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087B1 -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087B1
KR102430087B1 KR1020167036932A KR20167036932A KR102430087B1 KR 102430087 B1 KR102430087 B1 KR 102430087B1 KR 1020167036932 A KR1020167036932 A KR 1020167036932A KR 20167036932 A KR20167036932 A KR 20167036932A KR 102430087 B1 KR102430087 B1 KR 10243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yoke
driving device
optical axis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133A (ko
Inventor
토모히코 오사카
타카시 이시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홀더 구동 장치는, 렌즈 홀더와,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구동 기구와,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다. 구동 기구는 베이스 부재 상에 세워 마련된 요크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는,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장착된 센서용 마그넷과, 고정부에 마련된 자기 검지 소자를 포함한다. 요크는 통 형상의 외통부를 구비하고, 외통부는 절결부를 갖는 복수의 판부를 포함한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는, 판부의 절결부로부터 이물이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침입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Lens Holder Driving Device and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렌즈 배럴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렌즈 홀더(가동부)를,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에는 휴대형 소형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다. 이 휴대형 소형 카메라에는, 오토 포커스(AF)용 렌즈 홀더 구동 장치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AF용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기구(액추에이터)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사용한 VCM 방식이 알려져 있다. VCM 방식의 AF용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는, 구동 기구(액추에이터)로서, 구동 코일과, 요크 및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磁氣)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VCM 방식의 구동 기구는, "무빙 코일 방식"의 구동 기구와, "무빙 마그넷 방식"의 구동 기구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VCM 방식의 AF용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는, 렌즈를 포함하는 기둥 형상의 가동부(렌즈+렌즈 홀더)를, 고정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광축 방향(중심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탄성 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가동부는 이동체나 가동체, 렌즈 지지체라고도 불리며, 고정부는 고정 부재, 지지체, 하우징, 혹은 고정체라고도 불린다. 상기 구동 기구는, 가동부(이동체)와 고정부(고정 부재; 지지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 부재(탄성 부재)로서는, 일반적으로, 렌즈 어셈블리(렌즈 배럴)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기둥 형상의 가동부; 이동체)의 광축 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이 사용된다. 한 쌍의 판 스프링은, 렌즈 홀더(기둥 형상의 가동부; 이동체)를 그 주위에 배치된 하우징(통 형상의 고정부; 고정 부재; 지지체)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기둥 형상의 가동부;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판 스프링 중 일방은 상측 판 스프링이라고 불리며, 타방은 하측 판 스프링이라고 불린다.
또한, 상측 판 스프링은 전측 스프링 혹은 전측 스프링 부재라고도 불리며, 하측 판 스프링은 후측 스프링 혹은 후측 스프링 부재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VCM 방식의 AF용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는, 판 스프링(스프링 부재)의 복원력(바이어스력)과 구동 기구에 의한 추력(推力)(구동력)을 밸런싱하여, 가동부(이동체)를 광축 방향의 소정 위치(목표 위치)에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VCM 방식의 AF용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는, 가동부(이동체)를 고정부(고정 부재; 하우징; 지지체)에 대하여 판 스프링(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부(이동체)를 구동했을 때, 혹은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가동부(이동체)가 불필요하게 진동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위치 검출부(위치 검출 기구; 위치 검출 수단)를 마련하고, 피드백 제어에 의하여 가동부의 위치를 제어(조정)하는 것이 행해진다. 종래부터 다양한 위치 검출부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홀 소자 센서용 자석과 홀 소자 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기구를 이용하여 손떨림 보정이 행해지는 렌즈 구동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렌즈 구동 장치는, 통 형상의 렌즈 지지체와, 환상의 요크와, 복수 개의 구동용 자석을 구비한다. 통 형상의 렌즈 지지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주측에 코일이 배치된다. 요크는, 렌즈 지지체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에 배치된다. 복수 개의 구동용 자석은, 요크의 환상의 둘레벽을 구성하는 외측 둘레벽의 내측으로서, 코일과 직경 방향 외측에, 코일과의 사이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구동용 자석은, 요크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구동용 코일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홀 소자 센서용 자석은, 구동용 자석 중 요크의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구동용 자석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렌즈 지지체에 배치된다. 홀 소자 센서는, 요크 및 렌즈 지지체가 장착되는 베이스에 배치된다. 구동용 자석의 인접하는 다른 구동용 자석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액추에이터와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렌즈를 지지하는 이동통의 피구동면에 장착된 코일과, 코일에 대향하여 배치된 자석과, 자석의 주위에 배치된 요크로 이루어진다. 위치 검출부는, 이동통에 장착된 1개의 홀 소자용 자석과, 이동통에 대향하는 조립 케이스측에 마련되며, 홀 소자용 자석의 자력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을 행하는 홀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3은 액추에이터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액추에이터는, 내주에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체의 외주에 고정된 코일체와, 렌즈 지지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크와, 요크의 외주측벽의 모서리부에 고정된 4개의 구동용 마그넷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동용 마그넷은, 그 내주측이 코일의 외주면을 따른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특허문헌 3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 지지체의 고정체에 대한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은, 렌즈 지지체의 측면에 배치한 X방향 위치 검지 마그넷, Y방향 위치 검지 마그넷, 및 Z방향 위치 검지 마그넷과, 이들과 각각 대향하도록 렌즈 구동 장치의 외측면에 배치된 X방향 위치 검지 소자, Y방향 위치 검지 소자, 및 Z방향 위치 검지 소자로 구성된다. 이들 위치 검지 소자를 탑재한 회로 기판은 렌즈 구동 장치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33179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21850호(도 3, [0023]-[0024])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7753호(도 9~도 14, [0069])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위치 검출 기구는, 렌즈 지지체의 광축 방향(Z축 방향)의 위치가 아니라, 광축(Z축)에 직교하는 X축/Y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위치 검출 기구의 구성으로는, 렌즈 지지체의 광축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위치 검출부에서는, 이동통에 1개의 홀 소자용 자석만을 장착하고 있으므로, 이동체(복수의 렌즈, 이동통, 코일, 홀 소자용 자석)의 무게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그 결과,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서는, 이동체를 양호한 밸런스로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위치 검지 소자를 탑재한 회로 기판이 렌즈 구동 장치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간극을 통하여 먼지 등의 이물이 렌즈 구동 장치의 내부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구조의 렌즈 홀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의 요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렌즈 홀더 구동 장치는, 렌즈 배럴의 장착이 가능한 렌즈 홀더와, 이 렌즈 홀더의 외부 주위에 배치된 고정부와, 렌즈 홀더를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와, 렌즈 홀더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이다. 고정부는 렌즈 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기구는 베이스 부재 상에 세워 마련된 요크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는,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렌즈 홀더의 대응하는 외주면에 장착된 센서용 마그넷과, 이 센서용 마그넷에 대향하며 고정부에 마련된 자기 검지 소자를 포함한다. 요크는 통 형상의 외통부를 구비하고, 외통부는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판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판부는 센서용 마그넷과 대향하는 개소에 절결부를 갖는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는, 판부의 절결부로부터 이물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침입 방지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IV-IV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상측 판 스프링의 형상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올려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하측 판 스프링의 형상을, 베이스 부재로부터 올려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상측 판 스프링과 도 6에 나타낸 하측 판 스프링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고, (B)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의 도체 패턴의 7개의 단자와 그들에 접속되는 단자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조립체를 올려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하측 판 스프링에 탄성 접착제를 마련하기(도포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베이스 부재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조립체를 올려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하측 판 스프링에 탄성 접착제를 마련한(도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요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요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요크에 스페이서(내부 케이스)와 구동용 마그넷과 상측 판 스프링을 장착한 상태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스페이서(내부 케이스)에 상측 판 스프링을 장착한 상태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선 IV-IV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단면의 일부(전측)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단면의 일부(후측)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a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b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3c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을 나타내는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24a는 도 23a에 나타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의 기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b는 도 23b에 나타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의 기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5a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홀 센서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b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홀 센서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5c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홀 센서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25d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홀 센서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e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에 홀 센서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의 그릇 형상의 홈의 근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요크의 돌기부의 근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요크의 링 형상 상단부와 상측 판 스프링의 맞닿음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내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를 탑재한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를, 요크, 상측 판 스프링, 및 스페이서(내부 케이스)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를, 요크, 상측 판 스프링, 및 스페이서(내부 케이스)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IV-IV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직교 좌표계(X, Y, Z)의 X축 방향은 전후 방향(깊이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좌우 방향(폭방향)이고, Z축 방향은 상하 방향(높이 방향)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하 방향(Z)이 렌즈의 광축(O)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Y축 방향(좌우 방향)은 제1 방향이라고도 불리며, X축 방향(전후 방향)은 제2 방향이라고도 불린다.
