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402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402A
KR20220034402A KR1020200116720A KR20200116720A KR20220034402A KR 20220034402 A KR20220034402 A KR 20220034402A KR 1020200116720 A KR1020200116720 A KR 1020200116720A KR 20200116720 A KR20200116720 A KR 20200116720A KR 20220034402 A KR20220034402 A KR 20220034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air
drain ho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은석
김현석
박대근
서준호
이남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4402A/ko
Publication of KR2022003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수홀 및 공조유닛 케이스와 송풍유닛 케이스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응축수 유동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갖는 공조유닛과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며,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유로와 하부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과 송풍유닛을 연통시키는 배수홀이 구비되고, 공조유닛 측의 수분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송풍유닛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시 디포깅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2층류 구조에 있어서 응축수로 인한 소음을 개선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특히,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류(Two-Layer) 구조의 공조장치가 개발되었다.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지만,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2층류 구조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 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유닛(10)과 공조유닛(40)을 포함한다. 송풍유닛(10)은 송풍유닛 케이스(20)를 구비하고, 송풍유닛 케이스(20)에는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2)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1)가 형성된다. 송풍유닛 케이스(20)에는 내기유입구(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 도어(14) 및 외기유입구(11)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 도어(13)가 구비된다.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내,외기 도어(14,13)의 하류 측에는 에어 필터(15)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15)의 하류에는 모터(26)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어 휠(21)(22)이 구비된다. 송풍유닛 케이스(20)는 분리벽(25)에 의해 제1 유로(23)와 제2 유로(24)로 구획된다. 제1 블로어 휠(21)은 제1 유로(23)에 구비되며, 제2 블로어 휠(22)은 제2 유로(24)에 구비된다. 제1 유로(23)를 통해서는 외기가 유동하고, 제2 유로(24)를 통해서는 내기가 유동한다. 외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부 흡입구(16)를 통해 제1 블로어 휠(21)의 회전에 의해 제1 유로(23)로 송풍되며, 내기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측면 흡입구(18)를 지나 하부 흡입구(17)를 통해 제2 블로어 휠(22)의 회전에 의해 제2 유로(24)로 송풍된다.
송풍유닛 케이스(20)는 인테이크케이스와 스크롤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인테이크케이스에는 내기유입구(12) 및 외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에어 필터(15)가 설치된다. 스크롤케이스는 제1 유로(23)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31)와 제2 유로(24)를 형성하는 하부케이스(3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하부케이스(32)의 하부에는 내기를 유동시킴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하부커버(30)가 결합된다.
공조유닛(40)은 공조유닛 케이스(43)를 구비하며, 공조유닛 케이스(43)에 냉각용 열교환기인 증발기(41)와 가열용 열교환기인 히터코어 등이 구비된다. 공조유닛 케이스(43)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 또는 증발기(41)에서 발생한 응축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42)가 형성된다.
송풍유닛 케이스(20)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상부 유로에서 하부 유로 쪽으로 흐르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은 배출구를 통해 최하단의 하부커버(30)에 낙수되고, 낙수된 수분은 하부커버(30)의 경사면을 따라 공조유닛의 공조유닛 케이스(43)로 배출된다. 이 경우, 하부커버(30)에는 낙수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33)이 형성된다.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는 모터(26)가 작동하여 공기가 공조유닛(40)으로 송풍되면 증발기(41) 전단에서 정압이 상승하고 배수홀(33) 부위에서 공기의 역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41)에서 발생된 응축수(39)가 차량의 급정거 또는 급선회시 증발기(41)의 전면부로 이동하며, 일부의 응축수(39)가 공조유닛 케이스(43)의 하부에 형성된 포켓부(45)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증발기(41) 전면부의 정압이 상승함에 따라, 포켓부(45)로 이동한 응축수(39)가 공조유닛 케이스(41)의 하부케이스와 연결된 하부커버(30)의 배수홀(33)을 통해 송풍유닛(10) 쪽으로 일부 역류된다. 