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517B1 -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517B1
KR102430517B1 KR1020197024684A KR20197024684A KR102430517B1 KR 102430517 B1 KR102430517 B1 KR 102430517B1 KR 1020197024684 A KR1020197024684 A KR 1020197024684A KR 20197024684 A KR20197024684 A KR 20197024684A KR 102430517 B1 KR102430517 B1 KR 10243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um
concrete composition
admix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211A (ko
Inventor
츠토무 야마카와
신지 타마키
미키 야마자키
카즈히사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신-에쮸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쮸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쮸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6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21Ash cements, e.g. fly ash cements ; Cements based on incineration residues, e.g. alkali-activated slags from waste incineration ; Kiln dust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04B40/0042Powdery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068Mortar or concrete mixtures with an unusual water/cement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146Sprayable or pumpable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146Sprayable or pumpable mixtures
    • C04B2111/00155Sprayable, i.e. concrete-like, materials able to be shaped by spraying instead of by casting, e.g. gunite
    • C04B2111/00172Sprayable, i.e. concrete-like, materials able to be shaped by spraying instead of by casting, e.g. gunite by the wet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및 혼화제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물/결합재 비가 30∼70질량%이며, 또 슬럼프 플로우값이 35∼75cm이며, 또한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해서, 하기 A성분, 하기 B성분, 하기 C성분 및 하기 D성분의 4성분과 물을 사용하고, 또한 하기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2∼0.8인 일액형 혼화제를 0.5∼3.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 하였다.
A성분: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이들 염과,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이며 분자 중에 1∼300개의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또는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B성분: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C성분:검류.
D성분:소포제.

Description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그 재료 분리 저항성을 개선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와 같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업성 향상이나 생력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중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슬럼프 플로우 값이 35∼50㎝ 정도) 및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슬럼프 플로우 값이 50㎝ 정도∼)와 같은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사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서 터널 복공 공사를 들 수 있으며, 작업성이 나쁜 협소 공간에서의 타설에 있어서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충전성에서부터 작업성의 향상이나 체고(締固)성의 생력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 등의 재료 분리가 발생하기 쉽다. 재료의 분리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펌프 압송성 저하와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재료 분리를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조성물에 석회석 미분말과 같은 미세 분말을 가하거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분말 형태의 셀룰로오스에테르나 디우탄검, 웰란검 같은 검류를 증점제로 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및 3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3과 같은 종래 수단에는 저장 사일로나 계량 작업 등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상기와 같은 재료 분리를 개선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멘트에 기인하는 강알칼리 환경하에서도 증점할 수 있는 드문 수용성 고분자인 셀룰로오스에테르를 감수제 등과 일액화한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및 5 참조). 그러나 일액형 혼화제에서는 증점 성분이나 감수 성분 등의 유효 성분의 안정성이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상 및 물성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바, 특허 문헌 4와 같은 감수제와의 조합에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염석(鹽析)하기 쉽고, 단기간에 일액형 혼화제의 안정성을 잃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와 같이 특정 검류에 의해 액점성을 증가시켜서 셀룰로오스에테르를 액 중에 안정화시키는 종래 수단에는 일액형 혼화제의 안정성은 향상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모든 감수제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경우도 있고, 고형분 농도가 낮은 감수 성분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고형분 농도가 낮은 감수 성분을 선택하면 일액형 혼화제의 감수 성능이 저하되고, 특히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첨가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제조 공장에서 계량기로 한 번에 계량 할 수 없게 되는 등,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허 문헌 1 JP10-29849A 특허 문헌 2 JP4-139047A 특허 문헌 3 JP 2011-509908A 특허 문헌 4 JP 2008-137889A 특허 문헌 5 JP 2016-56081A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1) 유동성이 높은 것, 2) 골재 등 재료의 분리가 적은 것, 3) 감수성분의 고형분 농도가 상응하게 높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한 것, 이상 1)∼3)을 동시에 충족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혼화제로서 특정 A성분, 특정 B성분, 특정 C성분 및 특정 D성분을 조합한 특정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대로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및 혼화제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물/결합재 비가 30∼70질량%이며, 또한 슬럼프 플로우 값이 35∼75㎝이며, 또한 하기의 일액형 혼화제를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0.5∼3.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액형 혼화제: 하기 A성분, 하기 B성분, 하기 C성분 및 하기 D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하기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2∼0.8인 일액형 혼화제.
