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704A -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 Google Patents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704A
KR20210144704A KR1020217029989A KR20217029989A KR20210144704A KR 20210144704 A KR20210144704 A KR 20210144704A KR 1020217029989 A KR1020217029989 A KR 1020217029989A KR 20217029989 A KR20217029989 A KR 20217029989A KR 20210144704 A KR20210144704 A KR 2021014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lunger
kit
plunger rod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다케모토
시게아키 후케
야스아키 히구치
가즈노리 고토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5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액 수용실(12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22)과, 피스톤(22)에 장착되는 플런저 로드(14)를 구비한 플런저 키트(15), 시린지 키트(10)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이며, 플런저 로드(14)의 선단에는, 일정 직경으로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축부(34)와, 축부(34)의 선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확경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면(40)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부(36)와, 걸림 결합부(36)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축방향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한 추체부(38)를 갖는 장착부(32)가 형성되고, 걸림 결합부(36)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를 절결한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본 발명은,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에 관한 것이다.
약액의 주사에 사용되는 프리필드 시린지는, 약액 수용실을 구비한 시린지 본체와, 약액 수용실에 충전된 약액과, 시린지 본체의 노즐에 장착된 캡과, 시린지 본체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피스톤(피스톤 또는 가스킷이라고도 불림)과,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 로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프리필드 시린지는, 노즐에 캡을 장착한 시린지 본체 내에 약액을 충전하고, 피스톤만을 먼저 타전하여 약액을 시린지 본체 내에 봉입하고, 이 타전된 피스톤의 기단측의 오목부에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를 압입하여 플런저 로드와 피스톤을 접합시켜 프리필드 시린지를 조립한다.
그런데, 피스톤에 플런저를 접속할 때, 플런저를 시린지의 선단측으로 압박하도록 압입할 필요가 있다. 그 때 피스톤이 이동해 버려, 시린지로부터 약액이 누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제 공개 제2009/011214호는, 기단측에 개구된 원통 형상의 구멍을 피스톤에 형성함과 함께,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수나사 구조를 마련한 주사기용 플런저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그러나, 국제 공개 제2009/011214호의 기술은, 피스톤의 구멍에, 그 내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수나사 구조를 압입하고, 수나사 구조를 구멍의 내벽에 파고 들어가게 함으로써, 피스톤에 플런저 로드를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송 시 등에 플런저 로드가 피스톤으로부터 누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런저 로드의 수나사 구조의 외경을 피스톤의 구멍의 내경에 대하여 충분히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접속 시에 플런저 로드를 무리하게 피스톤의 구멍에 압입하기 때문에, 피스톤이 움직여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실시 형태는, 플런저 로드와 피스톤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피스톤을 움직이는 일 없이 피스톤에 플런저 로드를 장착할 수 있고, 또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수송 시 등에 피스톤으로부터 플런저 로드가 누락되지 않는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의 개시의 일 관점은 시린지 본체부의 약액 수용실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장착 가능한 플런저 로드를 구비한 플런저 키트이며, 상기 플런저 로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런저 로드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로드 본체의 선단부로부터 대략 일정 직경으로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면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선단을 향함에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한 추체부를 갖고, 상기 피스톤은, 기단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선단측에 연통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협착부와, 상기 협착부의 선단측에 연통하여 상기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추체부를 수용 가능한 공동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협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측벽부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제2 측벽부를 갖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벽부의 길이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40%이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걸림 결합부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키트에 있다.
이하의 개시의 다른 일 관점은, 상기 관점의 플런저 키트와, 약액을 수용하는 약액 수용실과, 상기 약액 수용실의 선단에 마련된 노즐과, 상기 노즐의 선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을 갖는 시린지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약액 수용실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시린지 키트에 있다.
이하의 개시의 또 다른 일 관점은, 상기 관점의 시린지 키트와, 상기 약액 수용실에 충전된 약액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약액 수용실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프리필드 시린지에 있다.
