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066A -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066A
KR20230012066A KR1020227045026A KR20227045026A KR20230012066A KR 20230012066 A KR20230012066 A KR 20230012066A KR 1020227045026 A KR1020227045026 A KR 1020227045026A KR 20227045026 A KR20227045026 A KR 20227045026A KR 20230012066 A KR20230012066 A KR 2023001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barrel
stopper
receptor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바샴
니콜 듀퓨이
에릭 라로즈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21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applying plugs or threadless sto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16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reducing dead-space in the syringe barrel after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무급유 시린지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 무급유 스토퍼를 삽입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1) 밀봉 리브가 있는 스토퍼를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배치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2)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와 밀봉 가능한 접속을 확립하면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본체를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 내로 배럴 플랜지 또는 카트리지 튜브의 상단을 지나 위치한 위치로 하강시키는 단계, (3) 삽입 핀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원위 개구를 지나 스토퍼를 조작하고 진공 보조하에서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 내의 최종 위치에서 스토퍼를 전개하는 단계, (4)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로부터 삽입 핀을 완전히 후퇴시키는 단계, 및 (5)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로부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무급유 또는 실질적으로 무급유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전해 연마 및/또는 압출 연마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시린지(syringe) 및 시린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급유 배럴(lubricant free barrel)(예컨대, 시린지)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예컨대, 카트리지)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급유 시린지와 무급유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도 제공된다.
사전 충전된 시린지는 약물 및 또는 생물제제(biologics)(예컨대, 의약품 및/또는 바이오 의약품 치료제(pharmaceutical and/or biopharmaceutical treatments))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전 충전된 시린지는 일반적으로 제약 산업에 비용 절감을 제공하고, 약물 전달의 안전성, 편의성 및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이오 의약품은 자동 주사기 또는 주사 가능한 펜(예컨대, EpiPen®)과 같이, 사전 충전된 시린지 및 관련 디바이스의 사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클라스의 의약품이다. 바이오 의약품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인슐린, 백신, 항체, 혈액 제품, 호르몬 및/또는 사이토카인이 포함된다. 더 많은 의약품, 특히 바이오 의약품이 사전 충전된 시린지 및 기타 사전 충전된 주사 디바이스에서의 전달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사전 충전된 주사 디바이스에서 종래의 시린지 기술의 사용과 관련하여 어려움이 명백해졌다.
전통적인 시린지 구조는 사전 충전된 시린지로서의 사용에 과제를 제시하는 여러 측면이 있다. 하나는 실리콘(예컨대, 실리콘 오일) 및/또는 기타 윤활제의 사용이다. 종래에, 실리콘은 스토퍼와 시린지 배럴 사이에 액체 시일을 제공한다. 실리콘은 전통적으로 사전 충전된 시린지 또는 유사한 사전 충전된 주사가능한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윤활제로서 실리콘을 사용하면 오염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은 주사가능한 디바이스 내에서 약물이나 생물제제를 분해하거나 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은 약물과 함께 환자에게 주사될 수 있다. 실리콘은 특정 단백질의 응집을 일으켜 바이오 의약품을 주사에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바이오 의약품과 관련하여 특히 염려될 수 있다.
두 번째 측면은 삽입 튜브의 내측면에 삽입 튜브 제조 공정의 부산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작은 융기(bumps) 또는 요철(asperities)이 발생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삽입 튜브 내의 실리콘은 스토퍼가 문제없이 요철 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이러한 요철은 스토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실리콘 또는 기타 적절한 윤활제를 바르지 않거나 부주의하게도 생략한 경우, 스토퍼의 손상 또는 파손은 시린지 또는 유사한 주사가능한 디바이스의 고장으로 귀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오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스토퍼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무급유 스토퍼를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일 양태(양태 1)에서, 방법은 (1) 배럴 플랜지 및 비윤활 배럴(non-lubricated barrel)을 포함하는 시린지를 제공하는 단계, (2) 밀봉 리브를 포함하고 중합체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비윤활 스토퍼를 밀봉 가스킷, 도관(conduit) 및 삽입 튜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근위단(proximal end)에 위치한 배치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삽입 튜브의 본체의 원위단(distal end)이 상기 시린지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위의 원하는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하강시키는 단계, (4)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밀봉 가스킷과 상기 시린지의 배럴 플랜지 사이에 시일을 생성하는 단계, (5)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진공 챔버 부분의 원위단에 위치하고 진공 갭에 유체 접속된(fluidly connected) 진공 포트를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6) 상기 밀봉 리브의 전방 엣지와 상기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사이에 원하는 헤드스페이스가 달성될 때까지 삽입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토퍼를 삽입 튜브 및 비윤활 배럴을 통해 병진 이동시키는 단계, (7)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상기 삽입 로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8) 상기 비윤활 배럴로부터 멀리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 1에 추가로 다른 양태(“양태 2")에서, 상기 삽입 튜브는 상기 도관과의 사이에 상기 진공 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도관의 내경보다 작게 크기가 정해진다.
양태 1 또는 양태 2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3")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상기 배럴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배럴 내로 이동한다.
양태 1 내지 양태 3에 따른 다른 양태(" 양태 4")에서, 상기 밀봉 가스킷과 배럴 플랜지 사이에 상기 진공 시일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비윤활 배럴에 상기 액체 용액이 추가된다.
양태 1 내지 양태 4에 따른 다른 양태(" 양태 5")에서, 상기 액체 용액은 치료 물질(therapeutic substance)이다.
양태 5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6")에서, 상기 치료 물질은 생물제제, 치료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한다.
양태 1 내지 양태 6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7")에서, 상기 진공 챔버는 전해연마, 압출 연마(extrude hon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연마되었다.
양태 1 내지 양태 7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8")에서, 적어도 상기 스토퍼, 밀봉 가스킷, 도관, 삽입 튜브, 시린지 배럴, 배럴 플랜지 및 삽입 핀에는 윤활제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다.
양태 1 내지 양태 8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9")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 내의 이행 구역(transition zone)이 상기 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럴의 근위단으로 상기 비윤활 스토퍼를 이행시키기 위해 테이퍼 각도 α로 상기 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튜브 본체까지 테이퍼진다.
양태 1 내지 양태 9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0")에서, 상기 테이퍼 각도는 약 0.1도 내지 약 20도이다.
양태 1 내지 양태 10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1")에서, 상기 원하는 헤드스페이스의 범위는 약 0.1mm 내지 약 25mm, 또는 0.1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0.1mm 내지 약 5mm, 또는 약 0.5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0.5 내지 5mm, 또는 1mm 내지 약 25mm, 또는 약 1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1mm 내지 약 5mm이다.
양태 1 내지 양태 11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2")에서, 상기 삽입 로드는 핀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윤활 스토퍼는 내부에, 상기 핀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양태 1 내지 양태 12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3")에서, 상기 중합체 층은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 층(expanded fluoropolymer layer)을 포함한다.
양태 13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4")에서, 상기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 층은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층을 포함한다.
양태 1 내지 양태 14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5")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상기 비윤활 배럴 위에 위치되고 그 배럴과 정렬된다.
양태 1 내지 양태 15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6")에서, 상기 삽입 로드 및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동시에 후퇴된다.
양태 1 내지 양태 16에 따른 다른 양태("양태 17")에서, 상기 삽입 로드는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기 전에 후퇴된다.
일 양태("양태 18")에서, 방법은 (1) 배럴 플랜지 및 비윤활 배럴을 포함하는 시린지를 제공하는 단계, (2) 본체, 삽입체(insertion body) 및 원위단을 포함하는 삽입 튜브를 진공 챔버의 도관에 삽입하여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3) 밀봉 리브를 포함하고 중합체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비윤활 스토퍼를 상기 진공 챔버의 근위단에 위치한 배치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4) 상기 삽입 튜브의 삽입체가 상기 비윤활 배럴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위의 원하는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하강시키는 단계, (5) 상기 진공 챔버의 밀봉 가스킷과 상기 시린지의 배럴 플랜지 사이에 시일을 생성하는 단계, (6) 진공 갭에 유체 접속되고 상기 진공 챔버의 원위단에 위치한 진공 포트를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7) 상기 밀봉 리브의 전방 엣지와 상기 비윤활 배럴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사이에 원하는 헤드스페이스가 달성될 때까지 삽입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토퍼를 삽입 튜브 및 비윤활 배럴을 통해 병진 이동시키는 단계, (8)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상기 삽입 로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9) 상기 비윤활 배럴로부터 멀리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 내의 액체와 스토퍼 사이의 헤드스페이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에 중합체 층을 갖는 스토퍼의 절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에 라미네이트를 갖는 스토퍼의 절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진공 챔버의 등각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진공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삽입 튜브의 등각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삽입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등각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체형(one-piece)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삽입 핀의 등각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삽입 핀의 단면도이다.
도 9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삽입 핀의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급유 시린지 배럴에 무급유 스토퍼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 핀과 함께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삽입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 무급유 스토퍼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 핀과 함께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삽입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급유의 사전 충전된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수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첨부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도면이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배럴" 및 "시린지 배럴"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윤활" 및 "무급유"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비윤활 시린지 배럴" 및 "비윤활 배럴"이라는 문구는 본 개시 내에서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라는 문구와 상호 교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는 중합체 층(예컨대,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갖는 스토퍼를 진공 보조 하에서 삽입 튜브와 삽입 핀을 이용하여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 삽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는 엘라스토머 본체, 및 상기 엘라스토머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중합체 층을 포함한다. 상기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는 약물 또는 생물제제를 저장하고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전 충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 화합물(예컨대, 약물 또는 생물제제)을 바늘로 또는 "바늘 없는" 시스템(예컨대, 루어 시스템(luer system))으로 주사를 통해 전달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는 항체, 안티센스(antisense), RNA 간섭, 유전자 요법, 1차 및 배아 줄기 세포, 백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약물 및 생물제제와 같은 다양한 치료 화합물을 투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개시는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시린지, 자동 주사기 및 주사가능 펜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의료용 전달 디바이스가 고려되며,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약"이라는 용어는 지정된 측정 단위의 +/- 10%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린지(10)는 내측면(25)을 갖는 배럴(20), 및 치료 화합물(들)을 주사하기 위해 배럴에 부착된 관통 요소(예컨대, 바늘)(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50)에는 플런저 로드(85)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스토퍼(40)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플런저 로드(85)에 부착되지 않는다(도시 생략). 스토퍼(40)는 하나 이상의 리브(42, 44)를 통해 배럴(20)의 내측면(25)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2개의 리브(42, 44)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 밀봉 리브(42)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밀봉 리브가 있는 한 스토퍼(40)에 임의의 수의 리브가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브(44)는 또한 밀봉 리브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브(42, 44)를 모두 밀봉 리브라고 칭한다. 밀봉 리브는 사전 충전된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에 용기 폐쇄 완전성(container closure integrity)을 제공한다. 배럴(20) 내에서 플런저(50)를 누르고 병진 이동시키기 위한 핑거 그립으로서 하나 이상의 플랜지(7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카트리지(35) 내에는 플런저 로드(도시 생략)와 스토퍼(65)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스토퍼(65)는 내부에 공동이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스토퍼(65)는 밀봉 리브(4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브를 통해 카트리지 튜브(32)의 내측면(25)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카트리지(35)는 스토퍼(65), 밀봉된 캡(34), 카트리지 튜브(32) 및 밀봉 단부(36)를 포함한다. 시린지(10) 및 카트리지(35)의 구성요소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급유 또는 실질적으로 무급유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40)는 배럴(20)의 근위단(23)에 삽입되고, 배럴(20) 내의 특정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배럴(20)을 통해 병진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0)는 내부 공동(48)을 포함한다. "배럴(20)"이라는 문구는 본원에서 "카트리지 튜브(32)"와 상호교환될 수 있다. 상기 원하는 위치는 배럴(20) 내의 치료 용액(55)의 액체 표면(60) 위의 소정의 높이이다. 치료 용액(55)은 액체 높이(LH)를 가질 수 있다. LH는 배럴(20) 내에 위치한 치료 용액(55)의 양의 함수이며, 이는 투여될 치료 물질의 부피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럴(20) 내의 스토퍼(40)의 위치는 특정 양의 헤드스페이스(H1)를 허용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헤드스페이스"는 액체 표면(60)의 상단으로부터 스토퍼(40)의 전방 밀봉 리브(42)의 전방 엣지(45)까지의 높이(거리)를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밀봉 리브(44)는 예시 목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스페이스(H1)는 약물 안정성 및/또는 운송 목적을 위해, 환자에게 주사될 수 있는 배럴(20) 내의 공기의 양을 줄이기 위해 최소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스토퍼(40)를 삽입한 후, 헤드스페이스 높이(H1)(즉, 높이 또는 거리)는 약 25mm 미만, 약 23mm 미만, 약 21mm 미만, 약 19mm 미만, 약 17mm 미만, 약 15mm 미만, 약 13mm 미만, 약 10 mm, 약 8 mm 미만, 약 5 mm 미만, 약 3 mm 미만, 약 2 mm 미만, 약 1 mm 미만, 또는 약 0.5 mm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스페이스(H1)는 약 1mm 내지 약 25mm, 약 1mm 내지 약 23mm, 약 1mm 내지 약 21mm, 약 1mm 내지 약 19mm, 약 1mm 내지 약 17 mm, 약 1 mm 내지 약 15 mm, 약 1 mm 내지 약 13 mm, 약 1 mm 내지 약 10 mm, 약 1 mm 내지 약 8 mm, 약 1 mm 내지 약 5 mm, 약 1 mm 내지 약 3 mm, 약 1 mm 내지 약 2 mm, 약 0.5 mm 내지 약 2 mm, 또는 약 0.5 mm 내지 약 1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는 유리 재료(예컨대,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세라믹 재료, 하나 이상의 중합체 재료(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그들의 공중합체), 금속 재료, 플라스틱 재료(예컨대, 환형 올레핀 중합체 및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경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는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의 내측면(25)에 어떠한 윤활제(예컨대, 실리콘)도 존재하는 일이 없이 유리, 수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0)는 중합체(예컨대, 확장형 중합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 엘라스토머 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본체는 그 위에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예를 들어, 중합체 멤브레인(들))을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 및 "층"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도 3은 엘라스토머 본체(125) 및 엘라스토머 본체(12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140)의 단일 층을 갖는 스토퍼(4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합체 또는 확장된 중합체(140)는 엘라스토머 본체를 둘러싸거나 덮는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스토퍼(40)는 엘라스토머 본체(125), 및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140)(예컨대,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 및 다공성 층(150)(예컨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으로 형성될 수 있는 라미네이트 층(130)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40)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밀봉 리브(42, 44)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밀봉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형 중합체는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이다.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140) 또는 다공성 층(150)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플루오로중합체의 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고밀도(densified)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고밀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확장형 변성 PTFE, PTFE의 확장형 공중합체, 에틸렌-(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EFEP),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 수지(PFA),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및 퍼플루오로알콕시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PTFE의 확장성 블렌드, 확장성 개질 PTFE 및 PTFE의 확장성 공중합체에 대해, 예를 들면 Branca의 미국 특허 번호 제5,708,044호; Baillie의 미국 특허 제6,541,589호; Sabol 등의 미국 특허 제7,531,611호; Ford의 미국 특허 번호 제8,637,144호; 및 Xu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 9,139,669호 와 같이, 특허가 부여되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비-플루오로중합체도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14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본체(125)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의 비제한적인 예는 적용에 적합한 임의의 엘라스토머, 그중에서도 부틸, 브로모부틸, 클로로부틸, 실리콘, 니트릴, 스티렌 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플루오로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가황물(TPV), 및 이들의 조합 및 블렌드로 구성된 고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본체(125)는 약 2.5 MPa 내지 약 5 MPa 범위의 초기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본체(125)는 약 3 MPa 내지 약 4 MPa의 초기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초기 모듈러스는 예를 들어 약 3.5 MPa일 수 있다.
