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605B1 -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605B1
KR102483605B1 KR1020217010340A KR20217010340A KR102483605B1 KR 102483605 B1 KR102483605 B1 KR 102483605B1 KR 1020217010340 A KR1020217010340 A KR 1020217010340A KR 20217010340 A KR20217010340 A KR 20217010340A KR 102483605 B1 KR102483605 B1 KR 102483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topper
cells
receptor
thread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420A (ko
Inventor
에릭 엠. 라로즈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5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5/31505Integral with the syringe barrel, i.e. connected to the barrel so as to make up a single complete piece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2005/31508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provided on the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1) 스토퍼 및 (2)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유체를 저장하여 전달하기 위한 주사기가 제공된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플런저 막대 및 플런저 체결 단부에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엘라스토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외부 표면과 내부 공동을 가진다.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동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표면을 갖는 대체로 절두 원추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동 내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토퍼와의 일체화된 비나사산형 체결로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지지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내부 공동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Description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SYRINGE PLUNGER ASSEMBLI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체로 평활한 내벽의 비나사산형(non-threaded) 내부 공동을 갖는 스토퍼(stopper) 및 나사산형 부재와 플런저 막대(plunger rod)를 갖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플런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는 일체화된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스토퍼의 내부 공동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할 수 있다.
주사기는 약제를 전달하거나 환자의 생물학적 유체를 채취하기 위해 의료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오늘날, 주사기는 종종 사전에 충전되어 약제를 전달하기 전에 이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플런저 막대를 피스톤에 물리적으로 삽입하는데 수나사산 및 암나사산 또는 "푸쉬-인(push-in)"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푸쉬-인 방법은 삽입물에 대하여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삽입력이 플런저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 배럴 내에 플런저 전이(transition)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수나사산 및 암나사산 삽입 방법은 플런저 막대가 나사산 섹션의 종단부에 도달하는 경우에 배럴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플런저 회전을 야기한다. 상기 플런저 전이 및 회전의 제거가 약물 제조업자에게 바람직하며, 배럴 내에서의 플런저 이동이 약물 또는 생물제제의 멸균 장벽을 깨뜨려 주사기를 쓸모없게 만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약 산업에서는 잘 알려진 근심거리이다.
추가로, 주사기는 통상 플런저 내로 막대 삽입을 위해 실리콘 오일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부 약물 제제 및 생물제제는 실리콘 오일의 존재에 대해 민감하다. 플런저 막대를 포함하는 플런저 시스템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실리콘오일의 존재는 약물 제품에 대해 실리콘 오일의 침출 또는 이동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플런저 전이 및 회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제조를 단순화시키며, 실리콘 오일의 침출 및 이동 가능성을 제거시키는 사용 용이성이 개선된 주사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 양태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 및 엘라스토머 물질로 제조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플런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는 외부 표면과 내부 공동을 가진다.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동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표면을 갖는 대체로 절두 절두 원추형(frustoconical)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플런저 체결 단부에 나사산형 부재를 갖는 플런저 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스토퍼와의 일체화된 비나사산형 체결로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지지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스토퍼의 외부 표면은 주사기 배럴과의 체결을 위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outwardly extending) 리브(rib)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상기 내부 공동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동의 일부는 상기 나사산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체결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공동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나사산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체결 표면을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공동은 복수개의 체결 표면 및 비체결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체결 표면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2 양태는 원통형 배럴 및 상기 원통형 배럴의 수용 단부 내에 삽입된 플런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사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통형 배럴은 평활한 내부 표면을 가진다. 상기 플런저 어셈블리는 스토퍼 및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통형 배럴과의 체결을 위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를 갖는 외부 표면을 갖는 엘라스토머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체결 표면을 갖는 대체로 절두 절두 원추형인 부분을 갖는 내부 공동을 포함한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플런저 막대 및 플런저 체결 단부에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스토퍼의 내부 공동 내에 위치하여 그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상기 내부 공동의 체결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토퍼와의 일체화된 비나사산형 체결로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지지한다.
제3 양태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체 분사 주사기용 플런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플런저 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가변성 주직경(major diameter)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바깥 직경이 플런저 막대에 의해 정의된 종방향 축을 따라 달라진다(즉, 변화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스토퍼는 엘라스토머 본체로 형성되며,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비나사산형의 내부 공동을 한정한다. 각각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은 그들의 큰 종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배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은 나사산형 부재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체 분사 주사기용 플런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플런저 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엘라스토머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제1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 및 제2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비나사산형의 내부 공동을 한정한다. 제1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은 공동 개구부에 연결되어 제2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 근위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산형 부재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제5 양태는 세장형 샤프트(elongate shaft),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유체 분사 주사기용 플런저 막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위 단부는 나선형 수나사산의 형태의 나사산형 부재를 가진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상기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중간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상기 중간부에 적어도 하나의 최대 바깥 직경을 갖는 가변성 주직경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기 프로파일은 스토퍼의 비나사산형의 내부 공동과 짝지워지도록 구성된 형상을 형성한다.
제6 양태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 및 엘라스토머 물질로 제조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플런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는 외부 표면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특징부와 함께 대체로 절두 절두 원추형인 형상을 갖는 내부 공동을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플런저 체결 단부에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스토퍼의 내부 공동 내에서 회전할 수 없게 위치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상기 내부 공동 내에서 체결 특징부들과 접촉하여, 상기 스토퍼 내에서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표면은 주사기 배럴을 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공동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나사산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체결 특징부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더 확실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어,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원에 제공된 일부 실시양태에 따른 주사기의 측면도이고;
도 2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한 실시양태에 따른 도 2A의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A는 일부 실시양태에 따른 네킹된 개구부(necked opening)를 갖는 예시적인 스토퍼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B는 일부 실시양태에 따른 네킹된 개구부를 갖지 않는 예시적인 스토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한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5A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도 5A의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스토퍼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7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7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도 7A의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8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도 8A의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9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삽입 핀에 대한 등각 투영도(isometric view)이며;
도 9B는 도 9A의 삽입 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A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배출관(vent tube)에 대한 등각 투영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배출관에 대한 단면도이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이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 다수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쉽게 알 것이다. 또한, 본원에 언급된 첨부하는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할 필요는 없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하여야 하고, 이 점과 관련하여, 도면은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의료용의 유체를 저장 및 전달하기 위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제공되는 주사기는 배럴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된(slidably diposed)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는 나사산형 부재와 플런저 막대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스토퍼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막대는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본원에서, "비나사산형 체결"은 비나사산형 공동을 갖는 스토퍼가 나사산형 부재를 갖는 플런저 막대와 체결되는 경우에 형성된다.
본원에 제공된 주사기, 예컨대 비나사산형 체결을 갖는 주사기의 설계는 플런저 막대와 스토퍼가 체결되는 동안에 배럴 내에서 플런저 막대의 회전을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한다. 플런저 회전의 제거는 약물 제조업자에게 바람직하며, 배럴 내로 삽입하는 동안에 플런저 이동이 주사기 배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약물 또는 생물제제의 멸균 장벽을 깨뜨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산업계에서는 잘 알려진 근심거리이다.
비나사산형 체결은, 스토퍼의 비나사산형 공동과 플런저 막대의 나사산형 부재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으로 인해 높은 결합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수축 능력을 유지하는, 스토퍼와 플런저 막대 간의 결합을 유도한다. 본원에 제공된 주사기와 관련된 낮은 결합력은 플런저 막대를 삽입하는 동안에 스토퍼의 이동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추가로, 본원에 기술된 주사기는 막대를 스토퍼 내로 삽입하기 위해 대부분의 기존 주사기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플런저 막대의 나사산형 부재의 불균일한 프로파일로 인해, 스토퍼 내로의 플런저 막대 삽입은 스토퍼 공동 개구부에 대한 토그(torque)와 축력의 조합으로 플런저 막대를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실리콘 오일은 스토퍼 내로 막대를 삽입하는데 있어서는 필요치 않다. 일부 약물 제제와 생물제제가 실리콘 오일의 존재에 민감하며, 주사기 내에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으면, 약물 제품 내로 실리콘 오일이 침출하거나 이동할 가능성은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늘(106)로부터 약제와 같은 유체(도시하지 않음)를 저장하여 분사하기 위한, 배럴(104)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배치된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1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주사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스토퍼(108)는 배럴(104)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이동하여 그 안에 포함된 유체를 전달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108)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102)는 별개이지만, 결합가능한 구성요소들이다. 주사기(100)는 약학 조성물 또는 생물학적 물질과 같은 의료용 유체를 저장하고/하거나 환자 내로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주사기(100)는 예를 들어, 혈액 샘플과 같이 환자로부터 체액을 수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주사기(100)는 배럴(104)의 내강 안에 유체를 보유하고, 임의로는 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배럴(104)의 근위 단부를 스토퍼(108)로 밀봉함으로써 내강 안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하는 동안에, 주사기(100)는, 플런저 막대(110)가 스토퍼(108)로 하여금 배럴의 원위 단부(114)를 향해 미끄러져가도록 하는 경우에, 배럴(104)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8)는 소정량의 유체가 분배될 때까지 또는 스토퍼(108)가 배럴(104)의 근위 단부(109)에서 원위 단부(114)로 완전히 이동될 때까지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8)는 스토퍼(108)의 끝부분이 배럴(104)의 원위 단부(114)에 인접할 때까지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다르게는, 주사기(100)는 환자로부터 생물학적 유체 (예컨대, 혈액)를 채취하여 임의로는 상기 생물학적 유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8)는, 상기 배럴(104)의 원위 단부(114)에 위치하는 경우, 유체를 채취하기 위해 플런저 막대(110)를 잡아당김으로써 배럴(104)의 근위 단부(109)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배럴(104)은 실질적으로 경직성 또는 경질 물질, 예컨대 유리 물질 (예컨대, 붕규산 유리), 세라믹 물질, 하나 이상의 중합성 물질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 금속성 물질, 플라스틱 물질 (예컨대,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COP) 및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COC)) 및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배럴(104)은 근위 단부(109), 중간부(111) 및 원위 단부(114)를 포함하는 관형 본체이다. 배럴(104)의 근위 단부(109)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102, 110)를 수용하도록 개작된 배럴의 내강(내부)에 대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배럴(104)의 본체는 외부 직경 및 내부 직경을 가진다. 배럴(104)의 근위 단부(109)는 사용하는 동안 편안한 그립감을 위해 배럴(10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플랜지(112)를 가질 수 있다. 근위 단부(109) 및 중간부(111)에서 배럴(104)의 내부 직경은 대체로 일정할 수 있다. 원위 단부(114) 부근에서, 배럴(104)의 내부 및 외부 직경은 바늘(106)과 배럴(104)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더 작은 직경으로 테이퍼링(tapered)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배럴(104)의 원위 단부(114)는 루어(luer) 커넥터 (도시하지 않음), 예컨대, 루어-락 결합(luer-lock fitting)을 포함한다. 루어 커넥터는 바늘 팁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수개의 서로 다른 바늘 크기를 주사기(100) 내의 하나의 배럴(104)에 대하여 상호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루어 커넥터가 무바늘 시스템에서 바늘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는 스토퍼에 결합가능한 원위 단부(202), 썸(thumb) 프레스(205)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204) 및 상기 원위 단부(202)와 근위 단부(204) 사이에 신장되는 세장형 샤프트(208)를 포함한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원위 단부(202)는 플런저 막대(206)에 결합가능한 나사산형 부재(208)를 포함한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플런저 막대(206)는 나사산형 부재(208)를 배럴의 원위 단부로 이동시키기에 적절한 길이를 가진다 (도시하지 않음).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런저 막대(206)의 길이는 썸 프레스(205)가 예를 들어, 도 1의 배럴(104)의 원위 단부에서의 플랜지(112)와 같은 배럴의 원위 단부에서의 플랜지와 접촉하도록 개작된다. 썸 프레스(205)는 서로 다른 환자군들에 부응하고/하거나 주사바늘상해 안전(needlestick safety) 장치와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런저 막대(206)는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막대(206)의 단면은 십자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런저 막대(206)는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막대(20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런저 막대(206)를 구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근위 단부(220)와 원위 단부(222) 사이에 연장하는 중간부(211)를 갖는 나사산형 부재(208)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208)는 도 2A와 2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근위 단부(220)에서 블런트(blunt) 단부(210)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208)의 블런트 단부(210)는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원위 단부(202)가 스토퍼 내로 삽입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또한, 블런트 단부(210)는, 나사산형 부재(208)가 스토퍼에 결합될 때,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로 하여금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208)의 원위 단부(220)는 테이퍼링된 섹션이 없는 블런트 단부, 예컨대 원통형 블런트 단부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단부(222)와 근위 단부(220) 사이의 나사산형 부재(208)의 길이는 1 밀리미터 (mm) 내지 13 mm 범위일 수 있으며, 이 사이의 모든 범위와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원위 단부(222)와 근위 단부(220) 사이의 나사산형 부재(208)의 길이는 약 1 mm 내지 약 6 mm, 약 2 mm 내지 약 5 mm, 약 3 mm 내지 약 4 mm, 또는 약 4 mm 내지 5 mm 범위일 수 있다. 적절한 나사산형 부재(208) 길이는 약 1 mm 내지 약 2 mm, 약 2 mm 내지 약 3 mm, 약 3 mm 내지 약 4 mm, 약 4 mm 내지 약 5 mm, 약 5 mm 내지 약 6 mm, 약 5 mm 내지 약 7 mm, 약 1 mm 내지 약 3 mm, 약 1 mm 내지 약 4 mm, 약 1 mm 내지 약 5 mm, 약 1 mm 내지 약 6 mm, 약 2 mm 내지 약 4 mm, 약 2 mm 내지 약 5 mm, 약 2 mm 내지 약 6 mm, 약 3 mm 내지 약 7 mm, 약 3 mm 내지 약 6 mm, 약 4 mm 내지 약 7 mm, 약 6 mm 내지 약 7 mm, 약 8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13 mm 범위일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는 스토퍼의 내부 공동과 짝지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는 스토퍼의 비나사산형 내부 공동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는 스토퍼 내에서 대체로 절두 절두 원추형인 형상을 갖는 공동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나사산형 내부 공동은 다른 기하학적 형태,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구형, 도넛형, 원통형 및 다면체 형태의 내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208)는 해당 나사산형 부재(208)가 비나사산형 체결을 형성하는 스토퍼의 일부와 체결되거나 (즉, 접촉하거나) 또는 체결되지 않도록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동은 푸쉬-인 스타일과 같은 나사산형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와도 호환가능하다는 점을 주지하여야 한다.
나사산형 부재(208)는 나선형 수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형 부재(208)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나사산의 유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V-형태, 정사각형-형태, 애크미(acme), 버트레스(buttress) 및 너클(knuckle) 수나사산을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208)의 수나사산은 나사산형 부재(208)의 길이를 따라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또는 그 이상의 턴(tur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은 한줄(single-start) 나사 또는 다줄 나사(multi-start) 설계를 갖는 나선형 수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형 부재(208)의 프로파일 (즉, 바깥 직경)은 종방향을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더 논의하겠지만, 나사산형 부재(208)의 프로파일은 스토퍼의 공동 형태에 상보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는 가변성 주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바깥 직경이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플런저 막대(208)에 의해 한정된 종방향 축을 따라 변화한다는 의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는 해당 나사산형 부재(208)의 중간부(211)에서 최대 바깥 직경 (MMD)을 한정한다. 특히, 나사산형 부재(208)의 최대 바깥 직경은 중간부(211)에서 크레스트(crest) 피크(212)를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크레스트 피크(212)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인접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일부를 한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크레스트 피크(212)는 중간부(211)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크레스트 피크(212)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중간부(211)에 대해 원위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크레스트 피크(212)는 나사산형 부재(208)의 중간부(211)에 대해 근위에 위치한다. 상기 크레스트 피크(212)에 인접하여, 나사산형 부재(208)의 직경이 감소하면,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214, 216)을 야기하게 된다. 상기 크레스트 피크(212)는 각각 근위 및 원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214, 2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214)에서의 나선형 수나사산은, 스토퍼에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를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결합시키는 스토퍼의 내부 공동 내에서 상보적인 내부 표면과 짝지워지는 체결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214, 216)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 0.25 mm 내지 약 7 mm의 나사산 길이 (L2)를 가지며, 이 사이의 모든 범위와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214, 216)의 나사산 길이는 약 0.25 mm 내지 약 0.5 mm, 약 0.5 mm 내지 약 1 mm, 약 1 mm 내지 약 1.5 mm, 약 1.5 mm 내지 약 2.0 mm, 약 2.0 mm 내지 약 2.5 mm, 약 2.5 mm 내지 약 3.0 mm, 약 3.0 mm 내지 약 3.5 mm, 약 3.5 mm 내지 약 4.0 mm, 약 4.0 mm 내지 약 4.5 mm, 약 4.5 mm 내지 약 5.0 mm, 약 5.0 mm 내지 약 5.5 mm, 약 5.5 mm 내지 약 6.0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7 mm 범위일 수 있다.
