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027B1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027B1
KR102440027B1 KR1020227007279A KR20227007279A KR102440027B1 KR 102440027 B1 KR102440027 B1 KR 102440027B1 KR 1020227007279 A KR1020227007279 A KR 1020227007279A KR 20227007279 A KR20227007279 A KR 20227007279A KR 102440027 B1 KR102440027 B1 KR 10244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wire
electric wire
loa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927A (ko
Inventor
유지 사와타리
도루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자 접촉기(1)는, 접속 단자(14)가 장착된 전선(15)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구(8a)를 갖고, 전선 삽입구(8a)로부터 삽입되는 전선(15)의 통로인 전선 삽입 통로(P1)를 구성하는 통부(8d)가 형성된 삽입구 부재(8)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1)는, 전선 삽입 통로(P1)로부터 전선을 빼내는 방향인 빼냄 방향에 있어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단면(端面)과 대향해 해당 전선 삽입 통로(P1)를 구성하는 칸막이판(3a)이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 금구(11)와, 해당 도전성 금구(11)에 접속 단자(14)를 압접하는 스프링(12)을 수용하는 제2 케이스(3)를 구비한다.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과 대향하는 상기 단면에, 빼냄 방향으로 향해서 형성된 노치(8f)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
본 발명은, 전류 경로의 개폐를 행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다.
전자 접촉기는, 전원과 부하 기기와의 사이의 전류 경로에 마련되어, 전류 경로의 개폐를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전자 접촉기에 마련된 도전성 금구에 전선을 접속하는 접속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피복을 벗긴 전선을 나사로 도전성 금구(金具)에 체결하는 나사 방식, 및 피복을 벗긴 전선에 페룰(ferrule) 등의 접속 단자를 가체(加締)하기 위해 해당 접속 단자를 도전성 금구에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압접하는 스프링 방식이 알려져 있다.
스프링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테스트 플러그를 찔러 넣기 위한 개구인 테스트 플러그 개구를, 조작 공구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인 조작 공구 개구에 인접시키면서, 단자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자 접촉기의 체격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2-324612호 공보
그런데, 근래, 전자 접촉기의 케이스를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부품 중 일부의 부품에 대해 나사 방식과 스프링 방식으로 동일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전자 접촉기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스프링 방식의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전선의 통로인 전선 삽입 통로가 전선의 빼냄 방향으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부품의 제조 편차에 기인하여, 전선 삽입 통로의 빼냄 방향으로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차가 생기면, 접속 단자가 장착된 전선을 전자 접촉기로부터 빼낼 때에, 접속 단자가 단차에 걸려, 전선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속 단자가 장착된 전선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 저하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접속 단자가 장착된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구를 갖고,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통로인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통부가 형성된 삽입구 부재와, 전선 삽입 통로로부터 전선을 빼내는 방향인 빼냄 방향에 있어서 삽입구 부재의 통부의 단면(端面)과 대향해 해당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칸막이판이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 금구와, 해당 도전성 금구에 접속 단자를 압접하는 스프링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삽입구 부재의 통부는, 케이스의 칸막이판과 대향하는 단면에, 빼냄 방향으로 향해서 형성된 노치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접촉기에 의하면, 접속 단자가 장착된 전선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 저하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삽입구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제2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부하용 전선 삽입구에 1개의 부하용 전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부하용 전선 삽입구에 1개의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부하용 전선 삽입구에 2개의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공구 삽입구에 공구가 찔러 넣어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공구 삽입구에 공구가 찔러 넣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전선 삽입구로부터 전선이 빼내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전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절연관의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노치와 2점에서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절연관의 단면이 V자 형상의 노치와 1점에서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단차를 타고 넘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를 도면을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 대해서, 제1 삽입구 부재군(8A) 및 제2 삽입구 부재군(8B)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 대해서, 제2 케이스(3)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선,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좌표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 전원용 전선 삽입부(5)와 부하용 전선 삽입부(6)와의 배열 방향인 제1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한, 제1 케이스(2)와 제2 케이스(3)의 배열 방향이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원용 전선 삽입부(5)가 마련되어 있는 측이 전자 접촉기(1)의 상방이며, 부하용 전선 삽입부(6)가 마련되어 있는 측이 전자 접촉기(1)의 하방이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케이스(2)가 마련되어 있는 측이 전자 접촉기(1)의 후방이며, 제2 케이스(3)가 마련되어 있는 측이 전자 접촉기(1)의 전방이다. 전자 접촉기(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왼손 측이 전자 접촉기(1)의 좌방이며, 전자 접촉기(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른손 측이 전자 접촉기(1)의 우방이다. 이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의한 좌표계에 있어서, 전자 접촉기(1)의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1)를 설치했을 때의 자세에 따라서는, 전자 접촉기(1)의 상하 방향과 연직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1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1)의 케이스(100)는, 주로, 제1 케이스(2), 제2 케이스(3), 및 제3 케이스(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1 케이스(2), 제2 케이스(3) 및 제3 케이스(4)는, 절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2)에는 제2 케이스(3) 및 제3 케이스(4)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케이스(2)는, 주로, 도 1 ~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은, 후술의 개폐부(60)를 수용한다. 이 제1 케이스(2)는, 나사 방식의 전자 접촉기와 스프링 방식의 전자 접촉기에서 동일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자 접촉기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화가 도모되고 있다.
