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063B1 - 빵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빵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063B1
KR102430063B1 KR1020200048122A KR20200048122A KR102430063B1 KR 102430063 B1 KR102430063 B1 KR 102430063B1 KR 1020200048122 A KR1020200048122 A KR 1020200048122A KR 20200048122 A KR20200048122 A KR 20200048122A KR 102430063 B1 KR102430063 B1 KR 10243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late
main body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963A (ko
Inventor
나승원
Original Assignee
나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원 filed Critical 나승원
Priority to KR102020004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0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3/00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반죽된 빵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열선(130)이 배선되며, 전면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형성된 본체(100)를 구비한 빵 발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천정 외면에 형성되는 컨트롤러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150); 내부에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된 상판(210)과, 내부에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열선이 매립된 하판(220)과,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을 상하로 양분하는 분리판(230)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30)에는 수개의 증기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210)의 상부에는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출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22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증기수용홈(SN)으로 수증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입구(222)가 형성되어,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으로 유입된 물이 가열되어 증발하면 증기압에 의해 상기 분리판의 증기홀(232)을 거쳐 상기 상판(210)의 증기수용홈(SN)에 유입된 후 다시 상기 상판(210)의 유출구(212)를 통해 방출되는 증기발생장치(200); 및 일단은 상기 상판(210)의 유출구(21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천정을 관통하여 본체 내부의 수용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출구(212)를 통해 방출되는 수증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빵 발효장치{Bread fermenter}
본 발명은 빵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죽된 빵이 놓인 수용공간에 증기화된 수분을 공급할 때 적절하고 신속하게 수증기를 공급하여 최적의 발효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빵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빵을 발효하면 빵의 물리적 성질이 변화하여 빵에 풍미를 부여하고 식감을 향상시킨다. 즉 기호성을 향상시킨다. 효모와 젖산균은 빵이 발효하는 동안에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여 반죽을 부풀리며 생성된 부산물에 의하여 반죽을 산성화시키고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반죽의 물리적 성질과 단백질의 생물가를 개선 시킨다. 또한, 젖산, 초산 등의 유기산을 생성하여 제품의 보존기간을 늘려주고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질병 예방에 기여하기도 한다.
빵을 발효시키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와 적당한 습도가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온도와 습도 조건을 맞추기 위해 빵을 저장하는 공간을 내부에 마련하고 빵을 진열할 수 있는 빵 발효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발효장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기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작은 물저장통과 물저장통 내에 전열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열선이 가열되면 물저장통의 물이 가열되면서 증발하여 그 증기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발효장치 내부 공간에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발효에 필요한 습도를 맞춘다.
그런데 발효에 필요한 수분의 상태에 따라 발효 시간이나 발효의 질이 달라진다. 발효 시간이 짧을수록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경제적으로 큰 의미가 있고, 발효의 질은 빵의 품질을 결정하므로 제품 경쟁력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수분은 수증기 상태로 공급하는 게 발효의 질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증기 상태로 공급하면서도 수증기 내에 알갱이 상태의 수분이 포함되는 비율이 적을수록 더 좋은 발효의 질을 얻을 수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증기발생장치의 구조를 보면, 소형의 물저장통에 전열선이 배선되어 있어서, 전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어 물저장통의 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무화된 수분을 공급한다.
물저장통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은 솔레노이브밸브를 사용한다. 솔레노이드밸브는 전기적으로 노즐을 조작하여 온/오프 방식으로 개폐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는 상수원과 연결하거나 물저장통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곳에 물탱크와 같은 물공급원을 위치시켜 압력차를 이용하여 의해 공급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를 온 시키면 노즐이 열리면서 물공급원의 물이 물저장통에 공급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닫으면 물공급이 차단된다.