나사산형 부재(208)의 직경은 약 1 mm 내지 약 6 mm 범위일 수 있으며, 이 사이의 모든 범위와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의 직경은 약 1.0 mm 내지 약 6 mm, 약 1.5 mm 내지 약 6 mm, 약, 약 2 mm 내지 약 6 mm, 약 3 mm 내지 약 5 mm 또는 약 3 mm 내지 4 mm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바깥 직경은 약 1.5 mm 내지 약 2 mm, 약 2 mm 내지 약 3 mm, 약 3 mm 내지 약 4 mm, 약 3.5 내지 약 4 mm, 약 4 mm 내지 약 5 mm, 약 5 mm 내지 약 6 mm, 약 1 mm 내지 약 3 mm, 약 1.5 mm 내지 약 4 mm, 약 1.5 mm 내지 약 5 mm, 약 1.5 mm 내지 약 6 mm, 약 2 mm 내지 약 4 mm, 약 2 mm 내지 약 5 mm, 약 2 mm 내지 약 6 mm, 약 3 mm 내지 약 5 mm, 약 3 mm 내지 약 6 mm 또는 약 4 mm 내지 약 6 mm 범위일 수 있다.
나사산형 부재(208)의 최대 바깥 직경 (MMD)은 약 2 mm 내지 약 6 mm 범위일 수 있으며, 이 사이의 모든 범위와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의 MMD는 약 1.0 mm 내지 약 6 mm, 약 1.5 mm 내지 약 6 mm, 약 2 mm 내지 6 mm, 약 3 mm 내지 약 5 mm 또는 약 3 mm 내지 약 4 mm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MMD는 약 2 mm 내지 약 3 mm, 약 3 mm 내지 약 4 mm, 약 4 mm 내지 약 5 mm, 약 5 mm 내지 약 6 mm, 약 2 mm 내지 약 4 mm, 약 2 mm 내지 약 5 mm, 약 2 mm 내지 약 6 mm, 약 3 mm 내지 약 5 mm, 약 3 mm 내지 약 6 mm 또는 약 4 mm 내지 약 6 mm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의 최소 직경은 약 1 mm 내지 약 6 mm 범위일 수 있으며, 이 사이의 모든 범위와 값을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208)의 최소 직경은 약 1.0 mm 내지 약 6.0 mm, 약 1.0 mm 내지 약 5.5 mm, 약 1.0 내지 약 5 mm, 약 100 mm 내지 약 4.0 mm, 약 1.0 mm 내지 약 3 mm, 약 1.0 mm 내지 약 2.0 mm, 약 1.0 mm 내지 약 1.5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1.3 mm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208)는 최소 직경보다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70, 약 1.75, 약 2, 약 2,25, 약 2,5, 약 2.75, 약 3, 약 3.5, 약 4, 약 4.5,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또는 약 10배 큰 최대 바깥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최대 바깥 직경에 대한 최소 직경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2, 약 1:2 내지 약 1:3, 약 1:3 내지 약 1:4, 약 1:4 내지 약 1:5, 약 1:5 내지 약 1:6, 약 1:6 내지 약 1:7, 약 1:7 내지 약 1:8, 약 1:8 내지 약 1:9 또는 약 1:9 내지 약 1:10 범위일 수 있다.
이제 도 3A를 참조하면, 도 2A 및 2B에 나타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와 호환가능한 예시적인 스토퍼(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00)는 하나 이상의 리브(304)를 갖는 외부 표면 및 내부 공동(306)을 한정하는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엘라스토머 본체(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 본체는 다양한 엘라스토머 물질,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부틸, 브로모부틸, 클로로부틸, 실리콘, 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플루오로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열가소성 가황물 (TPV), 규소 및 VITON®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물질로부터 구축되는 고무 및 이들의 조합과 배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엘라스토머 물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부틸 고무, 브로모부틸 고무, 클로로부틸 고무, 실리콘, 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지만, 내부 공동(306)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나사산형 부재(208)를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평활한 내부벽을 갖는 비나사산형 공동이다.
스토퍼(300)는 주사기 배럴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는 밀봉(slidable seal)을 형성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엘라스토머 스토퍼(300)는 예를 들어, 도 1의 배럴(104)과 같은 주사기 배럴과 체결하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30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00)의 리브(304)는 스토퍼(300)와 주사기 배럴 사이의 적절한 밀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사기 배럴의 내부 직경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300)의 리브(304)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리브(304)가 배럴 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할지라도, 스토퍼(300)는 배럴 내로 삽입되어 상기 배럴 내에서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어, 윤활제가 없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를 참조하면, 내부 공동(308)은 예를 들어, 도 2A 및 2B에 도시된 나사산형 부재(208)와 같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공동(306)은 일반적으로 나사산형 부재(208)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내부 공동(306)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나사산형 부재(208)를 일체화된 비나사산형 체결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평활한 내부벽을 갖는 비나사산형 공동일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낸 예시적인 스토퍼(300)에서, 내부 공동(306)은 스토퍼(300)의 근위 단부에서 네킹된 개구부(312)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는 2개의 인접하고 있는 절두 절두 원추형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공동(308)은 다른 기하학적 형태,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구형, 도넛형, 원통형 및 다면체 형태의 내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공동(306)은 제1 및 제2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은 제2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10)에 대해 근위에 위치하고 네킹된 개구부(312)에 대해 원위에 위치한다. 상기 각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은 작은 종단부(316, 317) 및 큰 종단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은 작은 종단부와 큰 종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링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은 큰 종단부(319)에서 서로 결합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은 결합하여 큰 종단부(319)를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대립하고 있는 큰 종단부(319)들은 내부 공동(306)의 최대 내부 직경을 한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은 스토퍼(300) 내에서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태 또는 육각형 단면 형태의 내부 공동(306)을 형성한다 (도시하지 않음).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공동(306)은 절두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 근위 내부벽 및 원통형 형상을 갖는 원위 내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음).
스토퍼(300)의 내부 공동(306)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200)의 나사산형 부재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나사산형 부재(208))로부터 스토퍼(300)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인 예정된 소정의 최대 유지력을 수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해당 나사산형 부재를 예정된 상기 최대 유지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스토퍼(300)로부터 잡아당기는 경우에 스토퍼(3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해당 나사산형 부재가 스토퍼(300)에서 빠져나올 때 상기 내부 공동(306)의 벽,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 310)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와 스토퍼(300) 사이에서 예정된 최대 유지력은 약 2 뉴턴 (N) 내지 약 50 N 범위일 수 있으며, 이 사이의 모든 범위와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런저 막대와 스토퍼(300) 사이에 예정된 최대 유지력은 약 2 N 내지 약 40 N, 약 3 N 내지 35 N, 약 4 N 내지 30 N, 약 5 N 내지 약 25 N, 약 6 N 내지 약 20 N, 약 7 N 내지 약 15 N, 약 8 N 내지 약 10 N 또는 약 9 N 내지 약 10 N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런저 막대와 스토퍼(300) 사이에서 예정된 최대 유지력은 약 2 N 내지 약 15 N, 약 3 N 내지 약 15 N, 약 8 N 내지 약 12 N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300)의 네킹된 개구부(312)는 나사산형 부재,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나사산형 부재(208)를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네킹된 개구부(312)의 내부 직경은 내부 공동(306) 내에서 더 작은 직경으로 테이퍼링되는, 스토퍼(300)의 근위 단부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동(306)은 해당 내부 공동(306) 내에서 가장 작은 직경 (즉, 최소 직경)을 갖는 영역으로 한정된 체결 오리피스(315)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체결 오리피스(315)의 직경은 약 1.0 mm 내지 약 6.0 mm, 약 1.0 mm 내지 약 5.5 mm, 약 1.0 내지 약 5 mm, 약 1.0 mm 내지 약 4.0 mm, 약 1.0 mm 내지 약 3 mm, 약 1.0 mm 내지 약 2.5 mm, 약 1.5 mm 내지 약 2.5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3 mm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체결 오리피스(315)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308)이 네킹된 개구부(312)를 연결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네킹된 개구부(312)는, 나사산형 부재를 상기 체결 오리피스(315)에 대해 밀어넣고/넣거나 비틀어 넣는 경우에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나사산형 부재로 하여금 상기 체결 오리피스(315)를 통과할 수 있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나타낸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1100)는 네킹된 개구부를 가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스토퍼(1100)는 근위 단부에 인접하고 있는 제1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1108)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절두 절두 원추형 표면(1108)은, 상기 제1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1108)의 작은 종단부(1116)가 스토퍼(1100)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도록 제2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1110)에 대하여 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오리피스(1115)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의 더 작은 종단부(11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는 주사기 배럴 내에서 스토퍼가 미끄러질 때 마찰을 감소시키는 외부층 물질 또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팽창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PTFE), 고밀화 팽창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FEP), 퍼플루오로알콕시 (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테르폴리머 (THV),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알콕시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층은 차단층(barrier layer) 및 다공성층을 갖는 복합체 플루오로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공성층은, 예를 들어, ePTFE 또는 다른 다공성의 팽창성 및 피브릴화 플루오로중합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6,541,589호(Baille)에 교시된 바와 같은 ePTF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ePTFE 층은 색상, 윤활성 또는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유기 또는 무기 물질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층은 고밀화 팽창성 플루오로중합체,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고밀화 팽창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PTFE)을 포함할 수 있다. 고밀화 ePTFE 필름은 미국 특허 7,521,010호(Kennedy, et al.), 미국 특허 6,030,694호(Dolan et al.), 미국 특허 5,792,525호(Fuhr et al.) 또는 미국 특허 5,374,473호(Knox et al.)에 기술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미국 특허 5,708,044호(Branca), 미국 특허 6,541,589호(Baillie), 미국 특허 7,531,611호(Sabol et al.), 미국 특허 공보 2009/0093602호(Ford), 미국 특허 출원 12/410,050호(Xu, et al.) 및 미국 특허 공보 2010/0248324호(Xu et al.)에 기술된 바와 같은 PTFE의 팽창성 공중합체는 고밀화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층은 피브릴에 의해 상호연결된 노드를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를 갖는 기능성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FE) 공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팽창성 중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기능성 TFE 공중합체 물질은 TFE와 PSVE (퍼플루오로설포닐 비닐 에테르)의 기능성 공중합체 또는 TFE와 또 다른 적절한 기능성 단량체,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VDF),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알콜과의 기능성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TFE 공중합체 물질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보 2010/0248324호(Xu et al.) 또는 미국 특허 공보 2012/035283호(Xu et al.)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플런저 막대(418)와 나사산형 부재(408)를 포함하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4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408)는 도 3의 스토퍼(300)와 호환가능하다. 상기 원위 단부 부분(402)은 스템(404) 및 상기 스템(404)에 대해 원위에 있는 나사산형 부재(408)를 포함한다. 도 4의 나사산형 부재(408)는 미늘이 있는(barbed), 나선형 수나사산을 가진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408)는 도 2B의 나사산형 부재(208)의 나사산 길이 (L2)에 비해 짧은 나사산 길이 (L4)를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나사산형 부재(408)는 그 근위 단부 부근의 최대 바깥 직경 (MMD)을 포함한다. 상기 나선형 수나사산의 최대 바깥 직경은, 사용하는 동안에 플런저 막대가 스토퍼와 계속 결합되어 있도록 스토퍼의 내부 공동의 내부벽과 체결하기 위한 크레스트 피크(412) 및 근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41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는 가변성 주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나사산형 부재의 바깥 직경이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플런저 막대에 의해 한정된 종방향 축을 따라 변화한다는 의미이다.
이제 도 5A와 5B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는 다수의 크레스트 피크(512, 513)를 갖는 가변성의 나사산형 부재(508)를 포함한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는, 나사산형 부재(508)의 설계를 제외하고는 도 2A의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와 유사하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508)는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의 종방향 축 (X1)을 따라 달라지는 가변성 주직경을 포함한다. 또한, 나사산형 부재(508)는 중간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나선형 수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508)는 중간부에 2개의 크레스트 피크(512, 513)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각 크레스트 피크(512, 513)는 최대 바깥 직경 (MMD)을 한정한다. 따라서, 각 크레스트 피크(512, 513)는 나사산형 부재(508)의 인접 부분보다 큰 바깥 직경을 가진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508)는 해당 나사산형 부재(508)의 최소 직경을 한정하는 2개의 크레스트 피크(512, 513) 사이에 크레스트 밸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사산형 부재(508)는 2개 이상의 크레스트 피크(512, 513)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형 부재(508)는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또는 그 이상의 크레스트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인접하고 있는 각 크레스트 피크(512, 513)는 각각 근위 및 원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514, 516)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514, 516)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하는 동안에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가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계속 스토퍼에 결합되어 있도록 스토퍼의 내부 공동의 내부벽과 체결할 수 있다. 나사산형 부재(508) 내에 근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514, 516)의 수를 증가시키면, 스토퍼와 상기 나사산형 부재(508) 사이의 체결 지점의 수 뿐만 아니라, 스토퍼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 사이에 최대 유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5A 및 5B에 나타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와 호환가능한 스토퍼(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600)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엘라스토머 본체(602)를 포함한다. 상기 엘라스토머 본체(602)는 외부 표면 및 스토퍼(600)의 내부 공동(606)을 한정하는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동(606)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나사산형 부재를 비나사산형 체결 형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평활한 내부벽을 갖는 비나사산형 공동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600)는 주사기 배럴을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604)를 포함할 수 있는 외부 표면을 가진다. 상기 리브(604)는 상기 엘라스토머 본체(602)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감소된 마찰 항력으로 주사기의 배럴 내에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토퍼(600)의 리브(604)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리브(604)가 배럴 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할지라도, 스토퍼(600)는 주사기의 배럴 내로 삽입되어 상기 배럴 내에서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어, 윤활제가 없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스토퍼(600)의 내부 공동(606)은 예를 들어, 도 5A 및 5B에 도시된 나사산형 부재(508)와 같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나사산형 부재를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지만, 상기 스토퍼(600)의 내부 공동(606)은 해당 내부 공동(606) 내에 다수의 위치에서 나사산형 부재(508)와 같은 나사산형 부재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평활한 내부벽에 의해 한정된 비나사산형 공동일 수 있다.
