원통형 디스크 요소(50, 51)를 갖는다. 요소(50)(회전축(52)에 평행한 단면도에서 도 8의 좌측 극단 상에 그리고 회전축 상의 평면도에서 또는 회전축(52)에 수직인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8의 좌측 상에)는 이에 의해 정확하게 6개의 관통 보링 또는 관통 홀로서 모든 라인 연결부(A 내지 F)를 갖는다(라인 연결부(D)는 그 관통 홀에 추가하여 싱크 홀 영역을 물론 가짐, 또한 좌측 극단에 있는 도 8의 수직 점선 참조). 제2 디스크 요소(51)(도 8의 우측: 회전축(52) 상의 평면도); 도 8의 우측 극단, 회전축(52)에 평행한 단면도)는 대조적으로 정확히 2개의 연결 챔버, 즉 장방형의 만곡된 연결 챔버(도 8의 우측 상단) 및 대략 삼각형 연결 챔버만을 갖는다. 장방형 연결 챔버는 디스크 요소(51)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고, 삼각형 연결 챔버는 외주측에 위치된 디스크의 영역으로부터 이 디스크(51)의 중심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또한 회전축(52)을 둘러싼다.
2개의 평탄한 원통형 디스크(50, 51)(도 9 참조)는 서로 위아래로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서로 직접 맞닿는다.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한 2개의 디스크(50, 51)의 회전은 라인 연결부(A, B, C, D, E 및 F) 중 상이한 연결부들을 함께 쌍으로 연결하도록 (특히 디스크(50)의 라인 연결부(D)의 싱크 보링 부분을 통해 또한 디스크(51)의 2개의 관통 홀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8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장치(500)의 내측에 걸쳐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25°만큼 시계 방향으로 디스크 요소(51)의 회전은, 2개의 라인 연결부(D와 F)의 연결 및 동시에 2개의 라인 연결부(B와 C)의 연결을 모두 실행할 수 있다(이에 의해, 디스크(50)는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됨). 그러므로, 입구(31')를 통해 저장조(22)로부터 (밸브(30')에 따라) 추가의 제2 연결부(9')로 그리고 (추가의 제1 연결부가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연결부(9')에 연결된다면) 추가의 제1 연결부(7')로부터 - 밸브(15) 및 (6)에 따라 - 펌프(2)로 그리고 이에 따라 우유 분배 장치(4)로의 세정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유체 경로 D → F → (9') → (7') → B → C).
도 9는 장치(500)를 조립된 형태로 도시한다. 도 10은 상이한 회전 각도 또는 회전축(52) 주위의 상대 위치에 따라, 연결부(A 내지 F) 중 어느 라인 연결부가 어떤 유체 라인 연결부로 (장치(500)의 내부를 통해) 이어지는 지를 나타낸다.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디스크(50, 51)(또는 정지 디스크(50) 및 이 정지 디스크에 대해 회전 가능한 디스크(51))에 의해, 복잡한 밸브가 간단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고, 이 밸브에 의해 상이한 유체 경로가 상이한 "소비자"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따른 기하학적 구성의 결과로서, 밸브(6)(또는 (6', 6")), (15), (30) 및 (30')는 예를 들어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확하게 하나 또는 단일의 다중 연결 장치(500)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치(500)의 내부 밸브 기하형상은 사공간이 없도록 구성된다. 이 장치(500)의 기본 유닛은 이를 위해 도 6에 따른 6개의 연결부(A 내지 F)를 제공한다. 한 쌍의 연결부(E-F)는 유리하게는 제2 연결부(9) 및 (9')가 모두 동시에 생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쌍(A-B)은 우유 흡입 호스(8) 및 (8') 모두에 대한 연결을 동시에 구성하도록 기하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디스크(50, 51)는 그 각도 위치에서 서로 멀어지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장 변경된 유체 경로를 형성한다. 2개의 내부 주요도에서, 도 8은 각각 도 9에서 서로 위아래로 예시된 밀봉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서로에 대한 2개의 디스크(50, 51)의 각도 위치의 함수로서 생성되는 밸브 연결 경로 또는 유체 경로를 나타낸다. 예: 라인 연결부(A)와 라인 연결부(C)를 연결한 각도 위치 75°("정상 작동 우유 1", 도 10 참조). 라인 연결부(B, D, E 및 F)는 이 각도 위치에서 폐쇄된다. 2개의 디스크(50, 51)는 모터에 의해 서로에 대해 또는 멀어지게 회전될 수 있다.
