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57B1 -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57B1
KR102513257B1 KR1020210137531A KR20210137531A KR102513257B1 KR 102513257 B1 KR102513257 B1 KR 102513257B1 KR 1020210137531 A KR1020210137531 A KR 1020210137531A KR 20210137531 A KR20210137531 A KR 20210137531A KR 102513257 B1 KR102513257 B1 KR 10251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lid
pusher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21013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별로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인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의 사방 측면 중 한쪽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상기 입구의 상하좌우 4방향 중 위 테두리와 연결되며, 상기 입구 및 상기 뚜껑의 아래, 왼쪽과 오른쪽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더 파스너가 부착된 접이식 매트리스 커버의 상기 주머니 속에 쿠션을 집어넣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상기 쿠션을 올려놓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머니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뚜껑을 열어서 잡아주는 클램프부, 상기 로드부의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부에 상기 뚜껑이 잡힌 상태로 상기 주머니 부분이 놓이는 테이블부 및 상기 로드부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에 놓인 상기 쿠션을 푸셔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힘으로 밀어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테이블부 위의 상기 주머니 속으로 집어넣는 푸셔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APPARATUS FOR COVERING MATTRESS COVER ON FOLDING MATTRESS}
본 발명은 접이식 매트리스의 제조공정 중 커버를 자동으로 씌우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단 접이식 매트리스의 내장재인 쿠션에 보호용 커버를 씌우는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단 접이식 매트리스는 접었을 때의 부피가 1/3로 줄어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 시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 주로 군대나 공동생활시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3단 접이식 매트리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에 스펀지나 솜 따위를 넣어 푹신하고 직사각형의 납작한 모양으로 만든 3개의 쿠션(12)과, 이 쿠션(12)들을 보호하고 각 쿠션(12)에 씌워 3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3개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된 커버(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1)의 한쪽 측면에는 세탁 시 등에 쿠션(12)을 넣고 빼기가 간편하도록 개폐용 슬라이더 파스너(slide fastener)(16)가 달려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3단 접이식 매트리스(10)는 사용 시 커버(11)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버(11)와 쿠션(12)의 밀착력이 높은 형태인 데다 슬라이더 파스너(16)에 의한 커버(11)의 개방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쿠션(12)에 커버(11)를 씌우거나 벗길 때 필히 쿠션(12)의 양측을 구부리거나 변형시킨 상태로 서서히 넣거나 뺄 수밖에 없어 쿠션(12)에 커버(11)를 씌우고 벗기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군용 3단 접이식 매트리스의 경우 그 쿠션(12)을 비용절감 차원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헝겊이나 솜 등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쿠션(12)의 양측을 구부리거나 변형시킨 상태로 커버(11)를 씌우면 쿠션(12)이 원래의 형상으로 신속하게 복원되지 못하고 굴곡 또는 꺾임 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어 사용 시 편안하고 쾌적한 수면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의 완전 개방이 가능하도록 3개 영역으로 분할된 커버(21)의 각 영역별로 정면에서 볼 때 사방 테두리 중 한쪽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따라 'ㄷ'자 모양으로 슬라이더 파스너(25)를 부착한 매트리스(20)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커버(21)의 각 영역별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쿠션(12)을 하나씩 끼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쿠션(26)에 커버(21)가 최대한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타이트 하게 씌워지는 형태적 특성상 쿠션(26)에 커버(21)를 씌우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20-0361901 Y1(2004.09.02) KR 10-1001211 B1(2010.12.08) KR 10-1860373 B1(2018.05.1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3단 접이식 매트리스 제조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3단 접이식 매트리스의 제조공정 중 내장재인 쿠션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반자동화함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접이식 매트리스의 제조공정 중 쿠션에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반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여러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별로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인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의 사방 측면 중 한쪽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상기 입구의 상하좌우 4방향 중 위 테두리와 연결되며, 상기 입구 및 상기 뚜껑의 아래, 왼쪽과 오른쪽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더 파스너가 부착된 접이식 매트리스 커버의 상기 주머니 속에 쿠션을 집어넣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상기 쿠션을 