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10B1 -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10B1
KR102496910B1 KR1020180050557A KR20180050557A KR102496910B1 KR 102496910 B1 KR102496910 B1 KR 102496910B1 KR 1020180050557 A KR1020180050557 A KR 1020180050557A KR 20180050557 A KR20180050557 A KR 20180050557A KR 102496910 B1 KR102496910 B1 KR 10249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sewing
thread
stitch
fe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950A (ko
Inventor
란그레크 게르드
슈미트 요아킴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10 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이전에,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재봉 작업 위치로부터 솔기의 한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35)를 절단하기 이전에 재봉 방향(x)을 따라 재봉 작업 위치에 대해 변위된 절단 위치로 재배치된다. 그 다음 솔기의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35)가 절단된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재봉틀은 변위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가지며, 이 제어기는 솔기 생성의 단부에서 동기화 방식으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를 재봉 작업 위치에서 절단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변위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그 결과,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위한 생성 방법이 얻어지며, 여기서,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와 그의 타깃 솔기 돌출부가 짧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seam end bottom thread with a pre-determined target seam protrusion}
본 발명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7 207 626.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가 생성될 수 있는 재봉틀은 유럽 EP 1 847 641 B1 및 유럽 EP 2 330 241 B1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 및 그의 타깃 솔기 돌출부가 짧게 설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10 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이 방법은, 솔기를 재봉하는 단계, -솔기의 한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를 절단하기 이전에- 재봉 작업 위치로부터 재봉 방향을 따라 재봉 작업 위치에 대해 변위된 절단 위치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재배치하는 단계, 및 솔기의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솔기를 형성하고 솔기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를 절단하기 이전에 솔기의 마지막 스티치와 절단 위치 사이의 하단 쓰레드 경로가 단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위치가 변위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단축된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얻는다. 이러한 단축은 절단 위치에서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명확하게 정의된 위치로 인해 정밀하게 재현될 수 있으므로,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생성된다.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예를 들어, 10 mm 이하와 비슷한 수준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상단 쓰레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상단 쓰레드는 그러한 생성 방법으로 하단 쓰레드와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재봉 작업 위치에서 절단 위치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재배치하는 것은 상단 쓰레드를 절단하기 이전에 솔기의 마지막 스티치와 절단 위치 사이의 상단 쓰레드 경로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단축된 솔기 단부 상단 쓰레드의 결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솔기 단부 상단 쓰레드의 상대적으로 미리 결정 가능한 타깃 솔기 돌출부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생성된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절단 위치로의 대응하는 재배치로, 솔기의 마지막 스티치와 절단 위치 사이의 하단 쓰레드 경로 및/또는 상단 쓰레드 경로가 연장되는 경우, 예를 들어 10 mm를 초과하는 연장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 및/또는 솔기 단부 상단 쓰레드가 당연히 생성될 수도 있다. 이는 긴 솔기 단부 쓰레드가 요구되는 특정 재봉 작업을 위해 타당하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는 피드 도그 또는 재료 어드밴서일 수 있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는 재봉틀의 스티치 형성 툴, 즉 재봉 바늘 및 그리퍼와 동기화될 수 있거나, 주기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는 아래로부터 마찰-형태의 접촉을 통해 재봉 방향으로 재봉 재료를 이송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여기서, 하부 공급 플레이트는 첫 번째 기간 동안 스티칭 기간에 재봉 재료에 관여하고, 다른 시간 기간 동안에는 재봉 재료에 관여하지 않는다.
