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402B1 - 장갑 편성기 - Google Patents

장갑 편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402B1
KR102492402B1 KR1020210001410A KR20210001410A KR102492402B1 KR 102492402 B1 KR102492402 B1 KR 102492402B1 KR 1020210001410 A KR1020210001410 A KR 1020210001410A KR 20210001410 A KR20210001410 A KR 20210001410A KR 102492402 B1 KR102492402 B1 KR 10249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titch
knitting
cam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556A (ko
Inventor
마사미쓰 이케나카
노리오 고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9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손가락부 사이의 오버랩을 하면서 편성하는 장갑의 품질향상이 가능한 장갑 편성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프레셔캠(16)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작동위치에서,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16a)이 니들베드갭(2)측에 형성되어, 리턴캠으로서 기능한다. 프레셔캠(16)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작동위치에서,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에 결합하는 편침에 대하여,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구동캠면(16b)에 의하여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도록 구동한다.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의 되돌림양은, 스티치의 미려함이나 촉감이 다른 줄무늬가 코스방향으로 생기기 어렵고, 스티치가 편침으로부터 이탈하는 드롭 스티치도 생기기 어렵게 조정수단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리턴캠에 의한 조정은, 후속의 손가락부의 편성 후에,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스티치 억제판을 뽑아낼 때에도 유효하다.

Description

장갑 편성기{GLOVE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손가락부(발가락부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형성된 장갑(양말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 등을 통(筒) 모양의 편성포(編成布)로서 편성하고, 손가락부의 사이에서 오버랩(overlap)을 하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는 장갑 편성기(glove knitt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오버랩을 하면서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하여 장갑 등을 형성하는 장갑 편성기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갖고,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측 선단(先端)에 띠 모양의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특허문헌1에서는, 편구 가압판(編口 加壓板)이 스티치 억제판에 상당한다. 니들베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를 갖는다. 편침은,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되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선단의 훅(hook)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시켜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침의 진퇴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구동된다.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은, 스티치 편성에 사용되는 스티치캠(stitch cam)이나,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킬 때에 사용되는 프레셔캠(pressure cam) 등을 포함한다. 스티치캠은,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니들베드갭에서 훅에 편사(編絲)의 급사(給絲)를 받은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도록 작용한다. 스티치캠에 의한 인입량(引入量)은, 스티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스티치값에 대응한다. 장갑 편성기에서의 스티치 조정은, 캐리지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캐리지의 외부에서 제어바(control bar)를 통하여 스티치캠을 구동하여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를 참조). 스티치캠을 제외한 스티치 형성에 사용되는 캠도, 캐리지 외부에서의 제어바를 통한 구동에 의하여 작용의 정도가 조정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을 참조). 특허문헌3은, 제어바를 통하여 작동(作動)과 비작동(非作動)이 절환될 수 있는 가동캠(可動cam)의 하나로서 프레셔캠을 소개하고 있다.
스티치 억제판은, 니들베드갭측의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서 일방(一方)측으로 개구(開口)되는 형상인 스티치 억제홈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스티치 억제홈은,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타방(他方)측에 인접하는 손가락부를, 오버랩을 하면서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티치 억제판은,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발가락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이동시켜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에 침입시켜 두면,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의 바로 위의 침간(針幹)에 멈추게 하여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한다. 프레셔캠은, 작동시키면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작용하여,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여서 스티치가 스티치 억제홈에 침입하기 쉽게 한다. 이 편침의 스티치 억제홈보다 니들베드갭측의 부분은, 인접하는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를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의 손가락부의 편성이 종료되면, 스티치 억제판을 길이방향의 타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스티치 억제홈을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로부터 타방측으로 떼어 놓는다.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경사부를 거쳐서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아가고, 니들베드갭측에서 편성된 다음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포개진다. 2개의 손가락부에 계속되는 몸통부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2개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로서 녹오버되어, 오버랩된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된다.
: 일본국 특허 제3053376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007916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044077호 공보
최근, 장갑 편성기는, 가는 편사를 사용하여 코팅장갑이나 정밀작업용 장갑의 편성 등과 같은 얇은 장갑을 편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편사가 가늘게 되면,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뽑아내어, 스티치 억제홈에서 멈추어 있는 스티치를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릴 때에 문제가 생기기 쉽게 된다. 가는 편사는,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上面)과, 니들 플레이트의 바닥면 또는 편침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sliding)하기 위한 간극으로 말려 들어가게 되어 끼이기 쉽게 된다. 편사가 간극에 끼이면,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는 계속된다. 스티치는, 몸통부의 편성포의 편성의 진행에 의하여 잡아 당겨진 후에 해제되어 녹오버된다. 이러한 녹오버 지연을 동반하는 편성포 제품은, 품질불량이 되어 버린다.
