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755B1 - 마찰 완충기 - Google Patents

마찰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755B1
KR102440755B1 KR1020170117833A KR20170117833A KR102440755B1 KR 102440755 B1 KR102440755 B1 KR 102440755B1 KR 1020170117833 A KR1020170117833 A KR 1020170117833A KR 20170117833 A KR20170117833 A KR 20170117833A KR 102440755 B1 KR102440755 B1 KR 10244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housing
shock absorber
longitudinal axis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396A (ko
Inventor
베더 미하엘
바우어 미하엘
Original Assignee
수스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스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수스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3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8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 F16F7/08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being different according to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마찰 완충기(1)는 길이방향 축(3),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4), 플런저(4) 상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유닛(24)을 가진 하우징(2)을 포함하되, 마찰 유닛(24)은 쓸림식으로 플런저(4)에 대해 지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25) 및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25)이 고정되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를 포함하고,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밖으로 당기는 위치와 안으로 미는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2) 내의 플런저(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밖으로 당기는 마찰은 밖으로 당기는 위치에서 작용하며, 밖으로 당기는 마찰은 안으로 미는 위치에서 작용하는 안으로 미는 마찰과 상이하다.

Description

마찰 완충기{FRICTIONAL DAMPER}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6 217 484.3의 내용이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마찰 완충기(frictional damper)에 관한 것이다.
기능적 완충기가 DE 10 85 725 A, DE 10 2013 109 196 A1, DE 103 60 784 A1 및 DE 10 2014 110 770 A1로부터 알려졌으며, 이들은 이동 가능한 구성요소에서의 이동 완충을 위해 사용된다. 소정의 응용에서 기능적 완충기의 완충 작용이 작동 방향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구 아이템 또는 자동차 부트의 문을 여는 동안, 비교적 낮은 완충 작용은 개방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문을 닫는 운동 중에, 중력의 결과로서 문을 의도치 않게 세게 닫아 소음공해 또는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 작용이 비교적 확연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 작용이 작동 방향에 의존하는 마찰 완충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획득되는 목적은 길이방향 축을 가진 하우징,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plunger), 플런저 상에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 유닛을 포함하고, 마찰 유닛은 쓸림식으로(rubbingly) 플런저에 대해 지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 및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이 유지되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를 포함하는 마찰 완충기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 완충기에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가 밖으로 당기는 위치(pulling-out)와 안으로 미는 위치(pushing-in)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경우에 단순화된 방식으로 방향 의존적인 완충 작용이 획득된다는 점이 인지된다. 마찰 유닛은 이러한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 상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은 멀티-피스 구성일 수 있으며 원통형 하우징 섹션 및 그에 접속된 완충 하우징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특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하우징 섹션이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은 특히 오로지 완충 하우징 섹션으로만 이루어진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는 쓸림식으로 플런저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고정한다. 마찰 라이닝이 쓸림식으로 플런저에 대해 지탱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플런저가 밖으로 당기는 방향, 즉 하우징의 바깥 방향에서, 또는 안으로 미는 방향, 즉 하우징의 안쪽 방향에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되는 방식으로, 플런저와 마찰 유닛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는 플런저에 대해 하우징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밖으로 당기는 마찰은 밖으로 당기는 위치에서 작용한다. 안으로 미는 마찰은 안으로 미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밖으로 당기는 마찰과 안으로 미는 마찰은 상이하다. 마찰 완충기, 특히 마찰 유닛은 수동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서로 다른 밖으로 당기는 마찰과 안으로 미는 마찰을 설정하기 위한 마찰 유닛의 추가의 활성화가 필요치 않음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마찰 작용은 플런저의 작동 방향에 따라서 직접적이고 자동적인 방식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완충기는 복잡하지 않으며 구성이 견고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완충기는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가 밖으로 당기는 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 중에 밖으로 당기는 위치로 이동되며 안으로 미는 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 중에 안으로 미는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플런저와 마찰 유닛이 상호작용하는 마찰 완충기에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이동은 플런저의 이동으로부터 직접 발생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는 수동적인 방식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별개의 액추에이터에 의한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능동 이동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이동은 마찰 완충기의 전형적인 작동 순서에 통합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가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 축(tilting-axis)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 내에서 배치되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경사는 밖으로 당기는 위치와 안으로 미는 위치 사이에서의 변경을 단순화한다. 경사 축은 특히 하우징 상에 고정식으로 배치된다.
경사 핀이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경사 핀 상에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경사 개구에 의해 연결되며, 이것은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경사 기능을 단순화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가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 특히 거울상 대칭 구성인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을 가지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실시예는 특히 비용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는 거울상 대칭 구성인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들은 적어도 영역 내에서 하프쉘(half-shell)로 구성된다. 생산을 위한 경비가 감소된다.
