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250B1 -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250B1
KR102508250B1 KR1020210049251A KR20210049251A KR102508250B1 KR 102508250 B1 KR102508250 B1 KR 102508250B1 KR 1020210049251 A KR1020210049251 A KR 1020210049251A KR 20210049251 A KR20210049251 A KR 20210049251A KR 102508250 B1 KR102508250 B1 KR 10250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buffer pad
stat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788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1004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2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4Protectors contacting two generally perpendicular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edge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 기준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벽과, 일단이 상기 제1 벽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벽과, 일단이 상기 제2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벽과 평행한 제3 벽과, 일단이 상기 제3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벽과 평행한 제4 벽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을 지지하게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이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이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되,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봤을 때,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SHOCK ABSORBING PAD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담는 포장 상자에는 상품을 담고 남는 여유 공간에 완충 패드를 삽입하여 상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상품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포장 상자에 사각 기둥 형태의 완충 패드를 삽입하였다. 자세하게는, 사각 기둥 형태의 완충 패드가 접힌 채로 보관되고 있다가, 사각 기둥 형태로 변형된 후, 포장 상자의 여유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사각 기둥 형태의 완충 패드는 내부가 빈 형태이므로, 유통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완충 패드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완충 및 고정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형태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형태의 완충 패드를 새로 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기존에 사용되던 공정 설비를 새로 제작된 완충 패드에 맞게 변형하여야 하므로, 설비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완충 및 고정 기능이 향상되고, 별도의 추가 설비가 필요하지 않은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완충 패드는, 기준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벽과, 일단이 상기 제1 벽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벽과, 일단이 상기 제2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벽과 평행한 제3 벽과, 일단이 상기 제3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벽과 평행한 제4 벽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을 지지하게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이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이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되,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봤을 때,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기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상기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영역 중 홀에 인접한 부분의 폭은, 상기 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4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제1 벽의 내측 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3 벽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벽과 나란할 수 있다.
삭제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관통부재는, 상기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종이에서 재단된 후 조립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해석은 유한 요소 해석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또는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3 벽에 걸쳐서 재단되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3 벽 중 삽입부재가 재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벽 중 삽입부재가 재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가압되기 이전에는,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과 함께 제2 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가압 됨에 따라,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또는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3 벽에 연결된 채로 중심부가 상기 내부 공간 측을 향해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에 재단되어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벽에 재단되어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벽으로부터 평행하게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벽으로부터 평행하게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벽은, 상기 제3 벽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 될 때, 상기 제1 벽과 상기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는,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1 벽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포장 상자는, 상측을 향해 개구된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게 마련되는 제품,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에 삽입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박스에 대해 지지하게 마련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패드는, 상기 박스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1 벽과, 상기 제1 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벽과, 상기 제2 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품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3 벽과, 상기 제1 벽의 하단과 상기 제3 벽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박스의 저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4 벽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을 지지하여, 상기 제품의 상기 수용 공간에서의 이동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영역 중 홀에 인접한 부분의 폭은, 상기 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1 벽 및 제3 벽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통해 완충 및 고정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가 제1 내지 제4 벽들과 함께 접히고 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기존의 설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가 제1 상태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가 제2 상태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삽입부재가 가압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완충 패드가 박스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완충 패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는, 포장 상자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완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포장 상자의 박스(100)에 완충 패드(300)가 삽입된 모습은 도 7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는, 바디부(10) 및 지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20)은 기준 방향(D)에 직교할 수 있다. 제2 벽(30)은 일단이 제1 벽(2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벽(40)은 일단이 제2 벽(30)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1 벽(20)과 평행할 수 있다. 제4 벽(50)은 일단이 제3 벽(40)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벽(30)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은 내부 공간(S)을 정의 할 수 있다. 내부 공간(S)은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내부 공간(S)이 개구된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을 바라보는 경우,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은 시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지부(60)는 내부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60)는 제1 벽(20) 및 제3 벽(40)과 접촉하여 제1 벽(20) 및 제3 벽(40)을 지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태, 제2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가 제1 상태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가 제2 상태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바디부(1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놓여진다 함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만 놓여질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제1 상태 및 제2 상태가 모두 가능하며, 더 나아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리고 다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상태라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는 제1 벽(20) 및 제3 벽(40)이 기준 방향(D)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포장 상자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로, 적층이 용이하도록 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는 제1 벽(20) 및 제3 벽(40)이 기준 방향(D)을 따라 서로 이격되되, 기준 방향(D)을 따라 봤을 때, 제1 벽(20)과 제3 벽(40)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포장 상자에 삽입되기 위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완충 패드는 제2 상태의 형태로 포장 상자에 삽입된다.
