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236B1 -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236B1
KR102493236B1 KR1020220061729A KR20220061729A KR102493236B1 KR 102493236 B1 KR102493236 B1 KR 102493236B1 KR 1020220061729 A KR1020220061729 A KR 1020220061729A KR 20220061729 A KR20220061729 A KR 20220061729A KR 102493236 B1 KR102493236 B1 KR 10249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nurungji
brown rice
wat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이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규 filed Critical 이종규
Priority to KR102022006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6Selen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38Undefined mineral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한 벼를 보관하고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와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자화수에 셀레늄 분말 5kg과 게르마늄 분말 5kg을 각각 투입하여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된 자화수 20 ℓ와,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하는 혼합수 제조단계(S2);와 제조된 상기 오분도 현미와 상기 혼합수로 밥을 짓는 밥짓기 단계(S3);와 지어진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 가열, 및 탈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단계(S4);와 제조된 누룽지를 별도의 포장수단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urungji enabling digestion and quality change retardation}
본 발명은 수확한 벼를 보관하고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와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자화수에 셀레늄 분말 5kg과 게르마늄 분말 5kg을 각각 투입하여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된 자화수 20 ℓ와,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하는 혼합수 제조단계(S2);와 제조된 상기 오분도 현미와 상기 혼합수로 밥을 짓는 밥짓기 단계(S3);와 지어진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 가열, 및 탈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단계(S4);와 제조된 누룽지를 별도의 포장수단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누룽지는 오늘날처럼 과자나 빵, 그 밖의 간식거리가 그다지 많지 않던 시절 가장 많이 찾던 간식 거리의 하나로서, 누룽지는 구수하고 담백한 맛으로 인하여 누룽밥이나 숭늉으로 만들어 먹는 등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입맛에 가장 잘 맞는 식사대용의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현미는 식이 섬유의 좋은 공급원인 것 외에 심장병의 위험 요인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리그난이라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리그난은 주로 통곡물, 아마씨, 참깨 및 견과류 등의 음식에서 발견이 됩니다. 리그난이 풍부한 현미밥을 먹으면 콜레스테롤 감소, 혈액 감소 및 동맥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미밥에는 식이 섬유의 좋은 공급원인 것 외에 심장병의 위험 요인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리그난이라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리그난은 주로 통곡물, 아마씨, 참깨 및 견과류 등의 음식에서 발견이 된다. 리그난이 풍부한 현미밥을 먹으면 콜레스테롤 감소, 혈액 감소 및 동맥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미는 식이 섬유의 좋은 공급원인 것 외에 심장병의 위험 요인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리그난이라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리그난이 풍부한 현미를 먹으면 콜레스테롤 감소, 혈액 감소 및 동맥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미에는 심장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네랄인 마그네슘이 매우 풍부하다. 또한, 현미는 소화를 느리게 하기 때문에 과식을 줄이고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고 자연적으로 문제가 되는 글루텐이 없기 때문에 면역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다.
