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579B1 -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579B1
KR100917579B1 KR1020030011889A KR20030011889A KR100917579B1 KR 100917579 B1 KR100917579 B1 KR 100917579B1 KR 1020030011889 A KR1020030011889 A KR 1020030011889A KR 20030011889 A KR20030011889 A KR 20030011889A KR 100917579 B1 KR100917579 B1 KR 10091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unit
blower
drain ho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507A (ko
Inventor
강성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5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을 강제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수성을 좋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는, 블로어 유니트(20)의 일측에 연결되는 공조장치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드레인공(14)이 형성되며, 상기 블로어 유니트의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는 상기 드레인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상기 블로어 유니트와 증발기 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블로어 유니트의 바닥부를 거쳐 상기 드레인공을 향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도관(3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유도관은 상기 블로어 유니트의 블로어 모터(24)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순환관(40)에서 분기된다. 이에 의하여, 외기 모드시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은 블로어 유니트의 바닥부를 따라 드레인공측으로 흐르게 되며, 아울러,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공기유도관을 통해 드레인공측으로 토출되어 물이 드레인공측으로 강제로 배출된다.
공조장치, 블로어, 드레인, 공기유도관

Description

공조장치의 배수구조{DRAIN STRUCTURE OF AIR-CONDITIONER}
도 1은 종래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장치 케이스, 14 : 드레인공
20 : 블로어 유니트, 21 : 블로어 외부 케이스
23 : 블로어 내부 케이스, 24 : 블로어 모터
25 : 블로어 팬, 30 : 공기유도관
40 :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의 배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냉각팬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열교환되 어 응축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니트의 송풍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 상태로 실내에 유입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와, 엔진의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거쳐 엔진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송풍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 코어를 거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 상태로 실내에 유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조장치에 있어서, 증발기 및 히터 코어는 공조기 케이스의 내부 유로에 설치되고, 증발기 상류의 공조기 케이스의 입구단에 블로어 유니트가 설치되며, 히터 코어 하류의 공조기 케이스의 출구단에는 조화공기를 자동차 창문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창문의 성에 제거를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 조화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 및 냉기 또는 온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풋 벤트가 차례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각 벤트들을 소정의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개폐조절하기 위한 도어들도 차례로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에 있어서 블로어 유니트의 블로어 케이스의 상단부 양쪽에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외기 유입구는 내/외기 전환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조장치의 가동시 외기유입구를 통하여 외기만을 실내로 공급할 경우에는 압축기의 부하가 커져 연료손실이 많고,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내기만을 순환시킬 경우에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탑승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며, 또 한, 동절기에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내기의 습도가 증가하여 차창에 성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난방모드시 외기만 실내로 유입되면 외기의 차가운 공기가 계속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난방성능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디프로스트 벤트로는 외기가 토출되고, 풋 벤트로는 내기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난방성능은 물론, 성에 제거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내/외기 2층류 공기유동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들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일본 특개평 11-105532호, 동 9-240248호, 동 9-156348호 등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들을 들 수 있다. 이들 공기조화장치들은 구획벽에 의하여 스크롤 케이스 및 공조기 케이스의 유로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각각 블로어 팬을 설치함으로써 공기를 2층 유동구조로 송풍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장치는, 그 내부가 분리벽(11)에 의해 상부 유로(12)와 하부 유로(13)로 구획되는 공조장치 케이스(10)와, 공조장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 코어(미도시)와, 공조장치 케이스(10)의 입구에 설치되며 내/외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증발기(E), 히터 코어(H)를 통과하도록 송풍하는 블로어 유니트(20)와, 공조장치 케이스(10) 내에 형성되어 블로어 유니트(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실내에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벤트(미도시)들 및 이 벤트들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벤트는 하부 유로(13)의 출구단쪽에 형성되며 공기가 차량 실내의 플로어쪽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푸트 벤트와, 상부 유로(12)의 출구단쪽에 형성되며 차량의 유리창쪽으로 향하는 디프로스트 벤트 및 차량 실내의 상반부로 향하는 페이스 벤트와, 상부 유로(12)와 하부 유로(13)를 연통하도록 분리벽(11)의 후방에 형성되는 커뮤니케이션 벤트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벤트들은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블로어 유니트(20)는, 그 상측부에는 내/외기유입구(21a,21b)가 각각 구비된 외부 케이스(21)와, 내/외기유입구(21a)(21b) 사이의 외부 케이스(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외기유입구(21a,2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2)와, 외부 케이스(2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이 수평의 구획벽(23a)에 의해 상하 2층으로 구획되는 스크롤 형상의 내부 케이스(23)와, 내부 케이스(23)의 내부에 장착되며 블로어 모터(24)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내기/외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블로어 팬(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블로어 팬(25)은 블로어 모터(24)의 구동축(미도시)이 결합되는 허브(미도시)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양측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고, 2 개의 팬이 일체화될 수도 있으며, 다만, 공조장치의 내부와 마찬가지로 블로어 팬(25)도 상하로 구획된다.
