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384B1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4384B1 KR102474384B1 KR1020200103983A KR20200103983A KR102474384B1 KR 102474384 B1 KR102474384 B1 KR 102474384B1 KR 1020200103983 A KR1020200103983 A KR 1020200103983A KR 20200103983 A KR20200103983 A KR 20200103983A KR 102474384 B1 KR102474384 B1 KR 102474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ate
- air conditioning
- conditioning system
- eva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는, ⅰ) 내기와 외기를 각각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를 가지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내기와 외기를 각각 흡입하는 블로워를 상하 측에 배치하고, 각각의 블로워에 의해 송풍되는 내기와 외기의 송풍 통로를 각각 구획 헝성하며, 하측의 블로워와 제1 하우징 바닥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송풍유닛과, ⅱ)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에바 코어를 포함하는 열 교환부를 배치하고, 에바 코어와 내기 및 외기 송풍 통로를 연결하며, 제2 하우징 하부의 에바 로워 케이스와 배수 통로를 연결하는 공기 조화유닛과, ⅲ)배수 통로와 에바 로워 케이스의 연결 루트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를 통하여 배수 통로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를 통하여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기와 외기의 송풍 통로를 분리하고 있는 이층류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내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조화 시스템(공조 시스템)(HVAC;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이 구비된다.
공조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거나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내/외기를 하우징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워와, 블로워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로서의 에바 코어와, 에바 코어를 통과하거나 그 히터 코어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승온시키는 히터 코어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내/외기의 유로를 각각 상하로 분리하고, 각각의 블로워를 통해 각각의 내기 및 외기를 에바 코어 및 히터 코어의 열교환 유닛으로 공급하는 이층류 공조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층류 공조 시스템은 내기와 외기를 상하로 분리하여 열교환 유닛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각각의 블로워를 상하 측에 배치하는데, 이러한 상하 측의 블로워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더 나아가, 이층류 공조 시스템은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에바 로워 케이스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통로를 하측 블로워와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배수 통로는 하측 블로워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와 상호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차량의 급 감속 또는 급 선회 등의 운전 조건에서, 에바 코어의 전면부로 응축수가 유동하게 되며, 에바 로어 케이스로 유입되는데, 하측 블로워에 의한 정압 상승으로 응축수의 일부가 배수 통로로 역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응축수의 역류 에너지에 의한 와류 현상으로 배수 통로에서의 이음(공기 방울로 인한 물 소리) 발생 및 배수 통로 조립 부위에서의 누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급 감속 또는 급 선회 시, 에바 코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배수 통로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는, ⅰ) 내기와 외기를 각각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를 가지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내기와 외기를 각각 흡입하는 블로워를 상하 측에 배치하고, 각각의 블로워에 의해 송풍되는 내기와 외기의 송풍 통로를 각각 구획 헝성하며, 상기 하측의 블로워와 제1 하우징 바닥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송풍유닛과, ⅱ)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에바 코어를 포함하는 열 교환부를 배치하고, 상기 에바 코어와 상기 내기 및 외기 송풍 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하우징 하부의 에바 로워 케이스와 상기 배수 통로를 연결하는 공기 조화유닛과, ⅲ)상기 배수 통로와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연결 루트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 통로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상기 에바 코어의 전방 부에서 상기 배수 통로로 역류되는 응축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상기 배수 통로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배수 통로의 배출 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는 상기 배출 단과 결합되는 결합 단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단과 연결되는 호스 장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배출 단과 연결되는 제1 장착 영역과,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2 장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상기 배출 단과 연결되는 연결 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장착되는 니플부와, 상기 니플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고정되는 관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니플부는 사각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외측 면에 적어도 하나의 실링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 홈에 결합되는 실링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영역의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니플부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바 코어의 전방 부에서 유입된 응축수를 차단하는 응축수 차단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관로부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들은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상기 관로부의 배치 경로를 따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관로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받침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영역에는 상기 받침 돌기를 통하여 상기 간극과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를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끝단은 상기 에바 코어의 후방 하단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끝단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사선 컷팅된 배출 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고무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에바 코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블로워 측의 배수 통로로 역류되는 것을 인너 드레인 호스를 통해 차단함에 따라, 응축수의 역류 에너지에 의한 와류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배수 통로에서의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배수 통로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관로부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배수 통로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관로부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거나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100)는 내/외기의 유로를 각각 상하로 분리하고, 내기와 외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며, 외기를 글라스 측으로 토출하고, 내기를 차내 하부로 토출하는 이층류 공조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다.
