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166B1 -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166B1
KR102426166B1 KR1020170068903A KR20170068903A KR102426166B1 KR 102426166 B1 KR102426166 B1 KR 102426166B1 KR 1020170068903 A KR1020170068903 A KR 1020170068903A KR 20170068903 A KR20170068903 A KR 20170068903A KR 102426166 B1 KR102426166 B1 KR 10242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film layer
layer
unstretched film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880A (ko
Inventor
다이스케 나카지마
마코토 카라츠
켄지 요시노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81/00Seals; Sealing equipment; G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실런트 필름(3)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연신 필름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외장재의 표면에 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SEALANT FILM FOR EXTERIOR MATERIAL OF ELECTRIC STORAGE DEVICE, EXTERIOR MATERIAL FOR ELECTRIC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휴대 기기에 사용되는 전지나 콘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야간 전기의 축전용으로 사용되는 전지나 콘덴서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실런트 필름, 그 실런트 필름을 사용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에서, 「지방산아미드」라는 용어는, 「지방산비스아미드」를 포함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근래,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등의 모바일 전기 기기의 박형화, 경량화에 수반하여, 이들에 탑재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리튬 이온 커패시터, 전기 2중층 콘덴서 등의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로서는, 종래의 금속캔에 대신하여, 내열성 수지층/접착제층/금속박층/접착제층/열가소성 수지층(내측 실런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등의 전원, 축전 용도의 대형 전원, 커패시터 등도 상기 구성의 적층체(외장재)로 외장되는 것도 증가하여 오고 있다. 상기 적층체에 대해 장출(張出) 성형이나 디프드로잉 성형이 행하여짐에 의해, 개략 직방체 형상 등의 입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입체 형상으로 성형함에 의해,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체 형상에 핀 홀이나 파단 등 없이 양호 상태로 성형하려면 내측 실런트층의 표면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된다. 내측 실런트층의 표면의 미끄럼성을 향상시켜서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외장 수지 필름, 제1의 접착제층, 화성 처리 알루미늄박, 제2의 접착제층, 실런트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재로서, 상기 실런트 필름은 α-올레핀의 함유량이 2∼10중량%인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이것에 활제(滑劑)를 1000∼5000ppm 함유시킨 것인 2차 전지 용기용 적층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28886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외장재(적층재)의 생산 공정에서의 가온 유지 시간이나 보관 기간에 의해 표면 활제 석출량의 컨트롤이 어렵고, 성형시의 미끄럼성은 좋은 것이지만, 활제가 표면에 과도하게 석출하기 때문에, 외장재의 성형시에 성형 금형의 성형면에 활제가 부착 퇴적하여서 백분(白粉)(활제에 의한 백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백분이 성형면에 부착 퇴적한 상태가 되면, 양호한 성형을 행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백분이 부착 퇴적할 때마다 청소하여 백분의 제거를 행할 필요가 생기는데, 이와 같은 백분의 청소 제거를 행함으로써 외장재의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활제의 첨가량(활제 함유율)을 저감하면, 백분의 부착 퇴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이 경우에는 표면 활제 석출량이 부족하여 성형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우수한 성형성과, 외장재 표면에서의 백분 표출의 억제를 양립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장재의 표면에 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연신 필름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2]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연신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3] 제1 무연신 필름층과, 그 제1 무연신 필름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제2 무연신 필름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은,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 및/또는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4] 제2 무연신 필름층과, 그 제2 무연신 필름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과,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방의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이,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 및/또는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5]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200ppm∼7000ppm이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500ppm∼7000ppm인 전항 3 또는 4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6] 상기 제2 활제를 함유하는 층에서 그 층 중의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에 대한 제2 활제의 함유 농도의 비율이 5%∼90%인 전항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7] 전항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실런트층과, 그 내측 실런트층의 편면측에 적층된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8]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층과, 전항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실런트층과, 이들 양층 사이에 배치된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9]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인 전항 7 또는 8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10] 전항 7∼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장재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
[11] 전항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과, 금속박을 제1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가열 처리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는 에이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2] 상기 제1 접착제가 열경화성 접착제인 전항 11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3] 금속박의 일방의 면에 제2 접착제를 통하여 내열성 수지 필름이 적층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를 통하여 전항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이 적층된 구성의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가열 처리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는 에이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4] 상기 제1 접착제가 열경화성 접착제이고, 상기 제2 접착제가 열경화성 접착제인 전항 13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5] 가열 처리하여 얻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인 전항 11∼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방법.
