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287B1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287B1
KR102494287B1 KR1020217004726A KR20217004726A KR102494287B1 KR 102494287 B1 KR102494287 B1 KR 102494287B1 KR 1020217004726 A KR1020217004726 A KR 1020217004726A KR 20217004726 A KR20217004726 A KR 20217004726A KR 102494287 B1 KR102494287 B1 KR 10249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isplay
operator
precautions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743A (ko
Inventor
쇼타 이마무라
유지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8Target or limit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8War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7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vehicle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 없이 오퍼레이터에게 주의 사항을 적절히 알리는 것이 가능한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작업 기계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과, 작업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 대한 주의 사항을 나타내는 화상 광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와, 투사 장치에 의하여 투사되는 화상 광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작업 기계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한 작업 기계의 상태에 따라 표시부에 있어서의 주의 사항의 표시 양태가 변화되도록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
본 발명은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운전실의 창유리에 데칼을 첩부한 작업 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이 데칼은, 예를 들어 작업 기계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의 다양한 주의 사항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이른바 「주의 명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13-533406호 공보
근년의 작업 기계의 다기능화나 안전 의식의 고양에 수반하여, 창유리에 첩부해야 하는 데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모든 데칼을 첩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 없이 오퍼레이터에게 주의 사항을 적절히 알리는 것이 가능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이며, 상기 작업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 대한 주의 사항을 나타내는 화상 광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와, 상기 투사 장치에 의하여 투사되는 화상 광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작업 기계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작업 기계의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기 주의 사항의 표시 양태가 변화되도록 상기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 없이 오퍼레이터에게 주의 사항을 적절히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하여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캡을 출입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유압 셔블의 상태와, 주의 사항의 표시 스테이터스의 관계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다.
도 5는 주의 사항을 컴바이너의 중앙에 크게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주의 사항을 컴바이너의 단부에 작게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캡(7)을 출입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의 전후좌우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유압 셔블(1)에 탑승하여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에 지지된 상부 선회체(3)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1쌍의 무한 궤도(9)를 구비한다. 1쌍의 무한 궤도(9)는, 주행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한다. 단, 하부 주행체(2)는 무한 궤도(9) 대신 장륜식이어도 된다.
상부 선회체(3)는, 선회 모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선회 가능한 상태에서 하부 주행체(2)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베이스로 되는 선회 프레임(5)과, 선회 프레임(5)의 전방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런트 작업기(4)(작업 장치)와, 선회 프레임(5)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 캡(운전석)(7)과, 선회 프레임(5)의 후부에 배치된 카운터 웨이트(6)와, 배터리(8)(도 3 참조)를 주로 구비한다.
프런트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에 기복 가능하게 지지된 붐(4a)과, 붐(4a)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암(4b)과, 암(4b)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버킷(4c)과, 붐(4a), 암(4b) 및 버킷(4c)을 구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액추에이터)(4d 내지 4f)를 포함한다.
카운터 웨이트(6)는, 프런트 작업기(4)와의 중량 균형을 잡기 위한 중량물이다. 배터리(8)는, 엔진(도시 생략)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도시 생략)에서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고, 축전한 전력을 유압 셔블(1)의 각 부에 공급한다.
캡(7)은, 유압 셔블(1)을 조작하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자형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7)에는, 내부 공간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캡(7)의 외부를 시인하기 위하여 전방면 창(7a), 좌측면 창(7b), 우측면 창(7c) 및 배면 창(7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7)의 좌측면에는, 오퍼레이터가 캡(7)에 입퇴실하기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7)의 내부 공간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시트(10)와, 시트(10)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조작 장치(스티어링, 페달, 레버, 스위치 등)가 배치되어 있다.
캡(7)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가 주행하고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하고 프런트 작업기(4)가 동작한다. 조작 장치는 주행 조작 레버(11)와 프런트 조작 레버(12)와 게이트 로크 레버(로크 조작부)(13)와 푸시 버튼(14)과 키 스위치(15)(도 3 참조)를 포함한다. 게이트 로크 레버(13), 푸시 버튼(14) 및 키 스위치(15)는, 유압 셔블(1)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의 일례이다.