제2 케이스(3)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제1 삽입구 부재군(8A) 및 제2 삽입구 부재군(8B)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부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용 전선이 삽입되는 전원용 전선 삽입부군(5A), 및 부하 기기에 접속되는 부하용 전선이 삽입되는 부하용 전선 삽입부군(6A)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제2 케이스(3)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삽입구 부재(8)가 일렬로 배열되어 일체화된 제1 삽입구 부재군(8A)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전원용 전선 삽입부(5)가 일렬로 배열된 전원용 전선 삽입부군(5A)을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삽입구 부재(8)가 일렬에 배열되어 일체화된 제2 삽입구 부재군(8B)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부하용 전선 삽입부(6)가 일렬로 배열된 부하용 전선 삽입부군(6A)을 구비한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부군(5A)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군(6A)은 거의 동일한 구조이며, 도 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α)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용 전선 삽입부군(5A)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군(6A)이 아니라, 이들을 구성하는 전원용 전선 삽입부(5)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부(5)에 삽입되는 전원용 전선,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에 삽입되는 부하용 전선에 대해서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전선으로 기재한다. 또한, 전원용 전선에 장착된 접속 단자, 및 부하용 전선에 장착된 접속 단자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상당하고,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접속 단자로 기재한다.
제3 케이스(4)는, 제3 삽입구 부재군(8C)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조작용 전선이 삽입되는 조작용 전선 삽입부군(7A)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제3 케이스(4)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삽입구 부재(8)가 일렬로 배열되어 일체화된 제3 삽입구 부재군(8C)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조작용 전선 삽입부군(7A)을 구비한다. 또한, 조작용 전선 삽입부군(7A)은, 전원용 전선 삽입부군(5A)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군(6A)에 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용 전선 삽입부군(7A)이 아니라, 이들을 구성하는 조작용 전선 삽입부(7)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조작용 전선 삽입부(7)에 삽입되는 조작용 전선에 대해서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전선으로 기재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 대해서,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 5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용 전선 삽입부(5)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는, 각각, 삽입구 부재(8)와, 스프링식 단자(9)와, 케이스(100)의 일부를 이루는 하우징(10)을 갖는다. 스프링식 단자(9)는, 제2 케이스(3)에 고정된 도전성 금구(11)와, 이 도전성 금구(11)의 선단부(11a)에 맞물리는 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식 단자(9)는, 전선의 단부에 장착된 접속 단자(14)를 도전성 금구(11)의 선단부(11a)와 스프링(12)과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 단자(14)를 도전성 금구(11)에 압접시켜, 도전성 금구(11)와 전선(15)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식 단자(9)는, 접속 단자(14)로서 절연관(13)이 부착된 페룰을 직접 사이에 끼움으로써 도통하고 있지만, 스프링식 단자(9)는, 접속 단자(14)로서 절연관(13)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페룰을 직접 사이에 끼움으로써 도통해도 된다. 절연관(13)이 부착된 페룰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14)에 대해서는, 도 6 ~ 도 1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조작용 전선 삽입부(7)는, 전원용 전선 삽입부(5)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에 준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부(5)가 가지는 삽입구 부재(8), 도전성 금구(11), 및 스프링(12)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 삽입구 부재, 제1 도전성 금구, 및 제1 스프링에 각각 상당하고, 부하용 전선 삽입부(6)가 가지는 삽입구 부재(8), 도전성 금구(11) 및 스프링(12)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2 삽입구 부재, 제2 도전성 금구, 및 제2 스프링에 각각 상당한다.