라미네이트 층(130)은 약 30 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 층(130)의 두께는 약 0.5 미크론 내지 약 20 미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140)(도 3) 및/또는 다공성 층(150)(도 4)을 형성하는 멤브레인은 엘라스토머 본체(125)에 대한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140) 및/또는 다공성 층(150)의 접합을 개선하기 위해 화학적 에칭,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조면화 등으로 전처리되거나 후처리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층(130) 및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140)의 재료는 엘라스토머 본체(125)로부터의 추출물 및 침출물과 관련하여 낮은 마찰 계수, 순응성(compliance), 낮은 추출성 및 침출성, 및 양호한 장벽 특성, 아울러 양호한 공기 및 액체 불투과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140)은 플라스틱(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EFEP),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및 퍼플루오로알콕시 중합체 수지 (PFA)와 같은 플루오로중합체 재료와 같은 비-엘라스토머 재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퍼의 뒤틀림, 좌굴 또는 주름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무급유 스토퍼를 비윤활 시린지 배럴(20)(도 10a 내지 도 10e) 또는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32)(도 11a 내지 도 11e)에 삽입하기 위해, 진공 챔버(1001)(도 5a 및 도 5b) 및 삽입 튜브(1002)(도 6a 및 도 6b)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가 삽입 핀(600, 605)(도 9a 내지 도 9c)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공 챔버(1001) 및 삽입 튜브(1002)는 삽입 전에 또는 삽입 시에(도시 생략)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에 조립되는(도시 생략) 별도의 독립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스토퍼를 삽입하기 전에 단일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에 통합된 진공 챔버(1001) 및 삽입 튜브(1002)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공 챔버(1001) 및 삽입 튜브(1002)는, 도 8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단일의 단체형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2000)에 통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2000)는 스토퍼의 뒤틀림, 좌굴 또는 주름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무급유 스토퍼를 무급유 시린지 배럴(20)(도 10a 내지 도 10e)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32)(도 11a 내지 도 11e)에 삽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진공 챔버(1001)가 도시되어 있다. 진공 챔버(1000)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예컨대, 치료 용액)를 과가압하는 일이 없이, 비윤활 시린지 배럴 또는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 내부에 비윤활 스토퍼를 배치할 수 있게 하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일부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챔버(1001)는 근위단(1011) 및 원위단(1013)을 갖고 있다. 정렬 플랜지(1030)가 진공 챔버(1001)의 근위단(1011)으로부터 돌출한다. 정렬 플랜지(1030) 및 기계 어댑터(1020)는 종래의 시린지 충전 라인(도시 생략) 상의 보조 장비와 정렬하기에 충분한 형상을 갖고 있다. 진공 챔버(1001)는 도관(1015)의 개구(1050)를 둘러싸는 밀봉 가스킷(1100)을 더 포함한다. 도관(1015)은 삽입 튜브(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삽입 튜브(1002))의 본체(10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챔버(1001)의 부분이다. 도관(1015)의 직경(D4)은 삽입 튜브(1002)의 본체(1010)의 외경(D1)보다 크도록 크기가 정해진다(도 6b). 그 사이의 공간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진공 갭을 형성한다. 진공 챔버(1001)는 또한 진공 포트(1052)를 포함한다. 또한, 진공 챔버(1001)는 O-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O-링 홈(1016)을 포함할 수 있는 수용 공동(1041)을 포함한다. 진공 챔버(1001)는 삽입 튜브(1002)(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됨)의 안내 플랜지(1032)를 수용하기 위한 안내 공동(10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삽입 튜브(1002)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삽입 튜브(1002)는 비윤활 스토퍼를 유지하고 비윤활 시린지 배럴 또는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 내로 안내한다. 삽입 튜브(1002)는 근위단(1012) 및 원위단(1014)을 구비한다. 삽입 튜브(1002)는 또한 본체(1010) 및 삽입 튜브 어댑터(1021)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랜지(1032)가 삽입 튜브 어댑터(1021)의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삽입 튜브(1002)의 안내 플랜지(1032) 및 삽입 튜브 어댑터(1021)는, 각각 진공 챔버(1001)의 안내 공동(1031) 및 수용 공동(1041)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갖고 있다. 본체(1010)는 진공 챔버(1001)의 도관(1015) 내에 끼워지는 삽입 튜브(1002)의 부분이다.
삽입 튜브(1000)의 이행 구역(1040)은 스토퍼가 초기 직경(D3)으로부터 삽입 튜브(1002)의 원위 개구(1051)를 통과하기에 충분한 2차 직경(D2)으로 압축되는 곳이다. 따라서, 스토퍼(도시 생략)의 직경은 D3(즉, 배치 영역(1042)의 내경)로부터 D2(즉, 본체(1010)의 내경(1050))로 감소된다. 이행 구역(1040)은 배치 영역(1042)으로부터 본체(1010)까지 테이퍼 각도(B)로 테이퍼진다. 배치 영역(1042)은 약 3 mm 내지 약 20 mm, 약 5 mm 내지 약 15 mm, 약 7 mm 내지 약 10 mm, 약 7 mm 내지 약 8 mm, 또는 약 7.5 mm 내지 약 8 mm의 직경(D3)을 갖고 있다. 테이퍼 각도(B)는 약 1도 내지 약 20도, 약 5도 내지 약 20도, 약 1도 내지 약 15도, 약 2도 내지 약 15도, 약 3도 내지 약 15도, 약 4도 내지 약 15도, 약 5도 내지 약 15도, 약 1도 내지 약 10도, 또는 약 5도 내지 약 10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이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는 스토퍼를 삽입하기 전에 삽입 튜브(1002)(도 6b)를 진공 챔버(1001)(도 5b)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공 챔버(1001) 및 삽입 튜브(1002)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고,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를 형성하는 스토퍼(40, 65)(미도시)의 삽입 과정 동안 조립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삽입 튜브(1002)의 삽입체(1055)가 도관(1015)의 개구(1050)를 넘어 연장한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삽입체(1055)는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에 삽입되고, 최적의 헤드스페이스를 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O-링(1004)은 진공 챔버(1001)와 삽입 튜브(1002) 사이의 공간인 진공 갭(1500)에 시일(1023)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O-링(1004)은 본원에서, 진공 챔버(1001)와 삽입 튜브(1002) 사이에 위치된 진공 갭(1500) 내에 시일(1023)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플랫 와셔 및 가스킷, 밀봉 액체 또는 접착제와 같이(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구조 및/또는 디바이스가 진공 갭(1500)에 시일(1023)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시일(1023)은 진공 포트(1052) 위의 임의의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단체형의 통합 디바이스(2000)로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2000)는 근위단(2012) 및 원위단(2024)을 갖고 있다. 근위단(2012)에는 내측면(2044)을 갖는 배치 영역(2042)이 있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2000)는 또한 진공 챔버(2001)를 넘어 연장하는 삽입체(2055)를 포함하는 튜브 본체(2010)를 포함한다. 튜브 본체(2010)와 배치 영역(2042) 사이에는 스토퍼가 직경(D3)(즉, 배치 영역(2042)의 내경)으로부터 직경(D2)(즉, 튜브 본체(2010)의 내경)으로 압축되는 이행 구역(2040)이 있다. 이행 구역(2040)은 배치 영역(2042)으로부터 튜브 본체(2010)까지 테이퍼 각도(B)로 테이퍼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본체(2010)와 진공 챔버(2001) 사이에 위치된 진공 갭(2500)이 있다. 진공 갭(2500)은 진공 포트(2052)에 유체 접속된다. 가스킷(2100)이 배럴 플랜지(7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의 밀봉 단부(36)에 밀봉되면, 진공 포트(2052)는 진공 갭(2500)에 진공을 끌어들여 헤드 스페이스의 압력을 낮추는 진공을 생성한다. 이어서, 삽입 로드가 스토퍼를 배치 영역(2042)으로부터 삽입 튜브(2010)의 원위단으로 병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헤드스페이스가 작은 치료 용액의 표면에 매우 근접하여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 내에 스토퍼를 배치할 수 있다. 단체형의 솔리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2000) 및 두 부분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는 동일한 효과를 유발하고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스토퍼를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에 삽입하기 위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또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도시 생략)와 같은 삽입 디바이스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삽입 핀(600)(도 9a 및 도 9b) 및 삽입 핀(605)(도 9c)을 도시한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2000) 및 그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및 그 구성요소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삽입 핀(600, 605)은 근위단(606) 및 원위단(608)을 갖는 원통형 본체(602)를 포함한다. 삽입 핀(600)의 핀 선단부(610)는 원통형 본체(602)에 연결되고 스토퍼(도시 생략)의 공동과 인터페이스한다. 원위단(608)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삽입 튜브(1002)와 같은 삽입 튜브를 통해 삽입 핀(600, 605)을 밀어내는 데 사용되는 기계 어댑터(도시 생략)와 짝을 이루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삽입 핀(600, 605)은 종래의 시린지 충전 라인(도시 생략)과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604)을 가질 수 있다.
삽입 핀(600, 605)의 원통형 본체(602)는 삽입 튜브의 본체의 내경(D2)(예컨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삽입 튜브(1002)의 직경(D2))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D5)을 갖고 있다. 원통형 본체(602)의 반경형 표면(radiused surface)(612)은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32) 내로 스토퍼를 삽입하는 동안 직진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스토퍼의 원위단을 밀도록 설계된다. 원통형 본체(602)는 약 2 mm 내지 약 18 mm의 범위(그 사이의 임의의 및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일 수 있는 직경(D5)을 갖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경형 표면(612)은 예를 들어 평평한 섹션, 직선형 테이퍼(예를 들어, 선형), 곡선형, 라운드형 또는 다중 테이퍼와 같이, 반경 이외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공동이 없는 스토퍼가 이용될 수 있고, 삽입 핀은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 선단부를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핀(605)은 핀 선단부가 없고 대신에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614)이 형성된다.
도 9a 및 도 9b를 다시 참조하면, 핀 선단부(610)는 대략 스토퍼의 내부 공동의 깊이일 수 있는 길이(L)를 갖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 선단부(610)는 약 3mm 내지 약 8mm, 약 4mm 내지 약 7mm, 약 4.5mm 내지 5.5mm, 또는 약 5mm 내지 약 6mm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핀 선단부(610)는 대략 스토퍼의 내부 공동의 폭일 수 있는 폭(W)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 선단부(610)는 약 0.5 mm 내지 약 5 mm, 약 1 mm 내지 약 4 mm, 약 1 mm 내지 약 3 mm, 약 2 mm 내지 약 3 mm, 약 1.5 mm 내지 약 2.5 mm, 약 3 mm 내지 약 6 mm, 약 5 mm 내지 약 9 mm, 또는 8 mm 내지 약 11 mm의 폭을 갖는다. 핀 선단부(610)의 폭(W)과 길이(L)의 조합은 스토퍼의 공동과 양립가능한 체적을 생성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단부(610)는 둥근 단부를 갖고 있다. 스토퍼(40)는 약 10 N 내지 약 200 N, 약 20 N 내지 약 100 N, 약 30 N 내지 약 80 N, 약 40 N 내지 약 60 N, 또는 약 40 N 내지 약 60 N 범위의 피크 삽입력으로 삽입 튜브(1000)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크 삽입력은 0보다 크고 약 50N 미만, 0보다 크고 약 40 N 미만, 0보다 크고 약 30N 미만, 또는 0보다 크고 약 20 N 미만이다.
삽입 핀(600, 605)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과 같은 중합체 재료,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0a 내지 도 10e 및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면, 중합체 또는 확장형 중합체 층 또는 라미네이트 층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 비윤활 스토퍼를 비윤활 시린지 배럴(도 10a 내지 도 10e) 또는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도 11a 내지 도 11e)에 삽입하기 위한 방법의 단면도가 일련의 단계로 도시되어 있다. 배럴(20)용의 선단 캡(27)이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a 내지 도 10e 및 도 11a 내지 도 11e에서, 삽입 핀(600)(도 10a 내지 도 10e) 또는 삽입 핀(605)(도 11a 내지 도 11e) 및 기계 어댑터(620)를 포함하는 삽입 로드(650)가 도시되어 있다. 초기에,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48)을 갖는 스토퍼(40)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근위단(1012)에 위치한 배치 영역(1042) 내로 배치된다. 도 10a 내지 도 10e에서 삽입 로드(65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 선단부(610)를 갖고 있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원위단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54로 표시한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는 시린지 배럴(20)의 내측면(25) 위에 위치되고 그 내측면과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린지 배럴(20)은 이미 치료 용액(55)으로 충전되어 있다. 도 11a에서, 중실 스토퍼(65)(즉, 내부에 공동이 없다)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근위단(1012)에 위치한 배치 영역(1042) 내로 배치된다. 도 11a 내지 도 11e의 삽입 로드(65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단부를 갖고 있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원위단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54로 표시한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는 카트리지 튜브(32)의 내측면(25) 위에 위치되고 그 내측면과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튜브(32)는 이미 치료 용액(55)으로 충전되어 있다. 도 10b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삽입체(1055)는 시린지 배럴(20)(도 10b) 또는 카트리지 튜브(32)(도 11b)의 내측면(25)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화살표(A1)의 방향으로, 각각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의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된다. 도 10a 및 도 10b 및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고 설명한 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도시 생략) 발생할 수 있다.
삽입체(1055)는 시린지 배럴(20)(도 10b)의 배럴 플랜지(7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도 11b)의 밀봉 단부(36)을 지날 때까지 이동되고,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원위 개구(1051)가 액체 치료 용액(55)의 표면(60)과 관련하여 특정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정지된다. 또한, 밀봉 가스킷(1100)은 배럴 플랜지(7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의 밀봉 단부 부분(36)에 대해 압축되어 진공을 위한 시일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진공 챔버(1001) 부분은 밀봉 가스킷(1100)이 배럴 플랜지(70) 또는 카트리지 튜브의 밀봉 단부(36)에 대해 압축되면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진공 갭(1500)은 액체 치료 용액(55) 위의 헤드스페이스에 진공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0b 및 도 11b 모두에서, 액체 표면(60)의 상단과 스토퍼(40, 65)의 전방 밀봉 리브(42)의 전방 엣지(45) 사이의 헤드스페이스(H2)에 진공 갭(1500)을 통해, 그리고 진공 포트(1052)를 통해 진공이 인가된다. 진공 갭(1500)은 시일(1023)로부터 진공 챔버(1001)의 도관(1015)의 원위 개구(1050)까지 연장한다. 인가되는 진공의 양은 치료 물질(55) 및 그 물질의 진공에 대한 민감도에 의존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것이다. 도 10c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이 형성된 후, 삽입 로드(650)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의 삽입 튜브(1002)의 본체(1010)의 길이를 통해 스토퍼(40, 65)를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병진 이동시키고, 이행 구역(1040)을 통해, 삽입 튜브(1002)의 본체(1010)의 원위 개구부(1051)를 통해 그리고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의 내측면(25) 내로 이동시켜, 최종 원하는 헤드 스페이스(H3)가 달성될 때까지 헤드스페이스(H2)를 감소시킨다. 진공 갭(1500) 및 헤드스페이스(H2)에서 생성된 진공은 헤드스페이스(H2)(도 10c 및 도 11c)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이는 헤드스페이스(H3)가 작은 치료 용액(55)의 표면(60)(예컨대, 원하는 위치)에 매우 근접하여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 내에 스토퍼(40, 65)를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스토퍼가 디바이스(1051 또는 2051)의 원위 개구를 지나 이동한 후에 삽입 튜브(1010)의 내부 부분이 대기에 개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 결과, 진공을 제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10d 및 도 11d를 참조하면, 삽입 로드(650)는 화살표(A3)의 방향으로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 및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로부터 후퇴된다. 도 10e 및 도 11e에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는 시린지 배럴(20)(도 10e) 또는 카트리지 튜브(32)(도 11e)로부터 화살표(A4)의 방향으로 완전히 후퇴된다. 무급유 스토퍼를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에 삽입하는 전체 방법은, 설치 장비(예: 삽입 핀, 삽입 튜브 등)를 포함하여, (실리콘 또는 실리콘 오일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윤활제 없이 수행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사전 충전된 시린지 또는 사전 충전된 카트리지 튜브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800)의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무실리콘(silicone free)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한 스토퍼 피더(810) 및 관심 있는 활성 치료제를 무급유 사전 충전된 시린지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 제공하기 위한 치료제 피더(850)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배치 영역(820), 배치 영역(82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본체(840) 및 이행 구역(830)을 갖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를 수용하도록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급유 시린지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870)(또는 대안적으로, 무급유 시린지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진공 챔버는 또한 진공을 끌어들이기 위한 진공 포트(1052)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 내에서 스토퍼를 조작하는 삽입 로드(860)를 포함하며, 여기서 스토퍼의 조작 단계는 단계 D이다. 상기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를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870) 내로 하강시키는 기구를 더 포함하는데,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870)에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고 진공 포트(1052)를 통해 진공 갭(802)에 진공을 확립하여 헤드스페이스의 압력을 낮추어 스토퍼가 치료 용액의 표면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공정 단계 B). 공정 단계 F에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는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870)로부터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치료제가 단계 A에서 무실리콘 시린지 배럴 또는 무실리콘 카트리지 튜브에 공급된다. 스토퍼(도시 생략)가 스토퍼 피더(810)로부터 제거되고 단계 C에서 배치 영역(820)에 위치된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는 단계 B에서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870) 내로 하강되어 밀봉 가능한 연결을 생성한다. 진공 갭(802) 내에 진공을 확립하고 스토퍼를 진공 보조 삽입하기 위해 진공 포트(1052)를 통해 진공이 끌어들여진다. 단계 E에서, 삽입 로드(860) 및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로부터 멀리 후퇴된다. 최종 단계 F에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801)는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870)로부터 후퇴된다.