상기 관점의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에 의하면 피스톤을 움직이는 일 없이 플런저 로드를 피스톤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프리필드 시린지의 수송 시 등에 피스톤이 플런저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린지 키트를, 플런저 로드가 제거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시린지 본체부의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피스톤의 사시도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B의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런저 로드의 로드 본체 및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플런저 로드의 로드 본체 및 장착부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동일하게 상면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A의 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5의 A는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를 피스톤에 장착하는 도중의 모습을 상면측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동일하게 장착부를 피스톤에 장착하는 도중의 모습을 측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의 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시린지 키트를 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시린지 키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 및 본체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의 C는 도 8의 B의 VIIIC-VIII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B의 장착부를 피스톤에 삽입하는 도중의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8의 A의 장착부가 피스톤의 협착부를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의 C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동일하게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의 A의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를 피스톤에 장착하는 도중의 모습을 상면측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0의 A의 플런저의 장착부를 피스톤에 장착하는 도중의 모습을 측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부분 절결 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피막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5에 나타내는 피스톤의 제1 피막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5에 나타내는 피스톤의 제2 피막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6의 C는 도 15에 관한 피스톤의 제3 피막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의 A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로드의 장착부 부근의 측면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장착부의 정면도이고, 도 17의 C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린지 키트(10)의 노즐(12c)이 형성된 방향을 선단측 또는 선단 방향이라고 칭하고, 시린지 키트(10)의 노즐(12c)과 반대의 방향을 기단측 또는 기단 방향이라고 칭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린지 키트(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린지 본체부(12)와, 플런저 로드(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시린지 본체부(12)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내부에 약액(20)이 봉입된 프리필드 시린지(100)이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린지 본체부(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약액 수용실(12a)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약액 수용실(12a)의 기단부(12b)는 개구되어 있고, 플런저 로드(14)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약액 수용실(12a)의 선단에는 노즐(12c)이 형성되고, 노즐(12c)의 외주부에는 커넥터(16)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6)에는 캡(18)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노즐(12c)의 선단 개구부가 캡(18)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즉, 약액 수용실(12a)의 선단측이 캡(18)으로 밀봉되어 있다. 약액 수용실(12a)에는, 피스톤(22)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22)에 의해, 약액 수용실(12a)의 기단측이 밀봉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린지 키트(10)는, 수송 시 및 보관 시에 있어서는, 플런저 로드(14)가 분리된 상태로 하여 제공된다. 플런저 로드(14)는, 사용 직전에 시린지 본체부(12)의 기단부(12b)로부터 삽입되어, 피스톤(22)에 장착된다. 또한, 시린지 키트(10)는, 미리 플런저 로드(14)가 피스톤(22)에 장착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하, 피스톤(22) 및 플런저 로드(14)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스톤(22)은, 예를 들어 의료용 고무 소재를 포함하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 형상의 본체부(22a)와, 그 본체부(22a)의 측부에 형성된 링 형상 돌기(22b, 22c)와 오목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2a)는, 약액 수용실(12a)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는 한편, 링 형상 돌기(22b, 22c)는 약액 수용실(12a)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시린지 본체부(12)의 내부에 있어서, 링 형상 돌기(22b, 22c)가 약액 수용실(12a)의 내벽에 맞닿아 밀착함으로써, 약액 수용실(12a)을 밀봉한다. 피스톤(22)의 내부에는, 기단측으로부터 본 단면이 대략 원형인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는, 피스톤(22)의 기단측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4)는, 피스톤(22)의 기단측에 형성된 개구부(26)와, 개구부(26)의 선단측에 연통한 협착부(28)와, 협착부(28)의 선단측에 연통한 수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협착부(28)는, 피스톤(22)의 직경 방향의 두께가 증가한 제2 측벽부(28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측벽부(28a)의 축방향의 길이는, 피스톤(2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40%로 형성되어 있다. 협착부(28)를 형성하는 제2 측벽부(28a)를 이러한 길이로 설정하면, 플런저 로드(14)를 통한 하중의 입력에 대하여 협착부(28)가 넓어지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수송 시 등에 플런저 로드(14)에 기단 방향을 향하는 힘이 작용해도, 피스톤(22)으로부터 플런저 로드(14)가 누락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벽부(28a)의 축방향의 길이는, 피스톤(22)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벽부(28a)의 내측에 형성되는 협착부(28)는, 개구부(26)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축경하여 형성되어 있다. 협착부(28)는, 대략 일정 내경으로 축방향으로 제2 측벽부(28a)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협착부(28)를 일정 내경으로 해 둠으로써, 장착부(32)가 원할하게 협착부(28)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협착부(28)는, 그 내경이 후술하는 플런저 로드(14)의 축부(34)(도 3 참조)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협착부(28)의 축방향의 길이는, 피스톤(22)의 축방향의 길이의 10 내지 40%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협착부(28)의 길이는, 1 내지 5㎜ 정도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4)를 뽑아 낼 때의 당기는 힘에 대하여 피스톤(22)의 협착부(28)가 변형되기 어려워져,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접합 강도가 발휘된다. 또한, 협착부(28)의 길이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착부(28)를 구성하는 제2 측벽부(28a)의 외주부에는, 링 형상 돌기(22c)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제2 측벽부(28a)의 외주부에 링 형상 돌기(22c)를 마련하면, 플런저 로드(14)의 장착부(32)가 통과할 때, 링 형상 돌기(22c)가 약액 수용실(12a)에 압박되기 때문에, 피스톤(22)이 움직이기 어려워져, 피스톤(22)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30)는, 제1 측벽부(30c)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30c)는 제2 측벽부(28a)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측벽부(28a)보다도 직경 방향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제1 측벽부(30c)와 제2 측벽부(28a)의 경계에는, 축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직립 돌출하도록 하여 맞닿음면(30b1)이 형성된다.