축(52)을 중심으로 한 서로에 대한 디스크(50, 51)의 그러한 회전 운동은, 예를 들어 -25°및 25°위치(도 10 참조)에서 연결부(7) 및 (9) 또는 (7') 및 (9')의 연결을 함께 로킹하도록 사용될 수 있어 이들 연결부의 해제가 세정제(R)를 사용한 세정이 완료되기 전에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세정 상태 동안, 복수 유형의 우유(M, M')를 사용하는 중에, 전환이 또한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전후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급속하게 발생하는 급속 세정을 위해 2개의 유형의 우유(M'과 M) 사이에 짧은 전환 경로가 생성된다. 이에 의해, 서로에 대한 2개의 디스크(50, 51)의 각각의 각도 위치에서, 세정제(R)가 우유 용기(1, 1') 중 하나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 배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2 단계 세정 방안을 가능하게 한다: 세정제(R) 또는 복수의 세정제(R)를 사용자에 의한 개입 없이 또한 외부 용기(1) 또는 용기(1, 1')에 대한 우유 공급 장치의 연결 중에 저장조(22) 또는 그 챔버(22a 내지 22d)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제1 (완전 자동) 단계가 가능하다(특히, 세정의 자동 시작 및 자동 구현). 제2 단계에서, 용기(1) 또는 (1), (1')에 우유를 채우는 또는 우유 용기를 교체하는 짧은 시간을 사용하여 호스(8) 또는 호스(8), (8')를 세척하고 특히 호스측 우유 연결 영역(7) 또는 영역(7), (7')을 소독한다. 제1 단계는 일상적인 작동 중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또는 심지어는 사용량에 따라 짧은 간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제2 단계는 정상 작동 처리 중에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단지 무의식적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세정 단계의 고급 자동 구현이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유의 세균 수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안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련의 세정 단계가 정의될 수 있거나 상이한 세정 작동 상태 RBZ가 연속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우유 공급 장치 또는 커피 머신의 작동은 사용자가 실제로 구현된 임의의 세정을 인지하는 일 없이 또는 사용자에 의한 그러한 세정의 최소한의 인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연결 영역의 매우 급속한 소독이 가능하다. 용기 교체 중에 교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정제(R)로 철저히 세척하면 사실상 작은 작동 간격으로 마음대로 수행할 수 있다. 우유 공급 장치 또는 커피 머신의 세균 수는 사용자측 입력을 최소화하면서 세척 및 세정 절차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규칙적으로 세정되지 않는 우유 연결 라인의 영역도 세균에 내성이 있다: 우유를 교환하거나 이 호스 부분에 신선한 우유를 공급하는 것은 사실상 100% 세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이 부분에서, 단순한 기하형상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과도한 세균 형성이 방지되므로, 우유에 세균이 로딩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우유 부분의 세정은 궁극적으로 상당히 긴 간격으로만 요구된다.
그러한 작동 과정에 의해, 우유의 처리는 사용자 세정에 의존하지 않거나 거의 의존하지 않고 긴 유지 보수 간격에 걸쳐 작동될 수 있다.
기계적 위치 그리드에 차례로 작용하는 전기 신호로 기계 연결 위치를 대응하여 전환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세정제(R)에 의해 우유 공급원을 오염시키는 연결 위치들의 조합이 배제되는 다중 연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피쳐를 강조할 수 있다.
·상이한 세정 절차가 결합된다.
·이들 절차는 백그라운드에서 완전히 자동으로 또는 거의 완전히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거나 실제로 인식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우유에서 세균 수를 낮은 수준으로 안정화시키거나 세균 수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우유는 사용자에 의한 구현을 필요로 하는 특별한 세정 절차(예를 들어, 또한 우유 제품이 판매될 수 없는) 없이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처리될 수 있다.