단, 실제의 사용 상황에서는, 광축(O) 방향, 즉 Z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된다. 환언하면, Z축의 상방향이 전방향이 되고, Z축의 하방향이 후방향이 된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구동 기구(액추에이터)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사용한 VCM 방식을 채용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이다. VCM 방식의 렌즈 홀더 구동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액추에이터)로서, 구동 코일과, 요크 및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기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VCM 방식의 구동 기구로서 "무빙 코일 방식"의 구동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오토 포커스(AF) 가능한 카메라 탑재 휴대전화기, 후술하는 도 3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 등의 휴대 단말에 구비된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렌즈 배럴(11)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14)(후술함)를 광축(O)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광축(O)은 구동축(중심축)이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Z축 방향(광축(O) 방향)의 하측(후측)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액추에이터 베이스)(12)를 갖는다.
이 베이스 부재(액추에이터 베이스)(12)의 하부(후부)에 센서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된다. 센서 기판은 촬상 소자나 클럭 발생원 등의 전자 부품을 탑재한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및 센서 기판은 실드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로 덮인다. 실드 케이스는 센서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와, 센서 기판과, 촬상 소자와, 실드 케이스의 조합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이 구성된다.
촬상 소자는, 렌즈 배럴(11)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소자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렌즈 배럴(11)을 지지하기 위한 통 형상부(140)를 갖는 렌즈 홀더(14)와, 이 렌즈 홀더(14)에 통 형상부(140)의 외주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링 형상의 구동 코일(16)과, 이 구동 코일(16)과 대향하는 구동용 마그넷(18)을 구비한 대략 사각통 형상의 요크(20)와, 렌즈 홀더(14)의 통 형상부(140)의 광축(O) 방향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판 스프링(22, 24)을 구비한다.
렌즈 배럴(11)을 렌즈 홀더(14)에 장착하려면, 렌즈 배럴(11)을 렌즈 홀더(14) 내에 수용하고 접착제 등에 의하여 렌즈 배럴(11)과 렌즈 홀더(14)를 서로 접합한다.
또, 구동용 마그넷(18)과 요크(20)의 조합에 의하여 자기 회로가 구성된다.
한 쌍의 판 스프링(22, 24)은, 렌즈 홀더(14)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14)를 광축(O)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판 스프링(22, 24) 중, 일방의 판 스프링(22)은 상측 판 스프링이라고 불리며, 타방의 판 스프링(24)은 하측 판 스프링이라고 불린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의 사용 상황에서는, Z축 방향(광축(O) 방향)의 상방향이 전방향, Z축 방향(광축(O) 방향)의 하방향이 후방향이 된다. 따라서, 상측 판 스프링(22)은 전측 스프링이라고도 불리며, 하측 판 스프링(24)은 후측 스프링이라고도 불린다.
상측 판 스프링(전측 스프링)(22) 및 하측 판 스프링(후측 스프링)(24)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이나 베릴륨 구리나 니켈 구리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측 판 스프링(전측 스프링)(22) 및 하측 판 스프링(후측 스프링)(24)은, 소정의 박판에 대한 프레스 가공, 혹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에칭 가공에 의하여 제조된다. 또한, 가공으로서는 프레스 가공보다 에칭 가공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에칭 가공에서는 판 스프링에 잔류 응력이 남지 않기 때문이다.
또, 판 스프링의 재료로서는, 베릴륨 구리보다 스테인리스강, 특히, 고경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베릴륨의 화합물은 독성이 강한 것이 알려져 있어, 환경상의 관점에서 판 스프링의 재료로서 베릴륨 구리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베릴륨 프리)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경도 스테인리스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닛폰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NTK S-4나, NTK 301(SUS301)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요크(20)는 대략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요크(20)는, 실질적으로 사각통 형상의 외통부(202)와, 이 외통부(202)의 상단(전단)에서 외통부(20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대략 사각형의 링 형상 상단부(204)를 갖는다. 또, 요크(20)는, 링 형상 상단부(204)의 내측의 네 모서리에서 광축(O)과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4개의 내측 수직 연장부(206)도 갖는다.
따라서, 구동 코일(16)도, 대략 사각통 형상의 요크(20)의 형상에 맞춘 대략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코일(16)은, 요크(20)의 4변과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 4개의 장변부(162)와, 요크(20)의 네 모서리에 대향하는 4개의 단변부(164)로 이루어지는 팔각통 형상을 하고 있다. 구동 코일(16)은, 요크(20)의 외통부(202)와 4개의 내측 수직 연장부(206)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수용되도록, 상측 판 스프링(22)의 근방측에서, 렌즈 홀더(14)의 통 형상부(140)의 외벽에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시된 구동용 마그넷(18)은, 요크(20)의 외통부(202)의 좌우 방향(Y)으로 대향하는 2개의 내벽면에, 구동 코일(16)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으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각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은, 그 수평 방향의 양단이 요크(20)의 전후 방향(X)으로 대향하는 2변의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코일(16)은, 각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의 수평 방향의 양단 근방 부근까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자기 회로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각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은, 직경 방향으로 착자(着磁)되어 있으며, 내주측과 외주측이 상이한 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은, 내주측이 N극으로 착자되고, 외주측이 S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구동 코일(16)과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과 요크(20)의 조합에 의하여, "무빙 코일 방식"의 구동 기구가 구성된다.
요크(20)의 외통부(202)는, 전후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측 판부(202F) 및 후측 판부(202B)와, 좌우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측 판부(202L) 및 우측 판부(202R)로 구성된다. 전측 판부(202F)는 하방으로 개방된 전측 절결부(202a)를 갖고, 후측 판부(202B)도 하방으로 개방된 후측 절결부(202b)를 갖는다. 전측 판부(202F)는 전측 절결부(202a)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207)를 갖는다. 전측 판부(202F)는 제1 판부라고도 불리며, 후측 판부(202B)는 제2 판부라고도 불린다. 또, 전측 절결부(202a)는 제1 절결부라고도 불리며, 후측 절결부(202b)는 제2 절결부라고도 불린다.
