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741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741B1
KR102428741B1 KR1020180087027A KR20180087027A KR102428741B1 KR 102428741 B1 KR102428741 B1 KR 102428741B1 KR 1020180087027 A KR1020180087027 A KR 1020180087027A KR 20180087027 A KR20180087027 A KR 20180087027A KR 102428741 B1 KR102428741 B1 KR 10242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lock
receptacl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668A (ko
Inventor
카즈야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끼리의 로크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함과 함께, 2개의 단자열의 사이 그리고 단자열과 커넥터 이외의 사이에서의 노이즈의 영향을 양호하게 저감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로크 부재(30)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서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서 적어도 단자(20)와 상대 단자(60)의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셸 부재(40)는, 하우징(10)의 외면을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측판부(42)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로 접속 가능한 접속부(42B)를 갖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30)와 상기 셸 부재(40)는, 상기 탄성지지부(4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및 발출 가능하게 끼워맞춤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전기 커넥터가 고속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당해 전기 커넥터의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가 외부에 주는 영향, 그리고 당해 단자가 외부로부터 받는 노이즈의 영향을 최대한 저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로크 기능을 갖는 금속제의 로크 부재(GCL 부재)가 형성된 회로 기판용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의 긴 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2개의 단자열을 이루는 복수의 단자가 당해 하우징에 배열 지지(holding)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당해 2개의 단자열을 이격시켜 주고 있다. 당해 로크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부에,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로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형성된 금속제의 피(被)로크 부재(접속부)와 로크 가능한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하우징의 짧은 쪽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2개의 피로크 아암부를 갖고 있음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가 부착되는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의 로크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당해 피로크 부재의 상기 피로크 아암부끼리의 사이에 진입하고, 당해 피로크 아암부에 형성된 돌기 형상의 피로크부와 걸어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당해 로크 부재 및 당해 피로크 부재는, 로크력(걸어고정력) 이상의 발출력을 가함으로써 커넥터의 발출이 가능한 로크 구조(여기에서는 「간이 로크 구조」라고 함)를 갖고 있다. 상기 피로크 부재는,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가 2개의 단자열의 사이를 이격하도록 하여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당해 로크 부재에 의해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가 방지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103119호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부재 및 플러그 커넥터의 피로크 부재는, 간이(簡易) 로크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로크 상태에 있는 로크 부재 및 피로크 부재 중 한쪽의 부재를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비로소 커넥터의 발출이 가능해지는 로크 구조(여기에서는 「완전 로크 구조」라고 함)와 비교하여 로크력이 작다. 따라서, 커넥터끼리의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완전 로크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금속제의 셸(shell) 부재를 갖고 있지 않고, 따라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각각의 단자열의 외측(로크 부재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금속 부재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결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2개의 단자열의 사이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어도, 각 단자열에 있어서, 단자로부터 방사된 노이즈가 커넥터 밖으로 용이하게 누설됨과 함께, 당해 단자가 커넥터 밖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아 버린다. 즉,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에 인접하는 전자기기 등이 서로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끼리의 로크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함과 함께, 2개의 단자열의 사이 그리고 단자열과 커넥터 밖과의 사이에서의 노이즈의 영향을 양호하게 저감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및 발출 가능하게 끼워맞춤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일 방향을 긴 쪽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과, 상기 긴 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2열의 단자열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에 배열 지지되는 금속제의 복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발출을 저지 가능한 로크 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발출을 허용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금속제의 로크 부재와, 당해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금속제의 탄성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셸 부재를 갖고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크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셸 부재는,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측판부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셸 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 금속제의 상기 로크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로크 부재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접지되어 있는 상기 셸 부재와 상기 탄성지지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를 고속 신호의 전송에 사용한다고 해도,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가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각 단자열의 외측(로크 부재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셸 부재의 측판부가 존재하고 있고, 당해 단자열은 당해 측판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단자열의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의 커넥터 이외로의 누설 및 커넥터 이외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 상기 측판부에 의해 양호하게 방지된다. 이 결과, 전기 커넥터와 이에 인접하는 전자기기 등이, 각각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 서로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로크 부재는, 커넥터 발출시,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받아 처음으로 커넥터 발출 가능한 상태가 되는, 소위 완전 로크 구조로 되어 있고, 종래와 같은 간이 로크 구조와 비교하여 로크 강도가 크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가 상기 셸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를 상기 셸 부재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탄성지지부를 셸 부재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상기 하우징으로의 상기 셸 부재의 부착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도 동시에 부착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지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제조가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금속판제이고, 그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이, 하우징의 외면에 면하는 상기 셸 부재의 측판부의 판면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금속판제의 로크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당해 로크 부재의 상기 판면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노이즈 차폐를 할 수 있고, 게다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로크 부재의 치수는 당해 로크 부재의 판두께 치수가 되기 때문에,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 금속제의 상기 로크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로크 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셸 부재와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를 고속 신호의 전송에 사용한다고 해도,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가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해 방지된다. 단자열은 셸 부재의 측판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열의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의 커넥터 이외로의 누설 및 커넥터 이외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 양호하게 방지되어, 전기 커넥터와 이에 인접하는 전자기기 등이 서로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로크 부재는 소위 완전 로크 구조로 되어 있어, 종래와 같은 간이 로크 구조와 비교하여 로크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고,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춤시키도록 한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金具)를,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지지되어 있는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로크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우반부의 확대도이다.