재봉 중에 절단 이전에 단축된 스티치 길이를 갖는 스티치는 솔기 단부 상단 쓰레드뿐만 아니라 절단에 의해 생성된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가 재봉된 재료에서부터 절단 위치까지 비교적 먼 거리를 취한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마지막 짧은 스티치로 인하여 실제로 동일한 길이가 된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재봉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이전에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재배치는 재봉틀의 설계에 따라 마지막 스티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서 하단 쓰레드의 유리한 단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백 스티치” 위치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에 대한 절단 위치로서 선택될 수 있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이송 길이에 대한 공급 플레이트 기어의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되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재배치는 재봉틀의 정상 작동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재배치 드라이브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재봉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재봉틀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재봉틀은 상단 쓰레드 및 하단 쓰레드를 갖는 솔기를 재봉하기 위한 스티치 형성 툴, 재봉 방향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 솔기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를 절단하기 위한 쓰레드 블레이드, 재봉 방향을 따라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변위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변위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솔기 생성의 단부에서 동기화 방식으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가 재봉 작업 위치에서 절단 위치로 변위되도록 변위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재봉틀의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참조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들과 동일하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변위시키기 위한 드라이브는 공급 플레이트 기어의 조절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변위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는 솔기 단부에서 한 세트의 나머지 하단 쓰레드 길이를 프로그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머지 하단 쓰레드 길이는 재봉틀 상의 작동 요소에 의해 미리 선택될 수 있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의 이송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스티치 세팅 기어는 재봉 작업 위치에서 절단 위치까지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재배치하기 위한 변위 드라이브로서 특히 적합하다. 스티치 세팅 기어는 특히 탭 기어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적당한 스티치 세팅 기어는 유럽 EP 2 330 241 B1에 공지되어 있다.
스티치 세팅 기어의 스티치 세팅 샤프트를 위한 변위 드라이브의 스위블 드라이브는 재봉 작업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까지 하부 공급 플레이트를 재배치하기 위해 특히 간단한 드라이브가 된다. 스위블 드라이브는 스텝퍼 모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스위블 드라이브는 선형 솔레노이드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설계될 수 있다. 스위블 드라이브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공급 플레이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지부는 조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여러 정지부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더블 체인 스티치 재봉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에 대응하는 확대하여 도시한 재봉틀 단면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Ⅲ에 대응하는 재봉틀의 단면의 내부 상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인 V-V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종래의 기술에 따라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해 솔기의 한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를 절단하는 동안 하부 공급 플레이트 및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의 통상의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10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해 솔기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를 절단하는 동안 하부 공급 플레이트 및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의 현재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7은 한 세트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생성된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나타내기 위해 재봉틀로 재봉된 솔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더블 체인 스티치 재봉틀로서 설계된 재봉틀(1)은 상방으로 연장된 스탠드(3) 및 각이 있는 아암(4)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를 구비한다. 각이 있는 아암은 헤드(5)에서 끝난다. 아암(4)에는 아암 샤프트(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는 헤드(5)에서 쓰레드 레버(8)가 있는 크랭크 드라이브(7)를 구동한다. 크랭크 드라이브(7)는 헤드(5)에 변위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배치된 바늘 로드(9)와 함께 구동되도록 연결된다. 이는 그의 하부 단부에 바늘(10)을 갖는다. 바늘(10)은 크랭크 드라이브(7)에 의해 수직 축(11) 상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바늘(10)은 쓰레드 프리텐셔닝 장치(pre-tensioning device) 및 쓰레드 레버(8)를 통해 보빈(12)으로부터 작은 구멍에 제공되는 상단 쓰레드로서 공지된 바늘 쓰레드(13)를 보유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는 나사(들)로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14)를 지지하는데, 그 지지 플레이트 위에는 더블-층 재봉 파트(15)가 놓인다. 지지 플레이트(14)에는 피드 도그(feed dog) 또는 재료 어드밴서(advancer)(17)를 통과시키기 위한 리세스가 제공되며, 하부 공급 플레이트로서 공지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는 바늘(10)을 통과시키기 위한 스티치 홀(18)을 갖는다.
재료 어드밴서(17)는 재봉 재료 파트(15)와 관련하여 가압 풋(pressure foot)(17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후에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데카르트 xyz 좌표계가 사용된다. 재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x 방향은 도 1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y 방향은 도 1의 좌측으로 연장된다. 축(11)이 연장되는 z 방향은 도 1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재료 어드밴서 또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재봉 공정 중에 양의 방향(x)으로 재봉 방향을 따라 재봉 재료 파트(15)를 이송한다.
