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572B1 - 음식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572B1
KR100970572B1 KR1020080012895A KR20080012895A KR100970572B1 KR 100970572 B1 KR100970572 B1 KR 100970572B1 KR 1020080012895 A KR1020080012895 A KR 1020080012895A KR 20080012895 A KR20080012895 A KR 20080012895A KR 100970572 B1 KR100970572 B1 KR 10097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eam
storage chamber
hea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576A (ko
Inventor
양영재
김명규
Original Assignee
양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재 filed Critical 양영재
Priority to KR102008001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5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증숙 건조 및 냉각 처리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넣을 수 있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안에 뜨거운 증기를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스팀 발생기; 상기 수용실안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는 히터; 상기 스팀 발생기와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와 열풍을 수용실안에 고르게 분산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와 히터 및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실안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가 갖추어지고, 상기 수용실 바깥으로 수용실안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풍부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을 하나의 장치 안에서 발효와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를 모두 절차에 맡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마다 음식물을 다른 작업 처리 장치로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음식물을 발효,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할 수가 있으므로, 고가의 음식물이 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고, 처리와 취급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음식물, 건조, 발효, 냉각, 스팀, 음식물 처리 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되지 않은 음식물을 하나의 장치안에서 발효,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를 할 수 있게 하여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건조, 증숙, 발효, 냉각 처리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되지 않은 음식물을 건조 등의 과정으로 처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가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음식물 처리 장치는 대개 건조, 숙성 또는 냉동 등의 장치가 각각 별개의 장치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혹은 음식물을 여러가지 과정을 거쳐 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을 각각의 개별 처리 장치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음식물을 처리할 때 각각의 다른 처리 장치로 옮기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완전하게 건조되지 않은 음식물 중의 하나인 인삼을 처리하여 홍삼으로 만드는 기존의 홍삼처리기에서는, 홍삼을 증숙하고 건조한 다음 냉각시키기 위해서 홍삼을 별도의 증숙기에 투입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증숙시킨 다음 건조기로 옮겨 건조한 뒤, 다시 상기 건조 처리된 홍삼을 냉각 처리할 수 있는 냉각기로 옮겨야 한다.
이러한 홍삼의 증숙, 건조, 냉각 처리 방법은 하나의 장치안에서 홍삼을 증숙, 건조, 냉각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증숙, 건조, 냉각 처리가 끝날 때마다 상기 홍삼을 별도의 기능을 하는 증숙기, 건조기, 냉각기로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처리하여야 하는 음식물이 홍삼과 같이 증숙과 건조를 적절하게 잘 조절하여야 하는 제품인 경우에는, 그 증숙의 조건에서 건조의 조건으로 이동할 때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을 정확하게 맞추어주지 못하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기를 쏘이게 되면, 홍삼이 상하여 부패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34178호의 "홍삼 제조를 겸한 전기 오븐 레인지"와 같은 고안이 제안되어 있는바, 상기 고안은 홍삼을 투입할 수 있는 수용실의 하부에 스팀 발생기를 내장하고, 수용실의 후방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히터 및 송풍기를 내장하여 하나의 장치안에서 홍삼을 증숙함과 더불어 건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고안에 따른 종래의 장치는 홍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실의 공간이 좁고 작아 많은 양의 홍삼을 수용하기에 한계가 있고, 홍삼을 증숙한 다음 홍삼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건조 과정에서 히터 및 송풍기를 가동하였을 때 수용실의 하부에 장착된 스팀 발생기에 남겨진 물이 증발되어 건조 효율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냉각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증숙과 