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940A -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 Google Patents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940A
KR20120124940A KR1020110042892A KR20110042892A KR20120124940A KR 20120124940 A KR20120124940 A KR 20120124940A KR 1020110042892 A KR1020110042892 A KR 1020110042892A KR 20110042892 A KR20110042892 A KR 20110042892A KR 20120124940 A KR20120124940 A KR 2012012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sorbent
pad
cutout
b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현
Original Assignee
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현 filed Critical 유종현
Priority to KR102011004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940A/ko
Priority to PCT/KR2011/009840 priority patent/WO2012086996A2/ko
Priority to US13/992,245 priority patent/US9271473B2/en
Publication of KR2012012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 배변패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변을 흡수 및 저장하도록 흡수층 및 방수층이 구비된 한 장의 배변패드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며 구획된 부위를 따라서 절취가 가능한 흡수층용 절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도록 방수층용 절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Defecation-Pad which can be devided}
본 발명은 배변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임의로 깨끗한 부분만을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한 배변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키우는 반려동물 중 개 같은 경우는 주인이 직접 용변 시마다 집 밖으로 데리고 나가거나 또는 신문지와 같은 별도의 흡수가 가능한 용지 등에 배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신문지 또는 별도의 흡수지 등에 배변을 하는 경우에는 배변의 양이 조금만 많아져도 신문지나 흡수지의 아래로까지 소변 등이 세어 흘러나오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냄새는 물론 청결문제가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서는 방수층이 별도로 구비된 동물용 배변패드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도록 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배변패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변패드(10)는 펄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층(12) 아래에 소변 등이 아래로 세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비투과성 재질의 방수층(13)이 구비된다. 상기 흡수층(12)의 상부로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층(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배변패드(10)는 반려동물이 배변패드의 상부에 소변 등을 싸더라도 상기 흡수층(12)에서 소변이 흡수되고, 상기 방수층(13)에 의하여 아래로는 소변이 세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여러 장이 하나의 박스나 비닐 등에 낱장으로 포장되어 들어 있는 배변패드(10)를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수시로 한 장씩 교체 설치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개나 강아지가 배변패드의 특정 부위만을 선택하여 배변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배변패드(10)의 경우 애완동물이 배변을 보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남아 있더라도 전체 배변패드를 통체로 교체하여야 하여 비용이 많이 들게 되었다. 물론, 배변패드의 일부에만 용변이 묻은 경우 계속 사용할 수는 있으나 배변패드의 일부에라도 소변 등이 묻은 상태로 계속 두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소변 냄새가 실내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며, 시각적으로도 보기에 안 좋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배변패드의 경우는 손으로 소변이 묻은 부분만 절단하여 사용하려 하여도, 펄프 재질의 흡수층(12)이 상당히 두껍게 이루어진 경우나 특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방수층(13)의 경우는 상당한 힘을 주지 않는 이상 잘 찢어지지도 않을 뿐 아니라, 찢어지더라도 각각의 층이 전부 다르게 찢어짐은 물론 찢어진 형상이 사방으로 광범위하게 찢어짐과 동시에 너무나 불규칙하게 찢어져 재사용할 수조차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애견 등이 배변을 보지 않는 부분을 따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배변패드를 제공함과 동시에 재활용을 하기 위하여 한 장의 배변패드를 일정 영역별로 분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변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변패드 상에 애완동물이 놓은 소변 등이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변패드 한 장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변을 흡수 및 저장하도록 흡수층 및 방수층이 구비된 한 장의 배변패드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며 구획된 부위를 따라서 절취가 가능한 흡수층용 절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도록 방수층용 절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 사이로 일측 흡수층으로부터 타측 흡수층으로 소변이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전달 면접이 좁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의 상하방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방수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방수층용 절취부의 상하방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방수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는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 주위를 따라서 번짐방지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층은 흡수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수물질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은 흡수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 주위에는 상기 