하우징이 두 개의 하우징 부분, 특히 거울상 대칭 구성인 하우징 부분들을 구비하는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실시예의 장점을 가지며, 마찰 라이닝 캐리어는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 특히 거울상 대칭인 구성인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들을 가진다. 하우징 부분들이 적어도 거울상 대칭이며, 특히 동일한 구성인 것이 고안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경우에 하프쉘 윤곽을 가진 두 개의, 특히 동일한 마찰 라이닝을 포함하는 마찰 완충기의 실시예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 적어도 하나의 위치, 예를 들어 밖으로 당기는 위치에서 마찰 라이닝에 대해 플런저가 안정적으로 지탱함이 보장됨을 보장한다. 그 결과 플런저는 신뢰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견고하고 특히 일정한 마찰 상태가 보장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 내의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방사상 산출이 실질적으로 제외된다. 마찰 라이닝은 실질적으로 하프쉘 윤곽을 가진다. 하프쉘 윤곽은 개방된 튜브형 단면이다. 하프쉘의 내부 윤곽은 특히 내부 원통형 원주 면이다. 하프쉘의 내부 윤곽은 또한 서로 다른 구성일 수 있다. 하프쉘의 내부 윤곽이 플런저의 외부 윤곽에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플런저는 특히 길이방향에 대해 배향된 사각형 단면 면적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하프쉘의 윤곽은 다각형 구성이다.
플런저가 가이드되는 스루 개구를 가진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실시예는 효율적인 마찰 완충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은 내면 상에 배치된 플런저와 외면 상에 배치된 마찰 라이닝 캐리어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은 마찰 라이닝 캐리어에 의해 플런저 상으로 방사 방향에서 압착된다.
스루 개구가 특히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인 윤곽을 가지는 스루 개구의 실시예는 밖으로 당기는 위치와 안으로 미는 위치 사이에서의 바람직한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윤곽이 분할 선을 가진다는 사실로 인해서 스루 개구의 비대칭 윤곽이 존재한다. 스루 개구는 특히 비대칭 내부 윤곽을 가진다. 비대칭 내부 윤곽은 부분적으로 대칭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대칭은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식으로 대칭적인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비율로도 비대칭인 내부 윤곽은 특히 둥글지 않은 구성인 적어도 하나의 비대칭 섹션을 가진다. 특히 서로 별개의 구성을 가진 복수의 비대칭 섹션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비대칭 내부 윤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회전식으로 대칭 구성을 갖지 않는 것이 기본적이다. 비대칭은 특히 윤곽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된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회전식으로 대칭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분할 선은 특히 길이방향 축과 교차하는 직선이다. 분할 선은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하는 분할 평면을 상징화한다. 분할 선은 또한 곡선의 또는 구부러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분할 선은 대칭의, 특히 둥근 윤곽 섹션 및 비대칭의, 특히 둥글지 않은 윤곽 섹션으로 스루 개구의 윤곽을 분할한다. 대칭적인 윤곽 섹션 및 비대칭적인 윤곽 섹션은 분할 선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스루 개구가 제1 스루 개구 섹션 및 제2 스루 개구 섹션을 갖는 스루 개구의 실시예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가 경사 위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제1 또는 제2 스루 개구 섹션과 배치됨을 보장하며, 제1 스루 개구 섹션 및 제2 스루 개구 섹션은 특히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섹션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 이러한 섹션 길이방향 축은 서로에 대해 경사각만큼 기울어진 방식으로 배치된다. 스루 개구 섹션들은 각각의 경우에 섹션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 이러한 섹션 길이방향 축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섹션 길이방향 축은, 특히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밖으로 당기는 위치에서, 제1 섹션 길이방향 축이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섹션 길이방향 축이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안으로 미는 위치에서, 제2 섹션 길이방향 축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섹션 길이방향 축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에 대한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receptacle)은 마찰 라이닝 캐리어 상의 마찰 라이닝의 신뢰 가능하고 안전한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마찰 라이닝은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 내에, 특히 섹션 길이방향 축 및/또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방향 및/또는 방사 방향에서 고정된다.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은 특히 마찰 라이닝의 두께보다 약간 더 작은 두께를 가지며, 그 결과 마찰 라이닝은 방사 방향에서 영구적으로 플런저 상에 압착된다.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향되고 마찰 라이닝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마찰 라이닝은 신뢰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prestress) 되지 않는 방식으로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 내에 고정된다. 또한 마찰 라이닝의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갖는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에 의해서 마찰 라이닝을 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의 길이가 마찰 라이닝의 길이보다 큰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마찰 완충기는 프리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스루 개구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가변적인,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을 갖는 스루 개구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런저에 대한 마찰 라인의 신뢰 가능한 지탱이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경사 위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보장됨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하우징 섹션은 마찰 완충에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의 작은 전체 크기의 작고 보호받는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이 오로지 완충 하우징 섹션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원통형 하우징을 갖지 않는 마찰 완충기의 실시예는 특히 복잡하지 않고 비용이 높지 않은 구성을 가진다.
