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23B1 - 교합 채득 용구 - Google Patents

교합 채득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23B1
KR101879523B1 KR1020167025968A KR20167025968A KR101879523B1 KR 101879523 B1 KR101879523 B1 KR 101879523B1 KR 1020167025968 A KR1020167025968 A KR 1020167025968A KR 20167025968 A KR20167025968 A KR 20167025968A KR 101879523 B1 KR101879523 B1 KR 101879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rved plate
occlusion
side curved
occlu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212A (ko
Inventor
히로시 가모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16012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합 채득시에 기구의 기울어짐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정확한 교합 채득이 가능하게 되는 교합 채득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환자의 입술과 악제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할 만곡한 판 형상의 후방측 곡면판(21)과, 후방측 곡면판에 대하여 한쪽 판면을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어 입술에 접하여 전방에 배치되어야 할 판 형상의 전방측 곡면판(25)을 갖고, 전방측 곡면판의 판면 중, 다른 쪽 판면에는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26, 27)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합 채득 용구{DENTAL OCCLUSION SAMPLING TOOL}
본 발명은, 치과 치료시에 교합 위치를 정확하고 또한 간편하게 채득하는 교합 채득 용구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에 있어서, 특히 무치악 환자에 대하여 총의치 등을 제작하는 경우, 통상은 처음에 상하의 악제에 대하여 각각 인상을 채득하고, 이 인상으로부터 구강 내의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 그리고 석고 모형을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납제에 의해 교합상을 제작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환자의 교합 상태에 맞추는 조정을 행한다. 이때 교합 채득에 의해 채득한, 환자의 교합 상태를 전사한 인상을 참조하면서 조정이 행해진다. 그 후 인공치를 배열하는 등의 통상의 수순에 의해 총의치 등의 치과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에 의해 환자의 다물기 상태도 재현하여, 보다 쾌적하게 장착 및 사용할 수 있는 치과 보철물이 제작된다.
여기에서 행해지는 교합 채득에는, 숙련과 경험이 필요하고, 시술자에 의한 차이가 크고, 정확한 교합 채득을 행할 수 없어 결과로서 환자에게 맞지 않는 것을 제공하게 되거나, 다시 교합 채득부터 재실행하여 새로운 총의치 등을 제작하게 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보다 정확한 교합 채득을 행하기 위해서, 앞니의 표준적인 형상을 갖는 복수의 더미치가 일체화된 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교합 채득시에 교합상에 당해 지그를 설치함으로써, 정중이나 교합 평면 등을 정확하게 정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487호 공보
그러나, 교합 위치를 정할 때에는 환자마다의 개별 상태에 기초할 필요가 있고,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지그를 사용해도 표준적인 것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 환자에게 대응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특히, 교합 채득시에는 기구가 의도하지 않게 기울어져 어긋남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환자의 코, 눈, 귀의 위치와 대비하여 개별로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특허문헌 1을 비롯한 종래의 기구에는 환자마다 기울어짐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시술자가 다른 도구를 사용하거나 하여 독자의 방법으로 조정을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합 채득시에 기구의 기울어짐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정확한 교합 채득이 가능하게 되는 교합 채득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도면에 붙인 참조 부호를 괄호 쓰기로 함께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입술과 악제 사이에 배치되어야 할 만곡된 판 형상의 후방측 곡면판(21)과, 후방측 곡면판에 대하여 한쪽 판면을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고, 입술에 접하여 전방에 배치되어야 할 판 형상의 전방측 곡면판(25)을 갖고, 전방측 곡면판의 판면 중, 다른 쪽 판면에는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26, 27)가 설치되어 있는, 교합 채득 용구이다.
