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638B1 -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638B1
KR102482638B1 KR1020197033908A KR20197033908A KR102482638B1 KR 102482638 B1 KR102482638 B1 KR 102482638B1 KR 1020197033908 A KR1020197033908 A KR 1020197033908A KR 20197033908 A KR20197033908 A KR 20197033908A KR 102482638 B1 KR102482638 B1 KR 10248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standard
alignment jig
reference denture
den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817A (ko
Inventor
다츠야 야마자키
게이 나가시마
유이치 야마모토
히토시 모토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Publication of KR2020000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non-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4Repairing or adjusting dentures; Location of irritating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an occlus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5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26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기준 의치를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구강 내 또는 상기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하는 지그이며,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는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를 갖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본 발명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준 의치를 환자의 구강 내 등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치악자의 구강 내의 형상은, 치조골의 크기나 뼈의 흡수량, 점막의 상태 등이 각 개인별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좋은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의 모형으로부터 종래 공지의 수순을 밟아 의치를 제작할 필요가 있어, 제작에 시간을 많은 시간을 요한다(오더 메이드).
그래서, 간이하게 적합성이 좋은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사이즈가 규격화된 기준 의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규격화된 기준 의치와, 경질 라이닝재 등의 라이닝재를 사용함으로써, 석고 모형을 사용하는 기공 조작을 거치지 않고, 구강 내에서 라이닝을 조작하기만 하여 적합성이 좋은 의치가 단시간에 얻어진다(기준 의치).
구강 내에서 기준 의치의 라이닝을 행하는 경우, 경화 전의 라이닝재(페이스트형)를 기준 의치의 상(床) 내면에 얹어,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마운트된 교합기에 삽입하고, 라이닝재를 유동시켜 점막 형상을 라이닝재에 인기(印記)한다. 이때, 라이닝재가 경화할 때까지 적절한 위치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준 의치만으로는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기가 어려워,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위치 어긋남을 일으킴으로써, 단단한 것을 씹을 수 없고, 장기 사용으로 턱 관절이 아파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하 기준 의치(상악 기준 의치 및 하악 기준 의치)의 교합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1) 상하 위치(교합 평면, 교합 높이 직경), (2) 좌우 위치(정중(正中)), (3) 전후 위치(얼굴 생김새)를 맞출 필요가 있다. 이 위치 정렬에는, 많은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6585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라이닝재를 축성한 기제작 기준 의치를, 환자의 구강 내 등의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라이닝재로 이루어지는 의치 제작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소정의 구조를 갖는 지그(트레이)에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상하 기준 의치의 교합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라이닝재가 경화될 때까지의 동안, 기준 의치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해 둘 수 있음을 알아냈다. 나아가, 소정의 구조를 갖는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기준 의치의 배치 위치를 보다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기준 의치란, 인공치가 미리 배열되어 있는 기제작 의치이며, 라이닝재에 의해 라이닝되지 않은 의치를 말한다. 한 쌍의 기준 의치란, 상악 기준 의치 및 하악 기준 의치를 말한다. 전치열이란, 좌악 제2 대구치에서부터 우악 제2 대구치까지의 14치를 포함하는 치열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환자(사람)의 구강 내뿐만 아니라, 상하 무치악 모형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은, 상하 무치악 모형에 적용할 수 있고, 환자(사람)에게 직접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외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환자(사람)에게 직접 적용하는 경우를 포함시켜 설명한다.
[1] 기준 의치를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구강 내 또는 상기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하는 지그이며,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는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한 쌍의 기준 의치가 적재되고,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한 쌍의 기준 의치가 임시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상하 기준 의치의 교합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2]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접합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1]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는 손잡이부가 접합되어 있고, 이러한 손잡이부를 통하여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3]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중 지표를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구강 외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위치 정렬의 지표로서,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중 지표를 갖고 있다. 이 정중 지표를 사용하여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4] 상기 정중 지표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정중 지시용 핀인 [3]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구강 외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위치 정렬의 지표로서,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를 나타냄과 함께,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정중 지시용 핀을 갖고 있다. 이 정중 지시용 핀을 사용하여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5] 상기 정중 지시용 핀의 길이가 30 내지 60mm인 [4]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길이가 30 내지 60mm인 정중 지시용 핀을 갖고 있다.
