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882B1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82B1
KR102529882B1 KR1020160184286A KR20160184286A KR102529882B1 KR 102529882 B1 KR102529882 B1 KR 102529882B1 KR 1020160184286 A KR1020160184286 A KR 1020160184286A KR 20160184286 A KR20160184286 A KR 20160184286A KR 102529882 B1 KR102529882 B1 KR 10252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optical member
housing
vehicl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971A (ko
Inventor
윤창경
김용현
정승교
박광열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로터리 노브; 상기 로터리 노브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 복수의 광원; 및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연결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광이 고르게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 {Automotiv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광학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 범위 내의 rpm을 갖는 엔진을 이용해 저속부터 고속에 이르는 차량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의 rpm에 기어비를 변화시키며 구동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변속 장치를 장착한다. 또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엔진의 출력을 역으로 전달하여 차량을 후진하게 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운전자는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노브를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함으로써 기어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변속 장치는 수동 변속 장치와 자동 변속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
수동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추어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직접 선택하는 변속 장치이고, 자동 변속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부하, 스로틀 밸브의 개방량 등에 따라 차량의 ECU가 변속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다.
운전자는 노브를 이용하여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데, 노브의 대표적인종류로는 조이스틱 타입과 로터리 타입이 있다. 그 외에 각 변속단이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차종도 있다.
로터리 타입의 노브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로터리의 주변으로 PRND의 변속단이 위치하고 로터리의 특정 포인트를 PRND의 각 변속단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로터리 타입의 노브에서는 로터리의 회전에 의해 변속단이 변화하였다는 사실을 운전자가 조작 도중 인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루브와 그루브의 홈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이용해 물리적 구성을 통한 디턴트감 제공이 가능하고, 광학 장치를 이용해 각 변속단 별로 상이한 광학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변속단 변화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광원을 이용한 광학 장치에서는 곡면의 렌즈 또는 거울을 이용해 출사된 광을 분산시키지 않는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바로 광학 효과를 제공해 광원과 인접한 영역에서는 조도가 필요 이상으로 밝은 핫스팟(hot spot)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광원으로부터 비교적 먼 영역에서는 조도가 필요치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어두워지는 암부가 형성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원 및 PCB 기판이 로터리 노브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변속 장치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키우는 문제가 있었고, 고르게 광이 출사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광원을 배치해도 원하는 만큼의 배광 효율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이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학 부재를 가지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로터리 노브; 상기 로터리 노브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 복수의 광원; 및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연결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가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 기판이 안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와 상응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가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치 결합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플랜지부에 삽입되어 융착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가 이루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하는 광의 진행방향에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 홀로 구성된 제1 옵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의 외주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라이트 가이드는 3개로 구성되고, 상기 3개의 제2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은 서로간의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가 이루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에 형성되는 제2 옵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해서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옵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노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광학 부재를 통과한 광이 출사되는 제2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이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을 바라봄으로써,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로 입사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한 광이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를 통해 상기 제2 광학 부재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확산 재질로 형성되고, 광을 난반사하여 외부로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2 광학 부재 및 제1 광학 부재에 의해 핫스팟이 생기지 않고 고르게 광을 분포하여 출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제1 광학 부재가 커버와 결합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와 광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와 광원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와 광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와 광원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와 광원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가 포함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가 포함하는 제2 라이트 가이드에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 및 제2 광학 부재를 통해 광이 진행 및 출사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및 제2 광학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라이트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외관은 로터리 노브(3) 및 로터리 노브(3)를 둘러싼 하우징(2) 및 커버(21)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운전자의 용이한 변속 조작이 가능하도록 대부분 차량의 센터페시아와 콘솔 박스 사이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운전자의 접근성이 높은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은 로터리 노브(3)의 하측에 위치하며,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로터리 노브(3)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므로 하우징(2)의 외부이자 차량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로터리 노브(3)의 외관에 대응되는 개구가 하우징(2)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21)에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요소는 운전자의 조작이나 인식이 필요 없으므로, 이탈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이다.
