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131B1 -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131B1
KR100633131B1 KR1020050005098A KR20050005098A KR100633131B1 KR 100633131 B1 KR100633131 B1 KR 100633131B1 KR 1020050005098 A KR1020050005098 A KR 1020050005098A KR 20050005098 A KR20050005098 A KR 20050005098A KR 100633131 B1 KR100633131 B1 KR 10063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air
air vent
horizont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286A (ko
Inventor
김달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1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되도록 토출구를 제공하는 에어벤트 하우징,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의 토출구 양측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베인 회전부, 상기 베인 회전부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는 수평베인 및 상기 베인 회전부의 상하부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수직베인을 포함함으로써, 에어컨의 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자동차의 실내 사각지대에 대해 베인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서 에어컨의 공기를 공급하는 효과를 얻는다.
에어컨, 베인, 에어벤트, 하우징, 회전노브

Description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DEVICE FOR DOUBLE ROLLING AIR VENT}
도 1은 종래의 에어벤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의 수평베인 및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에어벤트 하우징 115: 토출구
120: 베인 회전부 122: 베인 프레임
125: 수평베인 127: 수직베인
130: 개폐노브 135: 링크 절
137: 개폐부재 140: 베인노브
142: 고정부재 145: 톱니
146: 연결부재 150: 연장축
152: 회전노브
본 발명은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로 에어컨의 공기 방향을 조절하는 수평베인 및 수직베인이 축 결합된 베인 회전부를 에어벤트 하우징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수평베인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제거함으로써,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에서 상하방향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벤트는 자동차의 실내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이송하거나 내측 또는 외측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보내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는 노즐타입 에어벤트 장치로서, 공기의 상하방향 유동을 조절하는 수평베인(10)이 베인 프레임(12)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수평베인(10)의 후방에는 공기의 좌우방향 유동을 조절하는 수직베인(20)이 베인 하우징(25)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베인(10)의 전방부에는 수평베인(10)에 결합되면서 수평베인(10)의 후방에 배치된 고정부재(30)에 결합되는 조절노브(32)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의 후방에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0)의 랙기어는 고정부재(30)의 측방에 배치된 톱니(40)에 접촉하여 조절노브(32)의 측방운동을 전달한다. 즉, 상기 톱니(40)는 후방에 배치된 수직베인(20)에 결합 되며, 상기 수직베인(20)의 후방부는 연결부재(45)에 의해 모두 결합되는데, 상기 톱니(40)가 조절노브(32)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수직베인(2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베인(10)이 축결합된 베인 프레임(12)은 수직베인(20)이 축 결합된 베인 하우징(25)에 결합되며, 상기 베인 하우징(25)은 에어벤트 하우징(5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벤트 장치는 수평베인(10)이 결합된 베인 프레임(12)이 베인 하우징(25)에 고정되고, 베인 하우징(25)이 에어벤트 하우징(50)에 고정되므로, 수평베인(10)의 회전에 의한 공기의 상하방향 유동조절은 한 계가 있다.
즉, 수평베인(10)의 하방 회전각을 크게 하여 공기가 최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하면, 공기는 유동방향이 하방으로 향하기는 하지만 수평베인(10)의 회전각이 커지게 되어 공기는 수평베인(10)에 의해 유동저항을 받게 되고, 공기는 유동저항에 의해 난류로 되어 실내의 목표지점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에어벤트 장치는 베인 하우징(25)에 베인 프레임(12)이 고정되어 있어서, 수평베인(10)의 회전각이 조절되어 에어컨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전반적으로 유동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므로, 에어컨의 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베인 및 수직베인이 제공된 베인 회전부가 자동차의 실내로 에어컨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벤트 하우징에서 회전되도록 하여,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 상 하 및 좌우부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급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되도록 토출구를 제공하는 에어벤트 하우징,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의 토출구 양측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베인 회전부, 상기 베인 회전부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는 수평베인 및 상기 베인 회전부의 상하부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수직베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은 에어컨에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는 송풍관에 연결되어 토출구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토출구는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에어벤트가 제공된다.