[6] 상기 정중 지시용 핀이,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4] 또는 [5]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정중 지시용 핀이,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이며 손잡이부의 긴 변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정중 지시용 핀은 슬라이드시켜도,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를 계속해서 지표하고 있다.
[7] 상기 정중 지시용 핀이, 상기 정중 지시용 핀의 일단측 또는 양단측에, 상기 정중 지시 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를 갖는 [4]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정중 지시용 핀의 일단측 또는 양단측에, 상기 정중 지시 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를 갖는다. 이 로드의 선단을, 이순구나 전액부 등, 또는 그것에 대응하는 교합기의 부재에 접촉시킴으로써, 기준 의치를 배치할 전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8] 상기 로드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7]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로드가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얼굴의 크기 등에 따라, 기준 의치를 배치할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9]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구강 외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위치 정렬의 지표로서,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고 있다. 이 평면 지표를 사용하여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10]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는 [2]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손잡이부에 평면 지표를 갖고 있다.
[11] 상기 평면 지표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평면 지표가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얼굴의 크기 등에 따라, 기준 의치를 배치할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12] 상기 평면 지표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9] 또는 [10]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예를 들어 대략 U자 내지 V자 형상을 갖는 평면 지표가,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얼굴의 크기 등에 따라 평면 지표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13]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기준 의치
로 이루어지는 의치 제작 키트.
이 의치 제작 키트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미리 형상이 정해진 기준 의치로 이루어지고, 기준 의치를 구강 내에 배치할 때 사용된다.
[14]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기준 의치와,
라이닝재
로 이루어지는 의치 제작 키트.
이 의치 제작 키트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미리 형상이 정해진 기준 의치와, 라이닝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여, 기준 의치를 구강 내에 배치함과 함께,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구강 내의 점막 형상 등을 인기함으로써 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15]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이어서, 상기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제작 방법.
이 의치 제작 방법은,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여, 기준 의치를 구강 내에 배치함과 함께,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이다.
[16] [7] 또는 [8]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상기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상기 로드의 선단을,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상악 전정부 최하점에 맞닿게 함과 함께, 상기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제작 방법.
이 의치 제작 방법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로드 선단을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상악 전정부 최하점에 맞닿게 함으로써, 기준 의치의 전후의 위치 관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정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이다.
[17] [7] 또는 [8]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상기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상기 로드의 선단을,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하악 전정부 최하점에 맞닿게 함과 함께, 상기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제작 방법.
이 의치 제작 방법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로드의 선단을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하악 전정부 최하점에 맞닿게 함으로써, 기준 의치의 전후의 위치 관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정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이다.
[18] [9] 내지 [12]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상기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상기 평면 지표와,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가상 교합 평면을 일치시킴과 함께, 상기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제작 방법.