상기 내부 공동(606)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2개 이상의 네킹된 영역(620) 및 2개 이상의 팽창성 영역(622)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각각의 네킹된 영역(620)은 전이성(transitional) 벽(624, 626)에 의해 팽창성 영역(6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이성 벽(624, 626)은 더 큰 내부 직경에서 더 작은 내부 직경으로 테이퍼링되는 평활한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이성 벽(624, 626)은 더 작은 내부 직경에서 더 큰 내부 직경으로 증가하는 평활한 내부 표면 영역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이성 벽(624, 626)은 원추대(frustum cone) (예컨대, 일반적으로 절두 절두 원추형)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런저(600)의 하나 이상의 전이성 벽(624, 626)은, 스토퍼(600)가 주사기 배럴 내의 근위로 미끄러지도록 하면서 상기 스토퍼(600)의 내부 공동(606) 내에서 나사산형 부재를 유지하도록 나사산형 부재와 체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600)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전이성 벽(624, 626)은, 스토퍼(600)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에 의해 작동되어 주사기 배럴 내의 원위로 미끄러져가는 경우에 나사산형 부재와 체결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팽창성 영역(622)은 근위의 전이성 벽(624)과 원위의 전이성 벽(626)에 인접하고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근위의 전이성 벽(624)은, 스토퍼(600)가 주사기 배럴 내의 근위로 미끄러져 가는 경우에 상기 내부 공동(606) 내에서 나사산형 부재를 유지하도록 나사산형 부재와 체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600)의 하나 이상의 원위의 전이성 벽(626)은, 스토퍼(600)가 주사기 배럴 내의 원위로 미끄러져 가는 경우에 나사산형 부재와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동(606)은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6개 이상의 네킹된 영역 및 팽창성 영역(620, 622)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공동(606)은 나사산형 부재와 스토퍼(600) 사이에 체결을 증가시키기 위해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이상의 근위 및/또는 원위의 전이성 벽(624, 626)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600)의 중심축 (X2)에 대한 근위 또는 원위의 전이성 벽(624, 626)의 각(α)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 부분, 예를 들어, 나사산형 부재(508)와 같은 나사산형 부재의 형상에 상보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근위 또는 원위의 전이성 벽(624, 626)의 각(α)은 나사산형 부재의 근위 또는 원위의 전이성 나사산형 영역의 각에 각각 상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스토퍼(600)의 중심축 (X2)에 대한 근위 또는 원위의 전이성 벽(624, 626)의 각(α)은 약 5 도 내지 약 90 도, 약 5 도 내지 약 40 도, 약 10 도 내지 약 30 도, 약 15 도 내지 약 20 도, 약 15 도 내지 약 20 도, 약 5 도 내지 약 10 도, 약 10 도 내지 약 20 도, 약 15 도 내지 약 25 도, 약 20 도 내지 약 25 도, 약 30 도 내지 약 40 도, 약 5 도 내지 약 15 도, 약 5 도 내지 약 20 도, 약 5 도 내지 약 25 도, 약 5 도 내지 약 30 도, 약 5 도 내지 약 40 도, 약 10 도 내지 약 20 도, 약 15 도 내지 약 25 도, 약 10 도 내지 약 40 도, 약 20 도 내지 약 30 도, 약 20 도 내지 약 40 도, 약 30 도 내지 약 40 도, 약 40 도 내지 약 50 도, 약 50 도 내지 약 60 도, 약 60 도 내지 약 70 도, 약 70 도 내지 약 80 도 또는 약 80 도 내지 약 90 도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근위 및/또는 원위의 전이성 벽(624, 626)의 길이 (Lt)는 약 0 mm 내지 약 20 mm, 약 1 mm 내지 약 15 mm, 약 1 mm 내지 약 10 mm, 약 1 mm 내지 약 5 mm, 약 1 mm 내지 약 3 mm, 약 1 mm 내지 약 2 mm 또는 약 1 mm 내지 약 1.3 m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600)의 내부 공동(606)은 2개 이상의 인접하고 있는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의 쌍: 개구부(612)에 연결된 제1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2) 및 제2쌍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공동(606)은 2개 이상의 절두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의 쌍, 예컨대, 제3, 제4 또는 제5쌍 (또는 그 이상)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의 각 쌍은 근위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08) 및 원위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10)을 포함한다. 상기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0, 632) 각 쌍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08, 610)는 그들의 더 큰 종단부에서 서로 결합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0, 632)의 각 쌍은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0, 632)의 또 다른 쌍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쌍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0)은 제2쌍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2)에 대해 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 쌍(630, 632)의 근위 또는 원위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08, 610)은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의 나사산형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 표면 (즉, 체결 특징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결 표면은 근위 및 원위의 전이성 벽(624, 626)에 대하여 본원에 제공된 각과 길이로 한정될 수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700)가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700)는 도 6에 나타낸 스토퍼(600)와 호환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700)는, 나사산형 부재(708)의 설계를 제외하고는 본원에 기술된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와 유사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산형 부재(708)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의 나선형 수나사산의 나사산 길이에 비해 짧은 나사산 길이 (Lh)를 갖는 나선형 수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형 부재(708)는, 스토퍼의 내부 공동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 스토퍼의 체결 표면, 예컨대 제2쌍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2)의 근위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08), 또는 도 6의 플런저(600)의 가장 원위, 근위인 전이성 내부벽(624)에 체결할 수 있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시적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800)가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800)는 도 6에 도시된 스토퍼(600)와 호환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800)는, 나사산형 부재(808)의 설계를 제외하고는 본원에 기술된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예컨대, 도 5에 나타낸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500))와 유사하다. 도 8A 및 8B의 나사산형 부재(808)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나사산형 부재(508)의 나사산 폭 (w)과 나사산 프로파일에 비해 더 큰 나사산 폭 (w) 및 더 작은 나사산 프로파일 (즉, 더 작은 MMD)을 갖는 나선형 수나사산을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재(808)는 상기 나사산형 부재(808)를 따라 2개의 MMD 지점에 의해 한정되는 2개의 크레스트 피크(812, 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크레스트 피크(812, 813)의 바로 근위에 있는 나사산형 부재(708)의 부분은 스토퍼의 체결 표면, 예컨대 제2쌍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632)의 근위의 절두 원추형 내부 표면(808), 또는 도 6에 나타낸 플런저(600)의 가장 원위, 근위인 전이성 내부벽(624)에 체결할 수 있다. 나사산형 부재(808)를 예정된 최대 유지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스토퍼로부터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스토퍼와 체결되어 있는 나사산형 부재(808)의 부분은 상기 스토퍼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산형 부재로 하여금 스토퍼 내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를 분리시킨다.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와 스토퍼의 적절한 체결을 위해, 스토퍼의 개구부가 주사기 배럴 내의 중심에 위치하여 플런저 막대 어셈블리와의 적절한 정합(alignment)을 형성하도록 스토퍼를 주사기 배럴 내에 삽입한다. 통상적으로, 주사기는 약제와 같은 액체로 사전에 충전되며, 스토퍼는 상기 액체 내로 또는 액체에 대하여 삽입된다.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스토퍼의 뒤틀림, 좌굴(buckling) 또는 주름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주사기 배럴 내로 스토퍼를 삽입하기 위하여 배출관과 삽입 핀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스토퍼가 주사기 배럴 내에 포함된 액체를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으면서 주사기 배럴 내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배출관은 주사기 배럴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데, 이로써 스토퍼가 배럴 내부에 위치할 때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준다. 주사기 배럴 내의 스토퍼의 위치 선정은 통상적인 진공 또는 삽입 핀 삽입물을 구비한 진공을 이용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스토퍼는 배출관 내에 위치된다. 스토퍼가 일단 배출관 내에 위치하게 되면, 삽입 핀이 스토퍼를 배출관을 통해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를 주사기 배럴 내로 위치시킨다. 상기 삽입 핀의 팁은 스토퍼의 공동과 연결되어 있어 스토퍼가 주사기 배럴 내로 최소한의 좌굴을 가지면서 똑바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원에 기술된 플런저 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삽입 핀이 도 9A 및 9B에 나타나 있다. 삽입 핀(900)은 근위 단부(906) 및 원위 단부(908)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90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902)는 (도 10B에 나타낸) 본체의 근위에서의 배출관 내부 직경 (D4)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근위 단부(906)는 스토퍼의 공동과 연결되어 있다. 원위 단부(903)는 배출관을 통해 삽입핀을 밀어넣는데 사용되는 기계적 구동부와 짝지워지도록 크기가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핀(900)은 팁 단부(910)와 본체(902)를 상호연결하는 근위 단부(906)에서 테이퍼링된 영역(904)도 포함한다. 상기 팁 단부(910)는 스토퍼의 공동 내에 들어맞도록 설계된다. 적어도 한 실시양태에서, 삽입 핀 팁 단부(910)는 본체(902)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상기 테이퍼링된 영역(904)은 평활한 표면(912)에서 본체(902)로 약 10 도 내지 약 30 도, 약 20 도 내지 약 30 도, 약 15 도 내지 약 25 도, 약 10 도 내지 약 20 도, 약 20 도 내지 약 25 도의 각(α)으로 테이퍼링된다. 추가로, 상기 테이퍼링된 영역(904)은 주사기의 벽과 삽입 핀(900) 사이에 스토퍼의 원위 단부를 피닝(pinning)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배출관보다 높은 클리어랜스(clearance)를 가진다. 상기 평활한 표면(912)은, 스토퍼를 주사기 배럴 내로 삽입하는 동안에 직진성(straightness)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원위 단부로 밀어 넣도록 설계된다. 상기 평활한 표면(912)은 약 2 mm 내지 약 6 mm, 약 2.5 mm 내지 약 5 mm 또는 약 2.8 mm 내지 약 4 mm일 수 있는 직경 (D1)을 가진다. 상기 테이퍼링된 영역(904)은 예를 들어, 곡선형, 원형, 반경형, 다중형 테이퍼 등 (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곧은 테이퍼링된(예컨대, 선형) 이외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팁 단부(910)는 대략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동의 깊이일 수 있는 길이 (L1)를 가진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플런저 단부(910)는 약 3 mm 내지 약 8 mm, 약 4 mm 내지 약 7 mm, 약 4.5 mm 내지 5.5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6 mm의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플런저 단부(910)는 약 0.5 mm 내지 약 5 mm, 약 1 mm 내지 약 4 mm, 약 1 mm 내지 약 3 mm, 약 2 mm 내지 약 3 mm 또는 약 1.5 mm 내지 약 2.5 mm의 폭 (W)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팁 단부(910)의 직경 (D1)과 길이 (L1)의 조합은 삽입하는 동안에 스토퍼의 공동과 호환가능한 체적을 만들어 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팁 단부(910)는 원형 단부 또는 "병코(bottle-nose)" 외관을 가진다.
상기 본체(902)는 약 3 mm 내지 약 8 mm, 약 3.5 mm 내지 약 7 mm, 약 4 mm 내지 약 6 mm, 약 5 mm 내지 약 6 mm, 약 5 mm 내지 약 5,5 mm 또는 약 5.5 내지 약 6 mm 범위일 수 있는 직경 (D2)을 가진다. 상기 본체(902)와 스토퍼 단부(910)는 중합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팽창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PTFE) 또는 기타 물질,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0A와 10B로 돌아가면, 상기 기술한 삽입 핀(9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배출관이 도시되어 있다. 배출관(1000)은 근위 단부(1012) 및 원위 단부(1014)를 가진다. 배출관(1000)은 본체(1010)와 기계 어댑터(1020)를 포함한다. 정합 플랜지(1030)는 기계 어댑터(102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정합 플랜지(1030)는 충전 라인 상의 보조 장비와 정합하기에 충분한 형상을 가진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10)는 그의 원위 단부에서 전이 구역(10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010)는 주사기 배럴 내에 들어맞는 배출관(1000)의 섹션으로서, 스토퍼를 주사기 배럴 내로 위치시키도록 해준다. 상기 본체(1010)는 배출관(1000)의 외부와 주사기 배럴 사이에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배럴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끔 크기가 지정된다. 공기는, 주사기 배럴 내에 액체의 과도한 가압을 피하기 위해 주사기에 비해 작은 크기의 본체(1010)에 의해 생성된 경로를 따라 빠져나갈 수 있다.
전이 구역(1040)은 스토퍼가 위치설정(placement) 영역(1042) 내의 그 직경에서 배출관(1000)의 원위 개구부(1050)를 통과하기에 충분한 직경으로 압축되는 곳이다. 따라서, 스토퍼의 직경은 D3 (본체(1010)의 근위 단부에서의 직경)에서 D4 (본체(1010)의 원위 단부에서의 직경)로 감소된다. 상기 전이 구역(1040)은 위치설정 영역(1042)의 평활한 표면에서 본체(1010)로 약 1 도 내지 약 20 도, 약 3 도 내지 약 15 도, 약 5 도 내지 약 10 도, 약 10 도 내지 약 15 도의 각(α)으로 테이퍼링된다. 상기 위치설정 영역(1042)은 평활한 표면 또는 실질적으로 평활한 표면 및 약 3 mm 내지 약 20 mm, 약 5 mm 내지 약 15 mm, 약 7 mm 내지 약 10 mm, 약 7.0 mm 내지 약 8.0 또는 약 7.5 mm 내지 약 8.0 mm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위치설정 영역(1042)은, 스토퍼가 사전에 압축되지 않는 한, 스토퍼의 가장 큰 외부 리브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크기가 지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주사기 및 이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공정들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본원에 제공된 주사기 구성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압출, 압축 성형, 용매 주조(solvent casting)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범위들은 0.5 ㎖ 또는 1 ㎖ 길이의 주사기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는 있지만, 더 작거나 큰 주사기로 적절히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주사기의 하나 이상의 설계 특징들은 본원에 기술된 다른 주사기의 다른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본원에 제공된 2개 이상의 주사기 설계로부터 다양한 특징들을 조합하는 하이브리드 설계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의료용 전달 장치, 플런저 막대 및 스토퍼는 예를 들어, 약물 및 생물제제와 같은 서로 다른 치료용 화합물,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항체, 안티센트, RNA 간섭, 유전자 요법, 1차 및 배아 줄기 세포, 백신 및 이들의 조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실시양태들은 하기한 것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이들 모두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내배엽, 예컨대 외분비성 상피 세포및 호르몬 분비 세포; 외배엽, 예컨대 각질화 상피 세포, 습윤 중충 장벽 상피 세포, 감각 변환기 세포, 자율 신경세포, 감각 기관 및 말초 신경 지지 세포, 중추 신경계 신경 세포 및 신경아교 세포, 수정체 세포; 중배엽, 예컨대 물질대사 및 저장 세포, 장벽 기능 세포 (폐, 소화관, 외분비샘 및 비뇨생식로), 세포외 기질세포, 수축 세포, 혈액계 및 면역계 세포, 생식 세포, 영양 세포, 간질 세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1차적으로 유래하는 세포를 이용하는 세포 치료법. 추가로, 유전적으로,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변화되거나 변형된 세포들도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외분비성 상피 세포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침샘 점액 세포, 침샘 넘버 1, 혀의 본 에브너선세포, 유선 세포, 눈물샘 세포, 귀의 이도선 세포, 에크린 땀샘 암(dark) 세포, 에크린 땀샘 투명 세포, 아포크린 땀샘 세포, 눈꺼풀의 몰샘 세포, 피지선 세포, 코의 보우만선 세포, 십이지장의 브루너선 세포, 정낭 세포, 전립선 세포, 요도구샘세포, 바르톨린선 세포, 리트레선 세포, 자궁내막세포, 호흡기관 및 소화관의 고립형 배상 세포, 위벽 점액 세포, 위샘 효소원 세포, 위샘산분비 세포, 췌장 선포세포, 소장의 파네트 세포, 폐의 II형 폐포세포, 폐의 클라라 세포를 포함하고; 호르몬분비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뇌하수체 전엽 세포, 뇌하수체 중엽 세포, 거대세포성 신경분비 세포, 소화관 및 호흡기 세포, 갑상선 세포, 부갑상선 세포, 부신 세포, 고환분비성 테스토르테론의 라이디히 세포, 난포 분비성 에스트로겐의 내난포막 세포, 파열된 난포 분비성 프로게스테론의 황체 세포, 방사구체 세포, 신장의 치밀반점 세포, 신장의 혈관극주위 세포, 신장의 혈관간막 세포, 이자섬을 포함하며; 각질화 상피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피 각질형성세포, 상피 기저세포, 손톱 및 발톱의 각질형성세포, 손발톱층 기저세포, 속질모간 세포, 겉질모간 세포, 집껍질 모간 세포, 집껍질 모근뿌리상피집세포, 헉슬리층의 모근뿌리상피집 세포, 헨레층의 모근뿌리상피집 세포, 외피의 모근뿌리상피집 세포, 모기질 세포를 포함하고; 습윤 중층 장벽 상피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중층편평상피의 표면 상피 세포 및 각막, 혀, 구강, 식도, 항문관, 말단 요도 및 질의 기저 세포, 요로 상피 세포를 포함하며; 감각 변환기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코르티 기관의 청각내유모세포, 코르티 기관의 청각외유모세포, 후각상피의 기저세포, 저온감수성 1차 감각 뉴런, 고온감수성 1차 감각 뉴런, 표피의 메르켈 세포, 후각 수용체 뉴런, 통증민감성 1차 감각 뉴런, 눈 망막의 광수용기 세포, 고유수용성 1차 감각 뉴런, 접촉민감성 1차 감각 뉴런, I형 경동맥체 세포, II형 경동맥체 세포, 귀의 I형 전정계 모세포, 귀의 II형 전정계 모세포, I형 미뢰 세포를 포함하고; 자율 신경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콜린성 신경 세포, 아드레날린성 신경 세포, 펩타이드성 신경 세포를 포함하며; 감각 기관 및 말초 신경 지지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코르티 기관의 내 주상세포, 코르티 기관의 외 주상세포, 코르티 기관의 속손가락세포, 코르티 기관의 바깥손가락세포, 코르티 기관의 경계 세포, 코르티 기관의 헨센 세포, 전정기관 지지 세포, 미뢰 지지 세포, 후각상피 지지 세포, 슈반 세포, 위성 신경아교세포, 장의 신경아교세포를 포함하고; 중추 신경계 뉴런 및 신경아교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성상세포, 뉴런 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방추사 뉴런을 포함하며; 수정체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전방 수정체 상피 세포, 크리스탈린 함유 수정체 섬유 세포를 포함하고; 물질대사 및 저장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지방세포: 간 지방세포를 포함하며; 장벽 기능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신장 벽 세포, 신장 사구체 족세포, 신장 근위요세관 브러쉬 경계 세포, 헨레고리 세부 세포, 신장 원위세관 세포, 신장 집합관 세포, 주 세포, 사이 세포, I형 폐포세포, 췌장 관 세포, 비횡문 관 세포, 주 세포, 사이 세포, 관 세포, 장내 브러쉬 경계 세포, 외분비샘 줄무늬 관 세포, 쓸개 상피 세포, 수출세관 무섬모 세포, 부고환 주 세포, 부고환 기저 세포를 포함하고; 세포외 기질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애나멜 아세포 상피 세포, 귀 전정기관의 반월평면 상피 세포, 코르티 기관의 치간 상피 세포, 성긴 결합조직 섬유아세포, 각막 섬유아세포, 힘줄 섬유아세포, 골수 망상조직 섬유아세포, 기타 비상피섬유아세포, 혈관주위세포, 추간판의 수핵 세포, 시멘트아세포/시멘트질세포, 상아아세포/치골세포(odontocyte), 유리연골 연골세포, 섬유연골 연골세포, 탄성연골 연골세포, 조골세포/골세포, 골조상 세포, 눈 유리체의 유리체세포, 귀 외림프공간의 성상 세포, 간 성상 세포, 췌장 성상 세포를 포함하며; 수축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골격근 세포, 위성 세포, 심근 세포, 평활근 세포, 홍채의 근상피 세포, 외분비샘의 근상피 세포를 포함하고; 혈액 및 면역계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적혈구, 거핵구, 단핵구, 결합조직 대식세포, 상피 랑게르한스 세포, 파골세포, 수지상 세포, 미세신경아교 세포, 호중성 과립구, 호산성 과립구, 호염기성 과립구, 혼성 세포, 비만 세포, 헬퍼 T 세포, 억제 T 세포, 세포독성 T 세포, 자연 살해 T 세포, B 세포, 자연 살해 세포, 망상적혈구, 줄기 세포, 및 혈액 및 면역계에 대하여 수임된 전구 세포(committed progenitor)를 포함하며; 생식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난원세포/난모세포, 정자세포, 정모세포, 정원세포, 정자를 포함하고; 영양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난포 세포, 세르톨리 세포, 가슴샘 상피 세포를 포함하며; 간질 세포,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간질 신장 세포를 포함하고, 이들의 조합도 포함한다.