도 7(A)는, 로크 해제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우반부의 확대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커넥터(2)의 사시도이고,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고,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춤시키도록 한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B1, B2)(도 1, 2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각 회로 기판(B1, B2)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Z축 방향))을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해서는,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이 도 1에서의 상방(Z1 방향)이고, 커넥터 발출 방향이 도 1에서의 하방(Z2 방향)이 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이 도 1에서의 하방(Z2 방향)이고, 커넥터 발출 방향이 도 1에서의 상방(Z1 방향)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를 상대 커넥터로서 설명하지만,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보면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가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과,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긴 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하여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의해 2열로 배열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와, 상기 긴 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지지되는 로크 부재로서의 로크 금구(30)와,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둘레벽을 덮도록 하여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부착된 셸 부재(40)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B1) 상에 배치 실장된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B1)의 실장면과 평행한 일 방향을 긴 쪽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11)(도 2 참조)과, 도 1에서,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Z1 방향)으로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의 돌출벽(12)과, 상기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상기 돌출벽(12)을 둘러싸는 틀 형상의 둘레벽(1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端壁;15)을 갖고 있다. 상기 돌출벽(12)과 둘레벽(13)의 사이에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환상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2)의 끼워맞춤부로서의 둘레벽(5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6)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리셉터클 단자(20), 로크 금구(30) 및 셸 부재(40)를 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의 이해를 위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더 한층의 설명에 앞서, 우선, 리셉터클 단자(20), 로크 금구(30) 및 셸 부재(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를 갖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Y1측에 위치하는 단자열과 Y2측에 위치하는 단자열로 구성되는 2열의 단자열은,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또한,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열은,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동렬(同列)을 이루도록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의 배열 범위의 양측에 1개씩 배치된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로 이루어져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21S)(도 2도 참조)와, 당해 기부(21S)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굴곡되고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22S)(도 1도 참조)와, 기부(21S)의 타단으로부터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피지지부(23S)(도 1도 참조)와, 당해 피지지부(23S)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방(도 3에서, 우측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에 대해서는 Y1 방향, 좌측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에 대해서는 Y2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24S)(도 2 참조)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는, 기부(21S) 및 피지지부(23S)가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저벽(11) 및 측벽(14)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접촉 아암부(22S)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돌출벽(12)에 형성된 후술하는 세로 홈부(12DS) 내에 수용되어 있고, 당해 접촉 아암부(22S)의 판두께 방향, 환언하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접촉 아암부(22S)의 상단에는, 플러그 커넥터(2)에 형성된 상대 단자로서의 플러그 신호 단자(60S)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22AS)가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6)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역 U자 형상(도 1도 참조)을 이루는 피지지부(23S)는, 2개의 각부(脚部) 중 커넥터 폭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내각부(內脚部; 23AS)의 판면이 측벽(1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당해 판면의 상부에,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60S)와 걸어고정하기 위한 1개의 로크부(23BS)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부(24S)는, 피지지부(23S)의 2개의 각부 중 커넥터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외각부(外脚部; 23BS)의 하단(도 2에서는 상단)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향하여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B1)의 대응 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아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에 있어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S」를 대신하여 「P」라고 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보다도 단자 폭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가 큰 점, 그리고, 로크부(23BP)를 2개 갖고 있는 점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와 상이하다. 당해 로크부(23BP)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의 로크부(23BS)와 동일한 형상이고, 또한, 당해 로크부(23BS)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단자 폭 방향에서 2개 배열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도 참조하면서 로크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를,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로 지지되어 있는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로크 금구(30)는,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4에서의 우상방(右上方)(X1 방향)으로 향한 로크 해제 조작을 받음으로써 우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서의 우상방(X1 방향), 즉 로크 해제시의 로크 금구(30)의 이동 방향 전방(前方)을 「전방」이라고 하고, 도 4에서의 좌하방(X2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로크 금구(30)는, 전후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의 금속 부재의 절삭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이 로크 금구(3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중앙 위치, 환언하면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로크 금구(30)는, 전후 방향에서 리셉터클측 하우징(10)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로크 금구(30)는,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전체를 포함하는 바와 같은 범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로크 금구(30)는, 당해 로크 금구(30)의 전반(前半)부에서, 전단 근방 위치에서 양측의 측면(Y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전방 대(大)오목부(31A)와, 당해 전방 대오목부(31A)보다도 후방 위치에서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L자 형상으로 함몰된 전방 소(小)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당해 로크 금구(30)의 후반부에는, 후단 근방 위치에서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후방 대오목부(31B)와, 당해 후방 대오목부(31B)보다도 전방 위치에서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L자 형상으로 함몰된 후방 소오목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대오목부(31A) 및 후방 대오목부(31B)(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대오목부(31A, 31B)」라고 총칭함)는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후 방향에서의 후술의 로크 돌출부(33A, 33B)의 위치를 제외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전방 소오목부(32A) 및 후방 소오목부(32B)(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소오목부(32A, 32B)」라고 총칭함)는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후 방향에서의 후술의 피지지부(34A, 34B)의 위치를 제외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소오목부(32A, 32B)는, 전후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 대오목부(31A, 31B)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금구(30)는, 대오목부(31A, 31B)를 형성하는 연(緣)부 중 전연부(31A-1, 31B-1)(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대오목부(31A, 31B) 내에 위치하는 로크 돌출부(33A, 33B)(전방 로크 돌출부(33A), 후방 로크 돌출부(33B))를 갖고 있다. 로크 돌출부(33A, 33B)의 각각은, 상연(上緣)이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사연(斜緣)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하연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2)에 형성된 상대 로크 금구로서의 피로크 금구(70)와 걸어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6(A), 도 6(B) 참조).
