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616B1 -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616B1
KR102431616B1 KR1020197002315A KR20197002315A KR102431616B1 KR 102431616 B1 KR102431616 B1 KR 102431616B1 KR 1020197002315 A KR1020197002315 A KR 1020197002315A KR 20197002315 A KR20197002315 A KR 20197002315A KR 102431616 B1 KR102431616 B1 KR 10243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wing
sliding wall
wall device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771A (ko
Inventor
마르셀 리츠
Original Assignee
쏘레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레그, 아게 filed Critical 쏘레그,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4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6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201/11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벽 장치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및 건물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하부 가장자리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갖는 주행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벽 장치이다.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제공되고, 이는 상기 가이드 채널이 변위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의하여 노출 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가리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날개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 채널을 가리는 상승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향하여 변위 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로 하강되는 하강 상태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본 발명은 건물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주행 레일의 가이드 채널 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물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주행 레일 내에 장착되고 주행 레일을 따라서 변위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슬라이딩 벽 장치는 넓은 시야를 가능하게 하고 창틀들 없이 비교적 작은 프레임 구성 요소로 생산될 수 있다. 하부의 상기 주행 레일이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날개의 상기 바닥으로의 프로파일 없는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구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날개들은 보통 수 회 윤이 나도록 하고, 일반적으로 지엽적인 윤곽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 벽들에 대해서는 우수한 단열 및 방음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딩 벽들의 상기 주행 레일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프로파일들 예를 들어, 열절연 된 연결 부재들을 통하여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된 알루미늄 프로파일들로 구성된다. 그러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연결 부재들에 의한 분리는 상기 두 개의 프로파일들의 효과적인 열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각각에서 하나의 날개가 변위 가능하도록 유도된다. 또한, 하부로 인입되어 설치 된 레일들의 경우 효과적인 배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벽들은 더 두꺼운 날개들로 제조되고 점점 더 나은 단열 및 방음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가이드 채널들은 더 넓은 슬라이딩 벽들이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되기 위하여 더 넓게 제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넓은 가이드 채널들은 특히 미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바람직하지 않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넓은 가이드 채널들은 폭이 좁은 신발을 사용할 때 또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국가에 따라, 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구조에 대한 추가적으로 기준들이 있고, 이는 문틀들 및 바닥 개구부들의 크기를 제한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종래 기술로 알려진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311362 호 및 DE 독일 특허 제 28 44 877 호에 의하면, 가이드 채널들은 문이 열릴 때 아래쪽으로 접히고 가이드 채널에 대응하는 상부 개구를 가리는 플랩을 갖는다. 상기 문을 다시 닫을 수 있으려면, 상기 플랩은 다시 중심을 잡아야 하고, 이는 분명히 복잡하고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5133298 호에서는 상기 가이드 채널이 상기 슬라이딩 벽의 양 측면들 상에 부착된 스틸 스트립들에 의하여 가려져 있는 슬라이딩 벽을 보여준다. 상기 문이 열리면, 개방 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스틸 스트립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외측 단부에서 180 ° 아래로 굽어지고 상기 가이드 채널 아래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의 일부로 복귀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US 2015/0033633 A1 및 WO 2015/150991 A1에서 개시되어 있다.
WO 2012/156468 A1에서는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에 부착된 커버 스트립이 상기 날개의 위치가 변할 때 노출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채널을 향하여 밀리는 슬라이딩 벽 장치를 보여준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스트립은 상기 날개가 닫힐 때 상기 문의 측면 프레임의 외부에 배열 된 채널에서 연장된다.
후행의 커버 스트립을 갖는 그러한 시스템들의 경우에 앞선 옵션들은 제한된다. 따라서, 그러한 해결책은 예를 들어, 가이드 채널 당 하나 이상의 변위 가능한 날개가 제공되는 슬라이딩 벽 장치들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상기 가이드 채널이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에 대하여 특히 길게 형성 된 슬라이딩 벽 장치들에서, 커버 스트립을 위한 충분히 빈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스트립의 긴 변위 및 편향은 특히 먼지의 침투 시,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의 부드러운 주행이 마찰력의 결과로써 손상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언급된 단점들을 회피 할 수 있는 전술한 슬라이딩 벽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벽은 예를 들어, 여기서 발생하는 미적 또는 다른 문제들 없이 50mm 또는 그 이상의 폭을 가지는 매우 넓은 가이드 채널들을 구현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벽 장치에 있어서, 하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건물 바닥의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 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갖는 주행 레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이 변위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의하여 노출 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가리는 상승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향하여 변위 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로 하강되는 하강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날개 또는 날개들의 상기 커버 부재를 향한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채널 내로 하강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가 장착된 상기 가이드 채널은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보관에 사용된다.