한편, 베이스 부재(액추에이터 베이스)(12)는, 직사각형 링 형상의 베이스부(120)와, 전후 방향(X)으로 대향하여 베이스부(120)로부터 상하 방향(Z)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22, 123)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전측에 마련된 돌출부(122)는 전측 돌출부라고 부르고, 후측에 마련된 돌출부(123)를 후측 돌출부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전측 돌출부(122)는 제1 돌출부라고도 불리며, 후측 돌출부(123)는 제2 돌출부라고도 불린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베이스 부재(액추에이터 베이스)(12)와 요크(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스페이서(30)를 더 구비한다. 스페이서(30)는 내부 케이스라고도 불린다.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는 실질적으로 요크(20)의 내벽면에 수용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는, 요크(20)의 외통부(202)의 내벽면의 상방에 마련되는 직사각형 외형의 링 형상부(302)와, 링 형상부(302)의 네 모서리로부터 광축(O)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수직 연장부(304)와, 링 형상부(302)의 전후 방향(X)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광축(O)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U자 형상 판부(305, 306)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전측에 마련된 U자 형상 판부(305)를 전측 U자 형상 판부라고 부르고, 후측에 마련된 U자 형상 판부(306)를 후측 U자 형상 판부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전측 U자 형상 판부(305)는 제1 U자 형상 판부라고도 불리며, 후측 U자 형상 판부(306)는 제2 U자 형상 판부라고도 불린다.
베이스 부재(액추에이터 베이스)(12)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조합에 의하여, 고정부(12, 30)가 구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요크(20)의 전측 절결부(제1 절결부)(202a)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제1 돌출부)(122)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전측 U자 형상 판부(제1 U자 형상 판부)(305)가 맞물려 있다(걸어 맞춰져 있다). 그리고, 요크(20)의 후측 절결부(제2 절결부)(202b)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12)의 후측 돌출부(제2 돌출부)(123)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후측 U자 형상 판부(제2 U자 형상 판부)(306)가 맞물려 있다(걸어 맞춰져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제1 돌출부)(122)는, 후술하는 자기 검지 소자인 홀 센서(344)가 삽입되는 직사각형 구멍(122a)을 갖는다. 또, 렌즈 홀더(14)의 통 형상부(140)는, Z축(광축(O))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X)으로 대향하는 외벽부의 하방에, 후술하는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을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140a)를 갖는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렌즈 홀더(14)의 광축(O)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34)를 더 구비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위치 검출부(34)는 하측 판 스프링(24)의 근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치 검출부(34)는, 렌즈 홀더(14)의 통 형상부(140)의 상기 한 쌍의 수용부(140a)에 수용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 중의 일방(도시된 예에서는, 전측의 센서용 마그넷(342a))과, 일방의 센서용 마그넷(342a)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직사각형 구멍(122a)에 삽입하여 마련된 홀 센서(344)로 이루어진다.
각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광축(O)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으며, 상면측과 하면측이 상이한 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상면측이 S극으로 착자되고, 하면측이 N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으로서, 퀴리점이 400℃ 이상인 영구 자석을 사용하고 있다. 그와 같은 영구 자석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마륨 코발트 자석이나, 페라이트 자석, 알니코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사용 환경에서의 열 감자(減磁)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용 마그넷(18)과 위치 검출부(34)의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이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용 마그넷(18)에서 발생한 자속이 위치 검출부(34)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검출부(34)는 렌즈 홀더(14)의 광축(O) 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의 극성과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극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상호간의 간섭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동용 마그넷(18)이 요크(20)의 내벽면에 배치됨으로써 요크(20) 자체가 S극이 된다.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요크(20)에 가까운 쪽(상측)을 S극으로 하면, 약간의 자기 간섭(반발 방향)은 있지만, 초기 위치는 판 스프링(22, 24)의 스프링력과의 균형으로 결정된다. 만일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상측을 N극으로 한 경우는 요크(20)와 끌어당기는 힘이 커져, 초기 위치가 안정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자력을 작게 하면 이 자기 간섭도 작아진다. 그러나, 그 경우, 홀 센서(344)의 출력도 동시에 작아지게 되어, 홀 센서(344)의 출력의 S/N비가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요크(2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기 간섭의 영향도 포함한 상태에서, 홀 센서(344)의 위치를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가능한 한 요크(20)와 떨어진 위치로서, 또한 구동용 마그넷(18)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을, 광축(O)에 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동적인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동부를 안정적으로 광축(O)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을 광축(O)에 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으로부터 자기 회로(구동용 마그넷(18), 요크(20))에 대한 자기 간섭 효과를 유효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동부를 광축(O)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켰을 때의 과도 응답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도 발휘한다.
한편,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의 극성과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극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반대의 극성이어도 된다. 즉, 각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은, 내주측이 S극으로 착자되고, 외주측이 N극으로 착자되어도 되며, 각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상면측이 N극으로 착자되고, 하면측이 S극으로 착자되어도 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홀 센서(344)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 상에 탑재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요크(20)의 전측 절결부(202a)에서 요크(20)의 돌기부(207)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122)의 외벽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에는, 좌우 방향(Y)의 양단측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이, 렌즈 홀더(14)의 통 형상부(140)의 Z축(광축(O))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X)으로 대향하는 외벽부의 하방에 구성된 한 쌍의 수용부(140a)에 각각 수용되는 것은, 렌즈 홀더(14)의 이동 시 또는 정지 시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Z축(광축(O))을 중심으로 균등 중량 배치하기 위해서, 또한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과의 자기적인 간섭력(반발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만일 일방의 센서용 마그넷(342a)과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의 사이에 거리가 있어 자기 간섭의 영향이 없는 경우에는, 홀 센서(344)와 대향하고 있지 않는 타방의 센서용 마그넷(342b)은, 동일한 중량으로 착자되지 않은 추로 대체할 수 있다.
상측 판 스프링(전측 스프링)(22)은 렌즈 홀더(14)에 있어서의 광축(O) 방향 상측(전측)에 배치되고, 하측 판 스프링(후측 스프링)(24)은 렌즈 홀더(14)에 있어서의 광축(O) 방향 하측(후측)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측 판 스프링(22)과 하측 판 스프링(24)의 형상 및 그들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측 판 스프링(22)을 베이스 부재(12)로부터 올려본 상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하측 판 스프링(24)을 베이스 부재(12)로부터 올려본 상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상측 판 스프링(22)과 하측 판 스프링(24)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상측 판 스프링(22)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측 판 스프링(22)은, 렌즈 홀더(14)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측 내주측 단부(222)와, 스페이서(30)의 링 형상부(302)에 장착되는 상측 외주측 단부(224)를 갖는다. 상측 내주측 단부(222)와 상측 외주측 단부(224)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의 상측 암부(226)가 마련되어 있다. 각 상측 암부(226)는 상측 내주측 단부(222)와 상측 외주측 단부(224)를 연결하고 있다. 각 상측 암부(226)는 180도 절곡한 U턴 형상 부분(226a)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하측 판 스프링(24)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측 판 스프링(24)은, 렌즈 홀더(14)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측 내주측 단부(242)와, 액추에이터 베이스(베이스 부재)(12)에 장착되는 하측 외주측 단부(244)를 갖는다. 하측 내주측 단부(242)와 하측 외주측 단부(244)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의 하측 암부(246)가 마련되어 있다. 각 하측 암부(246)는 하측 내주측 단부(242)와 하측 외주측 단부(244)를 연결하고 있다. 각 하측 암부(246)는 180도 절곡한 U턴 형상 부분(246a)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측 판 스프링(22)과 하측 판 스프링(24)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상측 판 스프링(22)의 4개의 상측 암부(226)와 하측 판 스프링(24)의 4개의 하측 암부(246)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다음으로, 구동 코일(16)로의 급전(給電)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측 판 스프링(24)은, 당해 하측 판 스프링(24)을 개재하여 구동 코일(16)로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및 제2 판 스프링편(24-1 및 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판 스프링편(24-1)과 제2 판 스프링편(24-2)은, 렌즈의 광축(O)을 중심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회전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판 스프링편(24-1)은 하측 외주측 단부(2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외부 접속 단자(244-1)를 갖는다. 제2 판 스프링편(24-2)도 하측 외주측 단부(2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외부 접속 단자(244-2)를 갖는다.