또한, 로크 금구(30)는, 소오목부(32A, 32B)를 형성하는 연부 중 상연부를 이루는 가로부(34A-1, 34B-1)와 전연부를 이루는 세로부(34A-2, 34B-2)로 이루어지는 역 L자 형상의 피지지부(34A, 34B)(전방 피지지부(34A), 후방 피지지부(34B))를 갖고 있다. 당해 피지지부(34A, 34B)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대응부(후술의 전방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에 대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걸어고정하여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부터의 로크 금구(30)의 하방으로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피지지부(34A, 34B)의 가로부(34A-1, 34B-1)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후술의 로크 위치측 규제부(12A-3, 12C-3)에 맞닿아, 후방으로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로크 위치측 피규제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도 5 및 도 6(A), 도 6(B)도 참조). 또한, 피지지부(34A, 34B)의 세로부(34A-2, 34B-2)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후술의 로크 해제 위치측 규제부(12B-2, 12C-4)에 맞닿아, 전방으로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로크 해제 위치측 피규제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도 7(A), 도 7(B)도 참조).
또한, 로크 금구(30)는, 추가로, 후단 위치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피탄성지지부(35) 및 전단 위치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로크 해제 조작부(36)를 갖고 있다. 피탄성지지부(35)는, 후술의 셸 부재(40)의 탄성지지부(45)와 맞닿아, 당해 탄성지지부(45)로부터의 후방으로 향한, 즉 후술의 로크 위치로 향한 탄성지지력(스프링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로크 해제 조작부(36)는, 로크 돌출부(33A, 33B)나 피탄성지지부(35)보다도 전방, 즉 로크 해제 위치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조작시에 전방으로 향한 로크 해제 조작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셸 부재(40)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한 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셸 부재(40)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양단벽(15) 및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측벽(14)의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판부(41)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당해 상판부(41)의 양단연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고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벽(14)을 덮음과 함께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지지되는 측판부(42)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당해 측판부(42)의 양단연에서 상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향하여 굴곡되고 양단벽(15)의 단벽면(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덮는 내단 판부(43)(도 2 참조)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상판부(41)의 양단 근방 위치에서 상판부(41)의 측단연(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고 연장되어 내단 판부(內端板部; 43)의 외면을 덮는 외단 판부(外端板部; 44)와, 내단 판부(43)로부터 연장되어 외단 판부(44)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탄성지지부(45)를 갖고 있다. 당해 셸 부재(40)는, 실드 부재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상판부(41)는, 단벽(15)의 상면을 덮는 단 부분(41A)과 2개의 측벽(14)의 단부를 덮는 측방 부분(41B)으로 상방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단 부분(41A)의 단자 배열 방향 내측의 측연(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으로부터는 하방으로 굴곡되고 단벽(15)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2개의 단 부착편(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방 부분(41B)의 내측의 커넥터 폭 방향 내측의 측연(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으로부터는, 하방으로 굴곡되고 측벽(14)의 상단 근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접촉편(47)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42)는, 측벽(14)의 외면을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당해 측벽(14)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즉, 측판부(42)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판부(42)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 밖에서, 하연부가 절결되어 있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대응부(후술의 부착부(14B))로의 압입 부착을 위한 부착 홈부(42A)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부착 홈부(42A)의 양 외측에는 회로 기판(B1)의 대응 회로부로 납땜 접속되는 접속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접속부(42B)가 납땜 접속됨으로써, 셸 부재(40)는 전기적으로 접지되게 된다.
