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73B1 -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5373B1 KR102445373B1 KR1020217008040A KR20217008040A KR102445373B1 KR 102445373 B1 KR102445373 B1 KR 102445373B1 KR 1020217008040 A KR1020217008040 A KR 1020217008040A KR 20217008040 A KR20217008040 A KR 20217008040A KR 102445373 B1 KR102445373 B1 KR 102445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cut
- oil
- absorbent
- absorbent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using adsorption or absorption agents, resins, synthetic polymers, or ion exchang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6—All layers being made of paper or paper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기름줄이기에 이용되는 방법보다 적극적으로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 시트의 형태인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절단부를 갖추고, 상기 제1절단부 사이에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어, 한 줄의 상기 제1절단부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다. 구기면 적어도 일부 제2절단부가 시트부의 일부에 걸려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흡수 시트와 대상물의 접점을 늘려 대상물 표면의 기름방울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트 상태이므로 이동의 편리성과 높은 흡수율이 양립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 시트의 형태인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절단부를 갖추고, 상기 제1절단부 사이에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어, 한 줄의 상기 제1절단부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다. 구기면 적어도 일부 제2절단부가 시트부의 일부에 걸려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흡수 시트와 대상물의 접점을 늘려 대상물 표면의 기름방울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트 상태이므로 이동의 편리성과 높은 흡수율이 양립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에 관하여 특히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 등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튀김 등 튀김의 유분을 줄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받침판 등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돈까스, 멘치까스, 고로케, 가라아게, 튀김, 감자튀김 등의 튀김식품 받침판으로, 튀김식품의 기름기를 줄여주는 종이제 깔판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 또한, 절취선이 있는 유산지 밑에 키친타월을 겹쳐 고기나 생선을 싸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2).
예를 들어, 돈까스, 멘치까스, 고로케, 가라아게, 튀김, 감자튀김 등의 튀김식품 받침판으로, 튀김식품의 기름기를 줄여주는 종이제 깔판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 또한, 절취선이 있는 유산지 밑에 키친타월을 겹쳐 고기나 생선을 싸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2).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받침판은 걸러진 기름이 튀김식품에 다시금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름기 자체는 자연적으로 아래로 걸러지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소극적인 기름 빼기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술은 '물, 기름을 통하지 않는다'(특허문헌2의 명세서[0006]단락)유산지로 고기, 생선을 포장, 유산지의 절취선을 통해 키친타월에 기름을 흡수시키기 위해 튀김식품에서 기름을 분리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마찬가지로 소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존의 기름 빼기에 이용되는 방법보다 적극적으로 대상물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품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술은 '물, 기름을 통하지 않는다'(특허문헌2의 명세서[0006]단락)유산지로 고기, 생선을 포장, 유산지의 절취선을 통해 키친타월에 기름을 흡수시키기 위해 튀김식품에서 기름을 분리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마찬가지로 소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존의 기름 빼기에 이용되는 방법보다 적극적으로 대상물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품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서, 시트 형태의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절단부과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절단부를 갖추고, 상기 제1절단부를 사이에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 개의 상기 제1절단부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는 물떼새 모양(새발자국 무늬를 교차시킨 격자무늬)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2절단부에 대한 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시트부가 그물 모양으로 퍼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제2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시트부의 변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닿고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부터 제3 중 하나의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장자리에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된 제3절단부와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부터 제4 중 하나의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시트를 가지며,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보다 흡수성이 높고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일부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제1시트가 상기 제2시트를 끼워 넣듯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제1부터 제6의 어느 한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제1부터 제6의 어느 한 실시예의 상기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튀김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흡유하는 흡유방법으로, 제1부터 제6 중 하나의 실시예의 상기 흡수 시트를 구기는 것에 따라 적어도 일부 상기 제2절단부가 상기 시트부의 일부에 걸려있는 입체형상으로 만드는 입체화 단계와 상기 입체화 단계에 의해 입체화된 상기 흡수 시트 안에 상기 튀김을 일정시간동안 두는 정치단계를 포함한 흡유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제8실시예의 흡유방법으로, 상기 입체화 단계 전에 청구항 3에서 6 중 하나에 기재된 상기 흡수 시트의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2단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겨 상기 시트부를 그물 모양으로 펼치는 그물망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서, 시트 형태의 시트부와 여러 개의 절단부를 갖추고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제10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상기 단면이 들어가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을 더욱 갖추고 있다.
본 발명 제12실시예는 제11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절단부에 따라 분리해도 시트부 전체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는 제12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서, 네 변 전체에 상기 가장자리가 존재하며 상기 가장자리에 둘러싸여진 영역에 복수가 배열하도록 들어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는 제13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절단부는 이웃하는 절단부와의 간격이 가장 좁은 곳은 2mm 이상이며, 가장 넓은 곳은 9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는 제13 또는 제14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한 변의 길이에 비해 33% 이하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는 제12의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해당 흡수 시트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적어도 마주보는 두 변 중 한 변은 상기 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상기 가장자리이며, 다른 한 변은 가장자리까지 절단부가 들어가 있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는 제10에서 제16 중 하나의 실시예의 상기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이다.
본 발명의 제18실시예는 제17실시예의 흡수 시트롤로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9실시예는 제10부터 제12 및 제16 어느 하나의 실시예 중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취선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이다.
본 발명의 제20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서, 시트 형태의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절단부보다 짧은 복수의 제2절단부와,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장자리를 남기고 상기 가장자리에 대해 수직 방향에 설치된 선분상의 두 줄의 상기 제1절단부에 끼워진 영역인 복수의 절단부 집합부로 이루어진 단책부를 갖추고, 복수의 상기 절단 집합부는 상기 단책부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상기 가장자리에서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제1절단부 사이에 복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한 줄의 상기 제1절단부 중 적어도 두 줄의 단점에 끼워진 선분 부분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하여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제21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31) 로, 마주보는 두 변을 가진 시트의 형태인 시트부(33) 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절단부(35) 과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절단부보다 짧은 복수의 제2절단부(41) 과 상기 시트부의 상기 마주보는 두 변에,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37) 와 상기 가장자리를 남기고,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두 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기 제1절단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책으로 이루어진 단책부(39)를 갖추고,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어, 한 줄의 상기 제1절단부 중 적어도 두 줄의 끝점(44)에 끼워진 가장자리 부분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하여 여러 개의 절단조각(42)을 형성하고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는 물떼새 모양(새발자국 무늬를 교차시킨 격자무늬)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2절단부에 대한 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시트부가 그물 모양으로 퍼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제2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시트부의 변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닿고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부터 제3 중 하나의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장자리에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된 제3절단부와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부터 제4 중 하나의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시트를 가지며,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보다 흡수성이 높고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일부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제1시트가 상기 제2시트를 끼워 넣듯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제1부터 제6의 어느 한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제1부터 제6의 어느 한 실시예의 상기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튀김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흡유하는 흡유방법으로, 제1부터 제6 중 하나의 실시예의 상기 흡수 시트를 구기는 것에 따라 적어도 일부 상기 제2절단부가 상기 시트부의 일부에 걸려있는 입체형상으로 만드는 입체화 단계와 상기 입체화 단계에 의해 입체화된 상기 흡수 시트 안에 상기 튀김을 일정시간동안 두는 정치단계를 포함한 흡유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제8실시예의 흡유방법으로, 상기 입체화 단계 전에 청구항 3에서 6 중 하나에 기재된 상기 흡수 시트의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2단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겨 상기 시트부를 그물 모양으로 펼치는 그물망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서, 시트 형태의 시트부와 여러 개의 절단부를 갖추고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제10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상기 단면이 들어가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을 더욱 갖추고 있다.