올려놓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머니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뚜껑을 열어서 잡아주는 클램프부, 상기 로드부의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부에 상기 뚜껑이 잡힌 상태로 상기 주머니 부분이 놓이는 테이블부 및 상기 로드부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에 놓인 상기 쿠션을 푸셔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힘으로 밀어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테이블부 위의 상기 주머니 속으로 집어넣는 푸셔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접이식 매트리스의 제조공정 중 쿠션에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반자동화할 수 있어 이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입구가 완전히 개방되게 열린 상태의 상기 뚜껑을 받쳐주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놓인 상기 뚜껑을 가압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힘으로 눌러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플래턴 및 상기 쿠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로드부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의 양쪽에 볼트 조임으로 고정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부는 상기 로드부 위에 놓인 상기 쿠션의 앞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개, 상기 밀개가 고정된 슬라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푸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쿠션에 커버를 씌우는 작업의 효율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로드부는 좌우 양쪽에 상기 쿠션이 이탈 및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펜스가 형성되고, 뒤쪽에 상기 커버의 주머니 속에 삽입되어 상기 주머니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슈트가 형성되며, 앞쪽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밀개가 접촉하거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됨으로써 쿠션에 커버를 씌우는 작업의 효율성은 물론 능률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접이식 매트리스의 제조공정 중 내장재인 쿠션에 보호용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반자동화하여 이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작업의 효율성과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3단 접이식 매트리스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3단 접이식 매트리스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를 이용하여 쿠션에 커버를 씌우는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는 접이식 매트리스 보호용 커버(100)의 주머니(110) 속에 내장재인 쿠션(200)을 집어넣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로드부(10), 클램프부(20), 테이블부(30) 및 푸셔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커버(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별로 쿠션(200)을 충분히 덮도록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인 주머니(1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주머니(110)의 사방 측면 중 한쪽 측면에 입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입구(120)를 개폐하는 뚜껑(130)이 입구(120)의 상하좌우 4방향 중 위 테두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아울러 뚜껑(130)을 닫은 상태로 잠그기 위해 입구(120) 및 뚜껑(130)의 아래, 왼쪽과 오른쪽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더 파스너(14)가 부착되어 있다.
로드부(10)는 하나의 쿠션(200)을 올려놓기 적합한 넓이와 작업을 하기에 편리한 높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부(10)의 좌우 양쪽 측면에는 쿠션(200)이 푸셔부(40)의 작동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밖으로 이탈 및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펜스(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부(10)의 뒤쪽에는 커버(100)를 장착 시 주머니(110) 속에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주머니(110)와 사이를 연결하는 슈트(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쪽의 가운데 부분에는 푸셔부(40)의 밀개(41)가 뒤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촉하거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빈 공간인 리세스(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로드부(10)는 형강, 봉재, 알루미늄 프로파일(profile), 각 파이프, 앵글,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 상에 장치할 수 있다.
한편, 로드부(10)는 쿠션(200)의 크기(두께)에 따라 그 가드펜스(11)의 거리 및 폭을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로드부(10)의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로드부(10)를 좌우 양쪽 2개 부분으로 분할하고, 그 각각의 부분이 베어링 가이드 등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좌우 가드펜스(11)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클램프부(20)는 주머니(110)의 입구(1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뚜껑(130)을 열어서 잡아주기 위해 로드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부(20)는 입구(120)가 완전히 개방되게 열린 상태의 뚜껑(130)을 받쳐주는 베이스(21)가 쿠션(200)의 이동 시 접촉하거나 간섭을 하지 않는 높이에 구비되어 있고, 이 베이스(21) 위에 놓인 뚜껑(130)을 가압 액추에이터(22)의 기계적인 힘으로 눌러서 베이스(21)에 고정하는 플래턴(2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1)는 로드부(10)의 뒤쪽 상측에 구비되어 있고, 이 베이스(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 액추에이터(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가압 액추에이터(22)의 각 피스톤 로드(또는 푸시 로더, 플런저) 끝부분에는 커버(100)의 뚜껑(130)을 눌러서 베이스(21)에 밀착시키는 플래턴(23)이 달려 있다.