이러한 현미로 누룽지를 만드는 종래 누룽지 중 현미 누룽지 관련 선행기술로는 여러 건이 공개되어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6987호(2014.08.27.)는 "(a) 쇄미를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로스팅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에서 로스팅한 쇄미와 현미를 일정 비율로 혼합 조성하는 단계; (c) 단계(b) 과정에서 혼합된 현미 혼합물에 스테비오 사이드를 물에 녹인 스테비오사이드 용액을 가수하여 현미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에서 수분함량이 조절된 현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하여 스크류 바렐을 150∼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운데 스크류를 통해 압출 팽화시켜 누룽지 스낵을 성형하는 단계; (e) 단계(d) 과정에서 압출성형기를 통해 성형되는 누룽지 스낵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및 (f) 단계(e) 과정에서 일정크기로 절단된 누룽지 스낵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현미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현미 누룽지 스낵"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008033호의 현미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미 누룽지 스낵은 제조된 후 한달 정도 지난 후에는 변질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008033호의 현미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현미 누룽지 스낵은 100% 현미로만 누룽지를 제조하고 있지 않고 쌀의 부스러기인 쇄미를 혼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현미의 효능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누룽지 제조에 사용되는 현미의 경우, 숙성시 영양소가 증대되었다가 싹이 나면서 즉, 발아되면서부터 영양소가 변화하여 싹으로 이동하므로 쌀알 내부의 질이 변하고 비워져서 쌀의 색깔이 변하고 밥알이 죽밥처럼 힘이 없고 쉰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9912호(2014.07.09.)에서는 "왕겨층이 제거된 현미가 저장되는 저장 사일로; 상기 저장 사일로로부터 공급되는 현미를 생수에 침지시켜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 세척된 현미를 일정시간 및 일정온도로 침지시켜 숙성시키기 위한 숙성 사일로; 숙성된 현미를 탈수 및 건조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탈수 및 건조된 현미의 표피층만을 급속 동결시키기 위한 동결기; 급속 동결된 현미의 표피층에 크랙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시간 및 일정온도로 열을 가하는 열풍기; 표피층에 크랙이 형성된 현미를 일정함량의 수분이 포함되도록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사일로; 일정함량의 수분이 포함되도록 건조된 현미를 정해진 무게로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 및 계량된 현미를 미리 준비된 포장지에 담아 밀봉하기 위한 포장기를 포함하되, 상기 동결기:는 숙성되어 탈수 및 건조된 현미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 동결된 현미를 상기 동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 및 상기 동결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동결된 현미를 상기 제1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결기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결기는 외부와의 열 차단를 위하여 단열재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1유입구에는 상기 동결기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회전문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가공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9912호의 식별번호 [0039]에서는 "상기 숙성 사일로(130) 내에서 숙성되는 현미(R)는 저온으로 일정시간 숙성되는데, 총 72시간의 숙성 시간을 거치며 초기 48시간 동안에는 15~25℃로 숙성되며 이후, 24시간 동안에는 25~30℃로 숙성되되, 3시간 마다 상기 생수 공급관(134)을 통해 생수를 공급하면서 현미(R)가 발아되기 직전까지 숙성시킨다. 이때, 초기 숙성을 통해 가바(GABA:gamma-aminobutyric acid) 성분은 배가되며, 후기 숙성을 통해 현미 내부의 영양분이 숙성되어 효소화된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는데,
가바 성분의 배가와 현미 내부의 영양분이 숙성되어 효소화를 위한 숙성을 위해 초기 숙성과 후기 숙성이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함과 동시에 초기 숙성과 후기 숙성 등 숙성에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6987호(2014.08.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281호(2013.7.22.)
본 발명에 의한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되고 나서 한달이 지난 후에도 변질 및 냄새의 발생이 방지되고 고소한 맛이 유지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00% 오분도 현미로만 누룽지를 제조하여 오분도 현미의 효능을 100% 발휘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분도 현미의 숙성시간을 단축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확한 벼를 보관하고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와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자화수에 셀레늄 분말 5kg과 게르마늄 분말 5kg을 각각 투입하여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된 자화수 20 ℓ와,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하는 혼합수 제조단계(S2);와 제조된 상기 오분도 현미와 상기 혼합수로 밥을 짓는 밥짓기 단계(S3);와 지어진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 가열, 및 탈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단계(S4);와 제조된 누룽지를 별도의 포장수단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는, 수확한 벼를 벼 보관 포대에 넣고 밀폐한 후 창고에서 저온저장하면서 보관하는 벼 보관단계(S1-1);와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상기 벼를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로 만드는 