2개의 내단 판부(43)는,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향하여 동일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단벽(15)의 단벽 홈부(17B, 17C)의 측연(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으로까지 연장되어 있고, 선단(내측)끼리가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탄성지지부(45)는, 각각의 내단 판부(43)의 내측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이고 나서 추가로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인 2개의 탄성편(45A, 45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45A, 45B)은, 그 선단부(내측연)의 상부에, 상하 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각각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향하여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되는 선단편(45A-1, 45B-1)(도 6(A), 도 7(A)도 참조)을 갖고 있다. 당해 탄성편(45A)의 선단편(45A-1)은, 다른 한쪽의 탄성편(45B)의 내측연에 대향하고, 탄성편(45B)의 선단편(45B-1)은, 상기 선단편(45A-1)의 하방 위치에서, 다른 한쪽의 탄성편(45A)의 내측연에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당해 선단편(45A-1, 45B-1)의 하방에는, 로크 금구(30)의 후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5C)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저벽(11)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에서의 중앙 근방 위치에서 후술하는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의 저홈부(17A)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저구멍부(11B)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당해 저구멍부(11B)에 인접하여 당해 저벽(11)의 저면(도 2에서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개방된 저(底)오목부(11C)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여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고, 각각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0)와 동일 위치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 등간격을 갖고 복수 배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저구멍부(11B)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신호 단자용 저구멍부(11BS)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원 단자용 저구멍부(11BP)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저오목부(11C)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신호 단자용 저오목부(11CS)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원 단자용 저오목부(11CP)를 갖고 있다. 전원 단자용 저구멍부(11BP) 및 전원 단자용 저오목부(11CP)는, 각각 신호 단자용 저구멍부(11BS) 및 신호 단자용 저오목부(11CS)보다도 폭 치수(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저구멍부(11B)는 리셉터클 단자(20)의 기부(21)의 일부를 수용하고, 저오목부(11C)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접속부(2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돌출벽(12)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단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벽(12)의 양쪽의 측면(12E)으로부터 함몰되어 상하 방향에서 관통하여 연장되는 세로 홈부(12D)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복수 배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세로 홈부(12D)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신호 단자용 세로 홈부(12DS)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원 단자용 세로 홈부(12DP)를 갖고 있고, 당해 전원 단자용 세로 홈부(12DP)는 신호 단자용 세로 홈부(12DS)보다도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측벽(14)은, 단자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서의 당해 측벽(14)의 내면(수용부(16)를 형성하는 벽면)의 상부에 당해 내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측방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방 오목부(14A)는, 셸 부재(40)의 접촉편(47)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측벽(14)은, 단자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 셸 부재(40)의 부착 홈부(42A)로 압입되는 부착부(14B)가 당해 측벽(14)의 하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벽(15)은, 후술하는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의 단벽 홈부(17B, 17C)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위치에, 당해 단벽(15)의 내면(수용부(16)를 형성하는 벽면)으로부터 함몰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端) 오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단 오목부(15A)는, 셸 부재(40)의 단 부착편(46)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로크 금구(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로서의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당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펼쳐지는 슬릿 형상을 이루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대칭(도 5에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고,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금구(30)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에서는 우방이 전방이 되고, 좌방이 후방이 된다.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로크 금구(30)의 각 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 혹은 구멍부가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30)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저홈부(17A)(도 2 참조)와, 로크 금구의 전단측 부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단벽 홈부(17B)와, 로크 금구의 후단측 부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단벽 홈부(17C)와, 로크 금구(30)의 전후 방향 중간부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벽 홈부(17D)를 갖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홈부(17A)는, 저벽(11)을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전역에 걸쳐 동일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당해 저홈부(17A)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수용부(16)에 대응하는 범위, 즉 돌출벽(12)과 단벽(15)의 사이의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용부(16)와 연통하고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단벽 홈부(17B)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전방(도 5에서 우단측)에 위치하는 단벽(15)에서, 또한, 후방 단벽 홈부(17C)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후방(도 5에서 좌단측)에 위치하는 단벽(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 단벽(15)의 벽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방 단벽 홈부(17B) 그리고 후방 단벽 홈부(17C)의 상측 내벽면(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은, 각각 로크 금구(30) 상연에 맞닿아 상방으로 향한 당해 로크 금구(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17B-1, 17C-1)으로서 기능한다.
돌출벽 홈부(17D)는, 돌출벽(12)의 하부를 전후 방향에서 관통함과 함께, 저홈부(17A)와 연통하고 있다. 당해 돌출벽 홈부(17D)는, 돌출벽(12)의 전단 근방 위치에서 당해 돌출벽(12)을 상하 방향에서 관통하는 전방 돌출벽 구멍부(17D-1)와, 돌출벽(12)의 후단 근방 위치에서 당해 돌출벽(1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방 돌출벽 구멍부(17D-2)를 갖고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돌출벽 구멍부(17D-1) 및 후방 돌출벽 구멍부(17D-2)는,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방 돌출벽 구멍부(17D-1)가 로크 금구(30)의 전방 피지지부(34A)를 수용하고, 후방 돌출벽 구멍부(17D-2)가 로크 금구(30)의 후방 피지지부(34B)를 수용하고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전방 돌출벽 구멍부(17D-1)와 후방 돌출벽 구멍부(17D-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섬 형상부(12A)와, 전방 돌출벽 구멍부(17D-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섬 형상부(12B)와, 후방 돌출벽 구멍부(17D-2)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섬 형상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섬 형상부(12A)는, 하부에서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전방 지지부(12A-1), 후방 로크 해제 위치측 규제부(12A-2)를 갖고 있다. 또한, 전방 섬 형상부(12B)는, 상부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상벽부(12B-1)와, 하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전방 로크 해제 위치측 규제부(12B-2)를 갖고 있고,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후방 섬 형상부(12C)는, 상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상벽부(12C-1)와, 하부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후방 지지부(12C-2)를 갖고 있고,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전방 섬 형상부(12B)의 단면 형상을 좌우 반전시킨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앙 섬 형상부(12A), 전방 섬 형상부(12B) 그리고 후방 섬 형상부(12C)의 상측 내벽면(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은, 각각 로크 금구(30)의 상연에 맞닿아 상방으로 향한 당해 로크 금구(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12A-4, 12B-3, 12C-4)으로서 기능한다.
