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076B1 -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 - Google Patents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076B1
KR102531076B1 KR1020197022724A KR20197022724A KR102531076B1 KR 102531076 B1 KR102531076 B1 KR 102531076B1 KR 1020197022724 A KR1020197022724 A KR 1020197022724A KR 20197022724 A KR20197022724 A KR 20197022724A KR 102531076 B1 KR102531076 B1 KR 10253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deriva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transmit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072A (ko
Inventor
게이스케 사카모토
유나 지바
이쿠마 시미즈
아키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8Preparation from other phthalocyanine compounds, e.g. cobaltphthalocyanineamine complex
    • C09B47/10Obtaining compounds having halogen atoms directly bound to the phthalocyanin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8Preparation from other phthalocyanine compounds, e.g. cobaltphthalocyanineamine complex
    • C09B47/085Preparation from other phthalocyanine compounds, e.g. cobaltphthalocyanineamine complex substituting the central metal ato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후막화하지 않고, 휘도가 향상한 컬러필터를 얻기 위한 안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하기 일반식(1) :
Figure 112019079116851-pct00006

(일반식(1) 중, Z1∼Z16는, 각각 독립해서,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설포기의 평균 치환기수가 0.1∼4개이고, M은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또는 Pb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이것을 화소부에 가져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
본 발명은,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컬러필터는, 투명한 유리 기판 상에 복수의 색을 규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그것을 통과하는 백라이트의 백색광으로부터 필요한 파장 영역의 광만을 투과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컬러 표시를 실현하는 부재이다. 거기에 사용되는 색은 일반적으로 적, 녹, 청의 삼원색이 포함되어 있고, 각각 투과 스펙트럼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색재, 수지, 첨가제 등에 대하여 개량이 거듭되어 왔다. 그 중의 컬러필터용 녹색 착색제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화질 향상의 관점에서, 고휘도화 및 색재현 범위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고휘도화는, 백라이트광에 대한 투과율이 높은 안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종래의 피그먼트그린 36 대신에, 피그먼트그린 58을 주안료로서 사용함으로써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안료의 개량에 의한 고휘도화에 의해, 백라이트의 백색광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에너지 절약화나 제조 코스트 다운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색재현 범위의 확대에 대해서는, 컬러필터에 포함되는 색재의 채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채도가 높은 도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막 중의 안료 농도를 높게 하거나, 동일 안료 농도로 도막 막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도 도막의 제반 내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종래, 컬러필터 용도에 사용되어 온 피그먼트그린 36이나 피그먼트그린 58보다도 황색 색재와의 조색 후의 특정 색도에 있어서의 박막화가 가능한 피그먼트그린 7이 주안료로서 선택되고 있다. 피그먼트그린 36이나 피그먼트그린 58의 후막화에 의한 색재현 범위의 확대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3.5㎛ 정도의 실용적인 막두께에서 NTSC비 90% 이상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 피그먼트그린 7이 선택되는 이유이다. 예를 들면, 피그먼트그린 7, 피그먼트옐로 185를 함유하는 녹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녹색 화소를 형성하고, 2.2㎛ 이하의 박막에서 고색재현을 달성하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피그먼트그린 7은 피그먼트그린 36, 피그먼트그린 58과 비교하면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얻어지는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저하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휘도에 관해서는 백라이트의 광량 업으로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비 전력량의 증대라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휘도와 색재현성을 양립하는 컬러필터용 색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안료가 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일 경우에, 프탈로시아닌설폰산 유도체를 함유시켜서, 색농도, 및 색순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내광성도 양호한 컬러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주안료로 하는 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안료의 내열성, 내광성의 낮음에 기인해서, 최근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할로겐화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저할로겐화구리프탈로시아닌설폰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일차입자의 평균 입자경 0.01∼0.1㎛이며 또한 아스펙트비 1∼3인 녹색 안료 조성물을 사용해서,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컬러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주안료로 하는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휘도의 낮음에 기인해서, 최근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고휘도화, 색재현 범위의 확대를 목적으로 한 컬러필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들 선행기술에서는, 최근 급속히 높아지는 요구 성능을 만족하기에는 불충분하여, 아직 목적은 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일본 특개2011-057910호 공보 일본 특개2005-31624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후막화하지 않고, 휘도가 향상한 컬러필터를 얻기 위한 안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주안료로서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하여, 이것에 특정의 안료 유도체를 함유시킴으로써, 후막화하지 않고, 휘도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컬러필터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하기 일반식(1) :
Figure 112019079116851-pct00001
(일반식(1) 중, Z1∼Z16는, 각각 독립해서,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설포기의 평균 치환기수가 0.1∼4개이고, M은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또는 Pb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이것을 화소부에 가져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막화하지 않고, 휘도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컬러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중심에 아연 금속을 배치하고, 할로겐 이외의 치환기가 치환해도 되는 프탈로시아닌환에, 염소, 브롬, 불소 및 요오드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치환된 화합물이고, 각 치환기의 합계수는 최대 16개이다. 할로겐 및 할로겐 이외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수소 원자인 것을 가리킨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색재현 범위가 넓은 컬러필터를 설계하는 관점에서, 1분자 중에 할로겐 원자를 평균 10∼14개 갖고, 이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8∼12개이고, 염소 원자수가 평균 2∼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안료 유도체는,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녹색 컬러필터의 주안료와 안료 유도체의 색상을 유사하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안료 유도체는, 상기 일반식(1) 중, Z1∼Z16가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 중 어느 하나를 가지며, 또한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적어도 Z1, Z4, Z5, Z8, Z9, Z12, Z13, Z16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이 염소 원자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녹색 컬러필터의 주안료와 안료 유도체의 색상을 유사하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안료 유도체는, 상기 일반식(1) 중, Z1∼Z16가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 중 어느 하나를 가지며, 또한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적어도 Z1, Z4, Z5, Z8, Z9, Z12, Z13, Z16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이 브롬 원자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Z1, Z4, Z5, Z8, Z9, Z12, Z13, Z16의 위치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가 들어가면 색상이 녹미화(綠味化)하는 것은, 일본 특개2010-189528에 기재되어 있다.