도정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짓기 단계(S3)는, 상기 벼의 도정 직후에 도정된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에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단계(S3-1);와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로부터 건져내어 물기를 제거하는 오분도 현미의 물기 제거단계(S3-2);와 상기 오분도 현미 20 kg과 상기 혼합수 15ℓ로 밥을 하는 밥하기 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룽지 제조단계(S4)는, 상기 밥에 상기 혼합수 1ℓ를 살포하는 혼합수 살포단계(S4-1);와 혼합수가 살포된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기계의 성형틀에 투입하는 밥 투입단계(S4-2);와 상기 성형틀 내부의 온도가 180∼220℃가 되도록 상기 성형틀을 가스불 위에서 돌려가면서 4분간 가열하여 굽는 가열단계(S4-3);와 상기 성형틀 내의 누룽지를 건조하고 동시에 누룽지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가열되어 누룽지가 만들어진 상기 성형틀을 개방하고 50초 내지 70초 동안 유지하는 성형틀 개방 유지단계(S4-4);와 건조되어 수분이 제거된 상기 누룽지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인출하는 누룽지 인출단계(S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상기 한약재는, 당귀, 후박, 진피, 지실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소화기능 개선 한약재;와 황련, 황백, 진교, 인삼, 수국, 강황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장건강 개선 한약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수 제조시 혼합되는 성분으로 마늘, 생강, 양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액 1k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제조되고 나서 한달이 지난 후에도 변질 및 냄새의 발생이 방지되고 고소한 맛이 유지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100% 오분도 현미로만 누룽지를 제조하여 오분도 현미의 효능을 100% 발휘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오분도 현미의 숙성시간을 단축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밥기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누룽지 제조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수확한 벼를 보관하고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고,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자화수에 셀레늄 분말 5kg과 게르마늄 분말 5kg을 각각 투입하여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된 자화수 20 ℓ와,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 후, 상기 오분도 현미와 상기 혼합수를 이용하여 밥을 짓으며, 지어진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 가열, 및 탈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며, 포장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밥기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누룽지 제조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와, 혼합수 제조단계(S2)와, 밥짓기 단계(S3)와, 누룽지 제조단계(S4)와, 포장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는 수확한 벼를 보관하고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단계로, 여기서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이유는 벼는 껍질이 벗겨지는 순간부터 산화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산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즉시 벼를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는, 수확한 벼를 벼 보관 포대에 넣고 밀폐한 후 창고에서 저온저장하면서 보관하는 벼 보관단계(S1-1);와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상기 벼를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로 만드는 도정단계(S1-2)를 포함한다. 상기 벼 보관단계(S1-1)에서는 수확한 벼를 벼 보관 포대에 넣고 밀폐하여 창고에서 저온저장하면서 보관하여 저온에서 호흡을 억제시켜 벼 또는 쌀이 지니고 있는 성분을 소모시키지 않고 품질을 그대로 유지시켰다. 여기서, 저온저장이라함은 수확한 벼를 창고에 벼의 수분함량 15% 상태에서 실내온도 10~15℃와 상대습도 70~80% 정도에서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위와 같은 저온저장은 부패성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고 곡물 내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정단계(S1-2)에서는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상기 벼를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로 만들었다. 여기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상기 벼를 도정하는 이유는 벼는 껍질이 벗겨지는 순간부터 산화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산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상기 벼를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것이다.
한편, 수확한 벼의 껍질(왕겨)만을 벗겨낸 것을 현미라고 하며, 현미에서 쌀겨층을 100% 제거한 것을 백미(10분도미)라고 한다. 오분도 현미는 도정과정에서 쌀겨층을 50%만 제거한 것을 말하며, 쌀겨층을 제거한 분량만큼 현미보다는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의 양은 감소하지만 백미에 가까워 먹기는 한결 부드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미에서 쌀겨층을 한 번에 50%를 깎아 오분도 현미를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의 양은 감소하지만 백미에 가까워 먹기는 한결 부드럽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미에서 쌀겨층을 10%씩 다섯 번을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를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한 번에 50%를 깎아 오분도 현미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맛도 쌀눈도 살아 있다.