그런데 솔레노이드밸브는 노즐을 개폐하는 시간만 단속하므로 물공급원의 수압에 따라 물공급량이 그때그때 달라진다. 발효장치 내부에는 습도 센서와 온도 감지센서가 있어서 습도가 적정량 이하이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는데, 수압 변화에 따라 물공급량이 달라지므로 물저장통에 미리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적정량 이상의 물을 채워 놓고 수분이 필요할 때마다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물저장통에는 발효장치에서 필요한 양보다 물이 항상 많이 채워져 있어서, 비점까지 가열시키는 시간이 올래 걸린다. 가열 시간이 올래 걸리면 그 시간 동안 발효에 필요한 적정한 수분 공급이 안되므로 발효의 질이 떨어지고 발효 시간도 길어질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수분 공급이 필요 이상이 공급되면 역시 발효의 질도 떨어지고 발효시간도 길어진다.
또한, 물저장통에서 가열된 물이 증발할 때 수증기 뿐만 아니라 알갱이 상태의 물도 수증기에 혼입되는데, 수증기에 혼입된 물은 빵이 발효하는데 악영향을 미쳐서 발효의 질을 떨어뜨리고 발효시간도 길어지게 만든다.
발효장치는 반죽 된 빵을 교체해가면서 계속 사용해야 하므로 발효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결국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발효의 질이 떨어지면 제품의 질도 떨어뜨린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24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16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19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20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효장치 내부에 필요한 수증기를 공급할 때 수증기에 알갱이 상태의 물의 혼입을 최소화하고, 발효장치 내부에서 발효한 적정한 수분이 부족할 때, 단시간에 물을 증기화시켜 공급하여 발효 시간을 단축시키고 발효의 질도 높일 수 있는 솔레노이드펌프 및 증기발생장치를 이용한 빵 발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반죽된 빵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열선(130)이 배선되며, 전면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형성된 본체(100)를 구비한 빵 발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천정 외면에 형성되는 컨트롤러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150); 내부에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된 상판(210)과, 내부에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열선이 매립된 하판(220)과,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을 상하로 양분하는 분리판(230)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30)에는 수개의 증기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210)의 상부에는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출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22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증기수용홈(SN)으로 수증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입구(222)가 형성되어,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으로 유입된 물이 가열되어 증발하면 증기압에 의해 상기 분리판의 증기홀(232)을 거쳐 상기 상판(210)의 증기수용홈(SN)에 유입된 후 다시 상기 상판(210)의 유출구(212)를 통해 방출되는 증기발생장치(200); 및 일단은 상기 상판(210)의 유출구(21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천정을 관통하여 본체 내부의 수용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출구(212)를 통해 방출되는 수증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양만 정확히 공급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폄프를 사용하므로 발효장치내에 필요한 증기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펌프를 사용하므로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도 증기발생장치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저장통의 위치(높이)와 상관없이 물공급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반죽된 빵이 놓여진 수용공간에 수증기를 공급할 때 발효에 악영향을 미치는 작은 물방울의 혼입을 최소화시키는 증기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발효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발효의 질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의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의 컨트롤러박스내에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의 증기발생장치의 분해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에 물공급원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육면체의 본체(100)가 구비된다. 수용공간(110)에는 다층의 선반(120)이 형성된다. 선반(120)에는 반죽하여 형태를 잡은 빵을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빵의 발효시간은 반죽의 재료나 제조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30 ~ 60분 정도이다.
본체(100)의 전면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D)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외측에는 컨트롤러(170)를 보호하는 컨트롤러박스(160)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의 내부(수용공간(110)) 바닥에는 전열선(130)이 설치되어 있고, 벽면에는 송풍팬(140)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140)은 수용공간(110)의 공기를 교반시켜 수용공간의 일측에 수증기가 투입되면 순식간에 수용공간(110)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한다.
본체(100)의 내부 벽면 일측에는 자외선살균램프(150)가 설치된다. 자외선 살균작용은 200~280nm의 자외선 영역인 UV-C 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의 세포막을 투과하여, 더 이상 세포증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DNA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한다. 빵이 발효될 때는 유해균도 증식하므로 발효장치를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가동하여 수용공간의 유해균을 완전히 멸균한 후 발효장치를 다시 가동시킨다. 즉 반죽된 빵이 발효될 때는 자외선 살균램프의 가동을 멈추고,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여 유해균이 많아지면 반죽된 빵을 선반에 올려서 발효시키기 전에 먼저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수용공간의 균들을 멸균한 후 빵을 발효시킨다.