A성분: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이들의 염과,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로서 분자 중에 1∼300개의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B성분 :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C성분 : 검류.
 D성분 : 소포제.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은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및 일액형 혼화제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물/결합재 비가 30∼70질량%이며, 또한 슬럼프 플로우 값이 35∼75㎝인 것이다.
 물/결합재 비가 30질량% 미만인 경우나 슬럼프 플로우 값이 35㎝보다 작은 경우는 그와 같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과잉의 점성을 부여하여 시공성의 악화를 초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물/결합재 비가 70질량%보다 큰 경우나 슬럼프 플로우 값이 75㎝보다 큰 경우는 그와 같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충분한 재료 분리 저항성을 부여할 수 없으며, 원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원하는대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여, 콘크리트 경화체를 얻기 위해서는 물/결합재 비를 30∼70질량%로 하고, 또한 슬럼프 플로우 값을 35∼75㎝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물/결합재 비를 40∼65질량%로 하고, 또한 슬럼프 플로우 값을 45∼70㎝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결합재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早强)포틀랜드, 초조강포틀랜드,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등의 각종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高爐)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등의 각종 혼합 시멘트, 플라이 애쉬, 고로 슬래그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석분, 실리카폼, 팽창제 등을 들 수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 세골재로는 천사(川砂), 산사(山砂), 육사(陸砂), 규사, 쇄사(crushed sand), 고로 슬래그 세골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골재로는 천사리(川砂利), 산사리(山砂利), 육사리(陸砂利), 쇄석, 고로 슬래그 조골재 등을 들 수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일액형 혼화제는 특정 A성분, 특정 B성분, 특정 C성분 및 특정 D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A성분의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이들의 염과,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로서 분자 중에 1∼300개의 탄소수 2 내지 4의 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 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또는 이의 염으로 구성된 것이다.
일액형 혼화제 중 A성분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5∼5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40질량%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성분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일액형 혼화제의 감수 성능이 저하되고, 특히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첨가량이 증가하여 콘크리트 제조 공장의 계량기로 한 번에 계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운송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반대로 A성분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셀룰로오스에테르가 염석하기 쉬워진다.
또한, 일액형 혼화제는 A성분의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에서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2∼0.8의 것으로 하나, 바람직하게는 0.05∼0.5 미만의 것으로 한다.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구조 중의 카르복실기를 결합재에의 흡착점으로서 감수성을 발현하기 위해 이온성 물질이 필수가 된다. 한편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는 이온성 물질의 농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용해할 수 없으며 석출되는 현상 (염석)이 일어나 안정화 없이 침강해버린다. 이 때문에 감수성에 기여하지 않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감수제의 이온 강도를 작게 하는 것이, 일액형 혼화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감수성에 기여하지 않는 이온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중합 개시제나 중화에 사용하는 알칼리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온 강도는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것으로, 감수제 중의 모든 이온종에 대해 각 각의 이온의 일액형 혼화제 중에 있어서의 질량 몰 농도 m i 와 전하 z i 제곱의 곱을 가산하고, 다시 1/2을 곱하여 산출되는 것이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1
수학식 1에서
I : 이온 강도
m i : 질량 몰 농도 (mol· kg-1)
z i : 전하
A성분의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형성하게 되는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이들의 염으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일액형 혼화제 중에서의 안정화의 관점에서 염이 아니라 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의 염으로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디에탄올아민염이나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 및/또는 이들의 염과 공중합 가능한 분자 중에 1∼300개의 탄소수 2 내지 4의 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α-알릴-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알릴-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알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알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릴-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릴-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릴-ω-아세틸-(폴리)옥시에틸렌, 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3-메틸-3-부테닐)-ω-부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3-메틸-3-부테닐)-ω-아세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아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아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프로필렌, α-아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아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아크릴로일-ω-부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부톡시-(폴리)옥시에틸렌, α-메타크릴로일-ω-아세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폴리아민(폴리)옥시에틸렌, 폴리아마이드폴리아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α-비닐-ω-히드록시(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A성분의 폴리 카르복실산계 감수제로서 사용하는 공중합체 및/또는 그 염은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여기에는 용매에 물을 사용한 라디칼 중합, 용매에 유기 용매를 사용한 라디칼 중합, 무용매의 라디칼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수소,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등의 과산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과 같이 중합 반응 온도하에서 분해하고 라디칼 발생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온 강도의 관점에서 과산화수소 등과 같이 분해 후에도 이온성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촉진제로서 아황산 수소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아스 코르빈산 등의 환원제나 에틸렌디아민, 글리신 등의 아민 화합물을 병용할 수 있다. 얻어지는 수용성 비닐 중합체 및/또는 그 염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원하는 범위로 하기 위해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A성분의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2000∼500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로 한다.