변속 기능이나 시프트 록 기능 등에 필요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은 차체 내부에 수용되어 차량용 변속 장치(1)가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터리 노브(3)는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운전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변속단을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변속기에 전달한다. 로터리 노브(3)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변속단이나 현재 선택된 변속단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31)의 위치가 고정되고 로터리 노브(3)의 외측면이 회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 노브(3) 및 표시 장치(31)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하우징(2)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제2 광학 부재(16) 및 제1 광학 부재(10)를 포함하며, 구동부(6), 제어 장치(5)를 더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제2 하우징(23)이 위치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추가로 도시되었다.
제2 하우징(23)는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여 상면이 평면을 이루고, 도 3에서 후술할 제1 하우징(22) 및 PCB 기판(51) 등의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이 상면에 안착된다. 제1 하우징(22)의 내측면과 제2 하우징(23)의 상면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되게 된다. 제2 하우징(23) 상면에 안착된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은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 부재를 이용해 제2 하우징(23)이나 제1 하우징(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2) 및 제2 하우징(23)은 본 발명의 뼈대가 되는 구성요소이므로, 묶어서 하우징(2)이라고 통칭한다.
제어 장치(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구동부(6)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등의 작용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전자 장치이다. 따라서 외부의 전력원과 연결될 수 있고,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5)(Electronic Control Unit)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5)는 전자 장치이므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자파 잡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그넷 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 쉴드는 제어 장치(5)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마그넷 쉴드는 도전성 소재로 구성되어, 제어 장치(5)를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전자기 차폐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파는 마그넷 쉴드에 의해 가로막혀 마그넷 쉴드를 따라 흘러 내부에 존재하는 제어 장치(5)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는 평평하게 형성된 PCB 기판(5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PCB 기판(51)을 포함함으로써 각종 칩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구동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타 변속단에 위치한 변속 장치의 변속단을 자동으로 주차단 또는 중립단 등의 초기단으로 변경하는 RTP(Return To Park) 기능을 구비한 변속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구동부(6)는 이러한 초기단 복귀 기능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에 구현하기 위해 구비된다. 구동부(6)가 포함하는 구동력 발생 장치가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켜 동력 전달부를 통해 로터리 노브(3)와 연결되어, 로터리 노브(3)를 초기단으로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구동력 발생 장치로는 모터, 액추에이터 또는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동력 전달부로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사용된 기어 어셈블리 또는 링크로 구성된 링크 어셈블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구동부(6)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력 발생 장치로 사용되는 모터가 동력 전달부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시켜 동력 전달부와 접촉하게 하는 출력 샤프트는, 출력 샤프트의 장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D'자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단면이 원형인 경우, 모터가 동력 전달부에 대해 헛돌 수 있으므로, 걸림부를 구성하기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 'D'자 형으로 출력 샤프트의 단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제1 광학 부재(10)는 제1 하우징(23)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중심이 로터리 노브(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 및 조립된다. 로터리 노브(3)를 둘러싼 제1 광학 부재(10)는 제2 광학 부재(16)을 통해 광을 로터리 노브(3) 주변으로 출사하여 광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5)에 제1 광학 부재(10)가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지정된 패턴의 광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광학 부재(10)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광학 부재(16)는 제1 광학 부재(10)의 상방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로터리 노브(3)를 둘러싼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광학 부재(16)는 제1 광학 부재(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된다.
제2 광학 부재(16)는 제1 광학 부재(1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들여 외부로 출사한다. 제2 광학 부재(10)에서 출사된 광이 더 고르게 분배되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광학 부재(16)는 확산 재질인 광확산 PC(Polycarbonate)로 형성되고, 표면이 부식처리 되어 균일하지 못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학 부재(10)로부터 입사된 광이 난반사 및 산란되어 진행되고, 이로 인해 휘도가 균일한 배광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2 광학 부재(16)는 로터리 노브(3) 하측에 위치한 커버(21)에 이중사출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1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하우징(2)은 제1 하우징(22)과 제2 하우징(23)을 포함하고, 커버(21)가 상측으로부터 덮힘을 알 수 있다.