단백질 표적 또는 유전자에 가해진 항체, 안티센스, RNA 간섭, 또는 유전자 치료의 예: 변이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 종양 단백질 p53, 체크포인트 키나아제 2, 유방암 감염성 단백질, 이중가닥 절단 수리 단백질, DNA 수리 단백질 RAD50, 니브린, p53-결합 단백질, DNA 손상 체크포인트의 매개자 단백질, H2A 히스톤 패밀리 멤버 X, 마이크로세파린, C-말단 결합 단백질 1, 염색체 구조유지 단백질 1A; 에스테라제; 포스파타제를 포함하고; 이온채널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리간드 개폐형 이온채널, 전압 개폐형 이온채널을 포함하며; 성장인자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신경 성장인자 (NGF), 혈관내피성 성장인자 (VEGF),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PDGF), C-fos-유래 성장인자 (FIGF), 혈소판 활성인자 (PAF), 전환 성장인자 베타 (TGF-β), 골형성 단백질 (BMP), 액티빈, 인히빈,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 과립구콜로니자극인자 (G-CSF),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자극인자 (GM-CSF), 신경아교세포계 유래 신경영양인자 (GDNF), 성장분화 인자-9 (GDF9), 상피 성장인자 (EGF), 전환 성장인자-α(TGF-α), 성장인자 (KGF), 이동촉진 인자 (MSF), 간세포성장인자 유사단백질 (HGFLP), 간세포 성장인자 (HGF), 간암유래 성장인자 (HDGF), 인슐린유사 성장인자를 포함하고; G 단백질 결합된 수용체 (GPCR)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데노신 수용체 패밀리, 아드레날린 수용체 패밀리,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아펠린 수용체, 바소프레신 수용체 패밀리, 뇌 특이적 맥관형성 억제제 패밀리, 브래디키닌 수용체 패밀리, 봄베신 수용체 패밀리, 보체 성분 3a 수용체 1, 보체 성분 5a 수용체 1, 칼시토닌 수용체 패밀리, 칼시토닌 수용체 유사 패밀리, 칼슘감지 수용체, 콜레시스토키닌 A 수용체 (CCK1), 콜레시스토키닌 B 수용체 (CCK2), 케모카인 (C-C 모티프) 수용체 패밀리, 스핑고신 1-포스페이트 수용체 패밀리, 숙신산 수용체, 콜린 수용체 패밀리. 케모카인 유사 수용체 패밀리,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패밀리,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케모카인 C-X3-C 수용체 패밀리, 케모카인 (C-X-C 모티프) 수용체 패밀리, 버킷림프종 수용체, 케모카인 (C-X-C 모티프) 수용체 패밀리,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2 (CYSLT2), 케모카인 수용체 (FY), 도파민 수용체 패밀리, G 단백질-결합된 수용체 183 (GPR183), 리소포스파티딘산 수용체 패밀리, 엔도텔린 수용체 패밀리, 응고 인자 II (트롬빈) 수용체 패밀리, 유리 지방산 수용체 패밀리, 포밀펩타이드 수용체 패밀리,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FSHR),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 B 수용체, 갈라닌 수용체 패밀리, 글루카곤 수용체,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 수용체 (GHRH), 그렐린 수용체 (그렐린),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성 수용체 1b (GHSR1b), 위억제성 폴리펩타이드 수용체 (GIP),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 수용체 패밀리,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 수용체 (GnRH), 파이로글루타밀화 RF 아미드 펩타이드 수용체 (QRFPR), G 단백질-결합된 담즙산 수용체 1 (GPBA), 하이드로카르복시산 수용체 패밀리, 리소포스파티딘산 수용체 4 (LPA4), 리소포스파티딘산 수용체 5 (GPR92), G 단백질-결합된 수용체 79 유사유전자 (GPR79), 하이드로카르복시산 수용체 1 (HCA1), G-단백질 결합된 수용체 (C5L2, FFA4, FFA4, FFA4, GPER, GPR1, GPR101, GPR107, GPR119, GPR12, GPR123, GPR132, GPR135, GPR139, GPR141, GPR142, GPR143, GPR146, GPR148, GPR149, GPR15, GPR150, GPR151, GPR152, GPR157, GPR161, GPR162, GPRT7, GPR171, GPR173, GPR176, GPR18, GPR182, GPR20, GPR22, GPR25, GPR26, GPR27, GPR3, GPR31, GPR32, GPR35, GPR37L1, GPR39, GPR4, GPR45, GPR50, GPR52, GPR55, GPR6, GPR61, GPR65, GPR75, GPR78, GPR83, GPR84, GPR85, GPR88, GPR97, TM7SF1), 대사성 글루파메이트 수용체 패밀리, 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수용체 (BB2), 오렉신 수용체 패밀리, 히스타민 수용체 패밀리, 5-히드록시트립타민 수용체 패밀리, KISS1-유래된 펩타이드 수용체 (키스펩틴), 루신이 많이 반복되는 G 단백질-결합된 수용체 패밀리, 코리오고나도트로핀 수용체 (LH), 류코트리엔 B4 수용체 (BLT1),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활성화 폴리펩타이드 1 수용체 1 (mPAC1), 모틸린 수용체, 멜라노코르틴 수용체 패밀리, 멜라닌농축 호르몬 수용체 1 (MCH1), 뉴로펩타이드 Y1 수용체 (Y1), 뉴로펩타이드 Y2 수용체 (NPY2R), 오피오이드 수용체 패밀리, 옥시토신 수용체 (OT), P2Y 퓨리노셉터 12 (mP2Y12), P2Y 퓨리노셉터 6 (P2Y6), 췌장 폴리펩타이드 수용체 패밀리,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글란딘 E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노이드 IP1 수용체 (IP1), MAS-연관 GPR 멤버 패밀리, 로돕신 (로돕신), 릴랙신 패밀리 펩타이드 수용체 패밀리,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패밀리, 타키키닌 수용체 패밀리, 멜라토닌 수용체 패밀리, 유로텐신 수용체 패밀리, 혈관작용성 장 펩타이드 수용체 1 (mVPAC1), 뉴로메딘 B 수용체 (BB1), 뉴로메딘 U 수용체 1 (NMU1), 뉴로펩타이드 B/W 수용체 패밀리, 뉴로펩타이드 FF 수용체 1 (NPFF1), 뉴로펩타이드 S 수용체 1 (NPS 수용체), 뉴로펩타이드 Y 수용체 패밀리, 뉴로텐신 수용체 1 (NTS1), 옵신 5 (OPN5), 오피오이드 수용체 유사 수용체 (NOP), 옥소에이코사노이드 (OXE) 수용체 1 (OXE), 옥소글루타르산 (알파-케토글루타르산) 수용체 1 (OXGR1), 퓨린성 수용체 패밀리, 피리미딘성 수용체 패밀리, 프로락틴 방출 호르몬 수용체 (PRRP), 프로키네티신 수용체 패밀리,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 (PAF), 프로스타글란딘 F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글란딘 I2 (프로스타사이클린) 수용체 패밀리,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패밀리, 무스카린성 4 (rM4), 프로스타노이드 DP2 수용체 (rGPR44), 프로키네티신 수용체 패밀리, 릴랙신 패밀리 펩타이드 수용체 패밀리, 세크레틴 수용체 (세크레틴), 평활화된 프리즐드(Frizzled) 클래스 수용체 (평활화), 미량의 아민 관련 수용체 패밀리, 타키키닌 패밀리, 트롬복산 A2 수용체 (TP), 티로트로핀-방출 호르몬 수용체 (TRH1),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 (TSH)를 포함하고; 단백질 키나아제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AP2 연관 키나아제, 호모사피엔스 ABL 원발암유전자 1 - 비수용체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c-abl 암유전자 1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v-abl 아벨슨 쥐과 백혈병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2, 액티빈 A 수용체 패밀리, 샤페론 - bc1 복합체 동족체의 ABC1 활성 (S. 폼베) (ADCK3), aarF 도메인 함유 키나아제 4 (ADCK4), v-akt 쥐과 흉선종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패밀리, 역형성 림프종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A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B 패밀리, 안키린 반복 및 키나아제 도메인 함유 1 (ANKK1), NUAK 패밀리 - SNF1-유사 키나아제,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오로라 키나아제 A (AURKA), 오로라 키나아제 B (AURKB), 오로라 키나아제 C (AURKC), AXL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AXL), BMP2 유도성 키나아제 (BIKE), B 림프성 티로신 키나아제 (BLK), 골형성 단백질 수용체 패밀리, BMX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BMX), v-raf 쥐과 육종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B1 (BRAF),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6 (BRK), BR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브루톤형 무감마글로불린혈증 티로신 키나아제 (BTK),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패밀리,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유사 패밀리, CHK1 체크포인트 동족체 (S. 폼베) (CHEK1), CHK2 체크포인트 동족체 (S. 폼베) (CHEK2), 인슐린 수용체, 동형 A (INSR), 인슐린 수용체, 동형 B (INSR), rho-상호작용성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CIT), v-kit 하디 주커만 4 고양이과 육종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KIT), CDC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MET), 원발암유전자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수용체, 콜로니 자극 인자 패밀리 수용체, c-src 티로신 키나아제 (CSK), 카세인 키나아제 패밀리, 거핵구-연관 티로신 키나아제 (CTK), 사멸-연관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더블코르틴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근긴장성 디스트로피-단백질 키나아제 (DMPK), 이중 특이성 티로신-(Y)-인산화 조절된 키나아제 패밀리, 상피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 진핵 전이 개시 인자 2-알파 키나아제 1 (EIF2AK1), EPH 수용체 패밀리, 에프린 A형 수용체 패밀리, 에프린 B형 수용체 패밀리, v-erb-b2 적혈구계 백혈병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패밀리,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소포체에서 핵으로의 신호전달 1 (ERN1), PTK2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2 (FAK), fer (fps/fes 연관) 티로신 키나아제 (FER). 고양이과 육종 암유전자 (FES),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 가드너-라쉬드 고양이과 육종 바이러스성 (v-fgr) 암유전자 동족체 (FGR), fms-연관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Fms-연관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fyn-연관 키나아제 (FRK), SRC와 연관된 FYN 암유전자, 사이클린 G 연관 키나아제 (GAK), 진핵 전이 개시 인자 2 알파 키나아제, 성장 호르몬 수용체, G 단백질-결합된 수용체 키나아제 1 (GRK1), G 단백질-결합된 수용체 키나아제 패밀리, 글리코겐 신타아제 키나아제 패밀리, 생식 세포 연관 2 (하스핀) (HASPIN), 조혈계 세포 키나아제 (HCK), 호메오도메인 상호작용성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호르몬 상향 조절된 Neu-연관 키나아제 (HUNK), 장 세포 (MAK 유사) 키나아제 (ICK),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 (IGF1R), 보존성 나선고리나선구조 편재성 키나아제 (IKK-알파), B-세포의 카파 라이트 폴리펩타이드 유전자 인핸서의 억제제 - 키나아제 베타 패밀리, 인슐린 수용체 (INSR), 인슐린 수용체-연관 수용체 (INSRR), 인터루킨-1 수용체-연관 키나아제 패밀리, IL2-유도성 T 세포 키나아제 (ITK), 야누스 키나아제 패밀리, 키나아제 삽입 도메인 수용체, v-kit 하디 주커만 4 고양이과 육종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림프구 특이적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LCK), LIM 도메인 키나아제 패밀리,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루신이 많이 반복되는 키나아제 패밀리, v-yes-1 야마구치 육종 바이러스성 연관 암유전자 동족체 (LYN), 남성 생식 세포-연관 키나아제 (MAK), MAP/미세소관 친화도 조절 키나아제 패밀리, 미세소관 연관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모계 배아 류신 지퍼 키나아제, c-mer 원발암유전자 티로신 키나아제 (MERTK), met 원발암유전자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MAP 키나아제 상호작용성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미오신 경쇄 키나아제 패밀리, 혼합 계통 키나아제 도메인 유사 단백질 동형, CDC42 결합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대식세포 자극 1 수용체 (c-met-연관 티로신 키나아제) (MST1R), 라파마이신의 기구학적 표적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MTOR), 근육-골격-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MUSK), 미오신 경쇄 키나아제 패밀리, NIMA (never in mitosis gene a)-연관 키나아제 패밀리,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 N1M1 (NIM1), 네모 유사 키나아제 (NLK), 산화 스트레스 반응성 1 (OSR1), p21 단백질 (Cdc42/Rac)-활성화 키나아제 패밀리, PAS 도메인 함유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수용체 패밀리, 3- 포스포이노시타이드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1 (PDPK1), 칼슘-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1, 포스포릴라제 키나아제 감마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5-비스포스포네이트 3-키나아제, 포스포이노시타이드-3-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포이노시타이드 키나아제, FYVE 