상기 상승 또는 하강 상태는 전체적인 길이 방향 및 전체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즉 각각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전형적인 상기 커버 부재의 전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승 및 하강 움직임은 특히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성분을 갖는다. 인입되어 설치 된[sic; 커버] 부재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움직인다. 그러나, 상기 인입되어 설치 된[sic; 커버]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이동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되어 설치 된[sic; 커버] 요소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움직임의 5배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의 수직인 방향의 움직임의 2배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의 수직인 방향의 움직임의 크기 정도 이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부재의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연장 방향은 전형적으로 상기 주행 레일의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연장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상승 상태와 비교할 때, 상기 하강 상태에 있는 상기 커버 부재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평행 변위에 의해서만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로 및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상태로부터 주행 상태 내로의 이동 시퀀스에 대한 상기 커버 부재의 전체적인 이동 시퀀스만이 평행 변위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상승 상태에서 구부러지거나, 압축되거나, 크기가 축소되거나, 크기가 확대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지 않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유리하게는 전체적으로 일체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문 또는 슬라이딩 창문 일 수 있으며 상기 주행 레일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 일 수 있다.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리 패널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채널은 유리하게는 상기 날개의 구역 내의 상기 날개 및 상기 날개의 외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에 의하여 가려진다.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대하여 폐쇄 위치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는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에 의하여 폐쇄 가능한 통로를 폐쇄한다. 이러한 폐쇄 통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이드 채널은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구역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외부 구역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에 의하여 가려진다.
상기 커버 부재의 하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되고 상기 상승 상태로 향하는 스프링 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요소에 작용한다. 상기 커버 부재의 하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향하여 배치 될 때, 상기 커버 부재 상에 작용하는 상기 날개의 중량의 도움으로 일어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기구는 유리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그 스프링들을 가진다.
제공되는 복수의 가이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은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행 롤러들 일 수 있다. 상기 주행 롤러들은 유리하게는 연속적으로 및 균일한 간격으로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된다. 결국,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날개는 일반적으로 하부면 상에 하나의 주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주행 표면 상에서 상기 주행 롤러들이 롤링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의 변위 동안 상기 주행 롤러들을 지나가며 움직인다. 물론, 선택 가능한 실시 예에서, 상기 주행 롤러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상기 하부면 상에도 부착 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행 표면들은 상기 주행 롤러들이 상기 날개의 변위 동안 롤링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에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된 상기 주행 표면(들)은 선택 가능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가이드들로도 간주 될 수 있다.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 상에 배열되고 유리하게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의 상부를 가린다.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부재를 넘어서 위로 돌출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 내로 충분히 하강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의 가장 높은 지점은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위로 침투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향하여 변위 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에 의하여 동시에 장착 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유리하게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이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를 침투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상기 개구는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 부재의 자재에 의하여 측면이 완전히 동봉된다. 상기 커버 부재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을 보다 잘 가릴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가이드들은 제 1 복수의 가이드들 및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의 변위 방향을 따라 유리하게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날개를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은 모두 각각의 경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행 롤러들 일 수 있다. 연속적으로 배열 된 주행 롤러들의 두 개의 평행한 줄들은 상기 주행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가 상기 주행 롤러들을 지나서 연속하여 하부 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제공된다. 물론, 상기 주행 롤러들은 이러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의 하부면 상에 부착 될 수도 있고 상기 주행 롤러들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행 표면들은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제공 될 수 있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가이드 된 움직임 내에서 특히 상기 주행 레일에 대하여 상기 상승 상태로부터 상기 하강 상태로 및 상기 하강 상태로부터 상기 상승 상태로의 평행 변위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주행 레일에 연결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주행 레일과 항상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보장 될 수 있고 이는 명백하게 미적 및 기능적 이점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행 레일에 대하여 상기 커버 부재의 정해진 평행 변위는, 예를 들어 슬롯 가이드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주행 레일에 부착되고 가이드 된 움직임, 특히 평행 변위에 따른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유리하게는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상에 작용 하는 중량을 흡수하는 것에도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상태에서 또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더 높은 중량이 상기 인입되어 설치되는[sic; 커버] 부재에 의하여 흡수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각각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상승 상태 내로 또는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 내로 이동 할 때 상기 지지 블록이 균일하게 롤링을 할 수 있도록, 유리하게는 둥근 롤링 표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접촉 표면을 갖는다. 평평한 접촉 표면에 의하여, 상기 중량은 잘 분산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블록의 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움직임은 방지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형 프로파일 레일로써 형성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된 부품은 외부 영향들 및 특히 투과하는 먼지 입자들로부터 잘 보호 될 수 있다.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 내로 및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상승 상태 내로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움직임을 가지는 상기 날개의 변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쐐기-형 정지 부재는 유리하게는 상기 날개 상에 부착된다.