Claims (17)

  1. 우유 공급 용기(1)로부터 우유 분배 장치(4)로 우유(M)를 공급하기 위한 우유 공급 장치로서,
    단부(7, 21) 중 제1 단부(7)에서 우유 공급 용기(1)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고, 단부(7, 21) 중 제2 단부(21)를 통해, 우유 공급 용기(1)로부터 취한 우유(M)가 우유 분배 장치(4)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우유 운반 라인(20)을 포함하는, 우유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1 단부(7)와 제2 단부(21) 사이에서 우유 운반 라인(20)과 유체 연통하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의해, 3 방향 결합부(6, 6', 6")가, 임의로,
    ·우유 유동 작동 상태(MFBZ)에서, 우유(M)가 3 방향 결합부(6, 6', 6")를 통해 우유 공급 용기(1)로부터 우유 분배 장치(4)로 운반될 수 있는 동시에, 우유 운반 라인(20)이 3 방향 결합부(6, 6', 6")에 의해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대해 밀봉되도록,
    ·또는 하나 이상의 세정 작동 상태/상태들(RBZ1, RBZ2, RBZ3)에서, 세정제(R)가 3 방향 결합부(6, 6', 6")와 유체 연통하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3 방향 결합부(6, 6', 6")를 통해 우유 분배 장치(4)를 향한 방향으로 및/또는 우유 공급 장치의 배출부(11)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우유 운반 라인(20)은 3 방향 결합부(6, 6', 6")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 부분(20a) 및 3 방향 결합부(6, 6', 6")와 유체 연통하는 유출 부분(20b)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부분(20a)은 완전히 강성이 아니도록 구성되고 3 방향 결합부(6, 6', 6")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단부에 제1 연결부(7)를 갖고,
    우유 공급 장치는 세정제 운반 라인(12)과 유체 연결되는 제2 연결부(9)를 가지며,
    제1 연결부(7)는 제2 연결부(9)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 2개의 연결부(7, 9)를 통해 이어지는 유체 연결이 세정제 운반 라인(12)과 유입 부분(20a) 사이에 존재하고/거나,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 2개의 연결부(7, 9)와 유입 부분(20a)을 통해 이어지는 유체 연결이 세정제 운반 라인(12)과 3 방향 결합부(6, 6', 6")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방향 결합부(6, 6', 6")는 제1 세정 작동 상태(RBZ1)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어,
    세정제(R)가 3 방향 결합부(6, 6', 6")로 개방된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3 방향 결합부(6, 6', 6")를 통해 우유 분배 장치(4)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고,
    세정제(R)가 3 방향 결합부(6, 6', 6")를 통해 유출 부분(20b)을 거쳐 우유 분배 장치(4)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되는 동시에, 유입 부분(20a)은 3 방향 결합부(6, 6', 6")에 의해 세정제 운반 라인(12)에 대해 유체 불투과성 방식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입 부분(20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가요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가요성 호스(8)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 방향 결합부(6, 6', 6")는 제2 세정 작동 상태(RBZ2)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어,
    세정제(R)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또는 세정제 저장조를 향해 배향된 세정제 운반 라인(12)의 부분(12')으로부터, 연결된 상태에 위치된 2개의 연결부(7, 9)를 향해, 연결부(7, 9)로부터 유입 부분(20a)을 통해 3 방향 결합부(6, 6', 6")로, 3 방향 결합부(6, 6', 6")로부터 유출 부분(20b)을 통해 그리고 최종적으로 우유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부(11) 및/또는 우유 분배 장치(4)를 통해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 방향 결합부(6, 6', 6")는, 세정제(R)가 추가로 또한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또는 세정제 저장조를 향해 배향된 부분(12') 및 세정제 저장조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세정제 운반 라인(12)의 부분(12")을 통해 직접, 즉 연결된 상태에 위치된 2개의 연결부(7, 9)를 통해 그리고 유입 부분(20a)을 통해 유동하는 일 없이, 3 방향 결합부(6, 6', 6")로 안내될 수 있고, 3 방향 결합부(6, 6', 6")로부터 유출 부분(20b)을 통해, 최종적으로 우유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부(11) 및/또는 우유 분배 장치(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제1 연결부(7) 및/또는 제2 연결부(9)는, 2개의 연결부(7, 9)가 서로에 대해 연결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연결 상태 검출 장치를 갖고, 및/또는
