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072B1 -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072B1
KR101806072B1 KR1020170057969A KR20170057969A KR101806072B1 KR 101806072 B1 KR101806072 B1 KR 101806072B1 KR 1020170057969 A KR1020170057969 A KR 1020170057969A KR 20170057969 A KR20170057969 A KR 20170057969A KR 101806072 B1 KR101806072 B1 KR 10180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broth
samgyetang
weight
st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림
Priority to KR102017005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072B1/ko
Priority to US15/961,927 priority patent/US20180325151A1/en
Priority to JP2018084193A priority patent/JP6633124B2/ja
Priority to CN201810377141.3A priority patent/CN108850949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7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B2/72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2/729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2/74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B2/75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l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찹쌀, 수삼, 대추가 투입된 닭고기를 100% 스팀 자숙하여 열처리하고 식품첨가물을 이용하여 제품에서 발생 가능한 닭 특유의 이취 및 비릿한 향을 없앨 뿐 만 아니라 닭고기 조직내외에 수분을 보충하여 육질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육수 추출시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압과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단시간에 균일한 육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재료 투입이 완료된 삼계탕용 닭고기는 스팀자숙수단을 이용하여 100% 스팀 자숙시는 것과, 닭발을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육수를 추출한 것과, 추출된 육수는 육수 30중량%에 정제수 65중량%,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한 후 조미제를 첨가하여 육수조미액을 얻는 것과, 이후 준비된 닭고기에 육수조미액을 포장지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열처리 및 영하 35℃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급속 동결하는 것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INSTANT GINSENG CHICKENSOUP}
본 발명은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찹쌀, 수삼, 대추가 투입된 닭고기를 100% 스팀 자숙하여 열처리하고 식품첨가물을 이용하여 제품에서 발생 가능한 닭 특유의 이취 및 비릿한 향을 없앨 뿐 만 아니라 닭고기 조직내외에 수분을 보충하여 육질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육수 추출시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압과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단시간에 균일한 육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계탕은 예로부터 기가 허한 사람들의 보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몸이 차고 추위를 많이 타거나, 자꾸 마르거나, 식은 땀을 많이 흘리거나, 쉬 피로하고 편식을 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사람에게 좋다. 특히, 원기가 허할 때나 입맛이 없을 때, 산모의 산전 산후에, 와병중에 있는 환자의 기력회복에 효능이 입증된 전통음식이며, 여름철 소모되기 쉬운 기력 보충에 효과적이어서 많은 소비가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다.
삼계탕의 주재료인 닭고기는 육질을 구성하는 섬유가 가늘고 연하며, 지방질이 근육 속에 섞여 있지 않기 때문에 맛이 담백하고 소화흡수가 잘 되는 단백질 식품이다. 질 좋은 단백질과 지방질 섭취가 필요한 임산부는 예부터 미역국에 닭을 넣어 끓여 먹었다. 또한, 닭고기에는 메티오닌을 비롯한 필수아미노산이 많아 새 살을 돋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특히 닭고기의 단백질은 지방산 중 리놀레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 예방에 좋으며 노인식이나 환자식으로도 적합하고 비타민 A, B1, B2, 니아신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닭날개 부위에 많은 뮤신은 성장을 촉진하고 운동기능을 증진시키며 단백질의 흡수력을 높여준다.