롤러들이 상기 날개의 하부 가장자리 상에 부착된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매끄러운 최적의 주행은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롤러들은 상기 날개의 변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의 상부면 상에서 이동하여 하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단일 가이드 채널을 여러 부분들로 완전히 가리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커버 부재들이 제공된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커버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연속적으로 배열된 상기 커버 부재들의 바람직하고 양호한 연속적인 커버리지 및 연동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부재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들은 특정 실시 예들에서 상기 날개의 제 1 변위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부분을 가지는 제 1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변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기 날개의 제 2 변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외부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돌출된 부분과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커버 부재는 미적 및 기능적 이점들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된 부품은 외부 영향들, 특히 투과하는 먼지 입자들로부터 잘 보호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건물 바닥 내부에 제공된 함몰부 내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벽 장치의 하부 영역을 관통하는 횡단면이다.
도 2는 건물 바닥에 제공된 함몰부 내에 삽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 장치의 제 1 실시 예에서 하부 영역을 관통하는 제 1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를 관통하는 제 2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주행 레일이 없는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상승 된 커버 요소가 있고 상기 주행 레일이 없는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일부에 대한 하부 영역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도면을 나타내지만, 하강된 상기 커버 부재를 향하여 변위 된 날개가 있는 슬라이딩 벽 장치의 일부이다.
도 7은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의 하부 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의 일부에 대한 하부 영역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1 커버 부재에서 제 2 커버 부재로의 전환에서 상기 날개의 변위 동안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일부에 대하여 주행 레일이 없는 하부 영역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상승 상태일 때,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커버 부재, 상기 스프링 기구, 상기 지지 블록들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스프링 기구 및 지지 블록들을 포함하여 도 10에 도시된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하강 상태일 때, 도 2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의 커버 부재, 상기 스프링 기구 및 상기 지지 블록들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스프링 기구 및 지지 블록들을 포함하여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건물 바닥에 제공된 함몰부 내에 삽입된 슬라이딩 벽 장치의 제 2 실시 예에서 하부 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건물 바닥에 제공된 함몰부 내에 삽입된 슬라이딩 벽 장치의 제 3 실시 예에서 하부영역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고,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어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종래 기술에 공지 된 슬라이딩 벽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 장치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 장치의 실시 예들이 도 14 및 15에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벽 장치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에는 도 1 내지 도 15 각각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 된 선행 기술의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는 제 1 가이드 채널(11) 및 제 2 가이드 채널(12)을 포함하는 주행 레일(1)을 가진다. 상기 주행 레일(1)은 그 단면이 상기 주행 레일(1)의 길이 방향 연장 전체에 걸쳐 동일한 프로파일 레일에 의해 형성된다.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 채널들(11, 12)은 측면 웹(13)에 의하여 측면 방향으로 외측과 구분되고 중간 웹(1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두 개의 상기 측면 웹들(13) 및 상기 중간 웹(14)는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주요 부분(15)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확장한다.
상기 주행 레일(1)은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이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측면 웹(13) 및 상기 중간 웹(14)의 상단면이 바닥면(B)과 평행이 유지되도록 건물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된다.
두 개의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은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날개들을 장착하는 것에 각각 사용된다. 상기 날개들(2)은 특히 슬라이딩 창문 또는 슬라이딩 문의 날개들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의 치수 및 상기 건물 바닥 내에서의 상기 주행 레일(1)의 인입되어 설치 된 배열로 인해, 상기 날개(2)의 하부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22)의 부분은 각각의 상기 가이드 채널(11 또는 12)에 의하여 완전히 수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2)의 하부는 관찰자에게는 거의 보이지 않으며, 상기 프레임(22) 내에 유지된 상기 유리판들(21)을 통한 시각에서 상기 투명 개구의 폭은 최대화 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11 또는 12) 내부에 배열 된 상기 프레임(22)의 하부는 상부 채널(23)을 갖고, 상기 상부 채널(23)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 판들(21)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것에 사용된다. 밀봉 부재들(24)은 상기 프레임(22)과 상기 유리판들(21) 사이의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의 하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주행 표면들(25, 25')을 형성하며, 이 주행 표면들(25, 25')은 각각의 경우에 만곡되어 형성된다. 하부를 향해 개방 된 하부 채널(26)은 두 개의 상기 주행 표면들(25, 25') 사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의 상기 날개(2)를 가이드하기 위해 주행 롤러들(4 또는 4')이 부착된 기초 레일(3)이 각각의 경우에 부착된다. 상기 기초 레일들(3)은 상기 기초 레일(3)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대체로 변하지 않는 단면을 각각 가지는 프로파일 레일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초 레일들(3)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외부 웹들(32) 및 두 개의 내부 웹들(33)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주요부(31)을 가진다. 상기 외부 웹들(32) 및 상기 내부 웹들(33)은 각각 동일한 거리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주행 레일(1)의 상기 주요부(15)의 상부면을 마주하는 그들의 하단부에서 종료된다.