한편, 제1 판 스프링편(24-1)은 하측 내주측 단부(24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단자부(242-1)를 갖는다. 제2 판 스프링편(24-2)은 하측 내주측 단부(24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단자부(242-2)를 갖는다. 제1 단자부(242-1)는 구동 코일(16)의 제1 말단부(도시하지 않음)와 땜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단자부(242-2)는 구동 코일(16)의 제2 말단부(도시하지 않음)와 땜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및 제2 외부 접속 단자(244-1 및 244-2)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외부 접속 단자(244-1),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판 스프링편(24-1) 및 제1 단자부(242-1)를 개재하여, 구동 코일(16)의 제1 말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2 외부 접속 단자(244-2),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2 판 스프링편(24-2) 및 제2 단자부(242-2)를 개재하여, 구동 코일(16)의 제2 말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으로부터 하측 판 스프링(24)을 개재하여 구동 코일(16)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구동 코일(16)에 통전함으로써, 구동용 마그넷(18)의 자계(磁界)와 구동 코일(16)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렌즈 홀더(14)(렌즈 배럴(11))에 광축(O)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구동력과 한 쌍의 판 스프링(22, 24)의 복원력(바이어스력)을 밸런싱함으로써, 렌즈 홀더(14)(렌즈 배럴(11))의 광축(O)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에 형성된 단자부의 도체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도체 패턴의 7개의 단자와 그들에 접속되는 단자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도체 패턴으로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제1 내지 제7 단자(Pin1~Pin7)를 갖는다.
도 8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Pin1)에는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외부 접속 단자(244-1)인 ACT Terminal(+)가 접속되고, 제2 단자(Pin2)에는 홀 센서(344)의 제1 출력 단자인 Hall output(-)가 접속되며, 제3 단자(Pin3)에는 홀 센서(344)의 제1 입력 단자인 Hall input(+)가 접속된다. 제4 단자(Pin4)에는 접지 단자인 GND가 접속된다. 제5 단자(Pin5)에는 홀 센서(344)의 제2 출력 단자인 Hall output(+)가 접속되고, 제6 단자(Pin6)에는 홀 센서(344)의 제2 입력 단자인 Hall input(-)가 접속되며, 제7 단자(Pin7)에는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2 외부 접속 단자(244-2)인 ACT Terminal(-)가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하측 판 스프링(24)의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베이스 부재(12)로부터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조립체를 올려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하측 판 스프링(24)에 후술하는 탄성 접착제(45)를 마련하기(도포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하측 판 스프링(24)에 탄성 접착제(45)를 마련한(도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하측 판 스프링(24)은, 4개의 하측 암부(246)의 U턴 형상 부분(246a)에 탄성 접착제(45)를 갖는다. 각 탄성 접착제(45)는, U턴 형상 부분(246a)의 서로 대향하는 개소에서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4개의 탄성 접착제(45)는, 광축(O)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각도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탄성 접착제(45)는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탄성 접착제(45)로서 실리콘계 접착제나 실릴기 말단 폴리머계 접착제로부터 선택된 습기 경화형 탄성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도 9 및 도 1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4개의 하측 암부(246)의 U턴 형상 부분(246a)은, 상기 대향하는 개소(즉, 탄성 접착제(45)가 도포되는 개소)에 탄성 접착제(45)가 그 표면 장력에 의하여 걸쳐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위치 결정 돌기(247)를 갖는다.
이와 같이, 4개의 하측 암부(246)의 U턴 형상 부분(246a)에 탄성 접착제(45)를 도포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도 12의 화살표로 나타나는 방향의 요동인 2차 공진(부공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탄성 접착제(45)는 4개의 하측 암부(246)의 U턴 형상 부분(246a)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렌즈 홀더(14)의 본래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일은 없다.
또한, 탄성 접착제(45)는, 세정액이 개재되어도 문제 없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를 조립한 후에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탄성 접착제(45)를 도포함으로써, 하측 판 스프링(24)에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마련하고 있지만,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인 탄성 시트를 양면 테이프로 하측 판 스프링(24)에 첩부함으로써, 하측 판 스프링(24)에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마련해도 된다. 혹은, 하측 판 스프링(24)과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아웃 서트 성형법에 의하여 2색 성형하여, 하측 판 스프링(24)에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마련해도 된다. 대신에, 포토레지스트를 UV 경화하여 하측 판 스프링(24)에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마련해도 된다. 또, 이 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를 마련하는 개소는, 하측 판 스프링(24)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판 스프링(22) 혹은 양방의 판 스프링(22, 24)에 있어서도 유효하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요크(20)에 형성된 전측 절결부(제1 절결부)(202a) 및 후측 절결부(제2 절결부)(202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요크(20)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요크(20)의 정면도이다.
요크(20)의 전측 판부(제1 판부)(202F)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측 절결부(제1 절결부)(202a)를 갖고, 후측 판부(제2 판부)(202B)도 사다리꼴 형상의 후측 절결부(제2 절결부)(202b)를 갖는다.
이와 같은 요크(20)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요크(20)와 구동용 마그넷(18)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에서 발생한 자계가,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도 2 참조)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환언하면, 상기 자기 회로의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에 대한 자계의 영향을 균등하게, 또한 최대한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가동부(렌즈 배럴(11)+렌즈 홀더(14))의 스트로크양에 따른 추력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베이스 부재(12)와 요크(20)를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를 개재하여 끼워 맞추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요크(20)에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와 구동용 마그넷(18)과 상측 판 스프링(22)을 장착한 상태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에 상측 판 스프링(22)을 장착한 상태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선 IV-IV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단면의 일부(전측)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단면의 일부(후측)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 상에 상측 판 스프링(22)이 장착된 후,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는 요크(20)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는 베이스 부재(12)와 끼워 맞춰진다. 이때,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요크(20)의 전측 절결부(제1 절결부)(202a)의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제1 돌출부)(122)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전측 U자 형상 판부(제1 U자 형상 판부)(305)가 서로 맞물린다(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요크(20)의 후측 절결부(제2 절결부)(202b)의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12)의 후측 돌출부(제2 돌출부)(123)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후측 U자 형상 판부(제2 U자 형상 판부)(306)가 서로 맞물린다(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상기 서로 맞물리는 개소(끼워 맞춤 개소)에 접착 수지(접착제)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흘려보냄으로써, 상기 서로 맞물리는 개소(끼워 맞춤 개소)의 간극을 막는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간극을 통하여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내부로 먼지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122)와, 제2 돌출부(123)와, 내부 케이스(30)의 조합은, 제1 및 제2 판부(202F, 202B)의 제1 및 제2 절결부(202a, 202b)로부터 이물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침입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여 베이스 부재(12)에 홀 센서(자기 검지 소자)(344)를 장착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홀 센서(344)는,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제1 돌출부)(122)에 형성된 직사각형 구멍(122a)에 삽입하여 마련된다. 이로써 홀 센서(344)가 위치 결정된다. 또,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122)에는 그 직사각형 구멍(122a)의 주위에 C면(122b)이 형성되어 있다. 홀 센서(344)와 직사각형 구멍(122a)의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하여, 이 C면(122b)에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는 밀폐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홀 센서(344)의 위치가 일정해져, 홀 센서(344)의 출력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홀 센서(344)와 베이스 부재(12)의 사이의 간극에 수지(접착제)를 흘려 넣고 있으므로, 직사각형 구멍(122a)이 막힌다. 그 결과, 이 직사각형 구멍(122a)을 통하여 이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a, 도 23b, 도 23c 및 도 24a, 도 24b를 참조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a, 도 23b, 도 23c는, 각각,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을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24a, 도 24b는, 각각,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기재(402)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기재(402)와, 제1 커버 필름(404)과, 제2 커버 필름(406)으로 구성된다.