A성분의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으로 할 수 있지만, 그 공중합 비율은 2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의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로서는 비이온성이며, 수경성 조성물의 재료 분리 억제, 블리딩 저감에 의한 내구성의 향상, 강도 및 품질의 편차 저감이 가능한 관점에서, 메틸,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알킬 셀룰로오스로서는 DS가 바람직하게는 1.0∼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의 메틸셀룰로오스, DS가 바람직하게는 1.0∼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의 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있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로서는 MS가 바람직하게는 0.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8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MS가 바람직하게는 0.05∼3.3,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오스로서는 DS가 바람직하게는 1.0∼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 MS가 바람직하게는 0.05∼0.6,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5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DS가 바람직하게는 1.0∼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 MS가 바람직하게는 0.05∼0.6,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5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DS가 바람직하게는 1.0∼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 MS가 바람직하게는 0.05∼0.6,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5의 히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또한, DS는 치환도 (degree of substitution)이며, 셀룰로오스의 글루코오스환 단위당 존재하는 알콕실기의 개수이며, MS는 치환몰수 (molar substitution)를 나타내며, 셀룰로오스의 글루코오스환 단위당 부가한 히드록시알콕실기의 평균 몰수이다.
DS나 MS는 제17 개정 일본 약국방 기재의 히프로메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치환도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B성분의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20℃에 있어서의 2질량% 또는 1질량%의 수용액 점도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정의 점성을 주는 관점에서 B-H형 점도계의 20rpm에서 바람직하게는 30(2질량%)∼30000(1질량%)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80(2질량%)∼25000(1질량%)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2질량%)∼20000(1질량%)mPa·s의 것으로 한다. 또한,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점도는 2질량% 수용액으로 50000mPa·s를 넘는 경우는 1질량% 수용액에 의해 측정했다.
일액형 혼화제 중에 있어서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로 한다.
C성분의 검류는 일액형 혼화제 중의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안정화에 효과적이다.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이와 같은 검류로는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 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B성분의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온성 물질의 농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가 용해할 수 없게 되며, 석출되는 현상 (염석)이 일어나 안정화되지 않고 침강해 버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액형 혼화제에서는 이온 강도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침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나, 스토크스의 정리에 의해 분산매인 용액의 점도를 올림으로써 더욱 뛰어난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각종 수용성 고분자를 검토한 결과, 검류 중에서도,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된 검류에 그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제는 제조 후에서부터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될 때까지의 부정기 동안 정치하여 보관된다. 상기의 염석한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를 포함한 일액형 혼화제에서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하부에 침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하여도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고,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상, 물성이 불안정적인 것이 된다. 한편, 이온 강도를 적절히 제어하여 검류를 첨가한 일액형 혼화제에서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염석을 일으키지 않는 균일한 수용액이며, 항상 안정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
 디우탄 검은 D-글루코오스, D-글루크론산, D-글루코오스와 L-람노오스 및 2개의 L-람노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KELCO-CRETE DG-F (CP Kelco사의 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웰란검은 D-글루코오스, D-글루크론산, L-람노오스가 2 : 2 : 1의 비율로 결합한 주쇄에 L-람노오스 또는 L-만노오스 측쇄가 결합한 구조이며,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CP KELCO KIA-96 (CP Kelco 사의 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크산탄검은 셀룰로오스와 같이 주쇄가 D-글루코오스의 β-1,4 결합이며, 측쇄가 만노오스 2개와 글루크론산으로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KELZAN (산쇼사 제조의 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젤란검은 D-글루코오스, D-글루크론산, L-람노오스가 2 : 1 : 1의 비율로 결합한 4개의 당을 반복 단위로 하는 헤테로 다당류이며,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KELCOGEL AFT (CP Kelco사 제조의 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일액형 혼화제 중의 검류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디우탄 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 더욱 바람직 0.02∼0.8질량%로 한다. 웰란검, 크산탄검과 젤란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3질량%로 한다.
