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991B1 -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991B1
KR102491991B1 KR1020217012999A KR20217012999A KR102491991B1 KR 102491991 B1 KR102491991 B1 KR 102491991B1 KR 1020217012999 A KR1020217012999 A KR 1020217012999A KR 20217012999 A KR20217012999 A KR 20217012999A KR 102491991 B1 KR102491991 B1 KR 10249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blast transfer
substrate
transfer material
tit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109A (ko
Inventor
미치오 가네코
기요노리 도쿠노
사토시 시마자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부라스토가코오 겐큐우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부라스토가코오 겐큐우쇼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1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using streams of abras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2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wood grain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2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in inert or controlled atmosphere or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other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other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3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of tita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21D7/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by shot-peening or the like

Abstract

기재의 표면 상에 블라스트 전사재를 배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대해,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는 제2 공정을 갖고,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는, 밀도, 두께, 경도 중 하나 이상이 불균일한, 재료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재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요철 등의 모양을 갖는 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뭇결 무늬 등의 자연 유래의 질감을 갖는 의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10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0398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건물의 내외장에 사용되는 마무리재나, 자동차 등의 수송 기기의 내장재에는, 경우에 따라 높은 의장성이 요구된다. 나뭇결 무늬나 자연 소재의 감촉을 갖는 재료는, 그 자체가 외관이 우수함과 함께, 주위와의 조화가 용이한 점에서, 상기 용도에 있어서도 비교적 빈번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뭇결 무늬의 감촉을 금속 재료에 있어서 재현하는 시도가 몇가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금속 재료의 표면을 절삭하여 나뭇결 무늬의 줄무늬 홈 모양을 형성하고, 그 표면을 도장한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스테인리스 띠강을 패턴화한 워크 롤에 의해 압연 전사하여 얻어지는, 볼록부가 경면 마무리면이며, 오목부가 매트 마무리면인, 나무결 모양의 스테인리스 화장판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 표면 요철을 갖는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3에는, 출발 부재에 마스킹재를 첩부하고,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815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 55-679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28142호 공보
그러나, 목재의 나무결이나, 자연 소재에 존재하는 모양에는, 명확한 윤곽 뿐만 아니라, 뚜렷한 경계가 없는 희미해진 영역도 많이 존재한다.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되는 방법에서는, 명확한 윤곽,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희미해진 영역을 형성할 수는 없다. 그리고, 종래, 이러한 희미해진 영역을 금속판 등의 기재의 표면에 표현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을 형성 가능하고, 소재에서 유래하는 모양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재료로 하는 기재 상에 베니어판이나 섬유 시트 등의 마스킹재를 배치하고, 이 위로부터 블라스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들 마스킹재가 갖는 모양을 충분히 반영한 모양을 기재에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다시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마스킹재란, 기재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마스킹재 유래의 모양을 기재에 전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 「블라스트 전사재」라 한다.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기재의 표면 상에 블라스트 전사재를 배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대해,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는 제2 공정을 갖고,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는, 밀도, 두께, 경도 중 하나 이상이 불균일한, 재료의 제조 방법.
(2)
상기 제2 공정 후에,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1)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3)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는, 베니어판, 섬유 시트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인, (1) 또는 (2)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4)
상기 섬유 시트가, 천 또는 화지인, (3)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5)
상기 기재가, 유리재, 세라믹재, 수지재, 콘크리트, 석재, 그래파이트, 천, 종이재, 목재, 목질 재료, 피혁재 또는 금속재인, (1) 내지 (4)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6)
상기 기재가,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중 어느 금속재인, (5)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7)
상기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 50㎛ 이상 1000㎛ 이하인 투사재가 사용되는, (6)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8)
상기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의 투사압이, 0.20MPa 이상 0.80MPa 이하인, (6) 또는 (7)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9)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의 두께가, 0.10㎜ 이상 1.00㎜ 이하인, (6) 내지 (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10)
상기 기재가, 티타늄재이며, 상기 제1 공정에 앞서, 상기 티타늄재를 진공 어닐링하거나 또는 산세하는 공정을 갖는 (6) 내지 (9)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11)
상기 재료가, 가전 하우징용 재료, 정보 기기 하우징용 재료, 주택 기기용 재료, 시계용 재료, 장식품용 재료, 간판용 재료, 표찰용 재료, 표지용 재료, 문방구용 재료, 기물용 재료, 주택내 가구용 재료, 조작 가구용 재료, 건축용 마무리재 또는 수송 기기용 재료인,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료의 제조 방법.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을 형성 가능하고, 소재에서 유래하는 모양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모양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경계가 없는 희미해진 영역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경계가 없는 희미해진 영역을 나타내는 설명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재료의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은, 기재(10)의 표면 상에 블라스트 전사재(20)를 배치하는 제1 공정과, 기재(10)의 상기 표면에 대해, 블라스트 전사재(20)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는 제2 공정을 갖고 있다. 블라스트 전사재(20)는, 기재(10)의 표면 상을 덮을 수 있는 시트 형상이며, 블라스트 전사재(20)는, 그 면적 전체에 있어서, 밀도, 두께, 경도 중 하나 이상이 불균일하다. 예를 들어,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은,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적어도 다른 일부분의 영역은,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혹은, 예를 들어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적어도 다른 일부분의 영역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다. 혹은, 예를 들어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은,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적어도 다른 일부분의 영역은, 경도가 상대적 낮다. 그러한 블라스트 전사재(20)는, 예를 들어 베니어판 및/또는 섬유 시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재료의 제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공정에 앞서 행해지고, 기재(10)를 준비하는 기재 준비 공정과, 제2 공정 후에 행해지는 후처리 공정을 갖는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기재 준비 공정
본 공정에서는, 먼저, 기재(10)를 준비한다.