흡수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층의 상부로 적층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호층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도록 하는 보호층용 절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 배변패드에 의하면, 개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지 않은 부위만을 즉각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배변패드의 사용기간을 늘일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배변패드의 절약효과를 가져옴은 물론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이즈가 큰 배변배드도 쉽게 작은 사이즈로 바꿀 수 있어,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 배변패드에 의하면, 애완동물의 소변 등이 흡수된 부분만을 바로 제거하고 깨끗한 나머지 영역만을 남길 수 있게 되므로, 냄새 억제 및 청결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 배변패드에 의하면, 다수의 격자 형태로 구비되는 절취부가 소변 등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애완동물이 본 용변 특히 소변 등이 일정 위치에만 놓여져 있는 작용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소변이 번지지 않는 여백부를 최대한 남길 수 있게 되므로 절취 전에라도 한 장의 배변패드의 사용 시간 증대를 가져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배변패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의 평면도;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층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배변패드의 측단면도; 및
도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층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배변패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1)는 흡수층(121)의 하부로 방수층(130)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수층(121)의 상부로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층(1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흡수층(121)은 상기 보호층(110) 및 상기 방수층(130)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보호층(110)과 방수층(130)의 둘레부가 접합 또는 열적 융착 등의 방식을 통하여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흡수층(121)이 상기 보호층(110)과 방수층(130) 내측에 고정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흡수층(121)은 펄프재질 등이 적용되는데, 많은 액체를 흡수하면서도 크기가 작아지도록 압축된 형태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소변을 젤화하는 등과 같이 흡수효율이 보다 좋아지도록 sap(super absorbent polymers)나 sam(super absorbent materials)과 같은 별도의 다른 구성물이 첨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흡수층 및 방수층 등의 재질 및 전체 배변패드의 조립 구성은 이미 다양한 공지된 기술이 나와 있으며 이러한 공지된 기술이 적용가능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110), 흡수층(121), 그리고 방수층(130)에는 각각 보호층용절취부(115), 흡수층용절취부(125) 및 방수층용절취부(135)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각각의 층(110,121,130)에 구비된 절취부(115,125,135)는 각각의 층이 서로 결합 시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란 각각의 층이 결합된 경우 완전히 일치함이 바람직하나, 소정의 오차를 가지고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1)에 있어서, 상기 각 절취부(115,125,135)는 다수개의 천공부가 소정 간격으로 연속된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천공부라 함은 임의의 층에 상/하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형의 천공홀 형태나 또는 절단날을 이용한 절단된 천공라인을 의미한다.
이때, 도 3에 나타난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에는 별도의 번짐방지층(P)이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를 사이로 소변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짐방지층(P)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를 따라서 비흡수성 물질의 도포 또는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 주위를 고압축함에 따라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일정 영역별로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변패드(1)는 각각의 층마다 각각 보호층용절취부(115), 흡수층용절취부(125) 및 방수층용절취부(13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된 절취부를 따라서 일정 외력을 가하여 손으로 쉽게 배변패드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강아지 등의 소변이 묻은 부위(A)를 제외한 배변패드(1)의 깨끗한 일부 영역만을 따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취부를 사이로 소변 전달 면적이 차단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소변이 번지는 것이 최소화 되어 한장의 패드의 사용시간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배변패드(1)는 배변패드의 깨끗한 부분만을 분리하여 따로 또는 여러 개의 분리된 배변패드를 결합하거나 새로운 배변패드(1)의 상부에 놓고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서는, 개나 고양이 등이 분리된 배변패드에 소변 등을 누는 경우에 소변이 흡수된 부분을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버리게 되고, 남은 영역의 배변패드를 새로운 배변패드에 겹치어 사용하거나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배변패드는 하나의 배변패드 중 일부 영역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다수 회에 걸쳐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배변패드를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즉시로 소변이 묻은 부분의 배변패드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소변 냄새의 제거와 함께 시각적 청결 효과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 배변패드에 의하면 상기 절취부들로 인하여 소변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천공부 형태로 구성된 절취부 구간은 그 전달면적이 줄어든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소변이 상기 절취부(115,125,135) 주위를 번지려 하는 경우 번지는 양이 줄어들거나 또는 작은 양의 경우는 번짐이 멈추게 