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87B1 -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87B1
KR102485687B1 KR1020210006454A KR20210006454A KR102485687B1 KR 102485687 B1 KR102485687 B1 KR 102485687B1 KR 1020210006454 A KR1020210006454 A KR 1020210006454A KR 20210006454 A KR20210006454 A KR 20210006454A KR 102485687 B1 KR102485687 B1 KR 10248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lead screw
building
building platform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330A (ko
Inventor
김수희
Original Assignee
김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희 filed Critical 김수희
Priority to KR102021000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6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부부재 및 상기 상, 하부부재 사이에 구비된 연결관으로 구성한 노드, 상기 노드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이스트, 상기 조이스트 위에 올려지는 데크판넬로 구성한 건축 플랫폼을 건축 구조물의 아래에 상, 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드의 상, 하부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관통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하기 위한 통과공이 마련되며 상기 노드의 상부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끝단에는 핸들이 장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의 동작으로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수직 방향으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링기어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타고 상, 하 이동하는 너트부로 구성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Building Platform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상황에 따라 플랫폼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혹은 플랫폼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여 작업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폐기물등을 쉽게 아래로 낙하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유지보수 프로젝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들, 상황들, 및 프로젝트들에서 이용하기 위한 많은 타입들의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시장에서 이용가능하다. 프로젝트가 공공 작업 프로젝트(예를 들어, 저가 입찰(low bid))이든지 또는 사적인(private) 프로젝트이든지 간에, 합리적인 레벨들로 비용들 및 유지보수 비용들을 감소시키는 것은 관련 당사자들(예를 들어, 계약자들 및/또는 소유자)의 중요한 고려사항들이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이용되는 하나의 환경은, 교각들과 같이, 상당한 거리들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물들을 따르는 것이 되고 그리고 특히 그러한 구조물들 아래가 된다.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작업자들로 하여금 구조물에 대해서, 특히 교각들의 하부측들을 따르는 것과 같이 구조물들의 하부 영역들을 따르는 또는 그에 인접한 영역들과 관련하여, 다양한 유지보수 과정들(예를 들어, 검사, 세정, 도색, 수리, 또는 개장(refurbishing)) 또는 건설 과정들을 실시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한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들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그러한 유지보수 또는 건설 과정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파편들 등이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 아래의 영역들로 낙하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과 관련된 차폐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한 환경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통상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존재하고, 그리고 이러한 여러 가지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다양한 속성들(attributes)로 분류된다. 적어도 일부의 그러한 통상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캐티너리(catenary)-기반의 시스템들이고,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전체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단부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들 상에 데크 부분들이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들은 부가적인 지지부들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들의 길이들을 따라서 여러 간격들로 추가적으로 현수된다.
비록 일부의 그러한 캐티너리-기반의 시스템들을 비교적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시스템들의 적어도 일부는 특정 항목들(respects)에서 단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캐티너리-기반의 시스템들은 건설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거나, 또는 획득하거나 보장하기가 어려운 적절한 구현을 위한 조건들(예를 들어, 레인 폐쇄(lane closure))이나 전문적 기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캐티너리-기반의 시스템들은, 수명 또는 재사용성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구성부들로 제조되고, 및/또는 충분한 내구성 또는 안전성이 부족한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체공학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구성부들을 채용한다.
또한, 적어도 일부의 그러한 통상적인 시스템들은, 희망하는 편평도 레벨을 가지지 못하는 도보(walking) 표면들을 제공한다.
건축용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7-0127223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선행기술의 요지는 복수의 조이스트와, 상기 복수의 조이스트에 회전축 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복수의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허브가 작업 플랫폼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 작업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그 몸체를 형성하는 중간영역 외주연에 복수의 과회전 방지대가 외주연에 수직으로 돌출된 것이 특징이다.
선행기술의 허브에는 구조물에 지지장치를 지지시키기 위해 체인이 연결된다.