[1]의 발명에서는, 상기 특정한 제1 활제 및 상기 특정한 제2 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연신 필름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표면)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렵다. 또한, 외장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은, 수송이나 보관시 등에 열이력(熱履歷)을 받아도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을 안정하게 구비한 외장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2]의 발명에서는, 실런트 필름은, 상기 특정한 제1 활제 및 상기 특정한 제2 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연신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표면)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렵다. 또한, 외장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은, 수송이나 보관시 등에 열이력을 받아도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을 안정하게 구비한 외장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3] 및 [4]의 발명에서는,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제1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 및/또는 제2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상기 특정한 제1 활제 및 상기 특정한 제2 활제를 함유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렵다. 또한 외장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은, 수송이나 보관시 등에 열이력을 받아도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을 안정하게 구비한 외장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5]의 발명에서는, 제1 무연신 필름층에서의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200ppm∼7000ppm이고, 제2 무연신 필름층에서의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500ppm∼7000ppm이기 때문에, 수송이나 보관시 등에 열이력을 받아도 외장재의 표면에 석출하는 활제량을 0.1㎍/㎠∼1.0㎍/㎠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6]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활제를 함유하는 층에서 그 층 중의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에 대한 제2 활제의 함유 농도의 비율이 5%∼90%이기 때문에, 배어나오기 쉬운 제1 활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외장재의 표면에 석출하는 활제량을 0.1㎍/㎠∼1.0㎍/㎠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7] 및 [8]의 발명에서는,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은, 수송이나 보관시 등에 열이력을 받아도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을 안정하게 구비한 외장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8]의 발명에서는, 또한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박층에서의 내측 실런트층과 반대측의 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고, 외장재의 물리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9]의 발명에서는, 가장 내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이기 때문에, 성형시에 보다 양호한 미끄럼성을 발현하고, 또한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외장재 표면에의 백분의 표출을 충분히 억제할 수가 있어서 가공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의 발명에서는, 양호한 성형이 이루어진 외장 케이스로서, 외장 케이스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11]∼[14]의 발명에서는,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13] 및 [14]의 발명에서는, 또한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박층에서의 내측 실런트층과 반대측의 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고, 외장재의 물리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5]의 발명에서는, 가장 내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이기 때문에, 성형시에 보다 양호한 미끄럼성을 발현하고, 또한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백분의 표출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0.1㎍/㎠∼1.0㎍/㎠)은, 수송이나 보관시 등에 열이력을 받아도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성을 안정하게 구비한 외장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축전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외장재(평면형상의 것),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 및 외장 케이스(입체 형상으로 성형된 성형체)를 히트 실하기 전의 분리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 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연신 필름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에 관해 3개의 실시 형태를 각각 도 1∼3에 도시한다. 이들 3개의 실시 형태는, 대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특히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은, 제1 무연신 필름층(7) 및 그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편면에 적층된 제2 무연신 필름층(8)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2층 적층 구성)이다. 이 실런트 필름(3)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외장재(1)에서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가장 내층측에 배치되고(도 1 참조), 제2 무연신 필름층(8)이 금속박층(4)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외장재(1)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은, 제2 무연신 필름층(8)과, 그 제2 무연신 필름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7)과,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9)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 구성이다. 이 실런트 필름(3)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외장재(1)에서는, 일방의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외장재(1)의 가장 내층측에 배치되고(도 2 참조), 타방의 제1 무연신 필름층(9)이 금속박층(4)측에 배치되고, 상기 일방의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외장재(1)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다(도 2 참조).
상기 제1, 2 실시 형태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에서,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 9)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는 구성이다. 또한, 외장재(1)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 중의 활제 및/또는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활제의 함유에 관해 이와 같은 특정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외장재(1)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1)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렵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은, 제1 무연신 필름층(7)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실런트 필름(3)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외장재(1)에서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가장 내층측에 배치되고(도 3 참조),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외장재(1)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다(도 3 참조).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3)에서,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함유하는 구성이다. 활제의 함유에 관해 이와 같은 특정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외장재(1)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표면)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1)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정한 제1 활제와 함께 상기 특정한 제2 활제도 함유시키고 있고, 그 특정한 제2 활제의 함유에 의해 활제의 회합 사이즈가 증대하고(회합 사이즈가 커지고), 그 결과로서, 활제의 표면으로의 과도한 이동, 활제의 인접층으로의 과도한 이동 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런트 필름(3)에서, 실런트 필름(3)이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도 1, 2)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 9)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덤 공중합체에 관해, 상기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펜텐, 4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 성분 외에, 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에 관해, 상기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펜텐, 4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 성분 외에, 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런트 필름(3)이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도 1, 2)에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200ppm∼7000ppm이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500ppm∼7000pp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9)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200ppm∼70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때에, 제1 무연신 필름층(7)에 존재하는 활제가, 제2 무연신 필름층(8)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재(1)의 표면(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표면(7a))에 석출하는 활제량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외장재의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우수한 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무연신 필름층(7)에서의 활제의 함유 농도가 200ppm 미만에서는,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후에 있어서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적어져서 성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고, 7000ppm를 초과하면,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후에 있어서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백분이 생기기 쉬워져서, 백분을 청소, 제거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외장재로서 사용할 때에도 금속박층과의 접착력 저하나 전해액의 오염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다. 