이 의치 제작 방법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평면 지표를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가상 교합 평면에 맞춤으로써, 기준 의치의 상하의 위치 관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정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이다.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의치 제작 방법은, 환자의 구강 내 등의 최적의 위치에 기준 의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합성이 높은 의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과 의사, 치과기공사 및 환자의 부담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정중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정중 지시용 핀을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로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6은, 평면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7은, 평면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a)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a)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a)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로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직, 직교란, 각도 90도인 경우뿐만 아니라, 80 내지 100도의 범위를 포함하기로 한다. 또한, 평행이란, 완전 평행인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완전 평행에 대하여 -10 내지 +10도의 범위를 포함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또한,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있어서, 저면도는 평면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우측면도는 좌측면도와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도 1 중, 도면 부호 100은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고, 13은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이다.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에는,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 및 (c) 중, 선 A-B는 기준 의치의 교합면을 나타낸다.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는, 구강 내 등에 삽입되기 때문에,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적당한 탄성에 의해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0)의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에 형성되는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으로서는, 후술하는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예를 들어,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를 탄성 재료로 구성함과 함께, 해당 홈을 기준 의치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구조가 예시된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1)의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에는,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각각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준 의치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0)에 보유 지지된다. 한 쌍의 기준 의치가 보유 지지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0)는, 상악 기준 의치와 하악 기준 의치가 소정의 교합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람의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0)를 사용함으로써, 상악 기준 의치와 하악 기준 의치가 소정의 교합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구강 내 등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손잡이부를 갖는 기준 의치 위치 정렬 지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손잡이부는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접합되어 있고, 손잡이의 형상은 손으로 보유 지지하기 쉬운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막대형이나 평판형, 손가락 형태에 맞는 요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평판형의 경우에는 평면이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어도 평행이어도 비스듬해도 된다. 후술하는 평면 지표의 기능을 갖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에 대하여 평행인 평판형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또한,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있어서, 저면도는 평면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우측면도는 좌측면도와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도 2 중, 도면 부호 101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를 갖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고, 11은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에 접합된 손잡이부이다.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1)의 손잡이부(11)는, 한 쌍의 기준 의치를 사람의 구강 외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길이로 구성된다. 손잡이부(11)의 길이는, 통상 50 내지 200mm이며, 60 내지 1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의치의 상악 전치 절연과, 손잡이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는 높이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준 의치의 상악 전치 절연과, 손잡이의 하면의 일부의 높이를 맞추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심미성에 영향을 주는 상악 전치의 상하 위치를, 손잡이의 상면 또는 하면의 위치에 따라 확인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두께는 1 내지 3mm가 바람직하고, 2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손잡이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써, 손잡이와 윗입술 및/또는 아랫입술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전치 절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는, 손잡이부(11)에 접합되어 있지만, 이러한 접합은, 일체 성형에 의해 달성되어도 되고, 손잡이부(11)와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13)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1)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1)의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에는,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각각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준 의치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1)에 보유 지지된다. 이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보유 지지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1)는, 사람의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손잡이부(11)를 외부로부터 조작함으로써,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의 위치가 조정된다.
정중 지표를 갖는 기준 의치 위치 정렬 지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정중 지표는 기준 의치의 정중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면 되며, 위치 정렬 지그의 어떠한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정중 지표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의치 보유 지지부에 배치된 핀, 돌기, 홈이나 인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의치 보유 지지부에 접합된 손잡이부에 핀, 돌기, 홈이나 인쇄 등을 배치해도 된다. 정중 지표가 핀인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의 길이에 따라 기준 의치의 상하 위치의 지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하 위치의 지표로서는, 위치 정렬 지그에 별도 게이지를 부여해도 되고, 정중 지표 자체에 게이지를 부여해도 된다.
도 3은, 정중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또한,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있어서, 저면도는 평면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우측면도는 좌측면도와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중, 도면 부호 102는 정중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고, 21은 손잡이부(11)에 접합된 정중 지표이다. 이 정중 지표(21)는, 손잡이부(11)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것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1)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중 지표(21)는, 도 3과 같이 교합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핀이어도 되고, 돌기나 홈, 인쇄 등이어도 된다. 기준 의치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정중 지표는 핀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30 내지 6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내지 5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핀은 다단계 내지 무단계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범위의 길이를 갖고 있음으로써, 의치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특히 교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교합기의 소정 개소와 핀의 일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기준 의치의 상하 위치의 지표로 할 수도 있다.
이 핀(정중 지시용 핀)은, 손잡이부(11)에 있어서,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정중 지시용 핀을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손잡이부(11)에는 슬라이드용 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정중 지시용 핀(21)은 이 홈을 따라, 도 4의 (b) 중의 부호 C의 범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 중, 부호 33은 너트이다. 즉, 정중 지시용 핀(21)은, 너트(33)를 풀음으로써, 홈(3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너트(33)를 조임으로써, 정중 지시용 핀(21)은 소기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2)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측면도이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2)의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에는,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각각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준 의치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2)에 보유 지지된다. 이때, 각 기준 의치의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는, 정중 지표(정중 지시용 핀)(21)에 일치하도록 끼워 맞추어진다.