제1 측벽부(30c)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30)는, 개구부(26)와 동일 정도의 내경으로 형성된 기부(30b)와, 기부(30b)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선단을 향해 추형상에 축경하는 축경부(3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기부(30b)는, 후술하는 플런저 로드(14)의 걸림 결합부(36)(도 3 참조)보다도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36)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부(30b)와 협착부(28)의 경계 부분에는,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직립 돌출한 맞닿음면(30b1)이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면(30b1)은, 걸림 결합부(36)의 기단측에 형성된 걸림 결합면(40)(도 3 참조)과 맞닿음으로써, 뽑아내기에 대하여 저항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경부(30a)는, 추체부(38)(도 3 참조)를 수용하는 부분이고, 추체부(38)와 대략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원추 형상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26)는, 축 α1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부(36)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축 α1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기단부(26a)와, 기단부(26a)로부터 협착부(28)를 향해 축경한 테이퍼부(26b)를 갖고 있다. 기단부(26a)는, 플런저 로드(14)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부(36)의 축을 오목부(24)의 축 α1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퍼부(26b)는, 추체부(38)를 오목부(24)의 축 α1의 중심으로 유도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와 피스톤(22)의 축이 정렬되어, 장착부(32)의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4)는, 전진 방향 또는 후퇴 방향으로의 하중이 입력되는 가압부(14b)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입력 하중을 전달하는 로드 본체(14a)와, 로드 본체(14a)의 선단측에 형성된 장착부(3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본체(14a)의 선단측에는 축방향에 수직인 원판 형상의 피스톤 맞닿음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2)는, 피스톤 맞닿음부(14c)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이고, 기단측에 형성된 축부(34)와, 축부(34)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36)와, 걸림 결합부(36)의 선단측에 형성된 추체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34)는, 피스톤 맞닿음부(14c)로부터 축방향 선단측을 향해 일정 직경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부분이다. 축부(34)는, 피스톤(22)에 장착될 때 축부(34)가 협착부(28)에 걸려 피스톤(22)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착부(28)의 내경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하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34)의 직경은, 예를 들어 1 내지 5㎜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34)를 마련함으로써, 피스톤(22)의 오목부(24)에 축방향으로 일정 직경으로 연장한 협착부(28)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스톤(22)과의 뽑아내기 방향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36)는, 축부(3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경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6)는, 화살촉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36)의 돌출 방향(β방향)에 수직인 부분이 절결부(42)로 절결되어 있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걸림 결합부(36)는, 원추 형상의 영역을,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부(36)는, 원추 형상으로 확경한 영역 중, 한쪽의 측부를 제1 절결부(42a)로 절결함과 함께 다른 쪽의 측부를 제2 절결부(42b)로 절결하고 남은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절결부(42a) 및 제2 절결부(42b)는, 축부(34)의 직경보다도 돌출된 부분을 절결하는 것이고, 정면으로 보아, 원추 부분의 외주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36)는, 둘레 방향으로 180° 이격하여 한 쌍 대향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42)의 수는, 도시된 예와 같이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걸림 결합부(36)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또는 그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면, 걸림 결합부(36)는, 폭 방향에 대하여 축부(34)보다도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부(36)는 폭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6)는, 그 외경이 추체부(38)의 기단의 외경과 대략 일치할 때까지 선단을 향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협착부(28)를 통과할 때,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통과하기 쉬워져, 장착부(32)를 오목부(24)에 의해 원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 및 피스톤(22)을 포함하는 플런저 키트(15) 및 시린지 키트(1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22)의 오목부(24)에 플런저 로드(14)의 장착부(32)를 삽입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4)의 피스톤(22)으로의 장착이 행해진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4)의 걸림 결합부(36)는, 폭 방향으로 절결부(4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에 대해서는, 걸림 결합부(36)가 오목부(24)의 협착부(28)를 변형시키지 않고 삽입된다. 