또한, 제2 무연신 필름층(8)에서의 활제의 함유 농도가 500ppm 미만에서는,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때에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층(7)으로부터 제2 무연신 필름층(8)으로 활제가 이동하기 쉽고,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적어져서 성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다, 7000ppm를 초과하면,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때에 제2 무연신 필름층(8)으로부터 제1 무연신 필름층(7, 9)으로 활제가 이동하기 쉽고, 생산 중의 장치 내의 백분 오염이 생기기 쉽고, 외장재로서 사용할 때에 금속박층과의 접착력 저하나 전해액의 오염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않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 9)에서의 활제의 함유 농도는, 300ppm∼2000pp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ppm∼1500pp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에서의 활제의 함유 농도는, 700ppm∼3000pp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ppm∼2500pp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실런트 필름(3)이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도 1, 2)에는,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에서의 활제 함유 농도는, 외장재(1)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에서의 활제 함유 농도의 0.1배∼10배인 구성이 바람직하다. 0.1배 이상임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때에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층(7)으로부터 제2 무연신 필름층(8)으로의 활제의 활제 농도 구배에 의한 계면(양 필름층(7, 8)의 계면)으로의 집중적인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충분한 것으로 되어 보다 우수한 성형성을 얻을 수 있고, 10배 이하임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행한 때에 제2 무연신 필름층(8)으로부터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층(7)으로의 활제의 활제 농도 구배에 의한 계면(양 필름층(7, 8)의 계면)으로의 집중적인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층(7)의 활제 함유량의 변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8)에서의 활제 함유 농도는, 외장재(1)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7)에서의 활제 함유 농도의 0.5배∼5.0배인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런트 필름(3)에서는, 상기 제2 활제를 함유하는 층에서 그 층 중의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에 대한 제2 활제의 함유 농도의 비율이 5%∼9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활제로서는,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제를 사용한다. 상기 포화지방산아미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라우린산아미드, 팔미틴산아미드, 스테아린산아미드, 베헨산아미드, 히드록시스테아린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올레인산아미드, 에루카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포화지방산아미드」라는 용어는, 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불포화지방산아미드』라는 용어는, 불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2 활제로서는,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제를 사용한다. 상기 지방산비스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 불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를 들 수 있다. 상기 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메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 에틸렌비스카프린산아미드, 에틸렌비스라우린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EBSA), 에틸렌비스히드록시스테아린산아미드, 에틸렌비스베헨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베헨산아미드, 헥사메틸렌히드록시스테아린산아미드, N,N'-디스테아릴아디핀산아미드, N,N'-디스테아릴세바신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EBOA), 에틸렌비스에루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 N,N'-디올레일아디핀산아미드, N,N'-디올레일세바신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스아미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 m-크실리렌비스히드록시스테아린산아미드, N,N'-디스테아릴이소프탈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런트 필름(3)의 두께는, 10㎛∼10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핀 홀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10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수지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필름(3)으로서 도 1의 2층 적층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2층의 두께의 비율은, 제1 무연신 필름층(7)의 두께/제2 무연신 필름층(8)의 두께=5∼90/95∼1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제1 무연신 필름층(7)의 두께/제2 무연신 필름층(8)의 두께=5∼40/95∼6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런트 필름(3)으로서 도 2의 3층 적층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3층의 두께의 비율은, 제1 무연신 필름층(7)의 두께/제2 무연신 필름층(8)의 두께/제1 무연신 필름층(9)의 두께=5∼45/90∼10/5∼45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제1 무연신 필름층(7)의 두께/제2 무연신 필름층(8)의 두께/제1 무연신 필름층(9)의 두께=5∼20/90∼60/5∼2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제1 무연신 필름층(7)에, 또한 안티블로킹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제1 무연신 필름층(7) 및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층(9)의 양쪽에 안티블로킹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 안티블로킹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아크릴 수지 입자, 규산알루미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티블로킹제의 입자경은, 평균입자경으로 0.1㎛∼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평균입자경으로 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블로킹제를 제1 무연신 필름층(7, 9)에 함유시킬 때의 그 함유 농도는 100ppm∼5000pp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블로킹제(입자)를 상기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제1 무연신 필름층(7)에 함유시킴에 의해, 가장 내층(7)의 표면(7a)에 미소 돌기를 형성하여 필름끼리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실런트 필름끼리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제와 함께 안티블로킹제(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성형시의 미끄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런트 필름(3)은, 다층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T다이캐스트 필름 성형 등의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는,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런트 필름(3)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이다. 금속박(4)의 일방의 면에 제2 접착제(외측 접착제)(5)를 통하여 내열성 수지 필름(외측층)(2)이 적층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4)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를 통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실런트 필름(3)이 적층된 구성의 적층체를 준비한다. 이 때, 실런트 필름(3)의 제2 무연신 필름층(8)이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와 접한다(도 1 참조). 즉, 실런트 필름(3)의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가장 내층을 형성한다(도 1 참조).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가열 처리함(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박(4)의 일방의 면에 제2 접착제(외측 접착제)(5)를 통하여 내열성 수지 필름(외측층)(2)이 적층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4)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를 통하여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실런트 필름(3)이 적층된 구성의 적층체를 준비한다. 이 때, 실런트 필름(3)의 일방의 제1 무연신 필름층(9)이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와 접한다(도 2 참조). 즉, 실런트 필름(3)의 타방의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가장 내층을 형성한다(도 2 참조).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가열 처리함(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박(4)의 일방의 면에 제2 접착제(외측 접착제)(5)를 통하여 내열성 수지 필름(외측층)(2)이 적층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4)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를 통하여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실런트 필름(3)이 적층된 구성의 적층체를 준비한다. 이 때, 실런트 필름(3)의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와 접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실런트 필름(3)의 제1 무연신 필름층(7)이 가장 내층을 형성한다(도 3 참조).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가열 처리함(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의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내측 접착제)(6)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열경화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제(외측 접착제)(5)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열경화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올레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이징 처리의 가열 온도는, 6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접착제의 경화도 및 외장재의 표면(7a)에 존재하는 활제량의 알맞은 량의 유지의 관점에서, 35℃∼45℃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이징 처리의 가열시간에 관해서는, 접착제의 종류에 의해 경화 시간이 변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종류에 맞추어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시간 이상이라면 좋지만, 공정의 리드 타임을 고려하면, 가열시간은,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한에 있어서 가능한 한 짧은 쪽이 좋다.