상기 혼합수 제조단계(S2)에서는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자화수에 셀레늄 분말 5kg과 게르마늄 분말 5kg을 각각 투입하여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된 자화수 20 ℓ와,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자화수는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되며, 예를 들면 혼합수용 통 안에 든 자화수 내에서 침전된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 위에 해당하는 상기 혼합수 통에 자화수 배출통로를 형성하여 두면 이러한 배출통로를 통해 자화수만 단독으로 배출되어 자화수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자화수는 강력한 자력 장치를 통과시킨 물로서 자력 장치를 통과할 때 물분자가 조밀한 상태로 세분화되어 "정화력", "세정력", "용해력", "침투력", "살균력" 등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현미 내부의 영양분을 상기 자화수로 숙성시키면 효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셀레늄과 게르마늄은 각각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상기 자화수에 대해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불소, 염소이온, 수소이온농도, 황상이온, 크실렌 등의 검사항목에 대하여 검사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53357348-pat00001
검사결과 상기 자화수에서 일반세균, 총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유해물질인 크실렌도 검출되지 않았고, 불소, 염소이온, 수소이온농도, 황상이온은 검사기준치 범위 이내에 들어 있어 적합하여 상기 자화수의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은 분말 상태로 자화수에 침전되므로 자화수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고 이 상태로 24시간 동안 자화수에 침전되어 있으면 상기 자화수는 자화수 자체의 상기 효능 외에 상기 자화수에서 셀레늄과 게르마늄의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상기 한약재는, 당귀, 후박, 진피, 지실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소화기능 개선 한약재;와 황련, 황백, 진교, 인삼, 수국, 강황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장건강 개선 한약재를 포함한다.
상기 당귀는, 변비 완화, 탈모 예방, 진통제 역할, 혈액순환 촉진, 면역력 증진, 홍조 완화, 빈혈 예방, 관점염 개선, 등의 효능 외에, 소화액을 만들어내며, 분비를 활성화시키고, 소화기관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자극해서 장기적으로 기능을 잃은 소화기능을 회복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후박은, 항염과 항균 효과 외에, 위장질환이 있거나 수술 후 장내에 가스가 차는 경우에 좋다고 해요. 따뜻한 성질로 위가 차가워져 생기는 증세들을 완화시키는 것인데,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고 변비가 있는 경우에도 장운동을 도와 해소하기 쉽도록 한다.
상기 진피는, 기침과 가래 완화, 간 기능 강화, 노권상(勞倦傷) 완화, 등의 효능 외에, 스트레스 때문에 기가 막혀 소화불량이 생겼을 때 효과적이다.
상기 지실은, 잦은 복통, 변비, 식후 답답함 해소 등의 효능 외에, 소화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진다.
상기 황련은, 심화(心火)가 심하여 고열로 정신이 혼미하거나 가슴이 답답하여 잠이 안 오는 경우, 그리고 혈열(血熱)로 인해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나는 것 등을 치료하는 효능 외에, 장위(腸胃)의 습열(濕熱)로 인한 구토, 복통, 이질, 설사 등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황백은 황경피라 부르고 맛은 쓰며 찬성질로 인해 인체의 열을 내리고 습을 제거하며 신장, 대장, 심포, 방광에 작용하며 해독의 효능이 있다.
상기 진교는 위경, 대장경, 간경, 담경에 작용하며 풍습을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열을 내리고 대소변을 잘 누게 한다.
상기 인삼은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직장암, 간암 등에 일부 효과가 있다.
상기 수국은 대장에 있는 숙변과 같은 오래된 찌꺼기를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풍부한 섬유성분이 장내 환경을 개선시키고, 장에서 유익한 균을 배양시키기 때문에 배변활동이 좋아지며, 결과적으로 대장에서 배출되는 나쁜 성분을 해독시키기 위해 간이 정화작용을 하는 부담을 줄게 되어서 피부상태가 좋아지는 결과까지 이어질 수 있다.
