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410B1 -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410B1
KR102498410B1 KR1020210059910A KR20210059910A KR102498410B1 KR 102498410 B1 KR102498410 B1 KR 102498410B1 KR 1020210059910 A KR1020210059910 A KR 1020210059910A KR 20210059910 A KR20210059910 A KR 20210059910A KR 102498410 B1 KR102498410 B1 KR 10249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housing
assembly
ai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690A (ko
Inventor
노홍길
Original Assignee
노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길 filed Critical 노홍길
Priority to KR102021005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4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셔터를 설치하여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에어벤트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릿 조립체(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개구(310)가 트여지는 베젤(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다이얼(410)의 조작으로 토출 풍향을 바꿀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하여 상하, 좌우 또는 회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다이얼 조립체(400)와; 상기 다이얼 조립체(400)의 다이얼(410) 회전으로 서로 맞물려 구동되는 동력전달수단(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지지부(160)에 축핀(6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 작동핀(620)이 마련되어 있는 링크(600)와; 이 링크(600)의 작동핀(620)과 반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500) 사이를 연결하는 레버(700)와; 상기 베젤(300)과 슬릿 조립체(200) 사이에 설치되며 작동핀(620)이 끼워지도록 홀(810)이 파여져 상기 다이얼(410)의 회전으로 레버(700)와 연동되는 링크(600)의 선회 동작으로 상하 승강되는 셔터(800)로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700)는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에 각각 힌지핀(521)(53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Ventilation outlet control device of air vent assembly}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슬림한 형상의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셔터를 설치하여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에어벤트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와 탑승자를 위해 차실 내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구비한다.
공조장치에 의해 컨디셔닝된 공기는 에어덕트를 유동하여 차실 내에 마련되는 에어벤트를 통해 차실 내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에어벤트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패널, 크래쉬 패드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토출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토출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고안된 에어벤트 중에는 다수의 가로방향 날개와 다수의 세로방향 날개를 포함하는 윙 에어벤트가 있다.
윙 에어벤트는 좌우방향 풍향과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하여 날개를 포함하는데, 다수의 날개를 장착해야 하므로 센터페시아 패널 및 크래쉬 패드의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주변에 계기판,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과의 관계에서 차실 전방 부분의 디자인 자유도를 저하시킨다.
한편, 종래 에어벤트는 공기 토출구가 개방되어 있어 베인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소음 및 악취가 유발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 윙들과 베인을 크로스 시켜 공기 토출을 최대한 차단시키는 경우에도 소량의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10-2018-0072187호 (공개일자 2018년06월29일)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2007895호 (등록일자 2019년07년3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슬림한 형상의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시에 효과적인 풍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 또는 크래쉬 패드 디자인에 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송풍 상태를 닫힘으로 조절시킨 상태에서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에어벤트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릿 조립체(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개구(310)가 트여지는 베젤(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다이얼(410)의 조작으로 토출 풍향을 바꿀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하여 상하, 좌우 또는 회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다이얼 조립체(400)와;
상기 다이얼 조립체(400)의 다이얼(410) 회전으로 서로 맞물려 구동되는 동력전달수단(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지지부(160)에 축핀(6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 작동핀(620)이 마련되어 있는 링크(600)와;
이 링크(600)의 작동핀(620)과 반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500) 사이를 연결하는 레버(700)와;
상기 베젤(300)과 슬릿 조립체(200) 사이에 설치되며 작동핀(620)이 끼워지도록 홀(810)이 파여져 상기 다이얼(410)의 회전으로 레버(700)와 연동되는 링크(600)의 선회 동작으로 상하 승강되는 셔터(800)로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으로 이루어지며,
삭제
상기 레버(700)는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에 각각 힌지핀(521)(53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얼 조립체(400)는 다이얼(410)과 샤프트(420) 사이로 구(球)형상의 미틀 죠인트(430)가 마련되어 있고, 헤드부(421)가 구 형상으로 된 샤프트(420)의 선단은 다이얼(410)이 결합되며, 헤드부(421)의 내측으로는 부채기어(510)와 일체로 된 볼(511)이 끼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크기가 축소된 에어벤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 송풍 상태를 닫힘으로 조절시킨 상태에서는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에어벤트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토출구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 에어벤트 내부 구조물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개방된 에어벤트 조립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에 의해 에어 토출구가 차단되어 내부가 가려진 에어벤트 조립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상승되어 개방된 상태의 베젤을 분해한 에어벤트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하강되어 폐쇄된 상태의 베젤을 분해한 에어벤트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셔터 구동을 위한 요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셔터 상승상태 사시도.