한편, 바디부(10) 및 지지부(60)는 하나의 종이에서 재단된 후 조립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 및 지지부(6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4 벽(40)과 지지부(60)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될 때, 제1 벽(20)과 지지부(60)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가, 제2 벽(30)과 제1 벽(20)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의 변화가 대응하여 변화한다 함은, 반드시 서로 동일한 각도가 유지되며 변화한다는 뜻이 아니라, 변화의 경향이 같아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변화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 예로, 바디부 및 지지부가 종이로 이루어진 경우, 재질의 특성 상 제1 벽(20)과 지지부(60)가 이루는 각도와 제2 벽(30)과 제1 벽(20)이 이루는 각도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는, 내부 공간(S)에 배치되어 제1 벽(20) 및 제3 벽(40)을 지지하는 지지부(60)를 포함하므로 포장 상자에 삽입되었을 때 완충 및 고정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부(60)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재(61, 62, 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61)는 제4 벽(50)의 타단에 연결되고, 일부가 제1 벽(20)의 내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면이라 함은 내부 공간(S) 측에 위치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62)는 제3 벽(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63)는 제1 지지부재(61)와 제2 지지부재(62)를 연결하는 제3 지지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 지지부재(63)는 제2 벽(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부재(64)>
바디부(10)는 제1 벽(20) 또는 제3 벽(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는 제1 벽(20) 및 제3 벽(40)에 홀(70)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60)는,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제3 지지부재(63)로부터 기준 방향(D)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홀(70)을 관통하는 관통부재(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통부재(64)는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화살촉과 같은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 즉, 관통부재(64)가 홀(70)을 한번 관통한 후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위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는 관통부재(64)를 통해 제3 지지부재(63)와 제1 벽(20), 그리고 제3 지지부재(63)와 제3 벽(40) 사이의 연결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삽입부재(80)>
바디부(10)는, 삽입부재(80), 제1 영역(83) 및 제2 영역(84)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재(80)는 제1 벽(20)과 제2 벽(30) 또는 제2 벽(30)과 제3 벽(40)에 걸쳐서 재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83)은 제1 벽(20)과 제3 벽(40) 중 삽입부재(80)가 재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84)은 제2 벽(30) 중 삽입부재(80)가 재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83)의 범위에서 제1 벽(20)과 제3 벽(40) 중 삽입부재(80)가 형성되지 않은 대상은 제1 영역(83)의 범위에서 제외된다고 봄이 상당하다. 일 예로, 도 1에는 삽입부재(80)가 제2 벽(30)과 제3 벽(40)에 걸쳐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벽(20)은 제1 영역(83)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삽입부재(80)는, 내부 공간(S)을 향해 가압되기 이전에는, 제1 영역(83)과 함께 제1 벽(20) 또는 제3 벽(40)을 형성하고, 제2 영역(84)과 함께 제2 벽(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삽입부재(80)가 가압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삽입부재(80)가 내부 공간(S)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삽입부재(80)는 양 단부가 각각 제1 벽(20)과 제2 벽(30) 또는 제2 벽(30)과 제3 벽(40)에 연결된 채로 중심부가 내측을 향해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재(80)가 내측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의 모습을 참고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삽입부재(80)는 제1 벽(20) 또는 제3 벽(40)에 재단되어 형성되는 제1 부분(81) 및 제2 벽(30)에 재단되어 형성되는 제2 부분(8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재(80)가 내부 공간(S)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제1 부분(81)은 제2 벽(30)으로부터 평행하게 내부 공간(S) 측으로 이동되고, 제2 부분(82)은 제1 벽(20)으로부터 평행하게 내부 공간(S)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부분(81)이 제3 벽(40)에 재단되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재(80)가 내측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손 등을 투입하여 포장 상자에서 완충 패드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품을 포장 상자에서 꺼내는 과정이 편리해질 수 있다.