도 2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재(402)의 주면(主面) 상에는 제1 도체 패턴(40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체 패턴(402a)은, 그 중앙부에 접지 패턴(402ag)을 갖는다. 도 2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재(402)의 이면 상에는 제2 도체 패턴(402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체 패턴(402b)은 홀 센서(344)의 4개의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도체 패턴(402a 및 402b)은, Cu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도 2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버 필름(404)은, 기재(402)의 주면에서 제1 도체 패턴(402a)의 일부를 덮도록 첩부되어 있다. 제1 커버 필름(404)은 광을 차폐하는 흑색 커버 필름(차광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도 2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버 필름(406)은, 기재(402)의 이면에서 제2 도체 패턴(402b)의 일부를 덮도록 첩부되어 있다.
도 25a 내지 도 25e를 참조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에 홀 센서(344)를 탑재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a, 도 25b, 도 25c, 도 25d, 및 도 25e는, 각각,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에 홀 센서(344)를 탑재한 상태의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상면도),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및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b 및 도 25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홀 센서(344)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이면(배면)측에서 제2 도체 패턴(402b)에 땜납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도 25a 및 도 25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흑색 커버 필름(차광 필름)(404)은, 홀 센서(344)가 장착된 이면과는 반대측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주면에 첩부되게 된다. 이로써, 홀 센서(344)와 베이스 부재(12)의 직사각형 구멍(122a)(도 2 참조)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광(미광(stray light))이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과 요크(20)와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및 제2 외부 접속 단자(244-1 및 244-2)의 전기적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그릇 형상의 홈(401)의 근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요크(20)의 돌기부(207)의 근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에는 좌우 방향(제1 방향)(Y)의 양단측에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및 제2 외부 접속 단자(244-1 및 244-2)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여기에서,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및 제2 외부 접속 단자(244-1 및 244-2)(도 6 참조)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주면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일 없이,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 내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측 판 스프링(24)의 제1 및 제2 외부 접속 단자(244-1 및 244-2)(도 6 참조)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에 땜납(52)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접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요크(20)의 전측 절결부(제1 절결부)(202a)에서 요크(20)의 돌기부(207)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전측 돌출부(제1 돌출부)(122)의 외벽에 장착된다. 이 돌기부(207)는 Sn 도금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돌기부(207)에서, 요크(20)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접지 패턴(402ag)은 땜납(54)으로 접합되어 도통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접지 패턴(402ag)의 저항값을 최대한 작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요크(20)의 돌기부(207)의 일부에는 하프 펀칭이 실시되어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은, 3개소에서 땜납(52, 54)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12)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에 결합되게 된다. 그 결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4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요크(20)의 돌기부(207)에 하프 펀칭을 실시했으므로, 땜납(54)의 부풀어 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요크(20)의 링 형상 상단부(204)와 상측 판 스프링(22)의 사이의 맞닿음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요크(20)의 링 형상 상단부(204)와 상측 판 스프링(22)의 맞닿음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29의 요크(20)의 링 형상 상단부(204)는, 그 내주측의 8개소에서, 하프 펀칭이 실시된 하프 펀칭 부분(204a)을 갖는다.
렌즈 홀더(14)가 상방으로 이동(구동)되었을 때, 상측 판 스프링(22)은 이들 8개의 하프 펀칭 부분(204a)에서 걸린다(하프 펀칭 부분(204a)에 맞닿는다). 즉, 요크(20)의 8개의 하프 펀칭 부분(204a)은 렌즈 홀더(14)의 상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측 스토퍼(걸림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요크(20)의 링 형상 상단부(204)에 복수의 하프 펀칭 부분(204a)을 형성했으므로, 요크(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를 탑재한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을 실수로 떨어뜨려 가동부(렌즈 배럴(11)+렌즈 홀더(14))가 요크(20)와 충돌하더라도 요크(2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충돌 시에 상측 판 스프링(22)이 요크(20)의 하프 펀칭 부분(204a)의 하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금속 간의 충돌이 되므로 성형품인 렌즈 홀더(14)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여,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1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네 모서리에 마련된 4개의 수직 연장부(304)의 각각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기(3042)를 갖는다(도 31에서는, 4개의 돌기(3042)만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는 합계 8개의 돌기(3042)를 갖는다.
도 3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돌기(3042)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하는(광축(O)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함) 대략 반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각 돌기(3042)는 그 상부에 대략 반원뿔 형상의 선단부(3042a)를 갖는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네 모서리에 8개의 돌기(3042)를 마련했으므로, 요크(20)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요크(20)를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에 씌우면, 요크(20)의 외통부(202)의 내벽이 대략 반원뿔 형상의 선단부(3042a)에 유도되면서,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의 8개의 돌기(3042)를 눌러 밀어누르므로, 요크(20)와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는 경압입(輕壓入) 상태로 끼워 맞춰진다. 그 결과, 요크(20)가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렌즈의 광축(O)에 대한 요크(20)의 중심 축선의 어긋남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구동용 마그넷(18)과 요크(20)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에 의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에 의하여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부공진의 레벨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드백 제어에 의하여 렌즈 홀더(14)의 광축(O) 방향의 위치를 제어하고 있다.
먼저, 구동 코일(16)에 구동 전류를 흘려보내 렌즈 홀더(14)를 광축(O)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렌즈 홀더(14)의 광축(O) 방향의 위치(검출 위치)와 위치 검출부(34)의 홀 센서(344)에서 검출된 검출값을 계측한다. 이로써, 구동 전류와, 검출 위치와, 검출값 간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구동 전류와 검출 위치는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14)를 원하는 목표 위치(광축(O) 방향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를 구동 코일(16)로 공급하면 된다.
검출값을 검출 위치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검출값과 검출 위치의 사이의 관계(일대일 대응)를 ROM(read-only memory)에 기억한다. 따라서, ROM은 검출값을 검출 위치로 변환하는 변환부로서 기능한다.
피드백 제어를 실현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촬상 소자의 화상 신호와, 홀 센서(344)에서 검출된 검출값에 근거하여, 렌즈 홀더(14)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구동 전류를 구하고, 구한 구동 전류를 구동 코일(16)로 공급한다.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ROM)와, 목표 위치 산출부와, 비교부와, 조작부를 포함한다. 목표 위치 산출부는 촬상 소자의 화상 신호로부터 렌즈 홀더(14)의 목표 위치(포커싱 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포커싱 위치란,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값이 가장 양호한 렌즈 홀더(14)의 위치이다. 비교부는 목표 위치와 검출 위치를 비교하여 제어 편차를 출력한다. 조작부는 제어 편차가 제로가 되는 조작량을 구동 전류로서 구동 코일(16)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써, 렌즈 홀더(14)를 광축(O) 방향의 목표 위치(포커싱 위치)에, 예를 들면 10밀리초에서 20밀리초의 사이의 단시간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3은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를 탑재한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은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의 소정 위치에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로서 스마트폰의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지만,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은, 카메라 탑재 휴대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여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A)를, 요크(20), 상측 판 스프링(22),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A)의 평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고 있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의 X축 방향은 전후 방향(깊이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좌우 방향(폭방향)이고, Z축 방향은 상하 방향(높이 방향)이다. 그리고, 도 34 내지 도 3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하 방향(Z)이 렌즈의 광축(O)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Y축 방향(좌우 방향)은 제1 방향이라고도 불리며, X축 방향(전후 방향)은 제2 방향이라고도 불린다.
