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85Y1 - 농수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85Y1
KR200497085Y1 KR2020230000121U KR20230000121U KR200497085Y1 KR 200497085 Y1 KR200497085 Y1 KR 200497085Y1 KR 2020230000121 U KR2020230000121 U KR 2020230000121U KR 20230000121 U KR20230000121 U KR 20230000121U KR 200497085 Y1 KR200497085 Y1 KR 200497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s
coupled
dryer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희
김용실
Original Assignee
김정희
김용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김용실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2020230000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 측면판, 후면판과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 및 도어; 상기 측면판의 양측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세워지고, 절삭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토출공이 형성된 한쌍의 측판; 상기 외부 케이스와 측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면을 막고, 건조실 내측으로 연장된 레일설치대; 상기 레일설치대에 가로로 설치된 채반레일; 사각판으로 상기 한쌍의 측판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하향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절삭부에 결합되고, 옆판에 의해 상기 하향절곡부의 양측면이 닫힌 상판; 중심부에 축홀이 형성되며, 개방된 하부가 상기 상판의 흡입구와 양측 절삭부를 덮는 덕트; 상기 덕트의 축홀을 통해 결합되는 송풍모터와 송풍팬; 상기 후면판의 중상부에 형성된 배기구와 상부에 형성된 통풍구; 상기 덕트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감속모터;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봉;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어 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승강대; 상기 승강대에 가로로 결합되어 건조실의 내부를 비추는 적외선램프; 상기 레일설치대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램프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건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에 의해 감속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도록 구성된 릴레이;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반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기{An farming and fisheries industry dryer}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실의 양측에 감속모터, 커플러, 나사봉이 설치되고, 나사봉에 나사결합된 이송대에 적외선램프가 결합되어 무거운 회전선반을 돌리는 대신에 가벼운 적외선램프를 상하로 움직이며 적외선을 농수산물에 조사하여 농수산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된 농수산물 건조기에 대한 것이다.
고추, 버섯, 담배, 인삼, 약초 등을 비롯한 농산물과 멸치 등의 생선, 김, 미역 등의 수산물은 종래에는 하우스 내부나 노지의 멍석 위에서 햇볕과 바람에 의해 자연건조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일조시간에 맞추어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펼쳐 널거나 거두고, 때때로 뒤집기를 해야 하는 등의 많은 인력이 소모되어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농수산업용 건조기가 출시되어 일조시간이나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농어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농수산업용 건조기는 건조실 내의 건조용 채반에 건조 대상물을 담은 후, 버너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간접 가열한 열풍을 건조실 내로 강제 송풍시키고, 건조열풍이 건조 대상물을 통과한 후 재순환하거나, 제습을 위해 일부를 건조실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건조기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는 자연건조에 비해 짧은 시간에 상품가치가 높은 건조물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농수산물 건조기는 채반을 고정 거치하고 열풍을 고정된 채반을 향해 송풍하는 정치식 건조기와, 건조용 채반을 컨베이어에 올려 놓거나 회전축이 설치된 선반에 올려놓고 컨베이어를 순환시키거나 선반을 회전시키는 순환식 건조기로 크개 대별할 수 있다.