본 발명 제12실시예는 제11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절단부에 따라 분리해도 시트부 전체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는 제12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서, 네 변 전체에 상기 가장자리가 존재하며 상기 가장자리에 둘러싸여진 영역에 복수가 배열하도록 들어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는 제13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절단부는 이웃하는 절단부와의 간격이 가장 좁은 곳은 2mm 이상이며, 가장 넓은 곳은 9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는 제13 또는 제14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한 변의 길이에 비해 33% 이하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는 제12의 실시예의 흡수 시트로서, 해당 흡수 시트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적어도 마주보는 두 변 중 한 변은 상기 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상기 가장자리이며, 다른 한 변은 가장자리까지 절단부가 들어가 있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는 제10에서 제16 중 하나의 실시예의 상기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이다.
본 발명의 제18실시예는 제17실시예의 흡수 시트롤로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9실시예는 제10부터 제12 및 제16 어느 하나의 실시예 중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취선까지 연장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이다.
본 발명의 제20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서, 시트 형태의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절단부보다 짧은 복수의 제2절단부와,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장자리를 남기고 상기 가장자리에 대해 수직 방향에 설치된 선분상의 두 줄의 상기 제1절단부에 끼워진 영역인 복수의 절단부 집합부로 이루어진 단책부를 갖추고, 복수의 상기 절단 집합부는 상기 단책부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상기 가장자리에서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제1절단부 사이에 복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한 줄의 상기 제1절단부 중 적어도 두 줄의 단점에 끼워진 선분 부분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하여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제21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31) 로, 마주보는 두 변을 가진 시트의 형태인 시트부(33) 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절단부(35) 과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절단부보다 짧은 복수의 제2절단부(41) 과 상기 시트부의 상기 마주보는 두 변에,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가 들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37) 와 상기 가장자리를 남기고,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두 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기 제1절단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책으로 이루어진 단책부(39)를 갖추고,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어, 한 줄의 상기 제1절단부 중 적어도 두 줄의 끝점(44)에 끼워진 가장자리 부분에 대해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연결하여 여러 개의 절단조각(42)을 형성하고 있는 흡수 시트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시나 설치시에는 평면적이고 장소를 절약하고 흡수 시트를 구기는 것으로 단책부가 서로 얽혀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른다. 또한 복수의 제1절단부와 복수의 제2절단부가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조각이 제1절단부, 시트부의 변 또는 다른 제2절단부 등의 시트부 일부에 걸림으로써 대상물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을 안정적이며 쉽게 무너지지 않는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의 내부에 매몰되도록 넣어, 흡수 시트와의 접촉 면적을 비약적으로 증대시켜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적극적으로 제거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된 제2절단부를 그물 모양으로 펼치는 것에 의해 단책부가 늘어나기 때문에, 보다 부풀어 오른 형상의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절단부가 시트부 일부에 얽히거나 적어지고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을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그물망 형상으로 퍼지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더욱 부풀어 오르거나, 또한 전부의 제2절단부를 용이하게 그물망 형상으로 펼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마주보는 변의 가장자리를 제3절단부에 넣는 것으로, 흡수 시트를 구기지 않고 대상물을 보자기와 같이 감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대상물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높은 흡수성과 강성이 높은 특성 모두를 갖춘 특수 시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겸비한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흡수 시트의 겉과 속을 신경 쓸 것 없이,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겸비한 흡수 시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하면, 흡수 시트에 절단부가 있는 것에 의해, 구기면 얽혀지는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흡수 시트와 대상물의 접점을 늘려 대상물 표면의 기름방울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시트 형태에 따른 이동 및 수납의 편리성과 사용 시에 입체적인 구조로 함으로써 높은 흡수효율과 양립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흡수 시트의 한 변은 절단부가 들어가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대상물이 음식인 경우에는 흡수 시트가 뿔뿔이 흩어져서 대상물과 함께 잘못 먹을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하면, 흡수 시트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입체적이고 높은 흡수율과 폐기할 때의 간편함이 양립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부터 제16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흡수 시트를 구김에 따라 쉽게 안정되고 입체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흡수 시트롤에서 각각의 흡수 시트를 분리하여 사용할 때, 절취선과 절단부가 평행하면 흡수 시트의 절단부에도 끊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면 흡수 시트의 절단부가 더욱 강하게 작용한 결과, 가장자리 부분의 절단부가 아닌 부분까지 파손될 수 있다. 그래서 절단부가 절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흡수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쉬워진다.
또,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흡수 시트를 분리한 후에, 절단부가 가장자리까지 들어가 있어, 절단부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된 제2절단부를 그물 모양으로 펼치는 것에 의해 단책부가 늘어나기 때문에, 보다 부풀어 오른 형상의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절단부가 시트부 일부에 얽히거나 적어지고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을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그물망 형상으로 퍼지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더욱 부풀어 오르거나, 또한 전부의 제2절단부를 용이하게 그물망 형상으로 펼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마주보는 변의 가장자리를 제3절단부에 넣는 것으로, 흡수 시트를 구기지 않고 대상물을 보자기와 같이 감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대상물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높은 흡수성과 강성이 높은 특성 모두를 갖춘 특수 시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겸비한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흡수 시트의 겉과 속을 신경 쓸 것 없이,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겸비한 흡수 시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하면, 흡수 시트에 절단부가 있는 것에 의해, 구기면 얽혀지는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흡수 시트와 대상물의 접점을 늘려 대상물 표면의 기름방울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시트 형태에 따른 이동 및 수납의 편리성과 사용 시에 입체적인 구조로 함으로써 높은 흡수효율과 양립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흡수 시트의 한 변은 절단부가 들어가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대상물이 음식인 경우에는 흡수 시트가 뿔뿔이 흩어져서 대상물과 함께 잘못 먹을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하면, 흡수 시트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입체적이고 높은 흡수율과 폐기할 때의 간편함이 양립하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부터 제16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흡수 시트를 구김에 따라 쉽게 안정되고 입체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흡수 시트롤에서 각각의 흡수 시트를 분리하여 사용할 때, 절취선과 절단부가 평행하면 흡수 시트의 절단부에도 끊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면 흡수 시트의 절단부가 더욱 강하게 작용한 결과, 가장자리 부분의 절단부가 아닌 부분까지 파손될 수 있다. 그래서 절단부가 절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흡수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쉬워진다.
또,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흡수 시트를 분리한 후에, 절단부가 가장자리까지 들어가 있어, 절단부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도 1] 실시예 1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흡유지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 3종류의 흡유방법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 규격이 통일된 3종류의 대상물에 대한 흡유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 실험에서 사용한 3종류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확대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 흡유지 절단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 흡유지의 절단부의 폭과 흡유지의 얽힘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 흡유지의 절단부의 가장자리 폭과 흡유지의 얽힌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 실시예 2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흡유지의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3] 삼각뿔 모양의 대상물을 흡유지(45)로 감싼 상태를 예시하는 그림이다.