됨으로써 애완동물이 놓은 소변 등 배변이 번지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절취 전이라도 소변이 번지지 않은 여백부위가 많이 남게 되어 전체적으로 사용시간의 증대를 가져옴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좋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 배변패드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변패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와 같으므로 그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의 경우, 상기 흡수층(121)의 흡수력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괜찮으나, 상기 흡수층(121)의 흡수력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흡수층(121)에서 완전히 흡수가 안 되는 소변의 일부가 상기 방수층(130)의 방수층용절취부(135)를 통하여 배변패드(1) 하부 외부까지 세어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2)는 상기 방수층(130)의 방수층용절취부(135)를 구성하는 천공부(135a) 주위로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35)가 찢어질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35)를 이루는 천공부(135a)가 소변이 통과되지 못할 정도로 폐쇄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방수부재(13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방수부재(133)는 상기 천공부(135a) 부근에만 구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미리 상기 방수층(130)의 적어도 어느 일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방수부재(133)는 또한 상기 방수층(130)에 구비된 후, 상기 방수층(130)의 천공부(135a)의 형성 시 동시에 천공부(135a)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방수부재(133)는 천공부(135a)가 형성된 후에도 재질 자체적으로 소정 복원력이 작용하여 소변이 통과되지 못할 정도로 폐쇄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며, 외력이 작용 시에만 상기 방수층의 절취부(135)를 따라서는 찢어짐이 용이하게 가능한 재질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재질이라면 합성수지 재질이나 별도의 재료의 도포를 하거나 또는 젤과 같은 재질이 상기 방수층(130)의 전체 또는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35) 주위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방수층에 전체적으로 한번 더 적층 형식으로 씌워지는 일종의 유니랩과 같은 비닐 종류나 별도의 종이류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방수부재의 적용 등 여러 형태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에 있어서, 상기 보조방수부재(133) 자체에는 별도의 천공부가 형성되지 않아 방수층용절취부(135)를 통해 소변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소정 외력 작용시 절취부(135) 주위를 따라서 분리 또는 찢어짐이 가능한 재질 및 구성으로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보조방수부재(133)의 적용은 방수층용절취부(135) 자체를 별도의 방수형 구조로 취하는 경우보다 각 층의 절취부를 정확한 위치로 맞추지 않고 보호층과 흡수층 및 방수층의 결합공정 자체에 덧대는 형태로 추가 후 별도의 절취부 형성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편리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용절취부(115) 및 상기 흡수층용절취부(125)에 대응되는 위치로 절취가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층(130)의 가장자리에 절개부(137,138)가 구비된다. 일종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비닐 성질의 상기 방수층(130)은 일반적인 과자봉지나 식품포장 등에서와 같이 가장자리부터 일직선 상의 절취가 이루어지면 절취된 방향을 따라서 계속 일직선으로 절취되는 성질을 지닌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층(130)의 가장자리에 절개부(137,138)만이 구비되도록 하여 일정한 방향으로의 절취는 쉽게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방수층(130)의 방수효과는 제대로 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절개부(137, 138)는 일직선 형상이나 또는 테이퍼진 형태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10)과 흡수층(121)의 하부로 적층되게 설치되는 방수층(130)에 방수층의 다른 일반 부위와는 다른 재질(이하, "절취부용 레진조성물"이라고도 함)로 이루어진 절취부용 레진라인이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66)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66)의 재질로는 방수는 확실하게 되면서, 절취 부분만을 통한 찢어짐에는 용이한 별도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수층(130)이 일반적으로 PE재질을 주로 이용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66)를 이루는 절취부용 레진라인도 상기 방수층(130)의 제조 시 함께 제조가 가능하도록, 즉 동시에 공정이 가능하도록 비슷한 성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66)를 이루는 상기 절취부용 레진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발포제의 혼합형 또는 절취결을 형성할 수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으로 일정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 절취가 되는 다른 재질의 적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4)이 경우에도 일상적인 경우에는 방수가 확실하게 되면서도, 필요 시 절취는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130)에 구비되는 방수층용절취부(165)가 상기 방수층(130)의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단라인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 과자나 담배 케이스 등의 절취부로써 적용되는 구조인 절단라인이 형성된 것으로써, 일종의 칼집 라인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때, 형성되는 상기 방수층(130)의 방수층용절취부(165)는 상기 각 보호층(110), 흡수층(121)과 함께 상기 방수층(130)의 방수층용절취부(165)를 따라 찢어짐이 가능할 정도의 외력이 작용 시에만 쉽게 절취되어 분리될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절단라인에 연결된 형태로 상기 방수층(130)의 가장자리에는 절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층(122)과 상기 흡수층(122)의 하부로 방수층(130)이 적층되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6)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22)은 복수 개의 단위흡수층(123)이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위흡수층(123)의 각 변들이 서로 인접된 