본원에 개시된 하이브리드 삽입 방법의 이점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2000)에 의해 헤드스페이스를 가압하는 일이 없이 액체 표면에 매우 근접하게 스토퍼를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삽입 튜브(1002)의 후퇴 중에, 삽입 튜브가 액체에 닿는 일이 없이 및/또는 배럴의 내면 및/또는 삽입 튜브의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액체를 튀게하거나 끌어당기는 일이 없이 치료 용액 위에 스토퍼를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일부 종래의 방법에서, 실리콘처리된(siliconized) 시스템에서 가압의 위험이 더 낮도록 헤드스페이스가 비워진다. 실리콘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실리콘이 없는 시스템에서, 삽입력이 훨씬 더 크고 스토퍼는 대기압보다 높은 힘으로 눌러야 한다. 스토퍼가 헤드스페이스 내에서 더 멀리 이동해야 할수록(예를 들어, H2에서 H3), 치료제 액체 위의 헤드스페이스에서 압축되는 공기의 체적은 더 크다. 어떤 지점에서 시스템에 압력을 생성하지 않고는 헤드스페이스를 더 압축할 수 없는 삽입 깊이에 도달한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2000), 삽입체의 존재를 이용하여, 삽입 로드가 스토퍼를 더 적은 거리로 밀고 스토퍼를 치료액의 표면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진공 압력을 낮춘다. 본 개시에서,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의 표면 상의 추가적인 요철에 노출될 수 있는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 내의 헤드스페이스 및 시린지의 이동 거리를 가압할 위험이 최소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린지 배럴(20) 또는 카트리지 튜브(32)에 스토퍼를 삽입하는 것은, 시린지 배럴(20), 카트리지 튜브(32) 또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중 하나 이상에 스토퍼(40, 65)를 삽입한 후, 스토퍼(40, 65)의 전방 밀봉 리브(42)에 10개 미만의 라인이 형성된다면(예컨대, 홈이 나거나 엣칭됨),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전방 밀봉 리브는 스토퍼의 지점에 가장 가까운 리브이다. 상기 라인은 광학현미경(예컨대, Keyence VHX-5000)으로 100배의 배율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퍼의 전방 밀봉 리브는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5개, 5개 내지 10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토퍼는 30개보다 많은 라인을 갖지 않는데, 이는 시린지 고장의 높은 확률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퍼의 전방 밀봉 리브 상에 라인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 "라인 카운트" 방법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 시린지 배럴 또는 스토퍼가 최종 배치(예컨대, 삽입점)까지 이동되는 기타 구성 요소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본체의 내부면은, 스토퍼의 전방 밀봉 리브와 같이 배럴 또는 카트리지와 접촉하는 임의의 리브에서 측정된 30개 미만의 라인(예컨대, 1개 내지 30개 라인)을 생성한다. 라인이 30개 미만이면 스토퍼 시일이 파손될 가능성이 적다. 유리하게는, 라인은 25 라인 이하(예컨대, 1 내지 25 라인), 20라인 이하(예컨대, 1 내지 20 라인), 15 라인 이하(예컨대, 1 내지 15 라인), 10 라인 이하(예컨대, 1 내지 10 라인), 5 라인 이하(예컨대, 1 내지 5 라인) 또는 3 라인 이하(예컨대, 1 내지 3 라인)이다.
또한, 스토퍼가 있는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의 헬륨 누출률이 1x10-8 sccs 또는 1x10-7 sccs 미만이라면,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에 스토퍼를 삽입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헬륨 누출률은 6x10-6 sccs 이하이다. 헬륨 누출율은 Rusch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10,471,211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헬륨 누출율에 대한 설명 및 그 결과는 하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다. 헬륨 누출률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 시린지 배럴, 카트리지 튜브 또는 스토퍼가 그 삽입점까지 이동되는 기타 구성 요소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라인 카운트" 방법(위에서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헬륨 누출율 및/또는 라인 카운트에 의해 정해지는 것과 같은) 무급유 시린지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의 성공적인 삽입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평균 표면 거칠기(Sa) 또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내측면의 평균 첨도(kurtosis)(Sku) 를 수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 내측면의 목표 평균 표면 거칠기(Sa) 및/또는 평균 첨도(Sku)는, 전해연마, 압출 연마(extrude honing)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평균 표면 거칠기(Sa) 및 평균 첨도(Sku)의 시험 방법 및 그 결과는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1017, 1046, 1044, 2011, 2046 또는 2044와 같이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1000 또는 2044)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약 20 nm 내지 약 400 nm, 약 20 nm 내지 약 120 nm, 약 30 nm 내지 약 80 nm, 약 30 nm 내지 약 50 nm, 약 100 nm 내지 약 300 nm, 또는 약 150 nm 내지 약 250 nm의 평균 표면 거칠기(Sa)를 가질 수 있다 . 일부 실시예에서, 평균 표면 거칠기(Sa)는 25 nm 이하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0 내지 약 3 미만, 0 내지 약 4 미만, 0 내지 약 5 미만, 0 내지 약 6 미만, 0 내지 약 7 미만, 또는 0 내지 약 8 미만의 평균 첨도(Sku)를 가질 수 있다. 평균 표면 거칠기(Sa) 및/또는 평균 첨도(Sku)와 결합된 삽입력은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각 기하형태에 대한 스토퍼의 성공적인 삽입을 위한 공간을 규정한다.
적어도 시린지 배럴 및 스토퍼(예컨대, 시린지 구성요소) 또는 카트리지 튜브 및 스토퍼(예컨대, 카트리지 구성요소), 및 삽입 튜브, 및 삽입 핀(예컨대, 삽입 구성요소)은 "무급유" 또는 "실질적으로 무급유"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무급유"는 시린지 배럴, 카트리지 튜브, 스토퍼 및/또는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장비에 의도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 첨가되는 어떠한 종류의 윤활제도 없음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양의 윤활제는 미량(trace amount)으로만 존재한다(즉, 알려진 측정 장비 또는 방법에 의해 감지할 수 없음).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윤활제는 부적절한 취급 또는 제조 장비의 잔류 윤활제를 통해 부주의하게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윤활제는,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고 미량으로만 존재하는 한 존재할 수 있다. 시린지 배럴의 바늘은 환자에게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윤활제를 가지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바늘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무급유"라는 용어는 알려진 측정 장비 또는 방법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양의 윤활제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시린지의 내측면에 약 0 ㎍ 내지 약 5 ㎍, 약 1 ㎍ 내지 약 5 ㎍, 또는 약 2 ㎍ 내지 약 5 ㎍의 윤활제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윤활제의 부재 또는 실질적 부재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질량 분석 또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ICP) 질량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무급유인 것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주사용수(water for injection; WFI)가 완전히 조립된 시린지(예컨대, 유리 배럴 및 스토퍼 및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치료 화합물)에 노출된 후 주사용수(WFI)에서 측정되는 시린지 배럴의 입자 양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럴 내의 입자의 양은 WFI에서 측정할 때 크기가 10㎛ 초과인 입자의 경우 약 600개 입자/mL 미만 또는 크기가 25㎛ 초과인 입자의 경우 60개 입자/mL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실리콘계 윤활제 이외의 윤활제가 허용될 수 있다. 통상의 실리콘계 윤활제는 실리콘 오일 또는 실리콘 그리스, 실록산, 폴리실록산, 오르가노실록산,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실리케이트 에스테르, 및 유사한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계 윤활제(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에테르), 유성 윤활제(예컨대, 바셀린(petroleum jelly), 파라핀 및 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이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의 내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의 내측면에는 어떠한 종류의 윤활제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시린지 배럴 또는 카트리지 튜브에는 마감제(finish) 또는 광택제(polish)가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범위는 0.5mL 내지 20mL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더 작거나 더 큰 시린지 또는 카트리지에 맞춰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하는 시린지의 하나 이상의 디자인 특징이 본원에서 설명하는 다른 시린지 및 카트리지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서 설명하는 시린지 배럴, 카트리지 튜브, 플런저 로드, 및 스토퍼는 예를 들어 항체, 안티센스, RNA 간섭, 유전자 요법, 1차 및 배아 줄기 세포, 백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약물 및 생물제제와 같은 다양한 치료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하기 생물제제 및/또는 치료 화합물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외분비 상피 세포, 호르몬 분비 세포 등과 같이 내배엽에서 주로 유래하는 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 각질화 상피 세포, 습윤 중층 장벽 상피 세포, 감각 변환기 세포, 자율 뉴런 세포, 감각 기관 및 말초 뉴런 지지 세포, 중추 신경계 뉴런 및 신경교 세포, 수정체 세포와 같은 외배엽; 대사 및 저장 세포, 장벽 기능 세포(폐, 장, 외분비선 및 비뇨생식로), 세포외 기질 세포, 수축성 세포, 혈액 및 면역계 세포, 생식 세포, 간호사 세포, 간질 세포와 같은 중배엽 또는 이들의 조합. 추가적으로, 유전적으로,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변경되거나 변성된 세포는 본 개시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외분비 상피 세포의 예는 침샘 점액 세포, 침샘 1번(Salivary gland number 1), 혀의 폰 에브너 선 세포(Von Ebner's gland cell), 유선 세포, 누선 세포, 귀의 귀지선 세포, 에크린 땀샘 암 세포(Eccrine sweat gland dark cell), 에크린 땀샘 투명 세포(clear cell), 아포크린(Apocrine) 땀샘 세포, 눈꺼풀의 몰샘(Gland of Moll) 세포, 피지선 세포, 코의 보우만선(Bowman's gland) 세포, 십이지장내 브루너선(Brunner's gland) 세포, 정낭 세포, 전립선 세포, 구요도선(Bulbourethral gland) 세포, 바르톨린선(Bartholin's gland) 세포, 리트르샘(Gland of Littre) 세포, 자궁 내막 세포, 호흡기 및 소화관의 분리된 배상(Isolated goblet) 세포, 위 라이닝 점액(Stomach lining mucous) 세포, 위선 효소원 세포, 위선 벽 세포(Gastric gland oxyntic cell), 췌장 포상 세포, 소장의 파네트(Paneth) 세포, 폐의 타입 II 폐포세포(pneumocyte), 폐의 클라라(Clara)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호르몬 분비 세포: 뇌하수체 전엽 세포, 뇌하수체 중간 세포, 대세포 신경분비 세포, 소화관 및 호흡기 세포, 갑상선 세포, 부갑상선 세포, 부신 세포,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고환의 라이디히(Leydig) 세포,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 난포의 내부 포막 세포(Theca internal cell),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파열된 난포의 황체(Corpus luteum) 세포, 사구체 인접 세포(Juxtaglomerular cell), 신장의 치밀반점(Macula densa) 세포, 신장의 극주위(Peripolar) 세포, 신장의 혈관사이(Mesangial) 세포, 췌장 소도(Pancreatic islets);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각질화 상피(Keratinizing epithelial) 세포: 표피 각질 세포, 표피 기저 세포, 손톱과 발톱의 각질 세포, 손발톱 바닥 기저 세포, 수질 털줄기(Medullary hair shaft) 세포, 피질(Cortical) 털출기 세포, 각피(Cuticular) 털줄기 세포, 각피 모근 초상(Cuticular hair root sheath) 세포, 헉슬리층(Huxley's layer)의 모근 초상 세포, 헨레층(Henle's layer)의 모근 초상 세포, 외부 모근 초상 세포, 모발 기질(Hair matrix) 세포; 다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습윤 중층 장벽 상피 세포(Wet stratified barrier epithelial cells): 각막, 혀, 구강, 식도, 항문관, 원위 요도 및 질의 중층 편평 상피의 표면 상피 세포와 상피의 기저 세포, 비뇨기 상피 세포; 다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감각 변환기 세포: 코르티 기관의 청각 내유모 세포(Auditory inner hair cell of organ of Corti), 코르티 기관의 청각 외유모 세포, 후각 상피(olfactory epithelium)의 기저세포, 저온 민감성 일차 감각 뉴런(Cold-sensitive primary sensory neurons), 열 민감성 일차 감각 뉴런, 표피의 메르켈(Merkel) 세포, 후각 수용체 뉴런, 통증 민감성 일차 감각 뉴런, 눈 망막의 광수용기 세포, 예컨대 고유 일차 감각 뉴런, 촉각 민감성 일차 감각 뉴런, 타입 I 경동맥 체세포, 타입 II 경동맥 체 세포, 귀의 전정계의 타입 I 모세포, 귀의 전정계의 타입 II 모세포, 타입 I 미뢰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자율 신경 세포: 콜린성 신경 세포(Cholinergic neural cell), 아드레날린성 신경 세포, 펩티드성 신경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감각 기관 및 말초 뉴런 지원 세포: 코르티 기관의 내부 주상 세포(Inner pillar cell), 코르티 기관의 외부 주상 세포, 코르티 기관의 내부 지골 세포(phalangeal cell), 코르티 기관의 외부 지골 세포, 코르티 기관의 경계 세포, 코르티 기관의 헨센(Hensen) 세포, 전정 기관 지지 세포, 미뢰 지지 세포, 후각 상피 지지 세포, 슈반(Schwann) 세포, 위성 아교 세포, 장 아교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중추 신경계 뉴런 및 신경아교 세포: 성상교세포(Astrocyte), 뉴런 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 스핀들 뉴런;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정체 세포: 전방 수정체 상피 세포, 크리스탈린 함유 수정체 섬유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대사 및 저장 세포: 지방세포: 간 지방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장벽 기능 세포: 신장 벽세포, 신장 사구체 다리세포, 신장 근위 세뇨관 브러시 경계 세포(Kidney proximal tubule brush border cell), 헨레 고리의 세구역 세포(Loop of Henle thin segment cell), 신장 원위 세뇨관 세포, 신장 집합관 세포, 주세포, 개재 세포(Intercalated cells), 타입 I 폐세포, 췌관 세포, 비-줄무늬관 세포(Nonstriated duct cell), 주세포, 개재세포, 관 세포, 장 브러시 경계 세포, 외분비선 줄무늬 관 세포, 담낭 상피 세포, 고환날세관 비섬모 세포(Ductulus efferens nonciliated cell), 부고환 주 세포, 부고환 기저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세포외 기질 세포: 에나멜 아세포 상피 세포(Ameloblast epithelial cell), 귀의 전정계의 반달면(Planum semilunatum) 상피 세포, 코르티 기관 치간 상피 세포, 소성 결합 조직 섬유아세포(Loose connective tissue fibroblasts), 각막 섬유아세포, 힘줄 섬유아세포, 골수 망상 조직 섬유아세포, 기타 비상피 섬유아세포, 혈관주위세포, 추간판의 수핵 세포, 시멘트아세포/시멘트세포(Cementoblast/cementocyte), 상아질모세포/상아아세포(Odontoblast/odontocyte), 유리질연골 연골세포(Hyaline cartilage chondrocyte), 섬유연골 연골세포, 탄성연골 연골세포, 골아세포/골세포(Osteoblast/osteocyte), 골조상세포, 눈의 유리체의 유리체세포, 귀의 외림프 공간의 성상(Stellate) 세포, 간 성상 세포, 췌장 스텔레(stelle)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축성 세포: 골격근 세포, 위성 세포, 심근 세포, 평활근 세포, 홍채의 근상피 세포, 외분비선의 근상피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혈액 및 면역계 세포: 적혈구, 거핵구(Megakaryocyte), 단핵구, 결합조직 대식세포, 상피 랑게르한스(Epidermal Langerhans) 세포, 파골세포, 수지상 세포, 미세아교(Microglial) 세포, 호중성 과립구(Neutrophil granulocyte), 호산성(Eosinophil) 과립구, 호염기성(Basophil) 과립구, 하이브리도마 세포, 비만 세포, 헬퍼 T 세포, 억제 T 세포, 세포독성 T 세포, 자연 살해 T 세포, B 세포, 자연 살해 세포, 망상적혈구, 혈액 및 면역계에 대한 줄기 세포 및 수임 전구체;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생식 세포: 난원세포/난모세포, 정자세포, 정모세포, 정조 세포, 정자;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간호 세포: 난포(Ovarian follicle) 세포, 세르톨리(Sertoli) 세포, 흉선 상피 세포;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간질 세포: 간질 신장 세포 및 이들의 조합.