이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보유 지지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2)는, 사람의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손잡이부(11)를 외부로부터 조작함으로써,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의 위치가 조정된다.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2)는, 정중 지표(21)를 갖고 있으므로, 환자의 구강 외 또는 교합기 외로부터, 이 정중 지표(21)를 사용하여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사람 얼굴의 코끝과 정중 지표의 일단과 타단이 일직선 상에 존재하도록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기준 의치의 위치나 좌우의 기울기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정중 지시용 핀은, 구강 내 또는 교합기 내에 있어서의 기준 의치의 깊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하는 지표로도 된다. 정중 지시용 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경우, 사람 얼굴이나 교합기의 크기에 따라, 정중 지시용 핀의 위치는 적절하게 조정된다.
구강 내 또는 교합기 상에서 기준 의치의 전후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로드를 갖는 기준 의치 위치 정렬 지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로드는 위치 정렬 지그의 어떠한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로드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 손잡이부, 정중 지표 등 중 어느 것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로드는 안면 또는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의 정중에 해당하는 부분과 접촉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전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중 지표인 정중 지시 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는 다단계 내지 무단계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는, 정중 지시 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또한,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있어서, 저면도는 평면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우측면도는 좌측면도와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중, 도면 부호 104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고, 41, 45는 로드, 43, 47은 로드(41)의 선단에 접합된 맞닿음부이다. 로드(41)는, 손잡이부(11)의 상측(즉, 상악측)에 마련된 정중 지시용 핀(21)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손잡이부(11)의 긴 변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드(45)는, 손잡이부(11)의 하측(즉, 하악측)에 마련된 정중 지시용 핀(21)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손잡이부(11)의 긴 변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로드(41 및 45)는, 정중 지시용 핀과 일체로 되어 성형되어도 된다. 또한, 정중 지시용 핀(21)은, 손잡이부(11)에 있어서,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닿음부(43, 47)는 사람 얼굴이나 교합기의 표면에 맞닿게 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가 아니며, 로드의 선단을 사람 얼굴이나 교합기의 표면에 직접 맞닿게 해도 된다. 또한, 맞닿음부(43, 47)는, 로드(41, 45)와 일체로 되어 성형되어도 된다.
로드(41 및 45)는, 정중 지표(21)에 있어서,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이며, 손잡이부(11)의 긴 변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로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로드(42 및 46)는,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과 평행 방향이며, 도 12의 (b) 중의 부호 D의 범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4)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0의 (b)는 측면도이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4)의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에는,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각각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때, 각 기준 의치의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는, 정중 지표(정중 지시용 핀)(21)에 일치하도록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준 의치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4)에 보유 지지된다.
이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보유 지지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4)는, 사람의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손잡이부(11)를 외부로부터 조작함으로써,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때, 상악측의 맞닿음부(43)는, 코밑점 또는 교합 모형 상의 상악 전정부 최하점에 맞닿게 한다. 하악측의 맞닿음부(47)는, 하악 융기 또는 모형 상의 하악 전정부 최하점에 맞닿게 한다.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4)는, 로드(41, 45)를 갖고 있으므로, 환자 얼굴의 일부 또는 교합기에 로드의 선단을 맞닿게 함으로써, 구강 내 또는 교합기 내에 있어서의 기준 의치의 깊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평면 지표는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요소를 갖고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기준 의치 위치 정렬 지그의 어떠한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교합 평면과 평행으로 배치된 핀, 블레이드, 홈, 인쇄나 복수의 돌기 등이, 의치 보유 지지부, 손잡이부나 정중 지표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의치 보유 지지부에 접합된 손잡이 그 자체를 평면 지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시인성의 관점에서, 평면 지표는 손잡이부에 배치된 블레이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블레이드는 안면을 따르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평면 지표인 해당 블레이드는, 사람 얼굴이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에 대하여 시인하기 쉬운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매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교합 평면과 평행을 유지한 채, 블레이드의 각도를 변경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전후 좌우로의 슬라이드 기구를 가져도 된다.