상기 주행 롤러들(4 또는 4')은 두 개의 평행한 줄들 내의 상기 주행 레일(1)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외부 웹들(32) 및 상기 내부 웹들(33)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날개(2)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주행 롤러들(4)의 첫 번째 줄은 제 1 복수의 가이드들을 형성하고 주행 롤러들(4')의 두 번째 줄은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을 형성한다. 상기 주행 롤러들(4 또는 4')은 주행 롤러의 축들(35 또는 35') 상에 각각 부착되고 외부 웹(32)에서부터 내부 웹(33)로 각각 연장된다. 사용되지 않는 빈 공간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내부 웹들(33) 사이에 남는다.
상기 주행 롤러들(4, 4') 상의 상기 주행 표면들(25, 25')의 정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 롤러들(4, 4')이 침투하는 개구들(34)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주요부(31) 내에서 각각의 주행 롤러의 상기 축들(35, 35')의 상단에 제공된다.
상기 주행 롤러들(4, 4')의 반경 방향 외부면들은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곡률로 인하여 상기 프레임(22)의 각각의 상기 주행 표면들(25 또는 25')에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날개(2)의 변위 동안, 상기 프레임(22)의 상기 주행 표면들(25, 25')은 상기 주행 표면들(25, 25') 상에서 롤링되는 상기 주행 롤러들(4, 4') 상에 정지하고 상기 날개(2)의 용이한 변위 가능성을 보장한다. 각각의 곡률로 인하여 상보적으로 형성된 표면들을 가지는 상기 주행 표면(25, 25')과 상기 주행 롤러들(4, 4')의 연동으로 인해, 상기 날개(2)의 측면 방향의 가이드, 즉 변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가이드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 레일들(3)은 상기 주행 레일(1)에 고정적으로, 특히 각각의 경우에 용접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주행 레일(1)은 상기 기초 레일들(3)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인 상기 슬라이딩 벽 장치는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이 변위 가능한 상기 날개(2)의 외부로 노출된다는 중요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먼지가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 내부로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채널들은 걸려 넘어지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굽 높은 신발에는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종래 기술의 이러한 단점은 상승 및 하강 상태를 가지는 커버 부재(5)가 설치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상승 상태에서, 도 2의 왼쪽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 채널(11)과 같이, 상기 커버 부재(5)는 커버 부재(5)가 가리지 않는다면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 채널(11 또는 12)을 가린다. 상기 날개(2)가 상기 커버 부재(5)를 향하여 변위 할 수 있도록, 도 2의 오른쪽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 채널(12)과 같이,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하강 상태 내로 이동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 채널(12)은 상기 날개(2)에 의하여 가려진다.
상기 주행 레일(1)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상기 실시 예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주요부(31)가 상기 주행 레일(1)의 상기 주요부(15) 상에 직접적으로 정지하고 상기 외부 웹들(32) 및 상기 내부 웹들(33)이 상기 주요부(3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 상기 기초 레일(3)은 상기 주행 레일(1) 내에 역전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1의 기초 레일과는 대조적으로, 도 2의 기초 레일(3)은 개구들(34)을 가지지 않는다. 상기 주행 롤러들(4, 4')은 상기 내부 웹들(33) 및 상기 외부 웹들(32)의 개방된 단부들이 상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이러한 방식은 상기 날개(2)의 상기 주행 표면들(25, 25')이 정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버 부재(5)는 단면이 U-자형인 프로파일 레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 레일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수직 방향에 하향으로 뻗은 주요부(51) 및 두 개의 외부 웹들(52)를 가진다. 상기 주요부(51)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상승 상태에서 바닥면(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채널(11, 12)의 상단을 동시에 가린다. 상기 외부 웹들(52)은 상기 기초 레일(3) 상의 상기 외부 웹들(32)의 상기 외부 표면들 상에서 서로 마주하며 내부 표면들을 지지하고, 이로써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에 대한 횡 방향으로 가이드 된 이동 및 그 반대의 경우도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5)의 아래로 배열된 부분들은 상기 외부 웹들(52)로 인하여 먼저의 투과로부터 더 잘 보호된다.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주행 롤러들(4, 4')이 침투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들(54)은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주요부(51)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주행 롤러들(4, 4') 위로 배열되고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2)의 상기 주행 표면들(25, 25') 아래로 배열된다.
상기 커버 부재(5)의 두 개의 내부 웹들(53)은 상기 커버 부재(5)의 두 개의 상기 외부 웹들(52) 사이에서 상기 주요부(51)에서부터 수직으로 각각 하향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내부 웹들(53)은 상기 외부 웹들(52)만큼 멀리 하향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 웹들(53)은 횡축들(50, 56)로 인하여 상기 커버 부재(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횡축들(50, 56)의 기능들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주요부(51)의 상기 상부면은 약간 상승된 중간 부분을 가지고, 상기 상부면은 롤러들(28)이 롤링하는 것에 사용되며 상기 날개(2)의 변위 동안 상기 프레임(22)의 상기 하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롤러들(28)은 상기 프레임(22)의 상기 하부 채널(26) 내에서 횡축(27)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부착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날개(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종래 기술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다.
