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233B1 - 농수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7233B1 KR101817233B1 KR1020160164528A KR20160164528A KR101817233B1 KR 101817233 B1 KR101817233 B1 KR 101817233B1 KR 1020160164528 A KR1020160164528 A KR 1020160164528A KR 20160164528 A KR20160164528 A KR 20160164528A KR 101817233 B1 KR101817233 B1 KR 101817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agricultural
- box
- dryer
- marine produc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자형 박스 외관 상단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상단의 중앙에 설치된 제1 모터와 측단의 일측에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문으로 구성되고, 상자형 박스의 내부 중앙에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이 설치되는 건조대와, 상자형 박스의 내부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박스 내부 열기를 유지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하여, 농수산물의 인위적 건조 처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에서 근적외선 빛을 이용하여 건조물을 건조함과 동시 순환하는 열풍으로 건조의 효율을 높이며, 자연광을 조사하는 효과인 살균, 소독 효과를 거둘 수 있고, 건조물의 일부만이 건조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가 고르게 건조될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들 중 건조가 필요한 대부분의 농수산물은 자연 채광과 함께 자연 바람을 쐬는 방식으로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농수산물의 도매상 매도 시기가 시장 상황에 따라 급변경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자연 건조 방식으로는 도매상의 매도 납기일을 맞출 수 없는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 건조는 말 그대로 인위 건조가 아닌 관계로 건조 기간을 인위적으로 단축시킬 수 없기 때문에 특히, 농수산물과 같은 수확물은 건조 기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자연 건조는 날씨 상황을 매일 확인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인데, 비오늘 날일 때에는 농수산물을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처럼, 농수산물에 대한 자연 건조는 건조 기간의 인위적인 단축이 불가하고, 날씨 상황을 매일 체크하며, 돌풍과 우기 시 농수산물의 회수와 같은 번거로움 문제로 자연 건조에 까다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 건조의 대안으로 인위적인 건조를 건조기들이 개발되거나 출시되고 있으며 종래의 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0635474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종래의 등록특허는 순환식 열풍 건조기로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물을 인위적으로 건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순환식 열풍 건조기는 단순히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물을 건조하는 관계로 건조물의 내부 깊은 부위까지 조사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특히, 안전성에 비중을 둔 식품류인 농수산물 건조에는 부적합하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적외선 조사로 농수산물의 내부 깊은 부위에 이르기까지 조사할 수 있음에 따라 농수산물 전체의 소독 처리 효과로 건조 처리된 농수산물에 대한 섭취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자형 박스 외관 상단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상단의 중앙에 설치된 제1 모터와 측단의 일측에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문으로 구성되고, 상자형 박스의 내부 중앙에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이 설치되는 건조대, 상자형 박스의 내부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박스 내부 열기를 유지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에 덧대어져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건조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 공급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농수산물이 올려진 채반 걸착 면적을 줄이며 건조효율을 높이게 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름모형 건조대,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마름모형 건조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체결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류 공급판은 상기 환기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되도록 그 상단에 설치된 그릴, 상기 그릴 상에 결합되어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복수 이상의 팬, 및 상기 그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상기 건조대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보내기 위하여 일면에 다수로 형성된 배기공, 상기 배기공들이 형성된 일면의 중앙에서 내부를 향해 함몰된 함몰공간, 및 상기 함몰공간에서 설치되어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상기 건조대 걸린 챔버를 향해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단열재에 덧대어져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건조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 