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662A - 농산물 살균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살균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662A
KR20170079662A KR1020150190463A KR20150190463A KR20170079662A KR 20170079662 A KR20170079662 A KR 20170079662A KR 1020150190463 A KR1020150190463 A KR 1020150190463A KR 20150190463 A KR20150190463 A KR 20150190463A KR 20170079662 A KR20170079662 A KR 20170079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chamber
drying
outside ai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597B1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19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5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의 살균작용과 함께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을 극대화한 농산물 살균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1)에 의해 개폐되고 온풍에 의해 농작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과 건조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2)가 형성된 건조실 본체(10)와, 건조실 본체(10) 천장에 설치되어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고 저면 중심부에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획된 멀티 흡입구(20)가 마련된 천장 덕트(30)와, 천장 덕트(30) 내측 멀티 흡입구(20) 상측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 히터(40)가 위치되어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하는 송풍기(50)와, 송풍기(50)에서 생성된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는 천장 덕트(30)와 연통되고 건조실 본체(10)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온풍 통로를 형성하되 건조실(11)로 온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온풍 토출공(61)이 천공된 측벽 덕트(60) 및, 건조실 본체(10) 상면에 천공된 외기 흡입구(3)에 설치되어 멀티 흡입구(20)로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흡입 덕트(70)를 따라 건조실(11) 내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오존 발생기(8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오존의 살균작용과 함께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함으로써 건조실 공기의 재 가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과 함께 건조상태의 외기 유입으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농산물 살균 건조기{Agricultural products sterilization dryer}
본 발명은 농산물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의 살균작용과 함께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을 극대화한 농산물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건조기는 감, 고추, 대추, 오미자, 약초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인공적으로 말려 저장력을 높이거나 곶감 등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0148호(2005. 9. 13. 공개)는 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건조실의 측벽과 격벽에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들과 발열장치들로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은 측벽에 온풍이 이동하면서 건조실의 내부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부 및 구멍들과, 건조실의 가운데에는 격벽을 형성하여 온풍이 이동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격벽의 하단은 좌우측으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토출구를 형성하며, 건조기의 상부에는 건조실과 연통된 온풍회수관을 발열장치의 후미와 연결하며, 발열장치는 작동레바가 구비된 풍량조절구와 온풍을 건조실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온풍을 만들기 위한 히터와 온풍을 살균하고 온풍에 오존을 형성시키기 위한 오존발생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농산물 건조기는 건조실 내의 온풍을 온풍회수관을 통해 회수하여 재가열하는 순환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열풍 내의 수증기가 건조실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못해 건조실 내부가 고온 다습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건조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존의 살균작용과 함께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함으로써 에너지의 절감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농산물 살균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1)에 의해 개폐되고 온풍에 의해 농작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과 건조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2)가 형성된 건조실 본체(10)와, 건조실 본체(10) 천장에 설치되어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고 저면 중심부에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획된 멀티 흡입구(20)가 마련된 천장 덕트(30)와, 천장 덕트(30) 내측 멀티 흡입구(20) 상측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 히터(40)가 위치되어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하는 송풍기(50)와, 송풍기(50)에서 생성된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는 천장 덕트(30)와 연통되고 건조실 본체(10)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온풍 통로를 형성하되 건조실(11)로 온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온풍 토출공(61)이 천공된 측벽 덕트(60) 및, 건조실 본체(10) 상면에 천공된 외기 흡입구(3)에 설치되어 멀티 흡입구(20)로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흡입 덕트(70)를 따라 건조실(11) 내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오존 발생기(80)가 구비된다.
