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184B1 - 인삼 증숙장치 - Google Patents

인삼 증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184B1
KR100449184B1 KR10-2002-0048902A KR20020048902A KR100449184B1 KR 100449184 B1 KR100449184 B1 KR 100449184B1 KR 20020048902 A KR20020048902 A KR 20020048902A KR 100449184 B1 KR100449184 B1 KR 100449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inseng
chamber
steam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631A (ko
Inventor
김봉길
양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각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to KR10-2002-004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1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제조를 위한 인삼의 가열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증기와 외부공기가 증숙고 하부에 설치된 수실 내의 물을 통해 장치의 증숙고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에 의해 증숙고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고 서서히 하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제조되는 홍삼의 불량률을 낮춤과 동시에 그 품질을 향상시켜 홍삼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인삼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카트(c)가 일측의 도어(b)를 통해 증숙고 내부로 입, 출고되도록 한 인삼 증숙장치(A)에 있어서, 증숙고(a)의 저부에는 수실(1)을 형성하고, 상기 수실(1) 내부에는 다수의 하향 분출공(21)을 갖는 다수의 증숙관(2)을 설치하되, 이 증숙관(2)에는, 송풍기(31)와 연결되는 외부공기 공급관(3)과 증기 공급관(4)이 가지관(5)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관(6)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증숙고(a)의 상부 내벽측으로는 물 공급관(7)을 설치하여 물이 내벽을 타고 수실(1)로 공급되게 하고, 증숙고(a)의 천정 외부에는 증기 배출관(8)을 연통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증숙장치이다.

Description

인삼 증숙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ginseng steamed red}
본 발명은 인삼 증숙(烝熟)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제조를 위한 인삼의 가열과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증기와 외부공기가 증숙고(庫) 하부에 설치된 수실 내의 물을 통해 장치의 증숙고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에 의해 증숙고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고 서서히 하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제조되는 홍삼의 불량률을 낮춤과 동시에 그 품질을 향상시켜 홍삼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6년근 인삼을 증숙시켜서 제조되는 홍삼은, 주성분인 사포닌의 경우 인체 내의 지방분해력이 크고 영양분의 흡수 및 소화를 촉진시키며, 세포 내의 효소들을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증가시켜 원기회복 및 피로나 무력감 또는 식욕부진 등을 개선하는 특징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뛰어난 효능을 갖고 있는 홍삼은 그 가격이 매우 고가여서 원하는 많은 사람 모두가 애용할 수 없는 것으로, 이렇게 홍삼의 가격이 고가일수 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홍삼의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홍삼의 제조 특성상 증숙(가열 및 냉각)과정에서의 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증숙되는 인삼의 표면이 쉽게 터지게되면서 홍삼으로서의 상품적 가치를 잃게 되므로 그 생산량이 적어질 수 밖에 없어 최종적으로 가열 및 냉각공정을 거쳐 제조 완료된 홍삼의 가격은 높게 책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홍삼 제조를 위한 상기한 종래의 인삼 증숙장치는, 선별된 인삼을 증숙고의 도어를 열고 내부에 적재시킨 후 도어로서 그 내부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고열의 증기를 인삼에 대해 일정시간동안 직접 분사방식으로 분사하여 인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는 것인바, 이와 같이 인삼의 표면에 직접 증기열이 분사됨으로 인해 인삼에 대한 내, 외부간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하게되고 그에 따라 심한 경우 인삼의 물성에도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와 함께 인삼의 표면이 쉽게 터지게 되는 등 효과적인 가열이 이루어질 수 없게되므로 양질의 홍삼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냉각에 있어서도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채 증기분사를 중지한 상태에서 증숙고 내부에 가열된 인삼들을 그대로 방치하는 식으로 장시간에 걸친 자연냉각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냉각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제조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냉각과정에서 증숙고 내부의 인삼 냉각상태를 확인하려 증숙고의 도어를 여는 경우, 순간적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게되어 증숙고 내부는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게되고 그에 따라 냉각 건조중인 인삼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터지게되는 등 제조된 홍삼이 홍삼으로서의 완벽한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되므로 그 상품적 가치가 크게 떨어지게 되어 어쩔 수 없이 엄선된 완제품으로서의 홍삼 가격은 고가로 책정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홍삼 제조를 위한 인삼의 증숙시 인삼에 대해 고온의 증기가 직접 분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냉각에 있어서도 장시간 동안 그대로 방치시키는 자연 냉각방식으로 제조되어 홍삼의 품질저하를 초래하며 그 제조시간도 장시간이 소요되게되는 등 홍삼의 제조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던 종래의 인삼 증숙장치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삼이 적재되는 증숙고 저부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실을설치하고, 이 수실 내에는 고온의 증기 또는 외부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증숙관을 설치함으로써, 증숙고 내부에 대한 가열과 냉각이 수실 내의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숙고 내부의 온도를 서서히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되어 온도편차가 크게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인삼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어 양질의 홍삼을 염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한 인삼 증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증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증숙장치의 부분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숙장치의 부분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숙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수실 2:증숙관