[도 14] 흡유지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 실시예 3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실시예 4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흡수 시트 형태의 변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 흡유지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 3종류의 흡유방법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 규격이 통일된 3종류의 대상물에 대한 흡유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 실험에서 사용한 3종류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확대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 흡유지 절단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 흡유지의 절단부의 폭과 흡유지의 얽힘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 흡유지의 절단부의 가장자리 폭과 흡유지의 얽힌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 실시예 2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흡유지의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3] 삼각뿔 모양의 대상물을 흡유지(45)로 감싼 상태를 예시하는 그림이다.
[도 14] 흡유지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 실시예 3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실시예 4의 흡유지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흡수 시트 형태의 변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기술한다. 덧붙여 본원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된 흡유지(1)(본원청구항의 '흡수 시트'의 한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1)은 가라아게 등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빨아내는 것으로 일반적인 페이퍼 타월의 크기이다. 흡유지(1)은 시트부(3)(본원청구항의 '시트부'의 한 예)와 복수의 절단부(5)를 갖춘다. 시트부(3)은 가장자리 부분(7)(본원청구항의 '가장자리 부분'의 일례)와 단책부(9)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유지(1)에는 약 1cm의 가장자리 부분(7)을 남기고 같은 방향으로 같은 길이의 절단부(5)가 들어가 있다. 결과적으로 흡유지(1)은 가장자리 부분(7)로 연결된 폭 약 1㎝의 단책상 시트가 된다. 단, 사용 전 절단부(5)는 절취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흡유지(1)의 사용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2는 흡유지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흡유지(1)을 사용하기 전에 절단부(5)를 분리한다. 이어서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유지(1)을 구겨서 여러 개의 단책으로 이루어진 단책부(9)를 얽어 맞추는 것으로, 보다 흡유지(1)을 입체화시킨다(이하 '입체화 단계'이라고 기재).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입체화된 흡유지(1) 중 가라아게 등의 대상물(11)을 넣음으로써 대상물(11)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흡수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흡유지 효과를 확인한 실험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3은 3종류의 흡유 방법을 비교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1) 닭고기 5개를 기름에 튀긴 상태(도 3(a)-(c). (2) (1)에서 튀긴 가라아게 5개를 3종류의 흡유지에 5분동안 그대로 둔 상태(도 3(d)-(f)). (3) 가라아게를 빼고, 기름을 먹은 흡유지의 상태(도 3(g)-(i))이다.
여기에서 3종류의 흡유지로서 본 실시예에 관한 흡유지에 대해 입체화 단계를 한 것, 평면(입체화 단계를 거치지 않고 평면 상태 그대로 기름을 흡입시키는 것)의 흡유지, 평면 키친타올 사용하였다.
또, 계측 내용으로서 기름을 흡수하기 전 흡유지의 무게, 기름을 흡수한 후의 흡유지의 무게, 가라아게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3종류의 흡유방법에 대한 각각 3회 계측을 실시해, 그 평균치를 계측 결과로 했다. 계측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유지에 대해 입체화 단계를 실시하여 흡유시키는 것에 따라 평면의 경우에 비해 2배 이상의 흡유가 가능해졌다. 이는 흡유지가 입체적인 것에 의해 가라아게 등 대상물과의 접점이 늘어난 결과로, 보다 많은 모세관 현상이 생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흡유지에 절단부가 생기는 것에 따라 흡유지가 입체적으로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는 자유도가 증가하여 흡유지의 공간적 확산도를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가라아게 등의 대상물이 흡유지 속에 묻히기 쉬워지고, 흡유지와의 접점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흡유지는 튀김 기름을 흡유하는 것 외에도 과일 등 대상물의 물방울을 흡수하는 데 사용해도 된다. 그 밖에 대상물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튀김은 크기와 모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편차가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형상에 규격성이 있는 대상물로 본 실시예의 흡유지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계측 내용으로서 기름을 빨아들이기 전 전체 중량, 기름을 흡수한 후 전체 중량, 튀긴 대상물을 제외한 중량을 계측해 기록했다. 또, 3종류의 대상물에서 각각 흡유지가 흡수한 기름의 중량을 산출하여 비교한 측정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지우개조각'이나 '메추라기 알' 등의 입체적이고 구체에 가까운 형상의 대상물은 흡유지에 대해 입체화 단계를 실시하여 흡유시키는 것에 따라, 평면의 경우에 비해 4배 전후의 흡유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바움쿠헨은 평면의 흡유지가 더 많이 흡유하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평평한 부분의 설치면적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형상으로는 반드시 평평한 부분의 접지 면적이 크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지우개조각'이나 '메추라기 알' 실험결과에 가까운 실험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흡유지를 구겼을 때 효과적으로 입체형상이 될 수 있는 절단부 패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실험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5(A) ~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절단부가 들어간 흡유지를 각 5매씩 20초간 구겨서 평평한 면에 일정시간 두었을 때 흡유지의 넓이와 높이를 비교했다. 또, 도 5에 나타나 있는 흡유지 절단부 패턴의 후면도(저면도)은 정면도(평면도)과 대칭에 따라 생략한다.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확대를 비교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5(A)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11)과 도 5(C)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 (15)는 흡유지끼리 쉽게 얽히지 않으며 평면으로 두었을 때 엉킴이 풀려 뚫릴 것 같으나, 도 5(B)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13)은 흡유지끼리 얽히고 설켜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5(A)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17)과 도 5(C)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21)은, 입체형상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높이와 밀도가 비교적 낮다. 이에 비해 도 5(B)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19)는 뭉쳐 있기 때문에 높이도 높고 밀도도 높다.
상기의 이유로 도 5(B)의 절개 패턴은 도 5(A)나 도 5(C)의 절단부 패턴보다 벌어지지 않고 잘 얽혔다가 풀리지 않는 입체형상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유지에의 절단부 패턴은 도 8의 (a)~(i)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태도 좋다. 또, 도 8에 나타나 있는 흡유지에 대한 절단부 패턴의 후면도(저면도)은 정면도(평면도)와 대칭에 대해 생략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끊어진 곳의 폭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9는 흡유지 절개면의 폭과 흡유지의 얽힘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흡유지의 가장자리는 1㎝로 통일했다.
도 9(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폭을 1mm로 했을 때, 흡유지가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대상물이 흡유지에 가라 앉지 않거나 기름이 묻으면 끊어져 버리는 등,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편, 2mm~9cm까지는, 흡유지가 적절히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이 보였다. 따라서 이번 실험부터는 절단부의 폭이 2mm 이상 9cm 이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가장자리의 폭에 대해 검토한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도 10은, 흡유지 절개면의 가장자리 폭과 흡유지의 얽힘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흡유지의 절개면 폭은 1㎝로 통일했다.