상기의 멀티 흡입구(20)는 건조실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90)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의 살균작용과 함께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모두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함으로써 건조실 공기의 재 가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과 함께 건조상태의 외기 유입으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운전 중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초기 운전 중에는 수분함량이 높은 건조실 공기를 충분히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온풍 생성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의 온풍 생성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는 도어(1)에 의해 개폐되고 온풍에 의해 농작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과 건조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2)가 형성된 건조실 본체(10)와, 건조실 본체(10) 천장에 설치되어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고 저면 중심부에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획된 멀티 흡입구(20)가 마련된 천장 덕트(30)와, 천장 덕트(30) 내측 멀티 흡입구(20) 상측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 히터(40)가 위치되어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하는 송풍기(50)와, 송풍기(50)에서 생성된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는 천장 덕트(30)와 연통되고 건조실 본체(10)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온풍 통로를 형성하되 건조실(11)로 온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온풍 토출공(61)이 천공된 측벽 덕트(60) 및, 건조실 본체(10) 상면에 천공된 외기 흡입구(3)에 설치되어 멀티 흡입구(20)로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흡입 덕트(70)를 따라 건조실(11) 내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오존 발생기(8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건조실 본체(10)는 단열재질의 판재를 이용하여 상자형태로 조립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건조실 본체(10)는 내측에 온풍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과 건조실(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가 힌지를 매개로 설치된다. 그리고 건조실 본체(10)는 상부에 건조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2)가 형성된다.
천장 덕트(30)는 건조실 본체(10) 천장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로, 저면 중심부에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멀티 흡입구(20)가 마련된다. 여기서 멀티 흡입구(20)는 송풍기(50)의 흡입력에 의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가 일정량 흡입될 수 있도록 건조실(11)과 연통된 건조실 흡입부(21)와 후술하는 흡입 덕트(70)에 의해 외기 흡입구(3)와 연통된 외기 흡입부(22)가 구획 설치된다.
송풍기(50)는 단흡입형 원심팬으로 양호하게 구현되는데, 천장 덕트(30) 내측 멀티 흡입구(20) 상측에 설치되고 이때 흡입측이 멀티 흡입구(20)를 향한다. 또한 송풍기(50)와 멀티 흡입구(20) 사이에 히터(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기(50)의 구동으로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되는 건조실 공기와 외기는 히터(4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송풍기(50)는 온풍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측벽 덕트(60)는 천장 덕트(30)와 연통되는데, 건조실 본체(10)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온풍 통로를 형성하고, 건조실(11)로 온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온풍 토출공(61)이 천공된다. 따라서 송풍기(50) 측에서 생성된 온풍을 건조실(11) 내에 고르게 공급하여 농산물 등을 건조할 수 있게 된다.
흡입 덕트(70)는 송풍기(50) 측으로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로, 건조실 본체(10) 상면에 천공된 외기 흡입구(3)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송풍기(50) 하측 멀티 흡입구(2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기(50)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발생하면 흡입 덕트(70)에 의해 외기가 안내되어 건조실 본체(10) 내측으로 외기가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오존 발생기(80)는 외기 흡입구(3)에 설치되어 오존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발생된 오존은 송풍기(50)의 구동에 따른 외기의 유입으로 흡입 덕트(70)를 통해 건조실 본체(10)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송풍기(50), 히터(40), 오존발생기(80)는 온도검출기(미도시)를 통해 검출된 건조실 내의 온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조건에 따라 컨트롤러(100)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살균 건조기는 전원이 공급되면 송풍기(50) 및 히터(40), 오존발생기(80)가 작동되는데, 송풍기(50) 및 히터(40)의 작동으로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가 히터(40)를 경유하여 송풍기(50) 측으로 흡입됨으로써 온풍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온풍은 천장 덕트(30)에 의해 양 측벽으로 안내되어 측벽 덕트(60)를 따라 건조실(11)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온풍 토출공(61)을 통해 건조실(11) 내로 토출되어 농산물 등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히터(40)는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는데, 온도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건조실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히터(40)가 오프되고, 설정온도 이하이면 히터(40)가 온되어 건조완료시까지 히터(40)가 온/오프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호 구획된 건조실 흡입부(21)와 외기 흡입부(22)로 이루어진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가 일정량 흡입됨에 따라 에너지 절감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먼저, 송풍기(50)의 흡입력에 의해 건조실 공기가 송풍기(50) 측으로 흡입되는 경우 건조실 공기가 일정온도 이상이므로 적은 열량으로 온풍을 생성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실 공기에는 농산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히터(4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일부 증발하여 건조상태로 바뀌게 된다.