두 개의 상기 내부 웹들(33) 사이의 상기 기초 레일(3)의 영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그 스프링들(6)을 가지는 스프링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 예에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 기구는 커버 부재(5)를 상승 상태의 방향으로 누르는 스프링 힘을 상기 커버 부재(5)에 작용한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그 스프링들(6)은 각각 두 개의 상부 레그들(61)을 가지고, 그 단부 영역들은 도 2 및 도 5를 함께 고려 할 때 특히 잘 드러나며 상기 횡축(56) 상에 각각 지지하고 그 둘레로 굽어진다. 상기 레그 스프링들(6)의 두 개의 하부 레그들(62) 각각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주요부(31)의 상기 상부면 상에서 평평하게 정지한다. 상기 레그 스프링(6)의 코일형 부분은 횡축(36)에 의하여 관통되고 횡축(36)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내부 웹들(31)상에서 각각의 단부들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5)는 상승 상태로 이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레그 스프링(6)의 상기 스프링 힘으로 인해 고정된다. 상기 날개(2)가 상기 커버 부재(5)를 향한 방향으로 밀리면,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하강 상태로 상기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눌리고 상기 롤러들(28)을 통하여 이동되는 상기 날개(2)의 중량으로 인해 고정된다. 상기 날개(2)의 변위 동안에 상기 날개(2)와 상기 커버 부재(5) 사이의 상호 마찰은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주요부(51) 상에서 상기 롤러들(28)의 롤링에 의하여 최소화 된다.
또한, 지지 블록들(7)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내부 웹들(33)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지지 블록들(7)의 한쪽 면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부재(5)에 연결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기초 레일(3)에 연결 된다. 상기 커버 부재(5)에의 연결은 각각의 경우에 상기 지지 블록(7)을 관통하는 횡축(37)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 주위에서 상기 지지 블록(7)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블록(7)은 두 개의 상기 횡축(50, 37)을 위한 두 개의 축 구멍을 갖는다.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상기 지지 블록들(7)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횡축(37)으로부터 상기 횡축(50)으로 연장되는 길쭉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주행 레일(1)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지지 블록(7)의 제 1 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상기 축 구멍들의 각각의 영역들에서 둥근 표면으로 합쳐지며, 여기서 이 표면은 상기 횡축(50)의 영역에서 반원으로 대응하는 축 구멍의 주변으로 연장한다. 이 표면은 상기 횡축(37)의 영역에서 약 75°의 각도 범위에 걸쳐 대응하는 상기 축 구멍 주변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블록(7)에 롤링 표면(72)을 형성한다. 상기 롤링 표면(72)은 상기 지지 블록(7) 상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71)의 평평한 표면으로 합쳐진다. 이러한 평평한 표면은 상기 지지 블록(7)에서 접촉 표면(73)을 형성한다. 상기 부착부(71)는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 모양을 가지고 상기 지지 블록(7)의 평평한 제 2 측면에서 그 측면의 선들 중 하나를 따라 한 지점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 블록(7)의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지지 블록(7)의 두 개의 둥근 표면들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에 비교할 때 반대 방향을 향한다.
도 5로부터는 어떻게 상기 커버 부재(5)가 두 개의 지지 블록들(7)에 의해 상기 상승 상태에서 지지되고 사이에 배열된 레그 스프링(6)에 의해 해당 위치에 유지되는지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블록들(7)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주요부(31)의 상부면 상에 접촉 표면(73)과 함께 서있다. 상기 부착부(71) 덕분에 상기 지지 블록들(7)의 전복이 방지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커버 부재(5)의 위치에 여전히 존재 할 수 있는 상기 레그 스프링들(6)의 상기 스프링 힘에 의하여 상기 지지 블록들(7)의 전복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날개(2)의 변위 시,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주행 레일(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수평인 상기 레그 스프링(6)에 의한 상기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상기 주행 레일(1)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상에서 상기 날개(2)의 멈춤으로 인해 눌리고, 상기 가이드 채널(11, 12) 내로 하향 이동한다(도 5 및 도 6). 이 경우 상부 레그(61)는 상기 레그 스프링(6)의 상기 하부 레그들(62)에 접근한다. 동시에, 상기 지지 블록들(7)은 약 90° 넘어가고 여기서 상기 롤링 표면들(72)은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주요부(31) 상에 롤링된다. 상기 커버 부재(5)의 하강은 상기 지지 블록들(7)의 상기 부착부들(71)이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주요부(51)의 하부면 상에서 정지 할 때까지 가능하다.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날개(2)의 중량으로 상기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상기 하강 상태에서 고정된다. 결국,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날개(2)의 하부 가장자리 밑으로 위치하게 되고(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레일(1)의 상기 가이드 채널(11, 12)의 내부로 완전히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 블록들(7)로 인해,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상승 상태 및 그 반대의 경우에 대한 상기 커버 부재(5)의 이동은 가이드 된 평행 변위를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특히 상기 커버 부재(5)는 항상 상기 주행 레일(1) 및/또는 상기 바닥면(B)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지지 블록들(7)은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5)에 높은 부하를 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날개(2)의 변위 동안 연속적으로 일정한 움직임으로 상기 커버 부재(5)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쐐기(29)가 변위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기 날개(2)의 단부의 한 쪽 또는 양 쪽의 하부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롤러(55)는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단부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날개(2)의 변위 동안 상기 쐐기(29)의 기울어진 하부면 상에서 롤링 된다. 상기 쐐기(29)로 인해, 상기 커버 부재(5) 상에 상기 날개(2)에 의해 가해진 상기 중량은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하향 방향의 힘 성분을 갖는다.