도 10(h)과 같이, 가장자리 폭을 한 변(약 21.5cm)의 41.9%으로 하면, 절개면의 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절단부의 길이도 짧아져 흡유지끼리 얽히지 않고 입체적으로 충분히 부풀지 않았다. 한편, 가장자리의 폭을 한 변의 0.5%~33%로 했을 경우는, 흡유지끼리 얽혀 입체적인 팽창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정사각형 흡유지의 네 변 모두의 가장자리를 남긴 형태로 했다. 그러나 직사각형의 흡유지나, 한 변에서 세 변의 가장자리를 남기는 형태로도 좋다.
흡유지 크기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일반적인 키친타월의 표준사이즈(가로 220mmХ세로 230mm)이거나 기타 크기도 좋다.
흡유지 형상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형태 또는 다각형으로도 좋다.
또, 흡유지는 종이 이외의 흡수체이어도 된다. 이동의 편리성을 생각하면 시트 형태의 물건에 절단부가 들어가는 것으로 쉽게 얽혀 입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유지의 절단부는 다른 방향이어도 좋고, 다른 길이이어도 좋다.
또한, 흡유지의 절개 부분은 시트부를 단책 형태로 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절단부라도 좋다. 절단부를 분리한 후에도 시트부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절단부를 넣는 것은 흡유지를 처분할 때 수고를 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의 그 흡유지를 절취선으로 연결된 흡유 시트롤(본원청구항의 '흡수 시트롤'의 일례)로 제공해도 된다. 또, 일반적인 티슈와 같이 여러 개의 흡유지가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상자에 담겨 제공되는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2
도 1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된 흡유지(31)(본원청구항의 '흡수 시트'의 한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3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트부(33)(본원청구항의 '시트부'의 한 예)과 실시예 1의 절단부(5)에 상당하는 제1절단부(35)(본원청구항의 '제1절단부'의 일례)를 갖춘다. 시트부(33)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부분(37)(본원 청구항의 '가장자리 부분'의 한 예)과 단책부(39)를 가진다. 단책부(39)는 복수의 영역인 절단부 집합부(40)으로 이루어진다. 절단부 집합부(40)은 가장자리 부분(37)을 남기고 가장자리 부분(37)의 두 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선분상의 두 줄의 제1절단부(35)에 끼워진 영역이다. 복수의 절단집합부분(40)은 단책부(39)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가장자리 부분(37)로 연결되어 있다.
흡유지(31)은 제1절단부(35)보다 짧은 제2절단부(41)(본원청구항의 '제1절단부'의 한 예)과 제3절단부(43)(본원청구항의 '제3절단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유지(31)은 정사각형로서, 흡유지(31)의 마주보는 두 변에 약 1cm씩의 가장자리(37)을 남기고, 가장자리(37)의 두 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같은 길이의 제1절단부(35)가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절단부(41) 중 적어도 일부는 제1절단부(35)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절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절단부(35)에 대하여 수직으로,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복수의 제2절단부(41) 중 적어도 일부는 제1절단부 간격의 길이보다 짧거나 적어도 제1절단부 중 한 줄 밖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 '물떼새 모양'이란 마주보는 복수의 제2절단부(41) 사이에 교차하여 절단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그 때문에 시트부(33)을 제2절단부(4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끌면 시트부(33)이 망상으로 퍼지게 된다. 또, 제2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시트부 두 변에 복수의 제2절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망상으로 퍼지는 부분이 많아 더욱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 제2절단부를 용이하게 그물망 모양으로 넓힐 수 있게 된다. 제3절단부(43)는 제1절단부(35)에 대하여 수직의 흡유지(31)의 변측 가장자리(37)에, 제1절단부(35)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줄의 제1절단부(35)의 적어도 두 개의 끝점에 끼워진 선분 부분에 대해 복수의 제2절단부(41)가 연결되어 복수의 절단부(42)를 형성하고 있다. 단책에 들어간 절단부나 절단된 가장자리는 한 줄의 제1절단부(35)중 적어도 두 개의 가장자리 점에 끼워진 선분부분에 대하여 복수의 제2절단부(41)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시트부(33)을 제2절단부(4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겨 시트부(33)을 망상으로 펼친 후(본원청구항의 '망상화단계'의 한 예), 시트부(33)을 구기면 단책부(39)가 서로 얽혀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이 되고, 게다가 적어도 일부의 제2절단부(41)이 제1절단부(35), 시트부(33)의 변 또는 다른 제2절단부(41) 등의 시트부(33)의 임의의 부분에 걸리는 경우로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을 안정화할 수 있게 된다(본원청구항의 '입체화 단계'의 한 예). 입체화 단계는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에 연결하여 복수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본원 발명의 흡수 시트이기 때문에, 더욱 제2절단부가 시트부 일부에 걸려 있는 입체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촉진된다. 복수의 제1절단부(35)와 복수의 제2절단부(41)이 복수의 절단부를 형성한 결과 입체화한 후의 시트부(33)은 대상물을 외부에서 감싸는 뿐만 아니라 입체형상 내부에서도 절단부가 대상물과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을 부풀어 오른 형상의 내부에 매몰되도록 넣었을 때(본원청구항의 '정치단계'의 일례), 흡유지(31)과의 접촉면적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동시에 다수의 절단조각이 발생하는 것은 엔트로피의 증대에 따라 입체화가 불가역변화가 되도록 촉진한다. 이로 인해 입체형상의 평면화를 방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마주보는 변의 가장자리 부분(37)을 제3절단부(43)에 넣어 흡유지(31)을 구기지 않고 대상물을 보자기처럼 감쌀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도 12는 흡유지(45)의 제2절단부(47) 및 제3절단부(49)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제1절단부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그림이다. 도 12(a)와 같이, 제2절단부(47)은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3절단부(49)는 마주보는 두 개의 선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두 개가 설치되어 있다. 흡유지(45)를 제2절단부(47)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 도 12(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흡유지(45)가 그물 모양으로 퍼진다.
도 13은 그 예로 삼각뿔 모양의 대상물을 흡유지(45)로 감싼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a)에 나타나 있듯이, 두 개의 제3절단부(49)를 서로 넣어 고정하면 흡유지(45)로 22개의 대상물을 보자기와 같이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3(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대상물 위에 흡유지를 더해서, 그 바깥쪽을 1장의 흡유지로 감싸면 틈을 메울 수 있어 흡유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c)은 여기에 예로서 사용한 대상물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의 패턴은 도 14의 (a) ~(d)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형상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난 절단부 패턴의 후면도(저면도)는 정면도(평면도)와 대칭되어 생략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절단부가 제1절단부와 연결하여 있는 경우 및 제2절단부가 그물 모양으로 퍼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특히나 제2절단부가 시트부의 일부에 얽히기 쉬워져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제2절단부는 제1절단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이라면,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절단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절단부가 인접한 제1절단부에 연결하는 제2절단부의 사이에 서로 끊어지는 길이라면, 그물 모양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특히 제2절단부가 얽히기 쉬워진다.
더욱이, 제3절단부는 도 14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 위에, 마주 보이는 두 줄의 선분을 형성하도록 두 개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3
도 15(a)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3과 관련된 흡유지(51)의 단면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51)의 표 도면(평면도)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흡유지(51)의 시트부(53)은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55)(본원청구항의 '제1시트'의 한 예)와 강성이 높은 제2시트(57)(본원청구항의 '제1시트'의 한 예)의 2층 구조이다.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는 제1시트(55) 및 제2시트(57)를 관통하고 있다.