니들 플레이트는, 니들베드의 기판(基板)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니들베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판상부재(板狀部材)이다. 편침은,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고,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하는 복수의 침상부재(針狀部材)이다. 이들 부재는, 상호간에 슬라이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밀착시킬 수 없어, 가는 편사에 대하여 말려 들어가게 되는 간극이 생겨 버린다. 특허문헌1은, 스티치 억제홈의 경사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끝면을 경사면으로 하여, 가는 편사이더라도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 등의 바닥면과의 간극으로 말려 들어가기 어렵게 하는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티치 억제홈의 형상에서의 대책은, 가는 편사가 말려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이 곤란하다.
녹오버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편성포를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끌어내려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갑 편성기는, 각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손가락(발가락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 끝에서부터 편성시작하기 때문에, 편성된 손가락부 등의 편성포 전체를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인하장치(引下裝置) 등을 사용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장갑 편성기는, 스티치 형성 시에 싱커(sinker)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편성포를 편침 사이에서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기능을 갖는 가동싱커(可動sinker)를 사용한다. 단, 후속의 손가락부를 편성할 때에는, 먼저 손가락부를 편성한 편침의 구간에도 캐리지가 침입하여, 싱커캠(sinker cam)에 의하여 가동싱커가 구동된다. 이 때문에, 후속의 손가락부를 편성하는 사이,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의 니들루프를 훅에 결합하고 있는 편침 사이의 싱커루프는, 스티치 형성 시의 긴장된 상태로 가동싱커의 진퇴의 반복에 의한 밀어내림을 복수 회 받는다. 이들 싱커루프를 포함하는 스티치는, 가동싱커에 의하여 복수 회 밀어내려짐으로써, 다른 밀어내림을 받지 않는 스티치와는 미려함이나 촉감이 다른 코스방향의 줄무늬가 되어, 형성되는 장갑의 품질을 손상시켜 버리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에 의한 손가락부 사이의 오버랩을 하면서 편성하는 장갑의 품질향상이 가능한 장갑 편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한쌍의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편침 및 가동싱커와,
스티치 억제판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편침 및 가동싱커를 구동하면서,
복수의 손가락부를,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에 작용시키는 오버랩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장갑 편성기에 있어서,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에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켜서 후속의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직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도록 구동하는 리턴캠과,
리턴캠에 의한 편침의 되돌림양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편성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턴캠은,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에 결합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구동캠면에 의하여 상기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도록 구동하는 프레셔캠이고,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은, 프레셔캠의 상기 니들베드갭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턴캠은, 형성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는 스티치캠이고,
상기 스티치캠은,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턴캠은, 형성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는 스티치캠이고,
상기 스티치캠은,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을, 상기 니들베드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캐리지의 외부에 설치되고, 캐리지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정수단의 조정량에 따라 변위하는 제어바와,
제어바의 변위량에 따라 상기 리턴캠을 구동하는 레버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할 때에, 편성된 손가락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스티치 억제판을 이동시키기 직전에,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리턴캠에 의하여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되돌림양을 조정수단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에 의하여 녹오버를 억제하고 있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의 되돌림양의 조정은, 확실한 녹오버를 가능하게 하여 장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속의 손가락부의 편성개시 전 또는 편성 중에,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리턴캠에 의하여 되돌릴 수도 있다. 편침을 되돌림으로써, 가동싱커에 의한 밀어내림을 복수 회 받더라도, 스티치의 미려함이나 촉감이 다른 줄무늬가 코스방향으로 생기기 어렵고, 스티치가 편침으로부터 이탈하는 드롭 스티치(drop stitch)도 생기기 어렵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의 편침이 결합하는 스티치에 작용시키기 전에, 스티치를 니들베드갭측으로부터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도록 편침에 작용시키는 프레셔캠은,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 후에 리턴캠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리턴캠으로서의 프레셔캠은, 니들베드갭측에 형성되는 캠면을 사용하여 되돌림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턴캠으로서 기능시키는 스티치캠은, 캠면으로서 니들베드갭측이 되는 상부를 이용하고, 스티치 조정용의 기구를 되돌림양의 조정에도 유용(流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턴캠으로서 기능시키는 스티치캠은, 캠면으로서 니들베드측이 되는 하방을 이용하고, 스티치 조정용의 기구 및 선침기구를 되돌림양의 조정에도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의 외부로부터 제어바를 통한 리턴캠의 되돌림양의 조정은, 되돌림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캐리지의 스페이스나 중량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장갑 편성기(1)의 캠 배치도이다.