이때, 에어벤트는 공기의 유동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수직베인과 수평베인을 포함하게 되는데, 수평베인이 에어벤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인 하우징으로 소정의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되면 노즐타입 에어벤트이고, 에어벤트 하우징의 양측부에 양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소정의 연결부재가 각각의 일측부를 모두 연결하여 일괄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윙 타입 에어벤트이다. 또한, 상기 노즐타입이나 윙 타입 에어벤트는 에어벤트 하우징의 상류에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의 양측에 축결되는 베인 회전부는 수평베인과 수직베인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좌우, 상하부에 베인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통공이나 홈이 제공된 부재로서, 상기 수평베인은 베인 프레임에 결합되고 베인 프레임이 베인 회전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인 회전부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베인은 베인 하우징의 상하부에 제공된 홈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베인 프레임에 결합된 수평베인은 베인 프레임에서 일차적으로 회전되어 공기의 유동을 상하로 조절하고, 상기 베인 회전부가 에어벤트 하우징에서 이차적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 회전부가 에어벤트 하우징에서 회전하게 되면, 베인 프레임에 축결합된 수평베인 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에어벤트 하우징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대한 토출방향을 전반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인 회전부의 회전은 에어벤트 하우징의 토출구에서 수평베인으로 연결되는 공기의 유동로를 곡선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은 적게 하면서 공기의 유동방향은 수평베인만 회전될 때에 비해 보다 많이 상하로 굴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인 회전부의 하부에는 에어벤트 하우징의 상류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노브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노브는 링크 절에 의해 결합된 개폐부재로 에어벤트 하우징의 공기 유동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수평베인의 전방부는 수직베인을 톱니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베인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노브는 수평베인의 후방에 제공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베인에 미끄럼 결합되어 수평베인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고정부재의 후단부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후방에서 수직베인에 결합 된 톱니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베인은 연결부재의 의해 후단부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베인노브가 이동하면 한 방향으로 일괄적인 회전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베인 회전부의 일측 회전축은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을 통과하여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연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축에는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의 전면부로 돌출하여 상기 베인 회전부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노브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베인 회전부는 연장축이 회전노브에 결합되어 회전노브의 회전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노브는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 전방부로 외주부가 돌출되어 운전자나 승객이 회전노브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인 회전부는 연장부에 피니언과 같은 기어를 결합하고, 상기 기어에 모터를 연결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결정하는 작동버튼이나 스위치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제공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베인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로 배치되는 수평베인의 일괄적인 회전을 위한 결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평베인의 양측 후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끼워진다. 이로써, 상기 수평베인은 결합부재에 의해 수평베인의 후단부 전체가 연결되고, 수평베인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면 수평베인 전체가 회전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의 수평베인 및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는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되도록 토출구(115)를 제공하는 에어벤트 하우징(100),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토출구(115) 양측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베인 회전부(120),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는 수평베인(125) 및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상하부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수직베인(12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은 에어컨에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는 송풍관(105)에 연결되어 토출구(115)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토출구(115)에는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에어벤트가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양측에 제공되는 홀(100a)에 돌출된 축(120a)이 결합되는 베인 회전부(120)는 수평베인(125)과 수직베인(127)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좌우, 상하부에 베인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통공이나 홈이 제공 된 에어벤트의 구성으로서, 상기 수평베인(125)은 베인 프레임(122)에 결합되고 베인 프레임(122)이 베인 회전부(1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인 회전부(120)에서 회전되며, 상기 수직베인(127)은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상하부에 제공된 홈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베인 프레임(122)에 결합된 수평베인(125)은 베인 프레임(122)에서 일차적으로 회전되어 공기의 유동을 상하로 조절하고, 상기 베인 회전부(120)가 에어벤트 하우징(100)에서 이차적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 회전부(120)가 에어벤트 하우징(100)에서 회전하게 되면, 베인 프레임(122)에 축결합된 수평베인(125) 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에어벤트 하우징(100)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대한 토출방향을 전반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회전은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토출구(115)에서 수평베인(125)으로 연결되는 공기의 유동로를 수평베인(125)만 회전될 때에 비해 곡선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은 적게 하면서 공기의 유동방향은 보다 많이 상하로 