기재(10)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의 석재, 그래파이트, 천, 종이재, 목재, 목질 재료, 피혁재, 도금 강재, 구리재,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등의 금속재, 유리재, 세라믹재, 그리고 수지재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중에서도, 내식성, 내구성의 관점에서, 기재(10)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재, 수지재, 석재 또는 금속재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식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재, 스테인리스재 또는 티타늄재이다. 특히, 티타늄재는 가혹한 부식 환경에서 양호한 내식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기재(10)에 사용되는 티타늄재로서는, 순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순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을 총칭하여 「티타늄」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티타늄재로서, 예를 들어 공업용 티타늄을 사용해도 된다. 기재(10)에 사용할 수 있는 공업용 티타늄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H 4600:2012나, JIS H 4650:2012에 기재되는 각종 공업용 티타늄을 들 수 있다. 가공성이 요구되는 경우는, 불순물을 저감시킨 JIS 1종(예를 들어, JIS H 4600)의 공업용 순티타늄이 적합하다. 또한, 강도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는, JIS 2종 내지 4종의 공업용 순티타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티타늄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량의 귀금속계 원소(팔라듐, 백금, 루테늄 등)를 첨가한 JIS 11종 내지 23종이나, 비교적 많은 첨가 원소를 포함하는 JIS 60종(예를 들어 Ti-6Al-4V계 합금), 60E종, 61종, 61F종, 80종 등을 들 수 있다.
단, Ti-6Al-4V계 합금과 같이, 알루미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 내식성이 열화되고, 내변색성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기재(10)로서의 티타늄 합금의 표면에 산화티타늄층을 형성하는 경우, 미리, 용도에 대한 합금 원소의 영향을 조사하고, 기재(10)에 따라, 각 층의 조성, 두께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혹은, 기재(10)는, 예를 들어 질량%로,
N: 0% 이상 0.050% 이하,
C: 0% 이상 0.10% 이하,
H: 0% 이상 0.015% 이하,
O: 0% 이상 0.35% 이하, 및
Fe: 0% 이상 0.50%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가 Ti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공업용 순티타늄일 수 있다.
또한, 기재(10)는, 예를 들어 질량%로,
Al: 5.0% 이상 7.0% 이하,
V: 3.0% 이상 5.0% 이하,
Co: 0.10% 이상 1.0% 이하,
Ni: 0.10% 이상 1.0% 이하,
Pd: 0.010% 이상 0.30% 이하, 및
Ru: 0.010% 이상 0.3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고,
N: 0% 이상 0.050% 이하,
C: 0% 이상 0.10% 이하,
H: 0% 이상 0.015% 이하,
O: 0% 이상 0.35% 이하, 및
Fe: 0% 이상 0.50%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가 Ti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공업용 티타늄 합금일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은, 첨가의 의도에 상관없이, 티타늄 중에 존재하고, 얻어지는 재료에 있어서 본래 존재할 필요가 없는 성분이다. 「불순물」이라는 용어는, 티타늄을 공업적으로 제조할 때 원료 또는 제조 환경 등으로부터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불순물은, 본원 발명의 효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불순물로서, 후술하는 블라스트 처리에 기인하는 투사재의 잔존물이, 기재(10)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재료(1) 중에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블라스트 처리에 기인하는 불순물은, 재료(1)의 표면 부근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재가 알루미나 입자인 경우 20원자%미만의 Al, SiC 입자의 경우 20원자% 미만의 Si나 C가 불순물로서 재료(1)의 표면 부근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JIS G 4305:2012에 기재되는 각종 오스테나이트계, 오스테나이트ㆍ페라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석출 경화계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SUS304, SUS316, SUS329J1, SUS430, SUS410, SUS630 등을 기재(10)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공업용 순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업용 순알루미늄으로서는, JIS H 4000:2006에 기재되는 A1085P, A1080P, A1070P, A1050P, A1100P, A1200P, A1N00P, A1N30P 등을 들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으로서는, JIS H4000:2006에 기재되는 A2014P, A2014PC, A2017P, A2219P, A2024P, A2024PC, A3003P, A3103P, A3203P, A3004P, A3104P, A3005P, A3105P, A5005P, A5052P, A5652P, A5154P, A5254P, A5454P, A5082P, A5083P, A5083PS, A5086P, A5N01P, A6061P, A7075P, A7075PC, A7N01P, A8021P, A8079P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금 강재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도금, 아연계 도금, 합금화 아연 도금이 실시된 각종 도금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아연계 도금 및 합금화 아연 도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융 Zn 도금, 합금화 용융 Zn 도금, 용융 Zn-55% Al-1.6% Si 도금, 용융 Zn-11% Al 도금, 용융 Zn-11% Al-3% Mg 도금, 용융 Zn-6% Al-3% Mg 도금, 용융 Zn-11% Al-3% Mg-0.2% Si 도금, 전기 Zn 도금, 전기 Zn-Ni 도금, 전기 Zn-Co 도금을 들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도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융 알루미늄 도금, 용융 알루미늄 실리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구리재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JIS H 3100:2012에 기재되는 공업용 구리 및 구리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구리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JIS H 3100:2012에 기재되는 C1020, C1100, C1201, C1220, C1441, C1510, C1921, C1940, C2051, C2100, C2200, C2300, C2400, C2600, C2680, C2720, C2801, C3710, C3713, C4250, C4450, C4621, C4640, C6140, C6161, C6280, C7060, C7150, C7250의 합금 번호로 표시되는 각종판 및 조 등을 들 수 있다.