상기 날개(2)가 상기 커버 부재(5)의 위로 부분적으로만 위치한다면, 상기 주행 레일(1)의 특정 개구는 상기 날개(2)의 외측에 남아있게 된다.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하강 상태에 있으나, 상기 날개(2)는 상기 커버 부재(5) 위의 모든 영역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하강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주행 레일(1)의 노출 된 개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주행 레일에 배열된 부분들, 특히 상기 레그 스프링들(6), 상기 지지 블록들(7) 및 상기 기초 레일(3) 또한 가리고, 이는 관찰자에게 미적인 효과를 준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11, 12)에 대하여 특정한 커버리지를 준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5)의 하부면 상의 상기 지지 블록들(7)의 상기 부착부들(71)의 정지로 인해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5)에 높은 부하를 거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커버 부재들(5)은 가이드 채널(11, 12)에 제공 될 수 있고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날개(2)의 변위 동안 연속적으로 하향으로 눌린다. 상기 커버 부재(5)가 더 많이 제공될수록, 상기 날개(2)와 상기 상승 상태에 위치한 대응되는 다음의 상기 커버 부재(5) 사이의 영역들은 더 짧아진다. 복수의 변위 가능한 날개들(2)이 단일 가이드 채널(11, 12)에 장착되는 것 또한 문제없이 가능하다.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로의 전환 동안,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지지 블록들(7)의 경사 운동의 결과로 상기 주행 레일(1)의 길이 방향의 연장을 따라서 특정한 거리를 이동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이 경우 특히 연속적으로 배열 된 복수의 상기 커버 부재들(5) 및 상기 외부 웹들(52)은 도 10 및 도 12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들(5)의 단부 영역에 각각 라운딩(58)을 가질 수 있다.
연이어 배열된 커버 부재들(5)의 연속적인 커버리지 및 연동을 위하여, 상기 커버 부재들(5)은 유리하게는 상기 롤러(55)가 부착된 제 1 단부 영역에 중간 침투부(59)를 각각 가지고 반대 단부인 제 2 단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5)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57)를 가지며, 제 2 단부는 인접한 상기 커버 부재(5)의 상기 중간 침투부(59)에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1 및 1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 장치의 제 2 실시 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실시 예와 대조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5)는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외부 웹들(32)에 연장되지 않지만, 오히려 상기 기초 레일(3)의 상기 내부 웹들(33)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다소 간단하지만, 상기 주행 레일(1)의 특정한 커버리지 및 노출 된 상기 가이드 채널(11, 12)의 크기 감소가 또한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 레일(3) 내에 수용 된 상기 스프링 기구 및 상기 지지 블록들(7)은 상기 커버 부재(5)에 의하여 또한 잘 가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 장치의 제 3 실시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커버 부재들(5)이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배열되며 각각 상기 가이드 채널(11 또는 12)내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하나의 두꺼운 상기 지지 블록(7) 대신, 복수의 특히 두 개의 얇은 상기 지지 블록들(7)이 상기 커버 부재들(5)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블록들(7)은 공통의 횡축(50) 및 횡축(37)에 의하여 관통된다. 더욱이, 상기 횡축들(50)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기 커버 부재들(5)을 하나로 고정한다. 상기 주행 레일(1)의 커버리지 및 노출된 상기 가이드 채널(11, 12)의 크기 감소 또한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들(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B 바닥면
1 주행 레일
11 제 1 가이드 채널
12 제 2 가이드 채널
13 측면 웹
14 중간 웹
15 주요부
2 날개
21 유리판
22 프레임
23 상부 채널
24 밀봉 부재
25,25' 주행면
26 하부 채널
27 횡축
28 롤러
29 쐐기
3 기초 레일
31 주요부
32 외측 웹
33 내측 웹
34 개구
35,35' 주행 롤러 축
36 횡축
37 횡축
4, 4' 주행 롤러
5 커버 부재
50 횡축
51 주요부
52 외측 웹
53 내측 웹
54 개구
55 정지 롤러
56 횡축
57 개구
58 라운딩
59 중간 침투부
6 레그 스프링
61 상부 레그
62 하부 레그
7 지지 블록
71 부착부
72 롤링 표면
73 접촉 표면

Claims (20)

  1. 슬라이딩 벽 장치에 있어서,
    하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건물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갖는 주행 레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들 - 이 때,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이 변위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의하여 노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을 가리는, 상승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넘어서 변위 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로 하강되는, 하강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상기 하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위로 돌출하는
    슬라이딩 벽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상태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의 위치는 상기 상승 상태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의 위치와 평행 변위에 의해서만 상이한
    슬라이딩 벽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링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에 상기 상승 상태로 향하는 스프링 힘을 작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레그 스프링을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제 1 복수의 가이드들이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통해 돌출 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슬라이딩 벽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제 1 복수의 가이드들이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통해 돌출 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슬라이딩 벽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 배열되는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이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장착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변위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복수의 가이드들에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벽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수의 가이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주행 롤러들 및/또는 상기 제 2 복수의 가이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주행 롤러들인