건조 과정을 거친 홍삼을 별도의 냉각기로 이동시켜 보관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 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나의 장치안에 음식물을 투입하여 다른 장치로 옮길 필요없이 하나의 장치안에서 음식물의 발효 건조, 증숙 및 냉각 처리 과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을 넣을 수 있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안에 뜨거운 증기를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스팀 발생기; 상기 수용실안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는 히터; 상기 스팀 발생기와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증 기와 열풍을 수용실안에 고르게 분산할 수 있는 송풍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와 히터 및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실안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가 갖추어지고, 상기 수용실 바깥으로 수용실안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풍부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을 하나의 장치안에 넣어 발효와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마다 음식물을 다른 작업 처리 장치로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장치로 간단하게 음식물을 발효,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을 하나의 장치안에 넣어 발효와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마다 음식물을 다른 작업 처리 장치로 이동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하나의 장치로 간단하게 음식물을 발효,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홍삼을 숙성 건조할 때, 습기 등의 조건이 까다로운 홍삼이 상하지 않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숙성 처리 건조 및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면 2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을 넣을 수 있는 수용실(1)과; 상기 수용실(1)안에 뜨거운 증기를 공급하여 수용실(1)안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스팀 발생기(2); 상기 수용실(1)안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여 수용실(1)안의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는 히터(3); 상기 스팀 발생기(2)와 히터(3)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와 열풍을 수용실(1)안에 고르게 분산할 수 있는 송풍기(4); 및 상기 스팀 발생기(2)와 히터(3) 및 송풍기(4)를 제어하는 제어부(5)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실(1)안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6)가 갖추어지고, 상기 수용실(1) 바깥으로 수용실(1)안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풍부(7)가 갖추어진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음식물 처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상기 송풍기(4)가 수용실(1)의 양쪽 측벽에 대향 설치된 2개의 송풍기(4a,4b)로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송풍기(4a)는 벽면의 상단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반대쪽 벽면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용실(1)의 내부 공기가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순환하게 한다
또, 상기 히터(3) 역시 2개의 히터(3a,3b)로 이루어지면서 이들 히터(3)를 상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아래쪽에 설치된 히터(3a)에서 가열된 공기가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다시 한번 더 가열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실(1)안의 일측 내벽면에는 한 개 이상의 스팀 발생기(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스팀 발생기(2)는 수용실(1)의 바닥면쪽에 설치되어 스팀 발생기(2)의 상단으로 배출된 스팀이 위쪽으로 올라오면 송풍기(4a,4b)에 의해 순환하면서 수용실(1) 안의 전체에 고르게 스팀을 전달해 주게 되어 있다.
상기 수용실(1)안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8)이 설치되어 건조대(9)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건조대(9)는 수용실(1)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음식물을 얹을 수 있는 채반(10)과, 상기 채반(10)을 붙잡아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재(11), 및 상기 지지부재(11)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8)와 대응될 수 있는 바퀴(12)를 구비한 바퀴 조립부재(13)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12)는 바퀴(12)가 가이드 레일(8)에 맞물려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서 히터(3) 및 스팀 발생기(2)가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수용실(1)안의 음식물을 순차적으로 증숙 및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3)와 스팀 발생기(2)가 구동됨과 동시에 수용실(1)안의 송풍기(4)와 송풍부(6) 및 배풍부(7)가 작동되어 히터(3)와 스팀 발생기(2)로부터 발생 되는 열풍 또는 증기를 수용실(1) 내부에 고르게 순환 시켜줌과 더불어 수용 실(1)안의 내부 공기를 새로운 공기로 순환시켜 준다.