상기 강황은 황금이라는 뜻의 아라비아어에서 유래한 말로 강황이 황금색을 띠게 만드는 것이 바로 '커큐민' 성분이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커큐민은 대장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강황 속 커큐민은 몸 속 활성산소를 제거해 대장암을 예방할 뿐 아니라 대장암 세포를 공격해 죽인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상기 한약재는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밥짓기 단계(S3)는 제조된 상기 오분도 현미와 상기 혼합수로 밥을 짓는 단계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벼의 도정 직후에 도정된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에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단계(S3-1);와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로부터 건져내어 물기를 제거하는 오분도 현미의 물기 제거단계(S3-2);와 상기 오분도 현미 20 kg과 상기 혼합수 15ℓ로 밥을 하는 밥하기 단계(S3-3)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상기 오분도 현미를 벼의 도정 직후에 도정하여 상기 혼합수에 투입하기 때문에 오분도 현미 자체가 신선하며, 상기 숙성단계(S3-1)에서 상기 벼의 도정 직후에 도정된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에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하므로 초기 숙성과 후기 숙성이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함과 동시에 초기 숙성과 후기 숙성 등 숙성에 총 72시간이 걸려서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는 종래 기술의 숙성과정에 비하여 숙성 단계 자체가 간소화해짐과 동시에 숙성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숙성에 의해 상기 오분도 현미에는 가바(GABA:gamma-aminobutyric acid) 성분이 배가되며, 현미 내부의 영양분이 숙성되어 효소화된다고 하는 효능은 그대로 가지게 되었다. 또한, 상기 오분도 현미의 물기 제거단계(S3-2)에서는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로부터 건져내어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밥하기 전에 오분도 현미가 깨끗한 상태가 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밥하기 단계(S3-3)에서는 오분도 현미 20 kg과 상기 혼합수 15ℓ로 밥을 하는데, 상기 혼합수가 살균된 자화수이므로 지어진 밥이 살균됨과 동시에 가바 성분이 배가되며, 밥 내부의 영양분이 효소화되어 있게 되었다.
상기 누룽지 제조단계(S4)는 지어진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 가열, 및 탈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일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밥에 상기 혼합수 1ℓ를 살포하는 혼합수 살포단계(S4-1);와 혼합수가 살포된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기계의 성형틀에 투입하는 밥 투입단계(S4-2);와 상기 성형틀 내부의 온도가 180∼220℃가 되도록 상기 성형틀을 가스불 위에서 돌려가면서 4분간 가열하여 굽는 가열단계(S4-3);와 상기 성형틀 내의 누룽지를 건조하고 동시에 누룽지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가열되어 누룽지가 만들어진 상기 성형틀을 개방하고 50초 내지 70초 동안 유지하는 성형틀 개방 유지단계(S4-4);와 건조되어 수분이 제거된 상기 누룽지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인출하는 누룽지 인출단계(S4-5)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혼합수 살포단계(S4-1)에서는 상기 밥에 상기 혼합수 1ℓ를 살포하는데, 상기 혼합수가 살균된 자화수이므로 지어진 밥이 살균됨과 동시에 가바 성분이 배가되며, 밥 내부의 영양분이 효소화되어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밥 투입단계(S4-2)에서는 혼합수가 살포된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기계의 성형틀에 투입하여 누룽지 제조 전 준비를 완료한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4-3)에서는 상기 성형틀 내부의 온도가 180∼220℃가 되도록 상기 성형틀을 가스불 위에서 돌려가면서 4분간 가열하여 굽는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성형틀 내에 투입된 밥이 상하 골고루 가열되어 구워져서 소화촉진 효과가 있는 누룽지가 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성형틀 개방 유지단계(S4-4)에서는 상기 성형틀 내의 누룽지를 건조하고 동시에 누룽지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가열되어 누룽지가 만들어진 상기 성형틀을 개방하고 50초 내지 70초 동안 유지하였는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성형틀 내의 누룽지를 건조하고 냉각함과 동시에 누룽지의 수분을 제거하여 수분 함유로 인한 누룽지의 변질 및 냄새발생 등의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누룽지 인출단계(S4-5)에서는 건조되고 냉각되어 수분이 제거된 상기 누룽지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인출하여 완성된 누룽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룽지 제조단계(S4)는 상기 누룽지 인출단계(S4-5)의 다음에 누룽지를 5-6분간 자연냉각하는 누룽지 자연냉각단계(S4-6)을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누룽지가 추가로 5-6분간 자연냉각됨으로써 포장단계(S5)에서 별도의 포장수단으로 포장시 별도의 상기 포장수단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었다.