당 업계에서는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량 길이 방향을 T 방향, 그리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방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LTH 방향으로 설정하는 대신, 차폭 방향, 차량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하기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이층류 공조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공기 송풍유닛(10) 및 공기 조화유닛(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송풍유닛(10)은 내/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것으로서 제1 하우징(11)을 포함하는데, 내기와 외기를 각각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12)를 제1 하우징(11)에 상부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송풍유닛(10)은 내기와 외기를 각각 흡입하는 블로워(13, 14)를 상하 측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한 상하 측의 블로워(13, 14)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블로워(13)는 상단을 통하여 외기를 흡입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블로워(14)는 하단을 통하여 내기를 흡입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 송풍유닛(10)은 각각의 블로워(13, 14)에서 토출되는 내기와 외기를 송풍하는 내기 송풍 통로(15)와 외기 송풍 경로(16)를 제1 하우징(11)의 내부에 각각 구획 헝성하며, 하측 블로워(14)와 제1 하우징(11) 바닥 사이의 공간(17)과 연결되는 배수 통로(1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하측 블로워(14)와 제1 하우징(11) 바닥 사이의 공간(17)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포집하는 물 유입 공간이며, 배수 통로(18)는 하측 블로워(14)와 제1 하우징(11) 바닥 사이의 공간(17)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통로로서, 끝단에 배출 단(19)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조화유닛(20)은 공기 송풍유닛(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제1 하우징(11)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열 교환부(22)는 블로워(13, 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로서의 에바 코어(23)와, 에바 코어(23)를 통과한 공기를 승온시키는 히터 코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열 교환부(22)는 에바 코어(23)를 차량의 전방 측에 배치하고, 히터 코어를 차량의 후방 측에 배치하고 있는 공지 기술의 공기 조화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에바 코어(23) 및 히터 코어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 조화유닛(20)은 에바 코어(23)와 내기/외기 송풍 통로(15, 16)를 연결하며, 제2 하우징(21) 하부의 에바 로워 케이스(25)와 제1 하우징(11)의 배수 통로(18)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25)는 제2 하우징(21)의 하부에서 에바 코어(23)의 하단 측을 에바 로워 인슐레이션(26)을 통해 지지하며, 그 에바 코어(23)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에바 로워 케이스(25)는 제1 하우징(11)의 하부와 결합되며, 제1 하우징(11) 하부의 배수 통로(1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하측 블로워(14)와 제1 하우징(11) 바닥 사이의 공간(17)에서 배수 통로(18)로 유입되는 물은 배출 단(19)을 통하여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층류 공조 시스템(1)에서 제2 하우징(21) 하부의 에바 로워 케이스(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하부와 결합되는데, 배수 통로(18)의 배출 단(19)과 결합되는 결합 단(2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층류 공조 시스템(1)에서는 차량의 급 감속 또는 급 선회 등의 운전 조건에서, 에바 코어(23)의 전면 부로 응축수가 유동하게 되며, 배수 통로(18)와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결합 단(27) 연결 루트에서 그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포켓부(29)로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이층류 공조 시스템(1)에서는 포켓부(29)로 유입된 응축수의 일부가 하측 블로워(14)에 의한 정압 상승으로 인해 배수 통로(18)로 역류하게 되고, 그 응축수의 역류 에너지에 의한 와류 현상으로 배수 통로(18)에서의 이음 발생 및 배수 통로(18)와 에바 로워 케이스(25) 조립 부위에서의 누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포켓부(29)에서 배수 통로(18)로 역류되는 응축수를 차단할 수 있는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100)를 제공한다(도 1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에 적용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100)는 배수 통로(18)와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결합 단(27) 연결 루트에 설치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50)는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포켓부(29)에서 배수 통로(18)로 역류되는 응축수를 차단함과 아울러, 배수 통로(18)로 유입되는 물을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50)는 일측 단부를 통하여 배수 통로(18)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를 통하여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인너 드레인 호스(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통로(18)의 배출 단(19)과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결합 단(27)을 연결하는 연결 루트로서의 호스 장착부(3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 장착부(30)는 배수 통로(18)의 배출 단(19)과 연결되는 제1 장착 영역(31)과, 제1 장착 영역(31)에 연결되면서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2 장착 영역(32)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인너 드레인 호스(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연결된 니플부(51)와 관로부(53)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50)는 탄성을 지닌 고무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중 사출 성형을 통해 니플부(51)와 관로부(53)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니플부(51)는 사각 블록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니플부(51)는 배수 통로(18)의 배출 단(19)과 연결되는 연결 통로(55)를 가지며, 호스 장착부(30)의 제1 장착 영역(31)에 장착된다.