커버(21)는 하우징(2)의 상측에 덮히는 구성요소로, 차량용 변속 장치(1)를 위로부터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로터리 노브(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원형의 커버 통공(210)이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커버(21)는 로터리 노브(3)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로터리 노브(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
제1 하우징(22)은 하우징(2)의 상측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기타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상방으로 개방되어 내부 공간에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가 안착 또는 결합되도록 하고, 하방으로는 제2 하우징(23) 및 도 2의 PCB 기판(51)과 결합되어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이 PCB 기판(5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로터리 노브(3)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회전축이 존재해야 하므로, 회전축을 지나가는 중심 샤프트(32)가 형성된다. 중심 샤프트(32)는 제1 하우징(22)에서 중심 샤프트(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 가이드(22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21)과 제1 하우징(22)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이용해 체결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광학 부재(10)가 하우징(2)에 의해 어떻게 지지되고 있는가를 결합 구조를 통해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제1 하우징(2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제1 광학 부재(10)가 커버(21)과 결합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하우징(2)은 제1 광학 부재(1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안착 및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제1 광학 부재(1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제1 하우징(22)의 장치 결합부(221)는 제1 광학 부재(10)의 다리에 해당하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일 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므로, 장치 결합부(221)는 동일한 방향으로 파인 통공으로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삽입되어 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걸림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고, 장치 결합부(221)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123)에 상응하는 걸림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2 라이트 가이드(12) 삽입시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길이 방향으로도 제1 광학 부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 광학 부재(10)는 제1 하우징(22)의 장치 결합부(221)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24)가 더 형성되어, 커버(21)과 결합 돌기(21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광학 부재(16)는 제1 광학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커버(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제1 광학 부재(10)의 플랜지부(124)는 결합 돌기(21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여,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211)가 상기 홀에 삽입되고 융착되어 제1 광학 부재(10)를 커버(21)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 광학 부재(10)는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 및 커버(21) 내측면의 구조는 도 1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구동부 안착부(222)는 구동부(6)가 안착되는 구조로, 구동부(6) 하측의 외관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구동부(6)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6)의 위치를 제한하는 구조이다.
구동부 안착부(222)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 안착부(223)는 제어 장치(5)가 안착되고, 기어 안착부(224)에는 로터리 노브(3)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제자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위치가 제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10)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1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10)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가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10)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제1 광학 부재(10)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 및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제1 광학 부재(10)는 광을 발생시켜 일정 광학 패턴으로 조사하기 위해 존재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광원(13)과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패턴을 형성해 출사하는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광학 부재(10)를, 3개의 다리가 지지하는 환형체로 표현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3개의 다리 및 광원(13)을 이용할 때, 효율적인 배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원(13)은 광을 조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또는 벌브(bulb) 타입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13)이 상황에 맞게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제어 장치(5)를 구성하는 PCB 기판(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광원(13)이 광을 광원(13)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광원(13)은 상술한 다리가 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일단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광원(13)은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향해 광을 출사하도록 배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광을 출사하는 광원(13)의 일측면이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바라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총 3개이므로, 이에 상응하여 광원(13) 역시 총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광원(1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통과하여 제1 라이트 가이드(11)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제1 라이트 가이드(11) 또는 광원(13)과 만나는 영역을 제외한 경계에서는 광이 제2 라이트 가이드(12) 외부로 빠져나가서는 안되므로, 광이 경계면에서 굴절 및 투과되지 않고 반사되도록 경계면이 코팅될 수 있고, 제2 라이트 가이드(12) 내부는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제1 