본 발명에서는, 돌조(26, 27)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교합 채득 용구에 의하면, 교합 채득시에 돌조를 사용하여, 이 돌조를 환자의 코, 눈, 귀 등과 대비하여 위치 관계 등으로부터 수평, 수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교합 채득시에 있어서의 의도하지 않은 기울어짐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여 정확한 교합 채득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a)는, 교합 채득 용구(10)의 사시도, 도 1의 (b)는 다른 방향에서 본 교합 채득 용구(10)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와 같은 시점에서 본 교합 채득 용구(10)의 분해 사시도, 도 2의 (b)는 도 1의 (b)와 같은 시점에서 본 교합 채득 용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교합 채득 용구(1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교합 채득 용구(10)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5는, 교합 채득 용구(1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교합 채득 용구(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교합 채득 용구(10)의 다른 자세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교합 채득 용구(10)를 사용하여 교합 채득을 하는 장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하나의 형태에 관한 교합 채득 용구(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하나의 시점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다른 시점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교합 채득 용구(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a)와 같은 시점, 도 2의 (b)는 도 1의 (b)와 같은 시점에 의한 도면이다. 도 3은 교합 채득 용구(10)의 평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은 시점에 의한 분해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화살표 V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교합 채득 용구(10)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화살표 VI-VI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합 채득 용구(10)는, 본체(20) 및 조정용 축(40)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본체(20)는, 교합 채득 용구(10)를 구강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형성된 부재이고, 후방측 곡면판(21), 전방측 곡면판(25) 및 연결부(30)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0)에는, 후방측 곡면판(21), 전방측 곡면판(25) 및 연결부(30)를 하나의 직선상의 축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곡면판(21)은 구강 내의 상하 악제와 볼(입술)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고, 이 부위의 구강 내 형상에 대응하여 한쪽 판면이 오목 형상, 다른 쪽 판면이 볼록 형상이 되도록 활 모양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방측 곡면판(21)은 구강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만곡 방향의 단부를 향하여 판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게다가 만곡 방향 중앙 부분에서 판 폭이 좁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측 곡면판(21)은 상하 악제와 볼(입술)과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 두께는 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후방측 곡면판(21)을 구강 내에 배치할 때에 저항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 곡면판(21)에는 그 표리의 판면 각각에, 만곡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돌기인 돌조(22)(오목면측) 및 돌조(23)(볼록면측)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조(22, 23)는 만곡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측 곡면판(21)의 만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5의 지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22, 23)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관통 구멍(35)의 축선과 동일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조(22, 23)의 길이, 폭 및 돌출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길이는 후방측 곡면판(21)의 만곡 방향 양단부에까지 달하고, 폭 및 돌출 높이는 1mm 정도이면 된다.
또한, 돌조(22, 23)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전방측 곡면판(25)은 후방측 곡면판(21)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고, 본 형태에서는 한쪽 판면이 오목 형상, 다른 쪽 판면이 볼록 형상이 되도록 활 모양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측 곡면판(25)은 그 오목 형상측의 면이 후방측 곡면판(21)의 볼록 형상측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방측 곡면판(25)과 후방측 곡면판(21)과의 사이에, 상하의 입술이 배치되게 되므로, 양자 간의 간극은 일반적인 입술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형태에서는 전방측 곡면판(25)은 정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타원 형상이다. 이에 의해 교합 채득 용구(10)를 구강에 배치할 때에 저항을 줄이기 쉬워진다.
또한, 전방측 곡면판(25)에는 적어도 볼록 형상이 되는 측의 면(후방측 곡면판(21)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만곡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인 돌조(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조(26)는 만곡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합 채득시에 있어서 교합 채득 용구(10)의 기울어짐을 조정하는 지표로 할 수 있다. 또한, 돌조(26)는 전방측 곡면판(25)을 보강하는 리브로서도 기능하고, 전방측 곡면판(25)이 휘는 것을 억제한다.
전방측 곡면판(25)의 만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5의 지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26)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관통 구멍(35)의 축선과 동일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평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후방측 곡면판(21)의 돌조(23)와 일직선이 된다.
또한, 전방측 곡면판(25)에는 적어도 볼록 형상이 되는 측의 면(후방측 곡면판(21)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만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연장하는 돌기인 돌조(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조(27)는 만곡 방향에 직교하고, 평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돌조(26)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측 곡면판(25)의 만곡 방향(도 5의 지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27)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관통 구멍(35)의 축선과 동일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조(27)를 사용하여 교합 채득시에 정중선을 맞출 수 있다.
돌조(26, 27)의 길이, 폭 및 돌출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길이는 전방측 곡면판(25)의 단부에까지 달하고, 폭 및 돌출 높이는 1mm 정도이면 된다.