다음의 단백질 표적 또는 유전자에 대한 항체, 안티센스, RNA 간섭 또는 유전자 요법의 예: 모세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 돌연변이(Ataxia Telangiectasia Mutated), 종양 단백질 p53, 체크포인트 키나아제 2, 유방암 감수성 단백질, 이중 가닥 파손 복구 단백질, DNA 복구 단백질 RAD50, 니브린, p53-결합 단백질, DNA 손상 체크포인트 단백질의 매개체, H2A 히스톤 패밀리 멤버(histone family member) X, 마이크로세팔린(Microcephalin), C-말단 결합 단백질 1, 염색체 단백질 1A의 구조적 유지; 에스테라제; 포스파타제; 이온 채널의 예는 리간드 관문(ligand-gated) 이온 채널, 전압 개폐 이온 채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성장 인자의 예는 신경 성장 인자(NGF),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DGF), C-fos-유도 성장 인자(FIGF),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 변형 성장 인자 베타(TGF-β), b, 원 형태형성 단백질(BMPs), 액티빈, 인히빈,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 과립구-집락 자극 인자(G-CSF),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 신경아교세포주 유래 신경영양 인자(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성장 분화 인자-9(GDF9), 표피 성장 인자(EGF), 전환 성장 인자-α(TGF-α), 성장 인자(KGF) , 이동 자극 인자(MSF), 간세포 성장 인자 유사 단백질(HGFLP), 간세포 성장 인자(HGF), 간암 유래 성장 인자(HD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데노신 수용체 패밀리, 아드레날린 수용체 패밀리,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아펠린 수용체, 바소프레신 수용체 패밀리, 뇌 특이적 혈관신생 억제제 패밀리, 브래디키닌(Bradykinin) 수용체 패밀리, 봄베신(Bombesin) 수용체 패밀리, 보체 성분(Complement component) 3a 수용체 1, 보체 성분 5a 수용체 1, 칼시토닌 수용체 패밀리, 칼시토닌 수용체 유사 패밀리, 칼슘 감지 수용체, 콜레시스토키닌 A 수용체(CCK1), 콜레시스토키닌 B 수용체(CCK2), 케모카인(C-C 모티브) 수용체 패밀리, 스핑고신 1-포스페이트 수용체 패밀리, 숙신산 수용체, 콜린성 수용체 패밀리. 케모카인 유사 수용체 패밀리,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패밀리,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케모카인 C-X3-C 수용체 패밀리, 케모카인(C-X-C 모티브) 수용체 패밀리, 버킷(Burkitt) 림프종 수용체, 케모카인(C-X-C 모티브) 수용체 패밀리, 시스테닐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 수용체 2(CYSLT2), 케모카인 수용체(FY), 도파민 수용체 패밀리,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183(GPR183), 리소포스파티드산 수용체 패밀리, 엔도텔린 수용체 패밀리, 응고 인자 II(트롬빈) 수용체 패밀리, 유리 지방산 수용체 패밀리 , 포르밀펩티드 수용체 패밀리,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FSHR),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B 수용체, 갈라닌 수용체 패밀리, 글루카곤 수용체,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 수용체(GHRH), 그렐린 수용체(ghrelin),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 수용체 1b (GHSR1b), 위 억제 폴리펩티드 수용체(GIP),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수용체 패밀리, 성선 자극 호르몬(Gonadotropin) 방출 호르몬 수용체(GnRH), 피로글루타아미레이트 RF아미드(pyroglutamylated RFamide) 펩티드 수용체 (QRFPR), G 단백질 결합 담즙산 수용체 1 (GPBA), 히드록시카보닐산(Hydroxycarboxylic acid) 수용체 패밀리, 리소포스파티드산(Lysophosphatidic acid) 수용체 4 (LPA4), 리소포스파티드산 수용체 5 (GPR92),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79 위유전자(pseudogene) (GPR79),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수용체 1(HCA1), G-단백질 결합 수용체(C5L2, FFA4, FFA4, FFA4, GPER, GPR1, GPR101, GPR107, GPR119, GPR12, GPR123, GPR132, GPR135, GPR139, GPR141, GPR142, GPR143, GPR146, GPR148, GPR149, GPR15, GPR150, GPR151, GPR152, GPR157, GPR161, GPR162, GPR17, GPR171, GPR173, GPR176, GPR18, GPR182, GPR20, GPR22, GPR25, GPR26, GPR27, GPR3, GPR31, GPR32, GPR35, GPR37L1, GPR39, GPR4, GPR45, GPR50, GPR52, GPR55, GPR6, GPR61, GPR65, GPR75, GPR78, GPR83, GPR84, GPR85, GPR88, GPR97, TM7SF1),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Metabotropic glutamate receptpr), 가스트린 방출 수용체(BB2), 오렉신(Orexin) 수용체 패밀리, 히스타민 수용체 패밀리, 5-하이드록시트립타민 수용체 패밀리, KISS1 유래 펩티드 수용체(kisspeptin), 류신이 풍부한 반복 함유(Leucine-rich repeat-containing)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패밀리, 호리오고나도트로핀 수용체(LH), 류코트리엔 B4 수용체(BLT1), 아데닐산 사이클라제 활성화 폴리펩티드 1 수용체 1(mPAC1), 모틸린 수용체, 멜라노코르틴 수용체 패밀리, 멜라닌 농축 호르몬 수용체 1(MCH1), 뉴로펩티드(Neuropeptide) Y1 수용체(Y1), 뉴로펩티드 Y2 수용체(NPY2R), 오피오이드(Opioid) 수용체 패밀리, 옥시토신 수용체(OT), P2Y 퓨린수용체(Purinoceptor) 12(mP2Y12), P2Y 퓨린수용체 6(P2Y6), 췌장 폴리펩티드 수용체 패밀리, 혈소판 활성화 인자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글란딘 E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노이드 IP1 수용체(IP1), MAS 관련 GPR 멤버 패밀리, 로돕신(Rhodopsin), 릴랙신 패밀리 펩티드 수용체 패밀리,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패밀리, 타키키닌 수용체 패밀리, 멜라토닌 수용체 패밀리, 우로텐신 수용체 패밀리, 혈관활성 장 펩티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수용체 1(mVPAC1), 뉴로메딘 B 수용체(BB1), 뉴로메딘 U 수용체 1(NMU1), 뉴로펩티드 B/W 수용체 패밀리, 뉴로펩티드 FF 수용체 1(NPFF1), 뉴로펩티드 S 수용체 1(NPS 수용체), 뉴로펩티드 Y 수용체 패밀리, 뉴로텐신 수용체 1(NTS1), 옵신 5(OPN5), 오피오이드 수용체 유사 수용체(NOP), 옥소에이코사노이드(OXE) 수용체 1(OXE), 옥소글루타레이트(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 수용체 1(OXGR1), 퓨린성(Purinergic) 수용체 패밀리, 피리미딘성(Pyrimidinergic) 수용체 패밀리, 프로락틴 방출 호르몬 수용체(PRRP), 프로키네티신(Prokineticin) 수용체 패밀리,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PAF), 프로스타글란딘 F 수용체 패밀리, 프로스타글란딘 I2(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 수용체 패밀리,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패밀리, 무스카린 4(rM4), 프로스타노이드 DP2 수용체(rGPR44), 프로키네티신 수용체 패밀리, 릴랙신 패밀리 펩티드 수용체 패밀리, 세크레틴 수용체(secretin), 스무슨드(Smoothened), 프리즐드(Frizzled) 클래스 수용체,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패밀리, 타키키닌(Tachykinin) 패밀리, 트롬복산 A2 수용체(TP),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수용체(TRH1), 갑상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TSH); 단백질 키나아제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P2 관련 키나아제, 호모 사피엔스 ABL 원발암유전자(proto-oncogene) 1 - 비-수용체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c-abl 종양유전자 1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v-abl 아벨슨 뮤린 백혈병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Abelson murine leukemia viral oncogene homolog) 2, 액티빈 A 수용체 패밀리, 샤페론 - bc1 복합 동족체(S. pombe)의 ABC1 활성(chaperone - ABC1 activity of bc1 complex homolog)(ADCK3), aarF 도메인 함유 키나아제 4(ADCK4), v-akt 뮤린 흉선종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패밀리(murine thymoma viral oncogene homolog 패밀리), 역형성 림프종(anaplastic lymphoma)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A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B 패밀리, 앵키린 반복(ankyrin repeat) 및 키나아제 도메인 함유 1(ANKK1), NUAK 패밀리 - SNF1 유사 키나아제, 마이토젠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오로라 키나아제 A(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패밀리 aurora kinase A)(AURKA), 오로라 키나아제 B(AURKB), 오로라 키나아제 C(AURKC), AXL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AXL), BMP2 유도성 키나아제(BIKE), B 림프성 티로신 키나아제(BLK), 골 형태형성(bone morphogenetic) 단백질 수용체 패밀리, BMX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BMX), v-raf 뮤린 육종(sarcoma)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B1(BRAF),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6(BRK), BR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브루톤 무감마글로불린혈증(Bruton agammaglobulinemia) 티로신 키나아제(BTK),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패밀리,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유사 패밀리, CHK1 체크포인트 동족체(S. pombe)(CHEK1), CHK2 체크포인트 동족체(S. pombe)(CHEK2), 인슐린 수용체, 동형(isoform) A(INSR), 인슐린 수용체, 동형 B(INSR), rho-상호작용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CIT), v-kit Hardy-Zuckerman 4 고양이 육종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KIT), CDC-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 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MET), 원발암 유전자 티로신-단백질 키나아제 수용체, 집락 자극 인자 패밀리 수용체, c-src 티로신 키나아제(CSK) ), 카제인 키나아제 패밀리, 거핵구 관련 티로신 키나아제(CTK),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이중 코르틴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근 긴장성 이영양증(dystrophia myotonica)-단백질 키나아제(DMPK), 이중 특이성 티로신-(Y )-인산화 조절된 키나아제 패밀리,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패밀리, 진핵생물 번역(eukaryotic translation) 개시 인자 2-알파 키나아제 1(EIF2AK1), EPH 수용체 패밀리, 에프린 타입 A 수용체 패밀리, 에프린 타입 B 수용체 패밀리, v-erb-b2 적아구성 백혈병(erythroblastic leukemia)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패밀리, 마이토젠-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소포체에서 핵 신호 전달(endoplasmic reticulum to nucleus signaling) 1(ERN1), PTK2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2(FAK), fer(fps/fes 관련) 티로신 키나아제(FER). 고양이 육종 종양유전자(FES),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패밀리, Gardner-Rasheed 고양이 육종 바이러스(v-fgr) 종양유전자 동족체(FGR), fms 관련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Fms 관련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fyn 관련 키나아제(FRK) ), SRC와 관련된 FYN 종양 유전자, 사이클린 G 관련 키나아제(GAK), 진핵생물 번역 개시 인자 2 알파 키나아제, 성장 호르몬 수용체.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키나아제 1(GRK1),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키나아제 패밀리, 글리코겐 신타아제(glycogen synthase) 키나아제 패밀리, 생식 세포 연관 2 (haspin) (HASPIN), 조혈 세포 키나아제(HCK), 호메오도메인(homeodomain) 상호작용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마이토젠-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호르몬으로 상향 조절된 Neu 관련 키나아제(HUNK), 장 세포(MAK-유사) 키나아제(ICK),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IGF1R), 보존 나선 루프 나선 유비쿼터스 키나아제(conserved helix-loop-helix ubiquitous kinase)(IKK) -알파), B 세포의 카파 광 폴리펩티드 유전자 인핸서 억제제 - 키나아제 베타 패밀리, 인슐린 수용체(INSR), 인슐린 수용체 관련 수용체(INSRR), 인터루킨-1 수용체 관련 키나아제 패밀리, IL2 유도성 T 세포 키나아제(ITK), Janus 키나아제 패밀리, 키나아제 삽입 도메인 수용체, v-kit Hardy-Zuckerman 4 고양이 육종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림프구 특이적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LCK), LIM 도메인 키나아제 패밀리,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류신 풍부 반복 키나아제 패밀리, v-yes-1 야마구치 육종 바이러스 관련 종양유전자 동족체(LYN), 남성 생식 세포 관련 키나아제(MAK), MAP/미세소관 친화성 조절 키나아제 패밀리, 미세소관 관련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모체 배아 류신 지퍼 키나아제(maternal embryonic leucine zipper kinase), c-mer 원발암 유전자 티로신 키나아제 (MERTK), met 원발암유전자(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MAP 키나아제 상호 작용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미오신 경쇄(myosin light chain) 키나아제 패밀리, 혼합 계통(mixed lineage) 키나아제 도메인 유사 단백질 동형, CDC42 결합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 대식세포 자극 1 수용체(c-met 관련 티로신 키나아제)(MST1R), 라파마이신(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의 기계적 표적(MTOR), 근골격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MUSK), 미오신 경쇄 키나아제 패밀리, NIMA(never in mitosis gene a) 관련 키나아제 패밀리,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 NIM1(NIM1), 네모 유사 키나아제(NLK), 산화 스트레스 반응성 1(OSR1), p21 단백질(Cdc42/Rac) 활성화 키나아제 패밀리, PAS 도메인 함유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패밀리, 3-포스포이노시티드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1(PDPK1), 칼슘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1, 포스포릴라제 키나아제 감마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4,5-비스포스페이트 3-키나아제, 포스포이노시티드-3 -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포이노시티드 키나아제, FYVE 핑거 함유, Pim-1 발암유전자(PIM1), pim-2 발암유전자(PIM2), pim-3 발암유전자(PIM3),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5-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5-포스페이트 