이러한 니플부(51)는 제1 장착 영역(31)에 실링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를 위해 외측 면에 복수 개의 실링 홈(57)들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링 홈(57)들에 대응하여 호스 장착부(30)의 제1 장착 영역(31) 내벽 면에는 실링 홈(57)들에 결합되는 실링 돌기(33)들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드레인 호스(50)의 니플부(51)를 실링 돌기(33)와 실링 홈(57)의 결합을 통해 그 니플부(51)를 제1 장착 영역(31)에 실링 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에바 코어(23) 측에서 역류된 응축수가 배수 통로(18)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배수 통로(18) 측과 에바 로워 케이스(25) 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장착 영역(31)의 내벽 면에는 실링 돌기(33)들과 더불어 니플부(51)가 제1 장착 영역(3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 리브(34)를 형성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장착 영역(31)에서의 내벽 면 상단에는 응축수 차단 리브(3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차단 리브(35)는 제1 장착 영역(31)에 대한 니플부(51)의 조립을 안내하는 기능과 함께,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포켓부(29)로 유동된 응축수가 제1 장착 영역(3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관로부(53)는 니플부(51)와 일체로 연결되는 호스로서, 호스 장착부(30)의 제2 장착 영역(32)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상기 관로부(53)는 니플부(51)의 연결 통로(55)와 연결되며,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관로부(53)의 끝단 즉, 니플부(51)에 연결된 연결 단의 반대쪽 자유 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측에서 에바 코어(23)의 후방 하단 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관로부(53)의 끝단은 에바 코어(23)의 하단을 지지하는 에바 로워 인슐레이션(26)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53)의 끝단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사선 컷팅된 배출구(5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인너 드레인 호스(50)의 관로부(53) 끝단을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측에서 에바 코어(23)의 후방 하단 측에 위치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바 코어(23)의 전방 대비 풍압 감소로 응축수 역류 공기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에바 코어(23)와 인너 드레인 호스(50) 간에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드레인 호스(50)의 관로부(53) 끝단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사선 컷팅된 배출구(59)를 형성함에 따라, 에버 코어(23)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관로부(53)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호스 장착부(30)의 제2 장착 영역(32)에는 관로부(53)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 리브(41)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리브(41)들은 제2 장착 영역(32)에 관로부(53)의 배치 경로를 따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호스 장착부(30)의 제2 장착 영역(3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부(53)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 돌기(43)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호스 장착부(30)의 제2 장착 영역(32)에는 받침 돌기(43)를 통하여 상기한 간극과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를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 통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바 코어(23) 측에서 역류된 응축수를 상기한 응축수 배출 통로(45)를 통해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100)에 의하면, 배수 통로(18)와 에바 로워 케이스(25) 사이의 호스 장착부(30)에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급 감속 또는 급 선회 등의 운전 조건에서, 에바 코어(23)의 전면 부로 유동하며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포켓부(29)로 유입된 응축수가 배수 통로(18)로 역류되는 것을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바 코어(23)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블로워(13, 14) 측의 배수 통로(18)로 역류되는 것을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차단함에 따라, 응축수의 역류 에너지에 의한 와류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배수 통로(18)에서의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측 블로워(14)와 제1 하우징(11) 바닥 사이의 공간(17)에서 배수 통로(18)로 유입되는 물을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에바 로워 케이스(25)의 내부로 용이하게 배출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된 물의 배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배수 통로(18)와 에바 로워 케이스(25) 사이의 연결 루트에 실링 가능하게 장착함에 따라, 배수 통로(18)와 에버 로워 케이스(25) 간 조립 부위에서의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드레인 호스(50)를 하우징의 내측에 구성함에 따라, 패키지의 소형화, 재료비 절감, 조립 공수 절감, 하우징 조립 자동화 및 다 차종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이층류 공조 시스템 10: 공기 송풍유닛