안료 유도체의 색상을, 주안료의 색상에 의해 유사하게 하는 관점에서, Z1∼Z16에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할로겐 원자를 10∼14개, 브롬 원자를 8∼12개, 염소 원자를 2∼5개 함유하는 것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은, 종래부터 있었던 안료와 동(同) 계통 골격의 안료 유도체와의 단순한 조합에 의한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사상에 의거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A) 우선, 일반적인 유기 안료는 분자 전체로서 고도의 공역계가 형성되어 있고, 평면적인 구조로 되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안정하다. 이 평면상의 각 분자가 적층되도록(평행으로) 배치하면, 각 분자 간이 갖는 공역계의 π 전자가 중첩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한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는, 프탈로시아닌환을 갖기 때문에 평면적 구조이고, 유기 안료의 평면 구조와의 사이에 상호 작용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주안료가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인 경우에는, 유도체의 π 전자와의 사이에 할로겐-π 상호 작용이 특히 일어나기 쉽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정의 안료 유도체를 유기 안료의 분산 공정에서 공존시키면, 분산 시에 새롭게 발생하는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가 활성인 표면에 유도체가 효율적으로 흡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극성기인 설포기에 의해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를 미세한 상태로 분산 안정화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설폰화프탈로시아닌 유도체는 안료화 시에 더해도 되고, 분산 시에 더해도 양호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안료화 공정에서 공존시키면,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의 분자 간에 들어가, 일차입자를 미세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설폰화프탈로시아닌 유도체는, 분산 시에 첨가한 경우보다도, 안료화 시에 공존시키는 편이 매우 큰 휘도 개량을 실현할 수 있다.
(B) 또한, 안료와 유도체의 흡수 스펙트럼의 겹치는 방식에도 착목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녹색 화소의 컬러필터에 있어서 밝고 선명한 표시를 얻기 위해서는, 510㎚로부터 560㎚까지의 투과율을 높게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좁은 파장역만을 투과하는 컬러필터를 설계하기 위하여, 녹색 안료와 황색 안료를 조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녹색 안료에 처리되는 안료 유도체는, 510∼560㎚에 있어서 녹색 안료의 투과 파장과 유사한 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또한, 430㎚ 내지 460㎚의 투과율이 높으면, 색도 y값이 대폭으로 저하하고, 녹색의 선명함이 크게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 파장 범위의 투과율은 낮은 편이 바람직한 것이 일본 특개평8-240708에 기재되어 있다. 색도 y값이 낮은 경우에는 막두께를 두껍게 해서 색도 y값을 높게 할 필요가 있지만, 막두께를 두껍게 하면 휘도가 저하해 버린다. 따라서, 430㎚ 내지 460㎚의 투과율이 가능한 한 낮아지는 안료 유도체의 선택이 필요하다. 특히, 컬러필터의 녹색 화소는, 녹색 안료에 대해서 퀴노프탈론계 황색 안료인 C.I. 피그먼트옐로 138(Y138)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Y138은, 460㎚ 근처에서 흡수대로부터 투과대에 이행한다는 일본 특개2015-26077의 기재가 있으므로, 460㎚보다도 단파장의 흡수를 만들어 낼 수는 있지만 장파장측의 흡수를 만들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녹색 안료에 처리되는 유도체의 460㎚의 투과율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B) 및 (C)의 관점에서, 상기 식(1) 중의 중심 금속 M은, Al, Zn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Zn인 것이 바람직하다. (C)의 관점을 상술하면, 안료 유도체로서 상기 식(1) 중의 중심 금속 M이, Al의 것을 사용하는 것보다도, Zn의 것을 사용하는 편이, 430㎚∼46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낮으므로, 휘도가 높은 안료 조성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료 유도체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프탈로시아닌 또는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을 황산에 용해하고, 100℃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혹은 발연 황산에 용해해서 저온도에서 처리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엄격한 반응 조건에서 프탈로시아닌환에의 설포기의 도입을 행하면, 황산 또는 발연 황산에 의해 프탈로시아닌환이 산화 분해하여, 안료 유도체의 순도가 저하해 버린다. 보다 순도가 높은 안료 유도체를 사용하는 관점에서, 상기 일반식(1) 중,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설포기의 평균 치환기수가 0.1∼4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설포기는, 설폰산이어도 되고, 염의 상태여도 된다. 염을 형성하는 상대 이온의 예로서는, 암모늄이온, 1∼3가의 금속 이온(구체예로서는,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스트론튬이온, 알루미늄이온 등을 들 수 있음) 및 유기 양이온(구체예로서는, 에틸암모늄이온, 부틸암모늄이온 등의 모노알킬암모늄이온, 디메틸암모늄이온, 디에틸암모늄이온 등의 디알킬암모늄이온, 트리메틸암모늄이온, 트리에틸암모늄이온 등의 트리알킬암모늄이온, 모노에탄올암모늄이온, 디에탄올암모늄이온, 트리에탄올암모늄이온 등의 알칸올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디움이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 등을 들 수 있다)이 포함된다. 특히 컬러필터 제조에 있어서의 현상 공정에서의 안료 유도체의 용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안료 유도체의 설포기는, 설폰산 또는 유기 양이온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평균 할로겐 원자수는, 질량 분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질량 분석은,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리 이온화 비행 시간 질량 분석계(니혼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 JMS-S3000)를 사용해서 행하고, 분자량이 Q인 것이 기지의 화합물의 질량 분석을 행했을 때에, m/z=Q가 검출되도록, 각 측정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 1840의 기지 화합물의 질량 분석을 행했을 때에, m/z=1840이 검출되도록 JMS-S3000의 설정을 조절했다. 또,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0.5m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mL에 분산시킨 현탁액 1μL를 사용해서 질량 분석을 행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 유도체의 평균 설폰화율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시마즈세이사쿠죠제 LC-MS-8040)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안료 유도체를 디메틸설폭시드로 정용(定容)하고, 10㎜ol/L 탄산수소암모늄 수용액/메탄올/테트라히드로퓨란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서 그라디언트 용리한 프로파일을 사용했다. 