도 6은,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중, 도면 부호 105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고, 51은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이다. 이 평면 지표(51)는, 손잡이부에 접합된 블레이드이며, 사람 얼굴 또는 교합기의 형상을 따르도록, U자 내지 V자형 형상을 갖고 있다(도 5에 있어서는 U자 형상). 평면 지표(51)는,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은,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중, 도면 부호 106은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고, 61, 63은 블레이드이다. 이 2매의 블레이드(61, 63)는,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이다. 이 블레이드(61, 63)는, 정중 지시용 핀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사람 얼굴의 크기나 교합기의 크기에 따라, 블레이드(61, 63)를 회동시킴으로써, 평면 지표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5)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또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1의 (b)는 측면도이다.
이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5)의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15)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17)에는,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각각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된다. 이때, 각 기준 의치의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는, 정중 지표(정중 지시용 핀)(21)에 일치하도록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기준 의치가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5)에 보유 지지된다.
이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가 보유 지지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105)는, 사람의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손잡이부(11)를 외부로부터 조작함으로써, 상악 기준 의치(91) 및 하악 기준 의치(93)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때, 평면 지표(51)의 전후 좌우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확인함으로써, 구강 내 또는 교합기 내에 있어서의 기준 의치의 교합면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교합기 내에 있어서의 경우에는, 평면 지표(51)와, 상하 무치악 모형에 있어서의 가상 교합 평면을 일치시킴으로써, 기준 의치의 교합면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의치 제작 키트)
본 발명의 부분 상의치 제작 키트는, 전술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기준 의치로 이루어지고, 라이닝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기준 의치란, 미리 형상이 정해진 기제작 의치이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65850호에 기재된 기준 의치를 사용할 수 있다. 기준 의치는, 소정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기만 하여 용이하게 환자의 구강 형상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제화된 의치를 사용함으로써, 의치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라이닝재로서는, 공지의 것을 전혀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니트릴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불소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의치 제작 키트)
상기 의치 제작 키트를 사용하는 의치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우선 본 발명의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소정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고,
이어서 이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한 지그를 사람의 구강 내 또는 교합기 내에 삽입하여,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한다. 이에 의해, 사람의 구강 내 또는 교합기에 세트된 모형의 내면 형상이 라이닝재에 인기되어, 의치가 제작된다.
<실시예>
(참고예 1)
마네킹(닛심 타입 II, 닛신제)에 상하 무치악 모형을 설치하여, 통상법에 따라, 이하의 설정 위치에서 상하 총의치를 제작하였다.
(의치의 설정 위치)
(1) 전치부 좌우: 무치악 모형의 정중과, 총의치의 좌우 중절치의 접촉점을 일치시킨다(상하악 모두).
(2) 어금니부 좌우: 무치악 모형의 정중과, 총의치의 좌우 제1 대구치 중심와를 연결하는 선의 중점을 일치시킨다(상하악 모두).
(3) 전치부 상하: 상악 총의치의 전치부에 있어서, 상연(床緣)에서부터 중절치 절연까지의 거리를 22mm(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로 한다.
(4) 전치부 상하: 하악 총의치의 전치부에 있어서, 상연에서부터 중절치 절연까지의 거리를 20mm로 한다.
(5) 전치부 상하: 상하 총의치를 교합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악 전치부 상연에서부터 하악 전치부 상연까지의 거리를 40mm로 한다(상하악의 중절치가 2mm 수직적으로 피개됨).
(6) 어금니부 상하: 코밑점으로부터 이주점을 연결한 평면(캠퍼 평면)과, 하악 중절치 절연과 좌우 하악 제2 대구치 원심 볼측 교두정을 연결하는 평면을 평행으로 한다.
※ 하악에 평판을 얹고, 캠퍼 평면과의 기울기의 차를 분도기로 측정
(7) 전후: 상악 무치악 모형의 절치 유두 중심점에서부터 상악 중절치 절연까지의 거리를 9mm로 한다(사진을 촬영하고, 투영도에 있어서의 거리를 측정).