3:공급관 4:증기 공급관
5:가지관 6:연결관
7:물 공급관 8:증기 배출관
11:지지대 12:다공판
21:하향 분출공 31:송풍기
81:개방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증숙장치는, 인삼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카트(c)가 일측의 도어(b)를 통해 증숙고 내부로 입, 출고되도록 한 인삼 증숙장치(A)에 있어서, 증숙고(a)의 저부에는 지지대(11)와 다공판(12)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구획되게 수실(1)을 형성하고, 상기 수실(1) 내부에는 다수의 하향 분출공(21)을 갖는 다수의 증숙관(2)을 설치하되, 이 증숙관(2)에는, 송풍기(31)와 연결되는 외부공기 공급관(3)과 증기 공급관(4)이 가지관(5)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관(6)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증숙고(a)의 상부 내벽측으로는 물 공급관(7)을 설치하여 물이 내벽을 타고 수실(1)로 공급되게 하고, 증숙고(a)의 천정 외부에는 그 개방단(81)의 레벨이 수실(1) 보다 낮게 위치되는 증기 배출관(8)을 연통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증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증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증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증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일정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증숙고(a)와, 증숙고(a) 내부에 설치되는 수실(1)과, 수실(1) 내에 설치되는 증숙관(2) 및 증숙고(a) 천정을 관통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증기 배출관(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증숙고(a)는 다수의 받침대(a-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도어(b)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인삼을 트레이에 의해 다단으로 적재한 다수의 카트(c)를 증숙고(a) 내부로 입, 출고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내부 바닥에는 실질적으로 증숙고(a) 내부 공간을 서서히 가열하거나 또는 서서히 냉각하는(식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실(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내벽 상측에는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게 하여 공급되는 물이 내벽을 타고 흘러내려 증숙고(1)의 내부 온도를 서서히 낮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실(1)에 대해 증발된 수분을 보충,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 공급관(7)을 대향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수실(1)은 상기 증숙고(a)의 내부 바닥에 다수의 지지대(11)와 다공판(12)에 의해 일정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는 물이 채워지게 되며, 이 물은 필요에 따라 증숙고(a)의 바닥 외면에 관통 설치되는 드레인관(a-2)을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으로, 이 수실(1) 내에는 하부에 다수의 분출공(21)을 형성한 다수의 증숙관(2)을 설치하여 증숙관(2)을 통해 고온의 증기 또는 선선한 외부공기가 수실(1) 내로 하향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되는 고온증기에 의해 수실(1)에 담긴 물이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발생되게 되고 이 수증기에 의해 증숙고(a)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 서서히 상승되게 하여 인삼을 가열(찔수)할 수 있게 하거나, 또한 선선한 외부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역시 증숙고(a) 내부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켜 인삼을 냉각시킴으로써 일련의 증숙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증숙관(2)은 증숙고(a)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공기 공급관(3)과 증기 공급관(4)에 가지관(5)으로 연결되는 연결관(6)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공기 공급관(3)은 송풍기(31)와 연결되어 증숙관(2)에 대해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증기 공급관(4)은 별도의 스팀발생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증숙관(2)에 대해 고온의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외부공기 공급관(3)과 증기 공급관(4)은 각각 도중에 밸브(31)(41)를 설치하여 가열 또는 냉각공정에 따라 연동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증숙고(a)에 대한 가열시에는 외부공기 공급관(3)의 밸브(31)가 차단 작동되게 하고, 반대의 경우, 즉 증숙고(a)에 대한 냉각시에는 밸브(31)가 개방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증기 공급관(4)의 밸브(41)는 차단 작동되게 하여 원할한 증숙공정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한 스팀배출관(8)은 상기 증숙고(a) 내부와 연통되도록 증숙고(a)의 천정 중앙부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증숙고(a) 내부에 대한 냉각시 증숙고(a) 내부에 채워지는 증기를 증숙고(a)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개방단(81)은 설치레벨을 증숙고(a)의 수실(1) 레벨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함으로써 증숙고(a) 내부에 대한 냉각시 증숙고(a) 내, 외부간의 기압차를 작게 하여 냉각되는 인삼에 대한 물성변화를 막고 그 표면이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증숙장치(A)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채취하여 선별된 다수의 인삼을 트레이를 이용하여 카트(c)에 다단으로 적재되게 한 상태에서 이들 다수(본 예에서는 4개)의 카트(c)를 증숙고(a)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도어(b)를 완전 밀폐되게 닫은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시키게되면 제어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증기 공급관(4)의 밸브(41)가 개방상태로 되면서 연결관(6)을 개재하여 수실(1) 내의 물속에 잠겨지도록 설치되는 증숙관(2)으로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게 한다.