얻어진 피크는 질량 분석(이온화 모드 : DUIS)에 의해 각각 정성(定性)하고, 설폰화율은 피크 면적비에 의해 산출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료 유도체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 중, Z1, Z4, Z5, Z8, Z9, Z12, Z13, Z16의 할로겐 치환기수 m, 및 Z2, Z3, Z6, Z7, Z10, Z11, Z14, Z15의 할로겐 치환기수 n은, 안료 유도체를 황산세륨으로 분해해서 프탈이미드류로 한 후에, 얻어진 프탈이미드류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함으로써 구해진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결과로 얻어진, 전프탈이미드류의 합계 몰 농도를 a, 3위치 또는 6위치에 할로겐을 갖는 프탈이미드류의 합계 몰 농도를 b(3, 6위치 양쪽에 할로겐을 갖는 프탈이미드류의 경우는 그 프탈이미드류의 몰 농도는 실측의 2배로 해서 계산한다), 4위치 또는 5위치에 할로겐을 갖는 프탈이미드류의 합계 몰 농도를 c(4, 5위치 양쪽에 할로겐을 갖는 프탈이미드류의 경우는 그 프탈이미드류의 몰 농도는 실측의 2배로 해서 계산한다)로 했을 경우, m=4×b/a, n=4×c/a로서 계산된다. 또,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으로도 m, n은 구해지지만, 투입 원료를 제어함으로써 m, n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클로로프탈산무수물을 원료로서 합성한 테트라클로로아연프탈로시아닌을 설폰화해서 얻어지는 안료 유도체는, m=4, n=0이다. 또한, 4-클로로프탈산무수물을 원료로서 합성한 테트라클로로아연프탈로시아닌을 설폰화해서 얻어지는 안료 유도체는, m=0, n=4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 유도체의 평균 할로겐 원자수는, 상술의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리 이온화 비행 시간 질량 분석계를 사용한 질량 분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료 유도체는, 조안료의 합성 시나 안료화 후에 더해도 되지만, 안료화 시에 조안료(粗顔料)와 함께 안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컬러필터용 분산액이나 컬러필터용 레지스트 잉크의 분산성이 증가하여 휘도가 향상하므로, 분산 시나 레지스트 제작 시에 안료 유도체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안료 유도체는,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의 분자 간에 들어가서 일차입자를 미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료화 시에 안료 유도체를 더하고, 조안료와 함께 안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애트라이터, 볼밀, 진동 밀, 진동 볼밀 등의 분쇄기 내에서 건식 마쇄하고, 다음으로, 솔벤트 솔트 밀링법이나 솔벤트 보일링법 등으로 안료화함에 의해서, 안료화 전보다도 분산성이나 착색력이 우수하며, 또한, 명도가 높은 녹색을 발색하는 안료가 얻어진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와의 비율은, 특히 한정하지 않지만 질량 환산으로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100부당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0.1∼10부 함유하는 것이, 당해 안료 조성물을 컬러필터로서 사용했을 때에, 후막화하지 않고 휘도를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녹색 안료 조성물의 안료화 방법에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안료화 전의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을 분산매에 분산시킴과 동시에 안료화를 행해도 되지만, 다량의 유기 용제 중에서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안료 조성물을 가열 교반하는 솔벤트 처리보다도, 용이하게 결정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비표면적이 큰 안료 입자가 얻어지는 점에서, 솔벤트 솔트 밀링 처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솔벤트 솔트 밀링이란, 합성 직후 또는 그 후에 마쇄를 행한, 안료화를 거치지 않은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안료 조성물과, 무기염과, 유기 용제를 혼련(混練) 마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혼련기로서는, 예를 들면 니더, 믹스멀러(mixmuller), 트리믹스, 이축 압출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으로서는, 수용성 무기염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자경 0.5∼50㎛의 무기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무기염은, 통상의 무기염을 미분쇄함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일차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0.01∼0.10㎛인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안료 조성물을 컬러필터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람직한 입자경을 얻는데 있어서는, 솔벤트 솔트 밀링에 있어서의 조안료 사용량에 대한 무기염 사용량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당해 무기염의 사용량은, 조안료 1질량부에 대해서 5∼2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15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결정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유기 용제로서는 수용성 유기 용제를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메톡시메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2-(이소펜틸옥시)에탄올, 2-(헥실옥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루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수용성 유기 용제의 사용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안료 1질량부에 대해서 0.01∼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안료 조성물을 솔벤트 솔트 밀링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각각 솔벤트 솔트 밀링하고, 이후에 맞춰도 상관없고,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프탈로시아닌 안료 유도체를 동시에 장치 내에서 혼합해서, 솔벤트 솔트 밀링할 수도 있다. 컬러필터에 의한 광학 특성 평가에 있어서는, 어느 쪽의 방법이어도 휘도를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대차는 없다.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마찬가지로, 380∼7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 스펙트럼의 투과율이 최대로 되는 파장(Tmax)은, 500∼525㎚이고, 그 투과 곡선의 반값폭이 110㎚ 이하로 매우 샤프하다(이 파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감광성 수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컬러필터 평가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 스펙트럼이란, 일본공업규격 JIS Z 8722(색의 측정 방법-반사 및 투과 물체색)의 제1종 분광 측광기에 준거해서 구해지는 것이며, 유리 기판 등의 위에 상기 소정 건조 막두께로 제막한 안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피막에 대하여 소정 파장 영역의 광을 주사 조사해서, 각 파장에 있어서의 각 투과율값을 플롯한 것이다.