4-키나아제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멤브레인 관련 티로신/트레오닌 1 (PKMYT1), 단백질 키나아제 N 패밀리, 폴로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C 패밀리, 단백질 키나아제 D 패밀리, cGMP-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진핵생물 번역 개시 인자 2-알파 키나아제 2 (PRKR), X-결합 단백질 키나아제 (PRKX), 프로락틴 수용체 (PRLR), PRP4 pre-mRNA 처리 인자 4 동족체 B (yeast) (PRP4), PTK2B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2 베타 (PTK2B), SIK 패밀리 키나아제 3 (QSK), v-raf-1 뮤린 백혈병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1(RAF1), 신경영양성(Neurotrophic)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 타입 패밀리, 수용체(TNFRSF)-상호작용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패밀리, 이중 세린/트레오닌 및 티로신 단백질 키나아제(RIPK5), Rho -연관된 코일형 코일 함유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c-ros 종양유전자 1, 수용체 ty 로진 키나아제(ROS1), 리보솜 단백질 S6 키나아제 패밀리, SH3-결합 도메인 키나아제 1(SBK1), 혈청/글루코코르티코이드 조절 키나아제 패밀리, 잠정적으로 특성화되지 않은 세린/트레오닌-단백질 키나아제(Sugen 키나아제 110)(SgK110), 염유도성(salt-inducible) 키나아제 패밀리, SNF 관련 키나아제 (SNRK), src 관련 키아아제, SFRS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지라(Spleen) 티로신 키나아제 (SYK), TAO 키아아제 패밀리, TANK-결합 키나아제 1 (TBK1), tec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TEC), 테스티스(testis)-특이 키나아제 1(TESK1), 변형 성장 인자, 베타 수용체 패밀리, 면역글로불린 유사 및 EGF 유사 도메인 1이 있는 티로신 키나아제(TIE1), TEK 티로신 키나아제, 내피(TIE2), 안지오포이에틴-1 수용체(Tie2), tousled 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TRAF2 및 NCK 상호 작용 키나아제(TNIK), 비-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 TNNI3 상호 작용 키나아제(TNNI3K), 일시적 수용체 전위 양이온 채널, 테스티스-특이 세린 키나아제 패밀리, TTK 단백질 키나아제(TTK), TXK 티로신 키나아제 (TXK), 티로신 키나아제 2(TYK2), TYRO3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TYRO3), unc-51-유사 키나아제 패밀리,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아제, 백신 관련 키나아제 2 (VRK2), WEE1 동족체 패밀리, WNK 리신 부족(lysine deficient)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 v-yes-1 야마구치 육종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1 (YES) 키나아제 AZK(ZAK), 멸균 알파 모티프 및 류신 지퍼 함유 키나아제 AZK(ZAK), 제타-사슬(TCR) 관련 단백질 키나아제 70kDa(ZAP70); 핵 호르몬 수용체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안드로겐 수용체(AR),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알파(ESRRA), 에스트로겐 수용체 1(ESR1),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4(NR1H4),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3 - 그룹 C - 멤버 1(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NR3C1),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3(간 X 수용체 α)(NR1H3),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2(간 X 수용체 β)(NR1H2),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 그룹 H - 멤버 2(간 X 수용체 β)(NR1H2),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3 - 그룹 C - 멤버 2(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NR3C2),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lpha)(PPRA),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감마(PPARG),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PPARD),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α(PG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β(PGR), 레티노산 수용체 - 알파(RARA), 레티노산 수용체 - 베타(RARB), 레티노이드 X 수용체 - 알파(RXRA), 레티노이드 X 수용체 - 감마(RXRG),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 알파(THRA),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 베타 (THRB), 레티노산 관련 희귀(Retinoic acid-related orphan) 수용체, 간 X 수용체, 파르네소이드(Farnesoid) X 수용체, 비타민 D 수용체, 프레그난(Pregnane) X 수용체, 구성 안드로스탄(Constitutive androstane) 수용체, 간세포 핵 인자 4,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글루코코르티온(Glucocortioic) 수용체, 신경 성장 인자-유도-B, 생식 세포 핵 인자; 후성유전학적(Epigenetic) 표적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TPase 패밀리 AAA 도메인 함유 단백질 2(ATAD2A), ATPase 패밀리 - AAA 도메인 함유 2B(ATAD2B), ATPase 패밀리 AAA 도메인 함유 - 2B(ATAD2B),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1A(BAZ1A),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1B(BAZ1B),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2A(BAZ2A),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2A(BAZ2A), 징크 핑거 도메인에 인접한 브로모도메인 - 2B(BAZ2B), 브로모도메인-포함 단백질 1(BRD1),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2 - 1차 브로모도메인(BRD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2 - 1차 및 2차 브로모도메인(BRD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2 동형 1 - 브로모도메인 2(BRD2(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브로모도메인 1(BRD3(1)),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1차 브로모도메인(BRD3),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1차 및 2차 브로모도메인(BRD3),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3 - 브로모도메인 2(BRD3(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 1차 브로모도메인(BRD4),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동형 롱 - 브로모도메인 1 및 2(BRD4(1-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동형 롱 - 브로모도메인 2(BRD4(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4 동형 쇼트(BRD4(full-length-short-iso.)),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7(BRD7), 브로모도메인 함유 8 - 브로모도메인 1(BRD8(1)), 브로모도메인 함유 8 - 브로모도메인 2(BRD8(2)),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9 동형 1(BRD9) ), 브로모도메인 함유 고환 특이 - 1차 브로모도메인(BRDT), 브로모도메인 함유 고환 특이 - 1차 및 2차 브로모도메인(BRDT), 브로모도메인 고환 특이 단백질 동형 b - 브로모도메인 2(BRDT(2)), 브로모도메인 및 PHD 핑거 포함 - 1(BRPF1), 브로모도메인 및 PHD 핑거 포함 - 3(BRPF3), 브로모도메인 및 PHD 핑거 포함 - 3(BRPF3), 브로모도메인 및 WD 반복 포함 3 - 2차 브로모도메인(BRWD3(2)), 고양이 눈 증후군 임계 영역 단백질 2(CECR2), CREB 결합 단백질(CREBBP), E1A 결합 단백질 p300(EP300), EP300(EP300), 뉴클레오좀-리모델링 인자 서브유닛(nucleosome-remodeling factor subunit) BPTF 동형 1 (FALZ), 뉴클레오좀-리모델링 인자 서브유닛 BPT (FALZ), 진정염색질 히스톤-리신 N-메틸트랜스퍼레이스(Euchromatic histone-lysine N-methyltransferase) 2 (EHMT2),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레이스(Histone Acetyltransferase) - KAT2A (GCN5L2), 진정염색질 히스톤-리신 N-메틸트랜스퍼레이스 1(EHMT1), 히스톤-리신 N-메틸트랜스퍼레이스 MLL(MLL), 폴리브로모 1 - 1차 브로모도메인(PB1(1)), 폴리브로모 1 - 2차 브로모도메인(PB1(2)), 폴리브로모 1 - 브로모도메인 2(PBRM1(2)), 폴리브로모 1 - 브로모도메인 5(PBRM1(5)),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레이스 KAT2B(PCAF), PH-상호작용 단백질 - 1차 브로모도메인(PHIP(1)), PH-상호작용 단백질 - 2차 브로모도메인(PHIP(2)), 단백질 키나아제 C-결합 단백질 1(PRKCBP1), 단백질 아르기닌 N-메틸트랜스퍼라제 3(PRMT3), SWI/SNF 관련 - 기질 관련 - 염색질의 액틴 의존 조절자 - 서브패밀리 a - 멤버 2(SMARCA2), SWI/SNF 관련 - 기질 관련 - 액틴 의존 조절자 염색질 - 서브패밀리 a - 멤버 4(SMARCA4), 핵체 단백질 - SP110(SP110), 핵체 단백질 - SP140(SP140), 전사 개시 인자 TFIID 서브유닛 1(TAF1(1-2)), TAF1 RNA 폴리머레이스(polymerase) II - TATA 박스 결합 단백질(box binding protein)(TBP)-관련 인자 - 250kDa - 브로모도메인 2(TAF1(2)), 전사 개인 인자 TFIID 서브유닛 1 유사 - 1차 브로모도메인(TAF1L(1)), 전사 개시 인자 TFIID 서브유닛 1-유사 - 2차 브로모도메인(TAF1L(2)), 삼중 모티프 포함 24(tripartite motif containing 2)(TRIM24(Bromo.)), 삼중 모티프 포함ㅎ 24(TRIM24(PHD -Bromo) .)), E3 유비퀴틴-단백질 라이게이스(ligase) TRIM33(TRIM33), 삼중 모티프 포함 33(TRIM33(PHD -Bromo.)), WD 반복 9 - 1차 브로모도메인(WDR9(1)), WD 반복 9 - 2차 브로모도메인(WDR9(WDR9) 2));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멤브레인 수송 단백질, 즉 ATP-결합 카세트(ABC) 슈퍼패밀리, 용질 캐리어(SLC) 슈퍼패밀리, 다중약물 내성 단백질 1(P-당단백질), 유기 음이온 수송체 1, 및 단백질, 예를 들어 EAAT3, EAAC1, EAAT1, GLUT1, GLUT2, GLUT9, GLUT10, rBAT, AE1, NBC1, KNBC, CHED2, BTR1, NABC1, CDPD, SGLT1, SGLT2, NIS, CHT1, NET, DAT, GLYT2, CRTR, B0AT1, SIT1, XT3, y+LAT1, BAT1, NHERF1, NHE6, ASBT, DMT1, DCT1, NRAMP2, NKCC2, NCC, KCC3, NACT, MCT1, MCT8, MCT12, SLD, VGLUT3, THTR1, THTR2, PIT2, GLVR2, OCTN2, URAT1, NCKX1, NCKX5, CIC, PiC, ANT1, ORNT1, AGC1, ARALAR, Citrin, STLN2, aralar2, TPC, MUP1, MCPHA, CACT, GC1, PHC, DTD, CLD, DRA, PDS, Prestin, TAT1, FATP4, ENT3, ZnT2, ZnT10, AT1, NPT2A, NPT2B, HHRH, CST, CDG2F, UGAT, UGTL, UGALT, UGT1, UGT2, FUCT1, CDG2C, NST, PAT2, G6PT1, SPX4, ZIP4, LIV4, ZIP13, LZT-Hs9, FPN1, MTP1, IREG1, RHAG, AIM1, PCFT, FLVCR1, FLVCR2, RFT1, RFT2, RFT3, OATP1B1, OATP1B3, OATP2A1; 튜불린, 열 충격 단백질, 미세소관 안정화 단백질, 종양단백질 18, 스타트민, 키네신-8 및 키네신-14 패밀리, Kip3, Kif18A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구조 단백질; ADAM(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티에이스(disintegrin and metalloprotease)) 패밀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프로티에이스; 신호 전달의 다른 분자 표적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세포 분열 주기 25 동족체 A(CDC25A), 포크헤드 박스 O3(포크헤드 박스 O3), B 세포 억제제에서의 카파 라이트 폴리펩티드 유전자 인핸서의 핵 인자, 알파(NFKBIA), 핵 인자(적혈구 유래 2) 유사 2(NFE2L2), 나트륨 이뇨 펩티드 수용체 A(NPR1), 종양 괴사(Tumor necrosis)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멤버 11a(TNFRSF11A), v-rel 세망내피증(reticuloendotheliosis) 바이러스 종양유전자 동족체 A(조류)(RELA), 스테롤 조절 요소 결합 전사 인자 2(SREBF2), CREB 조절된 전사 공활성제(coactivator) 1(CRTC1), CREB 조절된 전사 공활성제 2(CRTC2), X-박스 결합 단백질 1(XBP1), 카테닌(카드헤린 관련 단백질), 베타 1(CTNNB1), 및 이들의 조합.
알려진 생물제제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보시나기스(Abbosynagis), 아베그린(Abegrin), 악템라(Actemra), AFP-시드(Cide), 안토바(Antova), 아제라(Arzerra), 오렉시스(Aurexis), 아바스틴(Avastin), 벤리스타(Benlysta), 벡사르(Bexxar), 블론트레스(Blontress), 보사트리아(Bosatria), 캄파스(Campath), CEA-시드, CEA-스캔, 심지아(Cimzia), 사이람자(Cyramza), 엑토맙(Ektomab), 얼비툭스(Erbitux), 피브리신트(FibriScint), 가즈이바(Gazyva), 허셉틴(Herceptin), hPAM4-시드, 휴마스펙트(HumaSPECT), 휴맥스(HuMax)-CD4, 휴맥스-EGFr, 휴미라(Humira), HuZAF, 하이브리-시커(Hybri-ceaker), 일라리스(Ilaris), 인디마시스(Indimacis)-125, 캐드사일라(Kadcyla), 렘트라다(Lemtrada), 류카레스트(LeukArrest), 류코스캔(LeukoScan), 루센티스(Lucentis), 림포뮨(Lymphomun), 림포스캔(LymphoScan), 림포스타트(LymphoStat-B), 맙테라(MabThera), 마이코그랩(Mycograb), 마일로타그(Mylotarg), 마이오신트(Myoscint), 뉴트로스펙(NeutroSpec), 누맥스(Numax), 누비온(Nuvion), 옴니타르그(Omnitarg), 옵디보(Opdivo), 오르토클론(Orthoclone) OKT3, 오바렉스(OvaRex), 파노렉스(Panorex), 프롤리아(Prolia), 프로스타신트(Prostascint), 랍티바(Raptiva), 레미케이드(Remicade), 레모밥(Removab), 렌카렉스(Rencarex), 레오프로(ReoPro), 렉소뮨(Rexomun), 리툭산Rituxan, 로악템라RoActemra, 신티문(Scintimun), 심포니(Simponi), 시뮬렉트(Simulect), 솔리리스(Soliris), 스텔라라(Stelara), 시나기스(Synagis), 텍트레스(Tactress), 테라심(Theracim), 테라긴(Theragyn), 테라록(Theraloc), 티사브리(Tysabri), 벡티빅스(Vectibix), 벨루마(Verluma), 졸레르(Xolair), 예르보이(Yervoy), 제나팍스(Zenapax) 및 제바린(Zevalin) 또는 이들의 조합.