도 3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는, Y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2개의 전선 삽입구(8a), Y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2개의 공구 삽입구(8b), 및 Y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1개의 검전공(檢電孔)(8c) 등, 복수의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복수의 개구를 전자 접촉기(1)의 정면을 향하게 하여 하우징(10) 및 제2 케이스(3)에 고정된다. 전자 접촉기(1)에 전선을 배선할 때, 전선(15)의 단부에 장착된 접속 단자(14)를 삽입구 부재(8)의 전선 삽입구(8a)로부터 내부에 삽입하면, 삽입구 부재(8)가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14)는, 도전성 금구(11)의 선단부(11a)와 스프링(12)과의 사이로 안내된다.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 단자(14)가 도전성 금구(11)에 압접되는 것에 의해, 전선(15)과 도전성 금구(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전자 접촉기(1)로부터 전선(15)을 빼낼 때, 삽입구 부재(8)의 공구 삽입구(8b)로부터 공구를 삽입하면, 삽입구 부재(8)가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는, 스프링(12)과 접속 단자(14)와의 사이로 안내된다. 공구에 의해 스프링(12)이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 해당 스프링(12)과 도전성 금구(11)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전선(15)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전선(15)과 도전성 금구(11)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의 좌방에 배치되는 전선 삽입구(8a)와 Y 방향 좌방에 배치되는 공구 삽입구(8b)가 대응함과 아울러, Y 방향의 우방에 배치되는 전선 삽입구(8a)와 Y 방향 우방에 배치되는 공구 삽입구(8b)가 대응하고 있고, 1개의 삽입구 부재(8) 마다 2개의 전선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선과 도전성 금구(11)와의 통전을 확인할 때, 삽입구 부재(8)의 검전공(8c)으로부터 검전침용 통로(P3)에 검전용(도시하지 않음)의 검전침을 삽입하면, 삽입구 부재(8)가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전침의 선단은 스프링(1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통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검전공(8c)에 검전침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전선의 도통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0)은, 도전성 금구(11)의 선단부(11a) 및 스프링(12)을 덮도록 배치되고, 절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부(5)가 갖는 삽입구 부재(8)에 형성된 전선 삽입구(8a)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가 갖는 삽입구 부재(8)에 형성된 전선 삽입구(8a)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전원용 전선 삽입구 및 부하용 전선 삽입구에 각각 상당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1)는, 전원용 전선 삽입부(5)의 도전성 금구(11)와 부하용 전선 삽입부(6)의 도전성 금구(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할지 절연할지를 전환하는 개폐부(60)를 갖는다. 개폐부(60)는, 고정 철심(52), 조작 코일(66), 및 가동 철심(54)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61)와, 크로스바(57) 및 가동 접촉자(41)를 갖는 가동부(62)를 구비한다. 조작 코일(66)은, 고정 철심(52)의 중앙 다리에 권회되어 있다. 가동 철심(54)은, 고정 철심(52)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바(57)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연결판(59)을 통해 가동 철심(54)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41)는, 크로스바(57)의 머리부에 마련된 유지 구멍에 배치되어, 전원용 전선 삽입부(5)의 도전성 금구(11)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의 도전성 금구(11)의 각각과 대향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41)가 전원용 전선 삽입부(5)의 도전성 금구(11)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의 도전성 금구(11)의 쌍방에 접촉함으로써 전류가 통전되고, 회로가 형성된다. 전자 접촉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5개의 전원용 전선 삽입부(5), 및 5개의 부하용 전선 삽입부(6)를 구비한다. Y 방향에서의 중앙의 3개의 전원용 전선 삽입부(5)는, 대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주 접점을 이루고, Y 방향에서의 단부의 2개의 전원용 전선 삽입부(5)는, 소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보조 접점을 이룬다. 