회전 가능한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요소를 구비하는 마찰 완충기는 회전 부분, 특히 가구 요소에 대한 마찰 완충기의 향상된, 특히 직접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제1 고정 요소는 특히 완충 하우징 섹션 상에 배치된다.
두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 추가의 특성 및 세부사항이 발생한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완충기의 사시도,
도 2는 플런저가 밖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도 1의 단면선 Ⅱ-Ⅱ에 따른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플런저가 안으로 미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마찰 완충기의 마찰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마찰 유닛의 측면도,
도 6은 마찰 유닛이 없는 하우징 부분의 도 4에 상응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하우징 부분의 도 5에 상응하는 도면,
도 8은 도 4의 마찰 유닛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의 측면도,
도 10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마찰 완충기의 도 1에 상응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마찰 완충기를 가진 개방 구성에서의 가구 아이템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선 XII-XII에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
도 13은 닫힌 구성에서의 가구 아이템의 도 11에 상응하는 도면, 및
도 14는 도 13에서의 단면선 XIV-XIV에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
마찰 완충기(1)는 길이방향 축(3) 및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4)를 구비하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하우징(2)은 멀티피스 구성을 가지며 원통형 하우징 섹션(5) 및 이것에 접속된 완충 하우징 섹션(6)을 구비한다. 원통형 하우징 섹션(5) 및 완충 하우징 섹션(6)은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서로의 앞뒤로 배치된다. 원통형 하우징 섹션(5) 및 이에 접속된 완충 하우징 섹션(6)이 공통의 하우징(2)을 형성한다.
원통형 하우징 섹션(5)은 원통형 튜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하우징 섹션(5)은 특히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서로 다른 단면 형태, 특히 둥글지 않은 내부 윤곽을 갖는 둥글지 않은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4)와 대향하게 놓인 일 단부에서, 하우징(2)은 클로저 플러그(7)에 의해 폐쇄된다. 구형 헤들 리셉터클의 형태인 제1 고정 요소(8)는 클로저 플러그(7)에 고정된다. 플러그(4)는 하우징(2) 내에 자유 단부(21)를 가지고 배치된다. 특히 워셔의 형태인 밖으로 당기는 보호 수단은 플런저(4)가 의도치 않게 하우징(2) 밖으로 완전히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유 단부(21)에 배치될 수 있다. 자유 단부(21)에 대향하게 놓인 플런저(4)의 외부 단부(22)는 하우징(2) 외면에 배치된다. 제2 고정 요소(23)는 특히 제2 고정 요소(23)가 구형 헤드 리셉터클로서 제1 고정 요소(8)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외부 단부(22)에 배치된다. 고정 요소(8, 23)에 의해서, 마찰 완충기는 서로에 대해 완충되는 상대적인 이동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요소는 가구 바디에 고정되며 제2 고정 요소(23)는 가구 문에 고정된다. 클로저 플러그(7)에 대향하게 놓인 원통형 튜브의 단부에서, 원통형 하우징 섹션(5)은 플러그인 플러그(9)에 의해 완충 하우징 섹션(6)에 직접 접속된다. 플러그인 플러그(9)는 완충 하우징 섹션(6)과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클로저 플러그(7) 및 플러그인 플러그(9)는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는 압착된 부분들(10)에 의해 원통형 튜브 상에 고정된다. 특히 6개 또는 8개인 복수의 압착된 부분들(10)은 외부 원주를 따라서 원통형 튜브 상에 제공된다. 클로저 플러그(7) 및 플러그인 플러그(9)는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축방향 및 방사방향 모두에서 원통형 하우징 상에 완전히 고정된다.
완충 하우징 섹션(6)은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둥글지 않은 구성을 가진다. 상부 영역이 길이방향 축(3)에 의해 교차되는 완충 하우징 섹션(6)의 상부 영역 내에, 완충 하우징 섹션(6)은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태인 리세스(11)를 가진다. 모래시계 형태인 리세스(11)는 서로를 향해 원뿔식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되며 워셔 섹션(13)에 의해 서로에 접속되는 두 개의 끝 부분이 잘린 원뿔형의 리세스(12)를 구비한다.
