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90B1 - 차량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90B1
KR101361090B1 KR1020120098332A KR20120098332A KR101361090B1 KR 101361090 B1 KR101361090 B1 KR 101361090B1 KR 1020120098332 A KR1020120098332 A KR 1020120098332A KR 20120098332 A KR20120098332 A KR 20120098332A KR 101361090 B1 KR101361090 B1 KR 10136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dule
light
mode
lamp
type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102012009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090B1/ko
Priority to US14/015,365 priority patent/US9453630B2/en
Priority to EP13182361.9A priority patent/EP2703218A3/en
Priority to CN201310392041.5A priority patent/CN10367265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제1 램프모듈, 및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를 포함하는 제2 램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빛의 진행경로 상에서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AUTOMOTIVE HEAD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식 램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 및 작은 크기로 인한 램프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면서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헤드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A)가 소등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A)를 점등할 경우 특별한 이미지 또는 형상을 표현하지 않고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소정의 배광을 형성하는 정적인 구조를 가진다.
전통적이고 정형화된 차량의 구조에서 탈피하여 차량 운전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차량 운전자의 디자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헤드램프의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헤드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시에 동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헤드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시에 동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제1 램프모듈, 및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를 포함하는 제2 램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빛의 진행경로 상에서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따르면, 헤드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될 때 다양한 이미지 내지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헤드램프가 복수의 램프로 구성되고, 각 램프가 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오버랩된 상태 또는 오버랩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역동적인 미감을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될 때 카메라의 조리개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형태와 유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에 친밀감 내지 일체감을 부여하고 특별한 디자인적 미감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차량용 헤드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1 램프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2 램프모듈의 연결구조 및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1 램프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2 램프모듈의 연결구조 및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모듈(110)은 소정의 광원에서 빛을 발생시키며,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빛을 제공한다. 제1 램프모듈(110)은 배광패턴에 따라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 구조에 따라 동적으로 하나의 모듈에서 로우빔과 하이빔이 교차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램프모듈(110)은 제2 램프모듈(120) 보다 높은 광량을 가지는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램프모듈(110)은 제2 램프모듈(120) 보다 넓은 발광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램프모듈(11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램프모듈(120)은 제1 램프모듈(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 램프모듈(120)은 전방으로 빛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지션 램프 또는 주간주행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램프모듈(120)은 제1 램프모듈(110)의 광축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램프모듈(120)은 빛의 진행경로 상에서 제1 램프모듈(110)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초기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램프모듈(120)이 제1 램프모듈(110)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1 모드가 도시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램프모듈(120)이 제1 램프모듈(110)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로 변위된 제2 모드가 도시된다.
즉, 전방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 램프모듈(110)이 제2 램프모듈(120)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가 가려져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다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램프모듈(120)이 점진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함으로써, 제2 램프모듈(120)에 의해 가려져있던 제1 램프모듈(110)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램프모듈(110)은 소등된 상태이고, 제2 램프모듈(120)은 점등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제2 모드에서, 제1 램프모듈(110) 및 제2 램프모듈(120)은 점등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램프모듈(110)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닉됨으로써, 역동적인 이미지 및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램프모듈(120)을 카메라의 조리개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제1 램프모듈(110)을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적용된 차량이 제어신호에 의해 나선 형태로 카메라의 조리개가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미감을 제공하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2 램프모듈(120)은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amp)일 수 있으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램프모듈(120)은 미등(Positioning Lamp)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모듈(110)의 예시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제1 램프모듈(110)은, 제1 광원(111), 제1 광원(111)으로부터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112), 제1 광원(1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 광학실드(113), 입사된 빛을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제1 렌즈(114), 및 제1 광원(111) 등의 내부 구조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15)를 포함한다.
제1 광원(111)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프로젝션 타입의 광원일 수 있다.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램프는 빛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 면에서 유리하고, 차량 전면 형상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111)은 방전 벌브 및 방전 벌브로 인해 발광하는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전 벌브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벌브일 수 있다.