여기에서,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을 D1로 하고,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산화알루미늄에 담지(擔持)시켜서 얻어지는 유도체 담지체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을 D2로 했을 때에, D1과 D2의 비율(D2/D1)이 0.7 이상으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인 것이, 안료 유도체에 의한 녹색 컬러필터의 휘도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휘도가 높은 녹색 컬러필터를 설계하기 위하여, D1과 D2의 비율(D2/D1)이 1.0 이상으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D1과 D2의 비율(D2/D1)이 1.2 이상으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산화알루미늄에 담지시켜서 얻어지는 유도체 담지체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46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60% 이하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인 것이, 색도 y의 저하가 억제된 색재현성이 높은 녹색 컬러필터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색재현성이 높은 녹색 컬러필터를 설계하기 위하여, 46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5% 이하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6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0% 이하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은, 그것만을 그대로 컬러필터의 녹색 화소부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른 녹색 안료 등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녹색 안료 외에,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조색용에 황색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병용할 수 있는 황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옐로 83, 동 110, 동 129, 동 138, 동 139, 동 150, 동 180, 동 185, 동 231 등의 황색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조성물과 황색 안료와의 병용 비율은, 상기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조성물 100질량부당, 황색 안료가 1∼200질량부이다.
(컬러필터)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을 사용해서 녹색 화소를 형성함으로써,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
(컬러필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서 컬러필터의 녹색 화소부의 패턴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본 안료 조성물과, 감광성 수지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컬러필터 녹색 화소부용 감광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컬러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을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분산매에 분산시킨 후,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슬릿 코트법, 잉크젯법 등으로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도포하고, 다음으로 이 도포막에 대해서, 포토 마스크를 개재해서 자외선에 의한 패턴 노광을 행한 후, 미노광 부분을 용제 등으로 세정해서 녹색 패턴을 얻는, 포토리소그래피라 불리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착법, 전사법, 미셀 전해법, PVED(Photovoltaic Electrodeposition)법 등의 방법으로 녹색 화소부의 패턴을 형성해서,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적색 화소부의 패턴 및 청색 화소부의 패턴도 공지의 안료를 사용해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컬러필터 녹색 화소부용 감광성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과, 감광성 수지와, 광중합개시제와, 상기 수지를 용해하는 유기 용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혼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과 유기 용제와 필요에 따라서 분산제를 사용해서 분산액을 조제하고 나서, 거기에 감광성 수지 등을 더해서 조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빅케미샤의 디스퍼빅(DISPERBYK 등록상표) 130, 동 161, 동 162, 동 163, 동 170, 동 LPN-6919, 동 LPN-2111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레벨링제, 커플링제, 양이온계의 계면활성제 등도 아울러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자일렌, 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제, 아세트산에틸이나 아세트산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계 용제,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피오네이트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제,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N,N-디메틸포름아미드, γ-부티로락탐, N-메틸-2-피롤리돈, 아닐린, 피리딘 등의 질소 화합물계 용제,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제, 카르밤산메틸과 카르밤산에틸의 48:52의 혼합물과 같은 카르밤산에스테르, 물 등이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특히 프로피오네이트계, 알코올계, 에테르계, 케톤계, 질소 화합물계, 락톤계, 물 등의 극성 용매이며 수가용의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 100질량부당, 300∼1000질량부의 유기 용제와, 필요에 따라서 0∼100질량부의 분산제를, 균일하게 되는 양으로 교반 분산해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분산액에, 본 발명의 안료 조성물 100질량부당, 3∼20질량부의 감광성 수지, 감광성 수지 1질량부당 0.05∼3질량부의 광중합개시제와, 필요에 따라서 유기 용제를 더 첨가하고, 균일하게 되는 양으로 교반 분산해서 컬러필터 녹색 화소부용 감광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말레산계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예를 들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옥시에톡시)비스페놀A, 3-메틸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2관능 모노머, 트리메틸롤프로판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다관능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벤질디메틸케탄올, 벤조일퍼옥사이드, 2-클로로티오잔톤, 1,3-비스(4'-아지드벤잘)-2-프로판, 1,3-비스(4'-아지드벤잘)-2-프로판-2'-설폰산, 4,4'-디아지드스틸벤-2,2'-디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조제된 컬러필터 녹색 화소부용 감광성 조성물은, 포토 마스크를 개재해서 자외선에 의한 패턴 노광을 행한 후, 미노광 부분을 유기 용제나 알칼리수 등으로 세정함에 의해,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특히 한정하지 않는 경우는,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또한, 후기하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휘도의 평가]
얻어진 컬러필터의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 x, y 및 휘도를, 분광 광도계 U-3900(가부시키가이샤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제)으로 측정했다. 휘도는 높을수록 우수하다.