(실시예 1)
10명의 피험자에, 상하 기준 의치와 경질 라이닝재(제품명: 도쿠야마 리베이스 III) 및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여 총의치를 제작시켰다. 얻어진 총의치의 위치(상기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각 파라미터를 참고예 1에서 제작한 총의치와 비교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 판정하였다. 각 파라미터에 있어서 ○의 인원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위치 정렬 지그는, 도 2에 기재하는 구조의 것이다. 이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기준 의치를 세트하고, 기준 의치 내면에 경질 라이닝재를 얹어, 마네킹의 구강 내에 삽입하고, 라이닝재에 점막면 형상을 인기, 경화시킴으로써 의치를 제작시켰다.
(실시예 2)
위치 정렬 지그로서, 도 2에 기재하는 구조의 것의 손잡이부에 정중 지시 라인이 나타나 있는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의치를 제작시켰다. 또한, 제작 시에는, 정중 지시 라인과 마네킹의 정중을 맞추도록 지시하였다.
(실시예 3)
위치 정렬 지그로서, 도 3에 기재하는 구조의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의치를 제작시켰다. 정중 지시용 핀의 길이는 40mm이다(손잡이를 중심으로 상하 20mm씩, 총 40mm). 또한, 제작 시에는, 정중 지시용 핀의 상단과 마네킹의 코밑점을 맞추고, 정중 지시 핀의 하단을 마네킹의 하악 융기(수평적인 최풍융부)에 맞추도록 지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위치 정렬 지그에, 도 6에 기재하는 평면 지표를 추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의치를 제작시켰다. 또한, 제작 시에는, 평면 지표를, 마네킹의 코밑점과 이주점을 연결하는 캠퍼 평면과 평행으로 할 것을 지시하였다.
(실시예 5)
위치 정렬 지그로서, 도 6에 기재하는 구조의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의치를 제작시켰다. 기준 의치를 위치 정렬 지그에 설치하고, 마네킹의 구강 내에 삽입시켰다.
마네킹의 아랫입술과 위치 정렬 지그의 기준 의치 고정부가 가볍게 접촉하는 위치에서 전후 위치가 고정되도록, 정중 지시 핀을 슬라이드시켜, 로드가 마네킹의 하악 융기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고정시켰다. 그 상태에서 구강 외로 기준 의치와 위치 정렬 트레이를 취출하였다. 그 후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의치를 제작시켰다.
(비교예 1)
위치 정렬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10명의 피험자에, 상하 기준 의치와 경질 라이닝재(제품명: 도쿠야마 리베이스 III)를 사용하여 총의치를 제작시켰다. 얻어진 총의치의 위치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참고예 1에서 제작한 총의치와의 차가,
기준 (1) 전치부 좌우: 3.0mm 이내를 ○, 그 이상을 ×
기준 (2) 어금니부 좌우: 3.0mm 이내를 ○, 그 이상을 ×
기준 (3) 전치부 상하: ±3.0mm 이내를 ○, 그 이상을 ×
기준 (4) 전치부 상하: ±3.0mm 이내를 ○, 그 이상을 ×
기준 (5) 전치부 상하: ±5.0mm 이내를 ○, 그 이상을 ×
기준 (6) 어금니부 상하: ±5도 이내를 ○, 그 이상을 ×
기준 (7) 전후: ±2.0mm 이내를 ○, 그 이상을 ×
로 하였다.
또한, 기준 (8)로서, 교합기 상의 모형에 설치된 상하 총의치의 교합 위치가, 참고예 1에서 제작한 총의치와 동일한 것을 ○, 상이한 것을 ×로 하였다.