도2는, 도1의 장갑 편성기(1)에 사용되는 캐리지(3F) 내부의 주요부분의 구성 및 프레셔캠(16)의 리턴캠으로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장갑 편성기(1)에 사용되는 캐리지(3F) 내부의 주요부분의 구성 및 프레셔캠(16)의 편침의 인입캠으로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장갑 편성기(1)에서 스티치 억제판(40)의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기 직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장갑 편성기(1)에 의하여 편성되는 손가락부(51, 52, 53, 54, 55)와 형성되는 장갑(5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장갑 편성기(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장갑 편성기(1)에서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한 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장갑 편성기(61)에서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한 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인 장갑 편성기(71)에서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한 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1부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장갑 편성기(glove knitting machine)(1)의 구성과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인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장갑 편성기(1)의 캠(cam) 배치를 나타낸다. 장갑 편성기(1)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대향(對向)하고, 가상중심면(假想中心面)(2a)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한다. 단, 도1은 니들베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는, 길이방향으로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3F, 3B)를 각각 구비한다.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은, 도면의 가로방향에 대응한다. 캐리지(3F, 3B)는, 니들베드의 표면을 향하는 캠 플레이트(cam plate)(10F, 10B)을 각각 갖는다. 앞쪽 니들베드의 캐리지(3F)의 캠 플레이트(10F)에는, 셋업캠(set-up cam)(11)이 탑재되고, 탄성 레이징캠(elastic raising cam)(12), 센터캠(center cam)(13), 스티치캠(stitch cam)(14),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15), 프레셔캠(pressure cam)(16), 니들 가이드캠(needle guide cam)(17) 및 브리지캠(bridge cam)(18)은, 전후의 캐리지(3F, 3B)의 캠 플레이트(10F, 10B)에 탑재된다. 이들 캠은, 프레셔캠(16)을 제외하고, 특허문헌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1의 프레셔캠(16)은, 리턴캠면(return cam surface)(16a) 및 구동캠면(16b)이 형성되고, 구동캠면(16b)만이 형성되는 특허문헌3의 프레셔캠에서는 비작동(非作動)이 되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작동위치에서도, 편침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으로서 기능한다. 프레셔캠(16)은, 특허문헌3의 프레셔캠과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나타내는 작동위치에서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구동캠면(16b)에 의하여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도록 기능한다. 이 기능은,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hook)에 결합시키는 편침에 대하여,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후술하는 조정수단은, 프레셔캠(16)을 도면의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2개의 작동위치 사이의 이동에 의하여 기능을 절환(切換)함과 아울러, 각 작동위치의 조정과 중간에서의 비작동을 절환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은, 도1의 장갑 편성기(1)에 사용되는 캐리지(3F) 내부의 주요부분의 구성 및 동작을, (a)의 평면도 및 (b)의 우측면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1의 캐리지(3B)도 기본적으로 동등하다. 도2는, 리턴캠면(16a)을 사용하여 프레셔캠(16)을 리턴캠으로서 기능시키는 상태, 도3은, 구동캠면(16b)을 사용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프레셔캠(16)의 이동은, 상하방향의 안내홈(案內groove)(16c)을 따라 이루어진다. 프레셔캠(16)의 구동과 기능의 절환은, 캐리지(3F)에 탑재되는 레버기구(lever機構)(2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레버기구(20)는, 레버(21), 슬라이더(slider)(22), 스프링(spring)(23) 및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24)을 포함한다. 레버(21)는 2개의 팔(arm)을 갖고, 일방(一方)의 팔의 선단(先端)은 슬라이더(22)에 맞물림과 아울러, 스프링(23)에 의하여 잡아당겨진다. 