유리재로서는,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크리스탈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재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목질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합판, 집성재, 파티클 보드 및 파이버 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목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가구재, 건축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임의의 수종의 목재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삼목, 소나무, 떡갈나무, 느릅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 오동나무, 노송나무, 마호가니, 월너트, 치크, 자단, 흑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파이트로서는, 천연 흑연 및 인조 흑연의 모두 사용 가능하고, 또한 수지 등을 결착 재료로서 결착된 이들 괴상물도 사용 가능하다.
종이재로서는, 예를 들어 판지, 도공지, 특수지, 잡종지 등의 양지나 각종 화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종이재를 구성하는 종이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목재를 대표로 하는 공지된 종이의 각종 원료일 수 있다.
세라믹재로서는, 예를 들어 도자기, 석고, 시멘트,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으로서는, 예를 들어 면, 마, 견, 양모 등의 천연 섬유 혹은 나일론, 비닐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혼합 섬유에 의한 직포, 부직포나 고무 도포 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혁재로서는, 인공 피혁, 합성 피혁 등의 인조 피혁이나, 천연 피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10)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 판, 코일, 조, 관, 봉선이거나 또는 이들이 적절하게 가공된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기재(10)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어 구상, 직육면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것들을 대표하여, 기재(10)가 판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기재(10)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전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10)의 표면의 세정이나, 코팅, 양극 산화 등의 각종 표면 처리나 어닐링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0)가 티타늄재인 경우, 제1 공정에 앞서, 티타늄재를 진공 어닐링하거나 또는 산세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재(10)의 표면 부근에 존재하는 탄화티타늄(TiC)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얻어지는 재료(1)의 내변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재(10)로서의 티타늄재가, 박판 형상인 경우, 동일 티타늄재는 냉간 압연에 의해 소정의 두께까지 압연된 후, 어닐링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대기 중에서 어닐링 처리를 실시한 경우는, 산세에 의해 산화 스케일을 제거하면 된다. 한편, 진공 중에서 어닐링하면, 어닐링 시에 형성하는 스케일 제거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후술하는 진공 어닐링에 비하여, 기재의 가공성에 제약을 받지만(가공 가능 범위가 좁아짐) 어닐링 없음(냉연인 채)이어도 되고, 상(相) 변태에 의해 β 조직화하는 온도, 예를 들어 900℃ 이상에서 1분 이상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들 처리는, 당업자에게 선택 가능한 조건을 적절하게 채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공 어닐링을 행하는 경우, 어닐링 온도는, 요구되는 기재(10)의 기계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6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온도의 상한은 상변태에 의해 β 조직화시키지 않기 위해 820℃ 미만이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12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진공 어닐링을 행하는 경우는, 650℃ 이상에서의 유지 시간의 합계가 12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시간의 상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24시간 이하가 바람직하다. 진공 어닐링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알칼리 탈지에 의해 유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세를 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질산과 불산의 혼합 수용액을 사용하여, 처리 온도(수용액 온도) 5℃ 이상 80℃ 이하, 처리 시간 10초 이상 30초 이하의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질산의 농도는, 예를 들어 10g/L 이상이며, 불산의 농도는, 예를 들어 0.5g/L 이상이다. 또한, 질산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80g/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g/l 이하이다. 이에 의해, 산세 후에 기재(10)의 표면에 불화물이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어닐링이나 산세 이외의 전(前)공정으로서, 덜(dull) 압연 마무리, 혹은 산세 후, 덜 압연 마무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건축가의 요망에 맞게, 전공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2. 제1 공정
다음에, 제1 공정에 있어서는, 기재(10)의 표면(11) 상에 블라스트 전사재(20)를 배치한다(S-101). 여기서, 블라스트 전사재(20)는, 기재(10)의 표면 상을 덮을 수 있는 시트 형상이며, 블라스트 전사재(20)는, 그 면적 전체에 있어서, 밀도, 두께, 경도 중 하나 이상이 불균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라스트 전사재(20)는, 예를 들어 베니어판 및 섬유 시트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다.