이와 같은 에이징 처리를 경유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는, 금속박층(4)의 일방의 면에 제2 접착제층(외측 접착제층)(5)을 통하여 내열성 수지층(외측층)(2)이 적층 일체화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층(4)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층(내측 접착제층)(6)을 통하여 내측 실런트층(실런트 필름)(내측층)(3)이 적층 일체화된 구성이다(도 1∼3 참조). 제1, 2 접착제로서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접착제층(6)은,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착제층(5)은,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이징 처리를 경유하여 얻어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는, 제조에 사용하는 실런트 필름(3)이, 상술한 특정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에이징 처리 후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제1 무연신 필름층(7)의 표면(7a)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는,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존재하는(석출하는) 활제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성형시에 양호한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1)의 표면(내측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렵다.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에서,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가장 내층)(7)의 표면(7a)의 동마찰계수는, 0.10∼0.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50 이하임으로써 미끄럼성을 향상할 수 있고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0.10 이상임으로써 가장 내층의 표면(7a)에의 활제의 블리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외장재로서 사용된다.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는, 성형이 시행되는 일 없이 그대로 외장재로서 사용되어도 좋고(도 5 참조), 예를 들면, 디프드로잉 성형, 장출 성형 등의 성형에 제공되어 외장 케이스(10)로서 사용되어도 좋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에서, 상기 내측 실런트층(내측층)(3)은,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에서 사용되는 부식성이 강한 전해액 등에 대해서도 우수한 내약품성을 구비시킴과 함께, 외장재에 히트 실 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층(기재층 ; 외측층)(2)은, 필수의 구성층은 아닌 것이지만, 상기 금속박층(4)의 타방의 면(내측 실런트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제2 접착제층(외측 접착제층)(5)을 통하여 내열성 수지층(2)이 적층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참조). 이와 같은 내열성 수지층(2)을 마련함에 의해, 금속박층(4)의 타방의 면(내측 실런트층과는 반대측의 면)측의 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고, 외장재(1)의 물리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수지층(기재층 ; 외측층)(2)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로서는, 외장재를 히트 실 할 때의 히트 실 온도에서 용융하지 않는 내열성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내열성 수지로서는, 제1 무연신 필름층(7)을 구성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보다 10℃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내열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무연신 필름층(7)을 구성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보다 20℃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내열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성 수지층(외측층)(2)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나일론 필름 등의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내열성 수지층(2)로서는, 2축연신 나일론 필름 등의 2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2축연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필름,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2축연신 폴리에틸 나프탈레이트(PEN)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나일론 필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6나일론 필름, 6,6나일론 필름, MXD나일론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층(2)는,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아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PET 필름/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층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내열성 수지층(외측층)(2)의 두께는,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두께는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일론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두께는 7㎛∼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맞은 하한치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외장재로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알맞은 상한치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장출 성형, 드로잉 등의 성형시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에서, 상기 내열성 수지층(외측층)(2)에서의 금속박층(4)의 반대측의 표면에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제1 무연신 필름(7)에 함유되어 있던 활제가 부착하고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착 활제는,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얻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감은 상태로 에이징할 때에, 감은 상태에서의 내측 실런트층(3)의 표면(7a)과의 접촉에 의해 그 내측층(3)으로부터 전사된 것이다. 상기 전사 후의 부착량은, 0.1㎍/㎠∼0.8㎍/㎠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량이 이와 같은 범위라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의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전사 후의 부착량은, 0.1㎍/㎠∼0.6㎍/㎠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0.45㎍/㎠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디프드로잉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한 후는, 이 전사 활제는, 제거하여도 좋고, 또는 방치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또 자연스럽게 소실하여 버려도 좋다.
상기 금속박층(4)은, 외장재(1)에 산소나 수분의 침입을 저지하는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박층(4)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SUS박(스테인리스박), 구리박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박, SUS박(스테인리스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박층(4)의 두께는, 5㎛∼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이상임으로써 금속박을 제조할 때의 압연시의 핀 홀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120㎛ 이하임으로써 장출 성형, 드로잉 등의 성형시의 응력을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금속박층(4)의 두께는, 1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박층(4)은, 적어도 내측의 면(내측 실런트층(3)측의 면)에, 화성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성 처리가 시행되어 있음에 의해 내용물(전지의 전해액 등)에 의한 금속박 표면의 부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함에 의해 금속박에 화성 처리를 시행한다. 즉,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의 표면에,
1) 인산과, 크롬산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2)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3)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상기 1)∼3) 중의 어는 하나의 수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함에 의해, 화성 처리를 시행한다.