D성분의 소포제로는 일액형 혼화제 중에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안정화라는 점에서 옥시알킬렌계, 실리콘계, 알코올계, 광유계, 지방산계, 지방산 에스테르계 등이 사용된다.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류, 디에틸렌글리콜헵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2-에틸헥실에테르, 탄소 원자 수 8 이상의 고급 알코올이나 탄소수 12∼14의 2급 알코올로의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프로필렌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류,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2,5-디메틸-3-헥신-2,5-디올, 3-메틸-1-부틴-3-올 등의 아세틸렌 알코올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 중합시킨 아세틸렌 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올레인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라우릴산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인산 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 에틸렌도데실페놀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인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류, 폴리옥시알킬렌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 실리콘유, 실리콘 페이스트, 실리콘 에멀젼, 유기 변성 폴리실록산, 플루오르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계 소포제로서는 옥틸 알코올, 2-에틸헥실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아세틸렌알코올, 글리콜류 등을 들 수 있다.
광유계 소포제로는 등유,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이들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글리세린모노리시노레이트, 알케닐호박산 유도체, 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톨트리오레에이트, 천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D성분의 소포제로서는 일액형 감수제의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광유계 소포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소포제가 바람직하다.
일액형 혼화제 중에 있어서의 소포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질량%로 한다. 이러한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억포(抑泡)나 파포에 필요한 소포제의 첨가량 (통상적으로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에 대하여 5∼10질량%) 이상을 첨가함으로써 염석에 의한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침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소포제 중 어떤 성분 (계면 활성제)이 염석하고 있는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표면에 흡착하여 안정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은 이상 설명한 일액형 혼화제를 결합재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3.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진 AE 조절제,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로 구성된 소포제 예를 들면, 옥시카르복실산염으로 이루어진 응결 지연제, 예를 들면, 아민류로 이루어진 경화 촉진제, 예를 들면, 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방부제, 예를 들면, 고급 지방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방수제, 예를 들어 아질산염으로 이루어진 방청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및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하고,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액형 혼화제로서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2∼0.5 미만인 때에는 C성분으로 분말 형태의 검류 및/또는 그 수용액을 첨가하여 조제한 액형 혼화제를 사용하고, 또는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5∼0.8일 때에는 C성분으로서 검류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조제한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정 방법이다.
 C성분의 검류는 분말 또는 수용액 중의 형태로 첨가할 수도 있지만, 수용액으로서 첨가함으로써, 일액형 혼화제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따라서 웰란검, 크산탄 검 및 젤란검은 수용액에서의 첨가가 바람직하지만, 생산 효율을 고려하면 A성분의 이온 강도가 0.02∼0.5 미만일 때에는 분말 형태의 검류 및/또는 그 수용액을 가하여 일액형 혼화제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A성분의 이온 강도가 0.5∼0.8일 때에는 검류의 수용액을 가하여 일액형 혼화제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유동성이 높은 것, 2) 골재 등 재료의 분리가 적은 것, 3) 감수성분의 고형분 농도가 상응하게 높고 또한, 안정성도 높은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한 것, 이상 1)∼3)을 동시에 충족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질량 %를 의미한다.
[실시예]
시험 구분 1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로서의 A성분의 합성)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a-4)의 합성
물 1400g, 메톡시폴리 (45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1100g, 메타 크릴산 104g, 연쇄 이동제로서 티오글리세롤 24g 및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g을 반응 용기에 넣고, 반응 용기 내의 분위기를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온했다.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욕에서 60℃로 유지하고, 과산화수소 0.025% 수용액 240g을 투입하여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했다. 2시간 경과 후 다시 과산화수소의 0.025% 수용액 60g을 투입하여 라디칼 중합 반응을 6시간 계속해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에 물 3182g 및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21g을 넣고 A성분 (a-4)의 20% 수용액을 얻었다. 이 A성분 (a-4)를 분석한 결과, 질량 평균 분자량 41400 (GPC 법, 플루란환산)이었다.
A성분 (a-6) (a-8) 및 (a-9)의 합성
A성분 (a-4)과 동일하게 하여 표 1에 기재된 A성분 (a-6), (a-8) 및 (a-9)를 합성하고, (a-6) (a-8) 및 (a-9)의 수용액을 얻었다.
