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837B1 -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837B1
KR101150837B1 KR1020090126677A KR20090126677A KR101150837B1 KR 101150837 B1 KR101150837 B1 KR 101150837B1 KR 1020090126677 A KR1020090126677 A KR 1020090126677A KR 20090126677 A KR20090126677 A KR 20090126677A KR 101150837 B1 KR101150837 B1 KR 10115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hamber
main body
air
load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033A (ko
Inventor
장문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Priority to KR102009012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8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본체(1); 증발기(15)를 제외하고 상기 본체(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동사이클에 따라 운전되는 냉동기; 다수의 채반(35)을 올려놓을 수 있는 채반받침대(37)가 양측벽에 설치되며, 냉기를 상기 적재실(7) 내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유입공(33)이 측벽에 마련되는 내부케이스(17); 상기 본체(1)와 상기 내부케이스(17)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팬(21); 상기 송풍팬(21)이 설치되는 송풍실(19)로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적재실(7) 내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덕트수단(41); 건조모드시 상기 적재실(7)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실(19)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냉동고, 냉장고, 드라이어, 농수산물, 수산물, 겸용, 보관

Description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Dryer for vegetables having refrigerating system}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수산물이 보관되는 밀폐된 공간을 필요에 따라 냉장실 또는 건조실로 용도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 건조기는 수확된 각종의 농수산물을 보관하거나 건조시키기 위하여 농가 또는 유통업자가 사용하는 장비이다. 장비의 사용범위를 넓히기 위한 방안으로 냉동시스템을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특허출원 제10-2008-129255호에 의하면 밀폐공간을 2개 이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공간을 냉장실 또는 건조실로 전용(全用)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농수산물 건조기가 제시된다. 즉, 냉장기능과 건조기능을 공간적으로 분리한 것이다.
그러나 냉장기능과 건조기능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주어진 전체 공간을 필요에 따라 건조기능을 수행하거나 아니면 냉장보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때가 많다. 특히 농산물인 경우 1년에 건조기능을 필요로 하는 시기가 수 확기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고 수확기에는 많은 수확물을 신속하게 건조시켜 출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방식이든 지금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는 방식이든 사용자의 자체적인 필요에 의해 특정 기능의 건조기가 선택되기 마련이며, 공급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여러 형식의 건조기 등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능과 냉장보관 기능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운전될 수 있는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근본 목적이 있다. 나아가 그 기능에 적합한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구체적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밀폐공간인 적재실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에 보온재가 설치됨으로써 단열기능을 가지며 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본체; 증발기를 제외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냉동기; 상기 냉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적재실로 송풍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벽에 다수의 유입공이 마련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벽과 상기 본체의 상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장모드에서 상기 냉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적재실로 강제 송 풍시키거나 또는 건조모드에서 외기를 유입하여 상기 적재실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송풍실로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적재실 내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덕트수단; 건조모드시 상기 적재실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실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적재실은 2칸 이상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냉동기에 의해 냉기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덕트수단은; 본체의 상판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커버모터에 의해 힌지운동되는 제1커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외기유입공이 전면에 마련되고; 제2커버모터에 의해 기동되는 제2커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기유입공이 저면 후방에 마련되는 유로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2커버모터는 스테핑 모터 또는 일체형 댐퍼모터이며, 상기 제1,2커버는 상기 제1,2커버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본체의 상벽 사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환류공이 마련되는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와 히터는 상기 박스 내부에 상기 송풍팬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농수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능과 냉장보관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냉장고 겸용 건조기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순환방식을 다양하게 콘트롤할 수 있는 기반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냉장고 겸용 건조기가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건조기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품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부분 확대도로서 덕트수단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대응되는 정단면도로서 냉장기능수행시 냉기의 순환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덕트수단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체(1)는 직립한 박스 형태로서 전면 상단에는 콘트롤패널(3)이 설치된다. 본체(1)의 전면에는 통상의 냉장고와 같은 형태의 개폐도어(5)가 설치된다. 본체(1)는 밀폐공간인 적재실(7)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를 구성하는 각 벽체에는 보온재(9)가 내장됨으로써 본체(1)는 단열기능을 가진다. 적재실(7)은 2칸 이상도 가능하지만 1 ~ 2칸이 적당하며 도시 및 설명은 2칸을 기준으로 한다.