연결부(30)는 전방측 곡면판(25)과 후방측 곡면판(21)을 상기한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부재이고, 전방측 곡면판(25)과 후방측 곡면판(21)을 만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5의 시점에서 상하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교합 채득 용구(10)의 사용시에 전방측 곡면판(25)과 후방측 곡면판(21)과의 사이에 입술을 배치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35)은 전방측 곡면판(25), 연결부(30) 및 후방측 곡면판(21)을 하나의 직선 형상의 축선을 따라 관통하는 구멍이고, 조정용 축(40)의 축부(41)를 관통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또한, 관통 구멍(35)은 전방측 곡면판(25), 후방측 곡면판(21)의 만곡 오목 형상측의 저부(볼록 형상측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는 부드러운 상하 입술로 물어 지지되므로, 부드러움과 강도를 겸비한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 내에 배치되는 점에서, 인체에 무해한 것인 것이 필요하고, 재이용 가능하도록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해도 파손이나 변형되기 어려운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용 축(40)은 여기에 포함되는 혀 유지부(4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부재이고, 축부(41) 및 혀 유지부(42)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축부(41)는 혀 유지부(42)를 이동 가능하게 본체(20)에 유지하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한 관통 구멍(35)을 관통하는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인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지만, 본 형태에서는 단면 형상이 U자 형상이고, 하나의 면끼리가 대향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판이 다른 판에 의해 일단부끼리 연결된 형상이다.
축부(41)의 길이는 관통 구멍(35)을 관통하여, 그의 일단부가 후방측 곡면판(21)으로부터 돌출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전방측 곡면판(2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혀 유지부(42)는 축부(41)의 단부 중, 후방측 곡면판(21)측의 단부에 배치된 용기 형상(사발 형상)의 부재이고, 혀 유지부(42)의 돌출측 정상부가 축부(41)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축부(41)의 단부 중 혀 유지부(42)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에서, 전방측 곡면판(25)측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는 축부(41)가 관통 구멍(3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빠짐 방지가 형성되어도 된다. 빠짐 방지의 구체적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당해 단부의 일부를 굵게 형성하거나, 돌기를 형성하거나, 환상의 고무를 배치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축부(41)의 단부 중 혀 유지부(42)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에서, 전방측 곡면판(25)측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는, 평면에서 보아(도 5의 시점) 전방측 곡면판(25)의 돌조(26)와 동일 위치에 절결(41a)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돌조(26)에 의해 기울어짐을 조정할 때에 축부(41)가 있어도 절결(41a)을 통하여 돌조(26)를 보기 쉬워진다.
조정용 축(40)을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한 본체(2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교합 채득 용구(10)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용 축(40)의 축부(41)를 관통 구멍(35) 내에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혀 유지부(42)를 이동시켜, 후방측 곡면판(21)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교합 채득 용구(1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교합 채득 용구(10)를 사용하여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를 제작할 때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 곡면판(21)과 혀 유지부(42)와의 사이에 인상재(1)를 담고,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한다. 그 때에는 후방측 곡면판(21)의 돌조(22)나, 축부(41)의 상기한 단면(U자 형상 단면)의 형상에 의해 인상재(1)의 유지가 보다 견고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본체(20)의 후방측 곡면판(21)과 전방측 곡면판(25)과의 사이의 연결부(30)를 상하의 입술로 물듯이 환자에게 입을 다물게 하여, 인상재(1)를 상하의 악제 사이에 충전시킨다. 이때 후방측 곡면판(21)은 입술과 악제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전방측 곡면판(25)은 입술에 접하여 얼굴의 전방으로 노출되어서 배치된다. 이렇게 상하의 입술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교합 채득함으로써, 상하 턱의 위치가 부자연스러워지는 일이 없고 천천히 입을 다물기만 하면 간편하게 교합 채득을 할 수 있다.
이때, 교합 채득 용구(10)에는, 구강 밖에 배치되는 전방측 곡면판(25)의 돌조(26, 27)를 사용하여, 이 돌조(26, 27)를 환자의 코, 눈, 귀 등과 대비하여 위치 관계 등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을 확인하고, 조정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교합 채득시에 있어서의 의도하지 않은 기울어짐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조(27)에 의한 정중선의 맞춤을 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교합 채득시에는 환자는 혀의 끝단을 혀 유지부(42)의 용기 형상의 내측에 배치한다. 이때 혀 유지부(42)는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환자는 보다 자연스러운 위치에 혀를 둘 수 있고, 교합 상태도 보다 자연스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교합 채득을 할 수 있다.