참고예 1
300ml 플라스크에, 염화설푸릴(와코쥰야쿠고교 시약) 90g, 염화알루미늄(간토가가쿠 시약) 105g, 염화나트륨(도쿄가세이고교 시약) 1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아연프탈로시아닌 27g, 브롬(와코쥰야쿠고교시약) 55g을 투입했다. 130℃까지 승온하고, 물에 취출한 후,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1)을 얻었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1)에 대하여 니혼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 JMS-S3000에 의한 질량 분석을 행하여, 평균 염소화율이 2.9개, 평균 브롬화율이 9.3개인 것을 확인했다. 또, 질량 분석 시의 Delay Time은 510ns, Laser Intensity는 40%, m/z=1820 이상 1860 이하의 피크의 Resolving Power Value는 65086이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1) 40g, 분쇄한 염화나트륨 400g,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2k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 여과, 탕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녹색 안료 조성물(RG1)을 얻었다. 녹색 안료 조성물(RG1)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RMG1)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RMG1)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RCG1)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RCG1)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2511.6이고, 460㎚의 투과율이 8.79였다.
참고예 2
300ml 플라스크에, 염화설푸릴(와코쥰야쿠고교시약) 91g, 염화알루미늄(간토가가쿠시약) 109g, 염화나트륨(도쿄가세이고교시약) 15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아연프탈로시아닌 30g, 브롬(와코쥰야쿠고교시약) 230g을 투입했다. 130℃까지 승온하고, 물에 취출한 후,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2)을 얻었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2)에 대하여 니혼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 JMS-S3000에 의한 질량 분석을 행하여, 평균 염소화율이 1.8개, 평균 브롬화율이 13.2개인 것을 확인했다. 또, 질량 분석 시의 Delay Time은 500ns, Laser Intensity는 44%, m/z=1820 이상 1860 이하의 피크의 Resolving Power Value는 31804였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2) 40g, 분쇄한 염화나트륨 400g,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2k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 여과, 탕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녹색 안료 조성물(RG2)을 얻었다. 녹색 안료 조성물(RG2)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RMG2)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RMG2)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RCG2)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RCG2)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2787.8이고, 460㎚의 투과율이 3.07이었다.
합성예 1
98%의 황산 288g과 30% 발연 황산 272g을 10℃로 냉각하면서 교반하고,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아연프탈로시아닌 70g을 더했다. 다음으로, 6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물 1750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에,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얻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에 대하여 LC-MS 측정에 의해 평균 설폰화율이 1개인 것을 확인했다.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1)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1)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1)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1)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1)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1)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1988.8이고, 460㎚의 투과율이 55.27이었다.
합성예 2
1L 플라스크에 3-클로로프탈산무수물 55g, 프탈산무수물 45g, 염화아연 20g, 요소 116g, 칠몰리브덴산육암모늄사수화물 600mg 및 설포란 250g을 투입하고, 190℃에서 5시간 교반했다. 그 후, 가열을 정지하고, 방냉 후 여과하고, 2-프로판올 780g,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0g, 1% 염산 1000g을 사용해서 세정했다. 수세 후, 얻어진 웨트 케이크를 9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청색 고체의 디클로로아연프탈로시아닌을 얻었다. 95%의 황산 20g과 30% 발연 황산 180g을 10℃로 냉각하면서 교반하고, 디클로로아연프탈로시아닌 20g을 더했다. 다음으로, 80℃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물 1000g에 취출하고, 30분간 교반 후에,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2)를 얻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2)에 대하여 LC-MS 측정에 의해 평균 설폰화율이 1개, 평균 염소화율이 2개인 것을 확인했다.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2)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2)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2)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2)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2)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2)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2)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3054.6이고, 460㎚의 투과율이 57.47이었다.