또한, 체인에 연결된 지지장치는 데크판넬의 높이나 혹은 작업과정에서 데크판넬의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을 아래로 떨어뜨려 처리하기 위해 데크판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데크판넬을 한쪽으로 기울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체인을 구조물에서 당겨주거나 풀어주는 동작으로 데크판넬의 위치를 조정해야 함으로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허브에 체인을 연결하는 작업은 체인이 허브의 슬롯 어느 한곳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으로 고정되는 데, 이때 체인이 끼워진 슬롯에만 하중이 집중되어 슬롯 주변으로 크랙이 발생하는 등 안정성에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6-0011714 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수단인 베벨기어의 구동에 따라 조이스틱을 연결하는 노드가 리드스크류를 타고 상, 하 이동하며 데크판넬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부재 및 상기 상, 하부부재 사이에 구비된 연결관으로 구성한 노드, 상기 노드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이스트, 상기 조이스트 위에 올려지는 데크판넬로 구성한 건축 플랫폼을 건축 구조물의 아래에 상, 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드의 상, 하부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관통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하기 위한 통과공이 마련되며 상기 노드의 상부부재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끝단에는 핸들이 장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의 동작으로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수직 방향으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링기어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드스크류를 타고 상, 하 이동하는 너트부로 구성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수단인 베벨기어의 구동에 따라 조이스틱을 연결하는 노드가 리드스크류를 타고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데크판넬의 높이를 구조물의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이물질이 데크판넬에 떨어졌을 때, 데크판넬을 한 쪽 방향으로 기울여 이물질을 간편히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건축용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하나의 작업 플랫폼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지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노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건축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건축용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하나의 작업 플랫폼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지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서 노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축용 작업 플랫폼은 크게 데크판넬(40), 조이스트(10) 그리고 노드(20)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
조이스트(10)는 기둥과 벽 사이에 여러 개를 평행하게 걸치는 소형의 보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노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데크판넬(40)을 지지하며 상기 데크판넬(40)에 올라가 작업하는 작업자나 각종 장비의 부하를 지탱하고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조이스트(10)는 상, 하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 하부프레임(12, 14), 상기 상, 하부프레임(12, 14)의 사이에 지그 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 하부프레임(12, 14)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6)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12, 14)의 양단에는 힌지관(18)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관(18)은 노드(20)를 구성하는 상, 하부부재(22, 24)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38)으로 결합되며 조이스트(10)를 노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노드(20)는 상기 조이스트(10)를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노드(20)에 연결되는 조이스트(10)는 상기 노드(20)를 기점으로 회전하며 관절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노드(20)는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상, 하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 하부부재(22, 24), 상기 상, 하부부재(22, 24)의 사이에 마련되는 원통형의 연결관(26)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 하부부재(22, 24)의 외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 구멍(28, 30)이 각각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핀 구멍(28, 30)에는 힌지핀(38)이 끼워진다. 상기 힌지핀(38)은 상기 상, 하부부재(22, 24)의 사이로 조이스트(10)의 단부에 마련된 힌지관(18)이 진입하고 나면 상기 핀 구멍(28, 30) 및 조이스트(10)의 힌지관(18)에 끼워지며 조이스트(10)를 노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다.
상기 상, 하부부재(22, 24)의 중앙에는 구멍(32,3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32, 34)으로는 건축 플랫폼을 건축 구조물에 지지시키기 위한 리드스크류(50)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50)는 교량이나 기타 다양한 건축 구조물(2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노드(20)의 상, 하부부재(22, 24)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32, 34)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건축용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의 각 구성품을 건축 구조물(200)에 지지시키게 된다.
상기 노드(20)와 조이스트(10)의 연결 구조는 조이스트(10)의 상, 하부프레임(12, 14)의 일단을 노드(20)의 상, 하부부재(22, 24) 사이로 삽입하면 상기 조이스트(10)의 상, 하부프레임(12, 14)의 사이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힌지관(18)은 노드(20)의 상, 하부부재(22, 24)의 외곽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 구멍(28, 30)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노드(20)의 핀구멍(28, 30) 그리고 조이스트(10)의 힌지관(18)으로 힌지핀(38)을 관통 설치함으로서 조이스트(10)를 노드(20)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할 수 있다.
