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066B1 -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 Google Patents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066B1
KR102453066B1 KR1020200156672A KR20200156672A KR102453066B1 KR 102453066 B1 KR102453066 B1 KR 102453066B1 KR 1020200156672 A KR1020200156672 A KR 1020200156672A KR 20200156672 A KR20200156672 A KR 20200156672A KR 102453066 B1 KR102453066 B1 KR 10245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frame
respect
buffer structure
d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495A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20015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0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0Other types of 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형 회전식 댐핑 구조물을 매개로 회전 프레임의 회전각도와 무관하게 모든 자세의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는 차실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구름 접촉하는 댐퍼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 범위의 회전각도에서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지속적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Damping device for swivel seat}
본 발명은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프레임에 대한 회전 프레임의 회전각도와 무관하게 모든 자세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스마트, 자율주행 기술의 향상에 따라 차량용 시트 또한 운전 외에도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쾌적한 차량의 실내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시트를 회전시켜 자유로운 공간 배치에 대한 편의성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따라 스위블 시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스위블 시트는 차실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고정 프레임에 대한 회전 프레임의 회전각도를 사용자에 의해 임의대로 조절함으로써 시트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스위블 시트에서는 고정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 사이의 접촉부위에 완충성 소재의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이들 사이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스위블 시트에 구비되는 댐퍼는 정해진 위치에 한정하여 상호 접촉하기 때문에 스위블 시트를 회전 동작시킬 경우, 댐퍼의 오버랩 맞물림에 의해 초기 작동구간과 말기 작동구간에서 각각 접촉력의 변화에 따른 속도 변화가 수반되고, 이러한 접촉력 또는 속도의 변화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불편함으로 귀결된다.
즉, 종래 스위블 시트에 구비되는 댐퍼는 한정된 회전각도에서만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스위블 시트가 회전하는 전 구간 중, 회전 동작이 개시되는 초기 동작구간과 회전 동작이 완료되는 말기 동작구간에서 댐퍼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반대로 접촉이 개시되는 데, 이러한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댐퍼 사이의 접촉해제 또는 접촉의 개시는 마찰력의 변화에 따른 속도 변화와 함께 접촉상태의 변화로부터 기인하는 이질감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94407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형 회전식 댐핑 구조물을 매개로 회전 프레임의 회전각도와 무관하게 모든 자세의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실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구름 접촉하는 댐퍼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 범위의 회전각도에서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지속적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과 상기 완충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상기 완충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지지되는 축 구조물, 상기 축 구조물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타원형상의 궤적을 추종하여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점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돌출거리를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선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부분 선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에 대해 각각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완충 구조물과의 접촉부위에 마찰방지용 패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에 한정하여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는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형 회전식 댐핑 구조물을 매개로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모든 회전각도에서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회전 프레임의 회전각도와 무관하게 모든 자세의 위치에서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프레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회전식 댐핑 구조물은 고정 프레임에 대한 회전 프레임의 회전범위 전 구간에 걸쳐,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점접촉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거나 선접촉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거나 부분 선접촉 상태에서 구름 접촉할 수 있으므로, 고정 프레임에 대한 회전 프레임의 안정적인 지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범위의 전 구간에서 댐핑 구조물은 항상 일정한 힘을 받게 되므로, 동작 중 수반될 수 있는 이질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있어, 댐퍼 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있어, 댐퍼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와 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 있어, 댐퍼 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서, 댐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완충 구조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서, 댐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완충 구조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서, 댐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완충 구조물이 고정 프레임의 상면부와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에 동시에 구름 접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에서, 댐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완충 구조물이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에만 구름 접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는 차실내에서 플로워패널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0),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대해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 시트의 쿠션 프레임을 장착하는 회전 프레임(20),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미도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회전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구동수단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3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회전 프레임(20)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구름 접촉하여 지지하는 댐퍼 조립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댐퍼 조립체(4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전 범위의 회전각도에서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지속적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 조립체(40)가 고정 프레임(10)의 상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와 구름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댐퍼 조립체(40)는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10)의 상면부와 구름 접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댐퍼 조립체(40)의 설치부위만 상이할 뿐, 세부적인 구성관계는 동일하게 이루어짐을 밝혀둔다.