    슬라이딩 벽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주행 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주행 레일에 대하여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 및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상승 상태로 가이드 된 평행 변위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 벽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주행 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주행 레일에 대하여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하강 상태 및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상승 상태로 가이드 된 평행 변위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 벽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상에 작용되는 중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
    슬라이딩 벽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상에 작용되는 중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
    슬라이딩 벽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상에 작용되는 중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
    슬라이딩 벽 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이 균일하게 롤링을 할 수 있도록 둥근 롤링 표면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평면인 접촉 표면을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형인 프로파일 레일을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쐐기형 정지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의 상기 상승 상태로부터 상기 하강 상태로 및 상기 하강 상태에서 상기 상승 상태로의 변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움직임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변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벽 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롤러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의 상부에서 롤링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하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벽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롤러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의 상기 하부 가장자리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의 상부에서 롤링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가 하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벽 장치.
  1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은 변위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의 커버리지를 위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커버 부재들을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날개의 제 1 변위 방향을 따라 침투하는 중간 침투부를 가지는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변위 방향과 반대인 제 2 변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 2 단부를 가지고,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슬라이딩 벽 장치.

KR1020197002315A 2016-06-24 2017-06-23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KR102431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6213.3 2016-06-24
EP16176213 2016-06-24
PCT/EP2017/065512 WO2017220770A1 (de) 2016-06-24 2017-06-23 Schiebewandanordnung mit abdeck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71A KR20190046771A (ko) 2019-05-07
KR102431616B1 true KR102431616B1 (ko) 2022-08-10

Family

ID=5623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315A KR102431616B1 (ko) 2016-06-24 2017-06-23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78703B2 (ko)
EP (2) EP3527763B1 (ko)
KR (1) KR102431616B1 (ko)
CN (1) CN109804128B (ko)
CA (1) CA3028834A1 (ko)
DE (2) DE112017003123A5 (ko)
PL (2) PL3527763T3 (ko)
RU (1) RU2723796C1 (ko)
WO (1) WO2017220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9233B (el) * 2017-01-13 2018-02-22 ORAMA MINIMAL FRAMES EΤΑΙΡΕΙΑ ΠΕΡΙΟΡΙΣΜΕΝΗΣ ΕΥΘΥΝΗΣ με δτ ORAMA MINIMAL FRAMES E.Π.Ε Ημι-αορατος συνδυασμος θερμομονωτικων διατομων για ανεμποδιστη διελευση του κατω μερους συρομενου πορτοπαραθυρου
CH713489A1 (de) * 2017-02-27 2018-08-31 Guhl Beat Bodenführung.
CH715705B1 (de) 2018-12-18 2023-03-15 swissFineLine AG Schiebeflügelanordnung mit einer beweglichen Führungsschiene in einer unteren Führung.
EP3859117A1 (de) * 2020-01-29 2021-08-04 Christian Michels Schiebefenstervorrichtung
DE102021108737A1 (de) 2021-04-08 2022-10-13 SCHÜCO International KG Schiebewandanordnung mit Abdeck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487Y1 (ko) * 2000-07-29 2001-03-15 주식회사엘지화학 하부레일 미돌출형 미세기 문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13915A (en) * 1909-06-14 1910-05-12 Frederick William Blood Self-closing Tracks for Folding Partitions.
GB191313915A (en) 1913-06-16 1914-06-16 Albert Gottschal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 Pressure Apparatu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Doors, Gates or the like.