공급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상기 제1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원반, 상기 원반에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되는 체결대, 상기 체결대의 내측이나 외측에서 상기 체결대의 수직 길이를 따라 일정 간극으로 결합되어 농수산물이 올려진 채반을 걸어 고정하게 되는 복수개 이상의 환형 건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건조대의 내부 중앙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형 체결부는, 상 하부 일정 지점에 각각 구성되는 원반통전부, 상기 각 원반통전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각 원반통전부와 하나가 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바깥 둘레에서 상기의 각 원반통전부에 수직으로 꽂혀져 근적외선을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상기 건조대에 걸린 채반을 향해 조사하는 근적외선 램프, 및 상기 각 원반통전부 중 하부에 위치된 원반통전부의 하부에 축으로 연결되어 각 원반통전부와 기둥 및 근적외선 램프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원반통전부 중 상부에 위치된 원반통전부는 그 상단에 위치된 상기 건조대의 원반과 베어링 연결로 힌지되어 제1 모터에 연결된 상기 원반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기류 공급판 및 기류 배기판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상기 건조대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가 복합된 재질이나 알루미늄 박 또는 은박 또는 스테인리스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 이용되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 및 상기 환형 건조대는 10°이상에서 30°이하의 경사 범위로 설치되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기는, 농수산물의 건조를 인위적으로 구현하여 농수산물의 건조 기간을 단축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기는, 인위적인 방식으로 농수산물 건조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자연 건조 과정에서의 예측하기 어려운 날씨 요인(비, 바람, 습기 등)에 의해 건조 상태의 농수산물을 다시 거둬들여야 하는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건조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기는, 건조대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 감지센서의 구성으로 건조대에 걸린 채반을 통하여 건조되는 농수산물의 건조 과정에서 건조대를 포함한 채반의 과잉 온도에 의한 농수산물의 연소 문제를 방지하여 최적의 건조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기는, 외부 공기의 유입 부분에 해당하는 환기구나 유입구 주변으로 발생하는 습기를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하여 줌에 따라 습기로 인한 건조기의 오작동 따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건조기는, 박스형 상자 내부 벽면을 따라 밀폐 구성된 단열판 및 반사판들의 구성으로 건조대의 주변 온도 유실을 방지하여 농수산물의 건조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고, 전력 절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류 공급판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류 공급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 및 기둥형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타입도.
도 7은 단열판 및 기류 공급판에 더 부가되는 반사판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기 내부에서의 열풍 순환 상태를 도시한 건조기 내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류 공급판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류 공급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 및 기둥형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타입도.
도 7은 단열판 및 기류 공급판에 더 부가되는 반사판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기 내부에서의 열풍 순환 상태를 도시한 건조기 내부도.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는, 제1 실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 외관을 갖는 건조기(10)로서 어느 한 쪽은 그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문(11)이 구성되고, 건조기(10)의 상부 일측에는 공기의 유입과 함께 습기 제거가 이루어지는 환기구(12)가 구성되며, 건조기(10)의 상부 중앙에는 후술될 건조대(20,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제1 모터(13)가 구성된다.
상기 환기구(12)는 외부 공기를 상기 건조기(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면서도 건조기(10)의 내 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습기를 열풍의 접촉으로 증발시켜 제거하는 곳이다.
박스형 상자 건조기(10)의 외관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개폐문(11), 환기구(12)가 구성되되, 건조기(10)의 내부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중앙 공간에 설치되는 건조대(20)와 건조기(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차례로 밀폐 설치된 단열판(50) 및 기류 공급판(40), 기류 배기판(40')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단열판(50)은 개폐문(11)의 내부 벽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대(20)에 걸리는 채반은 도면에 미도시 되었음을 밝혀두며, 이러한 채반에 농수산물이 올려져 건조되거나, 혹은 상기 건조대(20)에 곧바로 걸쳐진 채로 건조될 수도 있고, 채반은 후술되는 과정에서 채반(미도시)로 명기됨을 참고할 수 있다.