단, 실제의 사용 상황에서는, 광축(O) 방향, 즉 Z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된다. 환언하면, Z축의 상방향이 전방향이 되고, Z축의 하방향이 후방향이 된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A)는, 오토 포커스(AF) 가능한 카메라 탑재 휴대전화기, 도 3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 등의 휴대 단말에 구비된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A)는, 구동용 마그넷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작을 한다. 따라서, 구동용 마그넷에 18A의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그와 같은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구동용 마그넷(18A)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용 마그넷(18)과 마찬가지로,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A)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형상이 구동용 마그넷(18)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과 상이하다.
즉,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A)은, 그 양단부에, 요크(20)(도 2 참조)의 네 모서리에서 구동 코일(16)의 4개의 단변부(164)와 대향하는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돌기부(182Aa)를 갖는다. 각 돌기부(182Aa)의 내주측은 평면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A)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A)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도 나타낸다.
즉,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A)이 그 양단부에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돌기부(182Aa)를 가지므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와 비교하여, 본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의 추력을 증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B)를, 요크(20), 상측 판 스프링(22), 스페이서(내부 케이스)(30)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B)의 평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고 있다.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의 X축 방향은 전후 방향(깊이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좌우 방향(폭방향)이고, Z축 방향은 상하 방향(높이 방향)이다. 그리고, 도 36 내지 도 3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하 방향(Z)이 렌즈의 광축(O)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Y축 방향(좌우 방향)은 제1 방향이라고도 불리며, X축 방향(전후 방향)은 제2 방향이라고도 불린다.
단, 실제의 사용 상황에서는, 광축(O) 방향, 즉 Z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된다. 환언하면, Z축의 상방향이 전방향이 되고, Z축의 하방향이 후방향이 된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B)는, 오토 포커스(AF) 가능한 카메라 탑재 휴대전화기, 도 3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 등의 휴대 단말에 구비된다.
도시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B)는, 구동용 마그넷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작을 한다. 따라서, 구동용 마그넷에 18B의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그와 같은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구동용 마그넷(18B)은,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에 더하여, 요크의 네 모서리에서 구동 코일(16)의 4개의 단변부(164)와 각각 대향하는 4개의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구동용 마그넷편(184)을 더 포함한다. 각 구동용 마그넷편(184)의 내주측은 평면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용 마그넷편(184)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B)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도 나타낸다.
즉, 구동용 마그넷(18B)이, 2개의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뿐만 아니라, 4개의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구동용 마그넷편(184)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와 비교하여, 본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의 추력을 증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양태의 요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는, 렌즈 배럴(11)의 장착이 가능한 렌즈 홀더(14)와, 이 렌즈 홀더(14)의 외부 주위에 배치된 고정부(12, 30)와, 렌즈 홀더(14)를 렌즈의 광축(O)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16, 18; 18A; 18B, 20)와, 렌즈 홀더(14)의 광축(O)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34)를 구비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이다. 고정부는 렌즈 홀더(14)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12)를 포함한다. 구동 기구는 베이스 부재(12) 상에 세워 마련된 요크(20)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34)는,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X)으로 렌즈 홀더(14)의 대응하는 외주면에 장착된 센서용 마그넷(342a)과, 이 센서용 마그넷(342a)에 대향하며 고정부(12, 30)에 마련된 자기 검지 소자(344)를 포함한다. 요크(20)는 통 형상의 외통부(202)를 구비하고, 외통부(202)는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판부(202F, 202B)를 포함한다. 복수의 판부(202F, 202B)는 센서용 마그넷(342a, 342b)과 대향하는 개소에 절결부(202a, 202b)를 갖는다.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는 판부(202F, 202B)의 절결부(202a, 202b)로부터 이물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침입 방지 부재(122, 123, 30)를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에 있어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는, 렌즈 홀더(14)와 고정부(12, 30)를 그 상부측에서 연결하는 상측 판 스프링(22)과, 렌즈 홀더(14)와 고정부(12, 30)를 그 하부측에서 연결하는 하측 판 스프링(24)을 더 구비해도 된다. 위치 검출부(34)는 이 하측 판 스프링(24)의 근방에 마련되어도 된다. 요크(20)는 대략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구동 기구는, 상측 판 스프링(22)의 근방측에서 렌즈 홀더(14)의 주위에 고정되는 구동 코일(16)과, 광축(O)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Y)으로 요크(20)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벽면에 구동 코일(16)과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된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 182A)을 포함하는 구동용 마그넷(18; 18A; 18B)을 더 구비해도 된다. 베이스 부재(12)는, 링 형상의 베이스부(120)와, 광축(O) 방향 및 제1 방향(Y)과 직교하는 제2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여 베이스부(1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122, 123)를 구비해도 된다. 제1 돌출부(122)는 직사각형 구멍(122a)을 가져도 된다. 위치 검출부(34)는, 제2 방향(X)으로 렌즈 홀더(14)의 대응하는 외주면에 장착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일방(342a)과, 이 일방의 센서용 마그넷(342a)에 대향하며 베이스 부재(12)의 제1 돌출부(122)의 직사각형 구멍(122a)에 삽입되어 수지로 고착된 자기 검지 소자(344)를 포함해도 된다. 요크(20)의 외통부(202)는 대략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다. 요크(20)는, 이 외통부(20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대략 사각형의 링 형상 상단부(204)와, 이 링 형상 상단부의 내측의 네 모서리에서 광축(O)과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수직 연장부(206)를 더 구비해도 된다. 외통부(202)는, 상기 복수의 판부로서 제2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판부(202F, 202B)를 포함해도 된다. 제1 및 제2 판부(202F, 202B)는, 상기 절결부로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과 대향하는 개소에서 각각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 절결부(202a, 202b)를 가져도 된다. 고정부는, 요크(20)의 내벽면에 수용되도록, 베이스 부재(12)와 요크(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내부 케이스(30)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돌출부(122)와, 제2 돌출부(123)와, 내부 케이스(30)의 조합이, 상기 이물 침입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30)는, 요크(20)의 외통부(202)의 내벽면의 상방에 마련되는 링 형상부(302)와, 이 링 형상부의 네 모서리로부터 광축(O)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304)와, 링 형상부(302)의 제2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광축(O)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U자 형상 판부(305, 30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판부(202F)의 제1 절결부(202a)의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제1 돌출부(122)와 내부 케이스(30)의 제1 U자 형상 판부(305)가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제2 판부(202B)의 제2 절결부(202b)의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제2 돌출부(123)와 내부 케이스(30)의 제2 U자 형상 판부(306)가 끼워 맞춰져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 182A)과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광축(O)에 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는, 제1 판부(202F)의 제1 절결부(202a)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제1 돌출부(122)의 외벽에 장착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을 더 가져도 된다. 이 경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그 내면측에 자기 검지 소자(344)가 장착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그 외면측에 자기 검지 소자(344)와 대향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 차광 필름(40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제1 방향(Y)의 양단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 하측 판 스프링(24)의 한 쌍의 외부 접속 단자(244-1, 244-2)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의 주면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일 없이,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 내에 수용된 상태로 돌출되어, 땜납 접합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그 외면측의 중앙부에 접지 패턴(402ag)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요크(20)의 제1 판부(202F)는 제1 절결부(202a)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07)를 갖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돌기부(207)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제1 돌출부(122)의 외벽에 장착되며, 돌기부(207)에서 요크(20)와 접지 패턴(402ag)이 땜납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207)는 Sn 도금되고, 하프 펀칭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에 있어서, 요크(20)의 링 형상 상단부(204)는, 그 내주측의 복수 개소에서 하프 펀칭이 실시된 하프 펀칭 부분(204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렌즈 홀더(14)가 상측 이동했을 때, 상측 판 스프링(22)이 복수의 하프 펀칭 부분(204a)에 맞닿는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에 있어서, 내부 케이스(30)의 수직 연장부(304)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04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요크(20)는, 요크(20)의 외통부(202)가 내부 케이스(30)의 돌기(3042)를 밀어누르는 상태에서, 내부 케이스(30)에 가볍게 압입하여 끼워 맞춰지고, 이로써 내부 케이스(30)에 요크(20)를 위치 결정한다. 돌기(3042)는 광축(O)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대략 반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3042)는 그 상부에 대략 반원뿔 형상의 선단부(3042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양태에 의하면, 상기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를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이 얻어진다.