또, 상기 바퀴 조립부재(13)에 갖추어진 바퀴(12)가 수용실(1)의 가이드 레일(8)에 맞물려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작업 전,후에 수용실(1)로부터 건조대(9)의 출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상기 수용실(1)안에 차가운 냉기를 공급하여 수용실(1)안의 음식물을 냉각 처리할 수 있는 냉각기(15)와, 상기 수용실(1)안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16)가 추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4)는 수용실(1)의 한쪽 상단 모서리에 설치되어 스팀 발생기(2)와 히터(3) 및 냉각기(15)에서 송풍 되어 오는 바람을 수용실(1)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4)의 하단에 음식물을 얹을 수 있는 여러 개의 수평 채반(10)이 수용실(1)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상기 채반(10)은 상기 수용실(1) 내측의 양측면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함과 더불어, 바닥면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송풍기(4)로부터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 및 냉기가 수용실(1)안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채반(10)의 네 모서리의 아래 또는 위에는 수용실(1)의 높이 방향과 대칭을 이루는 소정 길이의 지지부재(11)가 설치되어 상하로 설치된 각각의 수평한 채반(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실(1)의 일측 외벽에는 수용실(1) 내부와 통하여 수용실(1)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6)와 상기 수용실(1) 바깥으로 수용실(1)안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풍부(7)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실(1)안의 내측벽에는 열선(17)이 내장되어 스팀 작업 뒤 수용실(1)안에 가득찬 습기와 수용실(1) 내측면에 맺힌 물방울을 짧은 시간안에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수용실(1) 하단의 일측면에는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온 추출액을 배수할 수 있는 추출액 배수관(18)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실(1)안의 바닥면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액 배수관(18)의 설치벽(18a)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수용실(1)안의 내벽면쪽으로 비스듬하게 상승하는 경사부(19)를 형성하고 있어 채반(10)으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의 추출액이 쉽고 간단하게 추출액 배수관(18)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출액 배수관(18)의 선단에 음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적당한 시간에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 밸브(2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기(2)와 히터(3) 및 냉각기(15)는 수용실(1)의 바깥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실(1)의 송풍기(4)와 덕트(21)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21)는 히터(3)로부터 뻗어 나온 히터 배관(22)과 냉각기(15)로부터 뻗어나온 냉기 배관(23) 및, 스팀 발생기(2)로부터 뻗어나온 증기 배관(24)을 합친 공통 배관(25)과 연결되고, 상기 히터 배관(22)과 냉기 배관(23) 및 증기 배관(24)의 통로 중간에는 각각 상기 히터(3)로부터의 열풍을 제어할 수 있는 히터 밸브(26)와 냉각기(15)로부터의 냉기를 제어할 수 있는 냉각 밸브(27), 및 스팀 발생기(2)로부터의 증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팀 밸브(28)가 장착되어 상기 각각의 히터(3)와 냉각기(15) 및 스팀 발생기(2)로부터 배출되는 열풍과 냉기 및 증기가 다른 장치 안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히터(3)와 냉각기(15) 및 스팀 발생기(2)의 작동 순서와 시간을 설정하는바, 상기 히터 작업과 스팀 작업을 할 때 수용실(1)안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 입력부(29)와, 상기 버튼 입력부(29)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고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 장치의 작업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어(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 입력부(29)와 온.습도 센서(16)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히터(3)와 냉각기(15) 및 스팀 발생기(2) 그리고 히터 밸브(26)와 냉각 밸브(27), 스팀 밸브(28), 및 배수 밸브(2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어(30)와 송풍기(4) 및 열선(17)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면 5a와 도면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를 운용하는 운용자는 제어부(5)에 있는 버튼 입력부(29)를 통해 건조와 스팀 또는 냉각에 대한 작업 순서와 작업 시간을 설정하고 스팀 작업과 히터 작업에 대한 온도를 각각 설정(S31)한다.
만약, 작업 순서가 스팀, 건조, 냉각 순으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제어부(5)에 갖추어진 디스플레이어(30)에 상기 작업 순서와 각각의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 을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스팀 작업과 히터 작업에 대한 설정 온도가 각각 표시(S32)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송풍기(4)를 구동시킨 다음 온.습도 센서(16)를 작동(S33)시키고, 스팀 밸브(28)를 열어 스팀 발생기(2)를 작동(S34)시키며, 디스플레이어(30)에 스팀 작업에 대한 표시와 작업 시간을 실시간으로 카운트하여 표시(S35)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스팀 발생기(2)가 가동되는 가운데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36)한 결과 만약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했다면, 스팀 발생기(2)를 일정 시간 정지(S37)하여 수용실(1)안의 온도를 낮춘 다음 수용실(1)안의 온도를 다시 한번 확인(S38)한다.
이 후, 상기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을 넘어서지 않는다면, 상기 스팀 발생기(2)의 작동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9)하게 되고 만약 스팀 발생기(2)의 작동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다시 상기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로 복귀(S40)하여 스팀 발생기(2)의 작동 시간 동안에 실시간으로 수용실(1)안의 온도를 반복적으로 점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스팀 발생기(2)의 작동 시간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스팀 발생기(2)는 작업을 멈춤과 더불어 스팀 밸브(28)를 닫고(S41), 상기 배수 밸브(20)를 일정시간 열어 수용실(1)안에 음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배수(S42)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도면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히터 밸브(26)를 열고 히터(3)와 열선(17)을 작동(S43)시키는 한편, 디스플레이어(30)에 건조 작업에 대한 표시와 작업 시간을 실시간으로 카운트하여 표시(S44)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히터(3)와 열선(17)이 가동되는 가운데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45)하고, 상기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약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했다면, 히터(3)와 열선(17)을 일정 시간 정지(S46)하여 수용실(1)안의 온도를 낮춘 다음 수용실(1)안의 온도를 다시 확인(S47)한다.