즉, 건조기(10)의 내부 벽면은 박스형 상자형인바, 상, 하, 좌, 우, 전, 후방의 6벽면으로 구성되는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6벽면의 내부를 따라 단열판(50) 역시 6벽면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단열판(50)의 6벽면 내측에 있어 좌, 우 방향에는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으로 구성되고, 상, 하, 전, 후 방향에는 칸막이(미도시)으로 밀폐되고, 상기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과 칸막이의 내측에는 반사판(70)들이 구성되어 상기 반사판(70) 역시 6벽면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반사판(70)들 중 상기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의 내측에 마련되는 반사판(70)은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43)과 배기공(미도시)을 따라 통과되는 공기 순환과 함몰공간(44)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램프(45)의 빛 투과를 위해 동일한 구조의 통공(71)들과 관통홈(72)을 형성하고 있다.
물론, 상기 반사판(70)은 상기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의 내측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기류 공급판(40) 및 상기 기류 배기판(40')의 겉면들이 반사판(7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반사판(70)은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의 복합 재료로 구성된 재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적외선 램프(45)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광의 반사율이 높기 때문이다.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의 복합 재료는 아세트산 수용액에서 titanium isopropoxide의 가수 분해 반응과 축합반응에 의해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의 복합 재료를 합성하게 된다.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의 복합 재료에 대한 열처리(600∼1000 ℃, 1∼3 h)에 의해 마이카 표면에 형성된 비결정성 상의 이산화티타늄은 예추석(anatase) 상을 거쳐 결정성 금홍석(rutile) 상으로 전환되며 열처리 조건에 의해 결정의 크기가 제어된다.
FE-SEM 분석, ED-XRF 분석, XRPD 분석을 통하여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의 복합 재료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으며, 확산 반사-근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 혼성 복합 재료의 근적외선 범위(780∼2,500 nm)에서의 일사 반사율은 88.6%로, 순수한 소성 마이카의 86.6%보다 다소 높았다. 따라서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 혼성 복합 재료는 높은 광반사율을 나타내는 적외선 광의 반사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의 복합 재료뿐만 아니라,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서 알루미늄 박이나 은박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환기구(12)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도 8과 같이 상기 환기구의 타측 위치인 건조기(10)의 내부에 구성된 팬(42) 방향으로 유입되는바, 이러한 외부공기는 상기 팬(42)을 거쳐 기류 공급판(40)의 유입공(43)들을 통하여 유입된 다음, 상기 기류 공급판(40)의 내측에 마련된 반사판(70)의 통공(71)들을 통하여 이동되면서 건조대(20)를 거쳐 기류 배기판(40')의 내측에 마련된 반사판(70, 상기 반사판과 동일 부호)의 통공(71)들에 이어 기류 배기판(40')의 배기공(미도시)들을 통하여 배기될 수 있다.
또한, 기류 공급판(40)의 함몰공간(44)에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4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기류 공급판(40)의 내측에 마련된 반사판(70)의 관통홈(72)을 통하여 건조대(20)에 걸린 농수산물을 올리기 위한 채반(미도시) 부위 방향으로 투과될 수 있으며, 상기 기류 배기판(40')의 함몰공간(44)에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45)에서 조사되는 빛 역시도, 기류 배기판(40')의 내측에 마련된 반사판(70)의 관통홈(72)을 통하여 건조대(20)에 걸린 채반(미도시) 방향으로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70)은 상기 통공(71)들 및 관통홈(72)의 형성 이외 모든 부위에 근적외선 빛의 반사를 위해 SUS(Steel Use Stainless) 재질의 미러가 형성되어 근적외선의 반사 빛을 통하여서도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상태의 건조물(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관계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단열판(50)은 상기 건조기(10)의 내부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열 차단 기능을 위해 구비된 것이며, 상기 기류 공급판(40)은 건조기(10)의 외관에 구성된 환기구(12)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강제로 건조기(10)의 실내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이처럼, 상기 단열판(50) 및 상기 기류 공급판(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판(50)의 일면에 기류 공급판(40)이 덧대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기류 공급판(40)은 상단에 구성된 그릴(41)과 상기 그릴(41) 상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 이상의 팬(42)과 단열판이 덧대어지는 반대 측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다수의 유입공(43)들과 상기 유입공들이 형성된 면의 중앙을 따라 내부로 함몰된 함몰공간(44)과 상기 함몰공간에 수직으로 꽂혀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45)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기류 공급판(40)의 맞은편에 위치된 기류 배기판(40')에도 상기 유입공(43)들과 대응되는 배기공(미도시)들과 상기 배기공들이 형성된 면의 중앙을 따라 내부로 함몰된 함몰공간(44)과 상기 함몰공간에 수직으로 꽂힌 상태로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4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릴(41)은 박스형 상자의 상단 일측에 구성된 환기구(12)로부터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개의 빈 통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상에 고정 설치된 팬(42)들은 상기 환기구(12)로부터 외부 공기를 그릴(41) 내부 방향으로 강제 유입하기 위한 기능이다.