위와 같이 좋은 효능을 갖는 삼계탕을 조리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현대적 생활 구조상 삼계탕을 즐겨 섭취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어 복잡한 요리과정 없이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즉석 취식용 삼계탕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기존 편의식품으로서 삼계탕 가공식품이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즉석 취식용 삼계탕을 통하여 간편하고 쉽게 삼계탕을 취식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닭고기 특유의 냄새와 잡맛 때문에 식감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육수 제조시 균일한 육수를 추출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217651호(2012.12.26) [특허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264985호(2013.05.09)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찹쌀, 수삼, 대추가 투입된 닭고기를 100% 스팀 자숙하여 열처리하고 식품첨가물을 이용하여 제품에서 발생 가능한 닭 특유의 이취 및 비릿한 향을 없앨 뿐 만 아니라 닭고기 조직내외에 수분을 보충하여 육질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닭발을 이용한 육수 추출시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압과 온도를 조절하여 열을 교환함으로써 단시간에 균일한 육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부재료 투입이 완료된 삼계탕용 닭고기는 스팀자숙수단을 이용하여 100% 스팀 자숙시키는 것과, 닭발을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육수를 추출한 것과, 추출된 육수는 육수 30중량%에 정제수 65중량%,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한 후 조미제를 첨가하여 육수조미액을 얻는 것과, 이후 준비된 닭고기에 육수조미액을 포장지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열처리 및 영하 35℃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급속 동결하는 것과,
상기 스팀자숙수단은 부재료 투입이 완료된 닭고기를 채반에 올린후 대차를 이용하여 자숙기에 넣는 1단계 공정; 1단계 공정을 거치면 자숙기 내부에 100% 스팀을 투입하여 제품의 표면이 마르지 않게 하는 2단계 공정; 3단계 공정을 거쳐 스팀 자숙이 완료된 닭고기에 냉각수를 뿌려 표면의 지방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닭고기 표면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하는 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과,
상기 2단계 공정에서 스팀 자숙시 스팀자숙 조건은 85~90℃의 온도에서 40~55분간 실시하는 것과,
상기 열교환 가열수단을 통해 추출되는 육수는 닭발을 85~99℃ 온도의 열수에서 닭발을 투입하여 10~15초 침지후 드럼탈모기를 이용하여 닭발을 탈피하는 1단계 공정; 탈피된 닭발은 추출기 온도 60℃에서 10~20분간 가열하여 닭발을 데치는 2단계 공정; 2단계 공정을 거친 닭발은 온도 60℃ 조건에서 15~20분간 2회에 걸쳐 호스를 이용하여 핏물을 제거하는 3단계 공정; 핏물이 제거된 닭발은 정제수와 야채와 함께 열 교환식 가열 추출기에 투입하여 온도 105℃ 도달하면 210분±30분 가열하여 육수 원액을 추출하는 4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과,
4단계 공정에서 열 교환식 가열 추출기내에서 가열되는 압력은 1.1 pa 조정하고, 1시간 단위로 압력을 빼주어 열을 교환하면서 육수를 추출하는 것과,
육수로 추출되는 원료 배합비는 닭발 8~12중량%, 양파 1~3중량%, 마늘 0.5~1.5중량%, 생강 0.2~0.4중량%에 나머지 잔량을 정제수로 채워서 100중량%를 이루도록 제공하는 것과,
상기 열 교환식 가열 추출기에서 추출된 육수는 희석탱크내에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하고, 온도 90~100℃에서 5분간 끓이는 것과,
상기 희석탱크 내에서 끓여진 육수 조미제를 투입하여 5분 정도 더 끓여 용해시킨 후 육수조미액을 얻는 것과,
상기 육수조미액의 염도는 염도계로 측정시 측정온도 37±2℃ 범위에서 0.75~0.06% 기준이 되게 하는 것과,
상기 포장지에 투입되는 즉석 삼계탕 원료의 전체 배합비는 닭고기 40~45중량%, 찹쌀, 4~6중량%, 수삼 0.5~1.5중량%, 대추 0.3~0.5중량%에 나머지 잔량을 육수조미액을 채워서 100중량%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찹쌀, 수삼, 대추가 투입된 닭고기를 100% 스팀 자숙하여 열처리 하고 식품첨가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품에서 발생 가능한 닭 특유의 이취 및 비릿한 향을 없앨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닭고기 조직내외에 수분이 보충되어 육질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닭발을 이용하여 육수 추출시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압과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균일한 육수를 추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의 제조공정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숙시 시간당 제품 중심온도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은 부재료 투입이 완료된 삼계탕용 닭고기는 스팀자숙수단을 이용하여 100% 스팀 자숙시키는 것과, 닭발을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육수를 추출한 것과, 추출된 육수는 육수 30중량%에 정제수 65중량%,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한 후 조미제를 첨가하여 육수조미액을 얻는 것과, 이후 준비된 닭고기에 육수조미액을 포장지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열처리 및 영하 35℃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급속 동결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해서는 닭고기, 닭고기에 충전되는 찹쌀, 대추 및 육수를 얻기위한 닭발, 양파, 마늘, 생강, 정제수, 조미제에 해당하는 천일염, 백후추, 백설탕, 정제수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은 스팀자숙수단을 통해 스팀 자숙되는 닭고기와,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닭발에서 추출되는 육수와, 식품첨가물, 조미제를 육수에 첨가하여 육수조미액을 각각 얻은후, 포장지에 충전하여 급속 동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즉석 삼계탕으로 제조 완료된다.
이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스팀자숙수단을 이용한 닭고기 스팀 자숙 공정