본체(100)의 상면 외측에는 컨트롤러(170)가 설치되고, 상면 테두리에는 컨트롤러(170)를 보호하는 컨트롤러박스(160)가 형성된다.
본체(100) 외측의 상면에는 증기발생장치(200)가 설치된다. 증기발생장치(200)는 물이 공급되면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증발시킴으로써 수증기를 만드는 장치이다. 증기발생장치(200)는 상판(210)과 하판(220)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판(210)과 하판(220)에는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판(210)과 하판(220)이 결합되면 중간에 상판(210)과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이 합해진 크기의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된다.
상판(210)의 상면에는 증기수용홈(SM) 연통되도록 천공된 유출구(212)가 형성된다. 유출구에(212)는 일단은 유출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본체(100)의 외측 상면을 관통하여 수용공간(SN)과 연통되도록 하는 토출관(240)이 연결된다.
하판(220)의 측면에는 천공되어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입구(222)가 형성된다. 유입구(222)에는 물공급원의 물이 후술하는 솔레노이드펌프(250)에 의해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상판(210)과 하판(220) 사이에는 분리판(230)이 형성된다. 분리판(230)은 평판으로서 상판(210)에 형성되는 증기수용홈(SN)과 하판(220)에 형성되는 증기수용홈(SN)이 합쳐져 만들어진 증기수용홈(SN)을 상하로 양분한다. 분리판(230)에 의해 증기수용홈(SN)을 균일하게 양분할 필요는 없지만, 공간을 대략 양분되도록 한다. 즉 상판(210)과 하판(220)의 폭과 길이는 동일하지만 높이는 상하판이 서로 다르게 하여 상판(210)에 형성되는 증기수용홈(SN)과 하판(220)에 형성되는 증기수용홈(SN)의 깊이가 달라지게 할 수도 있다.
분리판(230)에는 3개의 증기홀(232)이 형성된다. 증기홀(232)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그 수를 가감할 수 있다. 증기홀(232)은 내경이 1 ~ 5mm 정도인데, 증기홀(232)의 내경이 클수록 수증기의 토출이 잘되지만, 증기홀(232)을 통해 수증기 내에 증기화 되지 않는 작은 물방울이 혼입되는 비율이 높고, 증기홀(232)의 내경이 작을수록 증기화 되지 않는 물방울의 혼입 비율이 낮아지지만, 토출이 잘되지 않으므로 증기홀(232)의 크기를 1 ~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210)과 하판(220)의 모서리에는 관통되는 볼트홀(bh)을 형성하여 상판(210)과 하판(220)의 볼트홀(bh)에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판(210)과 하판(220)이 결합되면 분리판(230)의 외주가 상판(210)과 하판(220)에 맞물리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컨트롤박스(160)의 일측 벽면에는 솔레노이드펌프(250)가 설치된다. 솔레노이드펌프(250)는 자성체와 전자유도코일을 활용한 펌프로서, 유도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면 유도코일에 자화력이 형성되고, 그 자화력에 의해 발생한 자속에 의해 자성체가 왕복이동함으로써 유체를 흡입 및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펌프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펌프(250)는 그 구조가 다른 펌프에 비해서 단순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용량 및 고압력이 필요한 분야에 이용되었지만, 그동안 빵의 발효장치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솔레노이드펌프(250)는 컨트롤박스(160)의 벽면에 매립되는데, 펌프유입구(252)는 컨트롤박스(160) 외측에 돌출되어 도 7과 같이, 호스(H)를 통해 물공급원(W)에 연결되고, 펌프유출구(254)는 하판(220)의 유입구(222)에 호스(H)를 통해 연결되어 물공급원(W)을 물을 증기수용홈(SN)에 공급한다.