상기 그릴(41)을 통과한 외부 공기는 상기 기류 공급판(40)의 일면인 즉 단열판에 덧대어지는 면의 반대 측면에서 다수로 통공된 유입공(43)들을 통하여 박스형 상자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건조대(20)에 걸린 채반(미도시)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근적외선 빛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건조대(20)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공급되는 관계로 건조물(농수산물)의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함몰공간(44)에서 수직으로 꽂힌 근적외선 램프(45)는 상기 건조대(20)에 걸린 채반(미도시)를 향해 이동하는 외부 공기와 동일하게 채반(미도시) 방향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대(20)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대(20)는 제1 실시 예로 도시된 도 3에서와 같이 농수산물을 걸쳐 건조할 수 있는 마름모형 건조대(21)가 수직으로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다수로 배열 구성되며,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2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대(22)가 마름모형 건조대(21)의 내측이나 외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마름모형 건조대(21)의 내측 또는 외측과 결합되면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체결대(22)는 그 상단 중앙 부분이 박스형 상자의 외관 중앙에 축설된 제1 모터(13)의 축과 연결되어 마름모형 건조대(21)와 함께 회전되면서 근적외선 조사에 따라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21)는 그 형태가 마름모인 관계로 채반(미도시)의 걸림 면적을 최소화하여 농수산물의 건조 진행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건조 기간을 앞당기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로 도시된 건조대(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건조대(31)가 수직으로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다수로 배열 구성되며, 상기 환형 건조대(3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대(32)가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일정 지점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환형 건조대(31)의 내측이나 외측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대(32)를 고정하는 원반(33)이 후술될 기둥형 체결부(60)의 상단에 위치된 원반통전부(61)의 상단에서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원반(33)은 그 상단이 제1 모터(13)의 축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체결대(32)와 함께 상기 환형 건조대(31)와 아울러 회전되면서 환형 건조대(31)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하게 된다.
물론, 이때 환형 건조대(31)를 통한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의 건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건조대(31)의 내부 중심을 관통한 형태로 수직 축설된 기둥형 체결부(60)에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45)들의 근적외선 조사에 의해 건조된다.
아울러, 상기의 마름모형 건조대(21) 및 상기 환형 건조대(31)는 도면에서 수평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물은 10°~ 30°의 경사 범위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대(21,31)가 상기의 경사 범위로 설치되는 이유는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의 건조 효율 때문인 것으로, 10°의 미만으로 설치되면 상기 건조대(21,31)가 거의 수평에 가까운 관계로 근적외선의 조사 면적이 적은 관계로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30°의 초과로 설치되면 상기 건조대(21,31)의 경사가 급격하여 건조대(21,31)의 회전 과정에서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들이 낙하될 수밖에 없는 이유로 상기의 경사 범위를 두게 된다.