핑거 함유, Pim-1 암유전자 (PIM1), pim-2 암유전자 (PIM2), pim-3 암유전자 (PIM3),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5-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5-포스페이트 4-키나아제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막 연관 티로신/트레오닌 1 (PKMYT1), 단백질 키나아제 N 패밀리, 폴로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C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D 패밀리, cGMP-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진핵 전이 개시 인자 2-알파 키나아제 2 (PRKR), X-결합된 단백질 키나아제 (PRKX), 프로락틴 수용체 (PRLR), PRP4 전구체-mRNA 처리 인자 4 동족체 B (효모) (PRP4), PTK2B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2 베타 (PTK2B), SIK 패밀리 키나아제 3 (QSK), v-raf-1 쥐과 백혈병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1 (RAF1), 신경영양성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 유형 패밀리, 수용체 (TNFRSF)-상호작용성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이중 세린/트레오닌 및 티로신 단백질 키나아제 (RIPK5), Rho-결합된, 코일드 코일(coiled-coil) 함유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c-ros 암유전자 1,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ROS1), 리보솜 단백질 S6 키나아제 패밀리, SH3-결합 도메인 키나아제 1 (SBK1), 혈청/글루코코르티코이드 조절성 키나아제 패밀리, 특징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Putative uncharacterized)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 (수젠 키나아제 110) (SgK110), 염 유도성 키나아제 패밀리, SNF 연관 키나아제 (SNRK), src-연관 키나아제, SFRS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비장 티로신 키나아제 (SYK), TAO 키나아제 패밀리, TANK-결합 키나아제 1 (TBK1), tec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TEC), 고환 특이적 키나아제 1 (TESK1), 전환 성장인자, 베타 수용체 패밀리, 면역글로불린 유사 및 EGF유사 도메인 1을 갖는 티로신 키나아제 (TIE1), TEK 티로신 키나아제, 상피 (TIE2), 안지오포이에틴-1 수용체 (Tie2), 타우즐드(tousled)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TRAF2 및 NCK 상호작용성 키나아제 (TNIK),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TNNI3 상호작용성 키나아제 (TNNI3K), 일시적 수용체 전위 양이온 채널, 고환 특이적 세린 키나아제 패밀리, TTK 단백질 키나아제 (TTK), TXK 티로신 키나아제 (TXK), 티로신 키나아제 2 (TYK2), TYR03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TYR03), unc-51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아제, 백시니아 연관 키나아제 2 (VRK2), WEE1 동족체 패밀리, WNK 리신 결핍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v-yes-1 야마구치 육종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1 (YES), 멸균성 알파 모티프 및 류신 지퍼 함유 키나아제 AZK (ZAK), 제타 사슬 (TCR) 연관 단백질 키나아제 70kDa (ZAP70)를 포함하며; 핵 호르몬 수용체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안드로겐 수용체 (AR), 에스트로겐 연관 수용체 알파 (ESRRA), 에스트로겐 수용체 1 (ESR1),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4 (NR1H4),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3 - 그룹 C - 멤버 1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NR3C1),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3 (간 X 수용체 α) (NR1H3),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2 (간 X 수용체 β) (NR1H2),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2 (간 X 수용체 β) (NR1H2),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3 - 그룹 C - 멤버 2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NR3C2), 페록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PPARA), 페록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감마 (PPARG), 페록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 (PPARD),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α (PG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β (PGR), 레티노산 수용체 - 알파 (RARA), 레티노산 수용체 - 베타 (RARB), 레티노이드 X 수용체 - 알파 (RXRA), 레티노이드 X 수용체 - 감마 (RXRG),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 알파 (THRA),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 베타 (THRB), 레티노산-연관 희귀 수용체, 간 X 수용체, 파네소이드 X 수용체, 비타민 D 수용체, 프레그난(Pregnane) X 수용체, 구조성 안드로스탄 수용체, 간세포 핵 인자 4,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연관 수용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신경 성장인자 유도성-B, 생식 세포 핵 인자를 포함하고; 후성적 표적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ATPase 패밀리 AAA 도메인-함유 단백질 2 (ATAD2A), ATPase 패밀리 -AAA 도메인 함유 2B (ATAD2B), ATPase 패밀리 AAA 도메인 함유 2B (ATAD2B),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1 A (BAZ1A),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1B (BAZ1B),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2A (BAZ2A),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2A (BAZ2A),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2B (BAZ2B),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1 (BRD1),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2 - 제1 브로모도메인 (BRD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2 - 제1 & 제2 브로모도메인 (BRD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2 동형 1 -브로모도메인 2 (BRD2(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브로모도메인 1 (BRD3(1)),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제1 브로모도메인 (BRD3),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제1 & 제2 브로모도메인 (BRD3),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브로모도메인 2 (BRD3(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 제1 브로모도메인 (BRD4),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긴 형태의 동형 - 브로모도메인 1 및 2 (BRD4(1-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긴 형태의 동형 - 브로모도메인 2 (BRD4(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짧은 형태의 동형 (BRD4(전장 짧은 형태의 동형)),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7 (BRD7), 브로모도메인 함유 8 - 브로모도메인 1 (BRD8(1)), 브로모도메인 함유 8 - 브로모도메인 2 (BRD8(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9 동형 1 (BRD9), 브로모도메인 함유 고환 특이적 - 제1 브로모도메인 (BRDT), 브로모도메인 함유 고환 특이적 - 제1 & 제2 브로모도메인 (BRDT), 브로모도메인 고환 특이적 단백질 동형 b - 브로모도메인 2 (BRDT(2)), 브로모도메인 및 PHD 핑거 함유 - 1 (BRPF1), 브로모도메인 및 PHD 핑거 함유 - 3 (BRPF3), 브로모도메인 및 PHD 핑거 함유 - 3 (BRPF3), 브로모도메인 및 WD 반복-함유 3 - 제2 브로모도메인 (BRWD3(2)), 묘안 증후군 결정 영역 단백질 2 (CECR2), CREB 결합 단백질 (CREBBP), E1A 결합 단백질 p300 (EP300), EP300 (EP300), 뉴클레오솜-리모델링 인자 서브유닛 BPTF 동형 1 (FALZ), 뉴클레오솜-리모델링 인자 서브유닛 BPT (FALZ), 진정염색성 히스톤-리신 N-메틸전이효소 2 (EHMT2),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 - KAT2A (GCN5L2), 진정염색성 히스톤-리신 N-메틸전이효소 1 (EHMT1), 히스톤-리신 N-메틸전이효소 MLL (MLL), 폴리브로모 1 - 제1 브로모도메인 (PB1(1)), 폴리브로모 1 - 제2 브로모도메인 (PB1(2)), 폴리브로모 1 - 브로모도메인 2 (PBRM1(2)), 폴리브로모 1 - 브로모도메인 5 (PBRM1(5)),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 KAT2B (PCAF), PH-상호작용성 단백질 - 제1 브로모도메인 (PHIP(1)), PH-상호작용성 단백질 - 제2 브로모도메인 (PHIP(2)), 단백질 키나아제 C-결합 단백질 1 (PRKCBP1), 단백질 아르기닌 N-메틸전이효소 3 (PRMT3), 염색질의 SWI/SNF 연관 - 매트릭스 연관 - 액틴 의존성 조절자 - 서브패밀리 a - 멤버 2 (SMARCA2), 염색질의 SWI/SNF 연관 - 매트릭스 연관 - 액틴 의존성 조절자 - 서브패밀리 a - 멤버 4 (SMARCA4), 핵체 단백질 - SP110 (SP110), 핵체 단백질 - SP140 (SP140), 전사 개시 인자 TFIID 서브유닛 1 (TAF1(1-2)), TAF1 RNA 폴리머라제 II - TATA 박스 결합 단백질 (TBP)-연관 인자 - 250kDa - 브로모도메인 2 (TAF1(2)), 전사 개시 인자 TFIID 서브유닛 1 유사 -제1 브로모도메인 (TAF1L(1)), 전사 개시 인자 TFIID 서브유닛 1 유사 - 제2 브로모도메인 (TAF1L(2)), 트리파타이트 모티프 함유 24 (TRIM24(브로모.)), 트리파타이트 모티프 함유 24 (TRIM24(PHD-브로모.)), E3 유비퀴틴-단백질 리가제 TRIM33 (TRIM33), 트리파타이트 모티프 함유 33 (TRIM33(PHD-브로모.)), WD 반복 9 - 제1 브로모도메인 (WDR9(1)), WD 반복 9 - 제2 브로모도메인 (WDR9(2))을 포함하고; 막 운반 단백질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ATP-결합 카세트 (ABC) 수퍼패밀리, 용질 운반체 (SLG) 수퍼패밀리, 다중약물 내성 단백질 1 (P-당단백질), 유기 음이온 운반체 1 및 단백질, 예컨대 EAAT3, EAAC1, EAAT1, GLUT1, GLUT2, GLUT9, GLUT10, rBAT, AE1, NBC1, KNBC, CHED2, BTR1, NABC1, CDPD, SGLT1, SGLT2, NIS, CHT1, NET, DAT, GLYT2, CRTR, B0AT1, SIT1, XT3, y+LAT1, BAT1, NHERF1, NHE6, ASBT, DMT1, DCT1, NRAMP2, NKCC2, NCC, KCC3, NACT, MCT1, MCT8, MCT12, SLD, VGLUT3, THTR1, THTR2, PIT2, GLVR2, OCTN2, URAT1, NCKX1, NCKX5, CIC, PiC, ANT1, QRNT1, AGG1, ARALAR, 시트린, STLN2, 아랄라2, TPC, MUP1, MCPHA, CACT, GC1, PHC, DTD, CLD, DRA, PDS, 프레스틴, TAT1, FATP4, ENT3, ZnT2, ZnT10, AT1, NPT2A, NPT2B, HHRH, CST, CDG2F, UGAT, UGTL, UGALT, UGT1, UGT2, FUCT1, CDG2C, NST, PAT2, G6PT1, SPX4, ZIP4, LIV4, ZIP13, LZT-Hs9, FPN1, MTP1, IREG1, RHAG, AIM1, PCFT, FLVCR1, FLVCR2, RFT1, RFT2, RFT3, QATP1B1, OATP1B3, OATP2A1을 포함하며; 구조성 단백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튜불린, 열 충격 단백질, 미세소관 안정화 단백질, 종양단백질 18, 스타스민, 키네신-8 및 키네신-14 패밀리, Kip3, Kif18A를 포함하고; 프로테아제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ADAM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테아제) 패밀리를 포함하며; 기타 신호전달에서의 분자 표적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세포 분열 주기 25 동족체 A (CDC25A), 포크헤드 박스 03 (포크헤드 박스 03), B-세포 억제제의 카파 라이트 폴리펩타이드 유전자 인핸서의 핵 인자, 알파 (NFKBIA), 핵 인자 (적혈구-유래 2) 유사 2 (NFE2L2),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수용체 A (NPR1),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수퍼패밀리, 멤버 11a (TNFRSF11A), v-rel 세망내피증 바이러스성 암유전자 동족체 A (조류) (RELA), 스테롤 조절성 요소 결합 전사 인자 2 (SREBF2), CREB 조절성 전사 보조 활성제 1 (CRTC1), CREB 조절성 전사 보조 활성제 2 (CRTC2), X-박스 결합 단백질 1 (XBP1), 카테닌 (카데린 연관 단백질), 베타 1 (GTNNB1)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공지된 생물제제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보시나기스, 아베그린, 악템라, AFP-시드, 안토바, 아제라, 오렉시스, 아바스틴, 벤리스타, 벡사르, 블론트레스, 보사트리아, 캄파스, CEA-시드, CEA-스캔, 심지아, 사이람자, 엑토맙, 얼비툭스, 피브리신트, 가자이바, 허셉틴, hPAM4-시드, 휴마스펙트, 휴맥스-CD4, 휴맥스-EGFr, 휴미라, HuZAF, 하이브리-시커(Hybri-ceaker), 일라리스, 인디마시스-125, 캐드사일라, 렘트라다, 류카레스트, 류코스캔, 루센티스, 림포뮨, 림포스캔, 림포스타트-B, 맙테라, 마이코그랩, 마일로타그, 마이오신트, 뉴트로스펙, 누맥스, 누비온, 옴니타르그, 옵디보, 오르토클론 QKT3, 오바렉스, 