주행 조작 레버(11)는 1쌍의 무한 궤도(9)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 즉, 오퍼레이터가 주행 조작 레버(11)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가 전진, 후퇴, 선회한다. 프런트 조작 레버(12)는 유압 실린더(4d 내지 4f)의 신축을 제어한다. 즉, 오퍼레이터가 프런트 조작 레버(12)를 조작함으로써 프런트 작업기(4)가 동작한다.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유압 셔블(1)(즉, 주행 모터, 선회 모터, 유압 실린더(4d 내지 4f))의 동작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유압 셔블(1)의 동작을 허용하는 비로크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예를 들어 비로크 상태일 때 컨트롤러(20)에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즉, 게이트 로크 레버(13)로부터 조작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을 때, 주행 조작 레버(11) 및 프런트 조작 레버(12)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더라도 유압 셔블(1)은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게이트 로크 레버(13)로부터 조작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오퍼레이터에 의한 주행 조작 레버(11) 및 프런트 조작 레버(12)의 조작에 따라 유압 셔블(1)이 동작한다.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예를 들어 캡(7)의 출입구와 시트(1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도 2의 위치까지 끌어내리면 비로크 상태로 된다. 이때,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캡(7)의 출입구와 시트(10) 사이의 통로로 돌출하여 오퍼레이터의 캡(7)으로의 승강을 방해한다. 한편,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도 2의 위치로부터 끌어올리면 로크 상태로 된다. 이때, 게이트 로크 레버(13)는, 캡(7)의 출입구와 시트(10) 사이의 통로로부터 퇴피하여 오퍼레이터의 캡(7)으로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푸시 버튼(14)은,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눌러져(조작) 있는 동안에만 ON 상태로 되고, 오퍼레이터가 누르는 것을 그만두면 OFF 상태로 되는 모멘터리 스위치이다. 그리고 푸시 버튼(14)은, 예를 들어 ON 상태일 때만 컨트롤러(20)에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런트 조작 레버(12)의 선단에 푸시 버튼(14)을 마련하였지만, 푸시 버튼(14)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 스위치(15)는, 엔진을 시동 및 정지시키는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키 스위치(15)에 키를 삽입하고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얼터네이터가 회전하여 엔진이 시동된다(ON 상태). 한편, 키를 제2 방향까지 회전시키면 엔진이 정지된다(OFF 상태). 또한 키 스위치(15)는, 게이트 로크 레버가 로크 상태가 아니면 키를 제1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키 스위치(15)는 ON 상태일 때, 배터리(8)에 축전된 전력을 투사 장치(16) 및 컨트롤러(20)에 공급한다. 한편, 키 스위치(15)는 OFF 상태일 때, 투사 장치(16) 및 컨트롤러(2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키 스위치(15)는, 엔진을 시동시키지 않고 투사 장치(16) 및 컨트롤러(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위치로 키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배터리 구동 상태).
캡(7)의 내부 공간에는 투사 장치(16)와 컴바이너(표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투사 장치(16) 및 컴바이너(17)는,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야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HUD(Head-Up Display) 유닛을 구성한다.
투사 장치(16)는 컨트롤러(20)의 제어에 따라 컴바이너(17)에, 화상(정지 화상, 동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광을 투사한다. 즉, 투사 장치(16)는 컴바이너(17)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입사되도록 화상 광을 투사한다. 투사 장치(16)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컴바이너(17)는 투명한 판형(막상)의 부재이며, 캡(7)의 창에 첩부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컴바이너(17)는 우측면 창(7c)의 일부에 첩부되어 있다. 단, 컴바이너(17)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방면 창(7a), 좌측면 창(7b), 배면 창(7d)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기존의 창유리에 컴바이너(17)를 첩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컴바이너(17)의 기능을 가진 창유리를 캡(7)에 설치해도 된다. 즉, 표시부는 창유리여도 된다.