· A성분 (a-7)의 합성
α-알릴-ω-메톡시-폴리(100몰) 에틸렌글리콜폴리(3몰)프로필렌글리콜 및 무수말레산을 반응 용기에 넣고, 반응 용기 내의 분위기를 질소 치환한 후 서서히 가온하여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욕에서 80℃로 유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투입하여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했다. 2시간 경과 후 다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투입하여 라디칼 중합 반응을 2시간 계속해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에 물 및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A성분 (a-7)의 수용액을 얻었다. 이 A성분 (a-7)를 분석한 결과, 질량 평균 분자량 69200 (GPC 법, 플루란 환산)이었다.
 · A성분 (a-10)의 합성
 물, 3-메틸-3-부텐-1 올· 폴리(80몰)에틸렌글리콜 부가물을 반응 용기에 넣고, 반응 용기 내의 분위기를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온했다.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욕에서 70℃로 유지하고 온도를 안정시켰다. 그 후, 아크릴산을 3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동시에, 티오글리콜산, L-아스코르빈산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 및 5% 과산화수소수를 각각 3시간에 걸쳐 적하하여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했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경과 후 얻어진 공중합체에 물 및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A성분 (a-10)의 수용액을 얻었다. 이 A성분 (a-10)를 분석한 결과, 질량 평균 분자량 71300 (GPC 법, 플루란환산)이었다.
· A성분 (ar-1) 및 (ar-2)의 합성
A성분 (a-4)과 동일하게 하여 표 1에 기재된 A성분 (ar-1) 및 (ar-2) 수용액을 얻었다.
이상에서 합성한 A성분 (a-1)∼(a-10) 및 (ar-1)∼(ar-3)의 내용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또한, A성분 (a-1)∼(a-3) 및 (a-5)의 수용액은 A성분 (a-6)의 수용액을, 또한 A성분 (ar-3)의 수용액은 A성분 (ar-2)의 수용액을 물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2
표 1에서
a-1~a-3 및 a-5의 수용액 : a-6의 수용액을 물로 희석했다.
ar-3의 수용액 : ar-2의 수용액을 물로 희석했다.
질량 평균 분자량 : GPC법, 플루란 환산
시험 구분 2 (기타 사용 재료)
사용한 B성분 :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내용을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사용한 C성분 : 검류의 내용을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사용한 D성분 : 소포제는 SN 디포머 14-HP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산놉코사의 상품명), 약호 : d-1을 사용했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3
 표 2에서
 점도 (mPa·s) : 20℃에 있어서의 2질량% 수용액의 점도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4
표 3에서
c-1 : KELZAN (산쇼사 제조의 상품명)
c-2 : CP KelcoK1A-96 (CP Kelco사의 상품명)
c-3 : KELCO-CRETE DG-F (CP Kelco사의 상품명)
c-4 : KELCOGEL AFT (CP Kelco 사의 상품명 )
시험 구분 3 (일액형 혼화제의 조제)
(C성분을 분말로 사용하는 경우)
· 일액형 혼화제 (e-1)의 제조
표 1∼표 3의 A성분, B성분 및 C 성분, 상기 D성분 및 물을 표 5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여 호모 믹서 (HM-310, AS ONE사 제조)를 사용하여 5000rpm에서 1 분간 혼합하고, 일액형 혼화제 ( e-1)를 제조하였다.
· 일액형 혼화제 (e-2)∼(e-7), (e-9) 및 (e-11)의 제조
일액형 혼화제 (e-1)와 동일하게 하여 일액형 혼화제 (e-2)∼(e-7), (e-9) 및 (e-11)를 제조하였다.
· 일액형 혼화제 (er-1)∼(er-3), (er-5) 및 (er-6)의 제조
일액형 혼화제 (e-1)과 동일하게 하여 일액형 혼화제 (er-1)∼(er-3), (er-5) 및 (er-6)를 제조하였다.
(C 성분을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 일액형 혼화제 (e-8)의 제조
물과 C성분을 배합하여, 호모 믹서 (HM-310, AS ONE사 제조)를 사용하여 5000rpm에서 1분간 혼합하고, C성분의 2% 수용액을 제조 하였다. 그 후, 일액형 혼화제(e-1)와 동일하게 하여 일액형 혼화제 (e-8)을 제조하였다.