광학 부재(10)가 포함하도록 표현하였으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외주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격된 거리는 균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마치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3개의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위치해서 서로간의 이격된 거리가 동일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중심과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일단을 이었을 때, 중심과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일단이 이루는 직선이 총 3개 생성되고, 인접한 직선끼리 형성하는 각도가 각각 120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균일한 거리로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배치됨에 따라, 후술할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 광이 균일하게 조사되고, 작은 공간임에도 광을 효율적으로 제1 라이트 가이드(11) 원주를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광학 부재(10)의 다리가 될 수 있으므로, 제1 라이트 가이드(11)가 형성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하우징(23)와 일단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전체 제1 광학 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11)가 형성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동시에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곧장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반경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만곡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만곡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인접한 영역에서 만곡됨으로써, 광원(13)을 통과한 광이 반사됨이 없이 바로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라이트 가이드(12) 내에서 반사되면서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다리 부분은 연장부(121)로 지칭한다. 연장부(121)는 광 섬유와 같이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원하는 위치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121)와 같이 길게 연장된 라이트 가이드가 존재함에 따라, 로터리 노브의 근처가 아닌 비교적 먼 위치에 PCB 기판과 광원을 배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미니 PCB가 아닌 메인 PCB를 이용해서 광원(13)의 발광을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와 연결되는 부위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광원(13)으로부터 제1 라이트 가이드(11)로 갈수록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부채꼴 모양으로 퍼져 제1 라이트 가이드(11)와 결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또한,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옵틱(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옵틱(17)은 제2 옵틱(15)으로부터 이어져, 환형의 제1 라이트 가이드(11) 전체에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고르게 퍼지도록, 광이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모든 위치에서 제2 광학 부재(16)로 입사될 수 있도록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광원(13)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일정 지점부터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가까워질수록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폭이 넓어지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구조를 제2 옵틱(15)이라고 지칭한다.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내부를 진행하면서 반사하고 퍼져 제2 옵틱(15)에 이르고, 제2 옵틱(15)에서 광이 퍼져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상응하는 넓이로 광원(13)을 배치하지 않고도,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상응하는 영역에 고르게 광을 분산시켜 최종적으로 제2 광학 부재(16)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된 제2 옵틱(15)의 영역에는 제1 옵틱(1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옵틱(14)은 제2 라이트 가이드(12)에 형성된 관통 홀로,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통과하는 광의 진행방향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관통 홀은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옵틱(14)은 광이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통과하는 경로상에 형성되어, 광이 직진하여 곧장 제1 라이트 가이드(11)를 통해 출사되도록 하지 않고, 진행을 방해해 다른 경로로 진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광원(13)으로부터 나온 광이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일 영역에 집중되어 핫 스팟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르게 광이 분포되어 제1 라이트 가이드(11)를 통해 제2 광학 부재(16)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옵틱(14)은 원형의 관통 홀일 수 있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옵틱(14)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는 광의 경로가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복수로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됨에 따라 제1 라이트 가이드(11) 원주를 따라 고르게 광이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옵틱(14)이 원형의 크기가 다른 총 3개의 관통 홀로 각 제2 라이트 가이드(12)에 형성되도록 표현하였으나, 제1 옵틱(14)의 형태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관통 홀은 삼각형일 수 있고, 단일의 삼각형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크기가 다른 삼각형 관통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라이트 가이드(11)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에 연결되어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통해 전달된 광이 제2 광학 부재로 출사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환형으로 구성되어 중심에 원형의 통공(11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원형의 통공(110)을 통해 로터리 노브(3)가 통과하도록 해 로터리 노브(3)를 감쌀 수 있다.
제1 라이트 가이드(11)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와 같이 광이 통과하는 구성요소이므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일 방향만으로 광을 출사시키기 위해서는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위한 일 경계면은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하방에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결합되고, 상방으로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통해 전달된 광이 출사되는 것으로 제1 라이트 가이드(11)를 표현하였다.