파노렉스, 프롤리아, 프로스타신트, 랍티바, 레미케이드, 레모밥, 렌카렉스, 레오프로, 렉소뮨, 리툭산, 로악템라, 신티문, 심포니, 시뮬렉트, 솔리리스, 스텔라라, 시나기스, 텍트레스, 테라심, 테라긴, 테라록, 티사브리, 벡티빅스, 벨루마, 졸레르, 예르보이, 제나팍스 및 제바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공지된 모노클로날 항체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3F8, 8H9, 아바고보맙, 압식시맙, 아비투주맙, 아브릴루맙, 악톡수맙, 아달리무맙, 아데카투무맙, 아두카누맙, 아파세비쿠맙, 아펠리모맙, 아푸투주맙, 알락시주맙 페골, ALD518, ALD403, 알렘투주맙, 알리로쿠맙, 알투모맙 펜테테이트, 아마툭시맙, AMG 334,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 아네투맙 라브탄신, 아니프롤루맙, 안루킨주맙, 아폴리주맙, 아르시투모맙, 아스크린바쿠맙, 아젤리주맙, 아테졸리주맙, 아티누맙, 아틀리주맙, 아토롤리무맙, 아베루맙, 바피뉴주맙, 바실릭시맙, 바비툭시맙, 벡투모맙, 베젤로맙, 벨리무맙, 벤랄리주맙, 베르틸리무맙, 베실레소맙, 베바시주맙, 베즐로톡수맙, 비시로맙, 비마그루맙, 비메키주맙, 비바투주맙 메르탄신, 블레셀루맙, 블리나투모맙, 블론투벳맙, 블로소주맙, 보코시주맙, 브라지쿠맙, 브렌툭시맙 베도틴, 브리아키누맙, 브로달루맙, 브로루시주맙, 브론틱투주맙, 부로수맙, 카비랄리주맙, 카나키누맙, 칸투주맙 메르탄신, 칸투주맙 라브탄신, 카플라시주맙, 카프로맙 펜데타이드, 카르루맙, 카로툭시맙, 카투막소맙, cBR96-독소루비신 면역접합체, 세델리주맙, 세르구투주맙 아무나루킨, 세르톨리주맙 페골, 세툭시맙, 시타투주맙 보가톡스, 식수투무맙, 클라자키주맙, 클레놀릭시맙,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세탄, 코드리투주맙, 콜툭시맙 라브탄신, 코나투무맙, 콘시주맙, CR6261, 크레네주맙, 크로테두맙, 다세투주맙, 다클리주맙, 달로투주맙, 다피롤리주맙 페골, 다라투무맙, 덱트레쿠맙, 뎀시주맙, 데닌투주맙 마포도틴, 데노수맙, 데파툭시주맙 마포도틴, 데를로툭시맙 비오틴, 데투모맙, 디누툭시맙, 디리다부맙, 도마그로주맙, 도를리모맙 아리톡스, 드로지투맙, 둘리고투맙, 두필루맙, 두발루맙, 두시지투맙, 에크로멕시맙, 에쿨리주맙, 에도바코맙, 에드레콜로맙, 에팔리주맙, 에푼구맙, 엘데루맙, 엘젬투맙, 엘로투주맙, 엘실리모맙, 에막투주맙, 에미베투주맙, 에미시주맙, 에나바투주맙, 엔포투맙 베도틴, 엔리모맙 페골, 에노블리투주맙, 에노키주맙, 에노티쿠맙, 엔시툭시맙, 에피투모맙 시툭세탄, 에프라투주맙, 에레누맙, 에를리주맙, 에르투막소맙, 에타라시주맙, 에트롤리주맙, 에비나쿠맙, 에볼로쿠맙, 엑스비비루맙, 파놀레소맙, 파랄리모맙, 파르레투주맙, 파시누맙, FBTA05, 펠비주맙, 페자키누맙, 피바투주맙, 피클라투주맙, 피기투주맙, 피리부맙, 플란보투맙, 플레티쿠맙, 폰톨리주맙, 포랄루맙, 포라비루맙, 프레솔리무맙, 풀라누맙, 푸툭시맙, 갈카네주맙, 갈릭시맙, 가니투맙, 간테네루맙, 자빌리모맙, 젬투주맙 오조가미신, 게보키주맙, 지렌툭시맙, 글렘바투무맙 베도틴, 골리무맙, 고밀릭시맙, 구셀쿠맙, 이발리주맙, 이브리투모맙 튜세탄, 이크루쿠맙, 이다루시주맙, 이고보맙, IMA-638, IMAB362, 이마루맙, 임시로맙, 임가투주맙, 인클라쿠맙, 인다툭시맙 라브탄신, 인두사투맙 베도틴, 이네빌리주맙, 인플릭시맙, 이놀리모맙,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 인테투무맙, 이필리무맙, 이라투무맙, 이사툭시맙, 이톨리주맙, 익세키주맙, 켈릭시맙, 라베투주맙, 람브롤리주맙, 람팔리주맙, 라나델루맙, 란도그로주맙, 라프리투시맙 엠탄신, LBR-101/PF0442g7429, 레브리키주맙, 레말레소맙, 렌달리주맙, 렌질루맙, 레르델리무맙, 렉사투무맙, 리비비루맙, 리파스투주맙 베도틴, 리겔리주맙, 릴로토맙 사테트라세탄, 린투주맙, 리릴루맙, 로델시주맙, 로키베트맙, 로보투주맙 메르탄신, 루카투무맙, 루리주맙 페골, 루밀릭시맙, 룸레투주맙, LY2951742, 마파투무맙, 마제툭시맙, 마슬리모맙, 마투주맙, 마브릴리무맙, 메폴리주맙, 메텔리무맙, 밀라투주맙, 민레투모맙, 밀베툭시맙 소라브탄신, 미투모맙, 모가물리주맙, 모날리주맙, 모롤리무맙, 모타비주맙, 목세투모맙 파수도톡스, 무로모납-CD3, 나콜로맙 타페나톡스, 나밀루맙, 납투모맙 에스타페나톡스, 나라툭시맙 엠탄신, 나르나투맙, 나탈리주맙, 나비식시주맙, 나비부맙, 네바쿠맙, 네시투무맙, 네몰리주맙, 네렐리모맙, 네스바쿠맙, 니모투주맙, 니볼루맙, 노페투모맙 메르펜탄, 오빌톡삭시맙, 오비누투주맙, 오카라투주맙, 오크렐리주맙, 오둘리모맙, 오파투무맙, 올라라투맙, 올로키주맙, 오말리주맙, 오나르투주맙, 온툭시주맙, 오피시누맙, 오포르투주맙 모나톡스, 오레고보맙, 오르티쿠맙, 오텔릭시주맙, 오틀레투주맙, 옥셀루맙, 오제인주맙, 오조랄리주맙, 파기박시맙, 팔리비주맙, 팜레블루맙, 파니투무맙, 판코맙, 파노바쿠맙, 파르사투주맙, 파스콜리주맙, 파소툭시주맙, 파테클리주맙, 파트리투맙, 펨브롤리주맙, 펨투모맙, 페라키주맙, 페르투주맙, 펙셀리주맙, 피딜리주맙, 피나투주맙 베도틴, 핀투모맙, 플라쿨루맙, 플로자리주맙, 포갈리주맙, 폴라투주맙 베도틴, 포네주맙, 프레자리주맙, 프릴릭시맙, 프릭토작시맙, 프리투무맙, PRO 140, 퀼리주맙, 라코투모맙, 라드레투맙, 라피비루맙, 랄판시주맙, 라무시루맙, 라니비주맙, 락시바쿠맙, 레파네주맙, 레가비루맙, 레슬리주맙, 릴로투무맙, 리누쿠맙맙, 리산키주맙, 리툭시맙, 리바바주맙 페골, 로바투무맙, 롤레두맙, 로모소주맙, 론탈리주맙, 로발피투주맙 테시린, 로벨리주맙, 루플리주맙, 사시투주맙 고비테칸, 사말리주맙, 사페리주맙, 사릴루맙, 사투모맙 펜데타이드, 세쿠키누맙, 세리반투맙, 세토작시맙, 세비루맙, SGN-CD19A, SGN-CD33A, 시브로투주맙, 시팔리무맙, 실툭시맙, 심투주맙, 시플리주맙, 시루쿠맙, 소피투주맙 베도틴, 솔라네주맙, 솔리토맙, 소네프시주맙, 손투주맙, 스타물루맙, 술레소맙, 수비주맙, 타발루맙, 타카투주맙 테트라세탄, 타도시주맙, 탈리주맙, 탐투벳맙, 타네주맙, 타플리투모맙 팝톡스, 타렉스투맙, 테피바주맙, 텔리모맙 아리톡스, 테나투모맙, 테넬릭시맙, 테플리주맙, 테프로투무맙, 테시돌루맙, 테툴로맙, 테제펠루맙, TGN1412, 티실리무맙, 티가투주맙, 틸드라키주맙, 티몰루맙, 티소투맙 베도틴, TNX-650, 토실리주맙, 토랄리주맙, 토사톡수맙, 토시투모맙, 토베투맙, 트랄로키누맙, 트라스투주맙,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RBS07, 트레갈리주맙, 트레멜리무맙, 트레보그루맙, 투코투주맙 셀모류킨, 투비루맙, 유블리툭시맙, 울로쿠플루맙, 유렐루맙, 우르톡사주맙, 우스테키누맙, 유토밀루맙, 바다스툭시맙 탈리린, 반돌투주맙 베도틴, 반틱투맙, 바누시주맙, 바팔릭시맙, 발리루맙, 바텔리주맙, 베돌리주맙, 벨투주맙, 베팔리모맙, 베센큐맙, 바실리주맙, 보바릴리주맙, 볼로식시맙, 보르세투주맙 마포도틴, 보투무맙, 젠투주맙, 잘루투무맙, 자놀리무맙, 자툭시맙, 지랄리무맙 및 졸리모맙 아리톡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이러스성 질병을 위해 개발된 백신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A형 간염 백신, B형 간염 백신, E형 간염 백신, HPV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일본 뇌염 백신, MMR 백신, MMRV 백신, 소아마비 백신, 광견병 백신, 소아장염 백신, 수두 백신, 대상포진 백신, 두창 백신, 황열 백신, 아데노바이러스 백신, 콕사키 B 바이러스 백신,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백신, 사람에 사용하기 위한 뎅기 백신, 사람에 사용하기 위한 서부 말 뇌염 바이러스 백신, 에볼라 백신, 엔테로바이러스 71 백신, 엡스타인 바 백신, C형 간염 백신, HIV 백신, 인간에 사용하기 위한 HTLV-1 T-림프친화성 백혈병 백신, 마버그 바이러스 질병 백신, 노로바이러스 백신, 인간에 사용하기 위한 호흡기 신시치아 바이러스 백신,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백신, 인간에 사용하기 위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백신을 포함하고; 박테리아성 질병에 사용하기 위한 백신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탄저 백신, DPT 백신, 큐(Q)열 백신, Hib 백신, 결핵 (BCG) 백신, 수막구균 백신, 장티푸스 백신, 폐렴구균 접합 백신, 페렴구균 다당 백신, 콜레라 백신, 우식 백신, 엘리히증 백신, 한센병 백신, 라임병 백신, 황색 포도상구균 백신, 화농성 연쇄상구균 백신, 매독 백신, 야토병 백신, 흑사병 백신을 포함하고; 기생충 병에 사용하기 위한 백신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말라리아 백신, 주혈 흡충증 백신, 사갸스병 백신, 구충 백신, 인간에 사용하기 위한 회선사상충증 사상충증 백신, 트리파노소마증 백신, 내장리슈만편모충증 백신을 포함하며; 비감염성 질병에 사용하기 위한 백신의 예로는, 이에제한되지는 않지만, 알츠하이머 질병 아밀로이드 단백질 백신, 유방암 백신, 난소암 백신, 전립선암 백신, 탈리모겐 라허파렙벡(T-VEC)을 포함하고; 하기의 상표명을 포함하는 백신도 포함한다: ACAM2000, ActHIB, 아다셀, 아플루리아, 아플루리아 쿼드리밸런트, 아그리플루, BCG 백신, 벡세로, 바이오트랙스, 부스트릭스, 서바릭스, 콤박스, 댑타셀, 데카백, 엔제릭스-B, 플루아드, 플루아릭스, 플루아릭스 쿼드리밸런트, 플루블록, 플루셀박스, 플루셀박스 쿼드리밸런트, 플루라발, 플루미스트, 플루미스트 쿼드리밸런트, 플루비린, 플루존 4가, 플루존, 고용량 플루존 및 진피내 투여용 플루존, 가다실, 가다실 9, 하브릭스, 하이브릭스, 이모박스, 인판릭스, IPOL, 익시아로, JE-백스, 킨릭스, 메낙트라, 멘히브릭스, 메노무네-A/C/Y/W-135, 멘베오, M-M-R II, M-M-백스, 페디아릭스, 페드백스HIB, 펜타셀, 뉴모박스 23, 폴리오박스, 프리베나, 프리베나 13, 프로쿼드, 쿼드라셀, 쿼드리밸런트, 랩아버트, 리콤비백스 HB, 로타릭스, 로타텍, 테니박, TICE BCG, 트리페디아, 트루멘바, 트윈릭스, 타이핌 Vi, 박타, 바리백스, 백스코라, 비보티프, YF-백스, 조스타박스 및 이들의 조합.
주사가능한 약물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하기를 포함한다: 알블라바르(Ablavar)(가도포스베셋 삼나트륨 주사제), 알바렐릭스 데포, 아보보툴리늄톡신 A 주사제(디스포트), ABT-263, ABT-869, ABX-EFG, 악세레트로핀(소마트로핀 주사제), 아세타도트(아세틸시스테인 주사제), 아세타졸아미드 주사제(아세타졸아미드 주사제), 아세틸시스테인 주사제(아세타도트), 악템라(토실리주맙 주사제), 악트렐(주사용 코티코렐린 오빈 트리플루테이트), 악투뮴(Actummune), 악티바제, 주사용 에이사이클로비르(조비락스 주사제), [0137], 아다셀, 아달리무맙, 아데노스칸(아데노신 주사제), 아데노신 주사제(아데노스칸), 아드레나클릭, 아드레뷰(정맥용 이오벤구안 1123 주사제), 아플루리아, Ak-플루오르(Fluor)(플루오레세인 주사제), 알듀라자임(라로니다제), 알글루세라제 주사제(세레다제), 알케란 주사제(멜팔란 Hcl 주사제) 주사용 알로퓨리놀 나트륨(알로프림), 알로프림(주사용 알로퓨리놀 나트륨) 알프로스타딜, 알슈마(슈마트립탄 주사제) ALTU-238, 아미노산 주사제, 아미노신, 아피드라, 아프레밀라스트, 주사용 알프로스타딜 이중 챔버 시스템(카베르젝트 임펄스); AMG 009; AMG 076; AMG 102; AMG 108; AMG 114; AMG 162; AMG 220; AMG 221; AMG 222; AMG 223; AMG 317; AMG 379; AMG 386; AMG 403; AMG 477; AMG 479; AMG 517; AMG 531; AMG 557; AMG 623; AMG 655; AMG 706; AMG 714; AMG 745; AMG 785; AMG 811; AMG 827; AMG 837; AMG 853; AMG 951; 아미오다론 HCl 주사제(아미오다론 HCl 주사제) 아모바르비탈 나트륨 주사제(아미탈 나트륨), 아미탈 나트륨(아모바르비탈 나트륨 주사제), 아나킨라, 항-아베타, 항-베타7, 항-베타20, 항-CD4, 항-CD20, 항-CD40, 항-IFN알파, 항-IL13, 항-OX40L, 항-oxLDS, 항-NGF, 항-NRP1, 아릭스트라, 암파다제(히알루로니다제 주사제), 암모뉼(페닐아세트산나트륨 및 벤조산나트륨 주사제) 아나프록스, 안제메트 주사제(돌라세트론 메실레이트 주사제), 아피드라(인슐린 글루리신 [rDNA 유래] 주사제), 아포맙, 아라네스프(다르베포에틴 알파), 아르가트로반(아르가트로반 주사제) 아르기닌 염산염 주사제(R-진(Gene) 10), 아리스토코트, 아리스토스판, 삼산화비소 주사제(트리세녹스), 아르티칸 HCl 및 에피네프린 주사제(셉토카인), 아르제라(오파투무맙 주사제) 아스컬라(Asclera)(폴리도칸올 주사제), 아탈루렌, 아탈루렌-DMD, 아테놀롤 주사제(테노르민 I.V. 주사제), 아트라큐림 베실레이트 주사제(아트라큐림 베실레이트 주사제), 아바스틴, 아작탐 주사제(아즈트레오남 주사제), 아지트로마이신(지트로막스 주사제), 아즈트레오남 주사제(아작탐 주사제), 박클로펜 주사제(리오레살 척수강내주사제), 정균수(주사용 정균수), 박클로펜 주사제(리오레살 척수강내 주사제), 발 인 오일(Bal in Oil) 앰플(디메르카르프롤 주사제), BayHepB, BayTet, 베나드릴, 벤다무스틴 염산염 주사제(Treanda), 벤즈트로핀 메실산염 주사제(코겐틴), 베타메타손 주사용 현탁액(셀레스톤 솔루스판), 벡사르, 바이실린 C-R 900/300(페니실린 G 벤자틴 및 페니실린 G 프로카인 주사제), 블레녹산(블레오마이신 황산염 주사제), 블레오마이신 황산염 주사제(블레녹산), 보니바 주사제(이반드론산나트륨 주사제), 보톡스 코스메틱(주사용 오나보툴리늄톡신), BR3-FC, 브라벨(유로폴리트로핀 주사제), 브레틸리움(브레틸리움 토실레이트 주사제), 브레비탈 나트륨(주사용 메토헥시탈 나트륨), 브레틴, 브리오바셉, BTT-1023, 부피바카인 HCI, 바이에타, Ca-DTPA(펜테트산 칼슘 삼나트륨 주사제), 카바지탁셀 주사제(제브타나), 카페인 알칼로이드(카페인 및 벤조산나트륨 주사제), 칼시젝스 주사제(칼시트롤), 칼시트롤(칼시젝스 주사제), 염화칼슘(염화칼슘 주사제 10%), 칼슘 이나트륨 베세네이트(에데테이트 칼슘 이나트륨 주사제), 캄파스(알템투주맙), 캄프토사르 주사제(이리노테칸 염산염), 카나키누맙 주사제(일라리스), 카파스타트 황산염(주사용 카프레오마이신) 주사용 카프레오마이신(카파스타트 황산염), 카리오라이트(주사용 테크네튬 Tc99 세스타미비용 프렙 키트), 카르티셀, 카트플로, 주사용 세파졸린 및 덱스트로스(세파졸린 주사제), 세페핌 염산염,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세레자임, 카르니토르 주사제, 카베르젝트, 셀레스톤 솔루스판, 셀시오르, 세레빅스(포스페니토인 나트륨 주사제), 세레다제(알글루세라제 주사제), 세레텍(테크네튬 Tc99m 엑사메타짐 주사제) 세르톨리주맙, CF-101, 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 주사제), 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 주사제(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 콜레스타겔(콜레세벨람 HCL), 코리오고나도트로핀 알파 주사제(오비드렐), 심지아, 시스플라틴(시스플라틴 주사제), 클로라르(클로파라빈 주사제), 클로미핀 시트레이트, 클로니딘 주사제(듀라클론), 코겐틴(벤즈트로핀 메실레이트 주사제), 콜리스티메테이트 주사제(콜리-마이신 M), 콜리-마이신 M(콜리스티메테이트 주사제), 콤파스, 코니밥탄 Hcl 주사제(바프리솔), 주사용 컨쥬게이트된 에스트로겐(프레마린 주사제) 코팍손, 주사용 코티코렐린 양 트리플루테이트(악트렐), 코버트(이부틸라이드 푸마레이트 주사제), 쿠비신(답토마이신 주사제) CF-101, 사이아노키트(주사용 하이드록소코발라민), 사이타라빈 리포솜 주사제(데포사이트), 사이아노코발라민, 사이토벤(간시클로비르), D.H.E. 45, 다세투주맙, 다코겐(데시타빈 주사제), 달테파린, 단트리움 IV(주사용 단트롤렌 나트륨), 주사용 단트롤렌 나트륨(단트리움 IV), 답토마이신 주사제(쿠비신), 다르베포이에틴 알파, DDAVP 주사제(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주사제), 데카박스, 데시타빈 주사제(다코겐), 무수 알코올(무수 알코올 주사제), 데노수맙 주사제(프롤리아), 델라테스트릴, 델레스트로겐, 델테파린 나트륨, 데파콘(발프로에이트 나트륨 주사제), 데포 메드롤(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주사용 현탁액), 데포사이트(사이타라빈 리포솜 주사제), 데포두르(황산몰핀 XR 리포솜 주사제), 데스모프레신 아세트산염 주사제(DDAVP 주사제), 데포-에스트라디올, 데포-프로베라 104 mg/ml, 데포-프로베라 150 mg/ml, 데포-테스토스테론, 주사용 덱스라족산(오직 정맥 주입용)(토텍트), 덱스트로스/전해질,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제(0.9% 염화나트륨 덱스트로스 5%), 덱스트로스, 디아제팜 주사제(디아제팜 주사제), 디곡신 주사제(라녹신 주사제), 디라우디드-HP(하이드로몰폰 염산염 주사제), 디머카프롤 주사제(발 인 오일 앰플), 디펜하이드라민 주사제(베나드릴 주사제), 디피리다몰 주사제(디피리다몰 주사제), DMOAD, 주사용 도세탁셀(탁소텔), 돌라세트론 메실레이트 주사제(안제메트 주사제), 도리박스(주사용 도리페넴), 주사용 도리페넴(도리박스), 독세르칼시페롤 주사제(헥토롤 주사제), 독실(독소루비신 Hcl 리포좀 주사제), 독소루비신 Hcl 리포좀 주사제(독실), 둘라클론(클로니딘 주사제), 두라몰프(몰핀 주사제), 디스포트(아보보툴리늄톡신 A 주사제), 에칼란타이드 주사제(칼비토르), EC-나프로신(나프록센), 에데테이트 칼슘 이나트륨 주사제(칼슘 이나트륨 베세네이트), 에덱스(주사용 알프로스타딜), 엔제릭스, 에드로포늄 주사제(엔론), 엘리글루스타트 타르테이트, 엘록사틴(옥살리플라틴 주사제), 에멘드 주사제(포사프레피탄트 디메글루민 주사제), 에날라프릴라트 주사제(에날라프릴라트 주사제), 엔론(에드로포늄 주사제), 에녹사파린 나트륨 주사제(로베녹스), 에오비스트(가독세테이트 이나트륨 주사제), 엔브렐(에타네르셉트), 에녹사파린, 에피셀, 에피네페린, 에피펜, 에피펜 Jr., 에프라투주맙, 에르비툭스, 에르타페넴 주사제(인반즈), 에리트로포이에텐, 필수 아미노산 주사제(네프라민), 에스트라디올 시피오네이트, 에스트라디올 발레레이트, 에타네르셉트, 엑세나타이드 주사제(Byetta), 에볼트라, 파브라자임(아달시다제 베타), 파모티딘 주사제, FDG(플루데옥시글루코스 F 18 주사제) 페라헴(페루목시톨 주사제), 페리덱스 I.V.