원통형 경사 핀(14)은 디프레션(11) 아래의 감쇠 하우징 섹션(6) 내에 제공된다. 경사 핀(14)은 하우징(2)의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된 경사 축(15)을 따라 연장한다. 경사 축(15)은 길이방향 축(3)으로부터 이격된 방식으로 배향된다. 경사 축(15) 및 길이방향 축(3)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된다. 경사 축(15) 및 길이방향 축(3)은 교차하지 않는다. 3차원 공간에서 경사 축(15) 및 길이방향 축(3)의 위치 관계는 빗나간(crooked) 것이라 지칭된다.
플러그인 플러그(9)는 플런저(4)가 가이드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연속적인 개구(16)를 구비한다.
완충 하우징 섹션(6)은 멀티피스 구성을 가지며 두 개의 동일한 하우징 부분(17)을 구비한다. 하우징 부분(17)은 경사 축(15)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된 분할 평면 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할 평면은 길이방향 축(3)을 가진다. 하우징 부분(17)은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상응하는 접속 개구(19) 내로 플러그될 수 있는 두 개의 접속 핀(18)을 구비한다. 두 개의 하우징 부분(17)은 완충 하우징 섹션(6)을 형성하도록 서로 플러그될 수 있다.
하우징(2)은 플런저(4)가 통과해 하우징(2) 내로 가이드되는 하우징 개구(20)를 구비한다. 하우징 개구(20)는 개구(16)에 대향하게 놓이도록 완충 하우징 섹션(6) 상에 배치된다. 하우징 개구(20) 및 개구(16)는 모두 길이방향 축(3)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마찰 완충기(1)는 두 개의 마찰 라이닝(25) 및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를 포함하는 마찰 유닛(24)을 구비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운반 플레이트(27)를 구비한다. 경사 개구(28)는 운반 플레이트(27) 내에 제공되고, 이러한 경사 개구(28)에 의해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하우징(2) 내에, 특히 감쇠 하우징 섹션(6) 내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이것은 경사 핀(14) 상의 경사 축(15)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통로 섹션(29)은 통로 섹션(29)이 스루 개구(30)를 구비하는 캐리어 플레이트(27) 상에서 한 조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통로 섹션(29)은 속이 빈 구성을 가진다. 플런저(4)는 통로 개구(30)를 통해 가이드된다. 스루 개구(30)는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게 평면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구성을 가진다. 스루 개구(30)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 섹션 길이방향 축(33, 34)을 가진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및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을 가진다. 제1 섹션 길이방향 축(33) 및 제2 섹션 길이방향 축(34)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배치되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대략 10°인 경사각 n을 가진다.
섹션 길이방향 축(33, 34)은 교차점(35)에서 교차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루 개구 섹션(3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점(35)에 대해 제1 섹션 길이방향 축(33) 좌측 위로 그리고 제1 섹션 길이방향 축(33)의 우측 아래로 연장한다.
제1 스루 개구 섹션은 제1 섹션 길이방향 축(33)을 따라 반-원통형 디프레션으로서 구성되고, 제1 스루 개구 섹션(31)은 교차점(35)에 대해 거울상 대칭인 방식으로 배치되며 서로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을 가진다. 따라서,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의 부분 섹션들은 교차점(35)에 대해 거울상 대칭이도록 그리고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36)이 두 개의 부분 섹션들 내의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내에 배치되고, 이러한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36) 내에 각각의 반-원통형 쉘 형태의 마찰 라이닝(25)이 삽입된다. 두 개의 마찰 라이닝(25)은 마찰 라이닝 캐리어(26) 상에서 Z-형의 방식으로 배치된다. 스루 개구(30)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게 평면 내에서 비대칭 단면을 가진다.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또는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은 각각의 경우에서 길이방향 축(3)에 대해 180°의 개방 각을 가지고 연장하며; 섹션 길이방향 축(33, 34)의 기울어진 배치로 인해, 스루 개구(30)의 단면 영역 및/또는 단면 윤곽이 길이방향 축(3)을 따라서 달라진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두 개의 거울상 대칭인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37)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37)은 각각의 경우에 대안적으로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에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37)을 접속시키도록 서로에 결합하는 접속 볼트(38) 및 접속 리세스(39)를 구비한다.