특히, 경사 30°를 초과하지만 30°에 근접한 예로서 40°의 경사도 본 발명의 경사 범위에 속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상기 건조대(21,31)가 회전되는 요인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건조대(21,31)가 40°의 경사각으로 설치되어 있더라도 상기 건조대(21,31)의 회전 과정에서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경사각의 연관성으로 농수산물의 낙하가 쉽게 유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30°의 경사각까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두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경사 범위는 건조기(10) 내부로 유입된 열풍의 순환과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까닭도 있는바, 상기의 건조대(21,31)가 10°미만의 경사로 설치될 경우 건조대(21,31)의 회전 과정에서도 건조대(21,31)가 거의 수평각에 가까운 관계로 열풍의 순환 흐름을 촉진할 수 없고 30°초과의 경사로 설치될 경우에도 수직각에 더 치우치는 관계로 열풍의 순환 흐름을 촉진할 수 없게 된다.
즉, 건조대(21,31)가 10°이상에서 30°이하의 경사 범위로 설치될 경우에는 건조대(21,31)의 경사각 발생에 따른, 즉 부채질하는 효과와 같은 열풍 순환의 흐름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 모터(13)나 후술되는 제2 모터(64)의 축과 연결되는 연결축(미도시) 부위에는 스프링 플런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건조물)의 건조 완료 시에 제1 모터나 제2 모터의 구동 종료에 따라 상기 농수산물(건조물)의 위치가 건조기(10)의 개폐문(11) 위치에 있지 않아도 상기 스프링 플런저의 수동 작동으로 건조대(20,30)를 회전시켜 농수산물(건조물)이 개폐문(11) 위치에 오게 하여 농수산물(건조물)을 쉽게 취출할 수 있다.
상기 기둥형 체결부(60)는 상기 원반(33)의 하단에서 원반(33)과 힌지 연결되는 원반통전부(61)와, 상기 원반통전부의 수직 하부 일정 이격 부분에 구성된 원반통전부(62)와, 상기 각 원반통전부(61,62)의 중앙을 잇는 기둥(63)과, 상기 기둥의 하단에서 축으로 연결된 제2 모터(64)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63)의 바깥 둘레를 따라 근적외선 램프(45)들이 수직으로 상기 각 원반통전부(61,62)에 꽂혀 근적외선을 더 바깥 반경에 위치된 환형 건조대(31)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향해 조사된다.
상기 기둥형 체결부(60)는 상기 제2 모터(64)에 기둥(63)의 하단이 축에 의해 연결되는 관계로 기둥(63)을 포함한 원반통전부(61,62) 및 근적외선 램프(45)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환형 건조대(31)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도 있다.
근적외선은 바깥 반경에 위치된 환형 건조대(31)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조사하면서 건조하는 관계로, 이때 박스형 상자의 내부 벽면 둘레를 따라 밀폐 설치된 단열판(50) 및 기류 공급판(40)과 함께 상기 기류 공급판에 더 덧대어지는 반사판(70) 구성을 도 7과 같이 포함한다.
즉, 상기 반사판(70)은 상기 환형 건조대(31)의 바깥 둘레에 위치된 곳인 관계로 환형 건조대(31)에 걸린 채반(미도시)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향해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반사시켜 되돌리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농수산물의 건조 진행이 더욱 촉진될 수 있으며 농수산물의 내부 깊숙한 부위에 이르기까지 고르게 근적외선 투과가 향상됨으로써 건조 처리되는 농수산물의 위생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성이란 근적외선 조사에 의해 농수산물의 내부 깊숙한 부위에 이르기까지 멸균 및 소독 처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반사판(70)은 반사 효율을 위해 SUS 재질이나 알루미늄 박 재질의 미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대(20,30)로서 마름모형 건조대(21) 및 환형 건조대(31)는 도면에상세한 형태로는 미도시 되었으나, 마름모형 건조대(21) 및 환형 건조대(31)의 표면 부위에 돌기(미도시)들이 다수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이며, 이러한 돌기들은 농수산물의 건조대(21,31) 접촉 면적 대비 더욱 최소한의 접촉면만 갖게 되므로 농수산물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채반(미도시)의 구성이 필요없이 건조대(21)에 곧바로 농수산물이 걸린 채로 건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돌기(미도시)에 농수산물들이 걸린 상태로 건조되나, 건조대(21,31)의 열 전도에 의해 열 온도 상승이 과잉으로 유지될 때에는 농수산물의 건조 과정에서 연소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즉 농수산물이 높은 열 온도의 장시간 노출로 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관계로, 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열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 감지센서는 농수산물의 연소 임계점 도달 전에 열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에 의한 영구자석의 이동으로 리드스위치가 작동되면서 근적외선 램프(45)로의 전류를 차단하여 농수산물의 연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영구자석이 리드스위치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리드스위치는 유리관 내부에 밀봉 상태인 2개의 자성 리드편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호 간 닫힘 상태로 전류를 공급하고 있다가, 상기 영구자석의 접근에 따라 2개의 자성 리드편이 상호간 벌어지면서 접점 단락이 이루어지면서 근적외선 램프(45)로의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의 열 감지센서, 영구자석, 리드스위치에 대한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며,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기의 어느 특정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건조기의 작용 관계를 후술하고자 한다.