상태로 상기 방수층(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호층(110)과 방수층(130) 사이에 포위된 상태로 복수 개의 단위흡수층(123)으로 이루어진 흡수층(122)이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단위흡수층(123)의 인접된 부분이 상기 흡수층(122)에 있어서의 흡수층용절취부(128)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펄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흡수층(122)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호층(110)에 달라 붙은 상태를 이루므로, 전체 흡수층(122)을 이루는 각 단위흡수층(123)이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단위흡수층(123)이 인접되어 형성되는 라인(line)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110)과 상기 방수층(130)에는 각각 보호층용절취부(115)와 방수층용절취부(135)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6)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용절취부(135)를 천공부 형태로 하는 경우에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보조방수부재(133)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130)에 상기 보호층(110)과 흡수층(121) 각각의 보호층용절취부(115)와 흡수층용절취부(125)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방수층(13)의 가장자리에 절개부(162)를 적용한 후, 상기 절개부(162)를 덮어 감싸는 테이핑(116)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테이핑(116)을 떼어낼 때 상기 절개부(162)를 통하여 상기 테이핑(116)이 적용된 구간을 따라서 절취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는 상기 테이핑(116)을 먼저 떼어내서 상기 방수층(130)을 분리한 후, 전체 배변패드를 분리하는 형태가 될 것이며, 상기 절개부(162)는 상기 테이핑(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며, 담배케이스로 사용되는 비닐과 마찬가지로 상기 방수층(130)의 일측에 상기 절개부(162) 일부만 구비되도록 하고, 테이핑(116)의 절개 시 자동적으로 테이핑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테이핑(116)은 최초 절취 시의 외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층(130)의 가장자리에만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8)는 상기 방수층(130)의 방수층용절취부(138)로써, 양측으로 단위방수층(139)이 일부 중첩되되 중첩된 부분이 결합재 또는 열적방식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양측 단위방수층(139)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절취부(138)는 방수는 확실히 되면서, 일정 외력이 가하는 경우에만 결합부위가 서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9)는 상기 제8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위방수층(134)의 결합에 의하여 방수층용절취부(135)가 형성되되, 상기 단위방수층(134)의 양측변이 서로 열적 부착 등에 의하여 가장자리부분이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에 있어서 결합방법은 천공부에 열적인 작용을 가하여 소정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술한 제1실시예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상기 도 15에 있어서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10)는 상술한 제6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단위흡수층(1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110)은 소정 외력을 작용하는 경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 별로 분리되도록 하는 보호층용절취부(115)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층(130)은 상기 보호층용절취부(115)에 대응되는 위치로 소정 외력을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보호층(110)의 절취 영역에 대응되어 절취되도록 하는 절개부(13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단위흡수층(121)은 상기 보호층용절취부(115)를 사이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방수층(130)에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수층용절취부(135)나 절단라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10)는 방수는 확실히 하면서, 단위흡수층(121)이 나뉘어진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절취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애완동물의 용변이 흡수층을 따라 번지지 않게 되어 최소한의 단위흡수층(121)에만 용변이 보다 확실하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배변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배변패드는 절취 시에 절취라인을 따라서 흡수물질인 sap, sam 등이 가루 형태로 나올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흡수물질들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로부터 일정 길이 (h,k) 떨어져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 주위를 따라 제1실시예의 번짐방지층과 같은 형태로 절취부를 따라서 흡수물질의 누설방지부재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흡수층용 절취부를 따라 흡수층을 고압축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액상 또는 흡수층용 절취부(125) 주위를 따라서 소정의 본딩재 등의 주입을 통하여 내부의 흡수물질이 절취 시에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상기 흡수물질이 상기 흡수층의 전 영역에 배치된 후, 상기 보호층(110)이 흡수물질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125)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각각의 단위 흡수층 포위하는 형태로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 18에서와 같이, 절취부 주위를 따라서 흡수층(121,123)을 이층으로 구성하고, 일측 흡수층(121)에만 흡수물질이 배포되도록 하고, 타측 흡수층(123)은 흡수물질이 배포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도 19에서와 같이, 하부에 보조층(123)을 흡수층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절취부(123a)가 생성될 부분 이외의 영역부분을 압축하는 등의 형태로 홈 형태로 형성한 후, 형성된 홈부에 흡수물질이 구비된 흡수층(121)이 배포되도록 하고, 이전 실시예와 같이 흡수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흡수층 부위를 따라서 절취부(123a)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제조공정 상에서 흡수물질을 일정 위치별로 배포할 수 있게 되어 제조가 편해진다.