이렇게 수실(1) 내부의 물에 잠긴 상태인 증숙관(2)으로 공급된 고온의 증기는 다수 설치되는 증숙관(2)의 하부측으로 하향 관통 형성된 다수의 분출공(21)을 통해 수실(1) 바닥측으로 분출되면서 수실(1) 내의 물을 가열하여 더운증기를 발생시키게되고, 수실(1)로부터 발생된 증기는 수실(1) 상부를 구획 차단하고 있는 다공판(12)의 수많은 관통공을 통해 증숙고(a) 내부공간으로 지속적으로 유입 상승하면서 증숙고(a) 내부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게되고 이렇게 수실(1)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다공판(12)을 통해 유입되는 더운 증기에 의해 카트(c)에 다단으로 적재된 인삼들은 서서히 상승하는 증숙고(a) 내부의 분위기 온도에 의해 충분하고도 효과적으로 쪄지게 되어 일차적인 증숙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동안 인삼을 찌게되면 이후 제어수단에 의해 증기 공급관(4)의 밸브(41)가 닫히게 되고, 외부공기 공급관(3)의 밸브(31)가 열리면서 송풍기(31)가 작동하게 되어 외부의 선선한 공기가 외부공기 공급관(3)과 연결관(6)을 통해 증숙관(2)으로 공급되게 되고, 이렇게 증숙관(2)으로 공급된 외부의 선선한 공기는 역시 증숙관(2)의 하향 분출공(21)을 통해 수실(1) 내부로 분출되면서 수실(1)의 물온도를 서서히 낮춤과 동시에 다량의 기포를 방생시키며 증숙고(a) 내부공간으로 공급되어 증숙고(a) 내부에 잔존하는 증기를 외부로 밀어내 배출시키면서 증숙고(a) 내부온도를 서서히 낮추어 인삼에 대해 냉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31)에 의해 외부의 선선한 공기가 수실(1)을 거쳐 증숙고(a)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에 의해 증숙고(a)의 내부온도를 서서히 낮출 수 있게 함으로써 증숙고(a) 내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게되어 인삼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그 표면이 터지거나 물성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므로 양질의 홍삼을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증숙고(a) 내부공간에 대한 냉각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증숙고(a) 내부 벽면으로는 물 공급관(7)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공급된 물이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에 의해, 증숙고(a) 내부공간에 대한 냉각효과를 높여 보다 완벽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증숙고(a) 내부 바닥에 형성된 수실(1)에 대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기 증발로 인해 발생된 손실수분을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삼 증숙장치(A)는, 인삼이 다수 적재된 카트(c)를 일정크기의 증숙고(a)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증숙고(a) 내부에 대해 고온의 증기가 수실(1)을 거쳐 공급되게 하여 증숙고(a) 내부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카트(c)에 적재된 다수의 인삼을 소정온도로 소정시간동안 찔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쪄진 인삼을 서서히 냉각시키기 위해 송풍기(31)에 의해 외부공기를 역시 수실(1)을 거쳐 증숙고(a)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에 의해 증숙고(a)의 내부온도를 서서히 낮출 수 있게 되므로 증숙되는 인삼이 터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되는 홍삼의 불량률을 낮춰 양질의 홍삼을 다량으로 얻을 수 있게 되므로 홍삼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인삼 증숙장치에 의하면 인삼을 홍삼으로 제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정인 가열과 냉각 공정이 증숙고의 내부 온도편차가 크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증숙고 내부바닥에 수실을 설치하여 증숙고 내부로 공급되는 가열원(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원(외부공기)이 반드시 수실을 거쳐 증숙고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증숙고 내부에 대한 온도편차가 크지 않은 상태에서 인삼에 대한 간접가열과 간접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홍삼의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양질의 홍삼을 염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인삼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카트(c)가 일측의 도어(b)를 통해 증숙고 내부로 입, 출고되도록 한 인삼 증숙장치(A)에 있어서,
    증숙고(a)의 저부에는 수실(1)을 형성하고, 상기 수실(1) 내부에는 다수의 하향 분출공(21)을 갖는 다수의 증숙관(2)을 설치하되, 이 증숙관(2)에는, 송풍기(31)와 연결되는 외부공기 공급관(3)과 증기 공급관(4)이 가지관(5)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관(6)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증숙고(a)의 상부 내벽측으로는 물 공급관(7)을 설치하여 물이 내벽을 타고 수실(1)로 공급되게 하고, 증숙고(a)의 천정 외부에는 증기 배출관(8)을 연통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증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관(8)은 그 개방단(81)의 레벨이 수실(1)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증숙장치.