베니어판이나 섬유 시트는, 그 구조에 기인하여 면 방향에 있어서 밀도, 두께, 경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불균일하다. 이러한 불균질의 베니어판이나 섬유 시트를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사용하고, 블라스트 전사재(20)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불균질의 베니어판이나 섬유 시트에서 유래하는 모양이 기재(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이것은, 블라스트 처리 시에 있어서,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불균질성에 기인하여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연삭이 불균질하게 진행되고, 기재(10)가 받는 블라스트 처리도 불균질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베니어판은, 목재를 얇게 슬라이스함으로써 얻어지는 시트 형상의 판재이다. 베니어판은, 원료가 되는 목재에서 유래하는 나무결을 갖고 있다. 나무결은, 비교적 밀도, 경도가 낮은 조재 부분과, 비교적 밀도, 경도가 높은 만재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베니어판은, 나무결 모양에 대응하여 밀도, 경도가 불균질하다. 따라서, 베니어판을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사용함으로써, 제2 공정에 있어서, 기재(10)의 표면(11)에 나무결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니어판의 원료가 되는 목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삼목, 소나무, 떡갈나무, 느릅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 오동나무, 노송나무, 마호가니, 월너트, 치크, 자단, 흑단 등을 들 수 있고, 재료(1)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나무결 모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섬유 시트는, 섬유를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하게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섬유 시트는, 그 섬유 재료나 섬유의 배치 방법에 따라, 면 방향에 있어서의 밀도, 두께, 경도가 불균질이 된다. 따라서, 섬유 시트를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사용한 경우, 후술하는 제2 공정에 있어서는, 섬유 시트의 섬유 배치에 기인한 모양이, 기재(10)의 표면(11)에 형성된다.
섬유 시트로서는, 직포, 부직포, 이들에 레이스 편성, 자수를 놓은 천 등의 천이나, 화지, 양지 등의 종이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중에서도 화지는, 독특한 질감, 모양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장성이 우수하고, 적합하게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은, 큰 면적의 것을 제작,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면적의 기재(10)를 처리할 때 유리하다.
섬유 시트의 원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화학 섬유, 목면, 견, 모시 등의 섬유사나, 닥나무, 삼지닥나무, 대나무, 짚, 아마, 사탕 수수, 마닐라아사, 케나프, 바나나, 기름 야자, 파피루스, 목재 펄프(기계 펄프, 화학 펄프) 등의 각종 섬유 재료를 들 수 있다. 섬유 시트의 원료로서는, 재료(1)에 요구되는 모양, 질감에 따라,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0.10㎜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60㎜ 이하이다. 이에 의해, 제2 공정에 있어서, 기재(10)의 표면을 과도하게 깎지 않고,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모양에 대응하는 의장성이 우수한 모양을 보다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두께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평균 두께를 말하며, 버니어 캘리퍼스 또는 마이크로미터로 계측한 10점의 상가 평균에 의해 측정된다.
기재(10)의 표면(11) 상으로의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배치는, 통상 기재(10) 표면에 블라스트 전사재(20)를 첩부함으로써 행해진다. 기재(10)로의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첩부에 있어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후공정에 있어서의 잔존한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제거를 고려하여 수용성 접착제,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기재(10)에 대해,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복수종의 베니어판, 섬유 시트를 동시에 사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재료(1)에 복수의 모양을 형성하거나, 재료(1)로부터 복수의 부품, 제품을 제조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제2 공정
다음에, 제2 공정에 있어서는, 기재(10)의 표면(11)에 대해, 블라스트 전사재(20)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한다(S-103). 블라스트 처리는, 투사재를 기재(10)의 블라스트 전사재(20)를 배치한 표면에 투사함으로써 행해진다.
기재(10)의 표면(11)에 대해, 블라스트 전사재(20)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재 유래의 모양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과 함께 형성된다. 즉, 블라스트 처리 개시 시에 있어서는, 먼저 투사재는 블라스트 전사재(20)에 충돌하고, 블라스트 전사재(20)를 연삭한다. 이 때, 블라스트 전사재(20)는, 그 두께, 경도 및 밀도 중 하나 이상이 불균질이기 때문에,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부위마다의 연삭의 진행이나 소실의 정도도 이들 두께, 경도 및 밀도에 따라, 불균질이 된다. 그 후, 블라스트 처리를 진행시켜 감에 따라,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연삭이 진행되기 쉬운 부분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기재(10)의 표면(11)이 노출되어, 투사재가 기재(10)의 표면(11)에 충돌한다. 이와 같이,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불균질성에 따라 블라스트 처리의 투사재의 충돌 빈도가 기재(10)의 부위마다 다른 것이 되고, 기재(10)의 부위마다 블라스트 처리의 정도가 다른 것이 된다. 이에 의해, 기재(10)의 표면(11)에 있어서, 블라스트 전사재(20) 유래의 모양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을 수반하여 형성된다.