그 다음, 상기 수용실(1)안의 온도를 다시 확인한 결과 만약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다음 순서인 온.습도 센서(16)를 이용하여 수용실(1)안에 습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48)한 다음, 만일 수용실(1)안에 습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하였다면 히터(3)와 열선(17)에 대한 작업 시간의 카운트를 일정 시간 정지(S49)한 다음 히터(3)와 열선(17)을 지속적으로 가동하여 수용실(1)안의 습기를 충분히 제거한 다음 수용실(1)안의 습도를 다시 확인(S50)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실(1)안의 습도를 확인한 결과 수용실(1)안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상기 히터(3)와 열선(17)의 작동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51)하고 만약 히터(3)와 열선(17)의 작동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다시 상기 수용실(1)안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로 복귀(S52)하여 히터(3)와 열선(17)의 작동 시간 동안에 실시간으로 수용실(1)안의 온도 및 습도를 반복적으로 점검하게 되는 한편, 만약, 히터(3)와 열선(17)의 작동 시간이 종료되었다면 히터(3)와 열선(17)의 작동을 정지하고 히터 밸브(26)를 닫아 건조 작업을 완료(S53)하게 된다.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수용실(1)안에 수용된 건조한 음식물을 냉각 시키기 위해 냉각 밸브(27)를 열고, 냉각기(15)를 작동(S54)시키는 한편, 디스플레이어(30)에 냉각 작업에 대한 표시와 작업 시간을 실시간으로 카운트하여 표시(S55)한다.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냉각 작업을 마친 음식물 처리 장치는 냉각 밸브(27)를 닫고 냉각 작업을 종료(S56)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을 하나의 수용실(1)안에 넣어 발효와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마다 음식물을 다른 작업 처리 장치로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장치로 간단하게 음식물을 발효와 건조, 스팀 및 냉각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 2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수용실안에 갖추어진 바닥면의 단면도,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면 5a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 5b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수용실 2. 스팀 발생기
3. 히터 4. 송풍기
5. 제어부 6. 송풍부
7. 배풍부 8. 가이드 레일
9. 건조대 10. 채반
11. 지지부재 12. 바퀴
13. 바퀴 조립부재 15. 냉각기
16. 온.습도 센서 17. 열선
18. 추출액 배수관 19. 경사부
20. 배수 밸브 21. 덕트
22. 히터 배관 23. 냉기 배관
24. 증기 배관 25. 공통 배관
26. 히터 밸브 27. 냉각 밸브
28. 스팀 밸브 29. 버튼 입력부
30. 디스플레이어

Claims (4)

  1. 음식물을 넣을 수 있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안에 뜨거운 증기를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스팀 발생기; 상기 수용실안에 건조한 열풍을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는 히터; 상기 스팀 발생기와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증기와 열풍을 수용실안에 고르게 분산할 수 있는 송풍기; 상기 스팀 발생기와 히터 및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실안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 및 상기 수용실 바깥으로 수용실안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실안에 차가운 냉기를 공급하여 수용실안의 음식물을 냉각 처리할 수 있는 냉각기와, 상기 수용실안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송풍기는 수용실의 한쪽 상단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용실 일측 외벽에 부착된 히터와 스팀 발생기, 및 냉각기와 각각 연결된 히터 배관과 증기 배관 및 냉기 배관이 합쳐진 공통 배관과 덕트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용실의 일측 외벽에는 수용실의 내부와 통하는 추출액 배수관과 송풍부 및 배풍부가 갖추어지고, 상기 추출액 배수관과 히터 배관, 증기 배관 및 냉기 배관에는 각각 배수 밸브와 히터 밸브, 스팀 밸브 및 냉기 밸브가 갖추어지며, 상기 수용실의 내벽에는 열선이 내장되며, 상기 수용실의 바닥면은 상기 추출액 배수관의 설치벽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수용실안의 내벽면쪽으로 비스듬하게 상승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안에는 음식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대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는 수용실안의 양쪽 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실안의 일측면에 설치된 송풍기는 상단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설치된 송풍기는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 발생기는 수용실의 바닥면쪽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와 배풍부는 수용실 외벽 일측에 수용실 내부와 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안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 되고, 상기 건조대는 수용실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채반과, 상기 채반을 붙잡아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될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바퀴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퀴는 바퀴가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4. 삭제