슬라이더(22)는 안내홈(16c)을 따라 상하이동한다. 롤러 베어링(24)은, 레버(21)의 타방(他方)의 팔의 선단에 부착되고, 구(球) 모양이나 원호 모양의 부재로 바꿀 수도 있다. (b)에 나타내는 안내축(25)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캐리지(3F)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 부재(30)는, 캐리지(3F)의 주행경로의 근방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바(control bar)(31, 32, 33, 34)를 도면의 상하방향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롤러 베어링(24)은, 하나의 제어바(31)측의 가장자리에 압접(壓接)되도록 스프링(23)에 의하여 가압된다. 제어바(31)의 상하방향의 변위는, 레버(21)를 각변위(角變位)시켜서 슬라이더(22)를 상하로 변위시킨다. 슬라이더(22)는 프레셔캠(16)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기구(20)는, 제어바(31)의 변위량에 따라 프레셔캠(16)을 구동한다. 제어바(31)를, 길이방향의 단부(端部)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에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을 탑재하여 구동함으로써, 프레셔캠(16)의 동작상태의 절환 및 적어도 리턴캠으로서의 되돌림양의 조정을 한다. 이러한 제어바(31) 및 레버기구(20)는, 본 발명의 조정수단을 구성한다. 조정수단에 의한 조정은, 특허문헌2에서의 스티치캠의 스티치 조정이나, 특허문헌3에서의 가동캠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캐리지(3F)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하여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어바는, 특허문헌2의 구동바(drive bar)에 상당한다.
도4는, 도1의 장갑 편성기(1)에서 스티치 억제판(40)의 스티치 억제홈(stitch 抑制groove)(40a)을 작용시키기 직전의 동작을 나타낸다. 스티치 억제판(40)은, 니들베드갭(2)측의 앞쪽 가장자리 부근에 스티치 억제홈(40a)을 갖는다. 스티치 억제홈(40a)은, 길이방향의 타방측인 도면의 좌측에서 닫히고, 일방측인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니들베드갭(2)측을 향하여 개구(開口)된다. 스티치 억제판(40)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인접하여 편성되는 손가락부(51, 52)(간략화하여 구간만을 부호로 나타낸다)의 사이에서 오버랩(overlap)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편침(41)의 바늘본체(42)의 니들베드갭(2)측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각 편침(41)은, 선단에 훅(42a)을 갖는 바늘본체(42)의 후단(後端)에 잭(jack)(43)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바늘본체(42)의 니들베드갭측 버트(needle bed gap側 butt)(42b)는, 연결부 부근에서 캐리지(3F)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잭(43)의 후부(後部)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선침드럼(選針drum)에 접속되고, 선침의 결과에 따라 연결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요동(搖動)된다. 잭(43)으로부터 캐리지(3F)측으로 돌출되는 니들베드측 버트(43b)는, 선침의 결과에 따라 출몰(出沒)된다. 캐리지(3F)의 좌측방향으로의 주행에 따르는 편침(41)의 동작은, 바늘본체(42)의 선단부분, 니들베드갭측 버트(42b) 및 니들베드측 버트(43b)의 궤적으로 나타낸다.
스티치 억제판(40)은, 최초의 손가락부(51)의 편성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다음의 손가락부(52)의 편성부터 사용된다. 스티치 억제판(40)을 사용하는 손가락부의 편성은, 스티치 억제판(4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루어진다. 스티치 억제홈(40a)은,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51)로서 다음에 편성되는 손가락부(52)측의 손가락 연결부(51a)가 되는 스티치를, 훅(42a)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침입시키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이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를 훅(42a)에 결합시키는 편침(41)은, 프레셔캠(16)을 작동시켜서 구동캠면(16b)에 의하여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여 둔다. 본 실시예1에서는, 구동캠면(16b)에 의한 편침(41)의 인입량도, 스티치 억제홈(40a)으로의 침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장갑 편성기(1)에 의하여 편성되는 손가락부(51, 52, 53, 54, 55)와 형성되는 장갑(50)의 예를 나타낸다. 도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치 억제홈(40a)은,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51)의 좌측방향으로부터 작용시켜서, 다음에 인접하는 손가락부(52)를 편성하는 사이에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를 편침(41)의 침간(針幹)에 멈춘다.