또한, Y 방향에서의 중앙의 3개의 부하용 전선 삽입부(6)는, 대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주 접점을 이루고, Y 방향에서의 단부의 2개의 부하용 전선 삽입부(6)는, 소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보조 접점을 이룬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 대해서, Y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부하용 전선 삽입부(6)에 1개의 전선(15)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합쳐 참조하여, 삽입구 부재(8) 및 제2 케이스(3)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는, 부하용의 전선 삽입구(8a)로부터 삽입되는 부하용의 전선(15)의 통로인 부하용의 전선 삽입 통로(P1)를 구성하는 통부(8d) 및 내벽부(8e)를 갖는다. 제2 케이스(3)는,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 및 내벽부(8e)와 맞닿아 부하용의 전선 삽입 통로(P1)를 구성하는 칸막이판(3a)을 갖는다. 삽입구 부재(8)가 제2 케이스(3)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 및 내벽부(8e)의 측면이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상면 및 내면과 각각 맞닿고, 부하용의 전선 삽입 통로(P1)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선(15)의 통로인 전선 삽입 통로(P1)가 전선(15)의 삽입 방향(빼냄 방향이기도 함)으로 복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에서의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과의 맞닿음면에는, 전선(15)의 빼냄 방향을 향하여 노치(8f)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8f)는, 전선 삽입 통로(P1)의 내면으로부터 외면까지 연속하여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노치(8f)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V자 모양의 관통공으로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은,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상면과 맞닿지만, 반드시 맞닿을 필요는 없고,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은,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상면과 대향하면 된다.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삽입구 부재의 통부의 단면에 상당한다. 또한, 삽입구 부재(8)는, 공구 삽입구(8b)로부터 삽입되는 공구의 통로인 공구 삽입 통로(P2)를 구성하는 내벽부(8g)를 갖는다. 제2 케이스(3)는, 삽입구 부재(8)의 내벽부(8g)와 맞닿아 공구 삽입 통로(P2)를 구성하는 볼록부(3b)를 갖는다. 삽입구 부재(8)가 제2 케이스(3)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삽입구 부재(8)의 내벽부(8g)의 내면이 제2 케이스(3)의 볼록부(3b)의 측면과 맞닿아, 공구 삽입 통로(P2)가 구성된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P1)도,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P1)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부(5)를 구성하는 삽입구 부재(8)가 갖는 통부(8d), 노치(8f), 제2 케이스(3)의 전원용 전선 삽입부(5)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판(3a), 및 전원용 전선 삽입부(5)로부터 전선(15)을 빼내는 빼냄 방향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 통부, 제1 노치, 제1 칸막이판, 및 제1 빼냄 방향에 각각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부하용 전선 삽입부(6)를 구성하는 삽입구 부재(8)가 갖는 통부(8d), 노치(8f), 제2 케이스(3)의 부하용 전선 삽입부(6)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판(3a), 및 부하용 전선 삽입부(6)로부터 전선(15)을 빼내는 빼냄 방향이,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2 통부, 제2 노치, 제2 칸막이판 및 제2 빼냄 방향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P1), 및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P1)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 및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에 각각 상당한다.
그런데, 스프링 방식의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전선의 통로인 전선 삽입 통로가 전선의 빼냄 방향으로 복수의 부품에 이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부품의 제조 편차에 기인하여, 전선 삽입 통로의 내주면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차가 생기면, 접속 단자가 장착된 전선을 전자 접촉기로부터 빼낼 때에, 접속 단자가 단차에 걸려, 전선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 대하여, 도 3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전자 접촉기(1)에 1개의 전선(15)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전자 접촉기(1)에 2개의 전선(15)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말하자면,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는, 예를 들면 동일한 전원을 복수의 전자 접촉기(1)에서 공유하는 경우 등에 이용되는 배선, 이른바 연결 배선을 할 때에 생기는 상태이다.