만약, 배수홀(33)로 이동된 응축수(39)가 배수홀의 상단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역류 에너지에 의한 와류 현상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블로어 휠이 회전ON 상태일 때 물은 배수되지 못하고, 블로어 휠이 회전OFF 상태일 때 물은 자연배수된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소음의 원인이 공조유닛(40) 쪽에 발생하는 정압과 송풍유닛(10)의 하부커버(30) 쪽에 발생하는 부압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900965호(2007.01.1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수홀 및 공조유닛 케이스와 송풍유닛 케이스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응축수 유동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갖는 공조유닛과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며,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유로와 하부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과 송풍유닛을 연통시키는 배수홀이 구비되고, 공조유닛 측의 수분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송풍유닛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배수홀은 공조유닛과 송풍유닛의 체결부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역류방지수단은, 공조유닛 케이스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의 수분이 상기 배수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키는 공조유닛의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공조유닛의 격벽은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배수홀과 마주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공조유닛의 격벽은 배수홀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에서, 배수홀은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에서, 하부유로의 하부에 송풍유닛 내의 수분을 공조유닛으로 보내기 위한 하부커버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하부커버는 공조유닛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조립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홀은 조립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돌출부에 배수홀을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하부커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하부커버의 유로에 발생하는 부압을 감소시키는 송풍유닛의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배수홀과 연통되며 하부커버의 바닥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배수홀로부터 역류하는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저장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유닛으로부터 송풍유닛으로 수분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유닛 케이스측에서 발생하는 수분 유동에 의한 소음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유닛 케이스의 내부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커버의 내부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홀 주변 부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하여 송풍시키는 송풍유닛(100)과, 송풍유닛(10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공조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유닛(200)으로 이루어진다.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유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2층류(2Layer) 구조로 이루어진다.
공조유닛(200)은 공조유닛 케이스(240)를 구비하며, 공조유닛 케이스(240)에 냉각용 열교환기인 증발기(210)와 가열용 열교환기인 히터코어 등이 구비된다. 송풍유닛(100)은 공조유닛(200)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유로(123)와 하부유로(124)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공조유닛(200)도 상하를 구획하는 분리벽에 의해 상부유로와 하부유로로 구획된다.
송풍유닛(100)은 송풍유닛 케이스(120)를 구비하며, 송풍유닛 케이스(120)에는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12)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송풍유닛 케이스(120)에는 내기유입구(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 도어 및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 도어가 구비된다.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내,외기 도어의 하류 측에는 에어 필터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의 하류에는 블로어 모터(126)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어 휠(121)(122)이 구비된다. 송풍유닛 케이스(120)는 분리벽(125)에 의해 상부유로(123)와 하부유로(124)가 구획된다. 제1 블로어 휠(121)은 상부유로(123)에 구비되며, 제2 블로어 휠(122)은 하부유로(124)에 구비된다. 아울러, 상부유로(123)를 통해서는 외기가 유동하고, 하부유로(124)를 통해서는 내기가 유동한다. 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부 흡입구를 통해 제1 블로어 휠(121)의 회전에 의해 상부유로(123)로 송풍되며, 내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측면 흡입구를 지나 하부 흡입구를 통해 제2 블로어 휠(122)의 회전에 의해 하부유로(124)로 송풍된다.
송풍유닛 케이스(120)는 인테이크케이스와 스크롤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인테이크케이스에는 내기유입구(112)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에어 필터가 설치된다. 스크롤케이스는 상부유로(123)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31)와 하부유로(124)를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3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하부케이스(132)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하부커버(130)가 결합된다. 즉, 하부커버(130)는 하부유로(124)의 하부에 구비되어 송풍유닛(100) 내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송풍유닛 케이스(120)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상부유로(123)에서 하부유로(124) 쪽으로 흐르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은 배출구를 통해 가장 하부에 위치한 하부커버(130)에 낙수되고, 낙수된 수분은 하부커버(130)의 경사진 바닥면(153)을 따라 공조유닛의 케이스(240)로 이동된 후 공조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된 드레인부(2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하부커버(130)에는 낙수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133)이 형성된다.