솔레노이드펌프(250)는 컨트롤박스(160)의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컨트롤박스 벽면에 브라켓(B)을 설치하여 솔레노이드펌프(2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D)를 열고 반죽된 빵을 선반(120)에 올려 놓은 후 컨트롤러(170)의 제어에 의해 본체(100)의 바닥에 설치된 전열선(130)을 가열하여, 수용공간(110)을 반죽된 빵을 발효시킬 수 있는 35℃ 정도의 적정온도로 가온시키고, 증기발생장치(200)를 가동시켜 습도가 대략 90%가 되도록 수용공간(110)에 수증기를 토출시킨다.
증기발생장치(200)를 통해 수증기를 수용공간(110)에 토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17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펌프(250)가 작동되면, 솔레노이드펌프(250)의 위치 보다 높거나 낮음에 상관없이, 수돗물과 같이 수압이 없어도, 펌핑작용에 의해 물공급원(W)의 물이 펌프유입구(252)를 유입된 후 펌프유출구(254)를 통해 하판(220)의 유입구(222)로 유입되어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으로 공급된다.
가변적인 물공급원의 수압과 상관없이, 오르지 펌핑 작용에 의해서 물이 유입되므로 설정된 미량의 물이 증기수용홈(SN)으로 공급되면, 컨트롤러(170)의 제어에 의해 하판(220)에 내장된 전열선이 가열되면서 물을 증발시킨다. 증발된 수증기는 분리판(230)의 증기홀(232)을 통해 상판의 증기수용홈(SN)에 분출된다. 이때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물이 증기화 되면서 증기화 되지 않는 작은 물방울까지 혼입되지만, 분리판에 충돌하면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작은 물방울은 다시 증기수용홈(SN) 바닥에 떨어진다. 따라서 분리판(230)의 증기홀(232) 바로 아래의 작은 물방울만 증기화 과정에서 혼입되므로 분리판(230)의 증기홀(232)을 통해 상판의 증기수용홈(SN)으로 유입된 수증기에는 극히 미량의 물방울이 혼입되어 있다.
분리판(230)의 증기홀(232)을 통해 상판(210)의 증기수용홈(SN)에 유입된 수증기는 상판(2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212)로 방출된 후 토출관(240)을 통해 본체(100)의 수용공간(110) 상부에 토출 된다. 수용공간(110)에 토출된 수증기는 압력과 밀도 차이에 의해 수용공간(110)에 자연스럽게 확산되지만, 수용공간(110) 전체에 골고루 확산 되는데 시간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수용공간(110)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팬(140)을 통해 공기를 강제로 교반시키므로 신속하게 수용공간(110) 구석구석까지 수증기를 확산시킨다.
본체(100) 내부(수용공간)에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컨트롤러(170)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증기발생장치(200)와 송풍팬(140) 및 전열선(130)을 가동시키거나 그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수용공간(110)을 반죽된 빵이 발효되는데 필요한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을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토출관(240)을 통해 수용공간(110)에 토출되는 수증기에 작은 물방울의 혼입이 최소화되어 빵의 발효시간을 단축시키고 발효의 질도 크게 향상시킨다.
100 :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선반 130 : 열선
140 : 송풍팬 150 : 자외선램프
160 : 컨트롤박스 170 : 컨트롤러
200 : 증기발생장치 210 : 상판
212 : 유출구 220 : 하판
222 : 유입구 230 : 분리판
240 : 토출관 250 : 솔레노이드펌프
252 : 펌프유입구 254 : 펌프유출구
SN : 증기수용홈 W : 물공급원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반죽된 빵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열선(130)이 배선되며, 전면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형성된 본체(100)를 구비한 빵 발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천정 외면에 형성되는 컨트롤러가 내장된 컨트롤러박스(160);
    상기 컨트롤박스(160)의 벽면에 설치되어, 펌프유입구(252)는 컨트롤박스(160) 외측에 돌출되어 호스(H)를 통해 물공급원(W)에 연결되고, 펌프유출구(254)는 하판(220)의 유입구(222)에 호스(H)를 통해 연결되어 물공급원(W)의 물을 증기수용홈(SN)에 공급하는 솔레노이드펌프(250);
    내부에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된 상판(210)과, 내부에 증기수용홈(SN)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열선이 매립된 하판(220)과,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210)과 하판(2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을 상하로 양분하는 분리판(230)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30)에는 수개의 증기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210)의 상부에는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출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22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증기수용홈(SN)으로 수증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증기수용홈(SN)과 연통되는 유입구(222)가 형성되어, 하판(220)의 증기수용홈(SN)으로 유입된 물이 가열되어 증발하면 증기압에 의해 상기 분리판의 증기홀(232)을 거쳐 상기 상판(210)의 증기수용홈(SN)에 유입된 후 다시 상기 상판(210)의 유출구(212)를 통해 방출되는 증기발생장치(200); 및
    일단은 상기 상판(210)의 유출구(21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천정을 관통하여 본체 내부의 수용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출구(212)를 통해 방출되는 수증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2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수용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교반시키는 송풍팬(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200~280nm의 자외선 영역인 UV-C 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의 세포막을 투과하여, 더 이상 세포증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DNA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는 자외선 램프(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230)에 형성되는 증기홀(232)은 그 수를 가감하거나 그 크기를 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230)은 증기홀의 수나 크기기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 발효장치.