컴바이너(17)는, 캡(7) 밖으로부터 우측면 창(7c)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고, 또한 투사 장치(16)에 의하여 투사되는 화상 광을, 시트(10)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눈의 위치로 반사하는, 이른바 「하프 미러」이다. 즉, 시트(10)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는 컴바이너(17)를 통하여 캡(7) 밖을 시인할 수 있음과 함께, 투사 장치(16)로부터 투사된 화상 광으로 나타나는 화상이 컴바이너(17)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상기 구성의 HUD 유닛은, 시트(10)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게 허상을 시인시킨다. 그 때문에 HUD 유닛은, 컴바이너(17)에 표시시키는 화상의 시인 거리를 무한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시트(10)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는, 유압 셔블(1)의 주위의 상황과, 컴바이너(17)에 표시된 화상을, 초점 거리를 크게 변경하는 일 없이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HUD 유닛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1)을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야 하는 주의 사항(18)을 표시한다. 전형적으로는 주의 사항(18)은, 유압 셔블(1)의 조작을 개시하기 전에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켜야 하는 사항이다. 주의 사항(18)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갑자기 상부 선회체(3)의 선회를 개시하면 주위의 사람을 말려들게 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도 5 참조)이 해당한다.
단, 컴바이너(17)에 표시하는 주의 사항(18)의 구체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시트 벨트를 착용해야 하는 것, 개방된 전방면 창(7a)이 떨어져 내릴 가능성이 있는 것, 경사지에서는 유압 셔블(1)이 전도될 가능성이 있는 것, 프런트 작업기(4)가 전선에 접촉하면 감전될 가능성이 있는 것 등, 다양한 주의 사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캡(7)의 내부에는 데칼(19)이 첩부되어 있다. 데칼(19)은, 컴바이너(17)에 표시하는 주의 사항(18)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데칼(19)은, 시트(10)의 후방이고 또한 배면 창(7d)의 하방의 벽에 첩부되어 있다. 데칼(19)의 첩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예를 들어 창(7a 내지 7d) 이외의 위치)에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유압 셔블(1)의 블록도이다. 유압 셔블(1)은, HUD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를 구비한다. 더 상세하게는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 푸시 버튼(14) 및 키 스위치(15)의 상태에 따라 컴바이너(17)에 있어서의 주의 사항(18)의 표시 양태가 변화되도록 투사 장치(16)를 제어한다.
컨트롤러(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OM(Read Only Memory)(22) 및 RAM(Random Access Memory)(23)을 구비한다. 컨트롤러(20)는, ROM(22)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CPU(21)가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처리를 실현한다. RAM(23)은, CPU(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된다.
단, 컨트롤러(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컨트롤러(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유압 셔블(1)의 상태와, 주의 사항(18)의 표시 스테이터스의 관계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다.
먼저, 키 스위치(15)가 OFF 상태일 때, 배터리(8)로부터 투사 장치(16) 및 컨트롤러(2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20)는 컴바이너(17)에 주의 사항(18)을 표시하지 않는다(표시 스테이터스 A). 또한 키 스위치(15)가 OFF 상태일 때는, 오퍼레이터가 게이트 로크 레버(13) 및 푸시 버튼(14)을 조작하더라도 주의 사항(18)은 비표시인 채이다(표시 양태가 변화되지 않음).
다음으로,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이고 또한 푸시 버튼(14)이 OFF 상태일 때, 키 스위치(15)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면(S11), 컴바이너(17)에 주의 사항(18)을 표시한다(표시 스테이터스 B).
다음으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면(S12), 컴바이너(17)에 표시되어 있던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한다(표시 스테이터스 C). 또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이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면(S13), 컴바이너(17)에 다시 주의 사항(18)을 표시한다(표시 스테이터스 B).
즉,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이 눌러져 있지 않은 동안에는 주의 사항(18)을 표시하고, 푸시 버튼(14)이 눌러져 있는 동안에는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한다. 달리 말하면 컨트롤러(20)는, 푸시 버튼(14)이 눌러져 있는 동안에만 주의 사항(18)을 일시적으로 비표시로 한다. 또한 달리 말하면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이더라도 푸시 버튼(14)이 눌러져 있는 경우에는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푸시 버튼(14)이 OFF 상태일 때,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 전환되면(S14), 컴바이너(17)에 표시되어 있던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한다(표시 스테이터스 D). 또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푸시 버튼(14)이 OFF 상태일 때,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비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전환되면(S15), 컴바이너(17)에 주의 사항(18)을 표시한다(표시 스테이터스 B).