이하, 도 8을 참조해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가 포함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라이트 가이드(11)를 통해 광이 높이 방향의 상방, 즉 제1 라이트 가이드(11)가 형성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출사되되,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외주를 따라 고르게 출사되어, 직하방에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위치하지 않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일부 위치에서도 광이 상방으로 출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화살표(21)가 광의 출사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의 제2 라이트 가이드(12)는 제1 옵틱(14), 제2 옵틱(15) 및 제3 옵틱(17)을 포함하여, 광원(13)으로부터 나온 광이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광을 제1 라이트 가이드(11) 원주를 따라 고르게 분포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비교적 적은 수의 광원(13)을 사용하고도 고르게 출사되는 광을 얻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가 포함하는 제2 라이트 가이드(12)에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라이트 가이드(12)를 통과하는 광이 제1 옵틱(14), 제2 옵틱(15) 및 제3 옵틱(17)에 의해 분산되는 상황을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화살표와 이어진 직선(22, 23)은 제2 라이트 가이드(12) 내에서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표현한 것이다.
제2 라이트 가이드(12) 내를 통과하며 높이 방향이 아닌 측방으로 향하도록 반사된 광(23)은, 단순히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었다면 광원(13)이 바라보는 위치로 향했을 것이나 제2 옵틱(15)및 제2 옵틱(15)으로부터 이어진 제3 옵틱(17)에 의해 폭이 넓어지므로 보다 측방을 향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라이트 가이드(12) 내를 통과하며 광원(13)이 바라보는 위치로 향하는 광선(22)은 제1 옵틱(14)이 없었다면,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광원(13)이 바라보는 위치에서 바로 출사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제1 옵틱(14)이 존재하므로, 제1 옵틱(14)의 경계면과 만난 광이 반사되어 본래 향하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13)이 바라보는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일부 영역에 광이 집중되어 조도가 지나치게 높은 핫 스팟이 형성되는 것을 막고, 보다 고르게 광이 제1 라이트 가이드(11)의 원주를 따라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 및 제2 광학 부재(16)를 통해 광이 진행 및 출사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광학 부재(10)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2 광학 부재(16)로 입사함을 알 수 있다. 제2 광학 부재(16)는 상술한바 부식 처리되어 난반사를 일으키는 재질로 되어있으므로, 표면에서 광을 난반사시켜 확산시킬 수 있고, 입사한 광이 무질서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24). 따라서 제1 광학 부재(10)를 통해서는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조사된 광이, 제2 광학 부재(16)를 통함으로써 고르게 분산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및 제2 광학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는, 도 6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123)를 제2 라이트 가이드(12)에 더 포함한다. 따라서 이 걸림 돌기(123)가 제1 하우징(22)의 장치 결합부(221)가 포함하는 걸림 홈에 삽입되어,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장치 결합부(221)에 보다 잘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광학 부재(10)는 제1 라이트 가이드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24)를 더 포함하여, 가운데 형성된 홀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21)가 포함하는 결합 돌기에 의해 관통되고 융착된다. 이로 인해 제1 광학 부재(10)와 커버(21)가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124)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21)가 제2 광학 부재(16)와 어떤 형식으로 결합되어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광학 부재(16)는 커버(21)와 일체형으로 이중사출되어, 커버(21)의 중심인 커버 통공(210)의 주변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광학 부재(16)의 내측에는 결합 돌기(211)가 커버(21) 면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광학 부재(10)의 플랜지부(124)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22)에 대한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제1 하우징(22)을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라이트 가이드(12)가 제1 하우징(22)의 장치 결합부(221)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장치 결합부(221)는 상술한바 제1 하우징(22)을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제2 라이트 가이드(12)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관찰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차량용 변속 장치 2 : 하우징
3 : 로터리 노브 4 : 제2 하우징
5 : 제어 장치 6 : 구동부
10 : 제1 광학 부재 11 : 제1 라이트 가이드
12 : 제2 라이트 가이드 13 : 광원
14 : 제1 옵틱 15 : 제2 옵틱
16 : 제2 광학 부재 17 : 제3 옵틱
21 : 커버 22 : 제1 하우징
31 : 표시 장치 32 : 중심 샤프트
51 : PCB 기판 110 : 원형의 통공
121 : 연장부 123 : 걸림 돌기
124 : 플랜지부 210 : 커버 통공
211 : 결합 돌기 220 : 샤프트 가이드
221 : 장치 결합부 222 : 구동부 안착부
223 : 제어 장치 안착부 224 : 기어 안착부

Claims (19)

  1.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로터리 노브;
    상기 로터리 노브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
    복수의 광원; 및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연결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가 결합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와 상응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가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치 결합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 홈을 구비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 기판이 안착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삭제
  4. 삭제
  5.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로터리 노브;
    상기 로터리 노브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
    복수의 광원; 및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연결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플랜지부에 삽입되어 융착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가 이루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나란한 차량용 변속 장치.