먼저 주재료인 원료에 해당하는 닭고기를 준비한다. 이때 신선한 삼계육이 사용되는데 병, 약계가 아닌 위생 삼계육을 구입하여 털, 발, 목, 미지선, 복강 내 불가식 부위를 제거한 상태로 도계한다. 이러한 닭고기의 중량 범위는 350g~500g의 원료육이 사용된다.
또한, 복강 내에 남아 있는 허파, 염통, 덩이지방등과 잔모 및 표피에 묻어 있는 노란 표피를 제거하고, 미지선과 목을 절단하여 이용하며 도계 처리된 닭고기는 외관상 피멍이 없어야 하며, 골절된 부분도 없어야 한다. 상기의 조건을 준수하였을 때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므로 계육 내외에 부착되어 있는 불 가식부위를 철저히 제거한 후 세척을 하여 이용한다.
닭고기에 주입되는 찹쌀은 깨끗이 세척한 후 물에 1-2시간 불린 후 탈수시켜 준비하고, 대추는 3~5g/EA 정도의 것을 세척하여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닭고기, 찹쌀, 대추 준비가 완료되면 닭고기의 복강 내에 대추를 투입하고 세척한 찹쌀을 45g 충전한다. 이후 찹쌀, 대추가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충전을 하고 한쪽다리의 아래 부분의 껍질부위에 칼집을 내어 반대편 다리를 끼워 다리가 "X"자가 되도록 한다.
투입이 완료된 닭고기는 금속 검출기 통과 후 이상이 없을 경우 스팀자숙 공정을 실시한다.
투입이 완료된 닭고기는 자숙 채반에 올린 후 대차를 이용하여 스팀자숙기(STEAM OVEN)에 넣고 자숙열처리를 실시한다. 이때 스팀자숙에 사용되는 스팀자숙기는 100% 스팀을 이용하여 자숙(cooking)가능한 설비가 사용된다.
상기 스팀자숙기의 스팀자숙 조건은 온도 85~90℃, 40~55분간 실시하고, 스팀은 100% 투입하여 제품의 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이후 자숙이 완료된 닭고기에 냉각수를 뿌려 표면의 지방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의 이때 표면온도는 40℃이하로 유지한다.
스팀 자숙의 효과는 지방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미생물을 사멸하고 식감 및 수율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직한 조직감을 부여하고, 풍미를 개선시키며,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닭고기를 스팀자숙기에 투입하고 스팀 자숙시 시간당 제품 중심온도의 변화는 도2에서와 같이 40~55분간 실시할 때 제품 중심온도는 84.4℃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닭발에서 육수를 추출하는 공정
준비된 닭발은 85~99℃ 정도의 열수에 일정량의 닭발을 투입하여 10~15초 정도 침지후 드럼 탈모기를 이용하여 탈피하거나, 이중솥에서 충분히 탈피, 세척하여 사용한다.
이후 온도와 시간이 초과되면 닭발 껍질이 육과 함께 익어 분리되지 않으므로 온도와 시간을 준수하여야 하며, 한꺼번에 많은 양을 침지후 외부에 장시간 방치하면 분리되지 않으므로 조금씩 침지하여 탈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닭발 데치기(Blanching)
닭발은 탈피된 것이 사용되고 이물질이나 닭 발톱, 반점 등이 있는 부분을 깨끗이 정선후 냉장 보관된 것을 사용한다.
-닭발 세척
데친 닭발을 세척하기 위해 60℃ 조건에서 15~20분간 약 2회에 걸쳐 호스를 이용하여 핏물이 나오지 않게 세척해 준다.(배관확인으로 핏물제거 유무 판단)
-육수제조
세척된 닭발은 정제수와 야채와 함께 열교환식 가열 추출기내에 투입하여 105℃ 도달하면 210분±30분 정도 가열하여 원액을 추출하고, 투입되는 야채 중 양파는 4등분, 생강은 가능하면 10mm간격으로 슬라이스하고, 마늘은 그대로 투입한다.
이때 열교환식 가열 추출기의 압력은 1.1pa 조정하고, 1시간 단위로 압력을 빼준다.(교반의 개념)
상기와 같이 열교환 가열 추출기에서 추출되는 육수의 적정비율 및 최적정비율은 아래 표1과 같다.
재료명 적정비율(중량%) 최적정비율(중량%)
닭발 8~12 10
양파 1~3 2
마늘 0.5~1.5 1
생강 0.2~0.4 0.3
정제수 76.7~96.7 86.7
총합계 100
-육수 이송 및 보관
추출된 육수는 약 15분간 증기를 배출한 뒤 육수를 냉각탱크에 이송시킨 후, 65±5℃로 냉각하여 표피층의 지방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냉각은 65℃가 도달될 때까지 시행하고, 도달시 냉각밸브를 잠근다.) 냉각탱크에서 냉각된 육수는 냉동창고로 이송하여 보관한다.
육수조미액 제조 공정
추출된 육수는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한 후 희석탱크에서 육수와 정제수를 90~98℃에서 5분간 끓인후 조미제를 투입하여 다시 약 5분정도 끓여 용해시켜 육수조미액으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조미제로 사용되는 재료는 천일염, 백설탕, 백후추, 정제수 등이 혼합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미제이다. 상기 조미제 투입시 염도계로 측정은 염도 0.75±0.06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측정 온도는 37±2℃범위에서 측정한다.
여기서, 식품첨가물로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로디닉산(F)이 선택 사용된다.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루바브(Rhubarb)의 학명은 Rheum rhaponticum L.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장군풀, 중국에서는 대황(大黃)으로 명명되고 있다. 원산지는 시베리아 남부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부터 재배하여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되어왔다. 북유럽, 중국, 티벳, 북미주 등 해발 2,000∼4,000m 고지에서 재배되며, 한국은 백두산 관모봉일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종류는 다양하여 금문대황(Rheum palmatum L.)과, 장군풀(Rheum coreanim Nakai)과 서대황(Rheum tonguticum Max.) 등이며, 금문계 4종과 운남대황, 토대황계의 여러종류로 분류된다. 성분은 dianthrone glycoside인 Sennoside A-F, anthraquion 유도체로 chrysophe-nol, emodin, aloe-emodin, rhein,physcoin, citreorosein, chrysophanol -1- 및 -8-glucoside, emodin-1- 및 -8-glucoside 등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루바브 분말은 루바브 잎줄기를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상태의 것으로 이를 육류에 사용할 경우 항산화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쑥초액은 쑥은 종류가 다양하고 한방에서 약효 효능이 비타민 B2, C 등과 철분, 칼슘, 칼륨, 인 등의 미네랄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어서