굴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하부에는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상류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노브(130)가 제공되고, 상기 개폐노브(130)는 링크 절(135)에 의해 결합된 개폐부재(137)로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공기 유동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수평베인(125)의 전방부는 수직베인(127)을 톱니(145)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베인노브(1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노브(140)는 수평베인 (125)의 후방에 제공된 고정부재(142)에 의해 상기 수평베인(125)에 미끄럼 결합되어 수평베인(125)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고정부재(142)의 후단부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고정부재(142)의 후방에서 수직베인(127)에 결합된 톱니(145)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베인(127)은 연결부재(146)에 의해 후단부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베인노브(140)가 이동하면 한 방향으로 일괄적인 회전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일측 회전축은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을 통과하여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연장축(150)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축(150)에는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전면부로 돌출하여 상기 베인 회전부(120)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노브(152)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베인 회전부(120)는 연장축(150)이 회전노브(152)에 결합되어 회전노브(152)의 회전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노브(152)는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절개부(100b)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 전방부로 외주부가 돌출되어 운전자나 승객이 회전노브(1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베인(125)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로 배치되는 수평베인(125)의 일괄적인 회전을 위한 결합부재(123)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23)는 각각의 수평베인(125)의 양측 후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25a)가 끼워지는 통공(123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베인(125)은 결합부재(123)에 의해 수평베인(125)의 후단부 전체가 연결되고, 수평베인(125)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면 수평베인(125) 전체가 회전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는 수평베인 및 수직베인이 제공된 베인 회전부가 자동차의 실내로 에어컨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벤트 하우징에서 회전되도록 하여,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 상하 및 좌우부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에어컨의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되도록 토출구(115)를 제공하는 에어벤트 하우징(100);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토출구(115) 양측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베인 회전부(120);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는 수평베인(125); 및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상하부에 축 결합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수직베인(127)을 포함하며;
    상기 베인 회전부(120)의 일측 회전축은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을 통과하여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연장축(150)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축(150)에는 상기 에어벤트 하우징(100)의 전면부로 돌출하여 상기 베인 회전부(120)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노브(15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베인(125)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로 배치되는 수평베인(125)의 일괄적인 회전을 위한 결합부재(123)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123)는 다수 개의 통공(123a)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평베인(125)의 양측 후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25a)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KR1020050005098A 2005-01-19 2005-01-19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KR10063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98A KR100633131B1 (ko) 2005-01-19 2005-01-19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98A KR100633131B1 (ko) 2005-01-19 2005-01-19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86A KR20060084286A (ko) 2006-07-24
KR100633131B1 true KR100633131B1 (ko) 2006-10-12

Family

ID=3717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098A KR100633131B1 (ko) 2005-01-19 2005-01-19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131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23325
200404464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86A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567B2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US7029390B2 (en) Air vent for vehicle air ducting
CN110701772A (zh) 空调器的无风感结构以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200017069A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CN211195781U (zh) 用于将不同方向的气流引导到车辆内部的通气孔
WO2017046985A1 (ja) 送風装置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CN112659854A (zh) 空调用吹出口装置
JP2006206008A (ja) 吹出口装置
US20060157618A1 (en) Blade gearing structure of air duct of vehicles
KR100633131B1 (ko) 이중회전 에어벤트 장치
KR101412841B1 (ko) 에어벤트
CN110562004A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010064475A (ko) 자동차용 도어의 에어 벤트 구조
JP3799141B2 (ja)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JP3917881B2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JP2001088542A (ja) 空気吹出口装置
CN114786976A (zh) 汽车的薄型通风口
JP42692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200049082A (ko)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KR102498410B1 (ko)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JP2013241026A (ja) 風向調整装置
KR100379040B1 (ko) 차량의 에어벤트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