데크 판넬(40)은 노드(20)를 기점으로 조이스트(10)를 하나씩 연결하여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4개의 노드(20)와, 4개의 조이스트(10)가 연결되고 나면 상기 조이스트(10)의 상면에 덮혀지며 작업자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발판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이다. 데크 판넬(40)과 조이스트(10)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4개의 노브(20), 4개의 조이스트(10) 그리고 조이스트(10)의 상면에 데크판넬(40)이 올려짐으로서 하나의 건축 플랫폼(100)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건축 플랫폼(100)은 동일한 방식으로 많은 개수의 노브(20)와 조이스트(10) 그리고 데크 판넬(40)을 조립하여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만큼 확장시켜 각종 건축 구조물, 예를 들어 교각 구조물의 아래에 설치되며 다양한 유지보수 과정들(예를 들어, 검사, 세정, 도색, 수리, 또는 개장(refurbishing)) 또는 건설 과정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건축 플랫폼(100)을 건축 구조물(200)의 아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를 필요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리드스크류(50) 및 베벨기어 타입의 구동수단(60)을 통해 건축 플랫폼(100)을 교각 구조물(200)의 아래에 고정시킴은 물론, 구조물(200)의 현장 상황에 따라 플랫폼(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혹은 데크판넬(40)의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 등을 아래로 제거하기 위해 데크판넬(40)을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노드(20)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50) 및 구동수단(60)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50)는 일단은 교각 구조물 아래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노드(20)의 구성품인 상부부재(2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벨기어 타입의 구동수단(60) 및 노드(20)의 상, 하부부재(22, 2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8, 30) 그리고 연결관(26)을 통과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60)은 노브(20)의 상부부재(22)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62), 상기 고정케이스(62)의 내부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후방에는 핸들(68)이 장착된 샤프트(66), 상기 샤프트(66)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68)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샤프트(66)를 통해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기어(70), 상기 피니언기어(70)와 수직으로 직각되게 맞물리는 링기어(72), 상기 링기어(72)의 중앙에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0)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링너트(74)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리드스크류(50) 및 구동수단(60)으로 이루어진 지지장치(300)를 이용하여 건축 플랫폼(100)을 건축 구조물(200)에 고정한 상태에서 건축 구조물(200)의 현장 상황에 따라 건축 플랫폼(10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건축 플랫폼(100)을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때에는 구동수단(60)인 핸들(68)을 잡고 샤프트(66)를 회전 동작시키면 피니언기어(70)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피니언기어(70)와 맞물려있는 링기어(72)는 회전하며 링너트(74)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링너트(74)는 회전 과정에서 리드스크류(50)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52)을 타고 상, 하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구동수단(60)의 고정케이스(6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노드(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으로서, 노드(20)를 포함한 조이스트(10), 데크판넬(40)로 구성된 건축 플랫폼(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 플랫폼(100)을 한쪽으로 기울어야 할 때에는 기울이고자 하는 위치에 있는 노드(20)의 구동수단(60)을 동작시키면 건축 플랫폼(100)을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안전하게 기울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건축 작업 플랫폼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에서와 같이 지지장치의 높이 조절을 위해 리드스크류(50)를 사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건축 플랫폼(100)을 구조물(200)에 지지시키는 빔클램프(140)의 사이 간격과 건축 플랫폼(100)의 노드(20) 사이 간격이 다를 경우, 예를 들어 구조물이 교각이라고 가정할 때, 교각의 차량 진행 방향인 측면은 빔클램프가 2.5m씩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반면, 교각의 정면방향은 빔클램프의 간격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도면에서는 빔클램프(140)의 간격이 노드(20) 보다 좁음), 이 경우에는 리드스크류(50)를 빔클램프(140)에 고정하는 작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빔클램프(140)와 노드(20) 간의 간격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리드스크류(50)의 상단에 브라켓(120)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20)과 빔클램프(140)를 체인(130)으로 연결 구성하여 빔클램프(140)와 노드(20) 간의 간격차이에 상관없이 건축플랫폼을 구조물 아래에 지지시킬 수 있다.