정치식 건조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1597호 농산물 살균 건조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정치식 농산물 살균 건조기는 히터를 이용해 열품을 만들지만 수많은 채반을 실은 선반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없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되고, 건조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잇점이 있지만, 양측면에 설치된 측면덕트의 토출공을 통해서만 온풍이 건조실 내부로 들어오고, 건조실의 전후방 측면에는 토출공이 없어 온풍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건조가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순환식 건조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5343호 농수산물 건조기를 들 수 있는데, 상기 기술은 건조실의 상부에 회전구동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의 축에 다수의 채반지지대가 결합된 회전봉이 설치되고, 농수산물을 담은 다수의 채반을 채반지지대 위에 올려놓으며, 건조실의 상부에 송풍기와 히터가 설치되어 온풍을 격벽의 내측에 형성된 타공을 통해 주입하면서 회전봉과 채반지지대를 회전시키는 건조기로, 정치식 건조기에 비해 건조대상물이 고르게 건조되는 장점이 있지만 농수산물이 담긴 무거운 채반을 회전시키기 위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온풍을 공급하는 양측 격벽 사이의 거리가 멀어 회전봉 근처에 있는 건조대상물은 격벽 근처에 비해 건조정도가 떨어지며, 네 모서리에 빈공간이 발생하여 건조기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15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534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조대상물이 더 고르게 건조가 되도록 하면서도, 에너지 소비량을 더 줄일 수 있고, 채반의 탑재와 회수가 간편하며, 건조실의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단열재와 결합된 바닥판 측면판, 후면판과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110); 및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된 도어(120); 상기 측면판의 양측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세워지는 사각판의 상부에 일정 폭으로 절삭된 절삭부(140)가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열을 이루는 다수의 토출공(150)이 형성된 한쌍의 측판(130); 상기 외부 케이스(110)와 측판(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면을 막고, 건조실 내측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된 레일설치대(160); 상기 레일설치대(160)에 가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채반레일(170); 사각판으로 상기 한쌍의 측판(130)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다수의 타공 또는 매쉬로 이루어진 흡입구(220)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130)의 절삭부(140)에 결합되고, 옆판에 의해 상기 하향절곡부(230)의 양측면이 닫힌 상판(200);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 축홀(260)이 형성되며, 개방된 하부가 상기 상판(200)의 흡입구(220)와 양측 절삭부(140)를 덮는 덕트(250); 상기 덕트(250)의 축홀(260)을 통해 결합되는 송풍모터와 송풍팬(300); 상기 후면판의 중상부에 형성된 배기구(320)와 상부에 형성된 통풍구(350); 상기 덕트(250)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감속모터(500); 상기 감속모터(500)의 회전축에 커플러(550)를 통해 연결되어 채반레일(170)과 측판(13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봉(600);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나사봉(600)에 나사결합되어 나사봉(60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승강대(630); 상기 승강대(630)에 가로로 결합되어 건조실의 내부를 비추는 적외선램프(650); 상기 레일설치대(160)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램프(650)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700); 건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센서(700)의 신호에 의해 감속모터(50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도록 구성된 릴레이(750);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반(800)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은 채반이 실린 무거운 회전체의 구동하는 대신에 가벼운 적외선램프를 승하강시키는 방식으로 바꿔 에너지 소비량이 줄고, 건조실 공간이 줄어 건조시간이 줄어들며, 채반의 탑재와 회수가 용이하며, 이송과 보관의 부담이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전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분해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건조실 상부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건조실 하부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건조실 하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농수산물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건조실이 있는 측을 내측이라고하고 도어가 결합된 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후면판이 있는 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분해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건조실 상부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건조실 하부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건조실 하부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순환식 건조기에서 수많은 채반이 탑재된 회전체를 강력한 모터를 이용해 회전시키면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채반을 시렁에 탑재하면서 여러 장의 채반을 하나씩 시렁에 꼽은 후 회전체를 돌려가며 다음칸의 시렁에 꼽는 방법으로 탑재하므로, 채반을 시렁에 탑재하는 일이 번거롭고, 건조가 끝나고 나서도 채반을 건조기에서 빼낼 때 번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고, 건조기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고, 이송과 보관이 불편하므로,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면서도 농수산물을 고르게 건조시키기고 농수산물을 간편하게 건조시키고, 이송과 보관 편의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농수산물 건조기(100)의 건조실(400)의 구조를 설명하자면, 외부 케이스(110)는 바퀴가 부착된 바닥판 측면판, 후면판과 상부판으로, 통상 단열재와 결합된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되고, 전면에는 단열재가 결합된 도어(120)가 결합되는데, 고무 등으로 제작된 사각형 가스켓(520)이 건조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도어(120)를 닫았을 때 건조실 내부를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닥판에 양 측면판이 세워지고, 측면 케이스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세워지는 측판(130)은 열전달 효과가 좋고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 재질로, 크게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위에서 내려오는 열풍의 통로가 되는 절삭부(140)가 상부에 형성된다. 절삭부는 상부 폭은 넓고 하부는 좁은 평행사변형 형태로 절삭한 후 양측 돌출된 양측을 내측으로 절곡하면 후술하는 상판(200)의 하향절곡부(230)와 결합시 하향절곡부(230)의 측면을 막는 옆판이 되어 용접할 부분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측판(130)에는 다수의 토출공(150)이 수평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수평으로 열을 이룬 토출공(150)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고, 측판의 양측에는 외부 케이스(110)와 측판(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면을 막고, 일정 폭 연장되어 채반레일(170)을 설치하기 위한 레일설치대(160)가 결합되며, 레일설치대(160)의 단부는 건조실(400)의 내측으로 일정 폭으로 절곡하여 채반레일(170)을 고정하는 장소가 되게 한다. 채반레일(170)은 레일설치대(160)의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가로로 용접 등을 이용해 결합한다.