알려진 단일클론 항체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3F8, 8H9, 아바고보맙(Abagovomab), 압식시맙(Abciximab), 아비투주맙(Abituzumab), 아브릴루맙(Abrilumab), 악톡수맙(Actoxumab), 아달리무맙(Adalimumab), 아데카투무맙(Adecatumumab), 아두카누맙(Aducanumab), 아파세비쿠맙(Afasevikumab), 아펠리모맙(Afelimomab), 아푸투주맙(Afutuzumab), 알라시주맙 페골(Alacizumab pegol), ALD518, ALD403,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아릴로쿠맙(Alirocumab), 알투모밥 펜테토산(Altumomab pentetate), 아마투시맙(Amatuximab), AMG334, 아난투모밥 마페나톡스(Anatumomab mafenatox), 아네투맙 라브탄신(Anetumab ravtansine), 아니프롤루맙(Anifrolumab), 안루킨주맙(Anrukinzumab), 아폴리주맙(Apolizumab), 아르시투모맙(Arcitumomab), 아스린바쿠맙(Ascrinvacumab), 아셀리주맙(Aselizumab),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아티누맙(Atinumab, 아틀리주맙(Atlizumab), 아토롤리무맙(Atorolimumab), 아벨루맙(Avelumab), 바피누주맙(Bapineuzumab), 바실릭시맙(Basiliximab), 바비툭시맙(Bavituximab), 벡투모맙(Bectumomab), 베겔로맙(Begelomab), 벨리무맙(Belimumab), 베네랄리주맙(Benralizumab), 베르틸리무맙(Bertilimumab), 베시레소맙(Besileso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벤즐로톡수맙(Bezlotoxumab), 비시로맙(Biciromab), 비마그루맙(Bimagrumab), 비베키주맙(Bimekizumab), 비바투주맙 메르탄신(Bivatuzumab mertansine), 블레셀루맙(Bleselumab), 블리나투모맙(Blinatumomab), 블론투베트맙(Blontuvetmab), 블로소주맙(Blosozumab), 보코시주맙(Bococizumab), 브라지쿠맙(Brazikumab), 브렌툭시맙 베도틴(Brentuximab vedotin), 브리아키누맙(Briakinumab), 브로달루맙(Brodalumab), 브롤루시주맙(Brolucizumab), 브론틱투주맙(brontictuzumab), 부로스맙(Burosumab), 카비랄리주맙(Cabiralizumab), 카나키누맙(Canakinumab), 칸투주맙 메르탄신(cantuzumab mertansine), 칸투주맙 라브탄신(cantuzumab ravtansine), 카플라시주맙(Caplacizumab), 카프로맙 펜데티드(Capromab pendetide), 카를루맙(Carlumab), 카로툭시맙(Carotuximab), 카투막소맙(Catumaxomab), cBR96-독소루비신 면역컨쥬게이트(cBR96-doxorubicin immunoconjugate), 세델리주맙(Cedelizumab), 세르구투주맙 아무날루킨(Cergutuzumab amunaleukin), 세르톨리주맙 페골(Certolizumab pegol), 세툭시맙(Cetuximab), 시타투주맙 보가톡스(Citatuzumab bogatox), 시수투무맙(Cixutumumab), 클라자키주맙(Clazakizumab), 클레놀릭시맙(Clenoliximab),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세탄(Clivatuzumab tetraxetan), 코드리투주맙(Codrituzumab), 콜툭시맙 라브탄신(coltuximab ravtansine), 코나투무맙(conatumumab), 콘시주맙(concizumab), CR6261, 크레네주맙(Crenezumab), 크로테두맙(Crotedumab), 다세투주맙(Dacetuzumab), 다클리주맙(Daclizumab), 달로투주맙(Dalotuzumab), 다피롤리주맙 페골(Dapirolizumab pegol), 다라투무맙(Daratumumab), 덱트레쿠맙(Dectrekumab), 뎀시주맙(Demcizumab), 데닌투주맙 마포도틴(Denintuzumab mafodotin), 데노수맙(Denosumab), 데파툭시주맙 마포도틴(Depatuxizumab mafodotin), 데를로툭시맙 비오틴(Derlotuximab biotin), 데투모밥(Detumomab), 디누툭시맙(Dinutuximab), 디리다부맙(Diridavumab), 도마그로주맙(Domagrozumab), 도리모맙 아리톡스(Dorlimomab aritox), 드로지투맙(Drozitumab), 둘리고투맙(Duligotumab), 두필루맙(Dupilumab), 두르발루맙(Durvalumab), 두시기투맙(Dusigitumab), 에크로멕시맙(Ecromeximab), 에쿨리주맙(Eculizumab), 에도바코맙(Edobacomab), 에드레콜로맙(Edrecolomab), 에팔리주맙(Efalizumab), 에푼구맙(Efungumab), 엘델루맙(Eldelumab), 엘젬투맙(Elgemtumab), 엘로투주맙(Elotuzumab), 엘실리모맙(Elsilimomab), 에막투주맙(Emactuzumab), 에미베투주맙(Emibetuzumab), 에미시주맙(Emicizumab), 에나바투주맙(Enavatuzumab), 엔포르투맙 베도틴(Enfortumab vedotin), 엔리모맙 페골(Enlimomab pegol), 에노블리투주맙(Enoblituzumab), 에노키주맙(Enokizumab), 에노티쿠맙(Enoticumab), 엔시투시맙(Ensituximab), 에피투모맙 시툭세탄(Epitumomab cituxetan), 에프라투주맙(Epratuzumab), 에렌누맙(Erenumab), 에를리주맙(Erlizumab), 에르투막소맙(Ertumaxomab), 에타라시주맙(Etaracizumab), 에트롤리주맙(Etrolizumab), 에미나쿠맙(Evinacumab), 에볼로쿠맙(Evolocumab), 엑스비비루맙(Exbivirumab), 파놀레소맙(Fanolesomab), 파랄리모맙(Faralimomab), 파를레투주맙(Farletuzumab), 파시누맙(Fasinumab), FBTA05, 펠비주맙(Felvizumab), 페자키누맙(Fezakinumab), 피바투주맙(Fibatuzumab), 피클라투주맙(Ficlatuzumab), 피기투무맙(Figitumumab), 피리부맙(Firivumab), 플란보투맙(Flanvotumab), 플레티쿠맙(Fletikumab), 폰톨리주맙(Fontolizumab), 포랄루맙(Foralumab), 포라비루맙(Foravirumab), 프레솔리무맙(Fresolimumab), 풀라누맙(Fulranumab), 퓨툭시맙(Futuximab), 갈카네주맙(Galcanezumab), 갈릭시맙(Galiximab), 가니투맙(Ganitumab), 간테네루맙(Gantenerumab), 가빌리모맙(Gavilimomab), 젬투주맙 오조가미신(Gemtuzumab ozogamicin), 게보키주맙(Gevokizumab), 기렌툭시맙(Girentuximab), 글렘바투무맙 베도틴(Glembatumumab vedotin), 골리무맙(Golimumab), 고밀릭시맙(Gomiliximab), 구셀쿠맙(Guselkumab), 이발리주맙(Ibalizumab),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Ibritumomab tiuxetan), 이크루쿠맙(Icrucumab), 이다루시주맙(Idarucizumab), 이고보맙(Igovomab), IMA-638, IMAB362, 이말루맙(Imalumab), 임시로맙(Imciromab), 임가투주맙(Imgatuzumab), 인클라쿠맙(Inclacumab), 인다툭시맙 라브탄신(Indatuximab ravtansine), 인투사투맙 베도틴(Indusatumab vedotin), 이네빌리주맙(Inebilizu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이놀리모맙(Inolimomab),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Inotuzumab ozogamicin), 인테투무맙(Intetumumab), 이필리무맙(Ipilimumab), 이라투무맙(Iratumumab), 이사툭시맙(Isatuximab), 이톨리주맙(Itolizumab), 익세키주맙(Ixekizumab), 켈릭시맙(Keliximab), 라베투주맙(Labetuzumab), 람브롤리주맙(Lambrolizumab), 람팔리주맙(Lampalizumab), 라나델루맙(Lanadelumab), 란도그로주맙(Landogrozumab), 라프리툭시맙 엠탄신(Laprituximab emtansine), LBR-101/PF0442g7429, 리브리키주맙(Lebrikizumab), 레말레소맙(Lemalesomab), 렌달리주맙(Lendalizumab), 렌질루맙(Lenzilumab), 레르델리무맙(Lerdelimumab), 렉사투무맙(Lexatumumab), 리비비루맙(Libivirumab), 리파스투주맙 베도틴(Lifastuzumab vedotin), 리겔리주맙(Ligelizumab), 릴로토맙 사테트락세탄(Lilotomab satetraxetan), 린투주맙(Lintuzumab), 리리루맙(Lirilumab), 로델시주맙(Lodelcizumab), 로키베트맙(Lokivetmab), 로르보투주맙 메르탄신(Lorvotuzumab mertansine), 루카투무맙(Lucatumumab), 룰리주맙 페골(Lulizumab pegol), 루밀릭시맙(Lumiliximab), 룸레투주맙(Lumretuzumab), LY2951742, 마파투무맙(Mapatumumab), 마르게툭시맙(Margetuximab), 마슬리모맙(Maslimomab), 마투주맙(Matuzumab), 마브릴리무맙(Mavrilimumab), 메폴리주맙(Mepolizumab), 메텔리무맙(Metelimumab), 밀라투주맙(Milatuzumab), 민레투모맙(Minretumomab), 미르베툭시맙 소라브탄신(Mirvetuximab soravtansine), 미투모맙(Mitumomab), 모가물리주맙(Mogamulizumab), 모날리주맙(Monalizumab), 모롤리무맙(Morolimumab), 모타비주맙(Motavizumab), 목세투모맙 파수도톡스(Moxetumomab pasudotox), 무로모나브(Muromonab)-CD3, 나콜로맙 타페나톡스(Nacolomab tafenatox), 나밀루맙(Namilumab), 나프투모맙 에스타페낱톡스(Naptumomab estafenatox), 나라툭시맙 엠탄신(Naratuximab emtansine), 나르나투맙(Narnatumab), 나탈리주맙(Natalizumab), 나비식시주맙(Navicixizumab), 나비부맙(Navivumab), 네바쿠맙(Nebacumab), 네시투무맙(Necitumumab), 네몰리주맙(Nemolizumab), 네렐리모맙(Nerelimomab), 네스바쿠맙(Nesvacumab), 니모투주맙(Nimotuzumab), 니볼루맙(Nivolumab), 노페투모맙 메르펜탄(Nofetumomab merpentan), 오빌톡사시맙(Obiltoxaximab), 이비누투주맙(Obinutuzumab), 오카라투주맙(Ocaratuzumab), 오클레리주맙(Ocrelizumab), 오둘리모맙(Odulimo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올라라투맙(Olaratumab), 올로키주맙(Olokizumab), 오말리주맙(Omalizumab), 오나르투주맙(Onartuzumab), 온툭시주맙(Ontuxizumab), 오피시누맙(Opicinumab), 오포르투주맙 모나톡스(Oportuzumab monatox), 오레고보맙(Oregovomab), 오르티쿠맙(Orticumab), 오텔릭시주맙(Otelixizumab), 오틀레르투주맙(Otlertuzumab), 옥셀루맙(Oxelumab), 오자네주맙(Ozanezumab), 오졸랄리주맙(Ozoralizumab), 파기박시맙(Pagibaximab), 팔리비주맙(Palivizumab), 팜레블루맙(Pamrevlumab), 파니투무맙(Panitumumab), 판코맙(Pankomab), 파노바쿠맙(Panobacumab), 파르사투주맙(Parsatuzumab), 파스콜리주맙(Pascolizumab), 파소툭시주맙(Pasotuxizumab), 파테클리주맙(Pateclizumab), 파트리투맙(Patritumab),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펨투모맙(Pemtumomab), 페라키주맙(Perakizumab), 페르투주맙(Pertuzumab), 펙셀리주맙(Pexelizumab), 피딜리주맙(Pidilizumab), 피나투주맙 베도틴(Pinatuzumab vedotin), 핀투모맙(Pintumomab), 플라쿨루맙(Placulumab), 플로잘리주맙(Plozalizumab), 포칼리주맙(Pogalizumab), 폴라투주맙 베도틴(Polatuzumab vedotin), 포네주맙(Ponezumab), 프레잘리주맙(Prezalizumab), 프릴릭시맙(Priliximab), 프리톡사시맙(Pritoxaximab), 프리투무맙(Pritumumab), PRO 140, 퀼리주맙(Quilizumab), 라코투모맙(Racotumomab), 라드레투맙(Radretumab), 라피비루맙(Rafivirumab), 랄판시주맙(Ralpancizumab), 라무시루맙(Ramucir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락식바쿠맙(Raxibacumab), 레파네주맙(Refanezumab), 레가비루맙(Regavirumab), 레슬리주맙(Reslizumab), 릴로투무맙(Rilotumumab), 리누쿠맙(Rinucumab), 리산키주맙(Risankizumab), 리툭시맙(Rituximab), 리바바주맙 페골(Rivabazumab pegol), 로바투무맙(Robatumumab), 롤레두맙(Roledumab), 로모소주맙(Romosozumab), 론탈리주맙(Rontalizumab), 로발피투주맙 테시린(Rovalpituzumab tesirine), 로벨리주맙(Rovelizumab), 루필주맙(Ruplizumab), 사시투주맙 고비테칸(Sacituzumab govitecan), 사말리주맙(Samalizumab), 사펠리주맙(Sapelizumab), 사릴루맙(Sarilumab), 사투모맙 펜데티드(Satumomab pendetide), 세쿠키누맙(Secukinumab), 세리반투맙(Seribantumab), 세톡사시맙(Setoxaximab), 세비루맙(Sevirumab), SGN-CD19A, SGN-CD33A, 시브로투주맙(Sibrotuzumab), 시팔리무맙(Sifalimumab), 실툭시맙(Siltuximab), 심투주맙(Simtuzumab), 시플리주맙(Siplizumab), 시루쿠맙(Sirukumab), 소피투주맙 베도틴(Sofituzumab vedotin), 솔라네주맙(Solanezumab), 솔리토맙(Solitomab), 소네프시주맙(Sonepcizumab), 손투주맙(Sontuzumab), 스타물루맙(Stamulumab), 술레소맙(Sulesomab), 수비주맙(Suvizumab), 타발루맙(Tabalumab), 타카투주맙 테트락세탄(Tacatuzumab tetraxetan), 타도시주맙(Tadocizumab), 탈리주맙(Talizumab), 탐투베트맙(Tamtuvetmab), 타네주맙(Tanezumab), 타플리투모맙 파프톡스(Taplitumomab paptox), 타렉스투맙(Tarextumab), 페피바주맙(Tefibazumab), 텔리모맙 아리톡스(Telimomab aritox), 테나투모맙(Tenatumomab), 테넬릭시맙(Teneliximab), 테플리주맙(Teplizumab), 테프로투무맙(Teprotumumab), 테시돌루맙(Tesidolumab), 테툴로맙(Tetulomab), 테제펠루맙(Tezepelumab), TGN1412, 티실리무맙(Ticilimumab), 티가투주맙(Tigatuzumab), 틸드라키주맙(Tildrakizumab), 티몰루맙(Timolumab), 티소투맙 베도틴(Tisotumab vedotin), TNX-650, 토실리주맙(Tocilizumab), 토랄리주맙(Toralizumab), 토사톡수맙(Tosatoxumab), 토시투모맙(Tositumomab), 토베투맙(Tovetumab), 트랄로키누맙(Tralokinuma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트라스투주맙 엠탄신(Trastuzumab emtansine), TRBS07, 트레칼리주맙(Tregaliz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트레보그루맙(Trevogrumab), 투쿠투주맙 셀몰레우킨(Tucotuzumab celmoleukin), 투비루맙(Tuvirumab), 우블리툭시맙(Ublituximab), 울로쿠플루맙(Ulocuplumab), 우렐루맙(Urelumab), 우르톡사주맙(Urtoxazumab),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우토밀루맙(Utomilumab), 바다스툭시맙 탈리린(Vadastuximab talirine), 반도르투주맙 베도틴(Vandortuzumab vedotin), 반틱투맙(Vantictumab), 바누시주맙(Vanucizumab), 바팔릭시맙(Vapaliximab), 바릴루맙(Varlilumab), 바텔리주맙(Vatelizumab), 베돌리주맙(Vedolizumab), 벨투주맙(Veltuzumab), 베팔리모맙(Vepalimomab), 베센쿠맙(Vesencumab), 비실리주맙(Visilizumab), 보발리리주맙(Vobarilizumab), 볼로식시맙(Volociximab), 보르세투주맙 마포도틴(Vorsetuzumab mafodotin), 보투무맙(Votumumab), 젠투주맙(Xentuzumab), 잘루투무맙(Zalutumumab), 자놀리무맙(Zanolimumab), 자툭시맙(Zatuximab), 지랄리무맙(Ziralimumab), 및 졸리모맙 아리톡스(Zolimomab aritox) 또는 이들의 조합.
바이러스성 질병을 위해 개발된 백신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형 간염 백신, B형 간염 백신, E형 간염 백신, HPV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일본뇌염 백신, MMR 백신, MMRV 백신, 소아마비 백신, 광견병 백신, 로타바이러스 백신, 수두 백신, 대상포진 백신, 천연두 백신, 황열병 백신, 아데노바이러스 백신, 콕사키 B 바이러스 백신,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백신, 인간용 뎅기열 백신, 인간용 동부 말 뇌염 바이러스 백신, 에볼라 백신, 엔테로바이러스 71 백신, 엡스타인-바 백신, C형 간염 백신, HIV 백신, 인간용 HTLV-1 T-림프성 백혈병 백신,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질병 백신, 노로바이러스 백신, 인간용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백신,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백신, 인간용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백신; 세균성 질병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탄저병 백신, DPT 백신, Q열 백신, Hib 백신, 결핵(BCG) 백신, 수막구균 백신, 장티푸스 백신, 폐렴구균 결합백신, 폐렴구균 다당 백신, 콜레라 백신, 우식증 백신, 에를리히증 백신, 나병 백신, 라임병 백신, 포도상구균 아우레우스 백신, 화농연쇄구균 백신, 매독 백신, 야토병 백신, 페스트균 백신; 기생충 질환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말라리아 백신, 주혈흡충증 백신, 샤가스병 백신, 구충 백신, 인간용 회선사상충증 하천 실명증 백신(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vaccine for humans), 트리파노소마증 백신, 내장 리슈만편모충증 백신; 비감염성 질병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 단백질 백신, 유방암 백신, 난소암 백신, 전립선암 백신, T-VEC(Talimogene laherparepvec); 또한 다음 상품명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백신: ACAM2000, ActHIB, Adacel, Afluria, AFLURIA QUADRIVALENT, Agriflu, BCG Vaccine, BEXSERO, Biothrax, Boostrix, Cervarix, Comvax, DAPTACEL, DECAVAC, Engerix-B, FLUAD, Fluarix, Fluarix Quadrivalent, Flublok, Flucelvax, Flucelvax Quadrivalent, FluLaval, FluMist, FluMist Quadrivalent, Fluvirin, Fluzone Quadrivalent, Fluzone, Fluzone High-Dose and Fluzone Intradermal, Gardasil, Gardasil 9, Havrix, Hiberix, Imovax, Infanrix, IPOL, Ixiaro, JE-Vax, KINRIX, Menactra, MenHibrix, Menomune-A/C/Y/W-135, Menveo, M-M-R II, M-M-Vax, Pediarix, PedvaxHIB, Pentacel, Pneumovax 23, Poliovax, Prevnar, Prevnar 13, ProQuad, Quadracel, Quadrivalent, RabAvert, Recombivax HB, ROTARIX, RotaTeq, TENIVAC, TICE BCG, Tripedia, TRUMENBA, Twinrix, TYPHIM Vi, VAQTA, Varivax, Vaxchora, Vivotif, YF-Vax, Zostavax 및 이들의 조합.