10: 조이스트 20: 노드
50: 리드스크류 52: 나사산
60: 구동수단 62: 고정케이스
66: 샤프트 68: 핸들
70: 피니언기어 72: 링기어
74: 링너트 100: 플랫폼
200: 건축 구조물 300: 지지장치

Claims (1)

  1.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상, 하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 하부부재(22, 24), 상기 상, 하부부재(22, 24)의 사이에 마련되는 원통형의 연결관(26)으로 구성한 4개의 노드(20), 상, 하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 하부프레임(12, 14), 상기 상, 하부프레임(12, 14)의 사이에 지그 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 하부프레임(12, 14)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6)으로 구성한 4개의 조이스트(10), 상기 조이스트(10)의 상, 하부프레임(12, 14)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노드(20)의 상, 하부부재(22, 2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38)으로 결합되며 상기 각 조이스트(10)를 상기 각 노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는 힌지관(18), 상기 4개의 조이스트(10)의 상면에 덮혀지며 작업자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발판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크판넬(40)로 이루어진 건축 플랫폼(100)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건축플랫폼(100)을 유지 보수를 위한 건축구조물(200)의 아래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시키되, 상기 건축 구조물(200)의 현장 상황에 맞추어 상기 건축 플랫폼(100)의 높, 낮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데크판넬(40)의 바닥 청소를 위해 상기 건축플랫폼(100)을 한쪽으로 기울어뜨린 상태로 건축 구조물(200)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노드(20)의 상, 하부부재(12, 14)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구멍(32, 34);
    상기 구멍(32, 34)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건축 구조물(200)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드(20)의 아래로 노출 구성되며 외경을 따라서는 나사산(52)이 형성된 리드스크류(50);
    상기 노드(20)의 상부부재(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상기 리드스크류(50)가 관통하기 위한 통과공(64)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고정케이스(62);
    상기 고정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후방은 상기 고정케이스(6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68)이 장착되는 샤프트(66);
    상기 샤프트(66)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68)의 동작으로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기어(70);
    상기 피니언기어(70)와 수직 방향으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72);
    상기 링기어(72)의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케이스(62)를 관통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0)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링기어(72)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드스크류(50)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52)을 타고 상, 하 이동하는 너트부(74)로 구성한 구동수단(60)으로 구성하며;
    상기 리드스크류(50), 상기 고정케이스(62) 및 상기 구동수단(60)은 동일한 구조로 상기 4개의 노드(20) 마다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플랫폼 지지장치.

KR1020210006454A 2021-01-18 2021-01-18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KR10248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454A KR102485687B1 (ko) 2021-01-18 2021-01-18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454A KR102485687B1 (ko) 2021-01-18 2021-01-18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30A KR20220104330A (ko) 2022-07-26
KR102485687B1 true KR102485687B1 (ko) 2023-01-05

Family

ID=8260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454A KR102485687B1 (ko) 2021-01-18 2021-01-18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68A (ja) * 1998-10-07 2000-04-18 Shinkoo Corporation:Kk 梁支持用サポ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38Y2 (ja) * 1988-04-07 1994-03-09 中央リビング販売株式会社 軽量鉄骨天井下地の構造
US7779599B2 (en) * 2004-03-31 2010-08-24 Safway Services, Llc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4189498A1 (en) 2013-05-21 2014-11-27 Safway Services, Llc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68A (ja) * 1998-10-07 2000-04-18 Shinkoo Corporation:Kk 梁支持用サポ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30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3895T3 (es) Andamio
US2233901A (en) System of adaptable elements for temporary or permanent structural framing
KR102485687B1 (ko)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JP2009030345A (ja) 組立式立体構築物
JP2015229852A (ja)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JP5888796B2 (ja) 構台
JP6940870B2 (ja) 支保工
EP2441903A1 (en) Eccentrical capital for planking and modular structures
KR200268196Y1 (ko) 크린룸 바닥 판넬 설치용 지지블럭 유니트
KR102490228B1 (ko) 원통형 설비 내벽에 근접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착탈식 거치대가 구비된 탈황설비용 비계 장치
JP2010090633A (ja) 筒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組立式作業足場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JP7044572B2 (ja) 階段構造およびユニット建物
JP2009209543A (ja) 足場板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GB2253877A (en) Handrail system
JP7148040B2 (ja) 階段の固定方法及び階段構造
JP6292449B2 (ja) 壁つなぎ支持部材及び足場構造
EP3006648A1 (en) Guard rail
KR102601151B1 (ko)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JP2002295007A (ja) 枠組み足場の構造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WO2006130898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free-standing verandahs
JP6912093B2 (ja) 支持具
RU2679210C2 (ru) Винтовые подмости
JPH06248794A (ja) 大型組立式移動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