재료 어드밴서(17)는 베이스 플레이트(2) 아래에 배열된 전진 및 리프팅 기어와 구동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를 위한 그와 같은 기어는 스티치 세팅 기어로서 설계될 수 있고, 특히, 유럽 2 330 241 B1에 기술된 탭 기어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티치 세팅 기어는 특히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이송 길이, 즉, 솔기 생성 동안 스티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공급 플레이트 기어를 구성한다. 스티치 세팅 기어는 재봉 방향(x)을 따라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를 변위시키기 위한 드라이브의 일부이다. 변위 드라이브는 도 1에 18a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변위 드라이브(18a)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중앙 제어기(18b)와 상호 작용하며, 재봉틀(1)의 다른 구동 구성 요소들과 유사하다. 이를 위해, 제어기(18b)는 재봉틀(1)의 구성 요소들과 직접 연결되며, 여기서 예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특히 변위 드라이브(18a)에 연결된다. 스티치 세팅 기어의 스티치 세팅 샤프트를 위한 스위블 드라이브는 변위 드라이브(18a)의 일부이다. 이와 같은 스티치 세팅 샤프트는 특히 유럽 EP 2 330 241 B1의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스티치 세팅 샤프트의 스위블 각도에 따라, 재봉틀(1)의 베이스 플레이트-부착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방향(x)을 따른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상대적인 위치와 스티치 길이를 얻는다. 이에 따라, 스위블 드라이브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이송 길이를 위한 스티치 세팅 기어의 조절 수단이다.
그리퍼 팁(21)이 있는 그리퍼 바디(20)를 갖는 그리퍼(19)가 지지 플레이트(14) 아래에 위치된다. 그리퍼 쓰레드 물품(store)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형 보빈 하우징(22)은 그리퍼 바디(20)에 내장된다. 그리퍼 쓰레드는 또한 이하에 하단 쓰레드로서 기술한다.
그리퍼(19)는 수직 그리퍼 축(23)의 둘레로 회전될 수 있다. 재봉 조작 회전 방향(24)은 도 2의 방향(z)을 따라 연장된 그리퍼 축(2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퍼 바디(20)는 그리퍼 축(23)과 동축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5)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샤프트(25)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나사 결합된 베어링 블록(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어 드라이브와 연결된 드라이브 샤프트(27)는 베어링 블록(26) 내측에 배열된다. 기어 드라이브는 1 : 2의 전달 비를 가지므로, 드라이브 샤프트(27)의 1 회전은 샤프트(25) 상에 위치한 그리퍼 바디(20)를 2회 회전시킨다. 드라이브 샤프트(27)는 벨트 드라이브(28)를 통해 아암 샤프트(6)와 구동되도록 연결된다.
쓰레드-풀링 블레이드(29)가 그리퍼 쓰레드를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는 도 2에 예시된 베이스 위치 및 쓰레드 테이크-업 위치에서 그리퍼 축(23)과 나란한 스위블 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는 도 2에 따른 도면에서 낫(sickle)을 연상시키는 베이스 형상을 가지며, 그의 자유 단부는 도 2에 따른 도면의 베이스 위치에서 보빈 하우징(22) 주위로 뻗어있다.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의 쓰레드 테이크-업 위치에서, 홈 하단 측 에지(32)를 갖는 쓰레드 풀링 쓰레드(29)의 테이크-업 홈(31)(도 4를 참조)은 스티치 홀(18)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테이크-업 홈(31)은 수평으로 연장된 베이스 바디(32a)에 대향하는 직각으로 배열된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의 각이 있는 에지 섹션(32b)에 설계된다.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의 연장된 자유 단부 섹션(32c)은 도 2의 평면도에 도시된 둥근 단부로 설계된다.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를 쓰레드 테이크-업에서 베이스 위치로 회전(swivelling)시킬 때, 쓰레드를 절단하는 절단 방식으로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의 에지(32)와 상호 작용하는 위치 고정된 카운터블레이드(33)(도 3을 참조)는 베이스 플레이트(2) 상의 지브(jib)에 장착된다.