KR10-2002-0048902A 2002-08-19 2002-08-19 인삼 증숙장치 KR100449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902A KR100449184B1 (ko) 2002-08-19 2002-08-19 인삼 증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902A KR100449184B1 (ko) 2002-08-19 2002-08-19 인삼 증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631A KR20040016631A (ko) 2004-02-25
KR100449184B1 true KR100449184B1 (ko) 2004-09-16

Family

ID=3732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902A KR100449184B1 (ko) 2002-08-19 2002-08-19 인삼 증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1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382B1 (ko) * 2008-03-19 2010-04-26 송화수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101034688B1 (ko) 2010-08-19 2011-05-16 손정헌 9증 9포 방식을 이용한 자동 증숙장치 및 상기 증숙장치를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03022B1 (ko) 2011-06-16 2013-10-14 주식회사 현대이지아이 다기능 홍삼 제조용 증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72B1 (ko) * 2008-02-13 2010-07-16 양영재 음식물 처리 장치
CN103860381B (zh) * 2014-03-12 2016-02-17 崔春福 一种低破肚无生心定色人参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N113397011A (zh) * 2021-05-08 2021-09-17 滁州市金玉滁菊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滁菊花茶用加工设备及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138A (ja) * 1996-04-11 1997-10-28 Lucky Baade Kk 饅頭等の蒸し装置
KR19990078717A (ko) * 1999-07-28 1999-11-05 김정호 2중 원통형 홍삼증삼기
KR20000021380A (ko) * 1998-09-29 2000-04-25 김강식 한약제 삶기 및 건조기
KR20000031038A (ko) * 1998-11-02 2000-06-05 송인수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기
KR200255254Y1 (ko) * 2001-08-28 2001-12-01 김인기 인삼 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138A (ja) * 1996-04-11 1997-10-28 Lucky Baade Kk 饅頭等の蒸し装置
KR20000021380A (ko) * 1998-09-29 2000-04-25 김강식 한약제 삶기 및 건조기
KR20000031038A (ko) * 1998-11-02 2000-06-05 송인수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기
KR19990078717A (ko) * 1999-07-28 1999-11-05 김정호 2중 원통형 홍삼증삼기
KR200255254Y1 (ko) * 2001-08-28 2001-12-01 김인기 인삼 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382B1 (ko) * 2008-03-19 2010-04-26 송화수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101034688B1 (ko) 2010-08-19 2011-05-16 손정헌 9증 9포 방식을 이용한 자동 증숙장치 및 상기 증숙장치를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03022B1 (ko) 2011-06-16 2013-10-14 주식회사 현대이지아이 다기능 홍삼 제조용 증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631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792A (en)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articles and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0954382B1 (ko)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100449184B1 (ko) 인삼 증숙장치
KR101198338B1 (ko) 발효식품 제조 장치
US5103076A (en) Structure of double steam oven
US5690020A (en) Koji production system
KR100616077B1 (ko) 찐쌀제조용 벼찜 장치
CN213095976U (zh) 一种柑皮陈化房
KR101945978B1 (ko) 증숙 장치 및 그 방법
JP2779870B2 (ja) レトルト殺菌機
JPS6129526A (ja) 成形物品の後処理装置
KR102554735B1 (ko) 홍삼 제조용 진공건조 및 증삼 장치
JP2772586B2 (ja) レトルト殺菌機
JP2019205518A (ja) 蒸し機及び加熱処理方法
KR100697853B1 (ko) 찐쌀제조용 찐벼건조장치
CN213848550U (zh) 一种茶叶杀青机的蒸汽装置
JPH09238836A (ja) 加熱温蔵装置
KR101356807B1 (ko) 홍삼 습점건조 장치
JPH07143868A (ja) レトルト殺菌方法
JPH0662960A (ja) 穀類処理方法
CN108548362B (zh) 具有干燥区的冰箱及干燥区的除湿方法
RU2549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молока в бутылках
JPS58193668A (ja) 豆腐製造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93368B1 (ko) 연회용 효과 발생장치
KR890007980Y1 (ko) 열풍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