상기 포장단계(S5)에서는 제조된 누룽지를 별도의 포장수단에 넣어 포장한다. 포장의 방법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별도의 상기 포장수단은 판매용 비닐 포장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별도의 상기 포장수단은 종이컵 라면이나 종이컵 우동 등을 포함하는 종이컵 포장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종이컵 포장지 안에 본 발명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가 내장되어 있으면 종이컵 포장지를 개방하여 냉온 정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받아 누룽지를 말아 즉석에서 먹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수 제조시 혼합되는 성분으로 마늘, 생강, 양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액 1kg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늘의 주요 성분인 '알리신'은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이외에도 염증 진정,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면역력 증진, 혈액 응고 감소, 항산화 작용등의 역할을 하므로 마늘 추출액이 혼합된 자화수 역시 위 마늘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생강은 항암과 항염, 살균작용, 혈액순환과 백혈구 증식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발열, 두통, 기침, 가래 등 감기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진저롤 성분은 공복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당뇨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므로, 생강 추출액이 혼합된 자화수 역시 위 생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양파는 '혈관청소부'로 불릴 만큼 혈관에 좋은 음식으로 유명하다. 양파의 퀘르세틴이라는 성분은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해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준다. 또 매운 맛을 내는 유화프로필알린 성분은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당을 낮춘다. 따라서, 양파 추출액이 혼합된 자화수 역시 위 양파와 동일한 효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 :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
S1-1 : 벼 보관단계
S1-2 : 도정단계
S2 : 혼합수 제조단계
S3 : 밥짓기 단계
S3-1 : 숙성단계
S3-2 : 오분도 현미의 물기 제거단계
S3-3 : 밥하기 단계
S4 : 누룽지 제조단계
S4-1 : 혼합수 살포단계
S4-2 : 밥 투입단계
S4-3 : 가열단계
S4-4 : 성형틀 개방 유지단계
S4-5 : 누룽지 인출단계
S5 : 포장단계

Claims (6)

  1. 수확한 벼를 보관하고 누룽지 제조시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오분도 현미를 제조하는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와
    자화수 제조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혼합수 통 안에 든 20 ℓ 초과의 자화수에 셀레늄 분말 5kg과 게르마늄 분말 5kg을 각각 투입하여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상기 셀레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추출된 자화수 20 ℓ와,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물질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하는 혼합수 제조단계(S2);와
    제조된 상기 오분도 현미와 상기 혼합수로 밥을 짓는 밥짓기 단계(S3);와
    지어진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장치에 투입, 가열, 및 탈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단계(S4);와
    제조된 누룽지를 별도의 포장수단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오분도 현미 제조단계(S1)는,
    수확한 벼를 벼 보관 포대에 넣고 밀폐한 후 창고에서 저온저장하면서 보관하는 벼 보관단계(S1-1);와
    벼 보관 포대를 개방하여 개방 즉시 상기 벼를 도정하여 오분도 현미로 만드는 도정단계(S1-2)를 포함하며,
    상기 밥짓기 단계(S3)는,
    상기 벼의 도정 직후에 도정된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에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단계(S3-1);와
    상기 오분도 현미를 상기 혼합수로부터 건져내어 물기를 제거하는 오분도 현미의 물기 제거단계(S3-2);와
    상기 오분도 현미 20 kg과 상기 혼합수 15ℓ로 밥을 하는 밥하기 단계(S3-3)를 포함하고,
    소화기능 및 장건강을 개선하는 상기 한약재는,
    후박, 진피, 지실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소화기능 개선 한약재;와
    황련, 황백, 진교, 수국, 강황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장건강 개선 한약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룽지 제조단계(S4)는,
    상기 밥에 상기 혼합수 1ℓ를 살포하는 혼합수 살포단계(S4-1);와
    혼합수가 살포된 상기 밥을 누룽지 제조기계의 성형틀에 투입하는 밥 투입단계(S4-2);와