2층류 공조장치에 따르면, 내기가 하부 유로(13)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내기전용유로가 갖추어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2층류 공조장치에 의하면, 외기 모드시 공기와 함께 물이 블로어 유니트(20)의 외부 케이스(21)에 유입될 경우, 2층류 공조장치에 적용된 블 로어 유니트(20)는 블로어 모터(24) 하부에 내기전용유로가 갖추어지기 때문에 그 하부가 밀폐됨에 따라 블로어 유니트(20) 내부에 유입된 물이 배수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2층류 공조장치에 있어서 블로어 유니트(20)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의 일 예로, 예컨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증발기(E)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드레인공(14)을 이용하여 블로어 유니트(20) 내부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 있다.
블로어 유니트(20) 내부의 물이 공조장치 케이스(10)의 드레인공(14)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는 드레인공(14)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면서 공조장치 케이스(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의하면, 외기 모드시 외기와 함께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에 유입된 물은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의 경사를 타고 증발기(E) 하측의 드레인공(14)측으로 흘러 드레인공(14)을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블로어 유니트(20)에 유입된 물이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의 경사를 따라 배수되기 때문에 블로어 유니트(20)측과 공조장치 케이스(10)측의 압력차, 유로의 크기 및 상태 등의 요인에 의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배수성이 떨어지게 된다. 즉, 증발기(E)측의 정압이 블로어 유니트(20)측의 정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공 조장치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블로어 유니트(20)측으로 역류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공기의 역류에 의해 블로어 유니트(20)에 유입된 물이 공조장치 케이스(10)의 드레인공(14)측으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와 공조장치 케이스(10)의 바닥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물은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공(14)측으로 흐르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의 배수성을 높임으로써 공조장치의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는, 공조장치용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이 상기 블로어 유니트의 일측에 연결된 공조장치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드레인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드레인공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도관은 상기 블로어 유니트를 구성하는 블로어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블로어 유니트에 설치된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공기유도관은 상기 블로어 유니트를 구성하는 블로어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블로어 유니트에 설치된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에서 분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는, 증발기(E)의 저부와 대향되는 공조장치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증발기(E)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드레인공(14)이 형성되며, 블로어 유니트(20)와 그 일측에 연통하는 공조장치 케이스(10)의 사이에는 블로어 팬(25)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를 따라 공조장치 케이스(10)의 드레인공(14)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도관(30)이 설치된다.
공기유도관(30)은 블로어 유니트(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드레인공(14)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모든 구조의 것이 가능하며, 예컨대, 기존 구조물을 이용할 수도 있고,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유도관(30)이 기존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 공기유도관(30)은 블로어 모터(24)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40)의 구조 변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40)은 블로어 내부 케이스(23)의 공기토출구측 또는 상부 유로(12)(도면에는 상부 유로(12)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부 유로(13)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에 그 입구단(40a)이 배치되며, 출구단(40b)은 블로어 모터(24)측으로 절곡된다. 즉, 공기유도관(30)은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40)에서 분기 형성되는 것이다.