상기 화성 피막은, 크롬 부착량(편면당)으로서 0.1㎎/㎡∼50㎎/㎡가 바람직하고, 특히2㎎/㎡∼20㎎/㎡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착제층(외측 접착제층)(5)의 두께는,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외장재(1)의 박막화, 경량화의 관점에서, 상기 외측 접착제층(5)의 두께는, 1㎛∼3㎛로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제층(내측 접착제층)(6)의 두께는,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외장재(1)의 박막화, 경량화의 관점에서, 상기 내측 접착제층(6)의 두께는, 1㎛∼3㎛로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장재(1)를 성형(디프드로잉 성형, 장출 성형 등)함에 의해, 외장 케이스(전지 케이스 등)(10)를 얻을 수 있다(도 4, 5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외장재(1)는, 성형에 제공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도 4, 5 참조).
본 발명의 외장재(1)를 사용하여 구성된 축전 디바이스(30)의 한 실시 형태를 도 4에 도시한다. 이 축전 디바이스(30)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재(1)를 성형하여 얻어진 외장 케이스(10)와, 평면형상의 외장재(1)에 의해 외장 부재(1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외장재(1)를 성형하여 얻어진 외장 케이스(10)의 수용 오목부 내에, 개략 직방체 형상의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전기화학 소자 등)(31)가 수용되고, 그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31)의 위에, 본 발명의 외장재(1)가 성형되는 일 없이 그 내측 실런트층(3)측을 내방(하측)으로 하여 배치되고, 그 평면형상 외장재(1)의 내측 실런트층(3)(제1 무연신 필름층(7))의 주연부와, 상기 외장 케이스(10)의 플랜지부(밀봉용 주연부)(29)의 내측 실런트층(3)(제1 무연신 필름층(7))이 히트 실에 의해 실 접합되고 밀봉됨에 의해,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30)가 구성되어 있다(도 4, 5 참조).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10)의 수용 오목부의 내측의 표면은, 내측 실런트층(3)(제1 무연신 필름층(7))이 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의 외면이 내열성 수지층(외측층)(2)이 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4에서, 39는, 상기 외장재(1)의 주연부와, 상기 외장 케이스(10)의 플랜지부(밀봉용 주연부)(29)가 접합(용착)된 히트 실 부이다. 또한, 상기 축전 디바이스(30)에서,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31)에 접속된 탭 리드의 선단부가, 외장 부재(15)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지만,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31)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전지 본체부, 커패시터 본체부, 콘덴서 본체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히트 실 부(39)의 폭은, 0.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이상으로 함으로써 밀봉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히트 실 부(39)의 폭은, 3㎜∼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부재(15)가, 외장재(1)를 성형하고 얻어진 외장 케이스(10)와, 평면형상의 외장재(1)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었지만 (도 4, 5 참조), 특히 이와 같은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외장 부재(15)가, 한 쌍의 평면형상의 외장재(1)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좋고, 또는, 한 쌍의 외장 케이스(1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실시례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례의 것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참고례 1>
두께 40㎛의 알루미늄박(4)의 양면에, 인산, 폴리아크릴산(아크릴계 수지), 크롬(Ⅲ)염 화합물, 물,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화성 처리액을 도포한 후, 180℃로 건조를 행하여, 화성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 화성 피막의 크롬 부착량은 편면당 10㎎/㎡이다.
다음에, 상기 화성 처리 완료 알루미늄박(4)의 일방의 면에,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5)를 통하여 두께 25㎛의 2축연신 6나일론 필름(2)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맞붙였다).
다음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실리카 입자(안티블로킹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4.5㎛의 제1 무연신 필름(7),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25.5㎛의 제2 무연신 필름(8)이 이 순서로 2층 적층되도록 T다이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에 의해, 이들 2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두께 30㎛의 실런트 필름(제1 무연신 필름층(7)/제2 무연신 필름층(8))(3)을 얻은 후, 그 실런트 필름(3)의 제2 무연신 필름층(8)면을, 2액 경화형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접착제(6)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 후의 알루미늄박(4)의 타방의 면에 맞겹쳐서, 고무 닙 롤과, 100℃로 가열된 라미네이트 롤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 압착함에 의해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그러한 후, 40℃로 10일간 에이징함(가열함)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또한, 상기 2액 경화형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접착제로서, 주제로서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 산가 10㎎KOH/g) 100질량부, 경화제로서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NCO 함유율 : 20질량%) 8질량부, 또한 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제 용액을 사용하고, 그 접착제 용액을 고형분 도포량이 2g/㎡가 되도록, 상기 알루미늄박(4)의 타방의 면에 도포하여, 가열 건조시킨 후, 상기 실런트필름(3)의 제2무연신필름층(8)면에 맞겹쳤다.
<참고례 2>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5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75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참고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3>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3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참고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4>
두께 40㎛의 알루미늄박(4)의 양면에, 인산, 폴리아크릴산(아크릴계 수지), 크롬(Ⅲ)염 화합물, 물,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화성 처리액을 도포한 후, 180℃로 건조를 행하여, 화성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 화성 피막의 크롬 부착량은 편면당 10㎎/㎡이다.
다음에, 상기 화성 처리 완료 알루미늄박(4)의 일방의 면에,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5)를 통하여 두께 25㎛의 2축연신 6나일론 필름(2)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맞붙였다).