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손가락부(52)는, 손가락부(51)의 손가락 연결부(51a)를 침간에 멈추게 하는 편침(41) 및 그 좌측의 편침(41)을 사용하여,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 끝(52f)에서부터 편성시작한 후에 몸통부(52t)의 편성을 반복하여 편성한다.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갑(50)은, 손가락부(51, 52, 53, 54, 55)의 사이에 손가락 연결부(51a, 52a, 53a, 54a)에서의 오버랩을 갖는 상태로 형성된다. 장갑(50)은, 새끼 손가락용의 손가락부(51)에서부터 집게 손가락용의 손가락부(54)까지 순차적으로 편성한 후에 4개의 손가락 몸통(four-finger body)을 편성하고, 또한 엄지 손가락용의 손가락부(55)를 편성하고 있다. 손가락부(51, 52)의 사이 뿐만 아니라, 다른 손가락부의 사이나 4개의 손가락 몸통과 손가락부(55)의 사이에서도, 동일한 오버랩을 할 수 있다. 약손가락용의 손가락부(52)에서부터 집게 손가락용의 손가락부(54)까지를 먼저 편성하여 3개의 손가락 몸통을 편성하고, 또한 새끼 손가락용의 손가락(51)을 편성하여 4개의 손가락 몸통을 편성할 수도 있다. 형성되는 오버랩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스티치 억제홈(40a)이 개구되는 방향을 바꾼 스티치 억제판(40)을 사용하여, 작용시키는 방향을 바꾸면 좋다.
도6은, 도1의 장갑 편성기(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낸다. 전측(前側)의 니들베드(4F)와 쌍이 되는 후측의 니들베드는, 가상중심면(2a)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지만, 도시를 생략한다. 장갑(50)은, 전후의 니들베드를 교대로 사용하여 통(筒)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측의 니들베드(4F)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후측의 니들베드도 동일하다. 편침(41)은, 니들베드(4F)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되고, 훅(42a)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하도록 구동된다.
니들베드(4F)는, 니들베드갭(2)측의 상부에 싱커베드(sinker bed)(45)를 갖는다. 싱커베드(45)는 가동싱커(可動sinker)(46)를 수용한다. 가동싱커(46)는,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편침(41)의 사이에 배치되고, 캐리지(3F, 3B)에 설치되는 싱커캠(sinker cam)(47)에 의하여 구동되고, 선단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한다. 가동싱커(46)의 선단은, 스티치 형성 시에 싱커루프가 걸리는 루프형성부(loop形成部)(46a)를 니들베드갭(2)측의 앞쪽 가장자리에, 편성포를 편침(41)의 사이에서 니들베드갭(2)의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편성포 밀어내림부(46b)를 하측에 갖는다. 가동싱커(46)는, 스티치 형성 시에 선단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일단 선단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다시 선단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켜서 스티치를 밀어내리도록 구동된다. 가동싱커(46)의 구동은, 손가락부(52)를 편성하기 위하여 선침되는 구간보다 넓은 범위의 편침(41)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5(a)에서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51)의 스티치에서 손가락 연결부(51a)보다 우측방향 구간의 스티치는, 가동싱커(46)의 진퇴에 의한 밀어내림을 반복하여 받는다. 이들 스티치는, 훅(42a)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니들베드(4F)로 끌어들여서 스티치를 형성하여 편사가 긴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면, 가동싱커(46)에 의한 밀어내림의 영향을 받기 쉽다. 가동싱커(46)에 의한 복수 회의 밀어내림은, 스티치의 니들루프(needle loop)가 축소되어 싱커루프(sinker loop)가 연장되도록 편사를 이동시키기 쉽게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회의 밀어내림을 받지 않는 다른 스티치와는 미려함이나 촉감이 다르게 될 우려가 있다. 프레셔캠(16)의 리턴캠면(16a)은, 니들베드갭측 버트(42b)에 작용되어, 손가락부(51)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41)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린다. 손가락부(52)의 편성 시에는, 손가락 연결부(51a)를 제외한 손가락부(51)의 구간은 비선침(非選針)이 되지만, 니들베드갭측 버트(42b)는 비선침에서도 리턴캠면(16a)의 작용을 받는다. 이와 같이 편침(41)을 되돌리는 것은,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여 편사의 긴장을 완화시켜서, 밀어내림이 반복되더라도 편사가 이동되기 어려운 상태로 하여, 스티치의 미려함이나 촉감이 다른 줄무늬가 코스방향으로 생기기 어렵게 한다. 단, 편침(41)을 지나치게 되돌리면, 훅(42a) 내의 스티치가 훅(42a)으로부터 탈출하는 드롭 스티치(drop stitch)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되돌리는 작동위치는 드롭 스티치가 생기지 않도록 조정한다. 편침(41)이 되돌려진 위치로 유지된다면, 프레셔캠(16)에 의하여 편침(41)을 되돌리는 동작은, 손가락부(52)를 편성하는 최초의 코스에서 한번만 이루어지고, 후속의 코스에서는 리턴캠면(16a)이 니들베드갭측 버트(42b)에 작용하지 않도록 비작동의 상태로 하여도 좋다.