배수홀(133)은 공조유닛(200)과 송풍유닛(100)의 체결부에 형성되어, 공조유닛(200)과 송풍유닛(100)을 연통시킨다. 즉, 배수홀(133)은 하부커버(130)의 유로(138)와 공조유닛 케이스(240) 내부를 연통시킨다. 이 경우, 하부커버(130)의 유로(138)는 하부케이스(132)와 하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이 공간을 통해 공기와 수분이 공조유닛(200) 쪽으로 이동한다. 즉, 외기유입구 또는 내기유입구(112)를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된 수분 또는 배출구를 통해 상부유로(123), 하부유로(124)에서 낙수된 수분 등은 하부커버(130)와 하부케이스(132)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138)를 통해 하부로 이동한다.
하부케이스(132)의 바닥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하부커버(130)의 바닥면(153)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하부케이스(132)의 하단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134)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130)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56)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32)에는 결합돌기(156)를 삽입시키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32)와 하부커버(130)는 상하 방향으로 조립된다.
또한, 하부커버(130)에 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57)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32)에 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35)가 형성되며 공조유닛 케이스(240)에 상기 결합돌기(135)(157)를 삽입시키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송풍유닛(100)은 공조유닛(200)에 측 방향으로 조립된다. 아울러, 하부커버(130)의 하단 보스부(154)에 볼트홈(155)이 형성되고 공조유닛 케이스(240)에도 이에 대응되는 볼트홈(244)이 형성되어, 하부커버(130)와 공조유닛 케이스(240)는 상하 방향으로 체결된다.
하부커버(130)는 조립돌출부(160)를 구비한다. 조립돌출부(160)는 하부커버(130)의 측 방향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된다. 공조유닛 케이스(240)에는 조립돌출부(160)를 삽입시키는 조립홀(246)이 측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공조유닛 케이스(240)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 또는 증발기(210)에서 발생된 응축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포켓부(248)가 형성된다. 즉,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은 포켓부(248)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요입된다.
배수홀(133)은 조립돌출부(160)에 측 방향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배수홀(133)은 하부커버(130)의 유로(138)와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포켓부(248)를 연통시킨다. 즉, 조립홀(246)은 포켓부(248)가 위치한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조립돌출부(160)를 조립홀(246)에 삽입하면 하부커버(130)의 유로(138)와 포켓부(248)가 연통하게 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역류방지수단은 공조유닛(200) 측의 수분이 배수홀(133)을 통해 송풍유닛(1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공조유닛(200) 측의 수분은 증발기(210)에서 발생된 응축수 또는 송풍유닛(100)을 통해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에 포함된 수분 등을 포함한다. 역류방지수단은 이후에 설명될 몇 가지 구성을 통해 구체화될 수 있다. 역류방지수단은 공조유닛의 격벽(250)과, 단차부(161)와, 송풍유닛의 격벽(170)과, 수분저장홈(151)을 포함한다.
공조유닛의 격벽(250)은 공조유닛 케이스(24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의 수분이 배수홀(133)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공조유닛의 격벽(250)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으로부터 벽 형태로 돌출되어 수분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막거나 수분의 이동을 우회하도록 만들어 포켓부(248)의 수분이 배수홀(13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개의 공조유닛의 격벽(250)은 각각이 서로 중첩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수분이 배수홀(133) 쪽으로 역류하여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수홀(133)을 통해 송풍유닛(100)에서 공조유닛(200)으로 배수되는 수분은 공조유닛의 격벽(250)에 의해 배수 능력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공조유닛의 격벽(250)은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에 형성되되, 배수홀(133)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공조유닛의 격벽(250)이 배수홀(133)과 마주함에 따라, 블로어 모터(126)의 작동으로 블로어 휠이 회전될 때 포켓부(248) 측에 정압이 상승하는 것을 일부 완화할 수 있다. 공조유닛의 격벽(250)은 수분을 직접적으로 배수홀(133)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작용할 뿐 아니라, 일부 공기의 저항체로 작용하여 정압의 상승을 일부 완화하는 것이다.