블라스트 처리의 방법으로는, 기계식(임펠러 투사), 공기식(에어 노즐식) 및 습식을 들 수 있고, 어느 방식에 의해 행해도 된다. 이들 중 공기식이 목적으로 하는 부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투사재를 투사할 수 있는 점에서, 조건의 조절이 용이한 점에서, 유리하다. 도시의 양태에 있어서는, 공기식을 채용하고, 에어 노즐(100)로부터 투사재의 분사를 행하고, 기재(10)의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고 있다.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 사용되는 투사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 입자, 유리 입자, 알루미나 입자, SiC 입자 등의 세라믹계 투사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중에서도, 알루미나 입자, 지르코니아 입자는, 기재(10)의 표면(11)에 형성되는 모양의 의장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10)의 종류, 사용되는 투사재의 종류 및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종류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재료(1)의 감촉도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을 감안하여, 투사재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투사재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기재가, 예를 들어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중 어느 금속재인 경우, 블라스트 전사재(20)의 투사재와의 충돌 부분을 적절하게 연삭하고, 또한 기재(10)의 표면에 모양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0㎛ 이하이다. 투사재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투사재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상한은 8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이다. 여기서, 투사재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JIS 8827-01:2008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투사재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제조되는 재료(1)의 질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고, 예를 들어 투사재로서는, 그리드, 샷, 비즈, 커트 와이어 등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드란, 예각의 각이 있는 비가구재, 건축 재료 입자(다각 형상 입자)를 말한다. 샷이란, 통상, 비즈와 같은 구상으로 각이 없는 입자를 말한다. 비즈란, 구형 입자를 말한다. 커트 와이어상이란, 와이어를 절단한 원통형의 입자를 말한다. 그리드는, 기재(10)의 표면(11)에 샤프한 요철을 형성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그리드는, 예를 들어 기재가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등의 금속재인 경우에, 베니어판의 약한 부분을 파괴하고, 또한 파괴된 부분의 금속 티타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투사재이다.
또한, 블라스트 처리 시에 있어서의 투사재의 투사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기재가, 예를 들어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중 어느 금속재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0.20MPa 이상 0.80MPa 이하이다. 투사재의 투사압의 바람직한 하한은, 0.3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MPa이다. 또한, 투사재의 투사압의 바람직한 상한은 0.70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MPa이다. 이에 의해, 적당한 투사 강도로 투사재를 기재(10)의 표면 및 블라스트 전사재(20)에 투사할 수 있고, 블라스트 처리된 부위의 전체에 걸쳐 블라스트 전사재(20) 유래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투사재에 의해 흠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사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기재(10)의 투사되는 면에 대해, 45 내지 90°(수직)일 수 있다.
또한, 블라스트 처리는 블라스트 전사재(20) 모두가 제거될 때까지 행해도 되지만, 블라스트 전사재(20)가 부분적으로 소실된 상황에서도 기재(10)의 표면으로의 모양의 형성 상황에 맞추어 블라스트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여기서,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베니어판을 사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는, 비교적 밀도, 경도가 낮은 조재 부분(21)과, 비교적 밀도, 경도가 높은 만재 부분(2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베니어판은, 그 면적 전체에 있어서, 나무결 모양에 대응하여 밀도, 경도가 불균질하다.
이와 같이 나무결 모양에 대응하여 밀도, 경도가 불균질의 블라스트 전사재(20)(베니어판)가, 제1 공정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0)의 표면(11) 상에 배치된다(S-101). 그리고, 제2 공정에 있어서, 기재(10)의 표면(11)에 대해, 블라스트 전사재(20)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진다(S-103).
여기서, 제2 공정에 있어서, 투사재는 블라스트 전사재(20)에 충돌하고, 블라스트 전사재(20)가 연삭된다(S-103). 이 때,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는, 비교적 밀도, 경도가 낮은 조재 부분(21)과, 비교적 밀도, 경도가 높은 만재 부분(22)을 갖고 있는 점에서, 비교적 밀도, 경도가 낮은 조재 부분(21)은,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 더 많이 연삭된다. 한편, 비교적 밀도, 경도가 높은 만재 부분(22)은,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 더 적게 연삭된다(S-103(a)).
그 후, 제2 공정에 있어서, 블라스트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비교적 밀도, 경도가 낮은 조재 부분(21)은 우선적으로 연삭되고, 부분적으로 기재(10)의 표면(11)이 노출된다(S-103). 이와 같이 하여,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조재 부분(21)이 존재하고 있던 부분에서는, 투사재가 기재(10)의 표면(11)에 충돌하고, 부분적인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진다(S-103(b)).
한편, 비교적 밀도, 경도가 높은 만재 부분(22)은 완전하게는 연삭되지 않고, 만재 부분(22)이 부분적으로 기재(10)의 표면(11)에 남은 채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만재 부분(22)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투사재가 기재(10)의 표면(11)에 충돌하지 않고,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기재(10)의 표면(11)에 있어서,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조재 부분(2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블라스트 처리에 의한 가공이 행해져, 조재 부분(2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투사 조건에 따른 요철(조면)(12)이 형성된다. 한편, 기재(10)의 표면(11)에 있어서,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만재 부분(2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블라스트 처리에 의한 가공이 행해지지 않고, 만재 부분(2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요철(조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블라스트 전사재(20)의 불균질성에 따라, 기재(10)의 표면(11)에 있어서, 요철(조면)(12)이 부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블라스트 전사재(20)로서 사용한 베니어판이 갖고 있던 나무결에 따른 모양(요철(조면)(12))이 기재(10)의 표면(11)에 형성된다.