주사 가능한 약물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블라바르(Ablavar) (가도포스베세트 삼나트륨주사제), 알바렐릭스 데포, 아보보툴리늄톡신 A 주사제, ABT-263, ABT-869, ABX-EFG, 악세레트로핀(소마트로핀 주사제), 아세타도트(아세틸시스테인 주사제), 아세타졸아미드 주사제 (아세타졸아미드 주사제), 아세틸시스테인 주사제(아세타도트), 악템라(토실리주맙 주사세), 악트렐(주사용 코르티코렐린 오빈트리플루테이트), 악툼뮨(Actummune), 악티바제, 주사용 아시클로버(조비락스 주사제), 아다셀, 아달리무맙, 아데노스칸(아데노신 주사제), 아데노신 주사제(아데노스칸), 아드레나클릭, 아드레뷰 (정맥내용 이오벤구안 1123 주사제), 아플루리아, Ak-플루오르(플루오레세인 주사제), 알듀라자임(라로니다제), 알글루세라제 주사제(세레다제), 알케란 주사세(멜팔란 HCl 주사제), 주사용 알로퓨리놀 나트륨(알로프림), 알로프림(주사용 알로퓨리놀 나트륨), 알프로스타딜, 알슈마(슈마트립탄 주사제), ALTU-238, 아미노산 주사제, 아미노신, 아피드라, 아프레밀라스트, 주사용 알프로스타딜 이중 챔버 시스템(카베르젝트 임펄스), AMG 009, AMG 076, AMG 102, AMG 108, AMG 114, AMG 162, AMG 220, AMG 221, AMG 222, AMG 223, AMG 317, AMG 379, AMG 386, AMG 403, AMG 477, AMG 479, AMG 517, AMG 531, AMG 557, AMG 623, AMG 655, AMG 706, AMG 714, AMG 745, AMG 785, AMG 811, AMG 827, AMG 837, AMG 853, AMG 951, 아미오다론 HCl 주사제(아미오다론 HCl 주사제), 아모바르비탈 나트륨 주사제(아미탈 나트륨), 아미탈 나트륨(아모바르비탈 나트륨 주사제), 아나킨라, 안티-A베타, 안티-베타7, 안티-베타20, 안티-CD4, 안티-CD20, 안티-CD40, 안티-IFN알파, 안티 -IL13, 안티-OX40L, 안티-oxLDS, 안티-NGF, 안티-NRP1, 아릭스트라, 암파다제(히알루로니다제 주사제), 암모뉼(페닐아세트산나트륨 및 벤조산나트륨 주사제), 아나프록스, 안제메트 주사제(돌라세트론 메실레이트 주사제), 아피드라(인슐린 글루리신[rDNA근원] 주사제), 아포맙, 아라네스프(다르베포에틴 알파), 아르가트로반(아르가트로반 주사제), 아르기닌 염산염 주사제(R-진(Gene) 10), 아리스토코트, 아리스토스판, 삼산화비소 주사제(트리세녹스), 아르티칸 HCl 및 에피네프린 주사제(셉토카인), 아르제라(오파투무맙 주사제), 아스클레라(폴리도칸올 주사제), 아탈루렌, 아탈루렌-DMD, 아테놀롤 주사제(테노르민 정맥내 주사제), 아트라큐리움 베실레이트 주사제(아트라큐리움 베실레이트 주사제), 아바스틴, 아작탐 주사제(아즈트레오남 주사제), 아지트로마이신(지트로막스 주사제), 아즈트레오남 주사제(아작탐 주사제), 박클로펜 주사제(리오레살 척수강내), 정균수(주사용 정균수), 박클로펜주사제(리오레살 척수강내), 발 인 오일(Bal in Oil) 앰플(디메르카르프롤 주사제), BayHepB, BayTet,베나드릴, 벤다무스틴 염산염 주사제(트린다), 벤즈트로핀 메실산염 주사제(코겐틴), 베타메타손 주사용 현탁액(셀레스톤 솔루스판), 벡사르, 바이실린 C-R 900/300(페니실린 G 벤자틴 및 페니실린 G 프로카인 주사제), 블레녹산(블레오마이신 황산염 주사제), 블레오마이신 황산염 주사제(블레녹산), 보니바 주사제(이반드로네이트 나트륨 주사제), 보톡스 코스메틱(주사용 오나보툴리늄톡신A), BR3-FC, 브라벨(유로폴리트로핀 주사제), 브레틸리움(브레틸리움 토실레이트 주사제), 브레비탈 나트륨(주사용 메토헥시탈 나트륨), 브레틴, 브리오바셉트, BTT-1023, 부피바카인 HCl, 바이에타, Ca-DTPA(펜테테이트 칼슘 삼나트륨 주사제), 카바지탁셀 주사제(제브타나), 카페인 알칼로이드(카페인 및 벤조산나트륨 주사제), 칼시젝스 주사제(칼시트롤), 칼시트롤(칼시젝스 주사제), 염화칼슘(염화칼슘 주사제 10%), 칼슘 이나트륨 베세네이트(에데테이트 칼슘 이나트륨 주사제), 캄파스(알템투주맙), 캄프토사르 주사제(이리노테칸 염산염), 카나키누맙 주사제(일라리스), 카파스타트 황산염(주사용 카프레오마이신), 주사용 카프레오마이신(카파스타트 황산염), 카르디오라이트(주사용 테크네튬 Tc99 세스타미비용 프렙 키트), 카르티셀, 카트플로, 주사용 세파졸린 및 덱스트로스(세파졸린 주사제), 세페핌 염산염,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세레자임, 카르니토르 주사제, 카베르젝트, 셀레스톤 솔루스판, 셀시오르, 세레빅스(포스페니토인 나트륨 주사제), 세레다제(알글루세라제 주사제), 세레텍(테크네튬 Tc99m 엑사메타짐 주사제), 세르톨리주맙, CF-101, 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 주사제), 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 주사제(클로람페니콜 나트륨 숙시네이트), 콜레스타겔(콜레세벨람 HCL), 코리오고나도트로핀 알파 주사제(오비드렐), 심지아, 시스플라틴(시스플라틴 주사제), 클로라르(클로파라빈 주사제), 클로미핀 시트레이트, 클로니딘 주사제(듀라클론), 코겐틴(벤즈트로핀 메실레이트 주사제), 콜리스티메테이트 주사제(콜리-마이신 M), 콜리-마이신 M(콜리스티메테이트 주사제), 콤파스, 코니밥탄 HCl 주사제(바프리솔), 주사용 접합 에스트로겐(프레마린 주사제), 코팍손, 주사용 코티코렐린 오바인 트리플루테이트(악트렐), 코버트(이부틸라이드 푸마레이트 주사제), 쿠비신(답토마이신 주사제), CF-101, 사이아노키트(주사용 하이드록소코발라민), 사이타라빈 리포좀 주사세(데포사이트), 사이아노코발라민, 사이토벤(간시클로버), D.H.E. 45, 다세투주맙, 다코겐(데시타빈 주사제), 달테파린, 단트리움 정맥내용(주사용 단트롤렌 나트륨), 주사용 단트롤렌 나트륨(단트리움 정맥내용), 답토마이신 주사제(쿠비신), 다르베포이에틴 알파, DDAVP 주사제(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주사제), 데카박스, 데시타빈 주사제(다코겐), 무수 알코올(무수 알코올 주사제), 데노수맙 주사제(프롤리아), 델라테스트릴, 델레스트로겐, 델테파린 나트륨, 데파콘(발프로에이트 나트륨 주사제), 데포 메드롤(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주사용 현탁액), 데포사이트(사이타라빈 리포솜 주사제), 데포두르(황산몰핀 XR 리포솜 주사제),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주사제(DDAVP 주사제), 데포-에스트라디올, 데포-프로베라 104 mg/mL, 데포-프로베라 150 mg/mL, 데포-테스토스테론, 주사용 덱스라족산, 정맥내 주사 전용(토텍트), 덱스트로스/전해질,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제(0.9% 염화나트륨 중의 덱스트로스 5%), 덱스트로스, 디아제팜 주사제(디아제팜 주사제), 디곡신 주사제(라녹신 주사제), 디라우디드-HP(하이드로몰폰 염산염 주사제), 디머카프롤 주사제(발 인 오일 앰플), 디펜하이드라민 주사제(베나드릴 주사제), 디피리다몰 주사제(디피리다몰 주사제), DMOAD, 주사용 도세탁셀(탁소텔), 돌라세트론 메실레이트 주사제(안제메트 주사제), 도리박스(주사용 도리페넴), 주사용 도리페넴(도리박스), 독세르칼시페롤 주사제(헥토롤 주사제), 독실(독소루비신 HCl 리포좀 주사제), 독소루비신 HCl 리포좀 주사제(독실), 둘라클론(클로니딘 주사제), 두라몰프(몰핀 주사제), 디스포트(아보보툴리눔톡신 A 주사제), 에칼란타이드 주사제(칼비토르), EC-나프로신(나프록센), 에데테이트 칼슘 이나트륨 주사제(칼슘 이나트륨 베세네이트), 에덱스(주사용 알프로스타딜), 엔제릭스, 에드로포늄 주사제(엔론), 엘리글루스타트 타르테이트, 엘록사틴(옥살리플라틴 주사제), 에멘드 주사제(포사프레피탄트 디메글루민 주사제), 에날라프릴라트 주사제(에날라프릴라트 주사제), 엔론(에드로포늄 주사제), 에녹사파린 나트륨 주사제(로베녹스), 에오비스트(가독세테이트 이나트륨 주사제), 엔브렐(에타네르셉트), 에녹사파린, 에피셀, 에피네페린, 에피펜, 에피펜 Jr., 에프라투주맙, 에르비툭스, 에르타페넴 주사제(인반즈), 에리트로포이에텐, 필수 아미노산 주사제(네프라민), 에스트라디올 시피오네이트, 에스트라디올 발레레이트, 에타네르셉트, 엑세나타이드 주사제(바이에타), 에볼트라, 파브라자임(아달시다제 베타), 파모티딘 주사제, FDG(플루데옥시글루코스 F 18 주사제), 페라헴(페루목시톨 주사제), 페리덱스 정맥내용(페루목시드 주사용 용액), 페르티넥스, 페루목시데스 주사용 용액(페리덱스 정맥내용), 페루목시톨 주사제(페라헴), 플라길 주사제(메트로니다졸 주사제), 플루아릭스, 플루다라(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플루데옥시글루코스 F 18 주사제(FDG), 플루오레세인 주사제(Ak-플루오르), 폴리스팀 AQ 카트리지(폴리트로핀 베타 주사제), 폴리트로핀 알파 주사제(고날-fRFF), 폴리트로핀 베타 주사제(폴리스팀 AQ 카트리지), 폴로틴(정맥내 주사용 프랄라트렉세이트 용액), 폰다파리눅스, 포르테오(테리파라티드(rDNA 근원) 주사제), 포스타마티닙, 포사프레피탄트 디메글루민 주사제(에멘드 주사제), 포스카네트 나트륨 주사제(포스카버), 포스카버(포스카네트나트륨 주사제), 포스페니토인 나트륨 주사제(세레빅스), 포스프로포폴 이나트륨 주사제(루세드라), 프라그민, 푸제온(엔푸버타이드), GA101, 가도베네이트 디메글루민 주사제(멀티한스), 가도포스베세트 삼나트륨 주사제(아블라바르), 가도테리돌 주사 용액(프로한스), 가도베르세타미드 주사제(옵티마크), 가독세테이트 이나트륨 주사제(에오비스트), 가니렐릭스(가니렐릭스 아세테이트 주사제), 가다실, GC1008, GDFD, 주사용 겜투주맙 오조가미신(마일로타르그), 게노트로핀, 겐타마이신 주사제, GENZ-112638, 골리무맙 주사제(심포니 주사제), 고날-fRFF(폴리트로핀 알파 주사제), 그라니세트론 염산염(키트릴 주사제), 겐타마이신 황산염, 글라티라메르 아세테이트, 글루카겐, 글루카곤, HAE1, 할돌(할로페리돌 주사제), 하브릭스, 헥토롤 주사제(독세칼시페롤 주사제), 헤지호그 경로 저해제, 헤파린, 허셉틴, hG-CSF, 휴마로그, 인간 성장 호르몬, 휴마트로프, 휴맥스, 휴메곤, 휴미라, 휴물린, 이반드로네이트 나트륨 주사제(보니바 주사제), 이부프로펜 리신 주사제(네오프로펜), 이부틸리드 푸마레이트 주사제(코르베르트), 이다마이신 PFS(이다루비신 염산염 주사제), 이다루비신 염산염 주사제(이다마이신 PFS), 일라리스(카나키누맙 주사제), 주사용 이미페넴 및 실라스타틴(프리막신 정맥내용), 이미트렉스, 주사용 인코부툴리늄톡신 A(제오민), 인크렐렉스(메카세르민[rDNA 근원] 주사제), 인도신 정맥내용(인도메타신 주사제), 인도메타신 주사제(인도신 정맥내용), 인판릭스, 인노헵, 인슐린, 인슐린 아스파르트[rDNA 근원] 주사제(노보로그), 인슐린 글라긴[rDNA 근원] 주사제(란투스), 인슐린 글루리신[rDNA 근원] 주사제(아피드라), 인터페론 알파-2b, 주사용 재조합체(인트론 A), 인트론 A(인터페론 알파-2b, 주사용 재조합체), 인반즈(에르타페넴 주사제), 인베가 서스텐나(팔리페리돈 팔미테이트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 인비라제(사퀴나버 메실레이트), 정맥내용 이오벤구안 1123 주사제(아드레뷰), 이오프로마이드 주사제(울트라비스트), 이오베르솔 주사제(옵티레이 주사제), 이플렉스(메카세르민 린파베이트[rDNA 근원] 주사제), 이프리바스크, 이리노테칸 염산염(캄토사르 주사제), 철 수크로스 주사제(베노페르), 이스토닥스(주사용 로미뎁신), 이트라코나졸 주사제(스포라녹스 주사제), 제브타나(카바지탁셀 주사제), 조넥사, 칼비토르(에칼란타이드 주사제), D5NS(5%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제 중의 염화칼륨) 중의 KCL, D5W 중의 KCL, NS 중의 KCL, 케날로그 10 주사제(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주사용 현탁액), 케피반스(팔리페르민), 케프라 주사제(레베티르아세탐), 케라틴세포, KFG, 키나아제 저해제, 키네레트(아나킨라), 킨리틱(유로키나아제 주사제), 킨릭스, 클로노핀(클로나제팜), 키트릴 주사제(그라니세트론 염산염), 라코사미드 정제 및 주사제(빔파트), 젖산 링거, 라녹신 주사제(디곡신 주사제), 주사용 란소프라졸(프레바시드 정맥내용), 란투스, 류코보린 칼슘(류코보린 칼슘 주사제), 렌트(L), 렙틴, 레베미르, 류카인 사르그라모스팀,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레보티록신, 레베티라세탐(케프라 주사제), 로베녹스, 레보카니틴 주사제(카르니토르 주사제), 레시스칸(레가데노손 주사제), 리오레살 척수강내용(바클로펜 주사제), 리라글루타이드[rDNA] 주사제(빅토자), 로베녹스(에녹사파린 나트륨 주사제), 루센티스(라니비주맙 주사제), 루미자임, 루프론(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주사제), 루세드라(포스프로포폴 이나트륨 주사제), 마시, 황산마그네슘(황산마그네슘 주사제), 만니톨 주사제(만니톨 정맥내용), 마르카인(부피바카인 염산염 및 에피네프린 주사제), 막시핌(주사용 세페핌 염산염), 테크네튬 주사제(테크네튬 Tc99m 메드로네이트 주사제)의 MDP 다회용량 키트, 메카세르민[rDNA 근원] 주사제(인크렐렉스), 메카세르민 린파베이트[rDNA 근원] 주사제(이플렉스), 멜팔란 HCl 주사제(알케란 주사제), 메토트렉세이트, 메낙트라, 메노푸르(메노트로핀 주사제), 주사용 메노트로핀(레프로넥스), 주사용 메토헥시탈 나트륨(브레비탈 나트륨), 메틸도페이트 염산염 주사제, 용액(메틸도페이트 HCl), 메틸렌 블루(메틸렌 블루 주사제),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주사용 현탁액(데포 메드롤), 메트맙, 메토클로프라미드 주사제(레글란 주사제), 메트로딘(주사용 유로폴리트로핀), 메트로니다졸 주사제(플라길 주사제), 미아칼신, 미다졸람(미다졸람 주사제), 밈파라(시나칼렛), 미노신 주사제(미노사이클린 주사제), 미노사이클린 주사제(미노신 주사제), 미포메르센, 주사용 미톡산트론 농축물(노반트론), 몰핀 주사제(듀라몰프), 몰핀 황산염 XR 리포솜 주사제(데포듀르), 모루에이트 나트륨(모루에이트 나트륨 주사제), 모테사닙, 모조빌(플레릭사포르 주사제), 멀티한스(가도베네이트 디메글루민 주사제), 다중 전해질 및 덱스트로스 주사제, 다중 전해질 주사제, 마일로타그(주사용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미오자임(알글루코시다제 알파), 나프실린 주사제(나프실린 나트륨), 나프실린 나트륨(나프실린 주사제), 날트렉손 XR 주사제(비비트롤), 나프로신(나프록센), 네오프로펜(이부프로펜 리신 주사제), 난드롤 데카노에이트, 네오스티그민 메틸설페이트(네오스티그민 메틸설페이트 주사제), NEO-GAA, 네오텍트(테크네튬 Tc 99m 데프레오타이드 주사제), 네프라민(필수 아미노산 주사제), 눌라스타(페그필그라스팀), 뉴포겐(필그라스팀), 노볼린, 노볼로그, 네오레코르몬, 뉴트렉신(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 주사제), NPH(N), 넥스테론(아미오다론 HCl 주사제), 노르디트로핀(소마트로핀 주사제), 생리 식염수(염화나트륨 주사제), 노반트론(주사용 미톡크산트론 농축액), 노볼린 70/30 이노레트(70% NPH, 인간 인슐린 이소판 현탁액 및 30% 레귤러, 인간 인슐린 주사제), 노볼로그(인슐린 아스파르트[rDNA 근원] 주사제), N플레이트(로미플로스팀), 뉴트로핀(주사용 소마트로핀(rDNA 근원)), 뉴트로핀 AQ, 뉴트로핀 데포(주사용 소마트로핀(rDNA 근원)), 옥트레오타이드 아세테이트 주사제(산도스타틴 LAR), 오클렐리주맙, 오파투무맙 주사제(아젤라), 올란자핀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자이프렉사 렐프렙), 옴니타르그, 옴니트로프(소마트로핀[rDNA 근원] 주사제), 온단세트론 염산염 주사제(조프란 주사제), 옵티마크(가도베르세타마이드 주사제), 옵티레이 주사제(이오베르솔 주사제), 오렌시아, 아비바 중의 오스미트롤 주사제(아비바 플라스틱 용기 250 중의 만니톨 주사제), 비아플렉스 중의 오스미트롤 주사제(바이아플렉스 플라스틱 용기 250 중의 만니톨 주사제), 오스테오프 로테그린, 오비드렐(코리오고나도트로핀 알파 주사제), 옥사실린(주사용 옥사실린), 옥살리플라틴 주사제(엘록사틴), 옥시토신 주사제(피토신), 팔리페리돈 팔미테이트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인베가 서스테나), 파미드로네이트 이나트륨 주사제(파미드로네이트 이나트륨 주사제), 정맥내용 파니투무맙 주사제(벡티빅스), 파파베린 염산염 주사제(파파베린 주사제), 파파베린 주사제(파파베린 염산염 주사제), 부갑상선 호르몬, 파리칼시톨 주사제 플립톱 바이알(젬플라르 주사제), PARP 저해제, 페디아릭스, PEG인트론, 페그인터페론, 페그필그라스팀, 페니실린 G 벤자틴 및 페니실린 G 프로카인, 펜테테이트 칼슘 삼나트륨 주사제(Ca-DTPA), 펜테테이트 아연 삼나트륨 주사제(Zn-DTPA), 펩시드 주사제(파모티딘 주사제), 페르고날, 페르투주맙, 펜톨라민 메실레이트(주사용 펜톨라민 메실레이트), 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주사제)), 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주사용)(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 피페라실린 및 타조박탐 주사제(조신), 피토신(옥시토신 주사제), 플라즈마-라이트 148(다중 전해질 주사제), 플라즈마-라이트 56 및 덱스트로스(바이아플렉스 플라스틱 용기 250 중의 다중 전해질 및 덱스트로스), 플라즈마라이트, 플레릭사포르 주사제(모조빌), 폴리도칸올 주사제(아스클레라), 염화칼륨, 정맥내 주사용 프랄라트렉세이트 용액(폴로틴), 프람린타이드 아세테이트 주사제(심린), 프레마린 주사제(주사용 접합 에스트로겐) 주사용 테크네튬 Tc99 세스타미비(카르디올라이트)용 프렙 키트, 프레바시드 정맥내용(주사용 란소프라졸), 프리막신 정맥내용(주사용 이미페넴 및 실라스타틴), 프로키말, 프로크리트, 프로게스테론, 프로한스(가도테리돌 주사 용액), 프롤리아(데노수맙 주사제), 프로메타진 HCl 주사제(프로메타진 염산염 주사제), 프로프라놀롤 염산염 주사제(프로프라놀롤 염산염 주사제), 퀴니딘 글루코네이트 주사제(퀴니딘 주사제), 퀴니딘 주사제(퀴니딘 글루코네이트 주사제), R-진 10(아르기닌 염산염 주사제), 라니비주맙 주사제(루센티스), 라니티딘 염산염 주사제(잔탁 주사제), 랍티바, 레클라스트(졸레드론산 주사제), 레콤비바릭스 HB, 레가데노손 주사제(렉시스칸), 레글란 주사제(메토클로프라미드 주사제), 레미케이드, 레나겔, 렌벨라(세벨라메르 카보네이트), 레프로넥스(주사용 메노트로핀), 레트로버 정맥내용(지도부딘 주사제), rhApo2L/TRAIL, 링거 및 5% 덱스트로스 주사제(덱스트로스 중의 링거), 링거 주사제(링거 주사제), 리툭산, 리툭시맙, 로세핀(세프트리악손), 로쿠로늄 브로마이드 주사제(제무론), 로페론-A(인터페론 알파-2a), 로마지콘(플루마제닐), 주사용 로미뎁신(이스토닥스), 사이젠(소마트로핀 주사제), 산도스타틴 LAR(옥트레오티드 아세테이트 주사제), 스컬로스틴 Ab, 센시파르(시나칼세트), 센소르카인(부피바카인 HCl 주사제), 셉토카인(아티카인 HCl 및 에피네프린 주사제), 세로스팀 LQ(소마트로핀(rDNA 근원) 주사제), 심포니 주사제(골리무맙 주사제),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나트륨 주사제), 중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 5% 주사제), 락트산나트륨(아비바 중의 락트산나트륨 주사제), 페닐아세트산나트륨 및 벤조산나트륨 주사제(암모눌), 주사용 소마트로핀(rDNA 근원)(뉴트로핀), 스포라녹스 주사제(이트라코나졸 주사제), 스텔라라 주사제(유스테키누맙), 스템겐, 수펜타(수펜타닐 시트레이트 주사제), 수펜타닐 시트레이트 주사제(수펜타), 수마벨, 수마트립탄 주사제(알수마), 심린, 심린 펜, 전신 헤지호그 길항제, 신비스크-원(하일란 G-F 20 단일 관절내 주사제), 타르세바, 탁소테레(주사용 도세탁셀), 테크네튬 Tc 99m, 주사용 텔라반신(비바티브), 템시롤리무스 주사제(토리셀), 테노르민 정맥내 주사제(아테놀롤 주사제), 테리파라티드(rDNA 근원) 주사제(포르테오), 테스토스테론 시피오네이트, 테스토스테론 에난테이트,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테브-트로핀(소마트로핀, rDNA 