아래의 내용에서, 마찰 완충기(1)의 기능이 도 2 및 3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에서의 플런저(4)의 작동의 경우에, 플런저(4)는 마찰 라이닝(25)과 접촉하게 된다. 플런저(4)와 마찰 라이닝(25) 사이에서 초기에 작용하는 정지 마찰로 인해,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플런저(4)에 의해 구동되며, 즉 경사 축(15) 둘레에서 밖으로 당기는 위치로 회전된다. 기본 마찰과 일치하고 0N보다 큰 값을 갖는 정지 마찰의 크기는 특히 타깃화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지 마찰 계수의 타깃화된 설정 능력은 축방향 및/또는 방사방향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이것을 이용하여 마찰 라이닝(25)은 마찰 라이닝 캐리어(26) 내에 배치된다. 또한, 마찰 라이닝(25)의 기하학적 구조 및 재료는 정지 마찰의 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진다. 도 2에 따라, 회전 이동이 경사 축(15)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발생한다.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으로 플런저(4)가 작동하는 경우에서 경사 축(15) 둘레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경사는 특히 완충 하우징 섹션(6), 특히 완충 하우징 섹션(6)의 단부 영역 내에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26)가 하우징(2)을 지탱하는 방식으로 제외되며, 단부 영역은 하우징 개구(20)를 둘러싸고/둘러싸거나 하우징 개구(20)를 마주하지 않도록 배치된 끝이 잘린 원뿔형인 섹션(12)의 내부 면에 대해 완충 하우징 섹션(6)의 상부 원통형 원주 표면(48)을 가진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밖으로 당기는 위치는 도 2에 도시되었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밖으로 당기는 위치는 하프쉘 형태의 마찰 라이닝(25)이 각각의 경우에 플런저(4)의 외부 표면에 대해 자신의 원통형 내부 표면을 지탱함을 의미한다. 도 2의 좌측 상에 도시된 마찰 라이닝(25)은 플런저(4) 상으로 압착된다. 도 2의 우측 상에 도시된 마찰 라이닝(25)은 플런저(4)에 대해 아래로 압착된다. 마찰 라이닝(25)은 플런저(4)의 외부 면에 대해 신뢰 가능하게 압착된다. 플런저(4)의 축방향 이동은 마찰 라이닝(25)에 의해 마찰식으로 완충된다.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에서의 플런저(4)의 추가 작동의 경우에, 마찰 작용, 밖으로 당기는 마찰이 플런저(4)와 마찰 라이닝(25) 사이에서 작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에 대향하는 안으로 미는 방향(41)에서 플런저(4)가 작동하는 경우에, 플런저(4)와 마찰 라이닝(25) 사이에서 작용하는 정지 마찰은 마찰 라이닝 캐리어(26)가 경사 축(15) 둘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발생한다. 경사 축(15) 둘레에서의 시계 방향으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회전 이동은 하우징 개구(20)를 마주하도록 배치된 끝이 잘린 원뿔형 섹션(12)의 내부 면에 대해 완충 하우징 섹션(6)의 상부 원통형 원주 면(48)을 가지고/갖거나 마찰 라이닝 캐리어(26)가 하우징(2), 특히 완충 하우징 섹션(6), 특히 플러그인 플러그(9)에 대해 지탱한다는 사실로 인해 제한된다. 그 결과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추가의 경사가 방지된다.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안으로 미는 위치에 위치된다. 안으로 미는 마찰은 안으로 미는 위치에서 발생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밖으로 당기는 마찰과 안으로 미는 마찰은 서로 상이하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찰 라이닝이 제2 스루 개구 섹션(32) 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안으로 미는 마찰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내에서, 마찰 라이닝(25)은 각각의 경우에 플런저(4)에 대해 위아래로부터 에지 측 외부 에지를 지탱한다. 마찰 라이닝(25)의 선형 접촉은 밖으로 당기는 방향으로의 작동의 경우에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경사를 보장하는 요구되는 기본 마찰을 보장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은 부분적으로 플런저(4)의 외부 지름보다 미세하게 더 큰 내부 지름을 가진 내부 지름을 갖는 원통형 개구로서 구성된다. 안으로 미는 위치에 있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의 배치의 경우에, 플런저(4)는 실질적으로 스루 개구(30)를 통한 마찰 없이 가이드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제2 스루 개구 섹션 상에 두 개의 마찰 라이닝을 부착하는 것 또한 고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마찰 작용은 예를 들어 마찰 라이닝의 서로 다른 재료들이 사용된다는 사실로 인해 획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루 개구 섹션(31, 32) 내의 마찰 라이닝이 서로 다른 압착력으로 배치된다는 사실로 인해 서로 다른 마찰 작용을 획득하는 것 또한 고안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스루 개구 섹션(31)에 마찰 라이닝을 장착하지 않고 오직 제2 스루 개구 섹션(32) 상에만 마찰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안으로 미는 방향(41)에서 마찰이 증가하며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에서는 실질적으로 마찰이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구조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여기에서 참조하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주어진다. 구조적으로 상이하지만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번호에 a가 추가되어 주어진다.
마찰 완충기(1a)의 본질적인 차이는 하우징(2a)이 원통형 하우징 섹션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우징(2a)은 오직 완충 하우징 섹션(6a)만을 포함한다.
플런저(4a)는 하우징(2a)을 통해 가이드되며 하우징(2a)의 양 측면 상에서 노출되어 배치된다.