도 7에 있어서, 전선(15)이 삽입되어 있는 Y축 우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과, 전선(15)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Y축 좌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과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관(13)이 전선(15)보다도 대경(大徑)이기 때문에, Y축 우방에 위치하는 칸막이판(3a)은, 전선(15)에 장착된 접속 단자(14)(상세하게는 절연관(13))에 의해, 전선 삽입 통로(P1)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 압출되고,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제2 케이스(3)의 내벽부(2a) 상면과의 맞닿음면에 단차(D)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차(D)가 생기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 상면과의 맞닿음면에 노치(8f)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접촉기(종래 기술에 상당)에서는, 접속 단자(14)가 장착된 전선(15)을 전자 접촉기로부터 빼낼 때에, 접속 단자(14)가 단차(D)에 걸려, 전선(15)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전선(15)이 단차(D)에 걸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두께를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보다도 얇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전선(15)에 장착된 접속 단자(14)에 의해 전선 삽입 통로(P1)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 압출되는 상황에 변함은 없고, 단차(D)는 발생하기 때문에,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에 각부를 둥근 코너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금형 구성상, 매우 어렵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2개의 전선(15) 중 Y축 우방에 위치하는 전선(15)의 절연관(13)의 Y축 우방측의 측면은, Y축 우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에 맞닿아 있고, 마찬가지로, 2개의 전선(15) 중 Y축 좌방에 위치하는 전선(15)의 절연관(13)의 Y축 좌방측의 측면은, Y축 좌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에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전선(15)의 절연관(13)은 Y축 좌우 방향으로부터 밀려서 원현(圓弦) 형상이 되고,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은 Y축 좌우 방향으로 밀려서 단차(D1 및 D2)가 도 7의 상태와 비교하여 확대된다. 이러한 단차(D1 및 D2)가 생기면, 도 7에 나타낸 상태와 마찬가지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 상면과의 맞닿음면에 노치(8f)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접촉기(종래 기술에 상당)에서는, 접속 단자(14)가 장착된 전선(15)을 전자 접촉기로부터 빼낼 때에, 접속 단자(14)가 단차(D1 및 D2)에 걸려, 전선(15)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이 더욱 저하된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과 대향하는 맞닿음면에, 빼냄 방향을 향해 형성된 노치(8f)를 갖고, 해당 노치(8f)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V자 모양의 관통공으로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도 9 ~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전자 접촉기(1)의 전선 삽입구(8a)에 전선(15)이 삽입되어 있고, 공구 삽입구(8b)에 공구(Dr)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전자 접촉기(1)의 전선 삽입구(8a)에 전선(15)이 삽입되어 있고, 전자 접촉기(1)의 공구 삽입구(8b)에 공구(Dr)가 삽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전자 접촉기(1)의 공구 삽입구(8b)에 공구(Dr)가 삽입되어 있고, 전선 삽입구(8a)로부터 전선(15)이 빼내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도 9 ~ 도 11에 있어서는, 삽입구 부재(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2 ~ 도 15는, 도 1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의 천이를 나타낸 도면, 즉, 전자기 접촉기(1)의 전선 삽입구(8a)로부터 전선(15)이 빼내어져 가는 상황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2는, 절연관(13)의 단면(13a)이 노치(8f)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3은, 절연관(13)의 단면(13a)이 노치(8f)에 도달하고, 해당 노치(8f)와 2점에서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4는, 절연관(13)의 단면이 노치(8f)와 1점에서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5는, 절연관(13) 의 단면이 단차를 타고 넘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도 12 ~ 도 15에서는, 공구(Dr)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전자 접촉기(1)로부터 전선을 빼냄에 있어서는, 우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삽입구 부재(8)의 공구 삽입구(8b)로부터 공구(Dr)를 삽입한다. 공구(Dr)를 공구 삽입구(8b)로부터 삽입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가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Dr)는, 삽입구 부재(8)로 안내되고, 스프링(12)의 선단과 연결 단자(14)와의 사이에 안내된다. 여기서, 공구(Dr)에 의해 스프링(12)이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12)과 도전성 금구(11)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간극이 형성되면, 스프링(12)에 의한 접속 단자(14)에의 압접이 해제되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5)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15)과 도전성 금구(11)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다.