한편, 도 19에서 하부의 보조층(123)을 비투과성 방수성질로 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방수층(130)이 없어도 되며, 이 경우 배변패드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배변의 번짐 방지가 더욱 용이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경우 비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조층(123)의 두꺼운 부분(123b)에 구비되는 절취부(130a)는 천공부 형태로 된 경우에도 상하로 소변이 침투하여 세는 것이 힘들어지게 된다.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직교형태의 메트릭스 형태로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절약 및 보다 효율적인 절취를 위하여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절취부가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수층(121,122) 이외의 부분인 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3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부재인 테이프 또는 벨크로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일정 영역으로 분리시킨 배변패드를 다른 배변패드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각 실시예들에 나타난 보호층과 흡수층, 방수층에 구비되는 절취부 구조는 각각의 실시예들간에 있어서 서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각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를 따라서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안료가 구비된 인쇄부를 구비하여 절취부를 쉽게 파악하여 절취를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1,102,103: 배변패드 110: 보호층
115: 보호층용절취부 125: 흡수층용 절취부
135: 방수층용절취부 121,122: 흡수층
123: 단위흡수층 130: 방수층

Claims (8)

  1. 소변을 흡수 및 저장하도록 흡수층 및 방수층이 구비된 한 장의 배변패드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며 구획된 부위를 따라서 절취가 가능한 흡수층용 절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도록 방수층용 절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는,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 사이로 일측 흡수층으로부터 타측 흡수층으로 소변이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전달 면접이 좁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의 상하방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방수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용 절취부의 상하방향으로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방수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는,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 주위를 따라서 번짐방지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흡수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수물질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흡수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 주위에는 상기 흡수물질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의 상부로 적층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호층은 상기 흡수층용 절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구획되도록 보호층용 절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KR1020110042892A 2010-12-22 2011-05-06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KR20120124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92A KR20120124940A (ko) 2011-05-06 2011-05-06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PCT/KR2011/009840 WO2012086996A2 (ko) 2010-12-22 2011-12-20 분리 가능한 배변패드
US13/992,245 US9271473B2 (en) 2010-12-22 2011-12-20 Separable toilet pad for housebreaking animal compan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92A KR20120124940A (ko) 2011-05-06 2011-05-06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40A true KR20120124940A (ko) 2012-11-14

Family

ID=4751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892A KR20120124940A (ko) 2010-12-22 2011-05-06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4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496B1 (ko) * 2021-05-25 2022-09-19 송원종 반려동물용 배변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496B1 (ko) * 2021-05-25 2022-09-19 송원종 반려동물용 배변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004B1 (ko)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US9271473B2 (en) Separable toilet pad for housebreaking animal companions
US6976451B2 (en) Waste collection pad
KR101577838B1 (ko) 배설물 처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화장실
EP3081078B1 (en) Sheet for pe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heet for pets
KR20130030355A (ko) 배변패드
US20070163513A1 (en) Biodegradable pet mat
US20090114161A1 (en) Disposable animal waste collecting pad and reciever
JPH0819344A (ja) 愛玩動物用吸尿シート
JP2009240278A (ja) ペット用オムツ
EP3178316B1 (en) Pet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et pad
JP4669825B2 (ja) ペット用吸収シート
KR20120124940A (ko) 분리가 가능한 배변패드
KR20130059246A (ko) 배변패드
US9867361B2 (en) Fast absorption side leakage prevention pet urinal pad
KR101910987B1 (ko) 애완동물용 배변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904416A (zh) 寵物用吸收性薄片
US9867362B2 (en) Side leakage prevention pet urinal pad
DE10012998B4 (de) Nässeschutzmatte für Tiertransporter
CN205143131U (zh) 用于显示宠物健康状况的宠物尿垫和宠物尿垫包装盒
JP2008136377A (ja) ペット用シート
KR200469218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를 위한 블록 연결형 패드
KR200488081Y1 (ko) 수컷 애완견용 배뇨 패드
CN107072173A (zh) 玩赏动物用的吸收性物品
JP6072439B2 (ja)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