쓰레드를 절단하는 동안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의 에지(32)와 상호 작용하는 카운터블레이드(33)의 카운터블레이드 에지(34)가 z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5 및 도 6은 첫 번째로 “짧은 전방 스티치” 위치(도 5) 및 두 번째로 “백 스티치” 위치(도 6)에서 재봉틀(1)의 구성 요소들의 현재 위치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둘 모두의 위치들은 절단 위치들을 도시하는데, 즉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의 에지(32)와 카운터블레이드(33)의 카운터블레이드 에지(34) 사이의 하단 쓰레드(35)뿐만 아니라 상단 쓰레드(13)를 절단하기 바로 이전에 표현된 절단 위치들을 도시한다. 또한, 재봉된 재료(15)의 마지막 스티치(S1 내지 S5) 동안 처음에 상단 쓰레드(13)의 경로와 다음에 하단 쓰레드(35)의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 및 카운터블레이드(33) 뒤에 놓인 섹션들을 볼 수 있도록 스티치 홀(18)의 영역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또한 하부 공급 플레이트 지지부(36)를 갖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17), x 방향으로 이송 허브가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로 이동되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 샤프트(37), 또한, 방향 z를 따라 작용하는 출입 또는 추출 리프트(submersion or extraction lift)가 하부 공급 받침대(17)에 적용되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 리프팅 샤프트(38)의 이동 안내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보이지 않는 스티치 세팅 샤프트에 작용하는 변위 드라이브(18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짧은 솔기 단부 쓰레드들이 생성되는 재봉틀(1)의 정상 작동의 현재 위치를 도시한다. 스티치 세팅 기어는 5번째 스티치(S5)를 형성하기 이전에 변위 드라이브(18a)와 함께 “짧은 전방 스티치” 위치로 재배치되므로, 그러한 마지막 스티치(S5)는 이전에 생성된 스티치들(S1 내지 S4)보다 짧게 된다. 5번째 스티치(S5)가 묶이면, 하단 쓰레드(35)뿐만 아니라 상단 쓰레드(13)는 에지(32)와 카운터블레이드 에지(34) 사이의 절단 위치로 진행한다. 특히, 하단 쓰레드(35)는 스티치 홀(18)을 한정하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섹션(39) 주위에 다소 U-형상 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도 6은 짧은 스티치로서 설계된 스티치(S5)를 형성한 이후에도, 스티치 세팅 기어 위치 “백 스티치”에서 재봉틀(1)의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스티치 세팅 기어의 위치에서, 재배치되는 변위 드라이브(18a)의 상응하는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위치 “백 스티치”로 인하여, 도 5의 공급 플레이트 샤프트(37)는 도 6에 비교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므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도 5에 따른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도 6의 현재 위치에서, 양의 방향(x), 즉 재봉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공급 플레이트 섹션(39)이 스티치 세팅 기어와 독립적으로 이들 쓰레드(13, 35)의 절단 위치에 대해 변위되고, 원칙적으로 에지(32)와 카운터블레이드 에지(34) 사이에서 상단 쓰레드(13) 및 하단 쓰레드(35)를 절단하기 이전에, 도 6에서 양의 방향(x)으로, 프레임-고정된다. 위치 “백 스티치”로 재배치할 때, 공급 플레이트 섹션(39)은 재봉 재료 파트(1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재봉 재료 파트(15)는 가압 풋(17a)에 의해 위치 고정으로 유지된다. 마지막 스티치(S5)와 에지(32, 34)들 사이의 절단 위치 사이의 경로는 도 5에 따른 현재 위치에 있는 쓰레드(13, 35)에 대해서, 특히, 도 6에 따른 현재 위치에 따른 하단 쓰레드(35)에 대해서 길지 않으므로, 짧은 솔기 단부 쓰레드들이 재봉 재료 파트(15)에서 얻어지고, 특히, 쓰레드(13, 35)를 절단한 이후에, 10 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짧은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가 얻어진다.
도 7은 재봉틀(1)로 생성된 솔기(40)를 도시한다.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41)는 솔기(40)와 함께 10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A)를 갖는 마지막 스티치(S5)로부터 돌출된다.
10 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스티치(Si)가 있는 솔기를 재봉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솔기의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35)의 절단 이전에, 재봉 작업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짧은 전방 스티치” 위치로부터 재봉 방향(x)을 따라 변위된 절단 위치, 예를 들어, 백 스티치” 위치로 변위된다. 이후에, 하단 쓰레드(35) 및 상단 쓰레드(13)는 에지(32, 34)들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여 솔기의 단부에서 쓰레드 풀링 블레이드(29)로 절단된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또한 음의 방향(x)으로 변위되는 도 5에 따른 절단 위치와 비교하여 다른 절단 위치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단 쓰레드(35)의 경로가 우선 연장되고, 다음에 상단 쓰레드(13)의 경로가 에지(32, 24)들 사이의 절단 위치를 향하여 더 연장된다.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대 전방 스티치 길이” 위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된 솔기 단부 쓰레드(13, 35)를 얻는다.