    상기 제1 연결부(7) 및/또는 제2 연결부(9)는, 2개의 연결부(7, 9)가 서로 연결 상태에 위치하면 그리고 우유 공급 장치가 세정 작동 상태(RBZ1, RBZ2, RBZ3)중 하나에 있다면, 2개의 연결부(7, 9) 사이의 연결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 해제 방지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7)는, 우유 공급 용기(1)에 대한 제1 연결부(7)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을 위해 구성된 제1 연결 부분(7-1) 및 제2 연결부(9)에 대한 제1 연결부(7)의 유체 불투과성 연결을 위해 구성된 제2 연결 부분(7-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우유 공급 장치는, 우유 공급 장치의 배출부(11)에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바이패스 라인(10)을 갖고, 이 바이패스 라인(10)은 배출부(11)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단부에 제3 연결부(33)를 가지며,
    제1 연결부(7)는 제3 연결부(3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세정제 운반 라인(12), 3 방향 결합부(6, 6', 6"), 이들 2개의 연결부(7, 33) 및 바이패스 라인(10)을 통해 배출부(11)로 이어지는 유체 연결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 방향 결합부(6, 6', 6")는 제3 세정 작동 상태(RBZ3)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어,
    세정제(R)는, 제1 연결부(7) 및 제3 연결부(33)의 연결된 상태에서, 세정제 운반 라인(12), 3 방향 결합부(6, 6', 6"), 2개의 연결된 연결부(7, 33) 및 바이패스 라인(10)을 통해 배출부(11)로 안내될 수 있고, 우유 공급 장치로부터의 배출부(11)에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 방향 결합부(6, 6', 6")는 여러 세정 작동 상태에 따라 작동될 수 있고 및/또는 제1 세정 작동 상태(RBZ1), 제2 세정 작동 상태(RBZ2) 및 제3 세정 작동 상태(RBZ3)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세정 작동 상태에 따라 작동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세정 작동 상태(RBZ1), 제2 세정 작동 상태(RBZ2) 및 제3 세정 작동 상태(RBZ3) 3개 모두의 세정 작동 상태에 따라 임의로 및/또는 전환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 방향 결합부(6, 6', 6")는 밸브(6)이거나 이 밸브를 포함하고 또는 여러 밸브(6', 6")의 조합이거나 이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3/2 방향 밸브 또는 3/3 방향 밸브이거나 이 밸브를 포함하거나, 또는
    정확하게 2개의 밸브(6', 6")를 포함하거나 이들 밸브로 이루어지며, 이들 2개의 밸브 중 하나의 밸브(6')는 호스 클램프 또는 압착 튜브 밸브이고 이들 2개의 밸브 중 다른 하나의 밸브(6")는 2/2 방향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정 작동 상태(RBZ1, RBZ2, RBZ3) 중 하나 이상에서 우유 공급 장치의 작동 중에, 유출 부분(20b)으로부터 및/또는 세정제 운반 라인(12)으로부터 세정제(R)의 복귀 유동이 3 방향 결합부(6, 6', 6")를 통해 유입 부분(20a) 내로 실행되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압력 센서(16)를 포함하는 복귀 유동 안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운반 라인(20)의 제1 단부(7, 7')는 여러 개의 상이한, 또는 정확히 2개의 또는 정확히 3개의 상이한 우유 공급 용기(1, 1')에 대한 동시적인 유체 불투과성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 방향 결합부(6, 6', 6")를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다중 연결 장치(500)를 포함하고,
    다중 연결 장치(500)는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여러 개의, 또는 정확히 2개의 디스크 요소(50, 51) 및 복수의 라인 연결부(A, B, C, D, E, F)를 가지며,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한 디스크 요소(50, 51)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다중 연결 장치(500)의 내부를 통해 이어지는 라인 연결부(A, B, C, D, E, F) 중 각각 상이한 라인 연결부는 유체 안내를 위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쌍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공급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 내에서 또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우유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M)를 우유 공급 용기(1)로부터 우유 분배 장치(4)로 공급하는 방법.