전방 돌출벽 구멍부(17D-1)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여 돌출되는 전방 지지부(12A-1) 및 전방 로크 해제 위치측 규제부(12B-2)에 의해 하부가 좁혀져 있고,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후방 돌출벽 구멍부(17D-2)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여 돌출되는 후방 지지부(12C-2) 및 후방 로크 해제 위치측 규제부(12A-2)에 의해 하부가 좁혀져 있고,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지지부(12A-1)가 로크 금구(30)의 전방 피지지부(34A)에 걸어고정되고, 후방 지지부(12C-2)가 로크 금구(30)의 후방 피지지부(34B)에 걸어고정됨으로써,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부터의 로크 금구(30)의 하방으로의 탈락을 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중앙 섬 형상부(12A)의 상부의 전단부는, 로크 금구(30)의 전방 피지지부(34A)의 가로부(34A-1)와 맞닿아,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방 로크 위치 규제부(12A-3)로서 기능한다. 후방 섬 형상부(12C)의 상부의 전단부는,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4B)의 가로부(34B-1)와 맞닿아,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방 로크 위치 규제부(12C-3)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의 요령으로 조립된다. 우선, 리셉터클측 하우징(10)과 2열로 배열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리셉터클 신호 단자(20S)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서 리셉터클 단자(20)를 배열 지지한다. 이 결과, 리셉터클 단자(20)의 기부(21)의 일부가 저벽(11)에 의해 지지되고, 리셉터클 단자(20)의 피지지부(23)가 측벽(1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접촉 아암부(22)는, 돌출벽(12)의 세로 홈부(12D) 내에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고, 접속부(24)는, 저벽(11)의 저오목부(11C) 내에서 노출되어 위치한다.
다음으로, 셸 부재(40)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상방으로부터 부착한다. 이때, 셸 부재(40)의 측판부(42)의 부착 홈부(42A) 내에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측벽(14)의 부착부(14B)가 압입된다. 또한, 측벽(14)의 측방 오목부(14A) 내에 접촉편(47)이 수용됨과 함께, 단벽(15)의 단 오목부(15A)에 단 부착편(46)이 수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지지부(45)가 셸 부재(4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지지부를 셸 부재와는 별개의 부재로 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의 셸 부재(40)의 부착에 의해 탄성지지부(45)도 동시에 부착되게 되기 때문에, 탄성지지부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제조가 간단해진다. 단, 탄성지지부를 셸 부재와 일체로서 형성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커넥터의 제조 비용의 억제나 제조 공정의 간단화의 필요성이 낮은 경우에는, 탄성지지부를 셸 부재와는 별개의 탄성지지 부재로서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음과 같이, 로크 금구(30)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하방으로부터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 내로 수용시킨다. 이때,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4A, 34B)가 각각 단자 배열 방향에서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돌출벽 구멍부(12D-1, 12D-2)와 동일 위치가 되도록 하고, 로크 금구(30)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로크 금구(3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피지지부(34A, 34B)를 각각 돌출벽 구멍부(17D-1, 17D-2)로 진입시킨다.
로크 금구(30)의 수용시, 로크 금구(30)가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 내를 상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탄성지지부(35)가, 탄성지지부(45)의 선단편(45A-1, 45B-1)을 전방으로 향하여 눌러서 탄성편(45A, 45B)을 전방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4A, 34B)의 가로부(34A-1, 34B-1) 각각이, 전방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보다도 상방에 오게 되면, 탄성편(45A, 45B)의 복원력에 의해 피탄성지지부(35)가 후방으로 되밀린다. 이 결과, 로크 금구(30)가 로크 위치에 오게 된다. 이때,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4A, 34B)의 가로부(34A-1, 34B-1)가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로크 위치측 규제부(12A-3, 12C-3)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후방으로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이 규제되고, 당해 로크 금구가 확실하게 로크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로크 위치에서 피지지부(34A, 34B)의 가로부(34A-1, 34B-1)의 각각이 전방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의 바로 위에 오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가로부(34A-1, 34B-1)가 전방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에 대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걸어고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부터의 로크 금구(30)의 탈락이 저지된다. 또한,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3A, 33B)가,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전방의 단벽 그리고 돌출벽(1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수용부(16) 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금구(30) 및 셸 부재(40)가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부착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30)는, 셸 부재(40)의 탄성지지부(45)로부터의 후방으로 향한 탄성지지력을 받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의 발출을 저지 가능한 「로크 위치」(도 5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나는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로크 금구(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조작시에, 상기 탄성지지력에 저항하는 전방으로 향한 로크 해제 조작력을 받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의 발출을 허용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도 7(A), 도 7(B)에 나타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30)는,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전후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로크 금구(30)는, 커넥터 발출시,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받아 비로소 커넥터 발출 가능한 상태가 되는, 소위 완전 로크 구조로 되어 있고, 종래와 같은 간이 로크 구조와 비교하여 로크 강도가 크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가 좌우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로크 금구(30)를, 도 5에서 나타나는 자세를 좌우 반전시킨 자세로 해도,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로크 해제 위치 규제부(12B-2, 12A-2)가 지지부로서 기능하고, 지지부(12A-1, 12C-2)가 로크 해제 위치 규제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금구(30)의 피탄성지지부(35)를 후방으로 탄성지지 되어 있는 셸 부재(40)의 탄성지지부(45)는 피탄성지지부(35)에 직접 접촉하고 있고, 이 결과, 로크 금구(30)와 셸 부재(40)는 탄성지지부(4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또한, 셸 부재(40)는 접속부(42B)로 회로 기판(B1)에 접지되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를 고속 신호의 전송에 사용했다고 해도, 리셉터클 단자(20)의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가, 이 2개의 단자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로크 금구(30)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에서의 각각의 단자열의 외측(로크 금구(30)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셸 부재(40)의 측판부(42)가 존재하고 있고, 2개의 단자열은 이 측판부(42)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단자열의 리셉터클 단자(20)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의 커넥터 외부로의 누설 및 커넥터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 측판부(42)에 의해 양호하게 차폐된다. 이 결과, 리셉터클 커넥터(1)와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자기기 등(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서, 서로 전기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여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를 고속 신호 전송에 사용할 때의 신호 전송의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위 차동 신호 전송 형식이나 의사(疑似) 동축 형식 등을 들 수 있다. 차동 신호 전송 형식에서는, 한쪽 또는 양쪽의 단자열에 있어서,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 중 일부의 단자를 신호 단자가 아니라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자열의 일단측의 단자에서 타단측의 단자까지, 그라운드 단자, 신호 단자, 신호 단자의 순서를 포함하도록 단자의 종류를 설정하고,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신호 단자로 고속 차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결과, 이 한 쌍의 신호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당해 한 쌍의 신호 단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그라운드 단자,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로크 금구(30) 및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셸 부재(40)의 측판부(42)에 의해 둘러싸여 차폐된 상태가 된다. 즉, Z2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를 보았을 경우에, 한 쌍의 신호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인접하는 그라운드 단자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로크 금구(30)와 측판부(42)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이게 된다.