냉동사이클에 따라 운전되는 냉동기가 본체(1) 상면과 적재실(7)에 걸쳐 설치된다. 본체(1) 상면에는 압축기(11), 응축기(13) 및 응축기(13)의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응축팬(14) 등이 설치되며, 본체 내부에는 증발기(15)가 설치된다. 냉매는 냉동사이클에 따라 냉동기를 순환하며 증발기(15)를 통해 적재실(7) 내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증발기(15)는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로서 코일에 다수의 방열핀이 결합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는 간접냉각방식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간접냉각방식이란 냉장공간으로 냉기를 송풍공급하는 방식으로서 근래 가정용냉장고에 널리 사용되는 냉각방식이다. 간접냉각방식을 채택하기 위해 본체(1)의 내부에는 본체(1)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내부케이스(17)가 설치된다. 내부케이스(17)는 본체(1)의 내부공간을 적재실(7)과 송풍실(19)로 공간적으로 구분되도록 한다. 송풍실(19)에는 송풍팬(21), 증발기(15) 및 히터(23)가 설치된다.
송풍팬(21)은 냉장모드에서 냉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적재실(7)로 강제 송풍시키거나 또는 건조모드에서 외기를 유입하여 적재실(7)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한 것이다. 송풍팬(21)은 송풍방향이 회전축(X)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임펠러 형태이다. 이러한 송풍팬(21)에 의하면 공기는 송풍팬(21)의 하부 중심부를 통해 유입된다.
송풍팬(21)을 구동시키기 위한 송풍모터(25)는 본체 상면에 도립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각 적재실마다 송풍모터(25), 송풍팬(21), 증발기(15) 및 히터(23)가 설치되고 있다.
히터(23)는 건조모드시 적재실(7)로 온풍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기다란 봉형상의 전열히터가 바람직하다. 히터(23) 또한 송풍팬(21)의 양쪽에 증발기(15)와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송풍실(19)은 본체(1)의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납작한 케이스형태의 박스(27)에 의해 마련된다. 박스(27)의 하판(27a)에는 송풍팬(21)과 동심을 이루는 환류공(29)이 원형으로 타공되어 있으며, 후판(27b)에는 외기유입관(31)이 설치된다. 외기유입관(31)은 후술되는 덕트수단(41)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송풍팬(21)의 중심 하부로 유도되도록 한다. 박스(27)의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17)의 측벽에는 냉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적재실(7)로 송풍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입공(33)이 타공된다. 유입공(33)은 내부케이스(17)의 측벽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케이스(17)의 측벽 내부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채반(35)을 거치할 수 있게끔 채반받침대(37)가 돌기 형태로 마련된다. 널찍하고 낮은 깊이의 쟁반과 같은 형상의 채반(35)은 각 채반받침대(37)를 통해 적재실(7)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랍장의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채반(35)을 인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송풍팬(21)에 의해 방사되는 바람은 도 3의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이 박스(27)의 양측면을 통해 내부케이스(17)의 양측벽에 마련된 유입공(33)을 통해 적층되어 있는 채반을 향하게 된다.
또한 본체의 상벽 후방에는 배기공(39)이 마련되고, 이 배기공에는 덕트수단(41)이 설치된다. 덕트수단(41)은 외기가 선택적으로 송풍실(19)로 유입되도록 하며 적재실(7) 내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로통제수단이다.
이하 도 6, 도 7, 도 9 및 도10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수단(41)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덕트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체(1)의 상판 위에 유로케이싱(43)이 설치된다. 유로케이싱(43)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외기유입공(45)이 마련되며, 외기유입공(45)은 제1커버모터(47)에 의해 힌지운동되는 제1커버(49)에 의해 개폐된다.