절연관(13)의 단면(13a)이 통부(8d)의 노치(8f)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도 12)로부터, 삽입구 부재(8)로부터의 전선(15)의 빼냄을 개시하면, 절연관(13)의 단면(13a)이, 통부(8d)의 저면과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 상면과의 맞닿음면에 생긴 단차(D)에 간섭한다. 이 때,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에는 전선(15)의 빼냄 방향을 향해 노치(8f)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 절연관(13)의 단면(13a)과는 평행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간섭한다. 즉,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절연관(13)의 단면(13a)은, 면으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A점으로 나타내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이 2점에서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추가로 전선(15)이 빼냄 방향으로 당겨지면, 빼냄 방향으로 진행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절연관(13)의 단면(13a)은 점 B로 나타내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이 1점에서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추가로 전선(15)이 빼냄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접속 단자(14)가 빼냄 방향으로 진행되어, 절연관(13)의 단면(13a)의 단차(D)로의 걸림이 풀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5)이 빼내어진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접촉기(1)에서는,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에서의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과의 맞닿음면에는, 전선(15)의 빼냄 방향을 향해 노치(8f)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노치(8f)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V자 모양의 관통공으로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전선(15)을 빼낼 때,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절연관(13)의 단면(13a)은 평행이 아니라 일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관(13)의 단면(13a)에 생기는 단차(D)로의 걸림이 풀리기 쉬워져, 접속 단자(14)가 장착된 전선(15)의 빼냄 작업에 관한 작업성 저하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케이스(3)의 칸막이판(3a)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V자 모양의 관통공으로서,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에 형성되어 있지만, 삽입구 부재(8)의 통부(8d)의 저면과 절연관(13)의 단면(13a)은 평행이 아니라 일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 V자 모양의 관통공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 예를 들면, U자 모양의 관통공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수지 부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필요한 금형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치(8f)로서, V자 모양의 관통공이나 U자 모양의 관통공, 즉 통부(8d)의 내면으로부터 외면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적어도, 단차(D~D2)의 Y축 방향의 폭(도 7 및 도 8 참조)의 분만큼 노치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변형예를 포함)의 전자 접촉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고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전자 접촉기
2: 제1 케이스
3: 제2 케이스
3a: 칸막이판
3b: 볼록부
4: 제3 케이스
5: 전원용 전선 삽입부
6: 부하용 전선 삽입부
7: 조작용 전선 삽입부
8: 삽입구 부재
8a: 전선 삽입구
8b: 공구 삽입구
8c: 검전공
8d: 통부
8e: 내벽부
8f: 노치
8g: 내벽부
8A: 제1 삽입구 부재군
8B: 제2 삽입구 부재군
8C: 제3 삽입구 부재군
9: 스프링식 단자
10: 하우징
11: 도전성 금구
11a: 선단부
12: 스프링
13: 절연관
13a: 단면
14: 접속 단자
15: 전선
41: 가동 접촉자
52: 고정 철심
54: 가동 철심
57: 크로스바
59: 연결판
60: 개폐부
61: 전자석부
62: 가동부
66: 조작 코일
100: 케이스
P1: 전선 삽입 통로
P2: 공구 삽입 통로
D, D1, D2: 단차
Dr: 공구

Claims (7)

  1. 전선보다도 대경이며 칸막이판에 맞닿는 절연관을 가지는 접속 단자가 장착된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구를 갖고, 상기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통로인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통부가 형성된 삽입구 부재와,
    상기 전선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전선을 빼내는 방향인 빼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부재의 상기 통부의 단면(端面)과 대향해 상기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칸막이판이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 금구와, 상기 도전성 금구에 상기 접속 단자를 압접하는 스프링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 부재의 상기 통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칸막이판과 대향하는 상기 단면에, 상기 빼냄 방향으로 향해서 닫히는 V자 모양으로 형성된 노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통부의 내면으로부터 외면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전자 접촉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부재에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구, 및 상기 공구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공구의 통로인 공구 삽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 접촉기.
  4. 전원에 일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전원용 전선보다도 대경이며 제1 칸막이판에 맞닿는 절연관을 갖는 제1 접속 단자가 타단에 장착된 상기 전원용 전선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는 전원용 전선 삽입구를 갖고, 상기 전원용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전원용 전선의 통로인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제1 통부가 형성된 제1 삽입구 부재와,
    부하 기기에 일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제2 접속 단자가 타단에 장착된 부하용 전선이 삽입되는 부하용 전선 삽입구를 갖고, 상기 부하용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부하용 전선의 통로인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제2 통부가 형성된 제2 삽입구 부재와,
    상기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전원용 전선을 빼내는 방향인 제1 빼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구 부재의 상기 제1 통부의 단면에 대향하여 상기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칸막이판과, 상기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부하용 전선을 빼냄 방향인 제2 빼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구 부재의 상기 제2 통부의 단면과 대향하여 상기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제2 칸막이판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도전성 금구와, 상기 제1 도전성 금구의 일단에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압접하는 제1 스프링과, 제2 도전성 금구와, 상기 제2 도전성 금구의 일단에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압접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도전성 금구의 타단과 상기 제2 도전성 금구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할지 절연할지를 전환하는 개폐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구 부재의 상기 제1 통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칸막이판과 대향하는 상기 단면에, 상기 제1 빼냄 방향으로 향해 닫히는 V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1 노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전원에 일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제1 접속 단자가 타단에 장착된 전원용 전선이 삽입되는 전원용 전선 삽입구를 갖고, 상기 전원용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전원용 전선의 통로인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제1 통부가 형성된 제1 삽입구 부재와,