밖으로 당기는 정지 요소(42)가 플런저(4a)의 자유 단부(21a)에 제공되고, 이러한 밖으로 당기는 정지 요소(42)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런저(4a) 상에 하나의 조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밖으로 당기는 정지 요소(42)는 워셔 형태 구성을 가지며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는 지름을 가지고, 이러한 지름은 하우징 개구(20)의 지름보다 더 크다.
제1 고정 요소(8a)는 하우징(2a)의 외부 면 상에, 특히 완충 하우징 섹션(6a) 상에 배치된다. 제1 고정 요소(8a)는 특히 하우징(2a) 상에, 특히 감쇠 하우징 섹션(6a) 상에 하나의 조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용 스터브(stub)의 형태로 구성된다. 수용 스터브는 슬리브 형태의 구성을 가지며 회전 가능한 접속을 위해 가구 요소(44) 상의 (도시되지 않은) 수용 핀 상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 특히, 래칭 요소는 수용 스터브 내로 도입되는 수용 핀을 특히 래치에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수용 스터브의 내부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수용 핀으로부터 수용 스터브의 원치 않는 해제가 그 결과 방지된다.
제1 고정 요소(8a)에 의해서, 특히 하우징(2a)을 가진 마찰 완충기(1a)는 하우징 회전 축(43) 둘레에서 가구 요소(44), 특히 가구 바디(45)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가구 문(46)은 가구 바디(45)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고정 요소(23a)에 의해서, 마찰 완충기(1a)는 가구 도어(4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 회전 축(43)은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된다. 하우징 회전 축(43)은 길이방향 축(3)과 교차한다.
아래의 내용에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완충기(1a)의 기능이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3의 가구 요소(44)의 닫힌 배치로부터 시작하여, 가구 도어(46)는 가구 바디(45)에 대해 가구 요소 선회 축(47) 둘레에서 개방 목적으로 회전된다. 가구 도어(46)를 이용하여, 가구 도어(46) 상의 제2 고정 요소(23a)에 의해 연결되는 플런저(4a)는 하우징(2a)에 대해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을 따라서 이동된다.
하우징(2a)이 가구 바디(45)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사실로 인해서, 하우징(2a)은 하우징 회전 축(43)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2a)이 가구 문(46)의 회전 이동을 따름을 보장한다. 길이방향 축(3)이 밖으로 당기는 방향(40) 및/또는 안으로 미는 방향(41)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방식으로 마찰 완충기(1a)가 가구 요소(44) 상에 연결되는 것이 보장된다. 밖으로 당기는 방향(40) 및/또는 안으로 미는 방향(41)의 경사는 가구 바디(45)에 대해 가구 도어(46)의 회전 각도에 의존한다. 도 11은 가구 바디(45)에 대해 90°인 가구 도어의 회전 각도에 대한 밖으로 당기는 방향(40) 및 안으로 미는 방향(41)을 도시한다. 가구 도어(46)의 회전 각도가 더 작을수록, 도 11의 수평에 대한 밖으로 당기는 방향(40) 및/또는 안으로 미는 방향(41)의 경사가 더 낮다.
도 13에서, 안으로 미는 방향(41) 및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은 수평으로 배향된다.
가구 도어(46)의 개방에 의해서, 도 14에 따른 플런저(4a)는 하우징(2a)에 대해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된다. 플런저(4a) 상의 마찰 라이닝(25)의 마찰 접촉의 결과로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시계 방향에서 도 12에 따른 위치로 경사 축(15) 둘레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마찰 라이닝(25)은 실질적으로 플런저(4a)에 대해 원통형 하프쉘 면을 지탱하며 최대 마찰 효과를 발생시킨다.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에서, 마찰 완충기(1a)는 (특히 최대의) 마찰 완충을 발생시킨다.