산성화된 현대인의 체질 개선에 좋다. 또한 항암 작용을 하는 엽록소가 많아, 꾸준히 먹으면 암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피부 건조와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성 증상을 예방, 치료하는 등 환절기 식품 중 으뜸으로 꼽힌다.
'민약 요법'에 수록된 약쑥의 작용을 보면 간염, 고혈압, 중풍, 두통, 복통, 땀띠, 습진, 신경통, 타박상, 편도선염, 요통, 치질 등 매우 다양한 질병에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위장과 간장, 신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통 치료에 좋다고 적혀 있다. 피를 맑게 하는 효과와 살균, 진통, 소염 등의 작용은 과학으로도 확인된 쑥의 효능이다.
이와 같은 쑥초액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즉석삼계탕의 기능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식의 잡냄새 제거, 고기 육질의 연화작용 및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목초액은 참나무류의 목재를 탄화시킬 때 발생되는 연기를 포집하여 급속냉각시켜 생성되는 목초액을 다시 6∼12개월 동안 정치(定置) 또는 증류(蒸溜)시켜 만든 것으로 성분은 80∼90%가 물, 나머지는 초산등 200종류이상의 유기물,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스모크향을 지닌다.
또한, 최근 목초액의 인체에 대한 효능이 많이 알려지고 있는데 그 중 몇가지를 살펴보면 간장의 해독(피로회복)작용, 혈중 에피네프린 수치의 경감으로 인한 항스트레스성 작용, 갱년기장애증상의 완화, 탈모예방, 혈당치 밸런스를 유지하는 효과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은 목초액을 육류에 사용할 경우 맛을 좋게 할뿐 아니라 인체에 섭취되어 다양한 효능을 나타낸다.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로디닉산(rhodinic acid)은 자연계로부터 추출되는 물질 중의 하나로, 천연물이면서 식품 등의 첨가물이나 미생물생장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 중의 하나이다. 로디닉산의 분자량은 170.25 이고, 선형 분자식은 (CH3)2C=CHCH2CH2CH(CH3)CH2CO2H이다. 이와 같은 로디닉산을 사용할 경우 미생물생장억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루바브 추출액,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은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 루바브 추출액 5중량% 또는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 쑥초액 5중량% 또는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 목초액 5중량% 또는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 (F)로디닉산 5중량%를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 루바브 추출액 5: 쏙초액 2: 목초액 2: (F)로디닉산(F):1의 중량 비율로 희석하여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충전[파우치( Pouch )] 및 밀봉
냉각 탈수된 닭고기와 수삼(1편)을 파우치에 투입한 다음 희석시켜 준비한 육수조미액을 닭고기의 발목이 잠길때까지 육수조미액을 주입한다. 이때 충전시 육수조미액의 온도는 80℃이상으로 뜨거울수록 좋으며 육수조미액을 투입하여 최대한 공기를 제거하여 밀봉하는 것이 어느 정도 진공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산소 잔존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좋다.
위와 같이 파우치에 충전되는 닭고기, 찹쌀, 수삼, 대추, 육수조미액의 적정비율 및 최적정비율은 아래 표2와 같다.
재료명 적정비율(중량%) 최적정비율(중량%)
닭고기 40~45 42
찹쌀 4~6 5
수삼 1.5~1.7 1.6
대추 0.3~0.5 0.4
육수조미액 41~61 51
총합계 100
살균 및 냉각( Sterilization and cooling )
-살균(Sterilization)
밀봉된 제품은 100±2℃에 도달된 온도에서 35±1분간 살균하고, 30±1분간 냉각시킨다. 이때 압력은 1.30±0.2bar으로 하며, 밀봉된 제품을 외부에 장시간 방치하지 말고 즉시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냉각(Cooling)
품온이 아직 높은 관계로 호열성균에 의한 변패제품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품온이 40℃이하가 될 수 있도록 냉각한다.
급속동결( Individual Quick Frozon )
영하 35℃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급속동결기를 통과시켜 급속냉동 시키는데, 급속동결 방법은 송풍동결법(air blast freezing)이며 터널형으로 30℃~40℃의 차가운 공기로 급속동결하는 원리이다. 급속동결의 목적은 미생물의 증식억제 및 화학적 또는 효소적 변화와 색,냄새,풍미,다즙성 등의 특성의 변화를 최소화 하여 초기의 쫄깃한 육질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급속동결은 중심온도가 최대빙결정생성대를 통과하는 시간이 30분 이내인 경우를 급속동결이라 한다. 본 급속동결기는 제품을 급속동결하여 최대빙결정생성대를 30분 이내로 통과하여 세포조직 변화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급속동결된 제품은 지박스에 포장되어 보관 및 유통 판매되는 것이다.
<실시예2>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물인 루바브 분말의 황산화 효과 측정으로 표3과 같이 나타났다.
종목 즉석삼계탕
시중제품1
즉석삼계탕
시중제품2
즉석삼계탕
본 발명
DPPH
(%Inhibition)