즉, 가압 액추에이터(22)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플래턴(23)을 승강시켜 베이스(21) 위에 놓인 뚜껑(130)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한다.
여기서 가압 액추에이터(22)로는 영구자석의 자력과 공압을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가 전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공압 실린더(pneumatic rodless cylinder)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유압(공압) 펌프에서 가해진 힘으로 운동 방향을 변환하는 유압 또는 공압 솔레노이드밸브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 양쪽에 유압이 작용하여 출력이 신장 및 수축 양쪽으로 작용하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그밖에 제어부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실린더(푸시 로더, 피스톤 또는 플런저)를 가동시키면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모터나 유압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에너지와 제어 신호를 기계적인 일로 변환하는 장치) 기구 및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플래턴(23)으로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 변형력 및 마찰력이 우수하면서 충격 및 소음, 진동을 최소화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의 좌우 양측에는 로드부(10)의 좌우 양쪽에 볼트(25) 조임으로 고정되는 브래킷(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로드부(10)에 볼트(25)로 고정시키는 브래킷(24)의 위치를 달리하여 로드부(10)에 대한 베이스(21)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쿠션(200)의 다양한 크기(두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부(30)는 클램프부(20)에 의해 커버(100)의 뚜껑(130)이 잡힌 상태로 주머니(110) 부분이 올려놓이도록 로드부(10)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부(30)의 한쪽 측면에는 쿠션(200)이 삽입된 커버(100)의 주머니(110)를 이동시키거나 포개지게 접어서 적치하기 위한 데크(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블부(30)는 쿠션(200)에 커버(100)를 씌운 상태로 올려놓기 적합한 넓이와 작업을 하기에 편리한 높이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블부(30)는 형강, 봉재, 알루미늄 프로파일(profile), 각 파이프, 앵글,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푸셔부(40)는 로드부(10)에 놓인 쿠션(200)을 푸셔 액추에이터(43)의 기계적인 힘으로 밀어서 커버(100)의 입구(120)를 통해 테이블부(30) 위의 주머니(110) 속으로 집어넣도록 로드부(10)의 앞쪽과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푸셔부(40)는 로드부(10) 위에 놓인 쿠션(200)의 앞면과 밀착되는 밀개(41)가 구비되어 있고, 이 밀개(41)는 슬라이드(4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푸셔부(40)는 슬라이드(42)의 원활한 미끄럼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4)이 로드부(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다.