한편,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걸림 결합부(36)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눌러 넓히면서 전진한다. 또한, 협착부(28)의 내경은, 플런저 로드(14)의 축부(34)의 외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플런저 로드(14)의 축부(34)가 협착부(28)를 눌러 넓히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34)로부터 확경한 걸림 결합부(36)가 및 제1 절결부(42a) 및 제2 절결부(42b)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눌러 넓히는 부분을 더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더 작은 압입력으로 걸림 결합부(36)를 포함하는 장착부(32)를 오목부(24)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22)의 축방향의 변위를 방지하면서,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그 후, 피스톤(22)에 플런저 로드(14)가 장착되어,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 시린지 키트(10)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가 완성된다. 플런저 키트(15)는, 피스톤(22)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협착부(28)에, 걸림 결합부(36)가 걸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로드(14)를 통해 뽑아내기 방향의 하중이 입력된 경우라도, 협착부(28)의 변형에 필요로 하는 힘이 커져, 뽑아내기 방향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송 시 등에 플런저 로드(14)에 기단 방향을 향하는 힘이 작용해도, 피스톤(22)으로부터 플런저 로드(14)가 탈락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협착부(28)의 내경이, 플런저 로드(14)의 축부(34)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기 때문에, 플런저 로드(14)의 축이, 피스톤(22)의 축에 대하여 기울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 로드(14)의 걸림 결합부(36)와 피스톤(22)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협착부(28)의 걸림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시린지 키트(10)에 대하여, 프리필드 시린지(100)에 적용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시린지 키트(10)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20)을 수용하지 않는 시린지 본체부(12)와, 시린지 본체부(12)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피스톤(22)과, 시린지 본체부(12) 및 피스톤(2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플런저 로드(14)를 구비한 양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 양태의 시린지 키트(10)는, 시린지 본체부(12)에는 약액(20)은 주입되어 있지 않고, 사용 직전에 플런저 키트(15)를 조립하여 시린지 본체부(12)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 시린지 키트(10)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는, 시린지 본체부(12)의 약액 수용실(12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22)과, 피스톤(22)에 장착 가능한 플런저 로드(14)를 구비한 플런저 키트(15)이며, 플런저 로드(14)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스톤(22)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드 본체(14a)와, 로드 본체(14a)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2)를 갖고, 장착부(32)는, 로드 본체(14a)의 선단부로부터 대략 일정 직경으로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축부(34)와, 축부(34)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면(40)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부(36)와, 걸림 결합부(36)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선단을 향함에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한 추체부(38)를 갖고, 피스톤(22)은, 기단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26)와, 개구부(26)의 선단측에 연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협착부(28)와, 협착부(28)의 선단측에 연통하여 걸림 결합부(36) 및 추체부(38)를 수용 가능한 공동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30)를 갖는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22)은, 수용부(30)를 형성하는 제1 측벽부(30c)와, 협착부(28)를 형성하여 제1 측벽부(30c)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제2 측벽부(28a)를 갖고, 축 α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측벽부(28a)의 길이는, 축 α1 방향에 있어서의 피스톤(22)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40%이고, 플런저 로드(14)의 걸림 결합부(36)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둘레 