한편,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푸시 버튼(14)이 ON 상태일 때,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S16), 혹은 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 전환되더라도(S17), 주의 사항(18)의 비표시를 계속한다(표시 스테이터스 C, D).
또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이고 또한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비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의 상태가 전환되더라도 주의 사항(18)의 비표시를 계속한다(표시 스테이터스 C). 즉, 오퍼레이터는 주의 사항(18)의 표시 스테이터스를,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에 의하여 전환 가능하고,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비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에 의하여 전환 불능이다.
다음으로,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이고 또한 푸시 버튼(14)이 OFF 상태일 때, 키 스위치(15)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면(S18), 컴바이너(17)에 표시되어 있던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한다(표시 스테이터스 A).
또한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이고 또한 푸시 버튼(14)이 ON 상태일 때, 키 스위치(15)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면(S19), 주의 사항(18)의 비표시를 계속한다(표시 스테이터스 A). 마찬가지로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비로크 상태일 때, 키 스위치(15)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면(S20), 주의 사항(18)의 비표시를 계속한다(표시 스테이터스 A).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일 때 주의 사항(18)이 우측면 창(7c)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 셔블(1)의 조작을 개시하기 전의 오퍼레이터에게 주의 사항(18)을 적절히 알릴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비로크 상태일 때 주의 사항(18)이 비표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주위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유압 셔블(1)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일 때 푸시 버튼(14)에 의하여 주의 사항(18)의 표시 및 비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오퍼레이터가 푸시 버튼(14)을 누르면, 시계를 방해받는 일 없이 밖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푸시 버튼(14)을 모멘터리 스위치로 한 것에 의하여, 밖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가 푸시 버튼(14)을 누른 후에 주의 사항(18)이 비표시인 채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푸시 버튼(14)은, 오퍼레이터가 누를 때마다 ON 상태와 OFF 상태가 전환되는 얼터네이트 스위치여도 된다.
또한 투사 장치(16)는, 배터리(8)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 주의 사항(18)을 표시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컴바이너(17)에 표시하는 주의 사항(18)과 동일한 내용의 데칼(19)을 캡(7)에 첩부함으로써, 키 스위치(15)가 OFF 상태일 때도 오퍼레이터에게 주의 사항(18)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데칼(19)을 창(7a 내지 7d) 이외의 장소에 첩부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의 사항(18)을 표시하는 것을 제1 표시 양태의 일례로 하고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하는 것을 제2 표시 양태의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제1 표시 양태 및 제2 표시 양태의 구체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주의 사항(18)을 컴바이너(17)의 중앙에 크게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주의 사항(18)을 컴바이너(17)의 단부에 작게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표시 양태의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는 표시 스테이터스 B일 때 컴바이너(17)의 중앙에 주의 사항(18)을 크게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제2 표시 양태의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는 표시 스테이터스 C, D일 때 컴바이너(17)의 단부에 주의 사항(18)을 작게 표시해도 된다.
즉, 제2 표시 양태는,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하는 것, 제1 표시 양태보다 작게 표시하는 것, 제1 표시 양태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보다 창의 단부에 표시하는 것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표시 양태는, 제1 표시 양태보다 투과율을 높게 설정하는 것, 제1 표시 양태보다 채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 제1 표시 양태보다 명도를 높게 하는 것 등이어도 된다. 즉, 제2 표시 양태는, 제1 표시 양태보다도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는 표시 양태이면 된다.
또한 표시 스테이터스 C, D에 있어서의 주의 사항(18)의 표시 양태는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는, 표시 스테이터스 C일 때 주의 사항(18)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고, 표시 스테이터스 D일 때 주의 사항(18)을 비표시로 해도 된다.
또한 표시 스테이터스 B로부터 표시 스테이터스 C, D로의 전환의 타이밍은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는, 푸시 버튼(14)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면(S12), 주의 사항(18)의 표시 양태를 곧바로 전환해도 된다. 한편, 컨트롤러(20)는, 게이트 로크 레버(13)가 로크 상태로부터 비로크 상태로 전환되면(S14),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하고 나서 주의 사항(18)의 표시 양태를 전환해도 된다.