상기 댐퍼 조립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41), 상기 지지 구조물(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형태의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 구조물(42), 및 상기 지지 구조물(41)과 상기 완충 구조물(42) 사이의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구조물(41)에 대해 상기 완충 구조물(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3)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좌우 한 쌍의 부재로서, 하단측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측 타단부는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회전 지지를 위해 대략 90도 정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상단측 타단부에 상기 지지 구조물(4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수나사부(M)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회전방향 중심에 대해 방사상 구조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완충 구조물(42)과 회전 프레임(20) 사이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 구조물(4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암나사부(F)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41)과 완충 구조물(42) 사이의 결합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암나사부(F)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구조물(41)에 대한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반경방향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구조물(41)에 대한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축방향으로의 하중 지지를 함께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퍼 조립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41), 상기 지지 구조물(41)의 외주면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44), 및 상기 슬리브(44)의 외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설치되는 롤러 형태의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 구조물(4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좌우 한 쌍의 부재로서, 하단측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측 타단부는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회전 지지를 위해 대략 90도 정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좌우 한 쌍의 부재가 상호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구조물(41)의 상단측 타단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F)가 구비되며, 타측에 위치하는 지지 구조물(41)의 상단측 타단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수나사부(M)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41) 사이의 결합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44)는 상기 지지 구조물(4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부재로서 양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44a)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축방향 이탈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41)의 나사 결합부위를 구성하는 암나사부(F)와 수나사부(M)는 상기 슬리브(44)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공형 관통부위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44)는 외주면에 마찰 감소를 위한 코팅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내주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슬리브(44)는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회전방향 중심에 대해 방사상 구조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완충 구조물(42)과 회전 프레임(20) 사이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댐퍼 조립체(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41), 상기 지지 구조물(41)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지지되는 축 구조물(45), 상기 축 구조물(45)의 외주면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44), 및 상기 슬리브(44)의 외주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형태의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 구조물(4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좌우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대해 직립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축 구조물(45)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고정 프레임(10)의 일부를 부분 절개한 다음, 상방향으로 직립하게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41)은 하단측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단측 타단부가 상기 축 구조물(45)의 지지를 위해 상방향으로 직립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축 구조물(45)은 좌우 한 쌍의 지지 구조물(41) 사이를 관통하여 수평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외주면에 상기 슬리브(44)를 공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슬리브(44)와 축 구조물(45)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회전방향 중심에 대해 방사상 구조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완충 구조물(42)과 회전 프레임(20) 사이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슬리브(44)는 상기 축 구조물(45)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부재로서 양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44a)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완충 구조물(42)의 축방향 이탈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댐퍼 조립체(40)의 구성부품 중 완충 구조물(42)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타원형상의 궤적을 추종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와 점접촉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대략 회전축을 기준으로 중앙부위가 반경방향으로 최대의 길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와 점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돌출거리를 일정하게 설정하는 원통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와 선접촉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원주면이 슬리브(44) 또는 축 구조물(45)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와 선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와 부분 선접촉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원주면이 반경방향으로 요철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대해 복수의 접촉부위가 선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의 상면부와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대해 각각 동시에 구름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의 상면부와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 중 어느 하나에 한정하여 구름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면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대해 