또한, 의사 동축 형식에 있어서도, 전술의 차동 신호 전송 형식과 동일하게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 중 일부의 단자가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되지만, 이 의사 동축 형식에서는, 단자열의 일단측의 단자에서 타단측의 단자까지, 그라운드 단자, 신호 단자의 순서를 포함하도록 단자의 종류가 설정된다. 이 결과, 1개의 신호 단자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당해 신호 단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그라운드 단자,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로크 금구(30) 및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셸 부재(40)의 측판부(42)에 의해 둘러싸여 차폐된 상태가 되고, 의사 동축 구조가 형성된다. 즉, Z2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를 보았을 경우에, 신호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인접하는 그라운드 단자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로크 금구(30)와 측판부(42)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게 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에 차동 신호 전송 형식이나 의사 동축 형식을 채용한 경우라도, 신호 단자가 실질적으로 차폐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신호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의 커넥터 외부로의 누설이나 커넥터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을 양호하게 차폐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를 셸 부재와는 별개의 탄성지지 부재로서 형성해도 좋은 것은, 이미 서술했던 대로이지만, 이 경우, 이 탄성지지 부재는 로크 금구의 피탄성지지부 및 셸 부재의 외단 판부의 양쪽과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금구(30)는 봉 형상의 금속 부재를 절삭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로크 금구는, 예를 들면 금속판 부재를 펀칭 가공이나 굴곡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로크 금구를 금속판 부재로 만든 경우에는, 당해 로크 금구는 그 판면(판두께면에 대하여 직각인 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를 배치함으로써, 당해 로크 금구의 상기 판면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노이즈 차폐를 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의 치수는 당해 로크 금구의 판두께 치수가 되기 때문에,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6, 도 7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플러그측 하우징(50)과, 당해 플러그측 하우징(50)의 긴 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플러그측 하우징(50)에 의해 2열로 배열 지지되는 복수의 상대 단자로서의 플러그 단자(60)와, 상기 플러그측 하우징(50)의 후술의 단벽(55)에서 지지되는 2개의 피로크 금구(70)를 갖고 있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2)는, 플러그측 하우징(50)에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60) 및 피로크 금구(70)를 지지하도록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2)는, 도 2에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B2) 상에 배치 실장되고,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반전시킨 자세로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춤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측 하우징(5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한 일 방향을 긴 쪽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측 하우징(5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51)(도 1 참조)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저벽(51)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하는 틀 형상의 끼워맞춤부로서의 둘레벽(5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5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5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55)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에 둘러싸여 도 2에서의 상방(Z2 방향)으로 개구하는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6)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벽(55)은,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端)홈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단홈부(55A)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벽면끼리의 하부가 단자 배열 방향 내측 위치(수용부(56)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측 하우징(50)은, 플러그 단자(60) 및 피로크 금구(70)를 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의 이해를 위해,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더 한층의 설명에 앞서, 우선, 플러그 단자(60) 및 피로크 금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 단자(60)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플러그 단자(60)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각 측벽(54)에 일체 몰드 성형되어 지지되어 있고, 당해 측벽(54)의 긴 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등간격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60)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20P)의 각각 대응하도록 배열된 플러그 신호 단자(60S) 및 플러그 전원 단자(60P)를 갖고 있다. 즉, 플러그 신호 단자(60S)의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 플러그 전원 단자(60P)가 1개씩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60S)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저벽(51)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곧은 형상의 접속부(61S)와, 당해 접속부(61S)에 연속하여 하방(도 2에서는 상방)으로 향하여 굴곡됨과 함께 U자 형상(도 2에서는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54)에 매몰 지지되는 피지지부(62S)를 갖고 있다.