도 7은 셔터 구동을 위한 요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셔터 하강상태 사시도.
도 8은 다이얼 조립체와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9는 다이얼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11은 베젤을 분해한 에어벤트 조립체의 정면도.
도 12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셔터가 상승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셔터가 하강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셔터가 상승된 상태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
도 1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셔터가 하강된 상태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는 하우징(100) 및 슬릿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 내에는 속이 빈 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 입구(120)가, 그리고 전방으로는 공기 출구(130)가 마련된다.
공기 입구(120)는 차량의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과 연통하여, 공기 입구(1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로 HVAC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된다.
하우징(100)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 출구(130)를 통해 차실 측으로 공급된다.
하우징(100)은 조립상의 편의를 위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분리될 수 있으나, 반드시 분리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트랙(142, 152)이 형성된다.
이 트랙(142, 15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하우징(100)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트랙(142, 15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00)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트랙(142)과 하부 트랙(152)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략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슬릿 조립체(200)가 수용된다.
슬릿 조립체(200)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를 포함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는 하우징(100) 내에서 공기 입구(120) 측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하우징(100) 내에서 공기 출구(130) 측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유입 슬릿(S1)이 형성된다(도 10 참조).
즉,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는 일정 거리 이격하여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다. 유입 슬릿(S1)으로는 공기 입구(12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사이에는 출구 슬릿(S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일정 간격 떨어져서 하우징(100) 내에 연결된다.
출구 슬릿(S2)은 유입 슬릿(S1)과 연통하며, 유입 슬릿(S1)을 통과한 공기가 출구 슬릿(S2)을 거쳐 공기 출구(13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는 하우징(100)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의 양측은 상부 트랙(142)에 의해 이동을 안내받고, 상부 트랙(142)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에도 각각, 하부 트랙(15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부 트랙(152)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은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공기 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 모두가 실질적으로 유입 슬릿(S1)을 통해서 이동하도록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은 적어도 거의 차단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의 양 측에는 하방으로 또는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를 향해 돌출하는 상부 칸막이(216)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에는 상방으로 또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를 향해 돌출하는 하부 칸막이(226)가 형성되어 상부 칸막이(216)와 하부 칸막이(226)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구성되어, 유입 슬릿(S1) 측방향 양 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지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에 연결되고,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의 타 측은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의 사이에 출구 슬릿(S2)을 형성하며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의 일 측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와 연결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서로 연결된다.
즉,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중 어느 하나가 상부 피벗점 또는 하부 피벗점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중 다른 하나도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양쪽에서는 연결링크(도시없음)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링크는 복수의 홀들이 마련되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얼 조립체(400)는 에어벤트 조립체의 외부에서 토출 풍향을 바꿀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하여 상하, 좌우 또는 회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이얼 조립체(400)는 다이얼(410)과 샤프트(420) 사이로 구(球)형상의 미틀 죠인트(430)가 마련되어 있고, 헤드부(421)가 구 형상으로 된 샤프트(420)의 선단은 다이얼(410)이 결합되며, 헤드부(421)의 내측으로는 부채기어(510)와 일체로 된 볼(511)이 끼워 결합된다.
미틀 죠인트(430)는 베인(270)을 좌우 선회시키기 위해 홈(432)이 파여진 슬릿(431)이 마련되어 있다.
볼(511)에는 다이얼(410)과 결합된 샤프트(4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선회하기 위해 핀(512)들이 양쪽으로 돌출되며, 헤드부(421)에 파여진 홈부(422)에 끼워진다.
따라서, 다이얼(410)의 좌우 상하 조작이 가능하게 하면서 다이얼(4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부채기어(510)가 연동된다.
상기 다이얼(4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가 이동 또는 회동된다.
예를 들어, 다이얼(410)은 베인(270)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를 이동 또는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4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회동하면서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도 이동하고,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410)의 상하이동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가 회동할 때,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상시 평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출구 슬릿(S2)은 다이얼(410)이 어느 위치에 있든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의해 토출 공기의 지향방향이 형성된다.