또한,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에 있어서, 조재 부분(21)과 만재 부분(22)의 경계 근방에서는, 비교적 밀도, 경도가 높은 만재 부분(22)의 일부가 연삭되는 경우도 있다. 즉,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스트 전사재(20)에 있어서, 조재 부분(21)과 만재 부분(22)의 경계는, 기재(10)의 표면(11)에 반드시 수직이 아니고,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재 부분(21)의 하방에 만재 부분(22)이 비스듬하게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조재 부분(21)의 하방에 만재 부분(22)이 비스듬하게 들어가 있는 경우,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만재 부분(22)의 선단측(도 3에서, 좌측)이 얇아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일부가 연삭되고,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재 부분(22)에 덮여 있던 부분 13(기재(10) 표면(11)의 일부분임)이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 후에는 이 만재 부분(22)에 덮여 있던 부분 13에 투사재가 충돌하고,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이 만재 부분(22)에 덮여 있던 부분 13은, 조재 부분(21)만으로 덮여 있던 부분에 비교하면, 기재(10)의 표면(11)이 노출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지는 시간도 짧다. 그 결과, 이 만재 부분(22)에 덮여 있던 부분 13은, 원래 조재 부분(21)만으로 덮여 있고,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요철(조면)(12)이 형성된 부분에 비교하면 작은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재 부분(21)과 만재 부분(22)와의 경계가, 기재(10)의 표면(11)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 요철(조면)(12)의 주연부에, 이 만재 부분(22)에 덮여 있던 부분 13이, 가벼운 요철 모양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의해, 기재(10)의 표면(11)에 있어서, 블라스트 전사재(20) 유래의 모양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을 수반하여 형성된다.
도 4는, 경계가 없는 희미해진 영역을 나타내는 설명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0)의 표면(11)에 있어서, 요철(조면)(12)의 주연부에, 요철(조면)(12)에 비하여 요철의 정도가 약한, 가벼운 요철 모양(만재 부분(22)에 덮여 있던 부분 13에 대응하는 영역임)(13')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기재(10)의 표면(11)에, 블라스트 전사재(20) 유래의 모양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을 수반하여 형성된다.
4. 후처리 공정
블라스트 처리 후의 기재(10)에 대해, 필요에 따라 후처리를 행하고, 블라스트 전사재(20) 유래의 모양이 형성된 표면(11)을 갖는 재료(1)를 얻는다(도 1 S-105). 후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세정 처리, 양극 산화 처리, 도장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처리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5 내지 100℃의 물을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잔존하는 블라스트 전사재(20)를 수용성의 접착제와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수용성이 아닌 경우, 접착제를 팽윤, 용해 가능한 용매를 적절하게 선택해도 된다.
또한, 본 공정은 생략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재료(1)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소재 유래의 모양이 표면(1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표면(11)에 형성된 모양에는, 상술한 제1 공정, 제2 공정을 거쳐 형성됨으로써, 부위마다 농담이 생기고 있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은, 자연 소재 등에 있어서 존재하는 한편, 종래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는 형성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소재 유래의 모양을 충분히 반영시킨, 의장성이 우수한 재료(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재료(1)는, 블라스트 전사재(20)에서 유래한, 점, 선, 요철 및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모양이나 질감을, 장식 그 밖의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실시한 의장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블라스트 전사재(20)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재료(1)의 모양, 감촉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은, 다양한 소재 유래의 모양을 형성함에 있어서, 범용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은,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을 거쳐, 비교적 적은 공정수로 재료(1)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은,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기재(10)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은, 생산성도 우수하다. 특히, 기재(10)로서 코일을 사용한 경우, 즉 띠상의 기재(10)를 사용한 경우,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재료(1)는, 예를 들어 내장재, 외장재 등의 건축용 마무리재, 차량(특히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항공기 등의 수송 기기의 재료(내장재 및 외장재), 기물(예를 들어 식기), 조작 가구나 주택 내 가구(예를 들어 장롱류, 선반류, 의자류, 책상류, 침구), 가전 하우징, 정보 기기(IT 기기) 하우징, 주택 기기, 시계, 장식품, 간판, 표찰, 표지, 문방구로서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재료(1)는, 가전 하우징용 재료, 정보 기기 하우징용 재료, 주택 기기용 재료, 시계용 재료, 장식품용 재료, 간판용 재료, 표찰용 재료, 표지용 재료, 문방구용 재료, 기물용 재료, 주택내 가구용 재료,
조작 가구용 재료, 건축용 마무리재 또는 수송 기기용 재료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는,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재료(1)를 효율적으로 제조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용 마무리재나 수송 기기용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10)의 편면에만 대해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기재의 양면에 대해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공정은, 편면마다 행해져도 되고, 양면에 대해 병행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블라스트 전사재에는, 그 구조에 기인하여 면 방향에 있어서 밀도, 두께, 경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불균일한 시트 형상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10)의 표면(11) 상에 있어서, 베니어판과 섬유 시트를 장소를 옮겨서 배치해도 되고, 베니어판과 섬유 시트를 동일한 장소에서 겹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블라스트 전사재의 예로서, 레이스 모양의 요철이 붙은 비닐이나 식탁보 등, 밀도, 두께, 경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불균일한 수지 등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블라스트 전사재」는, 기재(10)의 표면(11) 상의 블라스트 처리를 완전히 방해하는 것이 아니고, 기재(10)의 표면(11) 상의 일부의 영역은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져, 다른 일부의 영역은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기재(10)의 표면(11) 상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블라스트 처리를 불균질하게 조정하는 수단(부재)이다.