Figure 112019117751253-pct00001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11: 손잡이부
13: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
15: 상악 의치 보유 지지 홈
17: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
21: 정중 지표
31: 슬라이드용 홈
33: 너트
41, 42, 45, 46: 로드
43, 47: 맞닿음부
51: 평면 지표
61, 63: 블레이드
91: 상악 기준 의치
93: 하악 기준 의치

Claims (18)

  1. 상악 기준 의치 및 하악 기준 의치를 구강 내 또는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구강 내 또는 상기 상하 무치악 모형이 고정된 교합기에 있어서의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및 상기 하악 기준 의치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위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이며,
    상기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는, 상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 및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을 갖는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접합되는 손잡이부를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 및 상기 하악 기준 의치 보유 지지 홈은,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및 상기 하악 기준 의치의 교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평판형이며, 상기 손잡이부의 평면이 상기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및 하악 기준 의치의 교합면과 평행이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하면의 높이와 상기 상악 기준 의치의 상악 전치 절연의 높이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의 두께가 1 내지 3mm인,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및 상기 하악 기준 의치의 중절치의 정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중 지표를 갖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중 지표가,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및 상기 하악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정중 지시용 핀인,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중 지시용 핀이, 상기 정중 지시용 핀의 일단측 또는 양단측에, 상기 정중 지시 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합된 로드를 갖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의치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상악 기준 의치 및 상기 하악 기준 의치의 교합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 지표를 갖는,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기준 의치
    로 이루어지는, 의치 제작 키트.
  14.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와,
    기준 의치와,
    라이닝재
    로 이루어지는, 의치 제작 키트.
  15.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에 기준 의치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기준 의치의 내면측에 라이닝재를 축성하고,
    이어서, 상기 기준 의치에 축성된 라이닝재에 형상을 인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제작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97033908A 2017-05-10 2018-05-10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KR102482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3810 2017-05-10
JP2017093810 2017-05-10
PCT/JP2018/018096 WO2018207867A1 (ja) 2017-05-10 2018-05-10 基準義歯用位置合せ冶具、義歯作製キット、及びこれらを用いる義歯作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17A KR20200004817A (ko) 2020-01-14
KR102482638B1 true KR102482638B1 (ko) 2022-12-30

Family

ID=6410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08A KR102482638B1 (ko) 2017-05-10 2018-05-10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59297B2 (ko)
EP (1) EP3636213B1 (ko)
JP (1) JP6959662B2 (ko)
KR (1) KR102482638B1 (ko)
CN (1) CN110769778B (ko)
CA (1) CA3063024A1 (ko)
RU (1) RU2771108C2 (ko)
WO (1) WO2018207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828B2 (en) * 2017-10-05 2021-03-23 Gc Corporation Method for designing denture,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and positioning means
CN113597290B (zh) 2019-03-28 2023-08-25 德山齿科株式会社 义齿以及义齿的制造方法
JP7381075B2 (ja) 2020-02-14 2023-11-15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義歯作製用治具
CN112294471B (zh) * 2020-10-27 2021-11-26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可调式颌骨囊肿塞治器印模托盘
JP6928420B1 (ja) * 2021-01-25 2021-09-01 株式会社松風 応急用義歯セット、応急用義歯装着キット及び義歯の装着方法
CN117119996A (zh) 2021-05-18 2023-11-24 德山齿科株式会社 义齿基托用材料包装体及义齿的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239A (ja) 1998-08-06 2000-02-22 Sankin Ind Co 歯科用トレー
JP2006305125A (ja) 2005-04-28 2006-11-09 Toshizumi Hino バイトフォーク及びこれを備えた下顎運動測定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診断支援システム又は診断支援システムを用いた咬合状態の再現方法
US20120295219A1 (en) 2009-10-14 2012-11-22 Jorge Avelino Monteiro Geras Dental articulator for positioning the arcades without the use of plast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4111A (en) * 1967-05-09 1969-09-02 Peter G Bidstrup Complete prosthetic denture and method for self-fitting