가구 바디(45)에 대한 가구 도어(46)의 폐쇄 이동의 경우에, 플런저(4a)는 하우징(2a)에 대해 안으로 미는 방향(41)을 따라 이동된다. 마찰 라이닝(25)과 플런저(4a) 사이의 정지 마찰의 결과로서, 마찰 라이닝(25)은 반시계방향으로 도 14에 도시된 경사 위치 내로 회전 축(15) 둘레에서 마찰 라이닝 캐리어(26)와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마찰 라이닝(25)을 가진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최소의 마찰 작용을 발생시키며, 특히 마찰 작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찰 완충기(1a)의 기능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완충기(1)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Claims (20)

  1. 마찰 완충기로서,
    a. 길이방향 축(3)을 가진 하우징(2; 2a),
    b. 상기 길이방향 축(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plunger)(4; 4a),
    c. 상기 플런저(4; 4a) 상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유닛(24)을 포함하되, 상기 마찰 유닛(24)은
    i. 쓸림식으로(rubbingly) 상기 플런저(4; 4a)에 대해 지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25),
    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25)이 유지되는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밖으로 당기는(pulled-out) 위치와 안으로 미는 위치(pushed-in)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2; 2a) 내의 상기 플런저(4; 4a)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밖으로 당기는 마찰이 상기 밖으로 당기는 위치에서 작용하며, 상기 밖으로 당기는 마찰은 상기 안으로 미는 위치에서 작용하는 안으로 미는 마찰과는 상이하고,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상기 플런저(4; 4a)가 통과하여 가이드되는 스루 개구(through opening)(30)를 구비하는, 마찰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스루 개구(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25)에 대한 마찰 라이닝 리셉터클(36)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 4a)가 밖으로 당기는 방향(40)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가 상기 밖으로 당기는 위치 내로 이동하며 상기 플런저(4; 4a)가 안으로 미는 방향(41)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가 상기 안으로 미는 위치 내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마찰 유닛(24)이 상기 플런저(4; 4a)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이것이 상기 길이방향 축(3)에 대해 가로지르게 배치된 경사 축(tilting axis)(15)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 2a)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상기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된 경사 축(15)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 2a)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경사 핀(14)이 상기 하우징(2; 2a) 내에 제공되고, 상기 경사 핀(14) 상에서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경사 개구(28)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37)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닝 캐리어(26)는 거울상 대칭 구성인 두 개의 마찰 라이닝 캐리어 부분(37)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2a)은 두 개의 하우징 부분(17)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2a)은 거울상 대칭 구성인 두 개의 하우징 부분(17)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프쉘(half-shell) 윤곽을 가진 두 개의 마찰 라이닝(25)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하프쉘 윤곽을 가지는 두 개의 동일한 마찰 라이닝(25)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 개구(30)는 상기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하게 비대칭인 윤곽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 개구(30)는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및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및 상기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은 하나의 단면 길이방향 축(33, 34)을 가지며, 상기 단면 길이방향 축(33, 34)은 서로에 대해 경사각(n)만큼 기울어진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 개구(30)는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및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루 개구 섹션(31) 및 상기 제2 스루 개구 섹션(32)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단면 길이방향 축(33, 34)을 가지며, 상기 단면 길이방향 축(33, 34)은 서로에 대해 경사각(n)만큼 기울어진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 개구(30)는 상기 길이방향 축(3)에 대해 직교하게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은 상기 길이방향 축(3)을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2a)은 감쇠 하우징 섹션(6; 6a)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a)은 오로지 상기 감쇠 하우징 섹션(6a)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완충기는 회전 가능한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요소(8; 8a)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요소(8a)는 상기 감쇠 하우징 섹션(6a)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마찰 완충기.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117833A 2016-09-14 2017-09-14 마찰 완충기 KR102440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7484.3 2016-09-14
DE102016217484 2016-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396A KR20180030396A (ko) 2018-03-22
KR102440755B1 true KR102440755B1 (ko) 2022-09-05

Family

ID=5985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833A KR102440755B1 (ko) 2016-09-14 2017-09-14 마찰 완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436273B2 (ko)
EP (2) EP3399207B1 (ko)
JP (1) JP2018044674A (ko)
KR (1) KR102440755B1 (ko)