한편, 당해 교합 채득과는 별도로 미리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구강 내의 인상 모형, 및 이것에 배치된 교합상이 제작되어 있고, 교합기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교합 채득에 의해 얻어진 인상에 기초하여, 인공치의 크기나 위치를 정하여 배열하여 의치의 제작이 행해진다.
또한, 인상 모형이나 교합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앞에서 얻어진 구강 내의 상하 악제의 인상이나 교합 채득한 인상을 3차원 형상 측정으로 전자 데이터화하고, 계산기 상에서 인공치의 크기나 위치를 결정하고, 그 후 NC 공작 기계 등에 의해 의치를 제작해도 된다.
1 인상재
10 교합 채득 용구
20 본체
21 후방측 곡면판
22 돌조
23 돌조
25 전방측 곡면판
26 돌조
27 돌조
30 연결부
35 관통 구멍
40 조정용 축
41 축부
42 혀 유지부

Claims (3)

  1. 환자의 입술과 악제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할 만곡한 판 형상의 후방측 곡면판과,
    상기 후방측 곡면판에 대하여 한쪽 판면을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고, 입술에 접하여 전방에 배치되어야 할 판 형상의 전방측 곡면판을 갖고,
    상기 전방측 곡면판의 판면 중, 다른 쪽 판면에는 돌출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판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돌조가 설치되어 있는, 교합 채득 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조의 당해 연장되는 방향의 교점은, 상기 전방측 곡면판의 중앙에 있는, 교합 채득 용구.
KR1020167025968A 2014-05-29 2015-05-28 교합 채득 용구 KR101879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1662 2014-05-29
JP2014111662 2014-05-29
PCT/JP2015/065340 WO2015182684A1 (ja) 2014-05-29 2015-05-28 咬合採得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212A KR20160124212A (ko) 2016-10-26
KR101879523B1 true KR101879523B1 (ko) 2018-07-17

Family

ID=5469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68A KR101879523B1 (ko) 2014-05-29 2015-05-28 교합 채득 용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49541A1 (ko)
EP (1) EP3150165B1 (ko)
JP (1) JP6373983B2 (ko)
KR (1) KR101879523B1 (ko)
CN (1) CN106102652B (ko)
WO (1) WO201518268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094A (ja) * 2000-03-31 2001-10-09 Hisashi Kishigami ウイング付き印象トレー
CN201101589Y (zh) * 2007-10-31 2008-08-20 张国强 上下局部义齿同时制模的可调式联体印模托盘
US20100075279A1 (en) * 2008-09-25 2010-03-25 Phillip Phung-I HO Dental impression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2196448A (ja) * 2011-03-18 2012-10-18 Kaltenbach & Voigt Gmbh 顎の動きを記録するための電子式登録装置
US20130280672A1 (en) * 2010-11-03 2013-10-24 Global Dental Science, LLC Combination Tool For Anatomical Measurement for Denture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9171A (en) * 1921-02-22 graham
US880328A (en) * 1907-05-13 1908-02-25 Ralph E Sadler Combined impression-tray and cheek-distender.