한편, 상기 괄호 내의 참조 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붙인 것으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4년 8월 6일에 출원된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 2014-160592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10, 10A, 10B 렌즈 홀더 구동 장치
11 렌즈 배럴
12 베이스 부재(액추에이터 베이스)
120 베이스부
122 전측 돌출부(제1 돌출부)
122a 직사각형 구멍
122b C면
123 후측 돌출부(제2 돌출부)
14 렌즈 홀더
140 통 형상부
140a 수용부
16 구동 코일
162 장변부
164 단변부
18, 18A, 18B 구동용 마그넷
182, 182A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
182Aa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돌기부
184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구동용 마그넷편
20 요크
202 외통부
202a 전측 절결부(제1 절결부)
202b 후측 절결부(제2 절결부)
202F 전측 판부(제1 판부)
202B 후측 판부(제2 판부)
202L 좌측 판부
202R 우측 판부
204 링 형상 상단부
204a 하프 펀칭 부분
206 내측 수직 연장부
207 돌기부
22 상측 판 스프링
222 상측 내주측 단부
224 상측 외주측 단부
226 상측 암부
226a U턴 형상 부분
24 하측 판 스프링
24-1 제1 판 스프링편
24-2 제2 판 스프링편
242 하측 내주측 단부
242-1 제1 단자부
242-2 제2 단자부
244 하측 외주측 단부
244-1 제1 외부 접속 단자
244-2 제2 외부 접속 단자
246 하측 암부
246a U턴 형상 부분
247 위치 결정 돌기
30 스페이서(내부 케이스)
302 링 형상부
304 수직 연장부
3042 돌기
3042a 선단부
305 전측 U자 형상 판부(제1 U자 형상 판부)
306 후측 U자 형상 판부(제2 U자 형상 판부)
34 위치 검출부
342a 센서용 마그넷
342b 센서용 마그넷
344 홀 센서(자기 검지 소자)
40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401 그릇 형상의 홈
402 기재
402a 제1 도체 패턴
402ag 접지 패턴
402b 제2 도체 패턴
404 제1 커버 필름(차광 필름)
406 제2 커버 필름
45 탄성 접착제(신축성과 가요성이 있는 수지)
52, 54 땜납
80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스마트폰)
O 광축
X 전후 방향(제2 방향)
Y 좌우 방향(제1 방향)
Z 상하 방향

Claims (13)

  1. 렌즈 배럴(11)의 장착이 가능한 렌즈 홀더(14)와,
    상기 렌즈 홀더(14)의 외부 주위에 배치된 고정부(12, 30)와,
    상기 렌즈 홀더(14)를 렌즈의 광축(O)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16, 18; 18A; 18B, 20)와,
    상기 렌즈 홀더(14)의 상기 광축(O)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34)를 구비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로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렌즈 홀더(14)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12) 상에 세워 마련된 요크(2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X)으로 상기 렌즈 홀더(14)의 대응하는 외주면에 장착된 센서용 마그넷(342a)과,
    상기 센서용 마그넷(342a)에 대향하며 상기 고정부에 마련된 자기 검지 소자(344)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20)는 통 형상의 외통부(202)를 구비하며,
    상기 외통부(202)는 상기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판부(202F, 202B)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판부(202F, 202B)는 상기 센서용 마그넷(342a, 342b)과 대향하는 개소에 절결부(202a, 202b)를 가지며,
    상기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는, 상기 판부(202F, 202B)의 절결부(202a, 202b)로부터 이물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침입 방지 부재(122, 123, 30)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는, 상기 렌즈 홀더(14)와 상기 고정부(12, 30)를 그 상부측에서 연결하는 상측 판 스프링(22)과, 상기 렌즈 홀더(14)와 상기 고정부(12, 30)를 그 하부측에서 연결하는 하측 판 스프링(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34)는 상기 하측 판 스프링(24)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요크(20)는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상측 판 스프링(22)의 근방측에서 상기 렌즈 홀더(14)의 주위에 고정되는 구동 코일(16)과,
    상기 광축(O)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Y)으로 상기 요크(20)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벽면에 상기 구동 코일(16)과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된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 182A)을 포함하는 구동용 마그넷(18; 18A; 18B)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12)는, 링 형상의 베이스부(120)와, 상기 광축(O)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Y)과 직교하는 제2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부(1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122, 12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122)는 직사각형 구멍(122a)을 가지며,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제2 방향(X)으로 상기 렌즈 홀더(14)의 대응하는 외주면에 장착된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의 일방(342a)과,
    상기 일방의 센서용 마그넷(342a)에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상기 제1 돌출부(122)의 상기 직사각형 구멍(122a)에 삽입되어 수지로 고착된 상기 자기 검지 소자(344)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20)의 상기 외통부(202)는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요크(20)는, 상기 외통부(20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의 링 형상 상단부(204)와, 상기 링 형상 상단부의 내측의 네 모서리에서 상기 광축(O)과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수직 연장부(20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통부(202)는 상기 복수의 판부로서 상기 제2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판부(202F, 20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판부(202F, 202B)는 상기 절결부로서 상기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과 대향하는 개소에서 각각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 절결부(202a, 202b)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요크(20)의 내벽면에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2)와 상기 요크(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내부 케이스(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122)와, 상기 제2 돌출부(123)와, 상기 내부 케이스(30)의 조합이, 상기 이물 침입 방지 부재로서 기능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30)는,
    상기 요크(20)의 상기 외통부(202)의 내벽면 상방에 마련되는 링 형상부(302)와,
    상기 링 형상부(302)의 네 모서리로부터 상기 광축(O)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304)와,
    상기 링 형상부(302)의 상기 제2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상기 광축(O)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U자 형상 판부(305, 306)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부(202F)의 상기 제1 절결부(202a)의 근방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상기 제1 돌출부(122)와 상기 내부 케이스(30)의 상기 제1 U자 형상 판부(305)가 끼워 맞춰지며,
    상기 제2 판부(202B)의 상기 제2 절결부(202b)의 근방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상기 제2 돌출부(123)와 상기 내부 케이스(30)의 상기 제2 U자 형상 판부(306)가 끼워 맞춰져 있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구동용 마그넷편(182; 182A)과 상기 한 쌍의 센서용 마그넷(342a, 342b)은, 상기 광축(O)에 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부(202F)의 상기 제1 절결부(202a)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상기 제1 돌출부(122)의 외벽에 장착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을 더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그 내면측에 상기 자기 검지 소자(344)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그 외면측에 상기 자기 검지 소자(344)와 대향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 차광 필름(404)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상기 제1 방향(Y)의 양단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을 갖고,
    상기 하측 판 스프링(24)의 한 쌍의 외부 접속 단자(244-1, 244-2)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의 주면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일 없이, 상기 한 쌍의 그릇 형상의 홈(401) 내에 수용된 상태로 돌출되어, 땜납 접합되어 있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그 외면측의 중앙부에 접지 패턴(402ag)을 갖고,
    상기 요크(20)의 상기 제1 판부(202F)는, 상기 제1 절결부(202a)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07)를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0)은, 상기 돌기부(20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2)의 상기 제1 돌출부(122)의 외벽에 장착되고,
    상기 돌기부(207)에서, 상기 요크(20)와 상기 접지 패턴(402ag)이 땜납 접합되어 있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7)는 Sn 도금되고, 하프 펀칭이 실시되어 있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크(20)의 상기 링 형상 상단부(204)는, 그 내주측의 복수 개소에서 하프 펀칭이 실시된 하프 펀칭 부분(204a)을 갖고,
    상기 렌즈 홀더(14)가 상측 이동했을 때, 상기 상측 판 스프링(22)이 상기 복수의 하프 펀칭 부분(204a)에 맞닿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30)의 상기 수직 연장부(304)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042)를 갖고,
    상기 요크(20)는, 상기 요크(20)의 상기 외통부(202)가 상기 내부 케이스(30)의 돌기(3042)를 밀어누르는 상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30)에 경압입하여 끼워 맞춰지며,
    이로써 상기 내부 케이스(30)에 상기 요크(20)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기(3042)는 상기 광축(O)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반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기(3042)는 그 상부에 반원뿔 형상의 선단부(3042a)를 갖는, 렌즈 홀더 구동 장치.