다이얼(410)과 연결되는 미틀 죠인트(430)는 슬릿(431)을 통해 베인 링크(280)의 하단에 돌출된 돌기부(도시없음)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베인(270)은 수직형 베인일 수 있다.
즉, 각 베인(270)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각 베인(270) 사이로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베인(270)은 다이얼(410)의 좌우이동에 의해 바람의 토출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베인(270)은 출구 슬릿(S2)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된다.
각 베인(270)은 베인 링크(280)에 의해 연결된다.
베인 링크(280)는 다이얼(410)의 좌우이동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다이얼(41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베인 링크(280)에 연결된 각 베인(270)들은 좌측을 향하게 한다(도 10 참조).
반대로 다이얼(41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베인(270)은 우측을 향하게 된다.
하우징(100) 내에 슬릿 조립체(200)가 수용되고, 공기 출구(130) 측에는 베젤(300)이 장착된다.
베젤(300)은 출구 슬릿(S2)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개구(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날개가 없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슬릿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바람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고 용이한 풍향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 중간방향도 한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므로 부딪힘에 의한 풍속 손실이 없고, 세부적인 풍향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젤(300)의 내측으로 슬릿 조립체(200) 출구 사이로 셔터(800)를 설치하여 개구(310)를 선택적으로 폐쇄(close)시킨 상태에서는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 에어벤트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셔터(80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상단 양쪽으로는 홀(810)들이 파여져 링크(600)의 작동핀(620)이 끼워지게 된다.
링크(600)는 축핀(6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핀(620)의 반대방향으로 레버(700)외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된다.
그리고 레버(700)를 통해 링크(600)와 동력전달수단(500)의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과 각각 연결된다.
즉, 볼(511)이 일체로 성형된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에 각각 힌지핀(521)(53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채기어(510)와 중간기어(520) 및 피니언(530)은 기어박스(54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정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다.
이와 같이 셔터(800)는 다이얼 조립체(400)의 다이얼(410)으로부터 동력전달수단(500)을 통해 레버(700)와 연결되어, 다이얼(410)의 회전 방향 조절에 따라 셔터(800)가 베젤(300)의 내측과 슬릿 조립체(200) 출구 사이에서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셔터(800)가 상승되어 베인(270)들을 포함한 슬릿 조립체(200)의 출구측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셔터(800)가 하강되어 베젤(300)의 개구(310)를 내측에서 폐쇄(close) 시킨 상태로 베인(270)들을 포함한 슬릿 조립체(200)의 출구측 구성들이 가려져 전체 외관이 간결하게 보이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베젤(300)을 분해하여 셔터(800)가 상승(open)되어 있는 내부 구성을 사시도로 예시하고, 도 5는 셔터(800)가 하강된 상태를 사시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셔터(800)를 조작하기 위한 다이얼 조립체(400)는 다이얼(410)과 결합된 샤프트(420)의 헤드부(421)와 부채기어(510)의 볼(511)이 끼워 결합된다.
또, 볼(511)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다이얼(410)과 결합된 샤프트(4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선회하기 위해 핀(512)들이 양쪽으로 돌출되며, 헤드부(421)에 파여진 홈부(422)에 끼워진다.
예로서, 상기 다이얼(4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420)와 결합된 볼(511)과 부채기어(510)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부채기어(510)에 치차 결합된 중간기어(52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중간기어(520)에 치차 결합된 피니언(530)은 시계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동시 회전된다.
좌우 한쌍의 링크(600)들은 하우징(100)의 지지부(160)에 의해 축핀(6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링크(600)들과 중간기어(520) 및 피니언(530)에 양쪽으로 각각 연결된 한쌍의 레버(700)들은 서로 대칭되게 연동된다.