GB457874A (en) * 1935-03-06 1936-12-07 Ernest Edward Rouse Improvements in guide rails for rollers, wheels and the like
US2078811A (en) * 1935-03-06 1937-04-27 Silent Gliding Doors Ltd Guide rail for rollers, wheels, and the like
DE2844877A1 (de) 1978-10-14 1980-04-30 Schwarze Ag Metalltueren Schiebetor mit einer unteren fuehrungsschiene
US5203116A (en) * 1992-05-07 1993-04-20 Hong Jen Chen Rail assembly for sliding door
RU2100269C1 (ru) * 1996-09-27 1997-12-27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Лифтмонтаж" в виде товарищества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кабины лифта
JP2001311362A (ja) 2000-04-28 2001-11-09 Fuji Heavy Ind Ltd 段差解消装置
CN2529981Y (zh) * 2002-03-13 2003-01-08 广州市广南科盈科技有限公司 单槽轨推拉窗门
JP4338496B2 (ja) 2003-10-28 2009-10-0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引戸構造物の下枠の開口部における蓋体構造
NZ540065A (en) * 2005-05-13 2007-11-30 Hpj Holdings Ltd Window joinery assembly
US20130212948A1 (en) * 2007-04-20 2013-08-22 Opcon International Holdings, L.P. Operating assembly for use with automatic sliding and folding doors
ATE494446T1 (de) * 2008-02-22 2011-01-15 Orchidees Const Sa Vorrichtung zur führung von schiebeglasfenster oder -tür
KR20090112776A (ko) * 2008-04-25 2009-10-29 이상만 미닫이문의 레일 커버 및 그 장착구조
DE102008039415B4 (de) * 2008-08-13 2014-05-15 Astec Gmbh Design Beschlaege Schiebebeschlag
US8074699B2 (en) * 2008-09-12 2011-12-13 La Cantina Doors, Inc. Zero step sill extruded flush threshold door seal system
NZ575249A (en) * 2009-03-02 2011-06-30 Open Building Solutions Ltd Re-closable dust cover for track of support carriage of sliding door or window, with carriage constructed as a sliding fastener of cover
KR101211877B1 (ko) * 2009-07-10 2012-12-13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WO2012156468A1 (de) 2011-05-17 2012-11-22 Sapa Building System Nv Schiebewand mit wenigstens einem flügel
ITTV20110070A1 (it) * 2011-05-23 2012-11-24 Bortoluzzi Lab S R L Dispositivo per ante scorrevoli a chiusura complanare, particolarmente per mobili e simili
US9080375B2 (en) * 2011-08-17 2015-07-14 Robert FLEETING Storm water entry prevention apparatus for sliding door system
US20150033633A1 (en) 2013-07-31 2015-02-05 Klein Iberica, S.A. Device for covering the lower guided channel of a door
FR3010123B1 (fr) * 2013-08-27 2016-03-11 Sogal Fabrication Ets Systeme pour faire coulisser une porte
WO2015150991A1 (en) 2014-04-03 2015-10-08 Tecno S.P.A. Sliding door assembly of a modular partition wall
US10494847B1 (en) * 2017-10-10 2019-12-03 Steven Phillip Extendable track cover for a sliding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487Y1 (ko) * 2000-07-29 2001-03-15 주식회사엘지화학 하부레일 미돌출형 미세기 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8834A1 (en) 2017-12-28
EP3380692B1 (de) 2022-12-14
KR20190046771A (ko) 2019-05-07
CN109804128A (zh) 2019-05-24
CN109804128B (zh) 2021-02-09
PL3380692T3 (pl) 2023-04-17
EP3527763B1 (de) 2023-09-27
RU2723796C1 (ru) 2020-06-17
US11078703B2 (en) 2021-08-03
US20190162003A1 (en) 2019-05-30
EP3380692A1 (de) 2018-10-03
EP3527763A1 (de) 2019-08-21
DE202017007036U1 (de) 2019-03-27
DE112017003123A5 (de) 2019-03-14
PL3527763T3 (pl) 2024-04-22
WO2017220770A1 (de)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616B1 (ko)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DK2770890T3 (en) Sliding Panel Event
US8806808B2 (en) Sliding window or sliding glass door
US10047552B2 (en) Mov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of sliding window system having aluminum alloy sash structure
EP2996920B1 (en) Platform screen gate system
EP2361339B1 (en) Frame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KR20160033690A (ko)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KR20070084570A (ko) 슬라이딩 도어용 서스펜션 장치 및 주행 캐리지
US20170130499A1 (en) Slide and swing leaf/sash system
EP1741861A1 (en) Derailment- and uncoupling-prevention safety system comprising corresponding guides for sliding doors and similar
US20180147917A1 (en) Side mounted sliding window
KR20120069168A (ko) 창호의 창짝 밀폐장치
CN114008290A (zh) 具有滑动扇的滑动门
CN107548377B (zh) 电梯楼层门门扇
CN106470933A (zh) 电梯的出入口装置
KR102413978B1 (ko) 창호용 개폐 시스템
KR101197455B1 (ko) 창문시스템
JP43177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2017419B1 (en) Upward diagonal movement guiding mechanism for liftable sliding windows and doors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0587491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JP5619097B2 (ja) 装飾板付き引き戸
EP2372060B1 (de) Brandschutz-Schiebetüre
KR101651746B1 (ko) 창호의 중간 프레임 처짐 방지 장치
JP4334405B2 (ja) スライド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