    상기 성형틀 내부의 온도가 180∼220℃가 되도록 상기 성형틀을 가스불 위에서 돌려가면서 4분간 가열하여 굽는 가열단계(S4-3);와
    상기 성형틀 내의 누룽지를 건조하고 동시에 누룽지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가열되어 누룽지가 만들어진 상기 성형틀을 개방하고 50초 내지 70초 동안 유지하는 성형틀 개방 유지단계(S4-4);와
    건조되어 수분이 제거된 상기 누룽지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인출하는 누룽지 인출단계(S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제조시 혼합되는 성분으로 마늘, 생강, 양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액 1k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0220061729A 2022-05-20 2022-05-20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49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29A KR102493236B1 (ko) 2022-05-20 2022-05-20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29A KR102493236B1 (ko) 2022-05-20 2022-05-20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236B1 true KR102493236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29A KR102493236B1 (ko) 2022-05-20 2022-05-20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2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0043A (ja) * 1987-03-20 1988-09-26 Koresawa Tekkosho:Kk 炊飯前処理方法
KR100693905B1 (ko) * 2005-05-02 2007-03-13 김경미 미네랄 함유 자화 활성 기능수의 제조장치
KR101290281B1 (ko) 2013-06-20 2013-08-07 박종복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436987B1 (ko) 2012-12-17 2014-09-04 전주기전대학 산학협력단 현미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현미 누룽지 스낵
KR20180029310A (ko) * 2016-09-12 2018-03-21 (주)라이스바이오텍 오분도미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4196A (ko) * 2019-01-02 2020-07-10 조민 과일즙과 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0043A (ja) * 1987-03-20 1988-09-26 Koresawa Tekkosho:Kk 炊飯前処理方法
KR100693905B1 (ko) * 2005-05-02 2007-03-13 김경미 미네랄 함유 자화 활성 기능수의 제조장치
KR101436987B1 (ko) 2012-12-17 2014-09-04 전주기전대학 산학협력단 현미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현미 누룽지 스낵
KR101290281B1 (ko) 2013-06-20 2013-08-07 박종복 보리·현미 혼합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80029310A (ko) * 2016-09-12 2018-03-21 (주)라이스바이오텍 오분도미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4196A (ko) * 2019-01-02 2020-07-10 조민 과일즙과 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399B1 (ko) 돈피를 이용한 묵 및 묵 제조방법
KR101806072B1 (ko)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KR100989865B1 (ko) 기능성 숙성 흑양파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699823B1 (ko) 장기간 보관 가능한 김치 제조방법
CN106942607A (zh) 一种用于润肠通便的组合物、含其的食疗冲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21310A (ko) 막걸리에 발효숙성된 연잎분말을 이용한 기호식의 피 제조방법.
KR102148926B1 (ko)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KR20120035302A (ko) 간장게장의 간장소스 제조방법
CN106819882A (zh) 一种桂花香黄金牛肉粒的制作方法
KR102493236B1 (ko) 소화촉진 및 변질지연이 가능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981429B1 (ko) 모링가 울금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102626575B1 (ko) 흑염소 중탕 엑기스 제조방법
KR101253777B1 (ko) 뽕잎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0092B1 (ko) 한방 동자 복숭아 장아찌의 제조방법
CN103609959A (zh) 一种排毒养颜的健康粥及其制法
KR100867151B1 (ko) 놀부 약선김치의 제조방법
KR101003563B1 (ko) 홍삼김치의 제조방법
CN103637308A (zh) 一种具有排毒效果的果蔬饮料及其制作方法
CN109673994B (zh) 酸木瓜辣椒果酱及其制备方法
KR20180034905A (ko) 삼백초 및 어성초가 포함된 약선 소스, 이를 사용한 수산물의 염장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반 고등어
KR102084320B1 (ko) 고추장아찌 제조방법
KR0183958B1 (ko) 진잎김치의 속성제조방법과 그 제품을 이용한 식품
CN105076457A (zh) 蔬菜水果奶酪及制法
KR102486176B1 (ko) 마농 두부 바게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