  7.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로터리 노브;
    상기 로터리 노브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
    복수의 광원; 및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연결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하는 광의 진행방향에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 홀로 구성된 제1 옵틱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복수로 구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복수로 구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의 외주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라이트 가이드는 3개로 구성되고,
    상기 3개의 제2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은 서로간의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개소에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가 이루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에 형성되는 제2 옵틱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해서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옵틱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노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광학 부재를 통과한 광이 출사되는 제2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을 바라봄으로써,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로 입사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통과한 광이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를 통해 상기 제2 광학 부재로 출사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확산 재질로 형성되고, 광을 난반사하여 외부로 출사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9. 운전자의 변속동작을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로터리 노브;
    상기 로터리 노브 하측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
    복수의 광원; 및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제1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연결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라이트 가이드는,
    일정 지점부터 상기 제1 라이트 가이드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0160184286A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52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286A KR10252988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286A KR10252988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71A KR20180078971A (ko) 2018-07-10
KR102529882B1 true KR102529882B1 (ko) 2023-05-09

Family

ID=6291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286A KR10252988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0120B2 (en) 2018-09-24 2021-05-18 Kuster North America, Inc. Graphical display assembly for depicting vehicle shifter position
KR102505684B1 (ko) * 2019-04-22 2023-03-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JP2021017211A (ja) * 2019-07-23 2021-02-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2435191B1 (ko) * 2020-12-30 2022-08-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363A (ja) * 2012-03-13 2013-09-26 Alps Electric Co Ltd 照光機能付き入力装置
JP2016527684A (ja) * 2013-07-25 2016-09-08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444B1 (ko) * 2014-03-27 2018-10-11 에스엘 주식회사 다이얼형 변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363A (ja) * 2012-03-13 2013-09-26 Alps Electric Co Ltd 照光機能付き入力装置
JP2016527684A (ja) * 2013-07-25 2016-09-08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71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88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TWI420053B (zh) Surface lighting device and surface lighting device
KR101056588B1 (ko) 지침조명장치
JP4895831B2 (ja) 車両用灯具
JP2009039345A (ja) 遊技機の演出装置
JP6696793B2 (ja) 車両用灯具
JP2019079635A (ja) 車両用灯具
US20150183526A1 (en) Display device and unmanned helicopter
KR20170079067A (ko)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5931549B2 (ja) 遊技機
JP4721444B2 (ja) 車両用灯具
US11378995B2 (en) Ambient light device for dial type shifting apparatus
EP4261455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JP2007144023A (ja) 回転装飾装置及び遊技機
JP2011065973A (ja) 面照明光源装置及びこの面照明光源装置を用いた面照明装置
JP5643704B2 (ja) 遊技機
JP5116431B2 (ja) 車両用ターンランプ
JP5702607B2 (ja) ダイヤル式操作ノブの照明構造
KR101704230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 포인터
KR102435191B1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
JP6201918B2 (ja) 計器
JP2010132196A (ja) 室内照明装置
JP2011040351A (ja) 車両用灯具
JP5518813B2 (ja) 面照明発光装置
JP5622336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