즉, 푸셔 액추에이터(43)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슬라이드(42)를 전진 및 후진시켜 로드부(10)에 놓인 쿠션(200)을 밀개(41)로 밀어서 테이블부(30) 위의 주머니(110) 속으로 집어넣는 작동을 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44)은 슬라이드(42)가 미끄러지듯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베어링 가이드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또 이송에 따른 관성력 및 편하중 등의 힘을 분산시켜 한층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푸셔 액추에이터(43)로는 유압(공압) 펌프에서 가해진 힘으로 운동 방향을 변환하는 유압 또는 공압 솔레노이드밸브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 양쪽에 유압이 작용하여 출력이 신장 및 수축 양쪽으로 작용하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그밖에 제어부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실린더(피스톤 로드, 피스톤 또는 플런저)를 가동시키면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모터나 유압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에너지와 제어 신호를 기계적인 일로 변환하는 장치) 기구 및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스위치 개폐 신호에 따라 가압 액추에이터(22)와 푸셔 액추에이터(43)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스위치 등을 작업자 직접 조작하거나 특정 명령을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는 조작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파스너(140)의 고리(tap)를 밀고 당겨 커버(100)의 입구(1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뚜껑(130)을 열고, 이를 클램프부(20)의 베이스(21)와 플래턴(23)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별도의 스위치 조작 등으로 가압 액추에이터(22)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를 신장 작용하도록 제어하면, 그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부착된 플래턴(23)이 하강하여 베이스(21) 위에 놓인 뚜껑(130)을 기계적인 힘으로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커버(100)의 입구(120)에는 로드부(10)의 슈트(12)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로드부(10)와 주머니(110)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아 푸셔부(40)를 작동시켜 쿠션(200)을 주머니(110) 속으로 밀어서 집어넣는 과정에서 쿠션(200)이 미끄러지듯이 이동하여 훨씬 원활하고 수월하게 들어갈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10) 위에 쿠션(200)을 장입하듯이 올려놓은 후, 별도의 스위치 조작 등으로 푸셔 액추에이터(43)의 피스톤 로드를 수축 작용하도록 제어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액추에이터(43)의 수축 작용으로 밀개(41)가 서서히 이동하여 로드부(10) 위에 놓인 쿠션(200)을 기계적인 힘으로 밀어서 커버(100)의 입구(120)를 통해 주머니(110) 속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때, 로드부(10)의 앞쪽 가운데 부분에는 빈 공간인 리세스(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셔부(40)의 밀개(41)가 간섭 없이 뒤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쿠션(200)을 끝까지 밀어서 주머니(110) 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스위치 조작 등으로 가압 액추에이터(22)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를 수축 작용하도록 제어하면, 플래턴(23)이 상승하여 베이스(21) 위에 놓인 뚜껑(130)을 기계적인 힘으로 눌러서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쿠션(200)에 커버(100)가 씌우진 상태로 테이블부(30) 위에 놓이게 되므로 작업자가 해당 주머니(110)의 입구(120)에 달린 슬라이더 파스너(140)의 고리(tap)를 밀고 당겨 뚜껑(130)을 손쉽게 닫을 수 있다.
만일 계속해서 커버(100)의 다른 주머니(110) 속에 쿠션(200)을 집어넣을 경우 쿠션(200)이 삽입된 주머니(110)는 테이블부(30)의 데크(31) 위로 이동시키거나 접어서 적치한 상태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매트리스의 제조 시 쿠션(200)에 커버(100)를 씌우는 작업공정을 반자동화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능률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로드부 11: 가드펜스
12: 슈트 13: 리세스
20: 클램프부 21: 베이스
22: 가압 액추에이터 23: 플래턴
24: 브래킷 25: 볼트
30: 테이블부 40: 푸셔부
41: 밀개 42: 슬라이드
43: 푸셔 액추에이터 44: 가이드 레일
100: 커버 200: 쿠션

Claims (3)

  1. 여러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별로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인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의 사방 측면 중 한쪽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상기 입구의 상하좌우 4방향 중 위 테두리와 연결되며, 상기 입구 및 상기 뚜껑의 아래, 왼쪽과 오른쪽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더 파스너가 부착된 커버의 상기 주머니 속에 쿠션을 집어넣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상기 쿠션을 올려놓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머니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뚜껑을 열어서 잡아주는 클램프부;