11: 제1 하우징 12: 공기 유입구
13, 14: 블로워 15: 내기 송풍 통로
16: 외기 송풍 통로 17: 공간
18: 배수 통로 19: 배출 단
20: 공기 조화유닛 21: 제2 하우징
22: 열 교환부 23: 에바 코어
25: 에바 로워 케이스 26: 에바 로워 인슐레이션
27: 결합 단 29: 포켓부
30: 호스 장착부 31: 제1 장착 영역
32: 제2 장착 영역 33: 실링 돌기
34: 지지 리브 35: 응축수 차단 리브
41: 고정 리브 43: 받침 돌기
45: 응축수 배출 통로 50: 인너 드레인 호스
51: 니플부 53: 관로부
55: 연결 통로 57: 실링 홈
59: 배출구
100: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11: 제1 하우징 12: 공기 유입구
13, 14: 블로워 15: 내기 송풍 통로
16: 외기 송풍 통로 17: 공간
18: 배수 통로 19: 배출 단
20: 공기 조화유닛 21: 제2 하우징
22: 열 교환부 23: 에바 코어
25: 에바 로워 케이스 26: 에바 로워 인슐레이션
27: 결합 단 29: 포켓부
30: 호스 장착부 31: 제1 장착 영역
32: 제2 장착 영역 33: 실링 돌기
34: 지지 리브 35: 응축수 차단 리브
41: 고정 리브 43: 받침 돌기
45: 응축수 배출 통로 50: 인너 드레인 호스
51: 니플부 53: 관로부
55: 연결 통로 57: 실링 홈
59: 배출구
100: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Claims (15)
- 내기와 외기를 각각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를 가지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내기와 외기를 각각 흡입하는 블로워를 상하 측에 배치하고, 각각의 블로워에 의해 송풍되는 내기와 외기의 송풍 통로를 각각 구획 헝성하며, 상기 하측의 블로워와 제1 하우징 바닥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송풍유닛;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에바 코어를 포함하는 열 교환부를 배치하고, 상기 에바 코어와 상기 내기 및 외기 송풍 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하우징 하부의 에바 로워 케이스와 상기 배수 통로를 연결하는 공기 조화유닛; 및
상기 배수 통로와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연결 루트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 통로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인너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배수 통로의 배출 단을 형성하고,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는 상기 배출 단과 결합되는 결합 단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 단과 연결되는 호스 장착부를 형성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상기 에바 코어의 전방 부에서 상기 배수 통로로 역류되는 응축수를 차단하며,
상기 배수 통로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배출 단과 연결되는 제1 장착 영역과,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2 장착 영역
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상기 배출 단과 연결되는 연결 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장착되는 니플부와,
상기 니플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고정되는 관로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부는 사각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외측 면에 적어도 하나의 실링 홈을 형성하고,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 홈에 결합되는 실링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영역의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니플부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 영역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바 코어의 전방 부에서 유입된 응축수를 차단하는 응축수 차단 리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관로부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들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들은,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상기 관로부의 배치 경로를 따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장착부는,
상기 제2 장착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관로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받침 돌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영역에는 상기 받침 돌기를 통하여 상기 간극과 상기 에바 로워 케이스의 내부를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끝단은 상기 에바 코어의 후방 하단 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끝단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사선 컷팅된 배출 구를 형성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드레인 호스는,
고무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983A KR102474384B1 (ko) | 2020-08-19 | 2020-08-19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CN202022410263.3U CN214083756U (zh) | 2020-08-19 | 2020-10-27 | 车辆用空调系统的防止冷凝水回流的结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983A KR102474384B1 (ko) | 2020-08-19 | 2020-08-19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708A KR20220022708A (ko) | 2022-02-28 |