46.88

50.33

65.12
총 폴리페놀
(㎍/g)

172.88

193.34

319.22
(주어진 값은 3회 평균값)
표3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라디컬 소거능은 브로이스의 방법으로 DPPH 용액은 0.1%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엘리자(ELISA) 마이크로리더기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총 페놀함량은 Folin-Ciocalteu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로는 엘리자(ELISA) 마이크로리더기(Infinite F50,Tecan,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표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수조미액에 식품첨가물인 루바브 분말 5중량%를 사용한 결과 항산화 효과 중 디피피에이치(DPPH)와 총 폴리페놀 함량 모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즉석삼계탕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실시예3>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에 식품첨가물인 쑥초액을 5중량% 첨가한 후, 이를 기존의 즉석 삼계탕과 비교하기 위하여 끓는 물에 냉동상태의 봉지 그대로 제품을 넣고 40~50분 정도 가열하여 제품을 뜨겁게 데워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표4에 나타내었으며, 관능검사는 9점 척도법(9점: 대단히 좋다. 1점: 대단히 싫다)을 이용하여 잘 훈련된 사내 개발실 연구원 6명과 하림 주부모니터 10명을 대상으로 이취, 조직감, 풍미를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3과 같다.
실시대상 조직감 풍미 이취 선호도
즉석삼계탕/본발명 7.8 7.9 7.7 1
즉석삼계탕/시중제품1 7.2 7.4 7.5 2
즉석삼계탕/시중제품2 7.1 7.3 7.5 3
표4에서와 같이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직감은 닭고기를 100% 스팀 자숙처리하고 쑥초액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육조직내,외의 수분이 유지되어 있어 육질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시중제품1, 시중제품2는 본 발명에 비해 수분이 증발되어 탄력을 잃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냈다.
풍미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이 수율이 개선되고 육수조미액과 가장 잘 어루러져 시중제품1, 시중제품2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취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은 100% 스팀 자숙과정 및 쑥초액 함유과정에서 닭 특유의 이취 및 비린내가 제거되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실시예4>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에 식품첨가물인 목초액을 5중량% 첨가한 후, 이를 기존의 즉석 삼계탕과 비교하기 위하여 끓는 물에 냉동상태의 봉지 그대로 제품을 넣고 40~50분 정도 가열하여 제품을 뜨겁게 데워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표5에 나타내었으며, 관능검사는 9점 척도법(9점: 대단히 좋다. 1점: 대단히 싫다)을 이용하여 잘 훈련된 사내 개발실 연구원 6명과 하림 주부모니터 10명을 대상으로 이취, 조직감, 풍미를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3과 같다.
실시대상 조직감 풍미 이취 선호도
즉석삼계탕/본발명 7.9 7.8 7.8 1
즉석삼계탕/시중제품1 7.2 7.4 7.5 2
즉석삼계탕/시중제품2 7.1 7.3 7.5 3
표5에서와 같이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직감은 닭고기를 100% 스팀 자숙처리하고 목초액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육조직내,외의 수분이 유지되어 있어 육질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시중제품1, 시중제품2는 본 발명에 비해 수분이 증발되어 탄력을 잃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냈다.
풍미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이 수율이 개선되고 육수조미액과 가장 잘 어루러져 시중제품1, 시중제품2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취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은 100% 스팀 자숙과정 및 목초액 함유과정에서 닭 특유의 이취 및 비린내가 제거되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실시예5>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F)로디닉산의 미생물생장억제 효과 실시예
즉석 삼계탕(하림제품)을 삶아서 냉수에 2회 수세하여 1분간 탈수시켜 사용하였다. 끓인 즉석 삼계탕 10g씩을 용액 100㎖에 30초간 침지한 후 체에 받쳐 30초간 탈수시켜 페트리디쉬(petri dish)에 담은 다음 25℃에서 저장하면서 총균수는 프레이트카운트 아가(Plate count agar)를 이용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나타난 콜로니(colony)를 계수하여 colony forming unit(CFU)/㎖로 표시하였으며 대장균수는 Chromocult(merck)배지를 이용하여 총균수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이때 용액은 대조군으로 증류수와 (F)로디닉산을 사용하였다.
시간
시료
0 18 24

증류수
(대조군)

총균수
1.1 X 103 2.7 X 106 3.0 X 108

대장균수

ND
7.1 X 105 1.5 X 106

(F)로디닉산

총균수
6.7 X 102 10 X 105 8.9 X 106

대장균수

ND

ND

ND
(단위는 CFU/㎖이며, ND는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실험결과, 0시일 때 대조군과 (F)로디닉산의 총균수가 다른데, 이는 (F)로디닉산과 증류수를 혼합한 상태에서 총균수를 측정함에 따라 혼합시 멸균효과가 즉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F)로디닉산을 처리한 즉석 삼계탕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총균수의 증가를 서서히 보였다. 즉 24시간 경과시 대조군은 108CFU/㎖까지 나타나 부패의 단계에 가까운 상태였으나 (F)로디닉산을 처리한 경우 처리군은 106CFU/㎖이상 증식하지 않아 즉석 삼계탕의 (F)로디닉산 처리가 미생물 생장 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장균은 대조군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24시간후 106CFU/㎖까지 검출되었으며, (F)로디닉산 처리군에서 24시간까지도 전혀 검출되지 않아 (F)로디닉산이 살균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6>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삼계탕의 선호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을 각각 준비한 후, 준비된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을 5:2:2: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식품첨가물을 마련한 다음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에 대해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즉석 삼계탕을 제조하였다.
이때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을 5:2:2:1의 중량 비율로 고정하였다. 이후, 실시예3과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7에 나타내었다.

실시대상
식품첨가물(중량 비율)
풍미

이취

선호도
루바브
추출물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
즉석삼계탕/본발명 5 2 2 1 8.0 7.9 1
즉석삼계탕/시중제품1 NO NO NO NO 7.4 7.5 2
즉석삼계탕/시중제품2 NO NO NO NO 7.3 7.5 3
(NO는 첨가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품첨가물인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을 5:2:2:1의 중량 비율로 혼합 사용한 경우 본 발명 즉석 삼계탕은 각각 풍미 8.0. 이취 7.9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선호도 측면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1과 도2에 제시된 즉석 삼계탕의 제조공정도 및 스팀 자숙시 시간당 제품 중심온도 그래프는 이미 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부호로 설명될 부분은 없다.