흡유지(51)는 높은 흡수성과 강성이 높은 특성을 모두 갖춘 특수 시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가진다.
또한,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는 제1시트(55)와 제2시트(57)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도 15(b)는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와 갈색의 강성이 높은 제2시트로 이루어진 흡유지, 도 15(c)는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 2매로 이루어진 흡유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의 (d)와 (e)는 (b)와 (c)의 흡유지를 각각 옆으로 당겨 제2절단부를 벌린 상태, (f)와 (g)는 제2절단부 간 서로 얽혀 흡유지가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에 강성이 높은 제2시트를 조합하면, 도 15(f)와 같이 제2절단부 간 얽힌 입체 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이 높지만 강성은 낮은 제1시트를 2매 이용한 경우는 도 15(g)와 같이 제2절단부가 서로 얽혀 입체적이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틈이 벌어져 (f)보다는 무너지기 쉬웠다.
실시예 4
도 16(a)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4와 관련된 흡유지(61)의 단면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61)의 정면도(평면도)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흡유지(61)의 시트부(63)은 2매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65)로, 강성이 높은 제2시트(67)을 끼워 넣도록 적층되어 있는 3층 구조이다.
흡유지(61)은 실시예 3의 흡유지(51)과 동일하게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겸비하고 있다. 또, 흡유지(61)은 대상물에 접하는 면이 반드시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65)이므로 사용자가 흡수 시트의 겉과 속을 신경 쓰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도 16 (b)은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 2장 사이에 갈색의 강성이 높은 제2시트 1장을 사이에 두고 있는 흡유지, 도 16(c)은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 3장으로 이루어진 흡유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6의 (d)와 (e)는 (b)와 (c)의 흡유지를 각각 옆으로 잡아당겨 제2절단부를 펼친 상태, (f)와 (g)는 제2절단부끼리 서로 얽혀 흡유지가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에 강성이 높은 제2시트를 조합하면 도 16(f)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절단부끼리 서로 얽힌 입체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이 높지만 강성은 낮은 제1시트 2장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도 16(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절단부끼리 서로 얽혀 입체적으로는 되었지만, 부분적으로 간격이 두드러졌다. 도 16(h)은 (f)와 (g)에 나타내는 입체 상태의 흡유지에 일정한 진동을 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f)는 진동을 준 후에도 부피가 큰 상태까지 있어, 입체 상태를 안정시키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유지 형상은 정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좋고, 기타 형태라도 좋다. 도 17은 시트부의 형상이 (a) 원형, (b) 삼각형, (c) 오각형, (d) 사다리꼴 흡수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는 심플한 직선상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 파선 또는 지그재그선과 같은 직선 이외의 선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2절단부는 이용자가 그물 모양으로 펼쳤을 때 절단부가 날 정도로, 예를 들어 절취선 등을 형성하도록 약하게 연결된 것이라도 좋다.
또, 제3절단부는 실시예 2에 대해서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로, 흡유지에 여러 종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제3절단부가 단책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한 줄씩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1
도 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된 흡유지(1)(본원청구항의 '흡수 시트'의 한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1)은 가라아게 등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빨아내는 것으로 일반적인 페이퍼 타월의 크기이다. 흡유지(1)은 시트부(3)(본원청구항의 '시트부'의 한 예)와 복수의 절단부(5)를 갖춘다. 시트부(3)은 가장자리 부분(7)(본원청구항의 '가장자리 부분'의 일례)와 단책부(9)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유지(1)에는 약 1cm의 가장자리 부분(7)을 남기고 같은 방향으로 같은 길이의 절단부(5)가 들어가 있다. 결과적으로 흡유지(1)은 가장자리 부분(7)로 연결된 폭 약 1㎝의 단책상 시트가 된다. 단, 사용 전 절단부(5)는 절취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흡유지(1)의 사용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2는 흡유지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흡유지(1)을 사용하기 전에 절단부(5)를 분리한다. 이어서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유지(1)을 구겨서 여러 개의 단책으로 이루어진 단책부(9)를 얽어 맞추는 것으로, 보다 흡유지(1)을 입체화시킨다(이하 '입체화 단계'이라고 기재).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입체화된 흡유지(1) 중 가라아게 등의 대상물(11)을 넣음으로써 대상물(11)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흡수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흡유지 효과를 확인한 실험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3은 3종류의 흡유 방법을 비교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1) 닭고기 5개를 기름에 튀긴 상태(도 3(a)-(c). (2) (1)에서 튀긴 가라아게 5개를 3종류의 흡유지에 5분동안 그대로 둔 상태(도 3(d)-(f)). (3) 가라아게를 빼고, 기름을 먹은 흡유지의 상태(도 3(g)-(i))이다.
여기에서 3종류의 흡유지로서 본 실시예에 관한 흡유지에 대해 입체화 단계를 한 것, 평면(입체화 단계를 거치지 않고 평면 상태 그대로 기름을 흡입시키는 것)의 흡유지, 평면 키친타올 사용하였다.
또, 계측 내용으로서 기름을 흡수하기 전 흡유지의 무게, 기름을 흡수한 후의 흡유지의 무게, 가라아게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3종류의 흡유방법에 대한 각각 3회 계측을 실시해, 그 평균치를 계측 결과로 했다. 계측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용 | 가라아게의 무게 (g) | 흡유전의 흡유지의 무게 (g) | 흡유후의 흡유지의 무게 (g) | 흡유랑(g) | 가라아게 1g당 흡유량 (mg) | |
A | 본 실시예의 흡유지 (입체가공) ※10매 | 158.3 | 21.6 | 25.0 | 3.4 | 21.5 |
B | 본 실시예의 흡유지 (평면) ※10매 | 174.8 | 22.0 | 23.8 | 1.8 | 10.3 |
C | 키친타월 (평면) ※6매 | 164.7 | 10.7 | 12.1 | 1.4 | 8.5 |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유지에 대해 입체화 단계를 실시하여 흡유시키는 것에 따라 평면의 경우에 비해 2배 이상의 흡유가 가능해졌다. 이는 흡유지가 입체적인 것에 의해 가라아게 등 대상물과의 접점이 늘어난 결과로, 보다 많은 모세관 현상이 생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흡유지에 절단부가 생기는 것에 따라 흡유지가 입체적으로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는 자유도가 증가하여 흡유지의 공간적 확산도를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가라아게 등의 대상물이 흡유지 속에 묻히기 쉬워지고, 흡유지와의 접점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흡유지는 튀김 기름을 흡유하는 것 외에도 과일 등 대상물의 물방울을 흡수하는 데 사용해도 된다. 그 밖에 대상물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튀김은 크기와 모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편차가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형상에 규격성이 있는 대상물로 본 실시예의 흡유지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계측 내용으로서 기름을 빨아들이기 전 전체 중량, 기름을 흡수한 후 전체 중량, 튀긴 대상물을 제외한 중량을 계측해 기록했다. 또, 3종류의 대상물에서 각각 흡유지가 흡수한 기름의 중량을 산출하여 비교한 측정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지우개조각'이나 '메추라기 알' 등의 입체적이고 구체에 가까운 형상의 대상물은 흡유지에 대해 입체화 단계를 실시하여 흡유시키는 것에 따라, 평면의 경우에 비해 4배 전후의 흡유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바움쿠헨은 평면의 흡유지가 더 많이 흡유하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평평한 부분의 설치면적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형상으로는 반드시 평평한 부분의 접지 면적이 크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지우개조각'이나 '메추라기 알' 실험결과에 가까운 실험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흡유지를 구겼을 때 효과적으로 입체형상이 될 수 있는 절단부 패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실험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5(A) ~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절단부가 들어간 흡유지를 각 5매씩 20초간 구겨서 평평한 면에 일정시간 두었을 때 흡유지의 넓이와 높이를 비교했다. 또, 도 5에 나타나 있는 흡유지 절단부 패턴의 후면도(저면도)은 정면도(평면도)과 대칭에 따라 생략한다.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확대를 비교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5(A)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11)과 도 5(C)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 (15)는 흡유지끼리 쉽게 얽히지 않으며 평면으로 두었을 때 엉킴이 풀려 뚫릴 것 같으나, 도 5(B)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13)은 흡유지끼리 얽히고 설켜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입체형상에 구겨서 넣은 흡유지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5(A)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17)과 도 5(C)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21)은, 입체형상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높이와 밀도가 비교적 낮다. 이에 비해 도 5(B)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19)는 뭉쳐 있기 때문에 높이도 높고 밀도도 높다.