· 일액형 혼화제 (e-10) 및 (e-12)의 제조
일액형 혼화제 (e-8)과 동일하게 하여 일액형 혼화제 (e-10) 및 (e-12)를 제조 하였다.
· 일액형 혼화제 (er-4) 및 (er-7)의 제조
일액형 혼화제 (e-4)와 동일하게 하여 일액형 혼화제 (er-4) 및 (er-7)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조제한 일액형 혼화제 (e-1)∼(e-12) 및 (er-1)∼(er-7)의 내용을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시험 구분 4 (이온 강도의 계산)
시험 구분 3에서 조제한 각 일액형 혼화제에서의 A성분 (a-4)에서 유래하는 이온 강도를 상기한 숫자 1에 의해 계산한 바, 0. 206였다. 계산 과정 등을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5
A성분 (a-4)에서 유래 이온 강도와 동일하게 하여, A성분 (a-1)∼(a-3), (a-5)∼(a-10) 및 (ar-1)∼(ar-3)에서 유래하는 이온 강도를 계산했다. 각 일액형 혼화제에서의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의 계산 결과를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6
표 5에서
*1 : 알킬아릴설폰산염 고축합물 (타케모토유지사 제조의 콘크리트용 고성능 감수제, 상품명 폴 파인 510AN)
*2 : 함질소형 설폰산염 (타케모토유지사 제조의 콘크리트용 고성능 감수제, 상품명 폴 파인 MF)
시험 구분 5 (일액형 혼화제의 안정성 시험)
시험 구분 3에서 제조한 일액형 혼화제를 활전(活栓) 부착의 메스 실린더에 100ml 채취한 후, 20℃ 및 40℃의 환경에서 방치하여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침강 체적을 측정했다. 침강 체적의 평가는 염석이 없이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100%로 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메스 실린더 상부에 투명부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투명부분과 분산된 부분의 경계선의 메스 실린더의 눈금을 읽어내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예를 들어, 7일 후 투명부분과 분산된 부분의 경계선의 메스 실린더의 눈금이 90ml인 경우 침강 체적은 90%가 된다. 측정 결과를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7
시험 구분 6 (일액형 혼화제의 안정성 평가)
표 6의 측정 결과에 따라 각 예의 일액형 혼화제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결과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안정성 평가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28일 정치한 후 침강 체적(%)이 95∼100%
○ : 28일 정치한 후 침강 체적(%)이 80 이상∼95% 미만
× : 28일 정치한 후 침강 체적(%)이 80% 미만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8
시험 구분 7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제)
· 실시 예 1∼19 및 비교 예 1∼8
용량 60리터의 강제 이축 믹서를 사용하여 표 8 및 표 9에 기재 내용으로 90 초간 혼합하고, 표 9에 기재한 각 예제의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일액형 혼화제는 시험 28일 전에 사용량의 10 배량 조제하여 20℃에서 정치하고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단 70% 이상의 상청을 사용했다. 또한 각 예의 콘크리트 조성물, AE제 (타케모토유지사 제조의 상품명 AE-300) 및 소포제 (타케모토 유지사 제조의 상품명 AFK-2)를 사용하여 목표 공기량을 4.5±1.0%로 하고, 또한 목표 슬럼프 플로우 값을 60±5㎝로 하였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09
표 8에서
세골재 : 오오이가와 수계산 육사(겉 건밀도 2.57g/㎤)
조골재: 오카자키산 쇄석 (겉 건밀도 2.66g/㎤)
시험 구분 8 (조제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 시험)
조제한 각 예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혼합 직후의 슬럼프 플로우 값, 공기량, 블리딩율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여, 결과를 표 9에 정리해 나타냈다.
· 슬럼프 플로우(㎝) : 혼합 직후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JIS-A1150에 따라 측정했다.