Claims (6)

  1. 부재료 투입이 완료된 삼계탕용 닭고기는 스팀자숙수단을 이용하여 100% 스팀 자숙시키는 것과, 닭발을 열교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육수를 추출한 것과, 추출된 육수는 육수 30중량%에 정제수 65중량%,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한 후 조미제를 첨가하여 육수조미액을 얻는 것과, 이후 준비된 닭고기에 육수조미액을 포장지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열처리 및 영하 35℃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급속 동결하되, 식품첨가물로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을 각각 준비한 후, 준비된 루바브 분말, 쑥초액, 목초액, (F)로디닉산을 5:2:2: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식품첨가물을 마련한 다음 육수 30중량%, 정제수 65중량%에 대해 식품첨가물 5중량%를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57969A 2017-05-10 2017-05-10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Active KR10180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69A KR101806072B1 (ko) 2017-05-10 2017-05-10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US15/961,927 US20180325151A1 (en) 2017-05-10 2018-04-25 Method of producing instant ginseng chicken soup product
JP2018084193A JP6633124B2 (ja) 2017-05-10 2018-04-25 インスタントサムゲタン(参鶏湯)の製造方法
CN201810377141.3A CN108850949A (zh) 2017-05-10 2018-04-25 速食参鸡汤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69A KR101806072B1 (ko) 2017-05-10 2017-05-10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072B1 true KR101806072B1 (ko) 2017-12-07