측판(130)의 상부에는 상판(200)이 결합되는데, 상판은 중앙부에 다수의 타공 또는 매쉬로 이루어져 건조실(400)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하기 위한 흡입구(220)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흡입된 공기를 건조실로 되돌리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230)가 형성되고, 측판(130)의 절개부에 연결된 후 옆판이 부착되면 송풍통로의 상부가 완성된다.
상판(200)의 상부에는 흡입구(220)로부터 건조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건조실로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250)가 결합된다. 턱트는 단면이 "ㄷ"형상으로 연장되어 길다란 사각 함체 형상으로, 판을 절곡하여 만들며, 중심부에는 송풍모터의 축을 삽입하기 위한 축홀(260)이 형성되고, 함체 형태의 열린 하부가 상판(200)의 흡입구(220)와 양측 절삭부(140)를 덮는 형태로 결합된다.
덕트(250)의 축홀(260) 상부에는 송풍모터가 결합되고, 송풍모터의 축이 축홀을 통해 연장되어 덕트(250)의 내부에는 모터축에 송풍팬이 결합되어 흡입구(220)를 통해 건조실의 공기를 흡입하고, 덕트(250)의 양측으로 보내 순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후면판의 상부에는 건조실의 습도가 높은 공기의 일부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배기구(320)가 형성되고, 필요시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건조 초기에는 배기구(320)를 충분히 개방하여 습도가 높은 공기를 신속히 배출하고, 어느정도 건조가 이루어진 단계에서는 콘트롤러(900)의 제어에 의해 배기구(320)의 일부를 닫도록 하면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원 고안에서 사용되는 열원은 형광등 처럼 길다란 적외선 램프를 이용한다. 적외선은 파장 0.75∼3㎛의 근적외선, 3∼25㎛의 것을 적외선, 25㎛ 이상의 원적외선을 포함하고, 측판(130)의 양측에 한개씩 설치되어 일측이 상승하면, 타측이 하강하고, 일측이 하강하면 타측이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덕트(250)의 상부 양측에는 저용량의 감속모터(500)가 각각 결합되고, 감속모터(500)의 회전축에 몸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나사봉(600)이 커플러(550)에 의해 연결된다. 커플러(550)는 원통 형태로 상하부에 볼트가 결합된 것으로 상부에 감속모터(500)의 회전축을 삽입하고, 하부에 나사봉(600)을 삽입한 후 상하부에 결합된 볼트를 조이면 회전축과 나사봉(600)을 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나사봉(600)을 설치하기 위해 상판(200)의 하향절곡부(230)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커플러(550)는 덕트(250)와 하향절곡부(230) 사이의 열풍 통로에 위치하게 된다. 적외선램프(65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나사봉(600)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승강대(630)가 나사봉(600)에 세로로 나사결합되어 나사봉(6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 승강대(630)에는 반사갓(690)이 고정되고, 반사갓(690)의 양단에 결합된 소켓에 적외선램프(650)가 삽입된다. 적외선램프(650)에 연결된 전선은 반사갓(69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적외선램프(650)와 함께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승강대(630)의 방향전환을 위해 레일설치대(16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적외선램프(650)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700)가 각각 설치되어 콘트롤러(900)로 접근정보를 보내면 콘트롤러(900)는 감속모터(500)의 측면에 설치된 릴레이(750)에 신호를 보내 릴레이(750)가 감속모터(50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면 감속모터의 회전방향이 바뀌고, 나사봉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대에 부착된 적외선램프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게 된다.