방향의 전역에 걸림 결합부(36)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저항이 감소하여, 적은 압입력으로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22)을 변위시키지 않고,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22)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두께로 형성된 제2 측벽부(28a) 및 협착부(28)를 구비하기 때문에, 플런저 로드(14)의 걸림 결합부(36)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송 시 등에 플런저 로드(14)에 기단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피스톤(22)으로부터 플런저 로드(14)가 용이하게 누락되는 일은 없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협착부(28)는, 대략 균일한 직경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원할하게 통과할 수 있어, 플런저 로드(14)의 장착 시의 압박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축부(34)의 외경은, 협착부(28)의 내경 이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축부(34)가 협착부(28)에 걸려 피스톤(22)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피스톤(22)은, 시린지 본체부(12)의 약액 수용실(12a)의 내벽에 맞닿는 링 형상 돌기(22c)를 제2 측벽부(28a)의 외주면에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통과할 때, 협착부(28)를 눌러 넓힐 수 있음에 따라, 링 형상 돌기(22c)가 약액 수용실(12a)의 내벽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피스톤(22)이 움직이기 어려워져, 플런저 로드(14)의 장착에 수반하는 피스톤(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오목부(24)의 개구부(26)는, 축 α1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부(36)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기단부(26a)와, 기단부(26a)로부터 협착부(28)를 향해 축경한 테이퍼부(26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를 오목부(24)에 삽입할 때, 걸림 결합부(36)가 기단부(26a)에 가이드되고, 추체부(38)가 테이퍼부(26b)에 가이드됨으로써, 플런저 로드(14)의 축과 피스톤(22)의 축이 일치한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통과하기 쉬워져, 피스톤(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36)는 걸림 결합부(36)의 외경이 추체부(38)의 외경과 대략 일치할 때까지 선단을 향해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장착부(32)를 오목부(24)에 삽입할 때, 추체부(38)에 가이드된 걸림 결합부(36)가 원할하게 협착부(28)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36)는, 둘레 방향으로 180° 이격하여 한 쌍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절결부(42a, 42b)는 축부(34)를 사이에 두고 한 쌍 형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36)는 화살촉 형상으로 한 쌍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4)를 장착할 때, 미세하게 돌출된 걸림 결합부(36)만이 피스톤(22)의 협착부(28)를 밀어내어, 절결부(42a, 42b)는 저항을 받는 일 없이 협착부(28)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저항이 억제되어, 피스톤(22)을 변위시키지 않고,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에 있어서, 절결부(42a, 42b)는 걸림 결합부(36)의 외경으로부터 축부(34)의 외경까지의 범위에서, 걸림 결합부(36)를 절결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저항이 억제되어, 피스톤(22)을 변위시키지 않고,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시린지 키트(10)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는, 상기한 플런저 키트(15)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 피스톤(22)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플런저 로드(14)를 장착한 후에는 프리필드 시린지(100)에 있어서 수송 중에 플런저 로드(14)가 피스톤(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A)는, 플런저 로드(14A)의 장착부(32A)의 구조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플런저 로드(14)와 다르다. 또한, 도 8의 A 내지 도 9의 C에 있어서, 플런저 키트(1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A)의 장착부(32A)에 있어서도, 축부(34)로부터 확경하여 형성된 걸림 결합부(47, 4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 결합부(47, 48)는, 정면으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된 영역(45)으로부터 제1 절결부(45a) 및 제2 절결부(45b)에 의해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47) 및 걸림 결합부(48)는, 선단의 추체부(38)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원추 형상으로 연장되는 윤곽으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절결부(45a) 및 제2 절결부(45b)로 절결되어 형성된, 나사산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절결부(45a)와, 제2 절결부(45b)는, 둘레 방향으로 180°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47) 및 걸림 결합부(48)는 2조의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절결부(45a, 45b)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또는 그 이상이어도 된다.