공기유도관(30)의 구조상 상관없이 공기유도관(30)의 출구측 단부는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를 향해 내려오다가 드레인공(14)측으로 절곡되어 그 출구가 드레인공(14)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블로어 팬(25)에 의해 내/외기가 강제 흡입되어 공조장치 케이스(10)측을 향해 흐르게 되며, 이 공기 중 일부는 블로어 모터(24)를 냉각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40a)를 통해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40)의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순환관(4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블로어 모터(24)쪽으로 유동하여 블로어 모터(24)를 냉각하고, 나머지는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40)에서 분기된 공기유도관(30)을 따라 흐르다가 드레인공(14)측으로 토출된다. 이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을 따라 흐르는 물이 강제로 드레인공(14)측으로 이끌려 배치된다.
따라서,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이 종래와 같이 블로어 외부 케이스(21)의 바닥부의 경사에 의존하지 않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강제 배수됨에 따라 증발 기(E)가 설치된 열교환실 내부의 정압이 블로어 유니트(20) 내부의 정압보다 높아 일부 공기가 블로어 유니트(20)측으로 역류하여도 물이 공기유도관(30)을 통해 드레인공(14)쪽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원활하게 드레인공(14)측으로 배치되며, 또한, 바닥부에 이물질이 쌓여도 공기의 흐름에 의해 물이 적층된 이물질을 우회하여 드레인공(14)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의하면, 블로어 유니트에 유입된 물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강제로 배수되어 물의 배출을 막는 요인이 발생되어도 물이 공조장치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되므로 물이 썩는 냄새가 나지 않으며, 습기에 의한 부품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공조장치용 블로어 유니트(20)에 유입된 물이 상기 블로어 유니트의 일측에 연결된 공조장치 케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드레인공(14)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공조장치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유니트(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드레인공(14)측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도관(3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도관(30)은 상기 블로어 유니트(20)를 구성하는 블로어 모터(24)를 냉각하기 위해 블로어 유니트에 설치된 블로어모터 냉각용 공기순환관(40)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2. 삭제
KR1020030011889A 2003-02-26 2003-02-26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10091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889A KR100917579B1 (ko) 2003-02-26 2003-02-26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889A KR100917579B1 (ko) 2003-02-26 2003-02-26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507A KR20040076507A (ko) 2004-09-01
KR100917579B1 true KR100917579B1 (ko) 2009-09-15

Family

ID=3736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889A KR100917579B1 (ko) 2003-02-26 2003-02-26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848B1 (ko) * 2006-09-05 2007-08-01 최부순 건물의 환기덕트용 댐퍼
KR102292952B1 (ko) * 2019-11-21 2021-08-23 덴소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의 이층류 공조기용 송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250A (ja) * 1995-08-23 1997-03-04 Zexel Corp 空調ユニット
KR19990041160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누수, 누기 방지용 에어컨 블로워 어셈블리
JP2001239825A (ja) * 1999-12-22 2001-09-04 Denso Corp 冷房装置の凝縮水排水装置
JP2003048423A (ja) * 2001-08-07 2003-02-1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250A (ja) * 1995-08-23 1997-03-04 Zexel Corp 空調ユニット
KR19990041160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누수, 누기 방지용 에어컨 블로워 어셈블리
JP2001239825A (ja) * 1999-12-22 2001-09-04 Denso Corp 冷房装置の凝縮水排水装置
JP2003048423A (ja) * 2001-08-07 2003-02-1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507A (ko)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663B2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of vehicles
KR97000127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H101653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55684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350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17579B1 (ko)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0734934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0950404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JP400831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659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0801342B1 (ko) 공기조화장치의 공기누설 방지 구조
JP2000094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1239825A (ja) 冷房装置の凝縮水排水装置
KR100694614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101031219B1 (ko)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조장치
KR200600310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32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10086771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80009428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배수구조
KR2022003439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2022003440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250332Y1 (ko) 차량의 루프 탑재형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