KR102474384B1 true KR102474384B1 (ko) | 2022-12-05 |
Family
ID=7744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3983A KR102474384B1 (ko) | 2020-08-19 | 2020-08-19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4384B1 (ko) |
CN (1) | CN214083756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626032A (zh) * | 2022-10-31 | 2023-01-20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带双排水结构的进风箱壳体、暖通空调总成及车辆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2725A (ja) | 2004-09-16 | 2006-03-30 | Denso Corp | 空調装置 |
KR101115130B1 (ko) | 2004-12-21 | 2012-02-24 | 한라공조주식회사 |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
CN102967041A (zh) | 2012-11-30 | 2013-03-13 | 芜湖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 一种汽车空调排水管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64833A (ja) * | 1995-12-19 | 1997-06-24 | Zexel Corp | 空調用ケース |
JP3906570B2 (ja) * | 1997-10-08 | 2007-04-18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空調装置 |
KR20060031083A (ko) * | 2004-10-07 | 2006-04-12 | 한라공조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 |
KR101177940B1 (ko) * | 2005-07-28 | 2012-08-28 | 한라공조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 |
KR20080009428A (ko) * | 2006-07-24 | 2008-01-29 | 한라공조주식회사 |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배수구조 |
DE102014107666A1 (de) * | 2014-05-30 | 2015-12-03 |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 Drainagesystem zur ableitung von wasser aus einem lufteinlass und einem luftverteilungsgehäuse einer klimaanlage |
KR20150145765A (ko) * | 2014-06-19 | 2015-12-31 | 갑을오토텍(주) | 이중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
2020
- 2020-08-19 KR KR1020200103983A patent/KR1024743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0-27 CN CN202022410263.3U patent/CN214083756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2725A (ja) | 2004-09-16 | 2006-03-30 | Denso Corp | 空調装置 |
KR101115130B1 (ko) | 2004-12-21 | 2012-02-24 | 한라공조주식회사 |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
CN102967041A (zh) | 2012-11-30 | 2013-03-13 | 芜湖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 一种汽车空调排水管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708A (ko) | 2022-02-28 |
CN214083756U (zh) | 2021-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92663B2 (en) |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of vehicles | |
US4898003A (en) | Automobile air conditioner | |
US20120187723A1 (en) | Air supply duct | |
JP4610267B2 (ja) | 車両の吸気部 | |
JPH1016532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102474384B1 (ko)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응축수 역류 방지 구조 | |
KR101235041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JP2008018905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JP2007099107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100534299B1 (ko) | 버스용 에어콘 설치구조 | |
JP2018167628A (ja) | 車両空調用送風装置 | |
CN215971035U (zh) | 一种蒸发箱 | |
US20240286461A1 (en) | Roof-type air conditioner | |
JP2004338595A (ja) | 空調ユニット | |
KR20080009428A (ko) |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배수구조 | |
JP2007090923A (ja) | 車両用空調ユニット | |
JPH10227473A (ja) |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パン機構 | |
JP3111894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JP5029558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US9272603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improved condensate drainage | |
KR20220034420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200312170Y1 (ko) |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 |
KR20230168454A (ko)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
WO2010150334A1 (ja) | 空調ユニットの配設構造 | |
KR20220034402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