건조기(10)의 개폐문(11)을 열고 건조하고자 하는 농수산물(건조물)을 채반(미도시)에 올린 상태로 이를 제1,2 실시 타입의 건조대(20, 30)에 걸친 다음, 개폐문(11)을 닫은 상태에서 건조기(10)를 구동시킨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채반 필요 없이 농수산물을 상기 제1,2 실시 타입의 건조대(20,30)에 걸치는 상태로 올릴 수도 있다.
건조기(10)가 구동되면, 건조대(20,30)는 건조기(10) 내부에서 모터의 축 회전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이러한 건조대(20,30)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에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45)를 통하여 근적외선 광이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투과되면서 농수산물(건조물)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근적외선 광은 기류 공급판(40) 및 기류 배기판(40')의 내측에 위치된 반사판(70)의 관통홈(72)을 통과하면서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투과되고, 반사판(70)에는 상기 관통홈(72) 및 후술되는 통공(71)들의 형성 이외 부위면에 형성된 SUS나 알루미늄 박 재질의 미러를 통하여 조사되는 근적외선 광을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반사하며 농수산물(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건조기(10)의 상부 일측에 구성된 환기구(12)에서는 외부 공기가 강제 유입되는바, 이는 기류 공급판(40)의 상단 그릴(41)에 고정된 팬(42)들을 통하여 유입되면서 기류 공급판(40)의 내부를 따라 유입되다가 기류 공급판(40)의 유입공(43)들을 통하여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기류 공급판(40)의 유입공(43)들을 통과한 외부 공기는 반사판(70)의 통공(72)들을 통하여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 공기는 근적외선 광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른 열풍으로 바뀌면서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 방향으로 불게 되어 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이 건조대(20,30)에 걸린 채반을 지나면, 기류 공급판(40)의 맞은편에 위치한 반사판(70)의 통공(71)들을 통하여 배기되다가 기류 배기판(40')의 배기공(미도시)들을 통하여 배기되어 기류 배기판(40')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던 열풍은 건조기(10)의 상단 일측에 마련된 환기구(12)의 한쪽 코너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 및 반대측에 있는 팬(42) 요인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기류 공급판(40)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기류 공급판(40)에 도달된 열풍은 상기 기류 공급판(40)의 내부를 따라 하강되면서 방향 전환하여 건조기의 내부를 다시 순환하게 된다.