다음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 및 실리카 입자(안티블로킹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30㎛의 제1 무연신 필름(7)으로 이루어지는 실런트 필름(3)을 얻은 후, 그 실런트 필름(3)을, 2액 경화형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접착제(6)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 후의 알루미늄박(4)의 타방의 면에 맞겹쳐서, 고무 닙 롤과, 100℃로 가열된 라미네이트 롤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 압착함에 의해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그러한 후, 40℃로 10일간 에이징함(가열함)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또한, 상기 2액 경화형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접착제로서, 주제로서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 산가 10㎎KOH/g) 100질량부, 경화제로서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NCO 함유율 : 20질량%) 8질량부, 또한 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제 용액을 사용하고, 그 접착제 용액을 고형분 도포량이 2g/㎡가 되도록, 상기 알루미늄박(4)의 타방의 면에 도포하여, 가열 건조시킨 후, 상기 실런트필름(3)에 맞겹쳤다.
<실시례 5>
두께 40㎛의 알루미늄박(4)의 양면에, 인산, 폴리아크릴산(아크릴계 수지), 크롬(Ⅲ)염 화합물, 물,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화성 처리액을 도포한 후, 180℃로 건조를 행하여, 화성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 화성 피막의 크롬 부착량은 편면당 10㎎/㎡이다.
다음에, 상기 화성 처리 완료 알루미늄박(4)의 일방의 면에, 2액 경화형의 우레탄계 접착제(5)를 통하여 두께 25㎛의 2축연신 6나일론 필름(2)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맞붙였다).
다음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실리카 입자(안티블로킹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4.5㎛의 제1 무연신 필름(7),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21㎛의 제2 무연신 필름(8),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실리카 입자(안티블로킹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4.5㎛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이 순서로 3층 적층되도록 T다이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에 의해, 이들 3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두께 30㎛의 실런트 필름(제1 무연신 필름층(7)/제2 무연신 필름층(8)/제1 무연신 필름층(9))(3)을 얻은 후, 그 실런트 필름(3)의 일방의 제1 무연신 필름층(9)면을, 2액 경화형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접착제(6)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 후의 알루미늄박(4)의 타방의 면에 맞겹쳐서, 고무 닙 롤과, 100℃로 가열된 라미네이트 롤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 압착함에 의해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그러한 후, 40℃로 10일간 에이징함(가열함)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또한, 상기 2액 경화형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접착제로서, 주제로서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융점 80℃, 산가 10㎎KOH/g) 100질량부, 경화제로서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NCO 함유율 : 20질량%) 8질량부, 또한 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제 용액을 사용하고, 그 접착제 용액을 고형분 도포량이 2g/㎡가 되도록, 상기 알루미늄박(4)의 타방의 면에 도포하여, 가열 건조시킨 후, 상기 실런트필름(3)의 일방의 제1무연신필름층(9)면에 맞겹쳤다.
<실시례 6>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4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4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7>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8>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3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3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9>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ppm의 베헨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ppm의 베헨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400ppm의 베헨산아미드 및 4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0>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8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8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1>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3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2>
에루카산아미드에 대신하여, 올레인산아미드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례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표 1 참조).
<실시례 13>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4>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8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5>
에루카산아미드에 대신하여, 베헨산아미드를 사용한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6>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에 대신하여, 에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사용한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7>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에 대신하여, 에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사용한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4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8>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3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1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7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19>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3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3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4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4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20>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ppm의 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ppm의 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400ppm의 스테아린산아미드 및 4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21>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22>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8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23>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24>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5>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참고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6>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베헨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300ppm의 베헨산아미드 및 2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참고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7>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참고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8>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참고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29>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20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30>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100ppm의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참고례 9>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0ppm의 스테아린산아미드 및 1000ppm의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0ppm의 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스테아린산아미드 및 1000ppm의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32>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6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6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3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실시례 33>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 및 500ppm의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2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1)를 얻었다.
<비교례 1>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2>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3>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8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4>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3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3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8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5>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1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6>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5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1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7>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5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5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1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8>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2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7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9>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3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3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2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10>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3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3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1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11>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4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12>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4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4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13>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4000ppm의 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4000ppm의 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올레인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14>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4000ppm의 베헨산아미드를 함유하고, 금속박층측의 제1 무연신 필름(9)이 활제로서 4000ppm의 베헨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제2 무연신 필름(8)이 활제로서 500ppm의 베헨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비교례 15>
가장 내층인 제1 무연신 필름(7)이 활제로서 1000ppm의 에루카산아미드를 함유하는 구성(표 3 참조)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었다.
Figure 112021092146009-pat00010
Figure 112021092146009-pat00011
Figure 112017052909096-pat00003
Figure 112021092146009-pat00012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 관해 하기 평가법에 의거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또한, 표 4에 기재된 동마찰계수는, JIS K7125-1995에 준거하여 각 외장재의 가장 내층의 표면(7a)에 관해 측정한 동마찰계수이다. 또한, 표 1∼3에서, 「EBOA」는, 에틸렌비스올레인산아미드의 약어이고, 「EBSA」는, 에틸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의 약어이고, 「KBSA」는, m-크실리렌비스스테아린산아미드의 약어이다.