예를 들어, 마지막 스티치(S5)와 같은 스티치 단축은 본 명세서에서 필수적이지 않다. 따라서, 재봉은 마지막 스티치까지 정상 스티치 길이로 계속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상 전방 스티치” 위치로부터 다음의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를 위한 절단 위치까지, 즉 예를 들어, “백 스티치” 위치로 스티치 세팅 기어들의 재배치가 실행된다.
제어기(18b)는 솔기 생성의 단부에서 동기화 방식으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가 재봉 작업 위치에서 절단 위치로 변위되도록 변위 드라이브(18a)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기(18b)는 솔기 단부에서 나머지 하단 쓰레드 길이를 설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변위 드라이브(18a)는 스텝퍼 모터로서 설계된다. 대안으로, 선형 솔레노이드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변위 드라이브를 설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는 본 명세서에서 선형 솔레노이드 또는 공기압 실린더가 작동될 때 스티치 세팅 기어의 위치를 설정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부는 조절 가능한 설계로 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정지부로서도 고려될 수 있다.

Claims (7)

10 mm 이하의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솔기를 재봉하는 단계;
- 상기 솔기의 한 단부에서 하단 쓰레드(35)를 절단하기 이전에, 재봉 작업 위치로부터 재봉 방향(x)을 따라 상기 재봉 작업 위치에 대해 변위된 절단 위치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를 재배치하는 단계;
- 상기 솔기의 단부에서 상기 하단 쓰레드(35)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아래로부터 마찰-형태의 접촉을 통해 재봉 방향으로 재봉 재료를 이송하는 구성 요소이며,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는 첫 번째 기간 동안 스티칭 기간에 재봉 재료에 관여하고, 다른 시간 기간 동안에는 재봉 재료에 관여하지 않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재봉 중 절단 이전에 단축된 스티치 길이를 갖는 스티치는 솔기 단부 상단 쓰레드뿐만 아니라 절단에 의해 생성된 솔기 하단 쓰레드가 재봉 재료에서부터 절단 위치까지 취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마지막 짧은 스티치로 인하여 동일한 길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는 재배치에 따라 상기 재봉 방향(x)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재배치는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이송 길이에 대한 공급 플레이트 기어의 조절 수단(18a)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재봉틀(1)로서,
- 상단 쓰레드(13) 및 하단 쓰레드(35)를 갖는 솔기를 재봉하기 위한 스티치 형성 툴(10, 19),
- 재봉 방향(x)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하부 공급 플레이트(17),
- 상기 솔기 단부에서 상기 하단 쓰레드(35)를 절단하기 위한 쓰레드 블레이드(29),
- 상기 재봉 방향(x)을 따라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17)를 변위시키기 위한 드라이브(18a),
- 상기 변위 드라이브(18a)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8b)로서, 솔기 생성의 단부에서 동기화 방식으로 하부 공급 플레이트(17)가 재봉 작업 위치에서 절단 위치로 변위되도록 변위 드라이브(18a)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상기 제어기(18b)를 포함하는, 재봉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급 플레이트(17)의 이송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스티치 세팅 기어를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드라이브(18a)는 상기 스티치 세팅 기어의 스티치 세팅 샤프트를 위한 스위블 드라이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180050557A 2017-05-05 2018-05-02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102496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7626.7A DE102017207626A1 (de) 2017-05-05 2017-05-05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aht-Endunterfadens mit vorgegebenem Soll-Nahtüberstand
DE102017207626.7 2017-05-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950A KR20180122950A (ko) 2018-11-14
KR102496910B1 true KR102496910B1 (ko) 2023-02-06

Family

ID=6204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57A KR102496910B1 (ko) 2017-05-05 2018-05-02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99089B1 (ko)
KR (1) KR102496910B1 (ko)
CN (1) CN108796854A (ko)
DE (1) DE102017207626A1 (ko)
TW (1) TWI775849B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62626A (ko) * 1960-04-04
DE19746653C1 (de) * 1997-10-22 1998-11-12 Pfaff Ag G M Verfahren zum Verkürzen des nähgutseitigen Greiferfadenendes bei Nähmaschinen mit Fadenschneideinrichtung
JP2000317178A (ja) * 1999-05-07 2000-11-21 Juki Corp 糸切り駆動装置
JP4799752B2 (ja) * 2001-04-13 2011-10-26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CH697309B1 (de) * 2005-05-09 2008-08-15 Gegauf Fritz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mehrerer Funktionen einer Nähmaschine.