합성예 3
1L 플라스크에 3-클로로프탈산무수물 111g, 염화아연 20g, 요소 116g, 칠몰리브덴산육암모늄사수화물 600mg 및 설포란 250g을 투입하고, 190℃에서 5시간 교반했다. 그 후, 가열을 정지하고, 방냉 후 여과해서, 2-프로판올 780g,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0g, 1% 염산 1000g을 사용해서 세정했다. 수세 후, 얻어진 웨트 케이크를 9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청색 고체의 테트라클로로아연프탈로시아닌을 얻었다. 30% 발연 황산 131g을 10℃로 냉각하면서 교반하고, 테트라클로로아연프탈로시아닌 15g을 더했다. 다음으로, 9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물 750g에 취출하고, 15분간 교반 후에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를 얻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에 대하여 LC-MS 측정에 의해 평균 설폰화율이 1.6개, 평균 염소화율이 4개인 것을 확인했다.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3)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3)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3)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3)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3)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3)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3065.8이고, 460㎚의 투과율이 53.41이었다.
합성예 4
300ml 플라스크에, 염화설푸릴(와코쥰야쿠고교시약) 54g, 염화알루미늄(간토가가쿠시약) 63g, 염화나트륨(도쿄가세이고교시약) 8.6g,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A) 17g, 브롬(와코쥰야쿠고교시약) 87g을 투입했다. 130℃까지 승온하고, 물에 취출한 후,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4)를 얻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4)에 대하여 니혼덴시가부시키가이샤제 JMS-S3000에 의한 질량 분석을 행하여, 평균 설폰화율이 1개, 평균 염소화율이 2.2개, 평균 브롬화율이 10.8개인 것을 확인했다. 또, 질량 분석 시의 Delay Time은 275ns, Laser Intensity는 42%, m/z=1820 이상 1860 이하의 피크의 Resolving Power Value는 42559였다.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4)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4)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4)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4)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4)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4)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4)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3273.1이고, 460㎚의 투과율이 42.89였다.
합성예 5
1L 플라스크에 프탈로니트릴 60g과 1-클로로나프탈렌 300g 및 염화알루미늄 16g을 투입하고, 6시간 환류 하 교반했다. 그 후, 가열을 정지하고, 200℃까지 방냉 후 열시(熱時) 여과하고, 열톨루엔 600g, 아세톤 300g을 사용해서 세정했다. 얻어진 웨트 케이크를 톨루엔 250g에 분산시키고, 3시간 교반 환류했다. 다시, 열시 여과를 하고, 열톨루엔 600g, 아세톤 300g을 사용해서 세정한 후, 1500g의 이온 교환수에 분산하고, 60℃에서 60분간 가열 교반을 더했다. 여과, 수세 후 50℃에서 진공 건조하여, 청색 고체의 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AlPc-Cl)을 얻었다. 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AlPc-Cl) 30g을 진한 황산 1200g에 온도를 5℃로 유지하면서 서서히 용해시키고, 이 온도에서 1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빙수 6000g에 온도가 5℃를 초과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주가(注加)하고, 주가 종료 후 1시간 더 교반했다. 여과, 수세 후, 6500g의 이온 교환수에 재분산하고, 다시 여과했다. 수세 후 웨트 케이크를 4% 암모니아수 2500g에 재분산하고 6시간 환류 하 교반했다. 여과 후, 케이크를 이온 교환수로 세정한 후, 50℃에서 진공 건조하여, 청색 고체의 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AlPc-OH)을 얻었다. 98%의 황산 288g과 30% 발연 황산 272g을 10℃로 냉각하면서 교반하고, 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AlPc-OH) 70g을 더했다. 다음으로, 6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물 1750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에,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설폰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유도체(S5)를 얻었다. 설폰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유도체(S5)에 대하여 LC-MS 측정에 의해 평균 설폰화율이 1개인 것을 확인했다.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설폰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유도체(S5)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5)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5)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5)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5)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5)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5)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2757.5이고, 460㎚의 투과율이 64.24였다.
합성예 6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Solsperse 12000(니혼루브리졸가부시키가이샤제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6)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6)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6)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6)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6)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6)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1303.8이고, 460㎚의 투과율이 64.19였다.
합성예 7
1L 플라스크에 설포란 15g, 사염화티타늄 10g, 프탈산디메틸 200g, 4-클로로프탈산나트륨염 100g, 20% 발연 황산을 31g 투입하고, 17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요소 150g, 염화구리(I) 9.5g을 더했다. 또한, 150℃에서 1시간, 170℃에서 1시간, 190℃에서 8시간 가열했다. 80℃까지 냉각한 후, 수산화나트륨 60g을 용해시킨 700g의 물에 취출했다. 8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2300g의 물에 교반하면서 주입하고, 80℃에서 2시간 더 교반했다. 여과, 열수 세정을 행한 후, 35% 염산 140g을 용해시킨 2300g의 물에 재슬러리화하고, 교반하면서 70℃에서 1시간 가열했다. 여과, 열수 세정을 행한 후, 80℃에서 17시간 건조함에 의해, 청색 고체의 테트라클로로구리프탈로시아닌을 얻었다. 30% 발연 황산 131g을 10℃로 냉각하면서 교반하고, 테트라클로로구리프탈로시아닌 15g을 더했다. 다음으로, 9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물 750g에 취출하고, 15분간 교반 후에, 여과, 수세, 건조함에 의해,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S7)를 얻었다.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S7)에 대하여 LC-MS 측정에 의해 평균 설폰화율이 1개, 평균 염소화율이 4개인 것을 확인했다. 니혼아에로질샤제 산화알루미늄(AEROXIDE Alu C) 30g에 에탄올 100g을 더하고 잘 뒤섞은 후, 물 2000g을 더해서 백색의 슬러리를 제작했다.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S7) 1.5g을 더하고,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10% 염산으로 pH3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 후, 여과, 수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유도체 담지체(A7)를 얻었다. 유도체 담지체(A7)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AMG7)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AMG7)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ACG7)을 얻었다. 이 평가용 조성물(ACG7)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스핀 코팅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극대 투과율이 70%로 되는 분광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투과 스펙트럼 측정 시에는, 소다 유리를 사용해서 베이스 라인 보정을 행했다.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이 1401.9이고, 460㎚의 투과율이 64.60이었다.