(페루목시드 주사용 용액), 페르티넥스, 페루목시데스 주사용 용액(페리덱스 I.V.), 페루목시톨 주사제(페라헴), 플라길 주사제(메트로니다졸 주사제), 플루아릭스, 플루다라(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플루데옥시글루코스 F 18 주사제(FDG), 플루오레세인 주사제(Ak-플루오르), 폴리스팀 AQ 카트리지(폴리트로핀 베타 주사제), 폴리트로핀 알파 주사제(고날-f RFF), 폴리트로핀 베타 주사제(폴리스팀 AQ 카트리지), 폴로틴(정맥내 주사용 프랄라트렉세이트 용액), 폰다파리눅스, 포르테오(테리파라타이드(rDNA 유래) 주사제) 포스타마티닙, 포사프레피탄트 디메글루민 주사제(에멘드 주사제), 포스카네스 나트륨 주사제(포스카비르), 포스카비르(포스카네트 나트륨 주사제), 포스페니토인 나트륨 주사제(세레빅스), 포스프로포폴 이나트륨 주사제(루세드라), 프라그민, 푸제온(엔푸비르타이드), GA101, 가도베네이트 디메글루민 주사제(멀티한스), 가도포스베셋 삼나트륨 주사제(아블라바르), 가도테리돌 주사용액(프로한스), 가도베르세타미드 주사제(옵티마크), 가독세테이트 이나트륨 주사제(에오비스트), 가니렐릭스(가니렐릭스 아세테이트 주사제), 가다실, GC1008, GDFD, 주사용 겜투주맙 오조가미신(마일로타르그), 게노트로핀, 겐타마이신 주사제, GENZ-112638, 골리무맙 주사제(심포니 주사제), 고날-f RFF(폴리트로핀 알파 주사제), 그라니세트론 염산염(키트릴 주사제), 겐타마이신 황산염, 글라티라메르 아세테이트, 글루카겐, 글루카곤, HAE1, 할돌(할로페리돌 주사제) 하브릭스, 헥토롤 주사제(독세칼시페롤 주사제), 헤지호그 경로 저해제, 헤파린, 허셉틴, hG-CSF, 휴마로그, 인간 성장 호르몬, 후마트로프, 휴맥스, 휴메곤, 휴미라, 휴물린, 이반드론산나트륨 주사제(보니바 주사제), 이부프로펜 리신 주사제(네오프로펜), 이부틸리드 푸마레이트 주사제(코르베르트), 이다마이신 PFS(이다루비신 염산염 주사제), 이다루비신 염산염 주사제(이다마이신 PFS), 일라리스(카나키누맙 주사제) 주사용 이미페넴 및 실라스타틴(프리막신 I.V.), 이미트렉스, 주사용 인코부툴리늄톡신 A(제오민), 인크렐렉스(메카세르민[rDNA 유래] 주사제), 인도신 IV(인도메타신 주사제), 인도메타신 주사제(인도신 IV), 인판릭스, 인노헵, 인슐린, 인슐린 아스파르트[rDNA 유래] 주사제(노보로그), 인슐린 글라긴[rDNA 유래] 주사제(란투스), 인슐린 글루리신[rDNA 유래] 주사제(아피드라), 인터페론 알파-2b, 주사용 재조합체(인트론 A), 인트론 A(인터페론 알파-2b, 주사용 재조합체), 인반즈(에르타페넴 주사제), 인베가 서스텐나(팔리페리돈 팔미테이트 서방출 주사용 현탁액), 인비라제(사퀴나비르 메실레이트), 정맥용 이오벤구안 1123 주사제(아드레뷰), 이오프로마이드 주사제(울트라비스트), 이오베르솔 주사제(옵티레이 주사제), 이플렉스(메카세르민 린파베이트[rDNA 유래] 주사제), 이프리바스크, 이리노테칸 염산염(캄토사르 주사제), 철 수크로스 주사제(베노페르), 이스토닥스(주사용 로미뎁신), 이트라코나졸 주사제(스포라녹스 주사제), 제브타나(카바지탁셀 주사제), 조넥사, 칼비토르(에칼란타이드 주사제), D5NS(5%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제 중의 염화칼륨) 중의 KCL, D5W 중의 KCL, NS 중의 KCL, 케날로그 10 주사제(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주사용 현탁액), 케피반스(팔리페르민), 케프라 주사제(레베티르아세탐), 케라틴세포, KFG, 키나제 저해제, 키네레트(아나킨라), 킨리틱(Kinlytic)(유로키나제 주사제), 킨릭스, 클로노핀(클로나제팜), 키트릴 주사제(그라니세트론 염산염), 라코사마미드 정제 및 주사제(빔파트), 젖산 링거, 라녹신 주사제(디곡신 주사제), 주사용 란소프라졸(프레바시드 I.V.), 란투스, 류코보린 칼슘(류코보린 칼슘 주사제), 렌트(L), 렙틴, 레베미르, 류카인 사르그라모스팀,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류보트릭록신, 레베티라세탐(케프라 주사제), 로베녹스, 레보카니틴 주사제(카르니토르 주사제), 레시스칸(레가데노손 주사제), 리오레살 척수강내(바클로펜 주사제), 리가글루타이드[rDNA] 주사제(빅토자), 로베녹스(에녹사파린 나트륨 주사제), 루센티스(라니비주맙 주사제) 루미자임, 루프론(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주사제), 루세드라(포스프로포폴 이나트륨 주사제), 막시, 황산마그네슘(황산마그네슘 주사제), 만니톨 주사제(만니톨 IV), 마르카인(부피바카인 염산염 및 에피네프린 주사제), 막시핌(주사용 세페핌 염산염), MDP 다회용량 키트 테크네튬 주사제(테크네튬 Tc99m 메드로네이트 주사제), 메카세르민[rDNA 유래] 주사제(인크렐렉스), 메카세르민 린파베이트[rDNA 유래] 주사제(이플렉스), 멜팔란 Hcl 주사제(알케란 주사제), 메토트렉세이트, 메낙트라, 메노푸르(메노트로핀 주사제), 주사용 메노트로핀(레프로넥스), 주사용 메토헥시탈 나트륨(브레비탈 나트륨), 메틸도페이트 염산염 주사제, 용액(메틸도페이트 Hcl), 메틸렌 블루(메틸렌 블루 주사제),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주사용 현탁액(데포 메드롤), 메트맙, 메토클로프라미드 주사제(레글란 주사제), 메트로딘(주사용 유로폴리트로핀), 메트로니다졸 주사제(플라길 주사제), 미아칼신, 미다졸람(미다졸람 주사제), 밈파라(시나칼렛), 미노신 주사제(미노사이클린 주사제), 미노사이클린 주사제(미노신 주사제), 미포메르센, 주사용 미톡산트론 농축물(노반트론), 몰핀 주사제(듀라몰프), 몰핀 황산염 XR 리포솜 주사제(데포듀르), 모루에이트 나트륨(모루에이트 나트륨 주사제), 모테사닙, 모조빌(플레릭사포르 주사제), 멀티한스(가도베네이트 디메글루민 주사제), 다중 전해질 및 덱스트로스 주사제, 다중 전해질 주사제, 마일로타그(주사용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미오자임(알글루코시다제 알파), 나프실린 주사제(나프실린 나트륨), 나프실린 나트륨(나프실린 주사제), 날트렉손 XR 주사제(비비트롤), 나프로신(나프록센), 네오프로펜(이부프로펜 리신 주사제), 난드롤 데카노에이트, 네오스티그민 메틸황산염(네오스티그민 메틸황산염 주사제), NEO-GAA, 네오텍트(테크네튬 Tc 99m 데프레오타이드 주사제), 네프라민(필수 아미노산 주사제), 네울라스타(페그필그라스팀), 네우포겐(필그라스팀), 노볼린, 노볼로그, 네오레코르몬, 뉴트렉신(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 주사제), NPH(N), 넥스테론(아미오다론 HCl 주사제), 노르디트로핀(소마트로핀 주사제), 정상 식염수(염화나트륨 주사제), 노반트론(주사용 미톡산트론 농축액), 노볼린 70/30 이노레트(70% NPH, 인간 인슐린 이소판 현탁액 및 30% 레귤러, 인간 인슐린 주사제), 노볼로그(인슐린 아스파르트[rDNA 유래] 주사제), N플레이트(로미플로스팀), 뉴트로핀(주사용 소마트로핀(rDNA 유래)), 뉴트로핀 AQ, 뉴트로핀 데포(주사용 소마트로핀(rDNA 유래)), 옥트레오타이드 아세테이트 주사제(산도스타틴 LAR), 오클렐리주맙, 오파투무맙 주사제(아젤라), 올란자핀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자이프렉사 렐프렙), 옴니타르그, 옴니트로프(소마트로핀[rDNA 유래] 주사제), 온단세트론 염산염 주사제(조프란 주사제), 옵티마크(가도베르세타마이드 주사제), 옵티레이 주사제(이오베르솔 주사제), 오렌시아, 아비바 내 오스미트롤 주사제(아비바 플라스틱 용기 250 내 만니톨 주사제), 비아플렉스 내 오스미트롤 주사제(바이아플렉스 플라스틱 용기 250 내 만니톨 주사제), 오스테오프로테그린, 오비드렐(콘리오고나도트로핀 알파 주사제), 옥사실린(주사용 옥사실린), 옥살리플라틴 주사제(엘록사틴), 옥시토신 주사제(피토신), 팔리페리돈 팔미테이트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인베가 서스테나), 파미드로네이트 이나트륨 주사제(파미드로네이트 이나트륨 주사제), 정맥용 파니투무맙 주사제(벡티빅스), 파파베린 염산염 주사제(파파베린 주사제), 파파베린 주사제(파파베린 염산염 주사제), 부갑상선 호르몬, 파리칼시톨 주사제 플립톱 바이알(젭플라르 주사제), PARP 저해제, 페디아릭스, PEG인트론, 페그인터페론, 페그필그라스팀, 페니실린 G 벤자틴 및 페니실린 G 프로카인, 펜테테이트 칼슘 삼나트륨 주사제(Ca-DTPA), 펜테테이트 아연 삼나트륨 주사제(Zn-DTPA), 펩시드 주사제(파모티딘 주사제), 페르고날, 페르투주맙, 펜톨라민 메실레이트(주사용 펜톨라민 메실레이트), 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주사제)), 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주사용)(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 피페라실린 및 타조박탐 주사제(조신), 피토신(옥시토신 주사제), 플라즈마-라이트 148(다중 전해질 주사제), 플라즈마-라이트 56 및 덱스트로스(바이아플렉스 플라스틱 용기 250 내 다중 전해질 및 덱스트로스), 플라즈마라이트, 플레릭사포르 주사제(모조빌), 폴리도칸올 주사제(아스컬라), 염화칼륨, 정맥내 주사용 프랄라트렉세이트 용액(폴로틴), 프람린타이드 아세테이트 주사제(심린), 프레마린 주사제(주사용 컨쥬게이트 에스트로겐) 주사용 테크네튬 Tc99 세스타미비(주사용 란소프라졸)용 프렙 키트, 프레바시드 I.V.(주사용 란소프라졸), 프리막신 I.V.(주사용 이미페넴 및 실라스타틴) 프로키말, 프로크리트, 프로게스테론, 프로한스(가도테리돌 주사용액), 프롤리아(데노수맙 주사제), 프로메타진 HCl 주사제(프로메타진 염산염 주사제), 프로프라놀롤 염산염 주사제(프로프라놀롤 염산염 주사제), 퀴니딘 글루코네이트 주사제(퀴니딘 주사제), 퀴니딘 주사제(퀴니딘 글루코네이트 주사제), R-진 10(아르기닌 염산염 주사제), 라니비주맙 주사제(루센티스), 라니티딘 염산염 주사제(잔탁 주사제), 랍티바, 레클라스트(졸레드론산 주사제), 레콤비바릭스 HB, 레가데노손 주사제(렉시스칸), 레글란 주사제(메토클로프라미드 주사제), 레미케이드, 레나겔, 렌벨라(세벨라메르 카보네이트), 레프로넥스(주사용 메노트로핀), 레트로비르 IV(지도부딘 주사제) rhApo2L/TRAIL, 링거 및 5% 덱스트로스 주사제(덱스트로스 중의 링거), 링거 주사제(링거 주사제), 리툭산, 리툭시맙, 로세핀(세프트리악손), 로쿠로늄 브로마이드 주사제(제무론), 로페론-A(인터페론 알파-2a), 로마지콘(플루마제닐), 주사용 로미뎁신(이스토닥스), 사이젠(소마트로핀 주사제), 산도스타틴 LAR(옥트레오티드 아세테이트 주사제), 스컬로스틴 Ab, 센시파르(시나칼세트), 센소르카인(부피바카인 HCI 주사제), 셉토카인(아티카인 HCl 및 에피네프린 주사제), 세로스팀 LQ(소마트로핀(rDNA 유래) 주사제), 심포니 주사제(골리무맙 주사제),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나트륨 주사제), 중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 5% 주사제), 락트산나트륨(AVIVA 중의 락트산나트륨 주사제), 페닐아세트산나트륨 및 벤조산나트륨 주사제(암모눌), 주사용 소마트로핀(rDNA 유래)(뉴트로핀), 스포라녹스 주사제(이트라코나졸 주사제), 스텔라라 주사제(유스테키누맙), 스템겐, 수펜타(수펜타닐 시트레이트 주사제), 수펜타닐 시트레이트 주사제(수펜타), 수마벨, 수마트립탄 주사제(알수마), 심린, 심린 펜, 전신 헤지호그 길항제, 신비스크-원(하일란 G-F 20 단일 관절내 주사제), 타르세바, 탁소텔(주사용 도세탁셀), 테크네튬 Tc 99m, 주사용 텔라반신(비바티브), 템시롤리무스 주사제(토리셀), 테노르민 I.V. 주사제(아테놀롤 주사제), 테리파라타이드(rDNA 유래) 주사제(프르테오), 테스토스테론 시피오네이트, 테스토스테론 에난테이트,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테브-트로핀(소마트로핀, rDNA 유래, 주사용) tgAAC94, 염화탈로우스, 테오필린, 티오테파(티오테파 주사제), 티모글로불린(항-티모사이트 글로불린(래빗), 티로겐(주사용 티로트로핀 알파), 티카르실린 이나트륨 및 크라불란산칼륨 갤럭시(티멘틴 주사제), 티간 주사제(주사용 트리메토벤즈아미드 염산염), 티멘틴 주사제(티카르실린 이나트륨 및 클라불란산칼륨 갤럭시), TNKase, 토브라마이신 주사제(토브라마이신 주사제), 토실리주맙 주사제(악템라), 토리셀(템시롤리무스 주사제), 토텍트(주사용 덱스라족산, 단지 정맥내 주입), 트라스투주맙-DM1, 트라바솔(아미노산(주사제)), 트레안다(벤다무스틴 염산염 주사제), 트렐스타르(주사용 현탁액 트립토렐린 파모에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트리암시놀론 디아세테이트, 트리암시놀론 헥사세토니드 주사용 현탁액(아리스토스판 주사제 20 mg), 트리에센스(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주사용 현탁액), 주사용 트리메토벤즈아미드 염산염(티간 주사제), 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 주사제(뉴트렉신), 트립토렐린 파모에이트 주사용 현탁액(트렐스타), 트윈젝트, 트리바리스(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주사용 현탁액), 트리세녹스(삼산화비소 주사제), 트윈릭스, 팁호이드 Vi, 울트라비스트(이오프로마이드 주사제), 주사용 유로폴리트로핀(메트로딘), 유로키나제 주사제(킨리틱), 유스테키누맙(스텔라라 주사제) 울트라렌트(U), 발륨(디아제팜), 발프론산나트륨 주사제(Depacon), 발트로핀(소마트로핀 주사제), 반코마이신 염산염(반코마이신 염산염 주사제), 반코마이신 염산염 주사제(반코마이신 염산염), 바프리솔(코니밥탄 Hcl 주사제) VAQTA, 바소비스트(정맥용 가도포스베셋 삼나트륨 주사제), 벡티빅스(정맥용 파니투무맙 주사제), 베노페르(철 수크로스 주사제), 베르네포르핀 주사제(비수다인), 비바티브(주사용 텔라반신), 빅토자(리라글루타이드 [rDNA] 주사제), 빔파트(라코사미드 정제 및 주사제), 빈블라스틴 황산염(빈블라스틴 황산염 주사제), 빈카사르 PFS(빈크리스틴 황산염 주사제), 빅토자, 빈크리스틴 황산염(빈크리스틴 황산염 주사제), 비수다인(베르테포르핀 주사제), 비타민 B-12, 비비트롤(날트렉손 XR 주사제), 볼루벤(염화나트륨 주사제 중의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젤로다, 제니칼(오를리스타트), 제오민(주사용 인코부툴리늄톡신 A), 졸레어, 잔탁 주사제(라니티딘 염산염 주사제), 젬플라 주사제(파리칼시톨 주사제 플립톱 바이알), 제무론(로쿠로늄 브로마이드 주사제), 제나팍스(다클리주맙), 제발린, 지도부딘 주사제(레트로비르 IV), 지트로막스 주사제(아지트로마이신), Zn-DTPA(펜테테이트 아연 삼나트륨 주사제), 조프란 주사제(온단세트론 염산염 주사제), 징고, 주사용 졸레드론산(조메타), 졸레드론산 주사제(레클라스트), 조메타(주사용 졸레드론산), 조신(피페라실린 및 타조박탐 주사제), 지프렉산 렐프레브(올란자핀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 및 이들의 조합.