다음으로, 송풍기(50)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가 송풍기(50) 측으로 흡입되는 경우 외기가 건조실 공기보다 더 건조한 상태이므로, 건조상태의 온풍을 생성할 수 있어 농산물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가 흡입되고, 외기의 유입량만큼 환기구(2)를 통해 수분을 포함한 건조실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건조실(11) 내부를 보다 건조한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오존발생기(80)가 작동하는 경우 외기 흡입시 공기를 매개로 하여 오존이 건조실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오존발생기(80)는 컨트롤러(100)에 의해 프로그램된 주기에 따라 작동하여 오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온풍에 오존이 함유되어 건조과정에서 미생물을 살균함으로써 농산물에 곰팡이 발생, 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댐퍼(90)는 컨트롤러(100)에 의한 제어 또는 수동의 방법으로 멀티 흡입구(20)를 이루는 건조실 흡입부(21)를 부분 개폐하여 송풍기(50) 측으로 흡입되는 건조실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운전 초기에는 농산물 자체 수분함량이 높아 건조실 공기의 습도가 높고, 이후 농산물이 건조됨에 따라 건조실 공기의 습도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 초기에는 수분을 함유한 건조실 공기를 충분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댐퍼(90)에 의해 건조실 흡입부(21)의 개방 정도를 줄여 외기의 흡입량을 늘리고, 운전 중기 이후로는 건조실 흡입부(21)를 모두 개방하여 건조실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은 물론이고 건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도어
2 : 환기구
10: 건조실 본체
11: 건조실
20: 멀티 흡입구
21: 건조실 공기 흡입부
22: 외기 흡입부
30: 천장 덕트
40: 히터
50: 송풍기
60: 측면 덕트
61: 온풍 토출공
70: 흡입 덕트
80: 오존발생기
90: 댐퍼
100: 컨트롤러

Claims (2)

  1. 도어(1)에 의해 개폐되고 온풍에 의해 농작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과 건조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2)가 형성된 건조실 본체(10)와,
    상기 건조실 본체(10) 천장에 설치되어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고 저면 중심부에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획된 멀티 흡입구(20)가 마련된 천장 덕트(30)와,
    상기 천장 덕트(30) 내측 상기 멀티 흡입구(20) 상측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 히터(40)가 위치되어 상기 멀티 흡입구(20)를 통해 건조실 공기와 외기를 흡입하여 온풍을 생성하는 송풍기(50)와,
    상기 송풍기(50)에서 생성된 온풍을 양 측벽으로 안내하는 상기 천장 덕트(30)와 연통되고 상기 건조실 본체(10)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온풍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건조실(11)로 온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온풍 토출공(61)이 천공된 측벽 덕트(60) 및,
    상기 건조실 본체(10) 상면에 천공된 외기 흡입구(3)에 설치되어 상기 멀티 흡입구(20)로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흡입 덕트(70)를 따라 상기 건조실(11) 내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오존 발생기(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살균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흡입구(20)는 건조실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9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1020150190463A 2015-12-30 2015-12-30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101861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463A KR101861597B1 (ko) 2015-12-30 2015-12-30 농산물 살균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463A KR101861597B1 (ko) 2015-12-30 2015-12-30 농산물 살균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662A true KR20170079662A (ko) 2017-07-10
KR101861597B1 KR101861597B1 (ko) 2018-05-28

Family

ID=5935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463A KR101861597B1 (ko) 2015-12-30 2015-12-30 농산물 살균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283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태광이앤비 농산물 살균건조기
KR20230107924A (ko) 2022-01-10 2023-07-18 곽동훈 4방향 열풍식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97085Y1 (ko) 2023-01-18 2023-07-24 김정희 농수산물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37B1 (ko) * 2009-12-18 2012-06-13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597B1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460B1 (ko) 발아기 겸용 고추 건조기
KR101460024B1 (ko) 제습장치가 내장된 풍향 전환형 감 건조기
KR100929281B1 (ko) 농수산물의 열풍순환식 건조시스템
KR101861597B1 (ko)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KR100799345B1 (ko)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US11375873B2 (en) Air blow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KR200901024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CN111685577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46341B1 (ko) 건조기
KR101738070B1 (ko) 결로현상을 이용한 초절전 건조기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0437956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03920Y1 (ko) 고추 건조기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0569149B1 (ko) 다목적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20080089531A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1721797B1 (ko) 목재건조장치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CN111481690A (zh) 一种消毒柜风道结构
KR101884650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WO2022257420A1 (zh)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