도7은, 도1의 장갑 편성기(1)에서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한 후의 동작을, 바늘본체(42)의 선단부분, 니들베드갭측 버트(42b) 및 니들베드측 버트(43b)의 궤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5(a)의 예에서 손가락부(52)의 편성이 종료되면, 스티치 억제홈(40a)이 손가락 연결부(51a) 및 손가락부(52)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스티치 억제판(4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티치 억제판(40)의 이동은,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41)이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려져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되돌리는 위치는, 편침(41)의 훅(42a)의 선단위치로 나타내면, 스티치 기준위치(41a) 또는 이것에 가까운 위치로 한다. 스티치값(stitch value)은, 스티치캠(14)에 의한 편침(41)의 인입량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스티치값이 커지게 되면 스티치도 커지게 된다. 스티치 기준위치(41a)는, 스티치값이 0이 되는 위치이다. 또 되돌리는 위치의 상한은, 니들베드갭측 버트(42b)가 니들 가이드캠(17)의 하측 가장자리에 접촉됨으로써 제한된다. 스티치 억제판(4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편침(41)의 침간에 멈추어 있던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는, 억제가 풀어져서, 스티치 억제홈(40a)의 개구부(開口部)의 경사를 따라 니들베드갭(2)측으로 이동한다.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40)의 이동 전의 상태로 편침(41)을 되돌림으로써, 편침(41)의 침간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받는 저항이 감소된다. 저항의 감소는, 스티치 억제판(40)의 경사부를 따라 스티치가 이동할 때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스티치가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아가기 쉽게 한다. 편침(41)이 되돌려지고 있는 것 뿐이기 때문에,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는 녹오버(knock over)되지 않고 침간에 멈추지만, 다음의 편성동작에서 확실하게 녹오버될 수 있게 된다. 단, 되돌리는 위치가 부적절하면,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가 스티치 억제홈(40a)으로부터 해제되는 힘에 의하여 훅(42a)으로부터 이탈되는 드롭 스티치가 생길 우려가 있다. 되돌리는 위치는, 편사의 특성 등에 따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1에서, 프레셔캠(16)을 리턴캠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되돌림양은, 외부로부터 제어바(31) 및 레버기구(20)를 포함하는 조정수단을 통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셔캠(16)에 의하여 편침(41)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리는 것은, 니들베드갭측 버트(42b)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침의 결과에 관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손가락부(52)를 편성하는 코스에 계속하여 동일한 코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되돌림양은, 도5와 같이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하는 경우와, 도7과 같이 스티치 억제홈(40a)의 작용을 종료하는 경우에, 다르게 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조정수단은, 캐리지(3F)에 스테핑 모터 등을 탑재하여, 캐리지(3F)의 내부에만 구성하여도 좋다. 장갑(50)을 일단 조정된 되돌림양으로 양산할 수 있는 경우에는, 프레셔캠(16)의 기능의 절환만을 제어바를 통하여 하고, 되돌림양의 조정은 캐리지(3F)의 정지 시에 수동으로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레버기구(20)에 의한 절환은, 되돌림양이 최대가 될 때까지 가능하게 하여 두고, 되돌림양의 조정수단은, 나사 등에 의하여 멈추는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실시예2)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장갑 편성기(61)에서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한 후의 동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2는, 캠 플레이트(60F)에 스티치캠(64) 및 프레셔캠(66)을 포함하는 캠을 탑재한다. 스티치캠(64)은, 니들베드갭(2)측에 리턴캠면(64a)을 형성하여, 니들베드갭측 버트(42b)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를 침간에 멈추게 하는 편침(41)을 스티치 기준위치(41a) 등의 되돌림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캠으로서도 기능한다. 스티치캠(64)은, 편침(41)의 끌어들임을 경사진 구동캠면(64b)이 니들베드측 버트(43b)에 작용하도록 하여 실시하고, 스티치값에 따른 끌어들임이 되도록 경사홈(64c)으로 안내된다. 니들베드갭(2)측으로 편침(41)을 되돌리는 것은, 니들베드갭측 버트(42b)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침의 결과에 관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스티치캠(64)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가락부(52)의 편성 후에 별도의 코스를 설정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2에서도 실시예1의 도6과 같은, 가동싱커(46)에 의한 밀어내림의 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편침(41)을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손가락부(52)의 편성과 별도의 코스를, 손가락부(52)의 편성개시 전 또는 편성 중에 설정하도록 하면 좋다. 프레셔캠(66)은, 스티치 억제판(40)의 작용 직전에, 구동캠면(66b)에 의하여 편침(41)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만 작용시키기 때문에, 특허문헌3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절환구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안내홈(66c)을 따라 이동시켜서, 작동과 비작동을 절환하면 좋다.