따라서, 다이얼(410)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레버(700)들이 링크(600)들을 선회시키고, 이 링크(600)에 설치된 작동핀(620)이 셔터(800)의 홀(810)들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를 향해 선회되면서 셔터(8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셔터(800)가 하강되면 베젤(300)의 개구(310)를 내측에서 폐쇄시키게 된다.(도 3 및 도 13, 도 15 참조)
홀(810)은 작동핀(620)의 선회 동작을 위해 장타원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이와 역으로 다이얼(41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위와 반대로 각각 연동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셔터(800)를 상승시켜 베젤(300)의 개구(310)를 개방(open) 시켜 에어 벤트로부터 외부 공기를 차내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2 및 도 12, 도 14 참조)
이러한 셔터(800)의 설치로 인해 송풍 상태를 닫힘으로 조절시킨 상태에서 바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에어벤트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젤(300)의 개구(310)를 폐쇄시켜 내부가 가려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에어벤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20 - 공기 입구
130 - 공기 출구
142 - 상부 트랙
152 - 하부 트랙
200 - 슬릿 조립체
210 - 상부 유입 플레이트
216 - 상부 칸막이
220 - 하부 유입 플레이트
226 - 하부 칸막이
230 - 상부 출구 플레이트
240 - 하부 출구 플레이트
270 - 베인
300 - 베젤
310 - 개구
400 - 다이얼 조립체
410 - 다이얼
420 - 샤프트
430 - 미들 죠인트
500 - 동력전달수단
510 - 부채기어
520 - 중간기어
530 - 피니언
600 - 링크
700 - 레버
800 - 셔터
S1 - 유입 슬릿
S2 - 출구 슬릿

Claims (3)

  1.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릿 조립체(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개구(310)가 트여지는 베젤(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다이얼(410)의 조작으로 토출 풍향을 바꿀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하여 상하, 좌우 또는 회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다이얼 조립체(400)와;
    상기 다이얼 조립체(400)의 다이얼(410) 회전으로 서로 맞물려 구동되는 동력전달수단(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지지부(160)에 축핀(6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 작동핀(620)이 마련되어 있는 링크(600)와;
    이 링크(600)의 작동핀(620)과 반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500) 사이를 연결하는 레버(700)와;
    상기 베젤(300)과 슬릿 조립체(200) 사이에 설치되며 작동핀(620)이 끼워지도록 홀(810)이 파여져 상기 다이얼(410)의 회전으로 레버(700)와 연동되는 링크(600)의 선회 동작으로 상하 승강되는 셔터(800)로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700)는 부채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중간기어(520)와 피니언(530)에 각각 힌지핀(521)(53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립체(400)는 다이얼(410)과 샤프트(420) 사이로 구(球)형상의 미틀 죠인트(430)가 마련되어 있고, 헤드부(421)가 구 형상으로 된 샤프트(420)의 선단은 다이얼(410)이 결합되며, 헤드부(421)의 내측으로는 부채기어(510)와 일체로 된 볼(511)이 끼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KR1020210059910A 2021-05-10 2021-05-10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KR10249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10A KR102498410B1 (ko) 2021-05-10 2021-05-10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10A KR102498410B1 (ko) 2021-05-10 2021-05-10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90A KR20220152690A (ko) 2022-11-17
KR102498410B1 true KR102498410B1 (ko) 2023-02-09

Family

ID=8423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10A KR102498410B1 (ko) 2021-05-10 2021-05-10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4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9826A (ja) * 2016-03-10 2017-09-14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693B1 (ko) * 2002-08-27 2004-08-25 조성호 자동차용 송풍구
KR102429172B1 (ko) 2016-12-21 2022-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KR102007895B1 (ko) 2017-08-11 2019-08-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9826A (ja) * 2016-03-10 2017-09-14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90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567B2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KR10158398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US7029390B2 (en) Air vent for vehicle air ducting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KR102498410B1 (ko)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JP2011251590A (ja) 風向調整装置
KR102611760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5797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JPH02279419A (ja) 自動車の車室への空調済み空気の導入装置
US11906194B2 (en) Air vent assembly
JP2003025835A (ja) 空気吹出装置
JP200725368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5919605Y2 (ja) 自動車用ベンチレ−タ
JP2003127657A (ja) 風向調整装置
CN220594600U (zh) 一种出风口总成以及车辆
JP2003106636A (ja) 風向調整装置
KR102681369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JP3729077B2 (ja) 風向調整装置
JP26612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14045B2 (ja) 風向調整装置
JP443048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配風構造
JPS6325484Y2 (ko)
KR100633131B1 (ko)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CN118061741A (zh) 通风喷嘴
JPH03324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