외기유입공(45)은 송풍실(19)과 소통된다. 유로케이싱(43)의 저면 후방에는 배기유입공(51)이 마련되며, 배기유입공(51)은 제2커버모터(53)에 의해 기동되는 제2커버(55)에 의해 개폐된다. 유로케이싱(43)의 중간부위에는 세로방향으로 격벽(57)이 마련됨으로써 유입로와 배출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있다. 특히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출로의 말단(59)은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제1,2커버모터(47,53)는 출력축의 회전수를 정밀하게 콘트롤할 수 있는 스테핑모터(싱크로나이즈모터) 또는 일체형 댐퍼모터(thermostatic motor)가 선택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일체형 댐퍼모터(thermostatic motor)가 사용된 예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스테핑모터가 사용된 예이다.
제1,2커버(49,55)가 닫힐시 소음을 방지하고 차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2커버(49,55)의 내면에는 유로케이싱(43)과 닿는 부분을 따라 쿠션재(6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2커버모터(47,53)는 필요에 따라 브래킷(63)을 통해 유로케이싱(43)의 측벽에 결합되는데 각각의 출력축(47a,53a)이 제1,2커버(49,55)의 회전중심이 되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여닫힌다.
냉장기능을 수행할 경우 제1,2커버(49,55)는 모두 닫히며, 건조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제1,2커버(49,55)는 모두 개방된다. 다만 건조기능시 제1커버(49)는 외부습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2커버(49,55)는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기능시에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외기가 유입되며, 도 4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습분을 함유한 공기가 유로케이싱(43)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냉장기능시에는 제1,2커버(49,55)가 닫힌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실과 송풍실을 강제대류방식으로 순환하게 된다.
각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유로케이싱(43)의 구체적 형태는 상황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곳에 집적되어 있는 덕트수단(41), 특히 유로케이싱(43)을 통해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유로케이 싱을 분리하여 소제하거나 기타 관리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다양한 구동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제1,2커버모터(47,53)를 별개로 설치하여 구동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 소정의 기구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모터만을 이용하여 제1,2커버(49,55)가 같은 양식으로 동시에 기동되도록 연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본체(1)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패널(3)을 통해 냉장기능 또는 건조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건조기능에 있어서도 주변 상황에 따라 제1커버(49)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히터(23)나 냉동기의 부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습도계, 온도계 등의 감지수단에 의해 운전상황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적재실의 습도를 이용하여 채반에 적재된 농수산물의 수분함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건조기능의 운전시간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부여될 수도 있다. 때에 따라서 특정 농수산물에 따라 소비자가 요구하는 수분함량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가 있을 수 있는데, 사용자가 콘트롤패널을 통해 특정 농수산물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조건에 따라 히터, 송풍모터 및 제1,2커버모터를 기동시키게끔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건조기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품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부분 확대도로서 덕트수단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대응되는 정단면도로서 냉장기능수행시 냉기의 순환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덕트수단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5 ; 개폐도어
7 ; 적재실 15 ; 증발기
17 ; 내부케이스 19 ; 송풍실
21 ; 송풍팬 23 ; 히터
25 ; 송풍모터 29 ; 환류공
31 ; 외기유입관 33 ; 유입공
35 ; 채반 41 ; 덕트수단
43 ; 유로케이싱 47,53 ; 제1,2커버모터
49,55 ; 제1,2커버

Claims (3)

  1. 삭제
  2. 밀폐공간인 적재실(7)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온재(9)에 의해 단열기능을 가지며 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본체(1); 증발기(15)를 제외하고 상기 본체(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동사이클에 따라 운전되는 냉동기; 상기 증발기(15)에서 냉기를 상기 적재실(7)로 송풍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채반(35)을 올려놓을 수 있는 채반받침대(37)가 양측벽에 설치되며, 냉기를 상기 적재실(7) 내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유입공(33)이 측벽에 마련되는 내부케이스(17); 상기 냉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적재실로 강제 송풍시키거나 또는 외기를 유입하여 상기 적재실(7)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와 상기 내부케이스(17)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팬(21); 상기 송풍팬(21)이 설치되는 송풍실(19)로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적재실(7) 내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덕트수단(41); 건조모드시 상기 적재실(7)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실(19)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23)를 포함하되;