근원, 주사용) tgAAC94, 염화탈로우스, 테오필린, 티오테파(티오테파 주사제), 티모글로불린(항-티모사이트 글로불린(토끼)), 티로겐(주사용 티로트로핀 알파), 티카르실린 이나트륨 및 크라불라네이트 칼륨 갤럭시(티멘틴 주사제), 티간 주사제(주사용 트리메토벤즈아미드 염산염), 티멘틴 주사제(티카르실린 이나트륨 및 클라불라네이트 칼륨 갤럭시), TNK아제, 토브라마이신 주사제(토브라마이신 주사제), 토실리주맙 주사제(악템라), 토리셀(템시롤리무스 주사제), 토텍트(주사용 덱스라족산, 정맥내 주사 전용), 트라스투주맙-DM1, 트라바솔(아미노산(주사제)), 트레안다(벤다무스틴 염산염 주사제), 트렐스타르(주사용 현탁액용 트립토렐린 파모에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트리암시놀론 디아세테이트, 트리암시놀론 헥사세토니드 주사용 현탁액(아리스토스판 주사제 20 mg), 트리에센스(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주사용 현탁액), 주사용 트리메토벤즈아미드 염산염(티간 주사제), 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 주사제(뉴트렉신), 주사용 현탁액용 트립토렐린 파모에이트(트렐스타), 트윈젝트, 트리바리스(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주사용 현탁액), 트리세녹스(삼산화비소 주사제), 트윈릭스, 팁호이드 Vi, 울트라비스트(이오프로마이드 주사제), 주사용 유로폴리트로핀(메트로딘), 유로키나아제 주사제(킨리틱), 유스테키누맙(스텔라라 주사제) 울트라렌트(U), 발륨(디아제팜), 발프로네이트 나트륨 주사제(데파콘), 발트로핀(소마트로핀 주사제), 반코마이신 염산염(반코마이신 염산염 주사제), 반코마이신 염산염 주사제(반코마이신 염산염), 바프리솔(코니밥탄 HCl 주사제) VAQTA, 바소비스트(정맥내용 가도포스베세트 삼나트륨 주사제), 벡티빅스(정맥내용 파니투무맙 주사제), 베노페르(철 수크로스 주사제), 베르네포르핀 주사제(비수다인), 비바티브(주사용 텔라반신), 빅토자(리라글루타이드[rDNA] 주사제), 빔파트(라코사미드 정제 및 주사제), 빈블라스틴 황산염(빈블라스틴 황산염 주사제), 빈카사르 PFS(빈크리스틴 황산염 주사제), 빅토자, 빈크리스틴 황산염(빈크리스틴 황산염 주사제), 비수다인(베르테포르핀 주사제), 비타민 B-12, 비비트롤(날트렉손 XR 주사제), 볼루벤(염화나트륨 주사제 중의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젤로다, 제니칼(오를리스타트), 제오민(주사용 인코보툴리늄톡신 A), 졸레어, 잔탁 주사제(라니티딘 염산염 주사제), 젬플라 주사제(파리칼시톨 주사제 플립톱 바이알), 제무론(로쿠로늄 브로마이드 주사제), 제나팍스(다클리주맙), 제발린, 지도부딘 주사제(레트로버 정맥내용), 지트로막스 주사제(아지트로마이신), Zn-DTPA(펜테테이트 아연 삼나트륨 주사제), 조프란 주사제(온단세트론 염산염 주사제), 징고, 주사용 졸레드론산(조메타), 졸레드론산 주사제(레클라스트), 조메타(주사용 졸레드론산), 조신(피페라실린 및 타조박탐 주사제), 지프렉사 렐프레브(올란자핀 서방형 주사용 현탁액) 및 이들의 조합.
실시예
실시예 1은 관련 출원인 Basham 등의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9/062959호의 삽입 튜브와 관련하여 수행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원에서 설명한 기구가 Basham 등의 미국 특허 공개 제2019/062959호에 기술되고 설명된 기구와 동일하기 때문에 표면 마감 결과도 동일하거나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는 점을 (당업자는) 생각할 것이다.
실시예 1 - 삽입 튜브 표면 마감
22μm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복제 테이프(Ted Pella, Inc., Redding CA)의 스트립(3 mm x 75 mm)을 몇 가지 예시적인 삽입 튜브의 내측면에 적용했다. 삽입 튜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었으며, 일반적으로 LaRose의 미국 특허 제10,369,292호의 교시에 따라 제조되었다. 삽입 튜브 1 및 2의 내부는 표면 처리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튜브 내에 위치하는 임의의 요철을 줄이거나 최소화하도록 마감 처리되었다. 삽입 튜브를 아세톤으로 적시고 건조시켰다. 이어서 집게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스트립을 삽입 튜브로부터 제거했다. 스트립을 슬라이드에 장착하였다. 복제 테이프 표면은 50X 대물렌즈(200μm x 270μm 시야), 2.5μm S-필터, 0.1 mm L-필터 차단 파장 및 곡면 기울기 보정을 이용하여 Keyence VK-X100 3D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Keyence Corporation, Osaka, Japan)에서 측정하였다. 평균 표면 거칠기(Sa) 및 평균 첨도(Sku)는 ISO 25178-2:2012에 따라 계산되었다.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은 헬륨 누출율과 스토퍼의 전방 밀봉 리브에서 관찰된 라인의 개수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를 성공적으로 삽입한 삽입 튜브 1 및 2에 대한 바람직한 표면 파라미터를 보여준다. 대조적으로, 삽입 튜브 3, 4 및 5는 바람직한 표면 파라미터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스토퍼의 성공적인 삽입을 초래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1. 일부 샘플에서는 두 가지 측정값이 보고되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수정 및 변형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8)

  1. 방법에 있어서,
    배럴 플랜지 및 비윤활 배럴을 포함하는 시린지를 제공하는 단계;
    밀봉 리브(sealing rib)를 포함하고 중합체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비윤활 스토퍼를 밀봉 가스킷, 도관 및 삽입 튜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근위단에 위치한 배치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입 튜브의 본체의 원위단이 상기 시린지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위의 원하는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밀봉 가스킷과 상기 시린지의 배럴 플랜지 사이에 시일(seal)을 생성하는 단계;
    진공 갭(vacuum gap)에 유체 접속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의 진공 챔버 부분의 원위단에 위치하는 진공 포트를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밀봉 리브의 전방 엣지와 비윤활 카트리지 튜브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사이에 원하는 헤드스페이스가 달성될 때까지, 삽입 로드(insertion rod)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 튜브 및 상기 비윤활 배럴을 통해 상기 스토퍼를 병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상기 삽입 로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윤활 배럴로부터 멀리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는 상기 도관과의 사이에 상기 진공 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도관의 내경보다 작게 크기가 정해지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상기 배럴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배럴 내로 이동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가스킷과 상기 배럴 플랜지 사이에 상기 진공 시일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비윤활 배럴에 상기 액체 용액을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액은 치료 물질인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물질은 생물제제, 치료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챔버는 전해연마, 압출 연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연마된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토퍼, 밀봉 가스킷, 도관, 삽입 튜브, 시린지 배럴, 배럴 플랜지 및 삽입 핀에는 윤활제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 내의 이행 구역은, 상기 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럴의 근위단으로 상기 비윤활 스토퍼를 이행시키기 위해 테이퍼 각도 α로 배치 영역으로부터 튜브 본체까지 테이퍼지는 것인, 방법.
  1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각도는 약 0.1도 내지 약 20도인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헤드스페이스의 범위는 약 0.1mm 내지 약 25mm, 또는 0.1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0.1mm 내지 약 5mm, 또는 약 0.5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0.5 내지 5mm, 또는 1mm 내지 약 25mm, 또는 약 1mm 내지 약 10mm, 또는 약 1mm 내지 약 5mm인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로드는 핀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윤활 스토퍼는, 내부에, 상기 핀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층은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 층(expanded fluoropolymer layer)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플루오로중합체 층은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층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상기 비윤활 배럴 위에 위치되고 이 비윤활 배럴과 정렬되는 것인,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로드와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는 동시에 후퇴되는 것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로드는,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기 전에 후퇴되는 것인, 방법.
  18. 방법에 있어서,
    배럴 플랜지 및 비윤활 배럴을 포함하는 시린지를 제공하는 단계;
    본체, 삽입체 및 원위단을 포함하는 삽입 튜브를 진공 챔버의 도관에 삽입하여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밀봉 리브를 포함하고 중합체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비윤활 스토퍼를, 상기 진공 챔버의 근위단에 위치한 배치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입 튜브의 삽입체가 상기 비윤활 배럴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위의 원하는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챔버의 밀봉 가스킷과 상기 시린지의 배럴 플랜지 사이에 시일을 생성하는 단계;
    진공 갭에 유체 접속되고 상기 진공 챔버의 원위단에 위치한 진공 포트를 통해, 진공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밀봉 리브의 전방 엣지와 상기 비윤활 배럴 내에 위치한 액체 용액 사이에 원하는 헤드스페이스가 달성될 때까지, 삽입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 튜브 및 상기 비윤활 배럴을 통해 상기 스토퍼를 병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상기 삽입 로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윤활 배럴로부터 멀리 상기 하이브리드 삽입 디바이스를 후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5026A 2020-05-22 2021-05-20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KR20230012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9183P 2020-05-22 2020-05-22
US63/029,183 2020-05-22
PCT/US2021/033432 WO2021236943A1 (en) 2020-05-22 2021-05-20 A method of inserting a lubricant free stopper into a lubricant free barrel or a lubricant free cartridge tube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066A true KR20230012066A (ko) 2023-01-25

Family

ID=7644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026A KR20230012066A (ko) 2020-05-22 2021-05-20 무급유 배럴 또는 무급유 카트리지 튜브에의 무급유 스토퍼 삽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01467A1 (ko)
EP (1) EP4153280A1 (ko)
JP (1) JP2023526869A (ko)
KR (1) KR20230012066A (ko)
CN (1) CN115666687A (ko)
AU (1) AU2021276514B2 (ko)
CA (1) CA3178104A1 (ko)
WO (1) WO20212369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83350C (en) 1994-09-02 1999-04-27 Phillip A. Branca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ions
US6541589B1 (en) 2001-10-15 2003-04-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US7531611B2 (en) 2005-07-05 2009-05-1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US20070175538A1 (en) * 2006-01-30 2007-08-02 Jurgen Rothbauer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under varying pressure conditions
US8637144B2 (en) 2007-10-04 2014-01-28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TFE copolymers, method of making, and porous, expended articles thereof
US9139669B2 (en) 2009-03-24 2015-09-22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functional TFE copolymer fine powder, the expandable functional products obtained therefrom and reaction of the expanded products
JP5973066B2 (ja) * 2013-05-10 2016-08-23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の製造方法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造装置
FR3041334B1 (fr) * 2015-09-21 2020-02-14 Disposable-Lab Procede d'obturation d'un contenant comportant au moins un bouchon, notamment une carpule, moyens d'insertion et ligne d'obturation associee
US10369292B2 (en) * 2016-01-15 2019-08-06 W. L. Gore & Associates, Inc. Syringe plunger assemblies
US10471211B2 (en) 2016-01-15 2019-11-12 W. L. Gore & Associates, Inc. Medical delivery device with laminated stopper
JP2020531057A (ja) * 2017-06-29 2020-11-05 リジェネロ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薬品容器にいっぱいに充填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CA3074214A1 (en) 2017-08-29 2019-03-07 Advanced Flexible Composites, Inc. High temperature monofilament articles
CA3091922C (en) * 2018-03-06 2023-02-14 Eric J. Van Voorhees Medical delivery devices having low lubricant hydrophobic syringe barr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76514A1 (en) 2022-12-08
CA3178104A1 (en) 2021-11-25
US20230201467A1 (en) 2023-06-29
WO2021236943A1 (en) 2021-11-25
CN115666687A (zh) 2023-01-31
EP4153280A1 (en) 2023-03-29
JP2023526869A (ja) 2023-06-23
AU2021276514B2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83782B2 (en) Syringe plunger assemblies
AU2021202675B2 (en) Medical delivery device with laminated stopper
AU2023200171B2 (en) A method of inserting a lubricant free stopper into a lubricant free barrel or a lubricant free cartridge tube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
US20230140221A1 (en) Vacuum insertion methods for inserting lubricant free syringe stoppers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
AU2021276514B2 (en) A method of inserting a lubricant free stopper into a lubricant free barrel or a lubricant free cartridge tube and a system for assembl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