USRE27847E (en) * 1972-02-14 1973-12-18 Method of producing a muscularly balanced closure op the human mandible
US4059899A (en) * 1975-10-23 1977-11-29 Dyal John P Method for fitting dentures to various jaw positions
JPS5551447Y2 (ko) * 1977-06-29 1980-12-01
US4892480A (en) * 1988-09-14 1990-01-09 Levandoski Ronald R Face bow
JP3449733B2 (ja) * 1990-07-02 2003-09-22 株式会社クラレ 義歯作製セットおよび義歯の作製方法
JP2873671B2 (ja) * 1995-04-18 1999-03-24 医療法人社団健心会 簡易式総入れ歯
US5954503A (en) * 1997-01-15 1999-09-21 Skarky; Floyd E. Dental device for positioning the mandible and the maxilla in centric relation and methods for using same
RU2200501C2 (ru) * 2000-12-13 2003-03-20 Дагеста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централь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челюстей при полном отсутствии зубов
US6413085B1 (en) * 2001-02-20 2002-07-02 Panadent Corporation System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eeth
US20100021862A1 (en) * 2008-07-24 2010-01-28 James Mah Novel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patients for dental imaging
US7988450B2 (en) * 2008-09-25 2011-08-02 Phillip Phung-I HO Dental impression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HUP1000387A2 (en) * 2010-07-22 2012-02-28 Laszlo Dr Kolozsvary Process and apparatus for computer-controlled restoration of teeth
RU2527838C1 (ru) * 2013-01-10 2014-09-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м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 фиксации централь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челюстей
CA2918688A1 (en) * 2013-07-19 2015-01-22 PX3 SPORTS SCIENCE, a trade name of P3 ATHLETICS INC. Performance enhancing bite regulator and self-impression system and method of custom fitting same
JP6294706B2 (ja) 2014-03-03 2018-03-14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基準義歯床、基準義歯、義歯作製キット及び義歯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239A (ja) 1998-08-06 2000-02-22 Sankin Ind Co 歯科用トレー
JP2006305125A (ja) 2005-04-28 2006-11-09 Toshizumi Hino バイトフォーク及びこれを備えた下顎運動測定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診断支援システム又は診断支援システムを用いた咬合状態の再現方法
US20120295219A1 (en) 2009-10-14 2012-11-22 Jorge Avelino Monteiro Geras Dental articulator for positioning the arcades without the use of pl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67129A1 (en) 2019-11-21
RU2019140342A3 (ko) 2021-09-10
WO2018207867A1 (ja) 2018-11-15
EP3636213B1 (en) 2023-11-22
AU2018267129A8 (en) 2022-06-23
CN110769778B (zh) 2022-04-12
US11759297B2 (en) 2023-09-19
EP3636213A4 (en) 2021-01-13
CN110769778A (zh) 2020-02-07
RU2771108C2 (ru) 2022-04-26
RU2019140342A (ru) 2021-06-10
KR20200004817A (ko) 2020-01-14
US20210137652A1 (en) 2021-05-13
JPWO2018207867A1 (ja) 2020-04-02
BR112019023496A2 (pt) 2020-05-19
EP3636213C0 (en) 2023-11-22
JP6959662B2 (ja) 2021-11-02
EP3636213A1 (en) 2020-04-15
CA3063024A1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638B1 (ko)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JP5411260B2 (ja) 義歯、歯列弓、及び製造方法
US7699607B2 (en) Locating and measuring device of facial anatomical parameters
US20100119992A1 (en) Artificial tooth
CN113412098B (zh)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US20200093582A1 (en) Dental Measuring Instrument
EP3203928B1 (en) Three-dimensional markers for axiography and individual values determination
KR101394887B1 (ko) 고딕 아치 트레이서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cad cam 총의치 제작 방법
KR200480959Y1 (ko) 총의치 복원 장치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ES2374491T3 (es) Elemento de placa para fabricar una prótesis dental.
KR102220330B1 (ko) 스마트 틀니 제작 장치
RU114844U1 (ru) Постановочный столик для артикулятора
JP2002263120A (ja) 義歯製作装置
JP5276141B2 (ja) 歯科用定規
CN209074957U (zh) 一种种植体近远中植入位置快速定位尺
KR101879523B1 (ko) 교합 채득 용구
BR112019023496B1 (pt) Gabarito padrão de alinhamento de dentadura, kit de preparação de dentadura e método para preparar dentadura usando o gabarito e o kit
TWM485013U (zh) 咬合定位的x光持片器
JP2001112787A (ja) 歯科用印象トレー
JPH0722587B2 (ja) 人工歯位置決め用の定規およびその使用方法
TWM469884U (zh) 口腔矯正植體手術用定位測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