이 출원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인 실시양태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양태에 다양한 변형과 변화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양태들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범위 이내에 해당된다면 본 실시양태들은 본 발명의 변형과 변화를 포괄하려는 것이다.

Claims (16)

  1. 액체를 그 안에 함유하는 주사기 배럴; 및
    주사기 배럴 내에 스토퍼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배출관(vent tube);을 포함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출관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본체;
    스토퍼를 수용하기 위한 평활한 표면을 갖는 위치설정(placement) 영역으로서, 배출관의 근위 단부에서 배출관 내에 위치하는 위치설정 영역;
    위치설정 영역의 평활한 표면으로부터 본체로 3 도 내지 15 도의 테이퍼(taper) 각도로 테이퍼링되는 전이 구역;
    기계 어댑터; 및
    팁 단부, 평활한 표면 및 그의 근위 단부에 테이퍼링된 영역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삽입 핀으로서, 테이퍼링된 영역은 팁 단부와 본체를 상호연결하고, 테이퍼링된 영역은 본체의 평활한 표면으로부터 10 도 내지 30 도의 각도로 테이퍼링되고, 주사기 배럴 내로의 위치설정을 위해 스토퍼가 배출관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인 삽입 핀;
    을 포함하는,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어댑터는 그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된 정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자동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위치설정 영역은 약 3 mm 내지 약 20 mm의 직경을 갖는 자동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위치설정 영역은 스토퍼의 가장 큰 외부 리브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기계 어댑터는 전이 구역에 위치된 자동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배출관의 외부 및 주사기 배럴의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본체가 주사기 배럴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크기인 자동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주사기 배럴의 내부 표면은 윤활제가 없는 자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액체가 약학 물질 또는 생물학적 물질인 자동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삽입 핀이 배출관의 근위 단부에서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자동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팁 단부는 스토퍼의 공동 내에 들어맞도록 구성되는 자동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본체; 외부 표면; 및 비나사산형(non-threaded) 내부 공동을 포함하는 스토퍼와 호환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부 공동은 절두 원추형(frustoconical) 형상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특징부(engagement feature)를 갖는 자동화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7010340A 2016-01-15 2017-01-13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KR102483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79007P 2016-01-15 2016-01-15
US62/279,007 2016-01-15
US201662385728P 2016-09-09 2016-09-09
US62/385,728 2016-09-09
US15/405,078 2017-01-12
US15/405,078 US10369292B2 (en) 2016-01-15 2017-01-12 Syringe plunger assemblies
KR1020187023524A KR102240814B1 (ko) 2016-01-15 2017-01-13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PCT/US2017/013290 WO2017123835A1 (en) 2016-01-15 2017-01-13 Syringe plunger assembli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524A Division KR102240814B1 (ko) 2016-01-15 2017-01-13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20A KR20210042420A (ko) 2021-04-19
KR102483605B1 true KR102483605B1 (ko) 2022-12-30

Family

ID=579661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40A KR102483605B1 (ko) 2016-01-15 2017-01-13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KR1020187023524A KR102240814B1 (ko) 2016-01-15 2017-01-13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524A KR102240814B1 (ko) 2016-01-15 2017-01-13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369292B2 (ko)
EP (2) EP3402554A1 (ko)
JP (3) JP6930980B2 (ko)
KR (2) KR102483605B1 (ko)
CN (2) CN112657020B (ko)
AU (3) AU2017206810B2 (ko)
CA (2) CA3008682C (ko)
WO (1) WO2017123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8078B1 (en) 2015-03-10 2020-11-04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Aseptic piercing system
MA49549B1 (fr) 2017-05-05 2022-05-31 Regeneron Pharma Auto-injecteur
US10527171B2 (en) * 2017-08-15 2020-01-07 Cellular Research, Inc. Gasket
WO2019182870A1 (en) * 2018-03-20 2019-09-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stopper and plunger rod arrangement for a syringe assembly
AU2018421330B2 (en) * 2018-04-24 2022-12-15 W. L. Gore & Associates, Inc. Medical delivery devices with inhibited oxygen permeation
JP7051594B2 (ja) * 2018-06-05 2022-04-1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プランジャ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EP3820551A1 (en) * 2018-07-10 2021-05-19 F. Hoffmann-La Roche AG Plu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nger
SG11202105384TA (en) * 2018-11-27 2021-06-29 Gore & Ass A method of inserting a lubricant free stopper into a lubricant free barrel or a lubricant free cartridge tube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
US20200237557A1 (en) * 2019-01-28 2020-07-30 Universsal Vision Biotechnology Co., Ltd. Cataractous lens pulverizer
KR20210144704A (ko) * 2019-03-29 2021-11-30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CN110375067A (zh) 2019-06-25 2019-10-25 北京北分瑞利分析仪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注射器的活塞密封结构
USD938582S1 (en) * 2020-03-11 2021-12-14 Becton Dickinson France Plunger rod for use with a syringe
USD938025S1 (en) * 2020-03-11 2021-12-07 Becton Dickinson France Plunger rod for use with a syringe
KR20230005155A (ko) 2020-03-16 2023-01-09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무급유 시린지 스토퍼의 삽입을 위한 진공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WO2021236943A1 (en) 2020-05-22 2021-11-25 W. L. Gore & Associates, Inc. A method of inserting a lubricant free stopper into a lubricant free barrel or a lubricant free cartridge tube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
AU2021382676A1 (en) * 2020-11-20 2023-07-06 W. L. Gore & Associates, Inc. Stoppers and methods of translating the same through a tube
JP2024501050A (ja) 2020-12-29 2024-01-10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薄膜潤滑剤を有する薬剤注射ストッパ
KR20240049599A (ko) * 2021-08-27 2024-04-16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주입기 장치 구성요소 표면 수정
USD1007676S1 (en) 2021-11-16 2023-12-12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Wearable autoinjector
EP4190379A1 (en) * 2021-12-06 2023-06-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topper for a syringe having anti-sticking features
EP4190378A1 (en) * 2021-12-06 2023-06-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topper for a syringe having anti-sticking feat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9270A (ja) * 2009-10-29 2013-03-1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延伸ptfeで被覆されるシリンジストッパー
WO2014196057A1 (ja) * 2013-06-06 2014-12-11 テルモ株式会社 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04059A (ko) * 1967-04-07 1968-10-08
US4180069A (en) 1976-06-01 1979-12-25 The West Company Plunger rod and piston for a syringe
US5090962A (en) 1989-04-28 1992-02-25 Flp Enterprises, Inc. Non-reusable syringe
DE4021836C1 (ko) * 1990-07-09 1991-05-02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7980 Ravensburg, De
GB2252382B (en) * 1991-01-29 1995-02-15 British Gas Plc Block for reversibly blocking the bore of a pipe
US5374473A (en) 1992-08-19 1994-12-20 W. L. Gore & Associates, Inc. Dense polytetrafluoroethylene articles
JP3351446B2 (ja) * 1993-11-05 2002-11-25 澁谷工業株式会社 打栓システム
EP0777567B1 (en) 1994-09-02 2001-08-22 W.L. Gore & Associates, Inc.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ions
CA2174451C (en) 1994-10-31 2000-10-24 John W. Dolan Rigid sheet polytetrafluoroethylene material
US5519984A (en) * 1995-03-16 1996-05-28 Mallinckrodt Medical, Inc. Methods for packaging a pressure or vacuum sensitive product
US5785682A (en) 1995-03-22 1998-07-28 Abbott Laboratories Pre-filled syringe drug delivery system
US5792525A (en) 1995-03-31 1998-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Creep resistant shaped article of densified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JP3940969B2 (ja) * 1997-07-31 2007-07-04 澁谷工業株式会社 シリンジの打栓装置
JP3626367B2 (ja) * 1999-05-07 2005-03-0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ディスペンサーのシリンジ用プランジャー
US6929161B2 (en) 1999-06-02 2005-08-16 Clantex Limited Cartridges for dispensing fluent material
US6648849B2 (en) 2001-06-27 2003-11-18 Ethicon, Inc. Medicinal implant and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nd delivering implants containing drugs and cells
US6541589B1 (en) 2001-10-15 2003-04-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JP4046988B2 (ja) * 2001-11-28 2008-02-13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ンジ並びに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US20050029306A1 (en) * 2002-12-06 2005-02-10 Brennan Robert Charles Dispensing cartridge with tortuous vent path
US20050238872A1 (en) 2004-04-23 2005-10-27 Kennedy Michael E Fluoropolymer barrier material
US20060178638A1 (en) * 2004-12-03 2006-08-10 Reynolds David L Device and method for pharmaceutical mixing and delivery
US7531611B2 (en) 2005-07-05 2009-05-1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JP4638790B2 (ja) 2005-08-24 2011-02-23 株式会社 ヤマシタワークス 薬品充填容器用スリ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7856B2 (ja) * 2006-01-31 2011-11-16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造方法、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造用治具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造装置
JP4933816B2 (ja) 2006-03-31 2012-05-16 大洋薬品工業株式会社 プランジャー及びその利用
FR2900344B1 (fr) * 2006-04-26 2009-02-27 Becton Dickinson France Dispositif d'injection avec aiguille retractable
US8348903B2 (en) * 2006-10-11 2013-01-08 Trasis S.A. Dispenser cartridge for radiopharmaceuticals
US7754812B2 (en) 2007-01-16 2010-07-13 Xerox Corporation Adhesion promoter
JPWO2009011214A1 (ja) 2007-07-13 2010-09-16 株式会社大協精工 注射器用プランジャアセンブリ
US8637144B2 (en) 2007-10-04 2014-01-28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TFE copolymers, method of making, and porous, expended articles thereof
EP2407195B1 (en) * 2009-03-09 2020-04-01 Terumo Kabushiki Kaisha Gasket and syringe
US9139669B2 (en) 2009-03-24 2015-09-22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functional TFE copolymer fine powder, the expandable functional products obtained therefrom and reaction of the expanded products
US8658707B2 (en) 2009-03-24 2014-02-25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functional TFE copolymer fine powder, the expanded functional products obtained therefrom and reaction of the expanded products
AU2010243738B2 (en) * 2009-04-30 2014-10-0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xially adjustable connection of piston rod to piston for drive mechanism of a drug delivery device
CA2767652C (en) * 2009-07-10 2019-06-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assembly
IT1399863B1 (it) * 2010-05-05 2013-05-09 Marchesini Group Spa Dispositivo di tappatura
BR112013022946A2 (pt) * 2011-03-09 2017-07-18 Signature Therapeutics Inc pró-fármacos de agentes ativos com ligantes heterocíclocos
ES2807349T3 (es) 2011-03-28 2021-02-22 Becton Dickinson Co Tapón de plástico
JP5896669B2 (ja) * 2011-09-27 2016-03-30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用プランジャー、シリンジ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MA42648B1 (fr) * 2012-06-01 2019-10-31 Novartis Ag Seringue
JP6321635B2 (ja) * 2012-06-27 2018-05-09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医療用注入装置
EP2965773A4 (en) * 2013-03-08 2016-10-26 Nipro Corp SYRINGE AND SPRAY SEAL
TW201507749A (zh) * 2013-03-11 2015-03-01 Sanofi Aventis Deutschland 用於藥物輸送裝置之組件
CN105102028B (zh) * 2013-04-10 2019-02-01 赛诺菲 用于药物输送装置的驱动组件
JP6199604B2 (ja) * 2013-05-15 2017-09-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医療用ガスケット
JPWO2015012206A1 (ja) * 2013-07-22 2017-03-02 ニプロ株式会社 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ンジャー、シリンジ並びに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15016170A1 (ja) * 2013-07-29 2015-02-05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の外筒内にガスケットを装着するガスケット挿入方法及びその装着されるガスケット
JP6270266B2 (ja) * 2014-02-19 2018-01-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FR3041334B1 (fr) * 2015-09-21 2020-02-14 Disposable-Lab Procede d'obturation d'un contenant comportant au moins un bouchon, notamment une carpule, moyens d'insertion et ligne d'obturation associe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9270A (ja) * 2009-10-29 2013-03-1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延伸ptfeで被覆されるシリンジストッパー
WO2014196057A1 (ja) * 2013-06-06 2014-12-11 テルモ株式会社 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2455A (zh) 2018-08-31
AU2019283782B2 (en) 2022-08-04
US20190328978A1 (en) 2019-10-31
AU2017206810A1 (en) 2018-06-28
CA3008682A1 (en) 2017-07-20
CA3058042A1 (en) 2017-07-20
CN112657020B (zh) 2022-09-27
US20170203046A1 (en) 2017-07-20
JP7216155B2 (ja) 2023-01-31
AU2019283782A1 (en) 2020-01-16
CN112657020A (zh) 2021-04-16
CA3058042C (en) 2021-11-09
KR20180104009A (ko) 2018-09-19
CN108472455B (zh) 2021-01-08
AU2019283773B2 (en) 2021-05-06
KR20210042420A (ko) 2021-04-19
KR102240814B1 (ko) 2021-04-14
US10369292B2 (en) 2019-08-06
JP2020114484A (ja) 2020-07-30
JP2019501735A (ja) 2019-01-24
AU2017206810B2 (en) 2019-09-19
JP2021175514A (ja) 2021-11-04
EP3402554A1 (en) 2018-11-21
JP6930980B2 (ja) 2021-09-01
EP3984577A1 (en) 2022-04-20
AU2019283773A1 (en) 2020-01-16
WO2017123835A1 (en) 2017-07-20
CA3008682C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605B1 (ko) 주사기 플런저 어셈블리
KR102575343B1 (ko) 저 활택제 시린지 배럴을 갖는 의료용 전달 장치
US20220296817A1 (en) Medical delivery device with laminated stopper
KR102314059B1 (ko) 주사기 밀봉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14218B1 (ko) 적은 윤활제의 소수성 주사기 배럴을 구비한 의료용 전달 장치
KR102522347B1 (ko) 산소 투과가 억제된 의료용 전달 장치
AU2023200171B2 (en) A method of inserting a lubricant free stopper into a lubricant free barrel or a lubricant free cartridge tube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
KR20230005155A (ko) 무급유 시린지 스토퍼의 삽입을 위한 진공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KR20230012066A (ko)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