걸림 결합부(47) 및 걸림 결합부(48)의 기단에는,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걸림 결합면(44a) 및 걸림 결합면(4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면(44a, 44b)은, 도 8의 C에 사선을 그어 나타낸 바와 같이, 축 α2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 결합면(44a, 44b)이, 피스톤(22)의 맞닿음면(30b1)에 맞닿음으로써, 걸림 결합부(47, 48)가 피스톤(22)에 걸림 결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A)는 이상의 플런저 로드(14A)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A)는, 피스톤(22)의 개구부(26)로부터, 축 방향으로 전진시키면서, 축 주위로 회전시키면서 나사 결합하도록 하여 장착된다. 플런저 로드(14A)의 장착 시에는, 걸림 결합부(47, 48)의 부분이 피스톤(22)의 협착부(28)를 눌러 넓히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에 의해,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A), 시린지 키트(10A)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A)가 조립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 로드(14A)를 진행시키는 힘이, 회전 방향으로도 분산된다. 그 때문에, 플런저 로드(14A)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 피스톤(22)을 축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피스톤(22)의 이동을 방지하면서, 플런저 로드(14A)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A) 및 시린지 키트(10A)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A)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A)는, 절결부(45a, 45b)가, 축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걸림 결합부(47, 48)에 복수 조의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A)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동작을, 압입 동작과 나사 삽입 동작을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A)의 장착 시의 하중을 회전 방향의 하중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플런저 로드(14A)의 장착 시의 피스톤(22)의 변위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플런저 키트(15A)에 있어서, 걸림 결합면(44a, 44b)은 둘레 방향으로 180° 이격하여 한 쌍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즉, 나사산의 기단이 되는 걸림 결합면(44a) 및 걸림 결합면(44b)이 2개 형성된 2조 나사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스톤(22)의 협착부(28)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면(44a, 44b)이 커지기 때문에, 뽑아내기 방향의 하중에 대한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시린지 키트(10A)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A)는, 상기한 플런저 키트(15A)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A)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 피스톤(22)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 후에는 수송 중에 플런저 로드(14A)가 피스톤(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B)는, 장착부(32B)에 슬릿 구조(50)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플런저 로드(14)와 다르다. 그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플런저 로드(14)와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 구조(50)는 축 α2를 따라, 한 쌍의 걸림 결합부(36)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 구조(50)는, 장착부(32B)의 선단의 추체부(38)(도 3 참조)를 절결하고, 한 쌍의 걸림 결합부(36) 사이를 지나, 축부(34)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슬릿 구조(50)의 기단측에는, 단부(5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52)로부터 한 쌍의 걸림 결합부(36)가 암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36)는, 단부(52) 부근을 기점으로 내측을 향해 일점쇄선 β방향(긴 변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B)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B)에 있어서도, 걸림 결합부(36)가 절결부(42)에 의해 절결되어 있음으로써, 폭 방향의 치수가 피스톤(22)의 협착부(28)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 결합부(36)는 슬릿 구조(50)의 단부(52)를 기점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B)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협착부(28)를 누르는 부분이 감소하여, 더 적은 저항으로 플런저 로드(14B)를 피스톤(22)에 압입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32B)는,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통과한 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넓어지고, 걸림 결합부(36)의 걸림 결합면(40)이 협착부(28)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뽑아내기에 대한 접합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B), 시린지 키트(10B)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B)가 완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B), 시린지 키트(10B)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B)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B)는, 추체부(38), 걸림 결합부(36) 및 축부(34)에 걸쳐서 형성되고, 걸림 결합부(36)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슬릿 구조(50)를 구비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걸림 결합부(36)가 피스톤(22)의 협착부(28)를 통과할 때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더 작은 저항으로 플런저 로드(14B)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22)의 이동을 방지하면서, 플런저 로드(14B)를 피스톤(2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시린지 키트(10B)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B)는, 상기한 플런저 키트(15B)를 구비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4B)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 피스톤(22)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후에는 수송 중에 플런저 로드(14B)가 피스톤(2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C)는, 장착부(32C)에 있어서, 추체부(38)의 표면 및 걸림 결합부(36A)의 경사면(36a)에 윤활성을 갖는 피막(54)이 형성되어 있다. 피막(54)은, 예를 들어 가교형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있어서 윤활성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부(36A)는, 절결부(42)(도 3 참조)를 마련하고 있지 않은, 원추 형상의 걸림 결합부(36A)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나타내는 절결부(42)가 형성된 걸림 결합부(36)의 경사면(36a)에 피막(54)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4C)의 장착부(32C)를 하방을 향해 배치하고, 용기(58)에 수용한 가교형 실리콘 수지의 용액(56)에 장착부(32C)의 걸림 결합부(36A)를 침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C)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C)는, 추체부(38) 및 걸림 결합부(36A)에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피막(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C)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피스톤(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추체부(38) 및 걸림 결합부(36A)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이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22)의 오목부(24)의 일부에 윤활성을 갖는 피막(60)을 형성한다. 즉, 오목부(24)의 기단측의 개구부(26) 및 협착부(28)의 일부에, 가교형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피막(60)이 형성되어 있다.