제조예 1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1) 36g,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 4g, 분쇄한 염화나트륨 400g,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2k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 여과, 탕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얻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2)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2)을 얻었다.
제조예 3
제조예 1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3)을 얻었다.
제조예 4
제조예 1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4)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4)을 얻었다.
제조예 5
제조예 1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유도체(S5)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5)을 얻었다.
제조예 6
제조예 1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S7)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6)을 얻었다.
제조예 7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1) 38g,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 2g, 분쇄한 염화나트륨 400g,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2k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 여과, 탕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녹색 안료 조성물(G7)을 얻었다.
제조예 8
제조예 7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2)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8)을 얻었다.
제조예 9
제조예 7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9)을 얻었다.
제조예 10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R2) 36g,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 4g, 분쇄한 염화나트륨 400g,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80℃의 물 2kg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 여과, 탕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녹색 안료 조성물(G10)을 얻었다.
제조예 11
제조예 10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4)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1)을 얻었다.
제조예 12
제조예 10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를 Solsperse12000(니혼루브리졸가부시키가이샤제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으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2)을 얻었다.
제조예 13
피그먼트옐로 138(다이니찌세이카샤제 크로모파인 옐로6206EC) 1.65g을, DISPERBYK-161(빅케미샤제) 3.85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1.00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MY1)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MY1) 4.0g,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조색용 조성물(TY1)을 얻었다.
실시예 1
녹색 안료 조성물(G1) 2.48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MG1)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MG1)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컬러필터용 녹색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한 평가용 조성물(CG1)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2)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2)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2)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3)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3)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3)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4)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4)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4)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5)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5)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5)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7)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7)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7)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8)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8)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8)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9)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9)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9)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9
녹색 안료 조성물(RG1) 2.23g,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 0.25g을, 빅케미샤제 BYK-LPN6919 1.24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1.8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착색 조성물(MG10)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MG10) 4.0g,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0.98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컬러필터용 녹색 화소부를 형성하기 위한 평가용 조성물(CG10)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0)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2)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11)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1)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11
실시예 9에 있어서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1)를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S3)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12)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2)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10)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13)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3)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75, 0.570)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11)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14)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4)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75, 0.570)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6)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6)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6)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50, 0.615)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녹색 안료 조성물(G1)을 녹색 안료 조성물(G12)로 대신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CG12)을 얻었다. 제조예 13에서 제작한 조색용 조성물(TY1)과 평가용 조성물(CG12)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액을 소다 유리에 스핀 코팅하고,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에,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0.275, 0.570)를 나타내는 도막을 제작했다.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U-3900으로 휘도를 측정하고, 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샤제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표 1]
Figure 112019079116851-pct00002
[표 2]
Figure 112019079116851-pct00003
표 1, 2와 같이,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설폰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사용한 것은,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사용한 것보다도 휘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막두께가 3.4㎛보다도 얇은 것을 ◎, 3.4㎛ 이상 3.6㎛ 이하의 것을 ○, 3.6㎛보다도 두꺼운 것을 ×로 해서 판정했더니, 설폰화아연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설폰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사용한 것은, ◎ 혹은 ○로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SOLSPERSE12000,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S7))보다도 D2/D1가 높아지는 안료 유도체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휘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SOLSPERSE12000, 설폰화구리프탈로시아닌 유도체(S7))보다도 460㎚의 투과율이 낮은 안료 유도체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막두께가 얇다.