또한, 예를 들어 기재가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등의 금속재인 경우에는,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의 전후에 있어서, 기재에 대해 양극 산화 처리 등에 의해 착색이 행해져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공정 및 제2 공정만을 거친 재료와는 다른 감촉의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재료의 제조
1.1. 기재 준비 공정
먼저, 각 예에 대해, 표 1에 나타내는 판형의 기재를 준비하였다. 기재가 티타늄인 경우,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어닐링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산세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JIS H 4600에 기초하는 순티타늄 1종을 「Ti-1」과, 순티타늄 2종을 「Ti-2」라고 표기하였다. 또한, 표 중, 「SUS」는 스테인리스 강판(SUS304), 「Al」은 알루미늄판(A3105P), 「유리」는 유리판(소다 석회유리), 「수지판」은 아크릴 수지제의 플라스틱판, 「천」은 면, 「세라믹」은 시멘트, 「석재」는 대리석, 「그래파이트」는 인조 그래파이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중, 어닐링에 대해서는, 진공 어닐링 또는 대기 어닐링의 어느 것을 행하였는지를 기재하였다. 진공 어닐링 처리는, 진공도를 1.0×10-3Torr 이하, 온도를 650℃, 처리 시간을 12시간으로 하여 행하였다. 또한, 대기 어닐링은, 온도를 730℃ 이상, 처리 시간을 2분으로 하여 행하였다. 또한, 산세는, 불산 농도 50g/L, 질산 농도 10g/L의 질산 수용액을 사용하고, 처리 온도 50℃에서 30초, 기재를 처리함으로써 행하였다.
1. 2. 제1 공정
다음에, 각 예에 대해, 준비한 기재의 표면에 대해, 표 1에 나타내는 블라스트 전사재를 첩부하였다. 또한, 표 중, 「베니어판」은, 천연의 목재(삼목)로 제조한 베니어판을 나타내며, 「화지」는, 동백 나무를 원재료로서 제작된 화지, 「창호지」는, 닥나무를 원료로 한 손으로 뜬 화지를 나타낸다. 「벽지」는 종이제의 벽지 원지, 「피혁재」는 인공 피혁, 「목재」는 떡갈나무의 판재를 나타낸다. 또한, 기재로의 블라스트 전사재의 첩부는, 수용성 풀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7에서 블라스트 전사재로서 사용한, 「베니어판」, 「화지」, 「창호지」, 「천」은, 밀도, 두께, 경도 중 하나 이상이 불균일하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모양을 인쇄한 알루미늄박을 사용한 블라스트 전사재를 기재 상에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 있어서는, 모양을 인쇄한 실리콘 수지 시트를 사용한 블라스트 전사재를 기재 상에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1, 2에 있어서는, 이들 모양을 인쇄한 알루미늄박 및 실리콘 수지는, 밀도, 두께, 경도 등의 물리적 성질은 균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1. 3 제2 공정
다음에, 블라스트 전사재를 첩부한 기재에 대해, 블라스트 전사재 상으로부터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였다.
1. 4 후처리 공정
블라스트 처리 후의 각 예에 관한 기재를 50℃의 물에서 세정하고, 잔존하는 블라스트 전사재를 수용성의 접착제와 함께 제거하고, 각 예에 관한 재료를 얻었다.
2. 평가
각 예에 관한 재료에 대해, 미리 사진 촬영한 블라스트 전사재의 모양과 기재 표면에 형성되는 모양과의 유사성을 눈으로 봐서 관찰하고, 매우 좋게 유사한 경우를 「A」 좋게 유사한 경우를 「B」, 어느 정도 유사한 경우를 「C」, 거의 유사하지 않은 경우를 「D」로 하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평가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21050066352-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2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는, 어느 정도 유사한 경우 「C」, 좋게 유사한 경우 「B」, 매우 좋게 유사한 경우 「A」의 어느 평가가 되었다. 한편,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2에 나타내는 재료는, 거의 유사하지 않은 경우 「D」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뚜렷한 경계가 없는 자연스러운 희미해진 영역을 형성 가능하고, 소재에서 유래하는 모양을 표현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실시예 1의 재료의 사진을 도 5에 도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 재료
10: 기재
20: 블라스트 전사재
100: 에어 노즐

Claims (11)

  1. 기재의 표면 상에 블라스트 전사재를 배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에 대해,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를 통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후에,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를 제거하는 제3 공정을 갖고,
    상기 기재가, 티타늄재, 스테인리스재, 알루미늄재 중 어느 금속재이고,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는, 조재 부분과 만재 부분에 의해 구성된 나무결을 갖는 베니어판이고,
    상기 제3공정 후에, 상기 나무결이 상기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재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 50㎛ 이상 1000㎛ 이하인 투사재가 사용되는, 재료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의 투사압이, 0.20MPa 이상 0.80MPa 이하인, 재료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 전사재의 두께가, 0.10㎜ 이상 1.00㎜ 이하인, 재료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티타늄재이며, 상기 제1 공정에 앞서, 상기 티타늄재를 진공 어닐링하거나 또는 산세하는 공정을 갖는, 재료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가전 하우징용 재료, 정보 기기 하우징용 재료, 주택 기기용 재료, 시계용 재료, 장식품용 재료, 간판용 재료, 표찰용 재료, 표지용 재료, 문방구용 재료, 기물용 재료, 주택내 가구용 재료, 조작 가구용 재료, 건축용 마무리재 또는 수송 기기용 재료인, 재료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7012999A 2018-10-30 2019-10-28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491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3984 2018-10-30
JPJP-P-2018-203984 2018-10-30