CN2799611Y (zh) * 2005-05-24 2006-07-26 顾飞龙 缝纫机的勾夹线装置
DE202006009410U1 (de) * 2006-04-21 2007-08-30 Dürkopp Adler AG Fadenziehmesser für eine Nähmaschine
DE102008030620B3 (de) * 2008-06-24 2009-12-24 Pfaff Industrie Maschin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urchtrennen des Nadel- und des Greiferfadens an Doppelsteppstich-Nähmaschinen mit in einer horizontalen Ebene umlaufendem Greifer
CN101845724B (zh) * 2009-03-27 2013-03-06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
DE102009036988A1 (de) * 2009-05-12 2010-12-16 Nähmaschinenfabrik Emil Stutznäcker GmbH & Co. KG Verfahren zum Nähen eines Nähguts
DE102009039252A1 (de) * 2009-08-28 2011-03-10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DE102009047534A1 (de) * 2009-12-04 2011-06-09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EP2540893B1 (de) * 2011-07-01 2014-04-09 Nähmaschinenfabrik Emil Stutznäcker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ettenstichnähmaschine und Kettenstichnähmaschine
DE102013007928A1 (de) * 2013-05-12 2014-11-13 Pfaff I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Ag Nähmaschine zur Erzeugung von Nähten mit kurzen Fadenanfangslängen
CN203668663U (zh) * 2013-12-31 2014-06-25 上海标准海菱缝制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短线头自动剪线装置
CN204509696U (zh) * 2014-12-25 2015-07-29 上海标准海菱缝制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短线头自动剪线装置
JP6530197B2 (ja) * 2015-02-06 2019-06-12 Juki株式会社 ミシン
DE202015102172U1 (de) * 2015-04-30 2016-08-04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DE102015223194B3 (de) * 2015-11-24 2017-02-23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kurzem Soll-Nahtüberstand sowie Baugrupp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96854A (zh) 2018-11-13
EP3399089B1 (de) 2022-01-12
TW201900973A (zh) 2019-01-01
EP3399089A1 (de) 2018-11-07
TWI775849B (zh) 2022-09-01
KR20180122950A (ko) 2018-11-14
DE102017207626A1 (de)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84980A (ja) ミシン
WO2015147118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刺繍ミシン
JP4975358B2 (ja) ミシン及び玉縁縫いミシン
JP2008212443A (ja) ミシン
KR200486535Y1 (ko) 재봉기용 실 당김 블레이드, 이러한 종류의 실 당김 블레이드를 갖는 실 절단 어셈블리 및 재봉기
JP5766405B2 (ja) ミシン
JP2000300874A (ja) ボタン孔ミシン
KR102496910B1 (ko) 미리 결정된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 단부 하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DE102007019945A1 (de) Nähvorrichtung
JP2009160071A (ja) 玉縁縫いミシンの玉布押さえ機構
KR102496909B1 (ko)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의 시작 상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JP5174423B2 (ja) 玉縁縫いミシン
EP3360994A1 (de)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geringen soll-nahtüberstand
JP2007089987A (ja) 玉縁縫いミシン
US4542707A (en) Sewing machine having auxiliary work turning needle
JP2007195957A (ja) ミシン
CN106498629B (zh) 孔锁边缝纫机
JP5854478B2 (ja) 縫製装置の下糸繰出し装置
CN111575929B (zh) 缝纫机
JP4739869B2 (ja) ミシン
JPH08332290A (ja) ミシンの中押え機構
CN106245237B (zh) 嵌条缝制缝纫机
JP6520399B2 (ja)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4681765B2 (ja) ミシンの布ガイド装置及びミシン
JPH01172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