    부하 기기에 일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부하용 전선보다도 대경이며 제2 칸막이판에 맞닿는 절연관을 갖는 제2 접속 단자가 타단에 장착된 상기 부하용 전선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는 부하용 전선 삽입구를 갖고, 상기 부하용 전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부하용 전선의 통로인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제2 통부가 형성된 제2 삽입구 부재와,
    상기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전원용 전선을 빼내는 방향인 제1 빼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구 부재의 상기 제1 통부의 단면에 대향하여 상기 전원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칸막이판과, 상기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부하용 전선을 빼내는 방향인 제2 빼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구 부재의 상기 제2 통부의 단면과 대향하여 해당 부하용 전선 삽입 통로를 구성하는 상기 제2 칸막이판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도전성 금구와, 상기 제1 도전성 금구의 일단에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압접하는 제1 스프링과, 제2 도전성 금구와, 상기 제2 도전성 금구의 일단에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압접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도전성 금구의 타단과 상기 제2 도전성 금구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할지 절연할지를 전환하는 개폐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삽입구 부재의 상기 제2 통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칸막이판과 대향하는 상기 단면에, 상기 제2 빼냄 방향으로 향해 닫히는 V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2 노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6. 삭제
  7. 삭제
KR1020227007279A 2019-11-01 2019-11-01 전자 접촉기 KR102440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42983 WO2021084732A1 (ja) 2019-11-01 2019-11-01 電磁接触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927A KR20220034927A (ko) 2022-03-18
KR102440027B1 true KR102440027B1 (ko) 2022-09-06

Family

ID=7409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279A KR102440027B1 (ko) 2019-11-01 2019-11-01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13130B1 (ko)
KR (1) KR102440027B1 (ko)
CN (1) CN114600218B (ko)
WO (1) WO202108473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0184A (ja)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接触器
JP2018101563A (ja) 2016-12-21 2018-06-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における電線接続構造
JP2018142527A (ja) 2017-02-28 2018-09-13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JP2019216032A (ja) 2018-06-13 2019-12-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配線用接続器具、電気機器及び回路遮断器
JP2020042912A (ja) 2018-09-06 2020-03-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補助接点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06710U1 (de) 2001-04-18 2001-08-09 Phoenix Contact Gmbh & Co Elektrische Klemme
JP6418183B2 (ja) * 2016-03-07 2018-11-07 オムロン株式会社 ねじなし端子台の製造方法
JP6801516B2 (ja) * 2017-02-28 2020-12-16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EP3367508B1 (en) * 2017-02-28 2019-07-24 Omron Corporation Terminal block
CN109716591B (zh) * 2018-01-15 2023-05-09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连接端子座、电气设备
JP6597822B2 (ja) * 2018-03-23 2019-10-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0184A (ja)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接触器
JP2018101563A (ja) 2016-12-21 2018-06-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における電線接続構造
JP2018142527A (ja) 2017-02-28 2018-09-13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JP2019216032A (ja) 2018-06-13 2019-12-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配線用接続器具、電気機器及び回路遮断器
JP2020042912A (ja) 2018-09-06 2020-03-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補助接点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00218B (zh) 2023-07-14
JP6813130B1 (ja) 2021-01-13
KR20220034927A (ko) 2022-03-18
CN114600218A (zh) 2022-06-07
JPWO2021084732A1 (ja) 2021-11-18
WO2021084732A1 (ja)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4416B2 (en) Connector
JP578949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010103715A (ko) 전기커넥터
KR102440027B1 (ko) 전자 접촉기
US20150287511A1 (en) Connector device
KR100790339B1 (ko)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 및 그 암형 커넥터에접속되는 수형 커넥터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30148313A1 (en) Electronic circuit unit to be mounted o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084672A (ja) 合体解除治具
JP2015032442A (ja) 電気接続具
JP2015022968A (ja) コネクタ
KR20140006390A (ko) 차량용 컨벤셔널 박스
JP201005594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コネクタホルダ並びに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US20200083632A1 (en) Connector
KR10147348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85903B1 (ko) 커넥터
EP2706550A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CN114175867B (zh) 电子模块
KR20150027406A (ko) 커넥터 조립체
JP2015125889A (ja) リアホルダ
KR101350406B1 (ko) 리테이너 체결지그
CN219246599U (zh) 带有防护机构的接触器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20120562A (ko) 용접기용 전원 단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