또한 상태 검출부의 구체예는 게이트 로크 레버(13), 푸시 버튼(14) 및 키 스위치(15)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서, 수평면에 대한 유압 셔블(1)의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경사각 센서, 혹은 전방면 창(7a)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전방 창 센서를 상태 검출부로 해도 된다.
또한 컴바이너(17)에 동시에 표시하는 주의 사항(18)은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컨트롤러(20)는 복수의 주의 사항(18)을 컴바이너(17)에 나열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20)는, 상태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유압 셔블(1)의 상태에 따라 컴바이너(17)에 표시하는 주의 사항(18)을 전환해도 된다.
일례로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된 직후에, 시트 벨트의 착용을 촉구하는 주의 사항을 컴바이너(17)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도 5에 도시하는 주의 사항(18)을 컴바이너(17)에 표시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컨트롤러(20)는, 경사각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경사 각도가 역치 이상일 때, 경사지에서는 유압 셔블(1)이 전도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리는 주의 사항을 컴바이너(17)에 표시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컨트롤러(20)는, 전방 창 센서에 의하여 전방면 창(7a)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때, 개방된 전방면 창(7a)이 떨어져 내릴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리는 주의 사항을 컴바이너(17)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일 때 게이트 로크 레버(13) 및 푸시 버튼(14)의 조작 상태에 따라 주의 사항(18)의 표시 및 비표시를 전환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키 스위치(15)가 배터리 구동 상태일 때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단, 배터리(8)에 축전된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컨트롤러(20)는, 키 스위치(115)가 배터리 구동 상태일 때 투사 장치(16)로부터 투사되는 화상 광의 광량을, 키 스위치(15)가 ON 상태일 때보다 작게 해도 된다.
또한 작업 기계의 구체예는 유압 셔블(1)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덤프 트럭, 모터 그레이더, 휠 로더 등의 작업 차량이어도 되고, 포스트에 고정되어 동작하는 고정식의 기계여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 실시 형태에만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다양한 양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작업 기계)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4: 프런트 작업기
4a: 붐
4b: 암
4c: 버킷
4d, 4e, 4f: 유압 실린더
5: 선회 프레임
6: 카운터 웨이트
7: 캡
7a: 전방면 창
7b: 좌측면 창
7c: 우측면 창
7d: 배면 창
8: 배터리
9: 무한 궤도
10: 시트
11: 주행 조작 레버
12: 프런트 조작 레버
13: 게이트 로크 레버(로크 조작부)
14: 푸시 버튼
15: 키 스위치
16: 투사 장치
17: 컴바이너
18: 주의 사항
19: 데칼
20: 컨트롤러
21: CPU
22: ROM
23: RAM

Claims (4)

  1.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이며,
    상기 작업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 대한 주의 사항을 나타내는 화상 광을 투사하는 투사 장치와,
    상기 투사 장치에 의하여 투사되는 화상 광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작업 기계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작업 기계의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기 주의 사항의 표시 양태가 변화되도록 상기 투사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작업 기계의 동작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 및 상기 작업 기계의 동작을 허용하는 비로크 상태로 오퍼레이터가 전환 가능한 로크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주의 사항을, 상기 로크 조작부가 상기 비로크 상태일 때는, 상기 로크 조작부가 상기 로크 상태일 때 표시하는 제1 표시 양태보다도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는 제2 표시 양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만 ON 상태로 되고, 오퍼레이터가 조작을 그만두면 OFF 상태로 되는 모멘터리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크 조작부가 상기 로크 상태이더라도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가 ON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주의 사항을 상기 제2 표시 양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양태는, 비표시로 하는 것, 상기 제1 표시 양태보다 작게 표시하는 것, 상기 제1 표시 양태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보다 창의 단부에 표시하는 것 중 어느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4. 삭제
KR1020217004726A 2019-03-08 2019-12-11 작업 기계 KR102494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2923 2019-03-08
JP2019042923A JP7012038B2 (ja) 2019-03-08 2019-03-08 作業機械
PCT/JP2019/048445 WO2020183829A1 (ja) 2019-03-08 2019-12-11 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743A KR20210031743A (ko) 2021-03-22