각각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상기 완충 구조물(42)과의 접촉부위에 마찰방지용 패드(50)를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완충 구조물(42)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한정하여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완충 구조물(42)이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 프레임(10)에는 상기 마찰방지용 패드(50)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아울러, 위에서 언급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42)은 고정 프레임(10)의 상면부와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대한 동시 접촉, 또는 회전 프레임(20)의 저면부에 한정하는 접촉의 경우에 있어, 오버랩에 의한 찌그러짐 변형을 대비하여 찌그러지는 부위가 축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는 충분한 회피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리브(44)와 축 구조물(45)은 각각 상기 완충 구조물(42)이 상대 부품과의 접촉시 오버랩에 의해 찌그러질 경우에도, 완충 구조물(42)의 변형되는 부위가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팽창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크기의 여유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소재의 팽창에 따른 완충 구조물(42)의 손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고정 프레임 20-회전 프레임
30-개구부 40-댐퍼 조립체
41-지지 구조물 42-완충 구조물
43-베어링 44-슬리브
45-축 구조물 50-마찰방지용 패드

Claims (10)

  1. 삭제
  2. 차실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구름 접촉하는 댐퍼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과 상기 완충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상기 완충 구조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 범위의 회전각도에서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지속적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3. 차실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구름 접촉하는 댐퍼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 범위의 회전각도에서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지속적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4. 차실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구름 접촉하는 댐퍼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조립체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지지되는 축 구조물;
    상기 축 구조물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 범위의 회전각도에서 상대되는 다른 프레임부재와 지속적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타원형상의 궤적을 추종하여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점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돌출거리를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선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외주면이 반경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와 부분 선접촉 상태로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에 대해 각각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완충 구조물과의 접촉부위에 마찰방지용 패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저면부에 한정하여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KR1020200156672A 2020-11-20 2020-11-20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KR102453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672A KR102453066B1 (ko) 2020-11-20 2020-11-20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672A KR102453066B1 (ko) 2020-11-20 2020-11-20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95A KR20220069495A (ko) 2022-05-27
KR102453066B1 true KR102453066B1 (ko) 2022-10-11

Family

ID=8179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672A KR102453066B1 (ko) 2020-11-20 2020-11-20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0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330A (ja) 2003-08-22 2005-03-17 Tachi S Co Ltd シート回転機構に用いる樹脂スライダー
KR100501012B1 (ko) 2004-09-24 2005-07-18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US20100181808A1 (en) * 2009-01-19 2010-07-22 Rc2 Corporation Swivel feeding seat
JP2012144174A (ja) 2011-01-13 2012-08-02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ロック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8095152A (ja) 2016-12-15 2018-06-21 Ntn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078B1 (ko) 2017-12-28 2019-02-0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스위블 락킹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330A (ja) 2003-08-22 2005-03-17 Tachi S Co Ltd シート回転機構に用いる樹脂スライダー
KR100501012B1 (ko) 2004-09-24 2005-07-18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US20100181808A1 (en) * 2009-01-19 2010-07-22 Rc2 Corporation Swivel feeding seat
JP2012144174A (ja) 2011-01-13 2012-08-02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ロック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8095152A (ja) 2016-12-15 2018-06-21 Ntn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95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9096B2 (ja) オットマン装置
US6715832B2 (en) Geared fitting for a vehicle seat adjuster
CN101244704A (zh) 调整机构
JP7219121B2 (ja) シートリフタ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乗り物用シート
KR102453066B1 (ko) 스위블 시트의 댐핑장치
JP2011163442A (ja)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4015822B2 (ja) 等速自在継手
WO2021056991A1 (zh) 同心传动调角器以及汽车座椅
JP6631784B2 (ja) 旋回リング
JP2002323042A (ja) 回転軸用軸受装置
CN209987831U (zh) 外后视镜装置
JP6912699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7201196A (ja) 等速ジョイント
KR100672566B1 (ko) 모니터용 힌지어셈블리
KR101322659B1 (ko) 팬 조립체
JP3661393B2 (ja) 椅子
JP2016118234A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6802006B2 (ja) 折り戸用下部ガイド構造
KR10207601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JP6875345B2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
KR10171833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샤프트
JP2008202689A (ja) トリポート型等速ジョイント
JP2005106277A (ja) ダンパ装置
KR102360583B1 (ko) 동심형 컨티뉴스 리클라이너
JP5083067B2 (ja)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