본 실시예2에 의하면, 리턴캠면(64a)은, 니들베드측 버트(43b)에 작용하는 구동캠면(64b)에 의하여 스티치값에 따른 크기의 스티치가 형성되도록 편침(41)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는 스티치캠(64)에 형성된다. 리턴캠면(64a)은,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킨 손가락부(52)의 편성 후에,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51)의 손가락 연결부(51a)의 스티치를 침간에 멈추게 하는 편침(41)이나, 손가락부(52)의 편성 중에 손가락 연결부(51a)보다 우측방향 구간의 편침(41)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리도록 구동할 수 있다. 편침(41)의 되돌림양은, 특허문헌2와 마찬가지의 스티치 조정용의 기구를 이용하여, 각각 적절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3)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인 장갑 편성기(71)에서 스티치 억제홈(40a)을 작용시키면서 손가락부(52)를 편성한 후의 동작을 나타낸다. 캠 플레이트(70F)에 스티치캠(74) 및 프레셔캠(66)을 포함하는 캠을 탑재한다. 스티치캠(74)은, 경사진 구동캠면(74b)의 하단(下端)과 대향(對向)하는 받침을 리턴캠면(74a)으로 하여, 니들베드측 버트(43b)에 작용시켜서 편침(41)을 니들베드갭(2)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으로서의 작용도 한다. 이 작용은,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스티치 억제판(40)을 작용시킨 후에, 손가락부(52)의 편성개시 전 또는 편성 중에, 가동싱커(46)에 의한 밀어내림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3에서, 되돌리는 편침(41)의 니들베드측 버트(43b)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선침상태로 하고, 손가락부(52)의 스티치 편성과는 별도의 코스에서 실시한다.
실시예2 및 실시예3에서, 스티치캠(64, 74)의 구동은, 도2의 제어바(31)에 관한 것과 마찬가지로 레버기구 등을 통하여, 캐리지(3F)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하여 이루어진다. 되돌림양의 조정은, 스티치 조정을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기구를 유용(流用)하여 할 수 있다.
각 실시예는 편침(41)의 되돌림양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수단은, 스티치 억제홈(40a)의 작용에 따르는 손가락부(52)의 편성개시 전 또는 편성 중에도, 편성 후에 스티치 억제판(40)을 이동시키기 직전에도, 편침(41)의 되돌림양을 각각 조정할 수 있다. 되돌림양의 조정은, 확실한 녹오버를 가능하게 하여, 장갑(5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에서의 되돌림양의 조정은, 캐리지(3F, 3B)의 외부로부터 제어바(31)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캐리지(3F, 3B)의 내부에 모터나 액추에이터를 탑재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외부로부터의 조정은, 되돌림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캐리지(3F, 3B)의 스페이스나 중량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 61, 71 : 장갑 편성기
2 : 니들베드갭
2a : 가상중심면
3F, 3B : 캐리지
4F, 4B : 니들베드
10F, 10B, 60F, 70F : 캠 플레이트
14, 64, 74 : 스티치캠
16, 66 : 프레셔캠
16a, 64a, 74a : 리턴캠면
20 : 레버기구
21 : 레버
31, 32, 33, 34 : 제어바
40 : 스티치 억제판
40a : 스티치 억제홈
41 : 편침
42 : 바늘본체
42a : 훅
42b : 니들베드갭측 버트
43 : 잭
43b : 니들베드측 버트
46 : 가동싱커
50 : 장갑
51, 52, 53, 54, 55 : 손가락부
51a, 52a, 53a, 54a : 손가락 연결부

Claims (5)

  1. 전후 한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편침(編針) 및 가동싱커(可動sinker)와,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편침 및 가동싱커를 구동하면서,
    복수의 손가락부를,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에 작용시키는 오버랩(overlap)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장갑 편성기에 있어서,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에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켜서 후속의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직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측으로 되돌리도록 구동하는 리턴캠(return cam)과,
    리턴캠에 의한 편침의 되돌림양을 조정하는 조정수단(調整手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편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캠은,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hook)에 결합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구동캠면에 의하여 상기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도록 구동하는 프레셔캠(pressure cam)이고,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은, 프레셔캠의 상기 니들베드갭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편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캠은, 형성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는 스티치캠(stitch cam)이고,
    상기 스티치캠은,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편성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캠은, 형성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측으로 끌어들이는 스티치캠이고,