US2418648A (en) * 1943-10-13 1947-04-08 Clifford S Kil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rtificial dentures
US4112936A (en) * 1976-09-27 1978-09-12 Blachly Paul H Bite block assembly adapted for adjustable mounting and holding of oral airways and method of using same
JPS58116354A (ja) * 1981-11-07 1983-07-11 古賀 繁夫 咬合採得用の咬合堤
US4495945A (en) * 1982-03-29 1985-01-29 Liegner Kenneth B Bite block
CA2223992A1 (en) * 1995-06-09 1996-12-27 Kussick Orthopedic Systems, L.L.C.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JP2004008487A (ja) 2002-06-07 2004-01-15 Satoru Gen 義歯作製用フィット治具及び義歯作製方法
EP3108919B1 (en) * 2002-12-06 2020-09-09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System for delivery of pressurized gases
DE102005000712A1 (de) * 2005-01-03 2006-07-13 Map Medizin-Technologie Gmbh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Mundleckage
US7544060B2 (en) * 2005-03-16 2009-06-09 Carlos Meulener Dental device for registration of midline and horizontal plane
JP2006305125A (ja) * 2005-04-28 2006-11-09 Toshizumi Hino バイトフォーク及びこれを備えた下顎運動測定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診断支援システム又は診断支援システムを用いた咬合状態の再現方法
US7601000B1 (en) * 2005-11-16 2009-10-13 Incisal Edge Products Llc Facial plane indicator
US7835811B2 (en) * 2006-10-07 2010-11-16 Voxelogix Corporation Surgical guide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rtificial teeth and dental implants
US9028250B2 (en) * 2007-03-14 2015-05-12 Orthoaccel Technologies, Inc. Vibrating dental devices
JP5642090B2 (ja) * 2009-01-15 2014-12-17 メデンティ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印象用トレー、および口腔内または人体における構造、配置または形状を捉える方法
CA129761S (en) * 2009-02-20 2009-10-28 O Two Medical Technologies Inc Patient airway tube with face shield and jaw position holder
JP5820679B2 (ja) * 2011-09-30 2015-11-24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印象用トレー
ES2426019B1 (es) * 2012-03-16 2014-08-22 Universidad Del Pais Vasco - Euskal Herriko Unibertsitatea Procedimiento de captación de información para el despliegue virtual y dispositivo asociado al mism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094A (ja) * 2000-03-31 2001-10-09 Hisashi Kishigami ウイング付き印象トレー
CN201101589Y (zh) * 2007-10-31 2008-08-20 张国强 上下局部义齿同时制模的可调式联体印模托盘
US20100075279A1 (en) * 2008-09-25 2010-03-25 Phillip Phung-I HO Dental impression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30280672A1 (en) * 2010-11-03 2013-10-24 Global Dental Science, LLC Combination Tool For Anatomical Measurement for Denture Manufacture
JP2012196448A (ja) * 2011-03-18 2012-10-18 Kaltenbach & Voigt Gmbh 顎の動きを記録するための電子式登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2684A1 (ja) 2015-12-03
JP6373983B2 (ja) 2018-08-15
EP3150165B1 (en) 2019-05-08
CN106102652B (zh) 2018-05-04
CN106102652A (zh) 2016-11-09
US20170049541A1 (en) 2017-02-23
JPWO2015182684A1 (ja) 2017-04-20
EP3150165A4 (en) 2018-01-10
KR20160124212A (ko) 2016-10-26
EP3150165A1 (en)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41411T3 (es) Aparato dental con elementos de mandíbula de reposicionamiento
US6582931B1 (en) Dento-facial analyzer
US7699607B2 (en) Locating and measuring device of facial anatomical parameters
EP2399544B1 (en) Method for grinding a denture
US9827075B2 (en) Determination of a three dimensional rel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jaws with reference to a temporomandibular joint
KR102482638B1 (ko)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US20150238284A1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KR101823549B1 (ko) 무치악 환자용 교합 채득 도구
US73644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US6413085B1 (en) System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eeth
EP3922210A1 (en) Dental system having baseline enabling digit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to be merged with anatomical location and plane analysis of human body
US20100266988A1 (en) Artificial teeth easily enabling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US20180042696A1 (en) Guiding assembly for dental restoration procedures
US20220257409A1 (en) Strut assembly for oral appliance
KR101879523B1 (ko) 교합 채득 용구
CN108324394B (zh) 全口无牙颌3d颜面万向颚间关系记录装置
KR20140004333A (ko) 고딕 아치 트레이서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cad cam 총의치 제작 방법
KR102193807B1 (ko) 하악 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록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악 운동의 기록 변환 방법
KR101887569B1 (ko) Ct 이미지 상 3차원기준평면 형성용 페이스프레임 및 상기 페이스프레임으로 형성된 ct 이미지 상 3차원기준평면
EP4292563A1 (en) Dental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in space of the dental arches of a patient
JP3112180U (ja) 疑似口唇片付顎模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