<외장재의 가장 내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滑劑量)의 평가법>
각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부터 세로 100㎜×가로 100㎜의 사각형상의 시험편을 2장 절출한 후, 이들 2장의 시험편을 맞겹쳐서 서로의 실런트층의 주연부끼리를 히트 실 온도 200℃로 히트 실 하여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이 주머니의 내부 공간 내에 실린지를 이용하여 아세톤 1㎖을 주입하고, 실런트층의 가장 내층(7)의 표면(7a)과 아세톤이 접촉한 상태로 3분간 방치한 후, 주머니 내의 아세톤을 빼냈다. 이 빼낸 액중에 포함되는 활제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 분석함에 의해, 외장재의 가장 내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을 구하였다. 즉, 가장 내층의 표면 1㎠당의 활제량을 구하였다.
<성형성 평가법>
성형 깊이 프리의 스트레이트 금형을 이용하여 외장재에 대해 하기 성형 조건으로 디프드로잉 1단(段) 성형을 행하고, 각 성형 깊이(9㎜, 8㎜, 7㎜, 6㎜, 5㎜, 4㎜, 3㎜, 2㎜)마다 성형성을 평가하고, 코너부에 핀 홀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성형을 행할 수 있는 최대 성형 깊이(㎜)를 조사하였다. 판정은, 최대 성형 깊이가 5㎜ 이상인 것을 「○」로 하고, 최대 성형 깊이가 2㎜ 이상 5㎜ 미만인 것을 「△」로 하고, 최대 성형 깊이가 2㎜ 미만인 것을 「×」로 하였다. 이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또한, 핀 홀의 유무는, 핀 홀을 투과하여 오는 투과광의 유무를 육안에 의해 관찰함에 의해 조사하였다.
(성형 조건)
성형틀 … 펀치 : 33.3㎜×53.9㎜, 다이 : 80㎜×120㎜, 코너 R : 2㎜, 펀치 R : 1.3㎜, 다이 R : 1㎜
주름 누름압 … 게이지압 : 0.475㎫, 실압(계산치) : 0.7㎫
재질 … SC(탄소강)재, 펀치 R만 크롬 도금.
<백분의 유무 평가법>
각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부터 세로 600㎜×가로 100㎜의 사각형상의 시험편을 절출한 후, 얻어진 시험편을 내측 실런트층(3)면(즉 가장 내층의 표면(7a))을 상측으로 하여 시험대의 위에 재치하고, 이 시험편의 상면(上面)에, 흑색의 웨스(waste)가 휘감겨져서 표면이 흑색을 띄고 있는 SUS제 추(錘)(질량 1.3㎏, 접지면의 크기가 55㎜×50㎜)를 실은 상태에서, 그 추를 시험편의 상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인장 속도 4cm/초로 인장함에 의해 추를 시험편의 상면에 접촉 상태로 길이 400㎜에 걸쳐서 인장 이동시켰다. 인장 이동 후의 추의 접촉면의 웨스(흑색)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웨스(흑색)의 표면에 백분이 현저하게 생겨 있는 것을 「×」로 하고, 백분이 약간 생겨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을 「△」로 하고, 백분이 전혀 없든지 또는 백분이 인정되지 않은 것을 「○」로 하였다. 또한, 상기 흑색의 웨스로서는, TRUSCO사제 「정전기 제거 시트 SSD2525 3100」을 사용하였다.
<종합 판정>
성형성 평가가 「○」이고, 또한 백분의 유무 평가도 「○」인 것을 종합 판정에서 「○」로 판정하고, 성형성 평가 및 백분의 유무 평가 중 어느 일방이 「△」이고, 타방이 「○」인 것을 종합 판정에서 「△」로 판정하고, 성형성 평가 및 백분의 유무 평가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인 것을 종합 판정에서 「×」로 판정하였다. 종합 판정에서 「○」 또는 「△」인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런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실시례 1∼33의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성형성에 우수함과 함께, 외장재의 표면에 백분이 표출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규정 범위를 일탈하고 있는 비교례 1∼3, 5∼8, 10에서는, 외장재의 성형성이 양호하지 않았고, 본 발명의 규정 범위를 일탈하고 있는 비교례 3, 4, 9, 11∼15에서는, 외장재의 표면에 백분이 현저하게 생기고 있다. 즉, 본 발명의 규정 범위를 일탈하고 있는 비교례 1∼15는, 모두 종합 판정이 「×」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실런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구체례로서, 예를 들면,
·리튬 2차 전지(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 등의 축전 디바이스
·리튬 이온 커패시터
·전기 2중층 콘덴서
등의 각종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디바이스는, 상기 예시한 축전 디바이스 외에, 전고체 전지도 포함한다.
본 출원은, 2016년 6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6-120918호의 우선권 주장을 수반하는 것이고, 그 개시 내용은, 그대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및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고,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내라면, 그 정신을 일탈하는 것이 아닌 한 어떠한 설계적 변경도 허용하는 것이다.