    상기 덕트수단(41)은;
    상기 본체(1)의 상판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커버모터(47)에 의해 힌지운동되는 제1커버(49)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외기유입공(45)이 전면에 마련되고; 제2커버모터(53)에 의해 기동되는 제2커버(55)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기유입공(51)이 저면 후방에 마련되는 유로케이싱(4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커버(49)와 제2커버(55)를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모터(47,53)는 스테핑 모터 또는 일체형 댐퍼모터이며, 상기 제1,2커버(49,55)는 상기 제1,2커버모터(47,5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KR1020090126677A 2009-12-18 2009-12-18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KR10115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77A KR101150837B1 (ko) 2009-12-18 2009-12-18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77A KR101150837B1 (ko) 2009-12-18 2009-12-18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033A KR20110070033A (ko) 2011-06-24
KR101150837B1 true KR101150837B1 (ko) 2012-06-13

Family

ID=4440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677A KR101150837B1 (ko) 2009-12-18 2009-12-18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97B1 (ko) * 2015-12-30 2018-05-28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20220023015A (ko) 2020-08-20 2022-03-02 하 중 김 밀폐형 구조의 적외선 다용도 건조기
KR20220000990U (ko) 2020-10-28 2022-05-06 안희대 조립이 용이한 농수산물 건조기용 채반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0683B (zh) * 2016-11-04 2017-08-08 湖南康易达绿茵科技有限公司 一种空间可调节的反吸式高效热风烘干箱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22B1 (ko) * 2007-12-20 2009-05-12 이성암 냉장,냉동고 겸용 건조기
KR100896421B1 (ko) 2007-12-20 2009-05-12 이성암 냉장.냉동고 겸용 건조기의 독립냉각제어장치
KR20090060109A (ko) * 2007-12-07 2009-06-11 염동섭 냉장기능을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0932445B1 (ko) 2009-07-09 2009-12-17 염동섭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109A (ko) * 2007-12-07 2009-06-11 염동섭 냉장기능을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0896422B1 (ko) * 2007-12-20 2009-05-12 이성암 냉장,냉동고 겸용 건조기
KR100896421B1 (ko) 2007-12-20 2009-05-12 이성암 냉장.냉동고 겸용 건조기의 독립냉각제어장치
KR100932445B1 (ko) 2009-07-09 2009-12-17 염동섭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97B1 (ko) * 2015-12-30 2018-05-28 주식회사 대한테크놀로지 농산물 살균 건조기
KR20220023015A (ko) 2020-08-20 2022-03-02 하 중 김 밀폐형 구조의 적외선 다용도 건조기
KR20220000990U (ko) 2020-10-28 2022-05-06 안희대 조립이 용이한 농수산물 건조기용 채반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033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8427A (en) Refrigerator with kimchi compartment
JP3576103B2 (ja) 冷蔵庫
US7051549B2 (en) Refrigerator
US7866182B2 (en) Refrigerator
US7036334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KR100924657B1 (ko) 냉장기능을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US20120047922A1 (en) Direct cool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33432A1 (en) Laundry tr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20004962A (ko) 냉장고
CN110274417A (zh) 冰箱及其湿度调节方法
KR101150837B1 (ko)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JP3904866B2 (ja) 冷蔵庫
JP5868070B2 (ja) 冷蔵庫
JP5417382B2 (ja) 冷蔵庫
JP2009041883A (ja) 冷蔵庫
KR101082453B1 (ko) 건조, 온장, 냉장의 3기능 농수산물 건조기
JP2624051B2 (ja) 冷凍冷蔵庫
JP2008076019A (ja) 乾燥装置
JP2005195293A (ja) 冷蔵庫
KR20100050350A (ko) 냉장고
JP2001041639A (ja) 冷蔵庫
KR100932445B1 (ko)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JP2007089921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960001194Y1 (ko) 김치실이 구비된 냉장고
KR100997221B1 (ko)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