상기의 이유로 도 5(B)의 절개 패턴은 도 5(A)나 도 5(C)의 절단부 패턴보다 벌어지지 않고 잘 얽혔다가 풀리지 않는 입체형상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유지에의 절단부 패턴은 도 8의 (a)~(i)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태도 좋다. 또, 도 8에 나타나 있는 흡유지에 대한 절단부 패턴의 후면도(저면도)은 정면도(평면도)와 대칭에 대해 생략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끊어진 곳의 폭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9는 흡유지 절개면의 폭과 흡유지의 얽힘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흡유지의 가장자리는 1㎝로 통일했다.
도 9(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폭을 1mm로 했을 때, 흡유지가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대상물이 흡유지에 가라 앉지 않거나 기름이 묻으면 끊어져 버리는 등,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편, 2mm~9cm까지는, 흡유지가 적절히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이 보였다. 따라서 이번 실험부터는 절단부의 폭이 2mm 이상 9cm 이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가장자리의 폭에 대해 검토한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도 10은, 흡유지 절개면의 가장자리 폭과 흡유지의 얽힘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흡유지의 절개면 폭은 1㎝로 통일했다.
도 10(h)과 같이, 가장자리 폭을 한 변(약 21.5cm)의 41.9%으로 하면, 절개면의 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절단부의 길이도 짧아져 흡유지끼리 얽히지 않고 입체적으로 충분히 부풀지 않았다. 한편, 가장자리의 폭을 한 변의 0.5%~33%로 했을 경우는, 흡유지끼리 얽혀 입체적인 팽창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정사각형 흡유지의 네 변 모두의 가장자리를 남긴 형태로 했다. 그러나 직사각형의 흡유지나, 한 변에서 세 변의 가장자리를 남기는 형태로도 좋다.
흡유지 크기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일반적인 키친타월의 표준사이즈(가로 220mmХ세로 230mm)이거나 기타 크기도 좋다.
흡유지 형상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형태 또는 다각형으로도 좋다.
또, 흡유지는 종이 이외의 흡수체이어도 된다. 이동의 편리성을 생각하면 시트 형태의 물건에 절단부가 들어가는 것으로 쉽게 얽혀 입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유지의 절단부는 다른 방향이어도 좋고, 다른 길이이어도 좋다.
또한, 흡유지의 절개 부분은 시트부를 단책 형태로 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절단부라도 좋다. 절단부를 분리한 후에도 시트부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절단부를 넣는 것은 흡유지를 처분할 때 수고를 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의 그 흡유지를 절취선으로 연결된 흡유 시트롤(본원청구항의 '흡수 시트롤'의 일례)로 제공해도 된다. 또, 일반적인 티슈와 같이 여러 개의 흡유지가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상자에 담겨 제공되는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2
도 1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된 흡유지(31)(본원청구항의 '흡수 시트'의 한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3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트부(33)(본원청구항의 '시트부'의 한 예)과 실시예 1의 절단부(5)에 상당하는 제1절단부(35)(본원청구항의 '제1절단부'의 일례)를 갖춘다. 시트부(33)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부분(37)(본원 청구항의 '가장자리 부분'의 한 예)과 단책부(39)를 가진다. 단책부(39)는 복수의 영역인 절단부 집합부(40)으로 이루어진다. 절단부 집합부(40)은 가장자리 부분(37)을 남기고 가장자리 부분(37)의 두 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선분상의 두 줄의 제1절단부(35)에 끼워진 영역이다. 복수의 절단집합부분(40)은 단책부(39)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가장자리 부분(37)로 연결되어 있다.
흡유지(31)은 제1절단부(35)보다 짧은 제2절단부(41)(본원청구항의 '제1절단부'의 한 예)과 제3절단부(43)(본원청구항의 '제3절단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유지(31)은 정사각형로서, 흡유지(31)의 마주보는 두 변에 약 1cm씩의 가장자리(37)을 남기고, 가장자리(37)의 두 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같은 길이의 제1절단부(35)가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절단부(41) 중 적어도 일부는 제1절단부(35)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절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절단부(35)에 대하여 수직으로,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복수의 제2절단부(41) 중 적어도 일부는 제1절단부 간격의 길이보다 짧거나 적어도 제1절단부 중 한 줄 밖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 '물떼새 모양'이란 마주보는 복수의 제2절단부(41) 사이에 교차하여 절단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그 때문에 시트부(33)을 제2절단부(4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끌면 시트부(33)이 망상으로 퍼지게 된다. 또, 제2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시트부 두 변에 복수의 제2절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망상으로 퍼지는 부분이 많아 더욱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 제2절단부를 용이하게 그물망 모양으로 넓힐 수 있게 된다. 제3절단부(43)는 제1절단부(35)에 대하여 수직의 흡유지(31)의 변측 가장자리(37)에, 제1절단부(35)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줄의 제1절단부(35)의 적어도 두 개의 끝점에 끼워진 선분 부분에 대해 복수의 제2절단부(41)가 연결되어 복수의 절단부(42)를 형성하고 있다. 단책에 들어간 절단부나 절단된 가장자리는 한 줄의 제1절단부(35)중 적어도 두 개의 가장자리 점에 끼워진 선분부분에 대하여 복수의 제2절단부(41)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시트부(33)을 제2절단부(4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겨 시트부(33)을 망상으로 펼친 후(본원청구항의 '망상화단계'의 한 예), 시트부(33)을 구기면 단책부(39)가 서로 얽혀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이 되고, 게다가 적어도 일부의 제2절단부(41)이 제1절단부(35), 시트부(33)의 변 또는 다른 제2절단부(41) 등의 시트부(33)의 임의의 부분에 걸리는 경우로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을 안정화할 수 있게 된다(본원청구항의 '입체화 단계'의 한 예). 입체화 단계는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에 연결하여 복수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본원 발명의 흡수 시트이기 때문에, 더욱 제2절단부가 시트부 일부에 걸려 있는 입체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촉진된다. 복수의 제1절단부(35)와 복수의 제2절단부(41)이 복수의 절단부를 형성한 결과 입체화한 후의 시트부(33)은 대상물을 외부에서 감싸는 뿐만 아니라 입체형상 내부에서도 절단부가 대상물과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을 부풀어 오른 형상의 내부에 매몰되도록 넣었을 때(본원청구항의 '정치단계'의 일례), 흡유지(31)과의 접촉면적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동시에 다수의 절단조각이 발생하는 것은 엔트로피의 증대에 따라 입체화가 불가역변화가 되도록 촉진한다. 이로 인해 입체형상의 평면화를 방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마주보는 변의 가장자리 부분(37)을 제3절단부(43)에 넣어 흡유지(31)을 구기지 않고 대상물을 보자기처럼 감쌀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도 12는 흡유지(45)의 제2절단부(47) 및 제3절단부(49)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제1절단부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그림이다. 도 12(a)와 같이, 제2절단부(47)은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3절단부(49)는 마주보는 두 개의 선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두 개가 설치되어 있다. 흡유지(45)를 제2절단부(47)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 도 12(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흡유지(45)가 그물 모양으로 퍼진다.