U자 형상을 이루는 피지지부(62S)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각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각부(62AS)로서 형성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각부가 상기 리셉터클 단자(20)와의 로크를 위한 로크 각부(62BS)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 각부(62AS)는, 상기 측벽(54)의 내측면(수용부(56)를 형성하는 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접촉 각부(62AS)의 판면이 당해 측벽(54)의 내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용부(56)로 향하여 노출되어 있다. 한편, 로크 각부(62B)는, 상기 측벽(54)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로크 각부(62BS)의 판면이 당해 측벽(54)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노출되어 있다. 당해 로크 각부(62BS)의 노출된 판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S)의 로크부(23AS)와 걸어고정하기 위한 로크 단부(62B-1S)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전원 단자(60P)는, 플러그 신호 단자(60S)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아 당해 플러그 신호 단자(60S)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전원 단자(60P)에 있어서, 플러그 신호 단자(60S)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S」를 대신하여 「P」라고 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당해 플러그 전원 단자(60P)는, 플러그 신호 단자(60S)보다도 단자 폭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가 큰 점에서 플러그 신호 단자(60S)와 상이하다. 로크 단부(62B-1P)는, 플러그 신호 단자(60S)의 로크 단부(62B-1S)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피로크 금구(70)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홈부(55A)의 양측에 1개씩 배치되어 있고, 단벽(55)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들 피로크 금구(70)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피로크 금구(7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71)(도 1 참조)와, 기부(71)의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의 단부로부터 상방(도 1에서는 하방)으로 기립하는 1개의 기립부(72)와, 당해 기립부(72)의 상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향하여, 즉 단홈부(55A)로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70A)와, 기부(71)의 커넥터 폭 방향 외방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기립부(72)와 대면하는 측판부(76)를 갖고 있다. 피로크 금구(70)는, 기부(71), 기립부(72) 및 측판부(76)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부(71)는, 단자 배열 방향 그리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71A)를 갖고 있다. 당해 접속부(71A)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하우징(50) 외부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B2)의 실장면의 대응 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71)의 저면(도 1에서 상면)이 그 전역에 걸쳐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기부(71)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71A) 이외의 부분도 실장면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70A)는, 피로크 금구(70)가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벽(55)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단홈부(55A)의 내벽면(55A-1)(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단홈부(55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돌출부(70A)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내측 피로크부(73)로서 형성되고, 또한, 당해 돌출부(70A)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외측 피로크부(74)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76)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벽(55)의 측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단벽(55)의 측면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76)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단벽(55)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판면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셸 부재(40)의 접촉편(47)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도 6(A)에서 우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4)가 로크 금구(30)의 전방 로크 돌출부(33A)와 걸어고정하고, 후방(도 6(A)에서 좌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3)가 로크 금구(30)의 후방 로크 돌출부(33B)와 걸어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3) 및 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4)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로크 금구(30)는, 도 5에서 나타나는 자세를 좌우 반전시킨 자세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3) 및 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4)가 피로크부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B1, B2)에 납땜 접속에 의해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를 수용부(16)가 상방으로 향한 자세로 함과 함께,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방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수용부(56)(도 2 참조)가 하방으로 향한 자세로 한다.
다음으로, 도 1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플러그 커넥터(2)를 강하시키고,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플러그 커넥터(2)의 수용부(56) 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시킴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의 둘레벽(53)을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시킨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단자(60)의 접촉 각부(62A)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의 접촉부(22A)에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의 측판부(76)가, 각각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셸 부재(40)의 접촉편(47)과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에 형성된 2개의 피로크 금구(70)의 피로크부(74, 73)가, 각각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3A, 33B)의 상연(경사연)에 맞닿아, 당해 로크 돌출부(33A, 33B)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전방(도 6(A), 도 6(B)에서의 우방)으로 향한 누름력을 갖고 누른다. 로크 돌출부(33A, 33B)가 상기 누름력을 받으면, 로크 금구(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로크 해제 위치에 오게 된다(도 7(A), 도 7(B) 참조). 이때, 로크 금구(30)의 이동은, 당해 로크 금구(30)의 피탄성지지부(35)에 눌려진 탄성지지부(45)의 탄성 변형(압축)에 의해 허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금구(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오게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의 더 한층의 강하가 허용된다. 그리고,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도 7(A)에서 우방)의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4) 그리고 후방(도 6(A)에서 좌방)의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3)가,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3A, 33B)보다도 하방 위치에 도달하면, 당해 로크 돌출부(33A, 33B)가 전술의 누름력으로부터 개방된다. 이 결과, 탄성지지부(45)가 탄성 변형량이 감소되도록 후방으로 복원되고, 당초의 로크 위치로 복귀한다. 로크 위치로 돌아온 로크 돌출부(33A, 33B)는,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 대응하는 피로크부(74, 73)의 상방에 위치되게 되고, 당해 피로크부(74, 73)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상방)으로 걸어고정 가능하게 위치하여 로크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단자(20, 60)끼리가 서로 접속되고, 접촉편(47)과 측판부(76)가 서로 접속되고, 로크 금구(30, 70)끼리가 로크됨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7(A), 도 7(B)에 기초하여, 커넥터 발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를 발출할 때에는,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의 로크 해제 조작부(36)와 셸 부재(40)의 외단 판부(44)의 사이에 지그(治具)(P)를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한다. 당해 지그(P)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 형상 부분을 갖고 있고, 그 판두께 치수는 로크 해제 조작부(36)와 외단 판부(44)의 간격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지그(P)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면, 로크 해제 조작부(36)가 전방으로 향한 당해 지그(P)로부터의 누름력을 로크 해제 조작력으로서 받게 되고 그러면, 셸 부재(40)의 탄성지지부(45)의 탄성편(45A, 45B)이 로크 금구(30)의 피탄성지지부(35)에 눌려져 전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금구(30)는, 셸 부재(40)로부터의 후방으로 향한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로크 해제 위치에 오게 된다. 