  11.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 홀더 구동 장치(10; 10A; 10B)를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80).
  12. 삭제
  13. 삭제
KR1020167036932A 2014-08-06 2015-07-17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KR102430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0592 2014-08-06
JP2014160592A JP6583601B2 (ja) 2014-08-06 2014-08-06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PCT/JP2015/070506 WO2016021391A1 (ja) 2014-08-06 2015-07-17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33A KR20170040133A (ko) 2017-04-12
KR102430087B1 true KR102430087B1 (ko) 2022-08-04

Family

ID=5526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932A KR102430087B1 (ko) 2014-08-06 2015-07-17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38341B2 (ko)
JP (1) JP6583601B2 (ko)
KR (1) KR102430087B1 (ko)
CN (1) CN106537213A (ko)
TW (1) TWI675230B (ko)
WO (1) WO2016021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5205A1 (en) * 2014-08-07 2023-03-08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270046B2 (ja) * 2014-09-03 2018-01-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I620975B (zh) * 2016-04-08 2018-04-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攝像模組
KR20170116749A (ko) * 2016-04-12 2017-10-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6679143B2 (ja) * 2016-05-16 2020-04-1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729968B2 (ja) * 2016-06-28 2020-07-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10845565B2 (en) * 2016-07-07 2020-11-24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CN108024068B (zh) 2016-11-03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双摄像头设备和终端设备
TWI650582B (zh) * 2017-03-30 2019-02-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
EP4141536B1 (en) * 2017-03-30 2024-05-01 Lg Innotek Co., Ltd.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N115373192A (zh) * 2017-05-22 2022-11-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102402616B1 (ko) 2017-05-26 2022-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07092276B (zh) * 2017-06-26 2019-08-16 深圳市欧瑞博电子有限公司 可伸缩旋钮智能调节开关
CN110800199B (zh) * 2017-06-30 2022-07-26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致动器
CN116300255A (zh) * 2017-08-04 2023-06-2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102492625B1 (ko) * 2017-08-28 2023-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09799591B (zh) * 2017-11-16 2022-10-28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组件驱动机构
CN209373236U (zh) * 2017-12-07 2019-09-10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多镜头摄像系统及其驱动机构
USD902982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JP6976201B2 (ja) * 2018-03-13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固定構造、電子機器、撮像装置、移動体、および固定構造の製造方法
TWI673531B (zh) * 2018-05-03 2019-10-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致動模組與電子裝置
CN110601414B (zh) * 2018-06-12 2021-04-20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
CN108627947B (zh) * 2018-06-26 2024-01-30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US11885976B2 (en) * 2018-07-25 2024-01-30 Tdk Taiwan Corp. Optical module
CN110007543A (zh) * 2019-03-22 2019-07-12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及可靠的微型防抖云台
KR20200129826A (ko) 2019-05-10 2020-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118157427A (zh) * 2019-09-09 2024-06-07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及光学设备
KR20210060035A (ko) 2019-11-18 2021-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7393196B2 (ja) * 2019-12-17 2023-12-0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CN111130304A (zh) * 2020-01-21 2020-05-0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一种五轴ois结构的音圈马达、照相装置及电子设备
US11573393B2 (en) * 2020-05-04 2023-02-07 Apple Inc. Camera with base cutout for position sensing arrangement
CN213365159U (zh) * 2020-12-08 2021-06-04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及电子终端
WO2022245165A1 (ko) * 2021-05-21 2022-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US20230209160A1 (en) * 2021-12-28 2023-06-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085A (ja) * 2004-12-21 2006-07-06 Sony Corp 撮像用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用レンズ装置における磁気検出素子の取付け方法
JP2006227102A (ja) * 2005-02-15 2006-08-31 Sony Corp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7248671A (ja) * 2006-03-15 2007-09-27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2518204A (ja) * 2009-02-17 2012-08-0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用モータ
JP2012177753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483Y1 (ko) * 1998-09-30 2001-02-15 전주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JP2005148586A (ja) * 2003-11-19 2005-06-09 Sankyo Seiki Mf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メラ付き携帯機器
TWI298805B (en) 2005-02-15 2008-07-11 Sony Corp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4626346B2 (ja) * 2005-03-10 2011-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7121850A (ja) * 2005-10-31 2007-05-17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JP2011039481A (ja) * 2009-03-26 2011-02-24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11118334A (ja) * 2009-11-04 2011-06-16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JP5489747B2 (ja) * 2010-01-26 2014-05-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2255972A (ja) * 2011-06-10 2012-12-27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JP2013029821A (ja) * 2011-06-21 2013-02-07 Seiko Instruments Inc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13033179A (ja) * 2011-07-29 2013-02-1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13081680A (ja) * 2011-10-12 2013-05-09 Hoya Corp 光走査型内視鏡システム
KR101892298B1 (ko) * 2011-10-24 2018-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CN203480108U (zh) * 2013-01-31 2014-03-12 林聪� 透镜驱动装置
JP6414400B2 (ja) 2014-07-04 2018-10-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085A (ja) * 2004-12-21 2006-07-06 Sony Corp 撮像用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用レンズ装置における磁気検出素子の取付け方法
JP2006227102A (ja) * 2005-02-15 2006-08-31 Sony Corp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7248671A (ja) * 2006-03-15 2007-09-27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2518204A (ja) * 2009-02-17 2012-08-0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用モータ
JP2012177753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83601B2 (ja) 2019-10-02
US10338341B2 (en) 2019-07-02
CN106537213A (zh) 2017-03-22
US20170235094A1 (en) 2017-08-17
TWI675230B (zh) 2019-10-21
JP2016038444A (ja) 2016-03-22
KR20170040133A (ko) 2017-04-12
TW201606377A (zh) 2016-02-16
WO2016021391A1 (ja)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087B1 (ko)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KR102447339B1 (ko)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CN105372784B (zh) 透镜移动装置和包括该透镜移动装置的摄像头模块
JP6414396B2 (ja)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1552969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JP605688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412666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6122136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513041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JP2016224222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7076135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11106002B2 (en) Lens driving device
KR20220104133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19008329A (ja)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00657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13574852B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CN110873942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