도 13은 그 예로 삼각뿔 모양의 대상물을 흡유지(45)로 감싼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a)에 나타나 있듯이, 두 개의 제3절단부(49)를 서로 넣어 고정하면 흡유지(45)로 22개의 대상물을 보자기와 같이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3(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대상물 위에 흡유지를 더해서, 그 바깥쪽을 1장의 흡유지로 감싸면 틈을 메울 수 있어 흡유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c)은 여기에 예로서 사용한 대상물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의 패턴은 도 14의 (a) ~(d)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형상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난 절단부 패턴의 후면도(저면도)는 정면도(평면도)와 대칭되어 생략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절단부가 제1절단부와 연결하여 있는 경우 및 제2절단부가 그물 모양으로 퍼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특히나 제2절단부가 시트부의 일부에 얽히기 쉬워져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제2절단부는 제1절단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이라면,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절단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절단부가 인접한 제1절단부에 연결하는 제2절단부의 사이에 서로 끊어지는 길이라면, 그물 모양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특히 제2절단부가 얽히기 쉬워진다.
더욱이, 제3절단부는 도 14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 위에, 마주 보이는 두 줄의 선분을 형성하도록 두 개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3
도 15(a)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3과 관련된 흡유지(51)의 단면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51)의 표 도면(평면도)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흡유지(51)의 시트부(53)은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55)(본원청구항의 '제1시트'의 한 예)와 강성이 높은 제2시트(57)(본원청구항의 '제1시트'의 한 예)의 2층 구조이다.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는 제1시트(55) 및 제2시트(57)를 관통하고 있다.
흡유지(51)는 높은 흡수성과 강성이 높은 특성을 모두 갖춘 특수 시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가진다.
또한,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는 제1시트(55)와 제2시트(57)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도 15(b)는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와 갈색의 강성이 높은 제2시트로 이루어진 흡유지, 도 15(c)는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 2매로 이루어진 흡유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의 (d)와 (e)는 (b)와 (c)의 흡유지를 각각 옆으로 당겨 제2절단부를 벌린 상태, (f)와 (g)는 제2절단부 간 서로 얽혀 흡유지가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에 강성이 높은 제2시트를 조합하면, 도 15(f)와 같이 제2절단부 간 얽힌 입체 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이 높지만 강성은 낮은 제1시트를 2매 이용한 경우는 도 15(g)와 같이 제2절단부가 서로 얽혀 입체적이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틈이 벌어져 (f)보다는 무너지기 쉬웠다.
실시예 4
도 16(a)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4와 관련된 흡유지(61)의 단면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흡유지(61)의 정면도(평면도)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흡유지(61)의 시트부(63)은 2매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65)로, 강성이 높은 제2시트(67)을 끼워 넣도록 적층되어 있는 3층 구조이다.
흡유지(61)은 실시예 3의 흡유지(51)과 동일하게 흡수성과 높은 강성을 겸비하고 있다. 또, 흡유지(61)은 대상물에 접하는 면이 반드시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65)이므로 사용자가 흡수 시트의 겉과 속을 신경 쓰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도 16 (b)은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 2장 사이에 갈색의 강성이 높은 제2시트 1장을 사이에 두고 있는 흡유지, 도 16(c)은 백색의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 3장으로 이루어진 흡유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6의 (d)와 (e)는 (b)와 (c)의 흡유지를 각각 옆으로 잡아당겨 제2절단부를 펼친 상태, (f)와 (g)는 제2절단부끼리 서로 얽혀 흡유지가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흡수성이 높은 제1시트에 강성이 높은 제2시트를 조합하면 도 16(f)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절단부끼리 서로 얽힌 입체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이 높지만 강성은 낮은 제1시트 2장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도 16(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절단부끼리 서로 얽혀 입체적으로는 되었지만, 부분적으로 간격이 두드러졌다. 도 16(h)은 (f)와 (g)에 나타내는 입체 상태의 흡유지에 일정한 진동을 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f)는 진동을 준 후에도 부피가 큰 상태까지 있어, 입체 상태를 안정시키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유지 형상은 정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좋고, 기타 형태라도 좋다. 도 17은 시트부의 형상이 (a) 원형, (b) 삼각형, (c) 오각형, (d) 사다리꼴 흡수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또한, 제1절단부, 제2절단부 및 제3절단부는 심플한 직선상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 파선 또는 지그재그선과 같은 직선 이외의 선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2절단부는 이용자가 그물 모양으로 펼쳤을 때 절단부가 날 정도로, 예를 들어 절취선 등을 형성하도록 약하게 연결된 것이라도 좋다.