한편, 열풍이 상기 기류 배기판(40')의 내부를 따라 상승 시, 건조기(10)의 상단 일측에 마련된 환기구(12) 주변에는 건조기(10)의 내 외부 온도차로 인한 습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습기는 상기 기류 배기판(4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는 열풍에 의해 자주 접촉되면서 증발되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즉, 이러한 습기 제거는 기존 건조기의 환기구나 배기구 주변에서 자주 발생하던 습기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는 특징이 있으며, 건조기의 건조 유지 관리도 매우 용이하고, 습기 문제로 인한 건조기의 부식을 막아 부식 문제로 인한 건조기의 오작동 유발도 나타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는 방안까지 고려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건조기 11 : 개폐문
12 : 환기구
13 : 제1 모터
20, 30 : 건조대
21 : 마름모형 건조대 22 : 체결대
31 : 환형 건조대 32 : 체결대
33 : 원반
40 : 기류 공급판 41 : 그릴
42 : 팬 43 : 유입공
44: 함몰공간 45 : 근적외선 램프
40' : 기류 배기판 43': 배기공
50 : 단열판
60 : 기둥형 체결부
61,62 원반통전부 63 : 기둥
64 : 제2 모터
70 : 반사판 71 : 통공 72: 관통홈
12 : 환기구
13 : 제1 모터
20, 30 : 건조대
21 : 마름모형 건조대 22 : 체결대
31 : 환형 건조대 32 : 체결대
33 : 원반
40 : 기류 공급판 41 : 그릴
42 : 팬 43 : 유입공
44: 함몰공간 45 : 근적외선 램프
40' : 기류 배기판 43': 배기공
50 : 단열판
60 : 기둥형 체결부
61,62 원반통전부 63 : 기둥
64 : 제2 모터
70 : 반사판 71 : 통공 72: 관통홈
Claims (6)
- 삭제
- 삭제
- 상자형 박스 외관 상단의 일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상단의 중앙에 설치된 제1 모터와 측단의 일측에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문으로 구성되고; 상자형 박스의 내부 중앙에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이 걸리고, 조사되는 근적외선이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향해 건조되게 유도하는 건조대; 상자형 박스의 내부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박스 내부 열기를 유지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에 덧대어져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건조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 공급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 걸림 면적을 줄여 건조효율을 높이게 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름모형 건조대;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마름모형 건조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체결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류 공급판은 상기 환기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되도록 그 상단에 설치된 그릴;
상기 그릴 상에 결합되어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복수 이상의 팬;
상기 그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채반 방향으로 보내기 위하여 일면에 다수로 형성된 배기공;
상기 배기공들이 형성된 일면의 중앙에서 내부를 향해 함몰된 함몰공간; 및
상기 함몰공간에서 설치되어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채반을 향해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램프;
를 더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 덧대어져 상기 환기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건조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 공급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상기 제1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원반, 상기 원반에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되는 체결대, 상기 체결대의 내측이나 외측에서 상기 체결대의 수직 길이를 따라 일정 간극으로 결합되어 농수산물을 올린 채반이 걸리게 되는 복수개 이상의 환형 건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 건조대의 내부 중앙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형 체결부는, 상 하부 일정 지점에 각각 구성되는 원반통전부;
상기 각 원반통전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각 원반통전부와 하나가 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바깥 둘레에서 상기의 각 원반통전부에 수직으로 꽂혀져 근적외선을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상기 채반을 향해 조사하는 근적외선 램프; 및