<제1 벽(20) 및 제3 벽(40)의 형상>
제1 벽(20)은 제1 벽(20)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하고, 제3 벽(40)은 제3 벽(40)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폭이 좁아지는 영역은 완충 패드가 포장 상자에 삽입될 때, 완충 패드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상자의 위치가 어긋나 있더라도, 제1 벽(20) 및 제3 벽(40)의 형상으로 인해, 완충 패드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포장 상자>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완충 패드가 박스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에 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에 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완충 패드에 대한 자세한 이해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는 박스(100), 제품(200) 및 완충 패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100)는 상측을 향해 개구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200)은 수용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완충 패드(300)는 수용 공간의 나머지에 삽입되어, 제품(200)을 박스(100)에 대해 지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완충 패드(300)는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 및 지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20)은 박스(100)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벽(30)은 제1 벽(2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벽(40)은 제2 벽(30)과 연결되고, 제품(200)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 벽(50)은 제1 벽(20)의 하단과 제3 벽(40)의 하단을 연결하고, 박스(100)의 저면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60)는, 제1 내지 제4 벽(20, 30, 40, 50) 사이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되고, 제1 벽(20) 및 제3 벽(40)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50)는 제1 벽(20) 및 제3 벽(40)과 접촉하여, 제1 벽(20) 및 제3 벽(40)을 지지하여, 제품(200)의 수용 공간에서의 이동을 방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디부
10: 제1 벽
20: 제2 벽
30: 제3 벽
40: 제4 벽
50: 지지부
51: 제1 지지부재
52: 제2 지지부재
53: 제3 지지부재
54: 관통부재
60: 홀
70: 삽입부재
71: 제1 부분
72: 제2 부분
73: 제1 영역
74: 제2 영역
100: 박스
200: 제품
300: 완충 패드
D: 기준 방향
S: 내부 공간

Claims (11)

  1. 기준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벽과, 일단이 상기 제1 벽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벽과, 일단이 상기 제2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벽과 평행한 제3 벽과, 일단이 상기 제3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벽과 평행한 제4 벽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을 지지하게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4 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제1 벽의 내측 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3 벽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이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이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되, 상기 기준 방향을 따라 봤을 때,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기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상기 제2 상태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영역 중 홀에 인접한 부분의 폭은, 상기 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완충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제2 벽과 나란한, 완충 패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종이에서 재단된 후 조립되게 마련되는, 완충 패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완충 패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또는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3 벽에 걸쳐서 재단되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3 벽 중 삽입부재가 재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벽 중 삽입부재가 재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가압되기 이전에는,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과 함께 제2 벽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가압 됨에 따라,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또는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3 벽에 연결된 채로 중심부가 상기 내부 공간 측을 향해 이동되게 마련되는, 완충 패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에 재단되어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벽에 재단되어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벽으로부터 평행하게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벽으로부터 평행하게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완충 패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벽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벽은, 상기 제3 벽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완충 패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 될 때, 상기 제1 벽과 상기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는, 상기 제2 벽과 상기 제1 벽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완충 패드.
  11. 상측을 향해 개구된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게 마련되는 제품;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에 삽입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박스에 대해 지지하게 마련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패드는,
    상기 박스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1 벽과, 상기 제1 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벽과, 상기 제2 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품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3 벽과, 상기 제1 벽의 하단과 상기 제3 벽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박스의 저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제4 벽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3 벽을 지지하여, 상기 제품의 상기 수용 공간에서의 이동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벽 또는 상기 제3 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영역 중 홀에 인접한 부분의 폭은, 상기 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포장 상자.
KR1020210049251A 2021-04-15 2021-04-15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KR10250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51A KR102508250B1 (ko) 2021-04-15 2021-04-15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51A KR102508250B1 (ko) 2021-04-15 2021-04-15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88A KR20220142788A (ko) 2022-10-24
KR102508250B1 true KR102508250B1 (ko) 2023-03-09

Family

ID=8380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51A KR102508250B1 (ko) 2021-04-15 2021-04-15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960A (ja) * 1999-05-18 2000-11-28 Sharp Corp 梱包用緩衝装置
JP2015212164A (ja) * 2014-05-02 2015-11-26 大塚包装工業株式会社 瓶用収納箱
CN211766969U (zh) * 2019-12-27 2020-10-27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交换机的包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5288B1 (fr) * 1991-12-23 1994-02-04 Epson Engineering Emballage en carton pour objets fragiles et utilisation d'un tel emballage.
JPH11245934A (ja) * 1998-03-05 1999-09-14 Rengo Co Ltd 段ボール製スペー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960A (ja) * 1999-05-18 2000-11-28 Sharp Corp 梱包用緩衝装置
JP2015212164A (ja) * 2014-05-02 2015-11-26 大塚包装工業株式会社 瓶用収納箱
CN211766969U (zh) * 2019-12-27 2020-10-27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交换机的包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88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6285A1 (en) Electronic device packaging apparatus
JP2010036925A (ja) 包装用緩衝材及び包装体
KR102508250B1 (ko) 완충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US5678791A (en) Protector for legs of golf bag
JP2006016008A (ja) 梱包用パレット
JP5377181B2 (ja) 緩衝機能内蔵包装容器
JP2019043600A (ja) 緩衝材
JP4242228B2 (ja) 梱包箱
JP5174402B2 (ja) 包装部材を備えた梱包ケース
KR20060097287A (ko) 포장상자
JP2022045084A (ja) キャリアテープ用梱包箱、並びに、これを用いた梱包体及びキャリアテープの巻回体の梱包方法
JP5511617B2 (ja) 段ボール製緩衝材
KR200492333Y1 (ko) 포장상자
KR200328343Y1 (ko) 포장용 완충재
JP3178037U (ja) 緩衝機能内蔵包装容器
JP6924117B2 (ja) 製品固定パッド、および固定片の保持構造
JP2016003057A (ja) 緩衝材及び梱包材
JP7222630B2 (ja) 表示装置の緩衝材及び緩衝材の使用方法並びにスタンド部材の組立方法
JP2018177303A (ja) 包装構造体
JP4781387B2 (ja) 段ボール製トレー
JP4167086B2 (ja) 梱包用台座
JP2018140780A (ja) 折り曲げ緩衝材
JP2018118773A (ja) ロール体用の保持具、ロール体の保管方法及びロール体の収納方法
JP6421045B2 (ja) 箱型容器
JP2008222298A (ja) 梱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