1 :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2 : 내열성 수지층(외측층)
3 : 내측 실런트층(실런트 필름)(내측층)
4 : 금속박층
5 : 제2 접착제층(외측 접착제층)
6 : 제1 접착제층(내측 접착제층)
7 : 제1 무연신 필름층(가장 내층)
7a :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표면(외장재의 가장 내층의 표면)
8 : 제2 무연신 필름층
9 : 제1 무연신 필름층(금속박층측)
10 :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성형체)
15 : 외장 부재
30 : 축전 디바이스
31 : 축전 디바이스 본체부

Claims (19)

  1. 제2 무연신 필름층과, 그 제2 무연신 필름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과,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 제3 무연신 필름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이,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외장재의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과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 및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의 각각에 함유되는 활제 및 활제 농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2. 제2 무연신 필름층과, 그 제2 무연신 필름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과,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 제3 무연신 필름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이,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외장재의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과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의 각각에 함유되는 활제 및 활제 농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3. 제2 무연신 필름층과, 그 제2 무연신 필름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된 제1 무연신 필름층과,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 제3 무연신 필름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이,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와, 활제를 함유하고,
    외장재의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 중의 활제가, 포화지방산아미드 및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활제와, 지방산비스아미드 및 방향족 비스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의 각각에 함유되는 활제 및 활제 농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 및 상기 제3 무연신 필름층 각각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200ppm∼7000ppm이고, 상기 제2 무연신 필름층에 포함되는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가 500ppm∼7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제를 함유하는 층에서 그 층 중의 모든 활제의 함유 농도의 합계치에 대한 제2 활제의 함유 농도의 비율이 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실런트층과, 그 내측 실런트층의 편면측에 적층된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7. 외측층으로서의 내열성 수지층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실런트층과, 이들 양층 사이에 배치된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8. 제6항에 있어서,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9. 제6항에 기재된 외장재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과, 금속박을 제1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가열 처리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는 에이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가 열경화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2. 금속박의 일방의 면에 제2 접착제를 통하여 내열성 수지 필름이 적층됨과 함께 상기 금속박의 타방의 면에 제1 접착제를 통하여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이 적층된 구성의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가열 처리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얻는 에이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가 열경화성 접착제이고, 상기 제2 접착제가 열경화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가열 처리하여 얻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가장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무연신 필름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0.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70068903A 2016-06-17 2017-06-02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6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0918A JP6860983B2 (ja) 2016-06-17 2016-06-17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6-120918 2016-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80A KR20170142880A (ko) 2017-12-28
KR102426166B1 true KR102426166B1 (ko) 2022-07-28

Family

ID=6068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903A KR102426166B1 (ko) 2016-06-17 2017-06-02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60983B2 (ko)
KR (1) KR102426166B1 (ko)
CN (1) CN107528018B (ko)
TW (1) TWI7520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05799A (zh) * 2018-07-17 2020-02-01 日商昭和電工包裝股份有限公司 層壓材
CN113874210B (zh) * 2019-07-09 2023-10-10 东丽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密封膜
CN112436224A (zh) * 2020-11-05 2021-03-02 天津恒天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液冷电池包箱体
WO2023022086A1 (ja) * 2021-08-18 2023-02-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865A (ja) * 2002-03-28 2003-10-10 Toyo Aluminium Kk 二次電池容器用積層材及び二次電池容器
JP2012104248A (ja) 2010-11-08 2012-05-31 Toray Advanced Film Co Ltd 二次電池容器用積層材、二次電池容器及び二次電池容器の製造方法
JP2013101764A (ja) 2011-11-07 2013-05-23 Toppan Printing Co Ltd 二次電池用外装材及び二次電池
WO2016010044A1 (ja) * 2014-07-16 2016-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164B2 (ja) * 2002-03-28 2006-05-10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二次電池容器用積層材及び二次電池容器
JP2005203294A (ja) * 2004-01-19 2005-07-28 Toppan Printing Co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外装材
US20070077485A1 (en) * 2004-06-01 2007-04-05 Koshi Takamura Thin film for package of alkaline battery and thin air battery using the same
JP5959205B2 (ja) * 2012-01-17 2016-08-0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用外装材、電池用外装材の成形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5626392B2 (ja) * 2013-02-06 2014-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JP6276047B2 (ja) * 2014-01-31 2018-02-07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包装材、包装材の製造方法及び成形ケース
TWM517094U (zh) * 2015-11-12 2016-02-1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用於電池電性測試的電池包裝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865A (ja) * 2002-03-28 2003-10-10 Toyo Aluminium Kk 二次電池容器用積層材及び二次電池容器
JP2012104248A (ja) 2010-11-08 2012-05-31 Toray Advanced Film Co Ltd 二次電池容器用積層材、二次電池容器及び二次電池容器の製造方法
JP2013101764A (ja) 2011-11-07 2013-05-23 Toppan Printing Co Ltd 二次電池用外装材及び二次電池
WO2016010044A1 (ja) * 2014-07-16 2016-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80A (ko) 2017-12-28
JP6860983B2 (ja) 2021-04-21
TWI752039B (zh) 2022-01-11
JP2017224567A (ja) 2017-12-21
CN107528018A (zh) 2017-12-29
TW201801373A (zh) 2018-01-01
CN107528018B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253B1 (ko)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6166B1 (ko)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9638B1 (ko)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
KR102583510B1 (ko) 축전 디바이스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8040B1 (ko) 성형용 포장재 및 성형 케이스
JP2016081856A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KR102451964B1 (ko) 성형용 포장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 케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
JP7393569B2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の製造方法
JP6767795B2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82075A (ko) 전지의 외장재용 실런트 필름
KR20230009968A (ko)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JP7142558B2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2020091990A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7319484B1 (ja)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2019046729A (ja) 成形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及び蓄電デバイス
KR20240072257A (ko)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축전 디바이스
JP2019043647A (ja) 成形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及び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