제1 광원(111)은 소정의 빛을 발생시켜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제공한다. 제1 광원(111)은 하나의 광원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12)는 제1 광원(1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원하는 위치로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리플렉터(112)는 제1 광원(111)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발생한 빛의 반사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광원(111)으로부터 방출된 빛 중 상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제1 리플렉터(112)의 내측 반사면에 반사되어 하방향으로 진행되고, 하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제1 리플렉터(112)의 내측 반사면에 반사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한다. 상향등(high beam)을 조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방향으로 방출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은 제1 광학실드(113)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다른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면상에서 제1 리플렉터(112)의 일단은 제1 광원(111)과 인접해 있으며, 제1 리플렉터(112)의 타단은 커버부재(115)와 서로 맞닿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리플렉터(112)의 표면에는 난반사층 또는 확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광원(111)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면 제1 리플렉터(112)에 의해 불규칙하게 난반사되어 빛이 고르게 퍼진 상태로 전방의 제1 렌즈(114)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렌즈(114)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면광원에서 출사된 형태와 같이 휘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12)의 표면에 형성된 난반사층은 반복적인 형태의 미세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이 미세 요철에 의해 불규칙하게 반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광학실드(11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투영되는 배광패턴의 경계선 또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제1 광학실드(113)에 의해 일부 빛이 차단되고, 나머지 빛은 통과하여 제1 렌즈(114)에 의해 굴절되어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제1 광학실드(113)에 의해 제1 렌즈(114)의 일정 높이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의 하부에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우빔의 기본 배광 패턴은 제1 광학실드(113)의 말단 가장자리의 형상이 투영된 명암 경계선을 가질 수 있다. 명암 경계선은 수평 컷오프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 배광 패턴에서는 고광도 영역(핫존)이 명암 경계선의 컷오프 라인 아래쪽 근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램프모듈(11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또는 리플렉터 타입의 램프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LED 광원을 채용하여 구조를 단순화한 LED 램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동적인 이미지 또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의 예시적인 형상 및 배치가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램프모듈(120)은 제1 램프모듈(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위치가 변위되어, 제1 램프모듈(110)의 일부와 오버랩되거나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램프모듈(120)은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각각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빛의 진행경로 상에서 제1 램프모듈(110)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1 모드 또는 제1 램프모듈(110)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굴곡부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라인 타입 램프는 굴곡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한다.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빛의 진행경로 상에서 제1 램프모듈(110)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1 모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의 반대편 단부가 제1 램프모듈(1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제2 모드로 설정될 경우, 제1 램프모듈(110)의 외주를 따라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개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라인 타입 램프의 굴곡부의 소정각도가 증가하여 직선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헤드램프를 주시했을 때 평면상에서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은 제1 램프모듈(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회전축(121)을 따라 회전하여 제2 모드로 설정될 경우, 제2 램프모듈(120)과 제1 램프모듈(110)이 평면상에서 오버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동일한 방향(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램프모듈(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제2 모드 즉, 제1 램프모듈(110)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로 정렬되는 구성이 도시된다.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이 제1 램프모듈(110)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이 서로 오버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램프모듈(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제2 모드일 경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 반대편 단부가 초기 위치인 제1 램프모듈(110)의 중심부에서 이동하여, 인접한 다른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을 향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제1 램프모듈(110)을 에워싸는 형태로 정렬되되,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서로 인접한 라인 타입 램프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모듈(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제2 모드일 경우, 제1 램프모듈(110)은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 각각은 빛이 이동하는 광케이블 또는 광이 전반사되어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121)의 일단부를 통해 입사된 광을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본체로 전달하여, 라인 타입 램프가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인 타입 램프 내부에 복수의 광학소자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램프모듈(120)은 회로기판 상에 직렬로 구비된 복수의 광학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광학소자의 전방에는 내부렌즈 및 도광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는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광학소자가 일렬로 배치되어 소정의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광학소자는 동일한 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은 일측으로 연장된 밴드 타입일 수 있으며, 연성기판일 수 있다.
복수의 광학소자는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내부렌즈가 각각의 광학소자와 회로기판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내부렌즈는 복수의 광학소자로부터 발생한 빛을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부렌즈의 전방에는 도광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광체는 빛을 집광 또는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소정의 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렌즈 또는 도광체 중 하나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학소자가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 각각은 빛을 가이드하는 도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광체로 광을 공급하는 광원인 복수의 광학소자는 도광체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어, 광학소자로부터 도광체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배치되는 위치의 일단(예를 들어 회전축(121)) 또는 양단에 서로 다른 색상의 광학소자를 배치하거나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하는 광학소자를 배치하여 제1 모드에서의 제2 램프모듈(120)의 색상과 제2 모드에서의 제2 램프모듈(120)의 색상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회전축(121)에 인접하여 구비된 광학소자에 의해 빛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와 무관하게 광학소자로부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로 균일한 광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상태에서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일단에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제1 광학소자를 배치하여, 제2 램프모듈(120)이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amp) 기능을 수행하도록 백색광을 전방에 조사할 수 있다.