피막(60)이 형성된 피스톤(22)은, 예를 들어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지그(64)를 협착부(28)에 삽입한 상태에서, 피막 원료(60a)를 분사 장치(62)로부터 오목부(24)를 향해 분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지그(64)는, 협착부(28)와 밀착함으로써, 수용부(30)로의 피막 원료(60a)의 침입을 방지하는 마스크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오목부(24)의 입구 부근의 개구부(26) 및 협착부(28)의 일부에만, 윤활성을 갖는 피막(60)(도 15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막(60)이 형성된 피스톤(22)은, 예를 들어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22)의 오목부(24)의 개구부(26)를 연직 하방을 향해 배치하고, 측방으로부터 피막 원료(60a)를 분사 장치(62)로부터 분사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분사된 피막 원료(60a)의 일부가 오목부(24)의 입구 부근으로 돌아 들어감으로써, 개구부(26)에 피막(6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막(60)이 형성된 피스톤(22)은, 예를 들어 도 1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22)의 오목부(24)의 개구부(26)에 분사 장치(62)를 대향 배치시켜, 오목부(24)에 피막 원료(60a)를 분사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플런저 로드(14)(도 1 참조)를 걸림 지지하는 맞닿음면(30b1)은, 분사 장치(62)에 대하여 그늘의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피막 원료(60a)는 맞닿음면(30b1)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뽑아내기 방향으로 접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22)의 개구부(26)에,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피막(6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4)를 피스톤(22)에 장착할 때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피스톤(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로드(14D)는, 장착부(32D)의 걸림 결합부(36)가 1개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플런저 로드(14)와 다르다. 플런저 로드(14D)의 걸림 결합부(36)는, 축부(3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이고,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추 형상의 영역(39)을, 둘레 방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절결부(42D)에 의해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부(36)는, 둘레 방향으로 1개소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22)의 기단측으로부터 플런저 로드(14D)의 장착부(32D)를 삽입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4D)가 피스톤(22)에 장착되어,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D), 시린지 키트(10D)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D)가 조립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런저 키트(15D), 시린지 키트(10D) 및 프리필드 시린지(100D)에 의하면, 걸림 결합부(36)의 대부분이 절결부(42D)로서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22)의 협착부(28)에 삽입할 때 걸림 결합부(36)가 협착부(28)를 누르는 체적이 감소하여, 더 작은 압입력으로 피스톤(22)에 플런저 로드(14D)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22)을 이동시키지 않고, 플런저 로드(14D)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프리필드 시린지(100D)에 있어서, 수송 중에 플런저 로드(14D)가 피스톤(22)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 형태를 들어 설명했지만,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변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시린지 본체부의 약액 수용실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장착 가능한 플런저 로드를 구비한 플런저 키트이며,
    상기 플런저 로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런저 로드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로드 본체의 선단부로부터 대략 일정 직경으로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 결합면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부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선단을 향함에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한 추체부를 갖고,
    상기 피스톤은, 기단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선단측에 연통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협착부와, 상기 협착부의 선단측에 연통하여 상기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추체부를 수용 가능한 공동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협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측벽부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제2 측벽부를 갖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벽부의 길이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40%이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걸림 결합부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는, 대략 균일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플런저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외경은, 상기 협착부의 내경 이하인, 플런저 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시린지 본체부의 약액 수용실의 내벽에 맞닿는 링 형상 돌기를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주면에 갖는, 플런저 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 결합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협착부를 향해 축경한 테이퍼부를 갖는, 플런저 키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걸림 결합부의 외경이 상기 추체부의 기단의 외경과 대략 일치할 때까지 선단을 향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플런저 키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180° 이격하여 한 쌍 마련되어 있는, 플런저 키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개구부의 내면 위에,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장착부의 상기 피스톤에 대한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키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체부 및 상기 걸림 결합부의 외면 위에,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장착부의 상기 피스톤에 대한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키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체부, 상기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축부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부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슬릿 구조를 구비한, 플런저 키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화살촉 형상으로 한 쌍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걸림 결합부의 외경으로부터 상기 축부의 외경까지의 범위에서, 상기 걸림 결합부를 절결하고 있는, 플런저 키트.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플런저 키트.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런저 키트와,
    약액을 수용하는 약액 수용실과, 상기 약액 수용실의 선단에 마련된 노즐과, 상기 노즐의 선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을 갖는 시린지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약액 수용실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시린지 키트.
  15. 제14항에 기재된 시린지 키트와,
    상기 약액 수용실에 충전된 약액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약액 수용실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프리필드 시린지.