KR1020080012895A 2008-02-13 2008-02-13 음식물 처리 장치 KR10097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95A KR100970572B1 (ko) 2008-02-13 2008-02-13 음식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95A KR100970572B1 (ko) 2008-02-13 2008-02-13 음식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576A KR20090087576A (ko) 2009-08-18
KR100970572B1 true KR100970572B1 (ko) 2010-07-16

Family

ID=4120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895A KR100970572B1 (ko) 2008-02-13 2008-02-13 음식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77B1 (ko) * 2012-12-14 2013-10-23 (주) 해우농수산 냉동 고추 살균건조기
KR101384231B1 (ko) * 2013-05-13 2014-04-10 주식회사 와이앤비푸드 농업회사법인 갈변현상이 예방되는 과일 또는 채소 반건조방법
CN108062137A (zh) * 2018-01-19 2018-05-22 李钟星 蒸烘装置
CN113701491B (zh) * 2021-09-04 2022-07-15 江苏日新印染机械有限公司 一种在线排风自动控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43A (ko) * 2002-07-26 2004-0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웹페이지의 감시를 통한 자동 티켓 예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6631A (ko)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삼각기계 인삼 증숙장치
KR200411043Y1 (ko) * 2005-12-28 2006-03-15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KR100579415B1 (ko) 2005-12-28 2006-05-25 정진훈 단일 장치내 증숙,건조,추출을 통한 홍삼제조장치
KR100670157B1 (ko) 2006-03-20 2007-01-17 장동현 인삼 증숙 및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43A (ko) * 2002-07-26 2004-0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웹페이지의 감시를 통한 자동 티켓 예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6631A (ko)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삼각기계 인삼 증숙장치
KR200411043Y1 (ko) * 2005-12-28 2006-03-15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KR100579415B1 (ko) 2005-12-28 2006-05-25 정진훈 단일 장치내 증숙,건조,추출을 통한 홍삼제조장치
KR100670157B1 (ko) 2006-03-20 2007-01-17 장동현 인삼 증숙 및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576A (ko)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5515B (zh) 用于多区烤箱的蒸汽控制系统
RU2401960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ечь
CN110360815B (zh) 一种温湿度控制的热风与真空脉动组合干燥方法与设备
US7205507B2 (en) Food cooking and heating apparatus
KR101464014B1 (ko) 식기 세척기용 건조 장치
US9066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steam distribution in a steam cooker
KR100763460B1 (ko) 발아기 겸용 고추 건조기
KR100970572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102412481B1 (ko) 곡물 건조기 및 그 곡물 건조기의 사용 방법
CN110115516B (zh) 具有可变容积的蒸汽辅助式烹饪区的多区烤箱
CN110115517B (zh) 用于多区烤箱的组合排放系统
CN110115514B (zh) 用于多区烤箱的清洁系统
JP4358448B2 (ja) 製品の気体処理装置
KR101275867B1 (ko)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101198338B1 (ko) 발효식품 제조 장치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US201202976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vegetable and lettuce leaves
JP7203020B2 (ja) ベーカリー製品、デニッシュペストリー、及び類似の製品のオーブン調理用モジュール、並びに、当該モジュールを少なくとも1つ備える直線型トンネルオーブン
KR100485766B1 (ko) 홍삼제조용 건조기
KR100725737B1 (ko) 조리장치 및 그 배수제어방법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JP3204700U (ja) 減圧乾燥機及び減圧乾燥システム
CN206895714U (zh) 高效热风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