채반레일(170)에는 사각 바구니 형태의 채반(800)이 복수로 삽입 거치된다. 채반(800)의 바닥에는 바닥판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거나 매쉬형태로 구성되어 통풍이 잘 되고, 채반(800)이 후면판이나 도어(120)에 붙어있으면 통풍이 잘 안되므로, 후면판과 도어(12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막대(890)가 세로로 부착되어 채반(800)이 후면판이나 도어(12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실에는 건조 대상물에 습기가 많아 곰팡이 등의 병균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순환되는 공기가 집중되는 건조실 상부의 흡입구(220)의 하부에 자외선 살균장치(8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살균장치(870)로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것이 간편하다. 자외선이란 10~400nm에 이르는 파장인데 파장 영역에 따라 UV-A, UV-B, UV-C, VUV 등으로 나뉘며 전기파는 파장이 짧을수록 강한 에너지를 가지므로, UV-C 발생기가 바람직하고, UV-C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DNA를 파괴하는 살균 방식이니 거의 모든 균종에 유효한 살균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자외선 빛은 사람의 눈, 피부에 노출되면 해로우므로, 콘트롤러(900)에 의해 건조기가 가동시에만 작동되고, 도어(120)를 열면 즉시 멈추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실의 일측에는 온도센서(820)가 부착되어 콘트롤러(900)의 제어에 의해 건조실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온도가 내려갈 때까지 적외선램프(650)의 작동을 일시 멈추게 하도록 한다.
건조기의 전면 상부에는 근접센서(700)의 신호를 받아 릴레이(750)를 제어하여 적외선 램프의 작동방향을 전환하고, 건조실의 온도신호를 바탕으로 적외선램프(650)의 작동을 제어하며, 배기구(3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900)가 설치된다. 콘트롤러(900)에는 온도설정, 배기구(320) 개폐조절, 자외선 살균장치(870)를 자동 수동전환버튼 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제품 건조기를 제작하여 고추건조와 풋고추 건조를 실험한 결과, 적외선을 집중적으로 비추고, 건조실 공간이 줄어 건조시간이 순환식 건조기에 비해 2배 정도 단축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전력 소비량이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회전체를 돌리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이 불필요하여 채반의 탑재와 회수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었다.
100 : 농수산물 건조기 110 : 외부 케이스
120: 도어 130: 측판
140 : 절삭부 150 : 토출공
160 : 레일설치대 170 : 채반레일
200 : 상판 220 : 흡입구
230 : 하향절곡부 250 : 덕트
260 : 축홀 300 : 송풍모터와 송풍팬
320 : 배기구 350 : 통풍구
400 : 건조실 500 : 감속모터
550 : 커플러 600 : 나사봉
630 : 승강대 650 : 적외선램프
690 : 반사갓 700 : 근접센서
750 : 릴레이 800 : 채반
820 : 온도센서 850 : 가이드 부싱
870 : 자외선 살균장치 890 : 간격막대
900 : 콘트롤러

Claims (5)

  1. 단열재와 결합된 바닥판 측면판, 후면판과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110); 및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된 도어(120);
    상기 측면판의 양측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세워지는 사각판의 상부에 일정 폭으로 절삭된 절삭부(140)가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열을 이루는 다수의 토출공(150)이 형성된 한쌍의 측판(130);
    상기 외부 케이스(110)와 측판(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면을 막고, 건조실 내측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된 레일설치대(160);
    상기 레일설치대(160)에 가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채반레일(170);
    사각판으로 상기 한쌍의 측판(130)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다수의 타공 또는 매쉬로 이루어진 흡입구(220)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130)의 절삭부(140)에 결합되고, 옆판에 의해 상기 하향절곡부(230)의 양측면이 닫힌 상판(200);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 축홀(260)이 형성되며, 개방된 하부가 상기 상판(200)의 흡입구(220)와 양측 절삭부(140)를 덮는 덕트(250);
    상기 덕트(250)의 축홀(260)을 통해 결합되는 송풍모터와 송풍팬(300);
    상기 후면판의 중상부에 형성된 배기구(320)와 상부에 형성된 통풍구(350);
    상기 덕트(250)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감속모터(500);
    상기 감속모터(500)의 회전축에 커플러(550)를 통해 연결되어 채반레일(170)과 측판(13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봉(600);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나사봉(600)에 나사결합되어 나사봉(60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승강대(630);
    상기 승강대(630)에 가로로 결합되어 건조실의 내부를 비추는 적외선램프(650);
    상기 레일설치대(160)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램프(650)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700);