Claims (13)

  1.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하기 일반식(1) :
    Figure 112022110763433-pct00004

    (일반식(1) 중, Z1∼Z16는, 각각 독립해서,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설포기의 평균 치환기수가 0.1∼4개이고, M은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또는 Pb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이며,
    상기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을 D1로 하고,
    상기 안료 유도체를 산화알루미늄에 담지(擔持)시켜서 얻어지는 유도체 담지체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을 D2로 했을 때에,
    D1과 D2의 비율(D2/D1)이 0.7 이상으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유도체가, 상기 식(1) 중, Z1∼Z16가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의 어느 하나이며, 또한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적어도 Z1, Z4, Z5, Z8, Z9, Z12, Z13, Z16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이 염소 원자를 갖는 안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유도체가, 상기 식(1) 중, Z1∼Z16가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 중 어느 하나를 가지며, 또한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적어도 Z1, Z4, Z5, Z8, Z9, Z12, Z13, Z16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이 브롬 원자를 갖는 안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유도체가, 상기 식(1) 중의 Z1∼Z16가,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할로겐 원자를 10∼14개, 브롬 원자를 8∼12개, 염소 원자를 2∼5개 함유하는 안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7. 상기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을 화소부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8.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하기 일반식(1) :
    Figure 112022110763433-pct00005

    (일반식(1) 중, Z1∼Z16는, 각각 독립해서,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설포기의 평균 치환기수가 0.1∼4개이고, M은 Al, Si, Sc, Ti, V, Mg, Fe, Co, Ni, Zn, Ga, Ge, Y, Zr, Nb, In, Sn 또는 Pb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컬러필터이며,
    상기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을 D1로 하고,
    상기 안료 유도체를 산화알루미늄에 담지시켜서 얻어지는 유도체 담지체를 사용해서 극대 투과 파장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로 되도록 형성한 도막의 510㎚∼560㎚의 투과율의 적분값을 D2로 했을 때에,
    D1과 D2의 비율(D2/D1)이 0.7 이상으로 되는 분광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유도체가, 상기 식(1) 중, Z1∼Z16가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의 어느 하나이며, 또한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적어도 Z1, Z4, Z5, Z8, Z9, Z12, Z13, Z16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이 염소 원자를 갖는 안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유도체가, 상기 식(1) 중, Z1∼Z16가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수소 원자 또는 설포기 중 어느 하나를 가지며, 또한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적어도 Z1, Z4, Z5, Z8, Z9, Z12, Z13, Z16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이 브롬 원자를 갖는 안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유도체가, 상기 식(1) 중의 Z1∼Z16가, 일분자 중의 평균으로, 할로겐 원자를 10∼14개, 브롬 원자를 8∼12개, 염소 원자를 2∼5개 함유하는 안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13.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KR1020197022724A 2017-04-03 2018-03-22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 KR10253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3706 2017-04-03
JP2017073706 2017-04-03
PCT/JP2018/011311 WO2018186182A1 (ja) 2017-04-03 2018-03-22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072A KR20190137072A (ko) 2019-12-10
KR102531076B1 true KR102531076B1 (ko) 2023-05-09

Family

ID=6371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724A KR102531076B1 (ko) 2017-04-03 2018-03-22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55748B1 (ko)
KR (1) KR102531076B1 (ko)
CN (1) CN110402404B (ko)
TW (1) TWI745571B (ko)
WO (1) WO201818618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821A (ja) * 2000-12-22 2003-06-06 Mitsubishi Chemicals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用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11128181A (ja) 2009-12-15 2011-06-30 Toray Ind Inc カラーフィルター用緑色着色剤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6170828A1 (ja) * 2015-04-21 2016-10-27 Dic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顔料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179B2 (ja) * 1977-12-29 1985-09-14 日立造船株式会社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パネルの接合部構造
JP2003138180A (ja) * 2001-11-06 2003-05-14 Canon Inc 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液晶ディスプレイ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604544B2 (ja) * 2004-04-30 2011-01-05 Dic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緑色顔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緑色画素部に含有してなるカラーフィルター
KR101018324B1 (ko) * 2008-11-27 2011-03-0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안료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
JP5481873B2 (ja) * 2009-02-18 2014-04-2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β型フタロシアニン顔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着色組成物
JP5521451B2 (ja) 2009-09-14 2014-06-1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感光性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5932435B2 (ja) * 2012-03-29 2016-06-08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青色顔料分散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カラーフィルター用青色顔料分散レジスト組成物
US9441158B2 (en) * 2013-05-28 2016-09-13 D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829925B (zh) * 2014-02-07 2019-04-30 Dic株式会社 滤色器用绿色颜料组合物以及滤色器
JP6515674B2 (ja) * 2015-05-18 2019-05-22 凸版印刷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用緑色感光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821A (ja) * 2000-12-22 2003-06-06 Mitsubishi Chemicals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用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11128181A (ja) 2009-12-15 2011-06-30 Toray Ind Inc カラーフィルター用緑色着色剤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6170828A1 (ja) * 2015-04-21 2016-10-27 Dic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顔料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6041179B1 (ja) 2015-04-21 2016-12-07 Dic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顔料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5571B (zh) 2021-11-11
JPWO2018186182A1 (ja) 2019-04-11
WO2018186182A1 (ja) 2018-10-11
CN110402404B (zh) 2021-09-07
CN110402404A (zh) 2019-11-01
TW201843247A (zh) 2018-12-16
JP6455748B1 (ja) 2019-01-23
KR20190137072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1022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及びこれを画素部に有するカラーフィルタ
JP6020701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顔料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4882515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4752590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5141939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102558752B1 (ko) 컬러 필터용 녹색 안료 조성물 및 컬러 필터
JP2018180023A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647797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6809649B2 (ja) 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4992321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感光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453947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5167602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感光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6184427A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緑色セミクルードの製造方法、緑色顔料組成物、およびそれらを緑色画素部に含有してなるカラーフィルター
JP2019038958A (ja) 塩素化臭素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カラーフィルタ
KR102531076B1 (ko) 컬러필터용 안료 조성물 및 컬러필터
JP6711213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