KR102494287B1 true KR102494287B1 (ko) 2023-02-06

Family

ID=7235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726A KR102494287B1 (ko) 2019-03-08 2019-12-11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2750B2 (ko)
EP (1) EP3936671A4 (ko)
JP (1) JP7012038B2 (ko)
KR (1) KR102494287B1 (ko)
CN (1) CN112639216B (ko)
WO (1) WO2020183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6654A1 (ja) * 2021-02-16 2022-08-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3195A (ja) 2008-01-25 2009-08-0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用表示システム
JP2013245509A (ja) 2012-05-28 2013-12-09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
WO2017043107A1 (ja) 2015-09-10 2017-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及び投写制御方法
JP6236577B2 (ja) * 2015-09-25 2017-1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及び投写制御方法
WO2018116601A1 (ja) 2016-12-21 2018-06-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0255B2 (ja) * 2003-02-07 2007-11-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装置
KR100702180B1 (ko) * 2005-08-11 2007-04-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자 진동 모니터링 장치
KR101763278B1 (ko) 2010-07-28 2017-07-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실 리어 유리 고정장치
CN102852170A (zh) * 2012-08-27 2013-01-02 泰州市华骏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视像系统的挖掘机
JP6102628B2 (ja) 2013-08-09 2017-03-2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308923B2 (ja) * 2014-09-18 2018-04-11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361986B2 (ja) * 2016-05-30 2018-07-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808377B2 (ja) * 2016-06-27 2021-01-06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の表示装置
KR101899981B1 (ko) * 2016-12-02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CN110115029B (zh) 2017-01-10 2021-07-16 富士胶片株式会社 投影型显示装置、投影型显示装置的控制方法、记录介质
JP7039983B2 (ja) * 2017-12-13 2022-03-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の注意喚起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3195A (ja) 2008-01-25 2009-08-0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用表示システム
JP2013245509A (ja) 2012-05-28 2013-12-09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
WO2017043107A1 (ja) 2015-09-10 2017-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及び投写制御方法
JP6236577B2 (ja) * 2015-09-25 2017-1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及び投写制御方法
WO2018116601A1 (ja) 2016-12-21 2018-06-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43559A (ja) 2020-09-10
JP7012038B2 (ja) 2022-01-27
WO2020183829A1 (ja) 2020-09-17
US11952750B2 (en) 2024-04-09
KR20210031743A (ko) 2021-03-22
CN112639216B (zh) 2022-12-16
EP3936671A4 (en) 2022-12-07
EP3936671A1 (en) 2022-01-12
US20210340732A1 (en) 2021-11-04
CN112639216A (zh)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0172B2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CN109070800A (zh) 用于车辆的图像显示设备和方法
CN107298050B (zh) 图像显示装置
JP6886106B2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
JP2019006277A (ja) 車両操作装置
JP2000329577A5 (ko)
EP3522133A1 (en) Work vehicle vicinity monitoring system and work vehicle vicinity monitoring method
JPWO2019049490A1 (ja) ショベル
KR102494287B1 (ko) 작업 기계
JP2023054217A (ja) 油圧ショベル
JP4567914B2 (ja) 建設機械
JP2017061283A (ja) 作業車両の周囲監視装置
JP6577436B2 (ja) 小型建設機械
JP6547077B2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0043419A (ja) 自走式作業機械の表示装置
US20180363273A1 (en) Work vehicle
JP2002020074A (ja) クレーン車の前方視認装置
JP7444120B2 (ja) スロープシステム
KR20030065987A (ko) 차량 전방향 시야 확보 시스템
JPH07137580A (ja) 電動格納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6922730B2 (ja) 建設機械の表示システム
WO2019021587A1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2043464A (ja) 報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車両
KR20060034084A (ko) 차량 주행 전방 안전 주시 카메라장치
JPH09220975A (ja) 移動体の後方安全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