    건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센서(700)의 신호에 의해 감속모터(50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주도록 구성된 릴레이(750);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반(800)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 온도신호를 상기 콘트롤러(900)로 보내는 온도센서(820); 및
    상기 나사봉(600)의 하부를 감싸는 가이드 부싱(85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양측에 한개씩 설치된 상기 적외선램프(650) 중 일측이 상승하면, 타측이 하강하고, 일측이 하강하면 타측이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와 측판(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면을 막는 레일설치대(160)에 복수의 토출공(150)이 형성되어 건조실의 전면과 후면측에 열풍을 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220)의 하부에는 자외선 살균장치(870)가 설치되어 건조실의 공기가 순환도중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KR2020230000121U 2023-01-18 2023-01-18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97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121U KR200497085Y1 (ko) 2023-01-18 2023-01-18 농수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121U KR200497085Y1 (ko) 2023-01-18 2023-01-18 농수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85Y1 true KR200497085Y1 (ko) 2023-07-24

Family

ID=8742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121U KR200497085Y1 (ko) 2023-01-18 2023-01-18 농수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8444A (zh) * 2024-03-15 2024-04-19 福州亿达食品有限公司 一种海带酥生产加工装置及其制备方法
CN117898444B (zh) * 2024-03-15 2024-05-31 福州亿达食品有限公司 一种海带酥生产加工装置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064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아스텍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795343B1 (ko) 2017-06-27 2017-11-09 윤정희 농수산물 건조기
KR101817233B1 (ko) * 2016-12-05 2018-01-10 (주)지에스판넬 농수산물 건조기
KR101861597B1 (ko) 2015-12-30 2018-05-28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20200113373A (ko) * 2019-03-25 2020-10-07 씨원 주식회사 원적외선 식품건조기
CN218269911U (zh) * 2022-10-24 2023-01-10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生物材料加工用杀菌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064A (ko) *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아스텍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861597B1 (ko) 2015-12-30 2018-05-28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101817233B1 (ko) * 2016-12-05 2018-01-10 (주)지에스판넬 농수산물 건조기
KR101795343B1 (ko) 2017-06-27 2017-11-09 윤정희 농수산물 건조기
KR20200113373A (ko) * 2019-03-25 2020-10-07 씨원 주식회사 원적외선 식품건조기
CN218269911U (zh) * 2022-10-24 2023-01-10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生物材料加工用杀菌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8444A (zh) * 2024-03-15 2024-04-19 福州亿达食品有限公司 一种海带酥生产加工装置及其制备方法
CN117898444B (zh) * 2024-03-15 2024-05-31 福州亿达食品有限公司 一种海带酥生产加工装置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0799345B1 (ko)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US20150257432A1 (en) Fruit dehydrator
KR20170080988A (ko) 곤충 건조 장치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0414638Y1 (ko) 벌크 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KR20042415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9708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0665659B1 (ko) 열풍순환식 농작물 건조장치
KR200191864Y1 (ko) 부화기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KR100497325B1 (ko) 빨래 건조대
KR101347078B1 (ko) 농수산물 건조 장치
CN213130981U (zh) 杀菌烘干机
KR101827896B1 (ko)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US2784662A (en) Cabinet for bakery products
KR100932445B1 (ko)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KR101007204B1 (ko) 다기능 건조기
KR102445397B1 (ko)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KR20230107924A (ko) 4방향 열풍식 농수산물 건조기
US20220007663A1 (en) Improved plant for the treatment of vegetal products
JPH08327235A (ja) 乾燥機
KR200316690Y1 (ko) 빨래 건조대
KR100746727B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0997221B1 (ko)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