Family

ID=6092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69A Active KR101806072B1 (ko) 2017-05-10 2017-05-10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325151A1 (ko)
JP (1) JP6633124B2 (ko)
KR (1) KR101806072B1 (ko)
CN (1) CN10885094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34A (ko) 2018-01-26 2019-08-05 한국식품연구원 레토르트 훈연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522B1 (ko) * 2018-09-06 2020-02-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향미성분이 강화된 삼계탕용 닭발 육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39852A (zh) * 2019-12-05 2020-02-28 朱映融 一种浓缩鸡汤的制备方法
KR20200060806A (ko) 2018-11-23 2020-06-02 한국식품연구원 레토르트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28432A (zh) * 2020-05-14 2020-08-14 刘静 一种滋润养颜竹荪鸡汤及其制备方法
KR20210092103A (ko) 2020-01-15 2021-07-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용진푸드 가정간편식 훈연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4733B1 (ko) * 2023-05-17 2024-02-06 연규한 금화규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KR102694251B1 (ko) * 2023-05-17 2024-08-12 연규한 금화규의 잎으로부터 식품용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KR102772588B1 (ko) 2024-08-01 2025-02-24 김진선 즉석요리용 삼계탕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438A (ja) * 2000-08-23 2002-02-26 Sugi Foods Engineering:Kk 食品添加剤と該食品添加剤を用いる食材又は食品処理方法
KR100431171B1 (ko) 2001-12-14 2004-05-12 주식회사 체리부로 즉석냉동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0499927B1 (ko) 2003-05-26 2005-07-07 예부영 한방보양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5435B1 (ko) 2009-11-10 2012-05-15 한국식품연구원 진공 저온 가열에 의한 삼계탕 제조 방법
KR101227091B1 (ko) 2006-04-28 2013-01-29 (유)오비티 발효 쑥초액 및 탄화 쑥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KR101382434B1 (ko) 2012-12-31 2014-04-09 (주)다손 간편편이식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558671B1 (ko) 2013-11-12 2015-10-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품질개선 및 저장성이 향상된 즉석섭취용 삼계탕의 제조방법
JP2017046681A (ja) * 2015-09-01 2017-03-09 株式会社ハリムHarim CO.,Ltd. クヌギチップで薫煙処理した即席参鶏湯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936A (ko) * 1973-06-28 1975-03-03
US6096354A (en) * 1997-01-08 2000-08-01 The Iams Company Process for aseptically packaging protein-containing material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KR20000024966A (ko) * 1998-10-07 2000-05-06 정진동 삼계탕의 조리방법
JP4017542B2 (ja) * 2003-03-10 2007-12-05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食鳥肉の殺菌方法
EP1898727A4 (en) * 2005-06-14 2008-09-10 Dwc Hermetica Pty Ltd Process for improving shelf life of refrigerated foods
WO2008029504A1 (fr) * 2006-09-04 2008-03-13 Ajinomoto Co., Inc. Exhausteur de goût
KR100877374B1 (ko) * 2007-03-13 2009-01-09 민화식 쑥식초와 그의 제조방법.
CN101181363A (zh) * 2007-11-19 2008-05-21 北京诚创康韵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人参大黄注射液及其制备方法
GB2473460B (en) * 2009-09-10 2016-02-10 Univ Surrey Antimicrobial Composition
US8574639B2 (en) * 2010-08-17 2013-11-05 ILHWA Co., Ltd. Fermented ginseng concentrate having IH-901
CN102273676B (zh) * 2011-06-23 2013-01-30 河南省淇县永达食业有限公司 一种速食鸡汤的制作方法
CN102987466A (zh) * 2012-11-19 2013-03-27 康爱民 一种参鸡汤及其制作方法
CN103141878B (zh) * 2013-02-05 2015-04-22 金世光 一种常温即食营养鸡汤及其制作方法
CN105831646A (zh) * 2016-04-05 2016-08-10 叶勇 一种多功能保健品组合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438A (ja) * 2000-08-23 2002-02-26 Sugi Foods Engineering:Kk 食品添加剤と該食品添加剤を用いる食材又は食品処理方法