· 공기량(용적%) : 혼합 직후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JIS-A1128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 블리딩율(%) : 혼합 직후 콘크리트 조성물을 채취하여 JIS-A1123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Figure 112019086479895-pct00010
표 9에서
배합 No. : 표 8에 기재된 배합 No.
f-1 :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f-2 : 고로 시멘트 B종
혼화제 : 표 5에 기재된 혼화제
*3 : 일액형 혼화제 (er-1)에 대해 보관 용기하에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첨가량 :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한 일액형 혼화제의 비율 (질량부)
비교예 4 : 일액형 혼화제를 5.0% 첨가하여도 목표의 유동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구분 9 (일액형 혼화제의 분산 성능의 평가)
표 9의 측정 결과에 따라, 일액형 혼화제의 분산 성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 일액형 혼화제의 분산 성능의 평가
혼합 직후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목표 슬럼프 플로우 값을 얻기 위한 일액형 혼화제의 첨가 비율에 따라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일액형 혼화제의 첨가 비율이 2.00질량부 미만
○ :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일액형 혼화제의 첨가 비율이 2.00질량부∼3.00 질량부
× :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일액형 혼화제의 첨가 비율이 3.00질량부 초과
 시험 구분 10 (조제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 평가)
 표 9의 측정 결과에 따라, 각 예의 콘크리트 조성물의 재료 분리 저항성을 블리딩율 및 재료의 일체감을 지표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 블리딩율 평가
(물 결합재 비 40%)
○ : 블리딩율이 4.0% 이하
× : 블리딩율이 4.0% 초과
(물 결합재 비 50 %)
○ : 블리딩율이 6.0% 이하
× : 블리딩율이 6.0% 초과 
(물 결합재 비 60%)
○ : 블리딩율이 8.0% 이하
× : 블리딩율이 8.0% 초과
콘크리트 조성물의 재료의 일체감 평가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육안으로 재료의 일체감을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매우 양호 (골재와 모르타르 페이스트의 분리없음)
○ : 양호 (약간 골재와 모르타르 페이스트가 분리)
× : 나쁨 (분명히 골재와 모르타르 페이스트가 분리)
Figure 112019086479895-pct00011
표 6, 표 7, 표 9 및 표 10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유동성이 높은 것, 2) 골재 등 재료의 분리가 적은 것, 3) 감수성분의 고형분 농도가 상응하게 높고 또한, 안정성도 높은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한 것, 이상 1)∼3)을 동시에 충족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및 혼화제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물/결합재 비가 30∼70질량%이며, 또한 슬럼프 플로우 값이 35∼75㎝이며, 또한 하기의 일액형 혼화제를 결합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0.5∼3.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일액형 혼화제 : 하기의 A성분, 하기의 B성분, 하기의 C성분 및 하기의 D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하기의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2∼0.8인 일액형 혼화제.
    A성분 :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단량체,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량체, 이들의 염 중 일 이상,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로서 분자 중에 1∼300개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그 염 중 일 이상으로 이루어진 폴리카르복실산계 감수제.
    B성분 :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C성분 : 검류.
    D성분 : 소포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액형 혼화제가 A성분을 15∼5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콘크리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액형 혼화제가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5∼0.5 미만인 경우의 것인 콘크리트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액형 혼화제가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5∼0.5 미만인 경우의 것인 콘크리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B성분이 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B성분이 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7. 청구항 3에 있어서,
    B성분이 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8. 청구항 4에 있어서,
    B성분이 알킬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0. 청구항 2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1. 청구항 3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2. 청구항 4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3. 청구항 5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4. 청구항 6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5. 청구항 7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6. 청구항 8에 있어서,
    C성분이 디우탄검, 웰란검, 크산탄검 및 젤란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콘크리트 조성물.