반면, 제2 모드 상태에서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일단에 주황색광을 발생시키는 제2 광학소자를 배치하거나 제1 광학소자의 발광색이 변경되도록 설정하여, 제2 램프모듈(120)이 미등(Positioning Lamp)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황색광을 전방에 조사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1 광학소자와 제2 광학소자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되, 서로 발광색이 다르게 설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색상 배치는 램프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광학소자 및/또는 제2 광학소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각 도광체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에서 고르게 발광되도록 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의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램프모듈(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은 제1 램프모듈(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램프모듈(110)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램프모듈(110)과 회전축(121)은 별도의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램프모듈(110)은 제1 광원(111), 제1 광원(111)으로부터 발생한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112), 제1 광원(111) 또는 제1 리플렉터(112)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각각의 회전축(121)은 커버부재(115)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115)의 외측에는 제2 광원(12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광원(122)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광섬유 형태의 회전축(121)으로 입사되고,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회전축(121)으로 입사된 광에 의해 빛을 제공받아서 발광할 수 있다. 제2 광원(122)과 회전축(121)이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광원(122)의 개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제2 광원(122)으로부터 복수의 회전축(121)에 광이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회전축(121)의 소정 위치에는 전달부재(123)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전달부재(123)가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 이에 따라 회전축(121)도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제2 광원(122)과 전달부재(123)의 사이에는, 회전축(121)을 지지하는 지지대(1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도 9의 구조에 대한 정면도가 도시되며, 도 11은 도 10의 연결부재(125) 및 구동모터(127)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25)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 전체를 연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121)에는 전달부재(12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전달부재(123)는 회전축(121)과 연결부재(125)가 접촉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회전축(121)을 일체로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예를 들어 벨트, 체인, 기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평면상에서 제1 램프모듈(110)의 외측을 에워싸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전달부재(123)는 연결부재(125)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회전축(12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25)와 연결되어 연결부재(12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7) 더 포함하여, 연결부재(125)에 의해 연결된 모든 전달부재(123)에 외력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회전축(121)이 회전하게 되어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소정 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부재(123) 및/또는 연결부재(125)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각각의 회전축(121)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동시에 회전하기 위해 싱크 신호 등을 이용하여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동력원을 작동시켜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소정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25)와 구동모터(127)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의 표면에는 요철 내지 기어이빨 등이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에 의해 구현되는 개안(eyes open)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제1 램프모듈(110) 및 제2 램프모듈(120)은 소등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램프모듈(120)만 점등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이 모두 점등된 상태로 유지되되 제2 램프모듈(120)에 의해 제1 램프모듈(110)이 오버랩되어, 제1 램프모듈(110)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가 전방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이 소등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조리개 형상에 대응되는 제2 램프모듈(120)을 점등한다. 제1 램프모듈(110)과 제2 램프모듈(120)의 위치 관계는 제1 모드에 대응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 제1 램프모듈(110)은 소등된 상태이고, 제2 램프모듈(120)은 점등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램프모듈(120)의 복수의 광원이 제1 램프모듈(110)의 중심부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램프모듈(110)과 일부가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1 램프모듈(110)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의 중간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램프모듈(120)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램프모듈(110)과 오버랩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제2 램프모듈(120)에 의해 가려지는 제1 램프모듈(110)의 비율이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램프모듈(120)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램프모듈(1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램프모듈(120)의 일단부가 제1 램프모듈(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정렬되고 타단부가 소정의 회전축으로 구성될 경우, 제2 램프모듈(120)이 회전축인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램프모듈(120)의 일단부가 제1 램프모듈(1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제2 램프모듈(120)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완전히 변형되고, 제1 램프모듈(110)이 점등되어 카메라의 조리개가 완전 개방되어 내부의 렌즈가 노출된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즉, 제2 모드에서, 제1 램프모듈(110) 및 제2 램프모듈(120)이 모두 점등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램프모듈(110)은, 제2 램프모듈(120)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된 후에 점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제1 램프모듈(110)이 점등된 후 제2 램프모듈(120)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제1 램프모듈(110)의 점등과 제2 램프모듈(120)의 제2 모드로의 변경이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따르면, 헤드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될 때 다양한 이미지 내지 형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헤드램프가 복수의 램프로 구성되고, 각 램프가 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오버랩된 상태 또는 오버랩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역동적인 미감을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가 점등될 때 감았던 눈을 뜨는 형태와 유사하도록 구성하고, 반대로 헤드램프가 멸등될 때 눈을 감는 형태와 유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에 친밀감 내지 일체감을 부여하고 특별한 디자인적 미감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1 램프모듈
120: 제2 램프모듈
121: 회전축
122: 제2 광원
123: 전달부재
124: 지지대
125: 연결부재
126: 결합부
127: 구동모터

Claims (33)