  17. 삭제
KR1020197033937A 2017-04-21 2018-03-13 우유 공급 장치 및 우유 공급 방법 KR102532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6767.5 2017-04-21
DE102017206767.5A DE102017206767A1 (de) 2017-04-21 2017-04-21 Milchzufuh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Zuführen von Milch
PCT/EP2018/056220 WO2018192716A1 (de) 2017-04-21 2018-03-13 Milchzufuh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zuführen von mil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29A KR20200002929A (ko) 2020-01-08
KR102532553B1 true KR102532553B1 (ko) 2023-05-16

Family

ID=6175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37A KR102532553B1 (ko) 2017-04-21 2018-03-13 우유 공급 장치 및 우유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53787B2 (ko)
EP (1) EP3439518B1 (ko)
JP (1) JP7143322B2 (ko)
KR (1) KR102532553B1 (ko)
CN (1) CN110753506A (ko)
DE (1) DE102017206767A1 (ko)
TW (1) TWI703925B (ko)
WO (1) WO2018192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9071B2 (ja) * 2017-05-10 2024-01-22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ノズル外面洗浄を行う飲料抽出装置
CN110192775A (zh) * 2019-06-25 2019-09-03 丹顶鹤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奶泡泵组件
IT202000028016A1 (it) 2020-11-23 2022-05-23 Rancilio Group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e metodo per il funzionamento di tale macchina
WO2024085802A1 (en) * 2022-10-21 2024-04-25 Ross Digital Pte. Lt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3896A1 (en) * 2006-10-11 2008-07-10 Niro-Plan Ag Device for preparation and dispensing of beverages, with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03Y2 (ja) * 1980-12-27 1985-01-10 富士電機株式会社 カツ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飲料ライン洗浄装置
WO2008006623A2 (de) * 2006-07-14 2008-01-17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milch
WO2008049223A1 (en) 2006-10-24 2008-05-02 Infusion Integrale In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DE102008003733B4 (de) 2008-01-10 2022-12-01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modu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für Maschinen zur Herstellung flüssiger Lebensmittel
EP2133010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CN202173269U (zh) * 2011-08-03 2012-03-28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咖啡机分向阀
DE102012200280B4 (de) * 2012-01-11 2017-02-09 BSH Hausgeräte GmbH Getränkeautomat
DE102012214104A1 (de) * 2012-08-08 2014-0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ffeevollautomat
CN202714725U (zh) * 2012-08-08 2013-02-06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奶泡机
DE202012009076U1 (de) * 2012-09-21 2012-11-16 Eugster/Frismag Ag Vorrichtung zur Bereitung von wahlweise kaltem oder warmem Milchschaum oder Abgabe wahlweise kalter oder warmer Milch
DE102013112130A1 (de) * 2013-11-05 2015-05-07 Melitta Professional Coffee Solu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r Erkennung von Reinigungsmitteln in einer Getränkemaschine, insbesondere einer Kaffeemaschine
CA2962617A1 (en) 2014-10-06 2016-04-14 Remington Designs, Llc Beverage brew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6455233B2 (ja) 2015-03-03 2019-01-23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2017030828A (ja) 2015-08-04 2017-02-09 ホシザキ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3896A1 (en) * 2006-10-11 2008-07-10 Niro-Plan Ag Device for preparation and dispensing of beverages, with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29A (ko) 2020-01-08
WO2018192716A1 (de) 2018-10-25
TWI703925B (zh) 2020-09-11
CN110753506A (zh) 2020-02-04
JP7143322B2 (ja) 2022-09-28
JP2020517354A (ja) 2020-06-18
US20200146503A1 (en) 2020-05-14
TW201842841A (zh) 2018-12-16
EP3439518B1 (de) 2019-08-21
US11653787B2 (en) 2023-05-23
WO2018192716A9 (de) 2019-12-05
EP3439518A1 (de) 2019-02-13
DE102017206767A1 (de)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553B1 (ko) 우유 공급 장치 및 우유 공급 방법
US11819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cessing a medical device
CN106102528B (zh) 咖啡机的牛奶运送系统的清洁和/或消毒方法以及咖啡机
US6293921B1 (en) Automatic exchanger for peritoneal dialysis
US5948247A (en) Disinfection arrangement for dialysis machines
JPH07144019A (ja) 血液透析装置のための液圧安全回路
JPH06504707A (ja) 自動化血液透析化学的処理システム
AU2016323410B2 (en) Cleaning system for a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foodstuffs
CN108283439A (zh) 清洁系统
ES2382907T3 (es) Aparato médico
CN105776685A (zh) 净水器
JP2010189069A (ja) 流体バリアを作るための方法及び連結部
JP4146144B2 (ja) 密閉型管路切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液処理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液処理方法
JPH0555154B2 (ko)
CN109152493B (zh) 饮料制备设备
JPH07299031A (ja) 内視鏡用液体供給装置
JPH08280794A (ja) 血液透析装置
CA3046245C (en) Enhanced backflow prevention in a hemodialysis device
CN118042967A (zh) 用于流体分配设备的连接器
CN116920192A (zh) 一种接头模块与集中供液系统
JPH01180696A (ja) カップ自動販売機の洗浄装置
JPH01180695A (ja) カップ自動販売機の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