  17.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및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하며,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액형 혼화제로서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02∼0.5 미만인 때에는 C성분으로 분말 형태 검류 및 그 수용액 중 일 이상을 첨가하여 조제한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하며, 또한 A성분에 유래하는 이온 강도가 0.5∼0.8일 때에는 C성분으로서 검류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조제한 일액형 혼화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7024684A 2017-02-22 2017-11-08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0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1267 2017-02-22
JP2017031267A JP6383446B2 (ja) 2017-02-22 2017-02-22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PCT/JP2017/040217 WO2018154863A1 (ja) 2017-02-22 2017-11-08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211A KR20190122211A (ko) 2019-10-29
KR102430517B1 true KR102430517B1 (ko) 2022-08-10

Family

ID=6325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84A KR102430517B1 (ko) 2017-02-22 2017-11-08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75683A1 (ko)
EP (1) EP3587375A4 (ko)
JP (1) JP6383446B2 (ko)
KR (1) KR102430517B1 (ko)
CN (1) CN110312690B (ko)
TW (1) TWI787220B (ko)
WO (1) WO2018154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5681B2 (ja) * 2019-05-28 2023-01-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組成物用混和剤及び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7300651B2 (ja) * 2020-02-20 2023-06-30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組成物の製造方法
CN111807785B (zh) * 2020-07-17 2022-02-15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大体积自密实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3248381B (zh) * 2021-07-02 2023-01-06 北京金隅节能科技有限公司 改性脂肪酸、聚羧酸减水剂及该聚羧酸减水剂的制备方法
CN113603388B (zh) * 2021-08-23 2022-09-16 广西御龙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增强密实及温度调节型抗裂剂及其制备方法
CN115259760A (zh) * 2022-08-09 2022-11-01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抗硫酸盐侵蚀的高耐久混凝土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889A (ja) * 2001-09-14 2008-06-19 Basf Pozzolith Ltd セメント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6373B2 (ja) 1990-09-28 1998-11-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充填性、流動性コンクリート
JPH0920540A (ja) * 1995-06-30 1997-01-21 Shin Etsu Chem Co Ltd 高流動コンクリート配合組成物
JPH1029849A (ja) 1996-07-18 1998-02-03 Fujita Corp 高流動コンクリート
US6294015B1 (en) * 1998-01-22 2001-09-25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KR20000074430A (ko) * 1999-05-20 2000-12-15 명호근 벨라이트 리치 시멘트와 고미분말 무기재료와 고성능감수제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루로오즈(에이치피엠씨)계 증점제를 사용한 저발열성의 다짐이 필요 없는 고유동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A2563774A1 (en) * 2004-04-27 2005-11-10 Hercules Incorporated Cement-based systems using water retention agents prepared from raw cotton linters
DE102005030521A1 (de) * 2005-06-30 2007-01-11 Wolff Cellulosics Gmbh & Co. Kg Celluloseetherzusammensetzung für die Extrusion anorganischer Formkörper
MX2009005985A (es) * 2006-12-06 2009-06-17 Constr Res & Tech Gmbh Aditivo modificador de reologia para composiciones de cemento.
ITVA20080004A1 (it) * 2008-01-16 2009-07-17 Lamberti Spa Modificatore di reologia
JP6428500B2 (ja) * 2014-07-10 2018-11-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一剤型減水剤用増粘剤、一剤型減水剤及びこれを含む水硬性組成物の製造方法
JP6734004B2 (ja) * 2014-12-27 2020-08-05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補修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CN105801766B (zh) * 2016-03-24 2019-03-19 辽宁科隆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羧酸系减水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889A (ja) * 2001-09-14 2008-06-19 Basf Pozzolith Ltd セメント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3446B2 (ja) 2018-08-29
CN110312690A (zh) 2019-10-08
TWI787220B (zh) 2022-12-21
US20190375683A1 (en) 2019-12-12
TW201837007A (zh) 2018-10-16
EP3587375A4 (en) 2021-01-13
CN110312690B (zh) 2022-07-01
KR20190122211A (ko) 2019-10-29
EP3587375A1 (en) 2020-01-01
JP2018135245A (ja) 2018-08-30
WO2018154863A1 (ja)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517B1 (ko)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458754B (zh) 包含共聚物的无机粘结剂组合物
EP3230226A2 (en) Synthetic water retention agent and rheology modifier for use in cement, admixtures
JP6260037B2 (ja) コンクリート用多機能混和剤
JP6324204B2 (ja) トンネル覆工用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15681B2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用混和剤及びコンクリート組成物
US10501371B2 (en) Copolymer as a water-reducing agent in a hydraulic composition and use of copolymers for improving the early mechanical strength of a hydraulic composition
JP6339818B2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
JP7103691B2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6749786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6707228B2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硬化体
JPH0812397A (ja) 自己充填性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5100366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7148170B2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6781591B2 (ja) 水硬性組成物用レオロジー改質剤
JP7027105B2 (ja) セメント組成物
JP6192226B2 (ja) コンクリート用多機能混和剤
JP2021167259A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15991A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JP7075683B2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7037224B1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及び水硬性組成物
JP6491569B2 (ja) 水硬性材料組成物
JP2021130588A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3750B2 (ja) 水硬性材料用添加剤
JP2022119650A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