  1. 제1 램프모듈; 및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를 포함하는 제2 램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빛의 진행경로 상에서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일부가 오버랩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되며,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오버랩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빛이 이동하는 광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라인타입 램프로 광을 제공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동시에 회전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는 위치에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외측을 에워싸는, 차량용 헤드램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램프모듈과 연결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램프모듈은,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1 리플렉터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커버부재와 연결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에는 제2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회전축으로 입사되고,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상기 회전축으로 입사된 광에 의해 발광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개수와 동일한, 차량용 헤드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굴곡부를 가지는, 차량용 헤드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정각도가 증가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상기 회전축 반대편 단부가 상기 제1 램프모듈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정렬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상기 회전축 반대편 단부가 인접한 라인 타입 램프의 회전축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는 상기 제1 램프모듈을 에워싸는 형태로 정렬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내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소등된 상태이고,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점등된 상태인, 차량용 헤드램프.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램프모듈 및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점등된 상태인, 차량용 헤드램프.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2 램프모듈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된 후 점등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1 램프모듈이 점등된 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변경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2 램프모듈 보다 높은 광량을 가지는, 차량용 헤드램프.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상기 제2 램프모듈 보다 넓은 발광면적을 가지는, 차량용 헤드램프.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모듈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주간주행등(DRL)인, 차량용 헤드램프.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램프모듈은 미등(Positioning Lamp)인, 차량용 헤드램프.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모듈은,
    회로기판 상에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소자, 및
    상기 복수의 광학소자 전방에 배치된 내부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가 배치되는 위치의 일단부에 빛을 공급하는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라인 타입 램프의 상기 회전축이고,
    상기 제2 램프모듈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발광을 제어하는 도광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KR1020120098332A 2012-08-31 2012-09-05 차량용 헤드램프 KR10136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332A KR101361090B1 (ko) 2012-09-05 2012-09-05 차량용 헤드램프
US14/015,365 US9453630B2 (en) 2012-08-31 2013-08-30 Head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182361.9A EP2703218A3 (en) 2012-08-31 2013-08-30 Head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392041.5A CN103672654B (zh) 2012-08-31 2013-09-02 用于交通工具的前照灯以及控制该前照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332A KR101361090B1 (ko) 2012-09-05 2012-09-05 차량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090B1 true KR101361090B1 (ko) 2014-02-13

Family

ID=5027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332A KR101361090B1 (ko) 2012-08-31 2012-09-05 차량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6087A (zh) * 2018-12-03 2020-06-09 沃尔沃汽车公司 包括可动照明标识构件的车辆照明组件
FR3101392A1 (fr) * 2019-09-30 2021-04-02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comportant un module de signalisation mobile et un module d’eclairage 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3387B2 (ja) * 2005-09-09 2009-1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2010050008A (ja) * 2008-08-25 2010-03-04 Koito Mfg Co Ltd 灯具
KR20120034049A (ko) * 2010-09-30 2012-04-09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주간 주행등을 갖는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3387B2 (ja) * 2005-09-09 2009-1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2010050008A (ja) * 2008-08-25 2010-03-04 Koito Mfg Co Ltd 灯具
KR20120034049A (ko) * 2010-09-30 2012-04-09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주간 주행등을 갖는 조명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6087A (zh) * 2018-12-03 2020-06-09 沃尔沃汽车公司 包括可动照明标识构件的车辆照明组件
EP3663639A1 (en) * 2018-12-03 2020-06-10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light assembly including a movable light signature member
US11346519B2 (en) 2018-12-03 2022-05-31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light assembly including a movable light signature member
US11719409B2 (en) 2018-12-03 2023-08-08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light assembly including a movable light signature member
FR3101392A1 (fr) * 2019-09-30 2021-04-02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comportant un module de signalisation mobile et un module d’eclairage mobile
WO2021063714A1 (fr) * 2019-09-30 2021-04-08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comportant un module de signalisation mobile et un module d'eclairage mobile
CN114846266A (zh) * 2019-09-30 2022-08-02 法雷奥照明公司 包括可移动发信号模块和可移动照明模块的照明设备
US11846399B2 (en) 2019-09-30 2023-12-19 Valeo Visio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movable signaling module and a movable lightin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818B1 (ko) 차량용 전조등
US9453630B2 (en) Head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509480B2 (ja) 照明装置
JP5550796B2 (ja) 前照灯用光源および前照灯
KR20040092437A (ko) 차량용 전조등
JP2020059445A (ja) 車両用光学装置
KR10136109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10040322A (ja) 車両用灯具
JP6285193B2 (ja) 車両用灯具
US10876702B2 (en) Dual light sources having similar solor temperatures and different spectral characteristics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KR101361090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KR101397588B1 (ko) 차량용 헤드램프
CN220338283U (zh) 车辆用灯具
KR10137577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72082A (ko) 차량용 램프
JP2008293795A (ja) 車両用灯具
JP2022112865A (ja) 車両用灯具
KR101361089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7002275B2 (ja) 車両用灯具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JP6885070B2 (ja) 車両用灯具
JP5501780B2 (ja) 光学ユニット
KR102031833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