PCT/JP2019/042181 WO2020090744A1 (ja) 2018-10-30 2019-10-28 材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109A KR20210068109A (ko) 2021-06-08
KR102491991B1 true KR102491991B1 (ko) 2023-01-26

Family

ID=7046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999A KR102491991B1 (ko) 2018-10-30 2019-10-28 재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47011A1 (ko)
EP (1) EP3835078A4 (ko)
JP (1) JP7065945B2 (ko)
KR (1) KR102491991B1 (ko)
CN (1) CN112930269A (ko)
TW (1) TWI772701B (ko)
WO (1) WO20200907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141A (ja) * 2009-03-10 2010-09-24 Daiken Corp 木質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96Y2 (ja) 1978-11-02 1985-07-10 高砂鉄工株式会社 ステンレス化粧板材
JPS5567900A (en) 1978-11-16 1980-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us information service system
JPS5824490A (ja) * 1981-07-01 1983-02-14 Hiroshi Goto 多段彫り加飾法及び多段彫り加飾用転写紙
JPS59104989A (ja) * 1982-12-08 1984-06-18 Noritake Co Ltd サンドブラスト用の多層型転写紙
CA2101586A1 (en) * 1992-08-05 1994-02-06 Rajender Kamboj Ampa-binding human glur4 receptors
JP3168415B2 (ja) * 1997-12-29 2001-05-21 正義 高坂 模様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380856B (zh) * 2000-04-19 2012-07-04 西铁城控股株式会社 餐具及其表面处理方法、有硬质装饰镀膜的基材、基材的制造方法和刀叉餐具
TW536455B (en) * 2001-02-06 2003-06-11 Nippon Kokan Kk Surface trea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sheet
JP4338436B2 (ja) 2003-05-14 2009-10-07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木目模様を有する金属材料の製造方法
JP2005001273A (ja) * 2003-06-12 2005-01-06 Kansui Tomoe 手形・足形の記録体
US7168142B2 (en) * 2003-09-15 2007-01-30 Greatbatch-Globe Tool,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ped titanium article
JP5570762B2 (ja) * 2009-06-23 2014-08-13 大建工業株式会社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5735349B2 (ja) 2011-05-25 2015-06-17 大建工業株式会社 凹凸加工用突板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凹凸化粧板の製造方法
JP6169775B1 (ja) 2016-08-10 2017-07-26 新家工業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からなる部材の製造方法
JP7058149B2 (ja) 2017-06-08 2022-04-21 タキロンシーアイシビル株式会社 プリーツ型成形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141A (ja) * 2009-03-10 2010-09-24 Daiken Corp 木質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5945B2 (ja) 2022-05-12
EP3835078A4 (en) 2022-06-08
TW202023755A (zh) 2020-07-01
JPWO2020090744A1 (ja) 2021-02-15
KR20210068109A (ko) 2021-06-08
EP3835078A1 (en) 2021-06-16
WO2020090744A1 (ja) 2020-05-07
TWI772701B (zh) 2022-08-01
CN112930269A (zh) 2021-06-08
US20210347011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24B1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BRPI0608867A2 (pt) produto de metal revestido, método para produzi-lo e uso do método
AU2005274516B2 (en) Scouring element for cleaning poin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KR102491991B1 (ko) 재료의 제조 방법
US2516986A (en) Stainless steel finish
EP2116365B1 (en) Decorative panel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H06226916A (ja) 装飾被覆用成形木製パネル
TW200930564A (en) Material for kitchen panel, method for production of material for kitchen panel, and kitchen panel
KR20120050732A (ko) 헤어라인 외관을 갖는 전기도금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DE59700285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enelementes mit unterbrochenen multifilamenten
US2426962A (en) Process for making measuring tapes
JP2007077475A (ja) 金属ガラス部品の表面処理方法と該方法で表面処理された金属ガラス部品
DD229859A1 (de) Verfahren zur veredlung von hohl- und flachglasartikeln
KR100664447B1 (ko) 자동화 공정에 의한 패브릭 라미네이션 강판의 제조방법
US100580A (en) Improvement in inlaying- metallic surfaces
KR101551277B1 (ko) 필름을 이용한 대리석 표면 가공방법
US325543A (en) Edward ingraham
KR20090097346A (ko) 표면가공된 접합강판을 적용한 시스템가구
GB2527740A (en) Manufacturing method
JPH09141782A (ja) ラッピング用突板シート
JPH01319541A (ja) メラミン樹脂金属化粧板の製造方法
US118043A (en) Improvement in processes for ornamenting sewing-machines
JP2003039861A (ja) 沈金を施した名刺類
JP2005119020A (ja) 化粧シート
EP1092697A3 (en)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ons of ceramic articles, and decoration obtain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