KR100431171B1 (ko) 2001-12-14 2004-05-12 주식회사 체리부로 즉석냉동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0499927B1 (ko) 2003-05-26 2005-07-07 예부영 한방보양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27091B1 (ko) 2006-04-28 2013-01-29 (유)오비티 발효 쑥초액 및 탄화 쑥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KR101145435B1 (ko) 2009-11-10 2012-05-15 한국식품연구원 진공 저온 가열에 의한 삼계탕 제조 방법
KR101382434B1 (ko) 2012-12-31 2014-04-09 (주)다손 간편편이식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558671B1 (ko) 2013-11-12 2015-10-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품질개선 및 저장성이 향상된 즉석섭취용 삼계탕의 제조방법
JP2017046681A (ja) * 2015-09-01 2017-03-09 株式会社ハリムHarim CO.,Ltd. クヌギチップで薫煙処理した即席参鶏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34A (ko) 2018-01-26 2019-08-05 한국식품연구원 레토르트 훈연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522B1 (ko) * 2018-09-06 2020-02-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향미성분이 강화된 삼계탕용 닭발 육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0806A (ko) 2018-11-23 2020-06-02 한국식품연구원 레토르트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673B1 (ko) * 2018-11-23 2020-11-06 한국식품연구원 레토르트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39852A (zh) * 2019-12-05 2020-02-28 朱映融 一种浓缩鸡汤的制备方法
KR20210092103A (ko) 2020-01-15 2021-07-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용진푸드 가정간편식 훈연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28432A (zh) * 2020-05-14 2020-08-14 刘静 一种滋润养颜竹荪鸡汤及其制备方法
KR102634733B1 (ko) * 2023-05-17 2024-02-06 연규한 금화규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KR102694251B1 (ko) * 2023-05-17 2024-08-12 연규한 금화규의 잎으로부터 식품용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KR102772588B1 (ko) 2024-08-01 2025-02-24 김진선 즉석요리용 삼계탕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3124B2 (ja) 2020-01-22
JP2018186807A (ja) 2018-11-29
CN108850949A (zh) 2018-11-23
US20180325151A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072B1 (ko) 즉석 삼계탕 제조방법
CN103653079A (zh) 一种即食板栗的加工方法
CN105533503A (zh) 一种桂花醉大黄鱼的加工方法
KR20230023182A (ko) 흑염소 중탕 엑기스 제조방법
KR102472881B1 (ko) 전복 미역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미역국
KR101423194B1 (ko)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KR101762873B1 (ko) 그라비올라 추어탕의 제조방법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20180034905A (ko) 삼백초 및 어성초가 포함된 약선 소스, 이를 사용한 수산물의 염장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반 고등어
KR102603696B1 (ko) 단백질 함유 음료 조성물
CN103859429B (zh) 一种富含膳食纤维的芦蒿低温肉枣的加工方法
CN107692094A (zh) 一种橄榄鱼的制备方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6179B1 (ko)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CN105380249A (zh) 一种牡蛎鲜湿红薯粉丝及其制备方法
KR20070005954A (ko) 기능성 건수산물 및 젓갈의 제조방법
KR101711334B1 (ko) 발효 양파의 제조방법
CN106689855A (zh) 一种芹菜营养酱菜及其制备方法
KR101768818B1 (ko) 산야초 천연발효식초 제조방법
CN104431433A (zh) 一种促消化豆渣发酵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976381B (zh) 坛子肉回味入味法加工工艺
KR102277356B1 (ko) 전복 내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소스
KR102049932B1 (ko) 도라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생깻잎 무침 및 그 제조방법
CN107397200A (zh) 一种牛肉番茄酱及其制备方法
JP2008212011A (ja) γ−アミノ酪酸の製造方法、食品又は食品素材の製造方法、食品又は食品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