    상기 로드부의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부에 상기 뚜껑이 잡힌 상태로 상기 주머니 부분이 놓이는 테이블부; 및
    상기 로드부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에 놓인 상기 쿠션을 푸셔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힘으로 밀어서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테이블부 위의 상기 주머니 속으로 집어넣는 푸셔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입구가 완전히 개방되게 열린 상태의 뚜껑을 받쳐주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놓인 상기 뚜껑을 가압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힘으로 눌러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플래턴; 및
    상기 쿠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로드부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의 양쪽에 볼트 조임으로 고정된 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부는,
    상기 로드부 위에 놓인 상기 쿠션의 앞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개;
    상기 밀개가 고정된 슬라이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푸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좌우 양쪽에 상기 쿠션이 이탈 및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펜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뒤쪽에 상기 커버의 주머니 속에 삽입되어 상기 주머니와 사이를 연결하는 슈트가 일체로 형성되며,
    앞쪽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밀개가 접촉하거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된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KR1020210137531A 2021-10-15 2021-10-15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KR10251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531A KR102513257B1 (ko) 2021-10-15 2021-10-15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531A KR102513257B1 (ko) 2021-10-15 2021-10-15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257B1 true KR102513257B1 (ko) 2023-03-23

Family

ID=8579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531A KR102513257B1 (ko) 2021-10-15 2021-10-15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2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01Y1 (ko) 2004-06-25 2004-09-13 주식회사 대영테크 침구용 매트리스
KR101001211B1 (ko) 2010-03-19 2010-12-15 (주)금성토탈퍼니처 미니 포켓 스프링을 구비한 3단 접이식 매트리스
KR101373282B1 (ko) * 2011-09-29 2014-03-11 김용이 침구용 매트의 외피 자동재단 장치
KR101741680B1 (ko) * 2017-01-03 2017-05-30 이경화 침대 매트리스용 옆 커버 제조장치
KR101860373B1 (ko) 2017-05-22 2018-05-24 주식회사 젠티스 매트리스 패킹장치
KR101885771B1 (ko) * 2017-08-10 2018-08-06 주식회사 이룸 매트리스의 외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01Y1 (ko) 2004-06-25 2004-09-13 주식회사 대영테크 침구용 매트리스
KR101001211B1 (ko) 2010-03-19 2010-12-15 (주)금성토탈퍼니처 미니 포켓 스프링을 구비한 3단 접이식 매트리스
KR101373282B1 (ko) * 2011-09-29 2014-03-11 김용이 침구용 매트의 외피 자동재단 장치
KR101741680B1 (ko) * 2017-01-03 2017-05-30 이경화 침대 매트리스용 옆 커버 제조장치
KR101860373B1 (ko) 2017-05-22 2018-05-24 주식회사 젠티스 매트리스 패킹장치
KR101885771B1 (ko) * 2017-08-10 2018-08-06 주식회사 이룸 매트리스의 외피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0075B (zh) 滑轨装置
CN201360740Y (zh) 滑轨结构
KR20170089909A (ko) 가구 구동 장치
KR102513257B1 (ko) 접이식 매트리스의 커버 씌움 장치
US10729299B2 (en) Suction device
TW200640725A (en) Platform door device
CN104703731A (zh) 位于包含金属熔液的容器的排出口上的滑锁以及用于在滑锁中压下闸板的方法
CN206550899U (zh) 夹紧装置
CN201085289Y (zh) 具缓冲效果的抽屉滑轨
EP2065240A3 (en) Cabriolet with an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rear shelf
CN109552749A (zh) 一种物流机器人的储物结构
CN108511978A (zh) 夹持系统
CN213258033U (zh) 一种压轮座与凸轮零件的自动组装装置
CN208360609U (zh) 一种开盒机构及其自动装盒机
CN215710120U (zh) 一种搬运装置
CN209938097U (zh) 图书装订设备的封面推送装置
CN219213819U (zh) 一种折页塑料件闭合机构
CN219277068U (zh) 一种可调式票据夹
CN113511518A (zh) 一种搬运装置
CN209425222U (zh) 一种抛光机
KR101334260B1 (ko) 콘솔리드용 시트커버 부착장치
CN216527124U (zh) 一种具有抗外力结构的工控机用触摸屏
JP2598937Y2 (ja) 加工機カバーの扉装置
CN215587041U (zh) 一种固化装置
CN214326070U (zh) 一种开袋装置及自动化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