CN (1) CN107816503B (ko)
BR (1) BR102017019575A2 (ko)
DE (1) DE102017215933A1 (ko)
ES (2) ES2715975T3 (ko)
PL (2) PL3399207T3 (ko)
RU (1) RU2684237C9 (ko)
TR (1) TR201904420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9558B2 (ja) * 2014-10-28 2018-03-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体補強装置
GB2577682B (en) * 2018-09-28 2021-10-20 Owen Mumford Ltd Auto-injector
DE102020202348A1 (de) 2020-02-24 2021-08-26 Suspa Gmbh Reibungsdämpfer
DE102022209864A1 (de) 2022-09-20 2024-03-21 Suspa Gmbh Reibungsdämpf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8204A1 (de) 2003-12-12 2005-07-07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Reibdämpfer
JP2007518474A (ja) * 2003-12-24 2007-07-12 モル フンクティオンスメーベル ゲーエムベーハー 作業机用ブレーキ装置
CN204163514U (zh) 2014-10-17 2015-02-18 漳州职业技术学院 窗户锁紧装置
DE102013109196A1 (de) * 2013-08-26 2015-02-26 Miele & Cie. Kg Reib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eine Trommelwasch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5725B (de) 1958-08-28 1960-07-21 Peka Fahrzeugbau K G Reibungsstossdaempfer
DE2117704A1 (de) * 1971-04-10 1972-10-19 Philips Patentverwaltung Mechanische Stoßdämpfereinrichtung
SU894261A2 (ru) * 1980-03-10 1981-12-30 Брянский Институ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Демпфер переменного трени
DD159803A2 (de) * 1981-06-18 1983-04-06 Erich Barth Reibungsdaempfer fuer schwingungsgedaempfte maschinen und geraete,insbesondere trommelwaschmaschinen
DD232408A3 (de) * 1983-02-02 1986-01-29 Schwarzenberg Waschgeraete Reibungsdaempfer fuer schwingungsgedaempfte maschinen und geraete, insbesondere trommelwaschmaschinen
DE3616373A1 (de) * 1986-05-15 1987-11-19 Miele & Cie Reibungsdaempfer
DE19615010A1 (de) * 1996-04-16 1997-10-23 Suspa Compart Ag Reib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Waschmaschinen mit Schleudergang
DE20109958U1 (de) * 2001-06-15 2001-08-16 Blum Gmbh Julius Dämpfer insbesondere für Möbel
DE10360784B4 (de) 2003-12-23 2012-02-09 Audi Ag Vorrichtung zum Ausrücken und Einrücken der Kupplung eines Kraftfahrzeuges
PL1637640T3 (pl) * 2004-09-15 2008-08-29 Suspa Holding Gmbh Amortyzator
CN201606444U (zh) * 2010-02-10 2010-10-13 济南大学 一种摩擦-粘滞综合作用的阻尼器
CN103925321B (zh) * 2013-01-15 2017-05-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变阻尼减震器及装有该减震器的洗衣机
JP2015112959A (ja) 2013-12-10 2015-06-22 株式会社ショーワ 操舵装置
CN105351419B (zh) * 2015-11-27 2017-07-04 北京工业大学 具有复阻尼特征的板式向心摩擦阻尼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8204A1 (de) 2003-12-12 2005-07-07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Reibdämpfer
JP2007518474A (ja) * 2003-12-24 2007-07-12 モル フンクティオンスメーベル ゲーエムベーハー 作業机用ブレーキ装置
DE102013109196A1 (de) * 2013-08-26 2015-02-26 Miele & Cie. Kg Reib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eine Trommelwaschmaschine
CN204163514U (zh) 2014-10-17 2015-02-18 漳州职业技术学院 窗户锁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16503B (zh) 2021-09-28
EP3399207B1 (de) 2020-06-17
BR102017019575A2 (pt) 2018-05-02
EP3399207A1 (de) 2018-11-07
US10436273B2 (en) 2019-10-08
PL3296587T3 (pl) 2019-06-28
EP3296587B1 (de) 2019-01-02
JP2018044674A (ja) 2018-03-22
CN107816503A (zh) 2018-03-20
RU2017130852A3 (ko) 2019-02-28
PL3399207T3 (pl) 2020-12-28
US20180073589A1 (en) 2018-03-15
EP3296587A1 (de) 2018-03-21
RU2684237C2 (ru) 2019-04-04
DE102017215933A1 (de) 2018-03-15
ES2715975T3 (es) 2019-06-07
RU2017130852A (ru) 2019-02-28
TR201904420T4 (tr) 2019-05-21
RU2684237C9 (ru) 2019-07-09
ES2815898T3 (es) 2021-03-31
KR20180030396A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0755B1 (ko) 마찰 완충기
ES2797730T3 (es) Disposición de amortiguador, en particular para una compuerta de un vehículo
US8720847B2 (en) External articulation mechanism with a noise-dampening support element
KR20120099427A (ko) 푸시인 패스너 조립체
JP2013515214A (ja) 遠心力振り子装置
JP2017219198A (ja) ガイド/ダンピングユニット及びピストンハウジングユニット
JP2004076852A (ja) ダンパ
JP6484723B2 (ja) 時計アーバ用の磁性耐衝撃システム
US10047818B2 (en) Damping device
JP2010112542A (ja) クッション
WO2012008362A1 (ja) 緩衝装置
CN106467044A (zh) 用于扶手制动装置的制动件、扶手支承装置、扶手以及车座
KR101295009B1 (ko) 차량의 제어 케이블 고정 장치
JP6839968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EP3153650B1 (en) Braking and locking structure for sliding wings
KR20130136461A (ko) 피스톤 댐퍼
KR101148057B1 (ko)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
WO2017126169A1 (ja) ダンパー装置
US20020066629A1 (en) Process for braking a moving mass such as a braking and damping element
JPH11223245A (ja) 捩じり振動ダンパ
RU2821857C2 (ru) Фрикцион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WO2017126400A1 (ja) ダンパー装置
US20220232974A1 (en) Guide device for a moveable furniture part
KR102394846B1 (ko) 백빔용 스틸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