KR1020217029989A 2019-03-29 2020-03-17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KR20210144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5682 2019-03-29
JP2019065682 2019-03-29
PCT/JP2020/011599 WO2020203239A1 (ja) 2019-03-29 2020-03-17 プランジャーキット、シリンジキット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704A true KR20210144704A (ko) 2021-11-30

Family

ID=7266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89A KR20210144704A (ko) 2019-03-29 2020-03-17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08657A1 (ko)
EP (1) EP3943133A4 (ko)
JP (1) JP7397065B2 (ko)
KR (1) KR20210144704A (ko)
WO (1) WO20202032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200B2 (ja) * 1978-05-24 1983-05-19 株式会社相互ポンプ製作所 沈澱物の撹拌装置
JPS5878674A (ja) * 1981-11-04 1983-05-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の取付装置
AU2001274548A1 (en) * 2000-06-19 2002-01-02 Terumo Kabushiki Kaisha Syringe
JP2003199827A (ja) * 2001-12-28 2003-07-15 Terumo Corp シリンジ
JP2004283466A (ja) * 2003-03-24 2004-10-14 Terumo Corp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付きプランジャー、シリンジ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US8740856B2 (en) 2007-06-04 2014-06-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toppers used in pre-filled syringes
EP2174681A4 (en) 2007-07-13 2013-05-01 Daikyo Seiko Ltd PUSHER ASSEMBLY FOR AN INJECTION DEVICE
CN102458521B (zh) * 2009-06-04 2014-06-04 诺沃—诺迪斯克保健股份有限公司 具有活塞联接布置的混合设备
JP2011254891A (ja) 2010-06-07 2011-12-22 Coki Engineering Inc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5824200B2 (ja) 2010-08-27 2015-11-25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12124028A1 (ja) * 2011-03-11 2012-09-20 スーガン株式会社 ジョイント機構
WO2012134430A1 (en) 2011-03-25 2012-10-04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Pharmaceutical syringe piston rod
JP6207401B2 (ja) * 2012-01-31 2017-10-04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シリンジ
JP6349661B2 (ja) 2013-09-19 2018-07-0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2016187530A (ja) 2015-03-30 2016-11-04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用プランジャー、シリンジ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US10369292B2 (en) 2016-01-15 2019-08-06 W. L. Gore & Associates, Inc. Syringe plunger assemblies
JPWO2018180758A1 (ja) 2017-03-30 2020-02-06 テルモ株式会社 バレル組立体、シリンジの使用方法、薬液投与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6715557B2 (ja) 2018-07-12 2020-07-01 テルモ株式会社 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3239A1 (ja) 2020-10-08
EP3943133A1 (en) 2022-01-26
EP3943133A4 (en) 2022-06-08
JP7397065B2 (ja) 2023-12-12
US20220008657A1 (en) 2022-01-13
JPWO2020203239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4380B2 (en) Method for mounting a gasket on a plunger
EP0551421B1 (en)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US9028451B2 (en) Injection device
US4978339A (en) Non-reusable syringe
US8157771B2 (en) Syringe guard for pre-filled medicament vial
EP0259582A1 (en) Device for firmly locking a syringe in a coupling body
US20090234297A1 (en) Injection device
EP0417764A1 (en) Needle assembly equipped with valve
KR20210144704A (ko) 플런저 키트, 시린지 키트 및 프리필드 시린지
CN112638452A (zh) 针头接口和注射器装置
US7618401B2 (en) Device for injecting a product, in particular for medical use
JP2007289676A (ja) プランジャーロッドとガスケットとの結合構造及びシリンジ
JP2023079836A (ja) 針ハブ及びそれを用いた注射器
AU2017298342B2 (en) Medicament container holder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ing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A2440073A1 (en) Applicator having partial insertion cannula
EP1593405A1 (en) Joint device
US11819665B2 (en) Prefilled syringe, syringe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prefilled syringe, and method for increasing surface area
WO2021200946A1 (ja) 針基ユニットと針基ユニット製造方法と注射装置
KR102165477B1 (ko) 내시경용 주사 바늘
JP2005118222A (ja) 容器兼用注射器
WO2004096326A1 (en) Syringe system
CA3147659A1 (en) Injection device
CN113271992B (zh) 注射笔组件
KR20220131666A (ko) 주사기
US20230364340A1 (en) Autoinjector needle-hous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