KR1020200048122A 2020-04-21 2020-04-21 빵 발효장치 KR10243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22A KR102430063B1 (ko) 2020-04-21 2020-04-21 빵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22A KR102430063B1 (ko) 2020-04-21 2020-04-21 빵 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63A KR20210129963A (ko) 2021-10-29
KR102430063B1 true KR102430063B1 (ko) 2022-08-05

Family

ID=7823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22A KR102430063B1 (ko) 2020-04-21 2020-04-21 빵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31351A (zh) 2021-09-30 2023-08-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波導顯示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46B1 (ko) * 2013-12-11 2014-02-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도우 발효장치
JP2016217608A (ja) 2015-05-19 2016-12-22 大正電機販売株式会社 オーブ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541B1 (ko) * 2001-05-02 2003-10-17 한국기계연구원 증기분사식 골무관 가습기
KR100392440B1 (ko) 2001-05-11 2003-07-22 지종민 제빵용 발효기의 온·습도 조절장치
KR100662092B1 (ko) 2004-10-20 2006-12-28 김현섭 발효기 겸용 제빵기
KR20090121901A (ko) 2008-05-23 2009-11-26 최정자 제빵용 발효장치
KR20110082794A (ko)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발생장치
KR101549497B1 (ko) * 2013-10-23 2015-09-03 유영로 스팀발생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46B1 (ko) * 2013-12-11 2014-02-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도우 발효장치
JP2016217608A (ja) 2015-05-19 2016-12-22 大正電機販売株式会社 オーブ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63A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62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처리장치
CN105115233B (zh) 蒸汽杀菌风冷冰箱
JP5727187B2 (ja) インキュベータ
KR102430063B1 (ko) 빵 발효장치
SU125233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твердофазной ферментации
KR101198338B1 (ko) 발효식품 제조 장치
US20080220138A1 (en) Process and Equipment to Deactivate Grains
CN208911029U (zh) 一种中药材灭菌装置
CN107298255B (zh) 保鲜箱
KR20170079662A (ko)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20120048251A (ko) 친환경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퇴비 제조장치
CN215583091U (zh) 一种营养豆奶自动化生产温控装置
KR100449184B1 (ko) 인삼 증숙장치
US200700948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ooden materials with ozone
EP2740494A1 (en) Microwave sterilizer for liquids
KR101161833B1 (ko) 고추건조기
CN210930935U (zh) 具备加湿功能的食材热处理装置
CN208989726U (zh) 一种生产调料用混合灭菌装置
CN2633098Y (zh) 多功能日用品贮柜
KR200293287Y1 (ko) 발효식품 및 미생물제제의 발효 시스템
CN214071598U (zh) 一种管道式液态食品射频杀菌装置
KR101040278B1 (ko) 멀티 인큐베이터
KR101747545B1 (ko) 플라즈마 처리 로스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커피원두 처리 방법
CN208641336U (zh) 一种微波杀菌装置
CN220385451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节能式循环蒸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