또, 제3절단부는 실시예 2에 대해서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로, 흡유지에 여러 종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제3절단부가 단책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한 줄씩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1; 흡유지,
3; 시트부,
5; 절단부,
7; 가장자리 부분,
9; 단책부,
11; 도 5(A)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
13; 도 5(B)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
15; 도 5(C)의 입체형상을 상부에서 본 상태,
17; 도 5(A)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
19; 도 5(B)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
21; 도 5(C)의 입체형상을 측면에서 본 상태,
31; 흡유지,
33; 시트부,
35; 제1절단부,
37; 가장자리 부분,
39; 단책부,
40; 절단집합부,
41; 제2절단부,
42; 절단조각,
43; 제3절단부,
44; 끝점
45; 흡유지,
47; 제2절단부,
49; 제3절단부,
50; 제1절단부
51; 흡유지,
53; 시트부,
55; 제1시트,
57; 제2시트,
61; 흡유지,
63; 시트부,
65; 제1시트,
67; 제2시트
Claims (10)
- 대상물의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제거하는 흡수 시트로서,
시트 형태의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절단부와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절단부보다 짧은 복수의 제2절단부와,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절단부가 미포함된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남겨두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선분 상의 두 줄의 상기 제1절단부에 끼워진 영역인 복수의 절단집합부로 이루어진 단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단집합부는 상기 단책부를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된 것이며,
상기 제1절단부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제2절단부가 설치되어 있어, 한 개의 상기 제1절단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끝점 사이의 선분부분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2절단부가 연결되어 복수의 절단조각을 형성하고 있는, 흡수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는, 물떼새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2절단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시트부가 망 형태로 펼쳐지는, 흡수 시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시트부의 변에 복수의 상기 제2절단부가 접촉하는, 흡수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에 상기 제1절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3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흡수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제2시트의 복수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보다 흡수성이 높고,
상기 제1절단부 및 상기 제2절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고 있는, 흡수 시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를 끼우듯이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흡수 시트. - 흡수 시트롤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수 시트가 절취선으로 여러 장 연결되어 있는, 흡수 시트롤. - 튀김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흡수하는 기름 흡수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시트를 구김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2절단부가 상기 시트부의 일부에 걸려 있는 입체 형상으로 만드는 입체화 단계와,
상기 입체화 단계에 의해 입체화된 상기 흡수 시트 위에 상기 튀김을 두는 정치 단계를 포함하는, 기름 흡수 방법. - 튀김 표면에 묻은 기름방울이나 기름막을 흡수하는 기름 흡수 방법으로서,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시트의 상기 시트부를 상기 제2절단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당겨 상기 시트부를 그물 모양으로 넓히는 망상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흡수 시트를 구김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2절단부가 상기 시트부의 일부에 걸려 있는 입체 형상으로 만드는 입체화 단계와,
상기 입체화 단계에 의해 입체화된 상기 흡수 시트 위에 상기 튀김을 두는 정치 단계를 포함하는, 기름 흡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210794A JP6803447B2 (ja) | 2019-03-29 | 2019-11-21 | 吸収シート、吸収シートロール及び吸油方法 |
JPJP-P-2019-210794 | 2019-11-21 | ||
PCT/JP2020/043257 WO2021100821A1 (ja) | 2019-03-29 | 2020-11-19 | 吸収シート、吸収シートロール及び吸油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4205A KR20210064205A (ko) | 2021-06-02 |
KR102445373B1 true KR102445373B1 (ko) | 2022-09-20 |
Family
ID=7596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8040A KR102445373B1 (ko) | 2019-11-21 | 2020-11-19 |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07892A1 (ko) |
KR (1) | KR102445373B1 (ko) |
CN (1) | CN113227496B (ko) |
CA (1) | CA31148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5373B1 (ko) * | 2019-11-21 | 2022-09-20 | 야수오 코우다 |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73187A (ja) | 2006-09-21 | 2008-04-03 | Daio Paper Corp | 吸収性物品 |
JP2013107695A (ja) | 2011-11-24 | 2013-06-06 | Wako-Group Co Ltd | 揚げ物食品の敷き板 |
US20140134374A1 (en) | 2012-11-13 | 2014-05-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paper product having source identifying emboss element |
WO2014165495A1 (en) | 2013-04-01 | 2014-10-0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bsorbent foam composite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63077A (en) | 1961-10-23 | 1964-12-29 | Shafford Electronics & Dev Cor | Color display apparatus |
ATE325592T1 (de) * | 1993-10-22 | 2006-06-15 | Procter & Gamble | Absorbierendes material mit einer porösen makrostruktur die absorbierende gelartikel aufweist |
US5536264A (en) * | 1993-10-22 | 1996-07-1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mposites comprising a porous macrostructure of absorbent gelling particles and a substrate |
JP2002355211A (ja) * | 2001-03-30 | 2002-12-10 | Shikku Japan:Kk | 清掃具、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
US20040209042A1 (en) * | 2003-04-15 | 2004-10-21 | Peacock Andrew J. | Breathable elasctic web |
JP5503213B2 (ja) * | 2009-07-31 | 2014-05-2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3163077U (ja) * | 2010-07-06 | 2010-09-30 | 美紀子 門田 | 模様と切れ目がついたクッキングシート |
JP6399827B2 (ja) * | 2014-06-30 | 2018-10-0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EP2975178A1 (en) * | 2014-07-18 | 2016-01-20 | Sca Tissue France | An absorbent sheet product |
JP6803447B2 (ja) * | 2019-03-29 | 2020-12-23 | 八州雄 幸田 | 吸収シート、吸収シートロール及び吸油方法 |
KR102445373B1 (ko) * | 2019-11-21 | 2022-09-20 | 야수오 코우다 |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 |
-
2020
- 2020-11-19 KR KR1020217008040A patent/KR1024453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19 US US17/281,138 patent/US20220007892A1/en active Granted
- 2020-11-19 CA CA3114821A patent/CA3114821A1/en active Pending
- 2020-11-19 CN CN202080005288.5A patent/CN11322749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73187A (ja) | 2006-09-21 | 2008-04-03 | Daio Paper Corp | 吸収性物品 |
JP2013107695A (ja) | 2011-11-24 | 2013-06-06 | Wako-Group Co Ltd | 揚げ物食品の敷き板 |
US20140134374A1 (en) | 2012-11-13 | 2014-05-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paper product having source identifying emboss element |
WO2014165495A1 (en) | 2013-04-01 | 2014-10-0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bsorbent foam composites |
JP2016521218A (ja) | 2013-04-01 | 2016-07-21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吸水性発泡複合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227496B (zh) | 2022-09-27 |
CN113227496A (zh) | 2021-08-06 |
CA3114821A1 (en) | 2021-05-21 |
KR20210064205A (ko) | 2021-06-02 |
US20220007892A1 (en) | 2022-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5373B1 (ko) | 흡수 시트, 흡수 시트롤 및 흡유 방법 | |
EP3851000B1 (en) | Absorbent sheet, absorbent sheet roll, and oil absorption method | |
JP6917686B2 (ja) |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 |
ES2220475T3 (es) | Materiales de fibra en forma de lamina flexible, resistentes al corte y absorbentes. | |
KR101201004B1 (ko) |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 |
JP4395842B2 (ja) | ガスコンロの片面焼き用グリル内、調理用受け具 | |
WO2001029301A1 (en) | Fibrous web for absorbing grease | |
JP4369624B2 (ja) | 油脂吸収用繊維性マトリックス | |
JP7129832B2 (ja) | 吸収性物品 | |
US20020185013A1 (en) | Cooking tray for fatty meats and other foods | |
JP2009131537A (ja) | 調理補助シート | |
WO2007148717A1 (ja) | トンカツ調理材料 | |
JP2013107695A (ja) | 揚げ物食品の敷き板 | |
US6488977B1 (en) | Grease absorbing system | |
JPH10136863A (ja) | 粘着捕獲具 | |
JP6275499B2 (ja) | 惣菜受け具、食品用容器 | |
JP5368956B2 (ja) | 食材包装用シート材料と食材包装容器 | |
JP3230777U (ja) | 火傷防止シート | |
JP2022115629A (ja) | マスク用シート | |
KR20120124940A (ko) |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 |
CN210234256U (zh) | 一种吸油布 | |
CN214858488U (zh) | 一种脚部保护架 | |
JP2841282B2 (ja) | トレイマット | |
JP4646306B2 (ja) | 握り鮨用吸液シート | |
JP6214522B2 (ja) | ドリップ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