    상기 스티치캠은, 상기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측으로 되돌리는 리턴캠면을, 상기 니들베드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편성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캐리지 외부에 설치되고, 캐리지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정수단의 조정량에 따라 변위하는 제어바(control bar)와,
    제어바의 변위량에 따라 상기 리턴캠을 구동하는 레버기구(lever機構)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편성기.
KR1020210001410A 2020-01-10 2021-01-06 장갑 편성기 KR102492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03266 2020-01-10
JP2020003266A JP7252147B2 (ja) 2020-01-10 2020-01-10 手袋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556A KR20210090556A (ko) 2021-07-20
KR102492402B1 true KR102492402B1 (ko) 2023-01-27

Family

ID=7697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410A KR102492402B1 (ko) 2020-01-10 2021-01-06 장갑 편성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52147B2 (ko)
KR (1) KR102492402B1 (ko)
CN (1) CN113186637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062A (ja) 2011-07-07 2013-01-31 Shima Seiki Mfg Ltd 編目抑止杆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844A (ja) * 1984-07-02 1986-01-28 株式会社 三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編目抑え用プレツサ−装置
JP3053376B2 (ja) 1997-08-27 2000-06-19 株式会社松谷鉄工 手袋編機における編口押え板
EP1655398B1 (en) * 2003-07-30 2011-04-2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JP4848378B2 (ja) * 2005-11-11 2011-12-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JP4841335B2 (ja) 2006-06-30 2011-12-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2008121152A (ja) * 2006-11-13 2008-05-29 Shima Seiki Mfg Ltd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8274447A (ja) * 2007-04-25 2008-11-13 Shima Seiki Mfg Ltd 股重ねを有する手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969326B2 (ja) * 2007-06-12 2012-07-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JP2009144292A (ja) * 2007-12-17 2009-07-02 Shima Seiki Mfg Ltd 指袋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3044077A (ja) 2011-08-26 2013-03-0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可動カム作動装置
JP6347968B2 (ja) 2014-02-27 2018-06-27 ミドリ安全株式会社 柔軟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手袋
JP6490123B2 (ja) * 2017-03-01 2019-03-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目抑止板を備えた横編機
JP2019073819A (ja) * 2017-10-14 2019-05-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編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062A (ja) 2011-07-07 2013-01-31 Shima Seiki Mfg Ltd 編目抑止杆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86637B (zh) 2023-01-13
CN113186637A (zh) 2021-07-30
KR20210090556A (ko) 2021-07-20
JP7252147B2 (ja) 2023-04-04
JP2021110067A (ja)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8263B1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CN110714267B (zh) 横编机
EP0594169B1 (e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ring mechanism
KR19990023497A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JP3498270B2 (ja)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KR101709944B1 (ko) 스플릿 스티치 방법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KR200490925Y1 (ko) 장갑 편성기
WO2007113659A9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KR0177824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가동싱커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102492402B1 (ko) 장갑 편성기
JP2013064205A (ja)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
US3699782A (en) Knitting machines, especially flat machines
KR20100110736A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JP3408735B2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JPH0860499A (ja) ニッティングカムおよびカム装置
US3258938A (en) Spring bearded needle
EP2002043A1 (en) 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other knitted articles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7233309B2 (ja) 横編機
JPS6354819B2 (ko)
US1790940A (en) Island
US1783202A (e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