공조유닛의 격벽(250)은 배수홀(133)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으로부터 배수홀(133)까지의 높이(h1)는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으로부터 공조유닛의 격벽(250) 상단까지의 높이(h2)보다 작다. 따라서, 수분의 역류 및 정압의 상승 억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배수홀(133)은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의 급정거 또는 급선회시 수분이 배수홀(133)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조립돌출부(160)의 하단부에는 단차부(161)가 형성된다. 단차부(161)는 조립돌출부(160)의 하단 일부를 "ㄱ"자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단차부(161)를 통해, 배수홀(133)을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으로부터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홀(133)의 높이를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바닥면(247)으로부터 더욱 높게 배치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아울러, 단차부(161)는 배수홀(133)의 단면적을 축소시켜 배수홀(133)을 통한 수분의 역류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송풍유닛의 격벽(170)은 하부커버(130)의 바닥면(153)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송풍유닛의 격벽(170)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각각이 일부 서로 중첩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송풍유닛의 격벽(170)은 하부커버(130)의 유로(138)에 발생하는 부압을 감소시켜 공조유닛(200)의 수분이 송풍유닛(100)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송풍유닛의 격벽(170)은 역류된 수분이 있을 경우 수분이 블로어 모터(126)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수분저장홈(151)은 배수홀(133)과 연통되며 하부커버(130)의 바닥면(153)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수분저장홈(151)은 하부커버(130)의 경사진 바닥면(153)을 일부 단차지게 절개한 절개면(152)을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수분저장홈(151)은 배수홀(133)로부터 역류하는 수분을 저장하는 작용을 한다. 수분저장홈(151)은 배수홀(133)을 통해 공조유닛 케이스(240)의 포켓부(248)와 연통된다. 수분저장홈(151)에 절개면(152) 형태로 연장된 홈을 형성함으로써 수분의 저수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의 역류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송풍유닛
112: 내기유입구 120: 송풍유닛 케이스
121: 제1 블로어 휠 122: 제2 블로어 휠
123: 상부유로 124: 하부유로
125: 분리벽 126: 블로어 모터
130: 하부커버 131: 상부케이스
132: 하부케이스 133: 배수홀
151: 수분저장홈 152: 절개면
160: 조립돌출부 161: 단차부
170: 송풍유닛의 격벽
200: 공조유닛 210: 증발기
240: 공조유닛 케이스 245: 드레인부
246: 조립홀 248: 포켓부
250: 공조유닛의 격벽

Claims (10)

  1. 냉각용 열교환기를 갖는 공조유닛과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며, 내기와 외기를 분리하여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유로와 하부유로가 구획 형성된 2층류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과 송풍유닛을 연통시키는 배수홀이 구비되고,
    공조유닛 측의 수분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송풍유닛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공조유닛과 송풍유닛의 체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공조유닛 케이스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의 수분이 상기 배수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키는 공조유닛의 격벽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격벽은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배수홀과 마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격벽은 배수홀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로의 하부에 송풍유닛 내의 수분을 공조유닛으로 보내기 위한 하부커버가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공조유닛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는 조립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홀은 조립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돌출부에 배수홀을 공조유닛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하부커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하부커버의 유로에 발생하는 부압을 감소시키는 송풍유닛의 격벽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과 연통되며 하부커버의 바닥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배수홀로부터 역류하는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저장홈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116720A 2020-09-11 2020-09-11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34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20A KR20220034402A (ko) 2020-09-11 2020-09-11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20A KR20220034402A (ko) 2020-09-11 2020-09-11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402A true KR20220034402A (ko) 2022-03-18

Family

ID=8093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720A KR20220034402A (ko) 2020-09-11 2020-09-1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44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965B2 (ja) 2002-02-21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965B2 (ja) 2002-02-21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310B1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of vehicles
KR10117959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50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3440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0170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2636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3439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2001010876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4008589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JP2000094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34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1617374U (zh) 车载空调系统
US20220274459A1 (en) Dual-layer flow blower unit for vehicle air-conditioner
JP403404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917579B1 (ko)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100734934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101031219B1 (ko)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조장치
KR1026260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833486B1 (ko) 공기조화장치용 송풍기 유니트
KR2023017405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782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831880B2 (ja) クーリングユニット
CN112977001A (zh) 空调主机壳体、空调主机壳体组件及空调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