상기 각 원반통전부 중 하부에 위치된 원반통전부의 하부에 축으로 연결되어 각 원반통전부와 기둥 및 근적외선 램프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원반통전부 중 상부에 위치된 원반통전부는 그 상단에 위치된 상기 건조대의 원반과 베어링 연결로 힌지되어 제1 모터에 연결된 상기 원반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공급판 및 기류 배기판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상기 건조대를 포함한 채반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타늄과 마이카가 복합된 재질이나 알루미늄 박 또는 은박 또는 SUS(Steel Use Stainless)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형 건조대 및 상기 환형 건조대는 10°이상에서 30°이하의 경사 범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528A KR101817233B1 (ko) | 2016-12-05 | 2016-12-05 | 농수산물 건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528A KR101817233B1 (ko) | 2016-12-05 | 2016-12-05 | 농수산물 건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7233B1 true KR101817233B1 (ko) | 2018-01-10 |
Family
ID=6099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528A KR101817233B1 (ko) | 2016-12-05 | 2016-12-05 | 농수산물 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723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2419A1 (ko) * | 2018-08-08 | 2020-02-13 | 김문철 | 건조물 건조기 |
KR20200088629A (ko) * | 2019-01-15 | 2020-07-23 | 지준모 | 곤충 건조기 |
KR20210042708A (ko) * | 2019-10-10 | 2021-04-20 | 지준모 |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
KR102342890B1 (ko) | 2020-12-03 | 2021-12-24 | 지준모 | 균일한 기류 분포도를 갖는 건조기 |
KR200497085Y1 (ko) * | 2023-01-18 | 2023-07-24 | 김정희 | 농수산물 건조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370B1 (ko) * | 2006-05-10 | 2007-10-04 | 김병석 | 건조기 |
-
2016
- 2016-12-05 KR KR1020160164528A patent/KR1018172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370B1 (ko) * | 2006-05-10 | 2007-10-04 | 김병석 | 건조기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2419A1 (ko) * | 2018-08-08 | 2020-02-13 | 김문철 | 건조물 건조기 |
KR20200017065A (ko) * | 2018-08-08 | 2020-02-18 | 김문철 | 건조물 건조기 |
KR102123389B1 (ko) * | 2018-08-08 | 2020-06-16 | 김문철 | 건조물 건조기 |
KR20200088629A (ko) * | 2019-01-15 | 2020-07-23 | 지준모 | 곤충 건조기 |
KR102181305B1 (ko) * | 2019-01-15 | 2020-11-20 | 지준모 | 곤충 건조기 |
KR20210042708A (ko) * | 2019-10-10 | 2021-04-20 | 지준모 |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
KR102445397B1 (ko) * | 2019-10-10 | 2022-09-19 | 지준모 |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
KR102342890B1 (ko) | 2020-12-03 | 2021-12-24 | 지준모 | 균일한 기류 분포도를 갖는 건조기 |
KR200497085Y1 (ko) * | 2023-01-18 | 2023-07-24 | 김정희 | 농수산물 건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7233B1 (ko) | 농수산물 건조기 | |
CN108992680B (zh) | 一种用于智能家居的餐具消毒柜 | |
US20120047763A1 (en) | Apparatus for Drying Laundry Or Other Items Using Ultra-Violet Radiation | |
CN208464720U (zh) | 消毒柜烘干装置及消毒柜 | |
JP2006296801A (ja) | 衣類乾燥機 | |
CN107950424A (zh) | 一种宠物全自动烘干机 | |
CN108713885A (zh) | 一种具有烘干功能的衣柜 | |
KR101118671B1 (ko) | 원적외선방사히터가 구비된 오징어건조장치 | |
US20050102852A1 (en) | Clothes dryer | |
KR20110023450A (ko) | 농산물 건조장치 | |
JP2006075311A (ja) | 紫外線殺菌キャビネット | |
KR20190085651A (ko) | 근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건조기 | |
KR200424159Y1 (ko) | 농수산물 건조기 | |
KR102445397B1 (ko) |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 |
KR200497085Y1 (ko) | 농수산물 건조기 | |
CN206488583U (zh) | 一种新型中药晾晒烘干装置 | |
KR102181305B1 (ko) | 곤충 건조기 | |
CN105926249A (zh) | 具有杀菌功能的干衣机 | |
KR101731160B1 (ko) | 복사 건조장치 | |
CN213267194U (zh) | 一种智能便携晾衣杆 | |
CN214904830U (zh) | 一种具有自动除湿功能的衣柜 | |
TWM564955U (zh) | 紅外線吹風機 | |
KR20040032845A (ko) | 고추건조장치 | |
CN212753768U (zh) | 一种宠物消毒烘干机 | |
KR100865346B1 (ko) | 외부케이스를 갖는 식품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