이때,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4A, 34B)의 세로부(34A-2, 34B-2)가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로크 해제 위치측 규제부(12B-3, 12A-2)에 후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전방으로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이 규제되고, 당해 로크 금구가 확실하게 로크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로크 금구(30)가 로크 해제 위치로 오게 되면, 도 7(A), 도 7(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돌출부(33A, 33B)와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의 피로크부(74, 73)의 걸어고정 가능한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발출 방향(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당해 플러그 커넥터(2)가 어렵지 않게 발출되고, 커넥터 발출 동작이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금구(30)는, 로크 해제 조작부(36)가 탄성지지부(45)보다도 전방(로크 해제 위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해제 조작시, 로크 금구(30)는, 탄성지지부(45)로부터의 탄성지지력(후방으로 향하는 힘)과 당해 탄성지지력에 저항하는 로크 해제 조작력(전방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전후 방향에서 인장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상하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휨 변형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로크 금구(30)를 로크 해제 위치로 원활히 이동시켜, 로크 돌출부(33A, 33B)와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부(74, 73)의 걸어고정 상태를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금구(30)의 휨 변형에 의한 당해 로크 금구(30) 자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로크 금구(30)의 치수를 크게 하여 당해 로크 금구(30) 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그를 이용하여 전술의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지그를 이용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면, 로크 해제 조작부(36)를 손가락으로 집어 전방으로 당기는 등, 손가락으로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부재로서, 금속 부재인 로크 금구(30)를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로크 부재를 수지 등의 재료를 성형하여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 리셉터클측 하우징
17 : 로크 금구 수용 홈부(수용부)
20 : 리셉터클 단자
30 : 로크 금구(로크 부재)
40 : 셸 부재
42 : 측판부
42B : 접속부
45 : 탄성지지부

Claims (3)

  1.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에 삽입 및 발출 가능하게 끼워맞춤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일 방향을 긴 쪽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과,
    상기 긴 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2열의 단자열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에 배열 지지되는 금속제의 복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발출을 저지 가능한 로크 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발출을 허용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금속제의 로크 부재와,
    당해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금속제의 탄성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셸 부재를 갖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2열의 단자열의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셸 부재는,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측판부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셸 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셸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금속판제이고, 그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이, 상기 셸 부재의 측판부의 판면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80087027A 2017-08-29 2018-07-26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428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3903A JP6835687B2 (ja) 2017-08-29 2017-08-29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7-163903 201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668A KR20190024668A (ko) 2019-03-08
KR102428741B1 true KR102428741B1 (ko) 2022-08-02

Family

ID=6551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27A KR102428741B1 (ko) 2017-08-29 2018-07-26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5687B2 (ko)
KR (1) KR102428741B1 (ko)
CN (1) CN109428189B (ko)
TW (1) TWI7660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6144B2 (ja) * 2019-04-26 2023-06-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322499B2 (ja) * 2019-05-15 2023-08-08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7411882B2 (ja) 2019-08-08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026981A (ja) * 2019-08-08 2021-0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7120469B2 (ja) * 2019-09-24 2022-08-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7349635B2 (ja) 2019-09-30 2023-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並びにそれに用いるソケット及びヘッダ
JP7214609B2 (ja) * 2019-10-16 2023-0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TWI760873B (zh)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7288410B2 (ja) * 2020-02-18 2023-06-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継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回路基板付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16436183U (zh) * 2020-07-08 2022-05-03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多极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7188A (ja) 2012-01-30 2013-08-15 Daiichi Seiko Co Ltd 配線基板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1414B2 (ja) * 2006-12-06 2009-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74692B2 (ja) * 2008-02-29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32202B2 (ja) * 2010-08-03 2013-07-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369125B2 (ja) * 2011-02-01 2013-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85216B2 (ja) *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806700B2 (ja) * 2013-04-18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72503B2 (ja) * 2013-04-18 2016-03-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49643B2 (ja) * 2013-06-14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80786B2 (ja) * 2014-03-07 2017-02-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3942060U (zh) * 2014-06-27 2014-11-12 贝尔威勒电子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2017103119A (ja) * 2015-12-02 2017-06-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6935995A (zh) * 2017-01-04 2017-07-07 唐虞企业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总成
JP6772106B2 (ja) * 2017-06-06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7188A (ja) 2012-01-30 2013-08-15 Daiichi Seiko Co Ltd 配線基板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668A (ko) 2019-03-08
TWI766039B (zh) 2022-06-01
CN109428189A (zh) 2019-03-05
JP2019040823A (ja) 2019-03-14
JP6835687B2 (ja) 2021-02-24
CN109428189B (zh) 2021-01-29
TW201914119A (zh)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74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991210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KR101962123B1 (ko) 커넥터
US8529295B2 (en) Surface mount multi-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6081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07305985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WO2016004895A1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线缆连接器
JP6761736B2 (ja) コネクタ
CN108140992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TW201401662A (zh) 電連接器組裝體、插頭連接器及插座連接器
WO2013069337A1 (ja) コネクタ
CN109962356B (zh) 电路基板用l型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20087837A (ja) コネクタ
TWI701877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裝體
JP669693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10566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iddle shielding plate and an outer shielding shell with grounding legs held in place by the shielding plate
JP2014212040A (ja) 電気コネクタ
CN109004459B (zh) 电连接器
JP7442308B2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JP2021093245A (ja) コネクタ
JP2019117693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70068227A (ko) Usb 플러그 커넥터
TWM379226U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