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921B1 - 파렛타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타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21B1
KR102425921B1 KR1020200054599A KR20200054599A KR102425921B1 KR 102425921 B1 KR102425921 B1 KR 102425921B1 KR 1020200054599 A KR1020200054599 A KR 1020200054599A KR 20200054599 A KR20200054599 A KR 20200054599A KR 102425921 B1 KR102425921 B1 KR 10242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unit
conveyor belt
rotatin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409A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엠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엠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엠엔이
Priority to KR102020005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9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타이징 장치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정렬하는 정렬부와 정렬된 상기 적재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 정렬부, 승강부, 공급부, 저장부 및 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적재물이 적재되면,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렛타이징 장치{Pallet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렛타이징 장치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원기둥 형상의 적재물을 투입부에 놓으면 자동으로 복수개의 적재물이 정렬되어 저장부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파렛타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제조업에서는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해 품질검사를 수행한 후 판정이 완료된 부품을 분류하고 정렬시켜 적재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990호(2012.07.10)에는 대량의 제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열할 수 있는 파렛타이징 박스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복수개의 적재물을 저장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정렬시켜 저장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의 노동력을 최소화 하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복수개의 적재물을 자동으로 정렬시켜 저장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990호(2012.07.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기둥 형상의 적재물을 투입부에 놓으면 자동으로 복수개의 적재물이 정렬되어 저장부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파렛타이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에 있어서,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정렬하는 정렬부와 정렬된 상기 적재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 정렬부, 승강부, 공급부, 저장부 및 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적재물이 적재되면,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적재물의 불량유무에 따라 상기 적재물의 이송방향을 설정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렬부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로부터 회동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와 인접한 톱니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적재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제1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적재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판부와 상기 판부에 안착된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켜 상기 공급부에 안착시키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파렛타이징 장치는 원기둥 형상의 적재물을 투입부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복수개의 적재물이 나란하게 정렬되어 저장부에 오와 열을 맞춰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렛타이징 장치는 판별부에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적재물이 삽입된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적재물을 정상통로로 이송시키고, 기설정된 직경의 범위를 벗어나는 적재물이 삽입된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적재물을 불량통로로 이송함으로써, 적재물의 불량유무를 판별하고 불량품의 적재물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렛타이징 장치는 적재물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투입부와 정렬부의 구성만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파이프에 의해 적재물이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파이프에 의해 적재물이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파이프에 의해 적재물이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실제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에 있어서,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정렬하는 정렬부(200)와 정렬된 상기 적재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300)와 승강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공급부(400)와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저장되는 저장부(500)와 상기 저장부(500)를 배출시키는 배출부(600)와 상기 투입부(100), 정렬부(200), 승강부(300), 공급부(400), 저장부(500) 및 배출부(60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500)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적재물이 적재되면, 상기 배출부(60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500)를 배출시킨다.
먼저, 작업자는 복수개의 상기 적재물을 작업대(도면 미도시)에서 세척하고, 상기 적재물의 외관 상 불량유무를 육안으로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작업대는 상기 투입부(100)의 좌측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상기 투입부(100)에 상기 적재물을 올려놓기 용이하도록 근접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투입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투입부(100)는 상기 작업자가 선별한 상기 적재물을 안착시키면,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정렬부(2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투입부(100)는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110)와 상기 적재물의 불량유무에 따라 상기 적재물의 이송방향을 설정하는 판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적재물을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위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상기 적재물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판별부(12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의 일단부는 상기 작업대의 우측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의 타단부는 상기 판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의 일단부에 올려놓으면 상기 적재물이 자동으로 우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판별부(12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는 상기 적재물이 이송 중 상기 제1컨베이버벨트(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U’자 형상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의 양측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부(120)는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의 직경 또는 외주면의 불량유무에 따라 상기 적재물의 이송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판별부(120)는 전방과 후방을 이은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양품으로 판정된 적재물은 정상통로(130)로 이송되도록 하고, 불량품으로 판정된 적재물은 불량통로(140)로 이송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판별부(12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121)을 포함하고, 상기 홈(121)에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홈(121)은 상기 적재물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121)에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적재물이 삽입된 경우, 상기 판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정상통로(130)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홈(121)에 기설정된 직경의 범위를 벗어나는 적재물이 삽입된 경우, 상기 판별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적재물을 상기 불량통로(140)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적재물의 외주면에 이물질이 있거나 손상이 있는 경우, 혹은 상기 적재물의 직경이 작거나 큰 경우, 상기 판별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적재물을 상기 불량통로(14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불량통로(140)는 상기 판별부(120)의 하방에 상기 정상통로(130)의 좌측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불량으로 판정된 상기 적재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상통로(130)는 상기 판별부(120)의 하방에 상기 불량통로(140)의 우측하방으로‘S’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품으로 판정된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정렬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정상통로(130)가‘S’자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적재물이 이송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상통로(130)가 우측하방으로 경사지되 일자형상으로 마련되면, 상기 적재물이 매우 빠른 속도로 상기 정렬부(200)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적재물 또는 정렬부(20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정상통로(130)가 우측하방으로‘S’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적재물의 속도를 감소시켜줌으로써, 상기 적재물 또는 정렬부(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별부(120)에는 센서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적재물의 직경을 측정하거나 외주면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재물의 불량유무를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렬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정상통로(13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을 평행하게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회동시키는 회전부(210)와 상기 회전부(210)로부터 회동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10)는 상기 회전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톱니(213)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213)와 인접한 톱니(213)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적재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210)에 상기 적재물이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톱니(213)와 인접한 톱니(213) 사이에 상기 적재물이 하나씩 안착되어 상기 적재물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210)는 전방과 후방을 이은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부(211)와 상기 제1회전부(211)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부(2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정상통로(13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은 상기 제1회전부(21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다가, 상기 제1회전부(211)와 제2회전부(212)가 맞물리는 지점에서 상기 제2회전부(212)로 옮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재물은 상기 제2회전부(21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후술할 제2컨베이어벨트(220)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210)는 상기 회전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2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214)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회전부(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14)는 선별오류로 인하여 기설정된 직경을 초과하는 적재물이 상기 회전부(210)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이 상기 가이드부(214)와 간섭되도록 하여 불량의 적재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회전부(21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을 우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는 상기 회전부(210)의 하방에 지면과 평행하게 놓이며, 상기 회전부(21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을 기설정된 지점까지 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톱니(213)가 연속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적재물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는 상기 회전부(210)를 통하여 배열된 상기 적재물과 인접한 적재물 사이의 이격거리 및 평행상태를 유지하여 우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상기 승강부(300)로 전달하는 제1가압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가압부(230)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를 통해 우측으로 이송되어 정지된 상태의 상기 적재물을 후방으로 밀어 상기 승강부(3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가압부(230)의 하부면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톱니(2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가압부(230)가 후방으로 인출되더라도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가 상기 적재물을 기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킨 후 정지되고, 상기 제1가압부(230)가 후방으로 상기 적재물을 밀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승강부(300)로 이송시킨다. 이후, 상기 제1가압부(230)가 전방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가 재차 상기 적재물을 기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적재물은 정렬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300)로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부(300)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을 상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승강부(300)는 상기 제1가압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적재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판부(310)와 상기 판부(310)에 안착된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켜 상기 공급부(400)에 안착시키는 제2가압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부(310)는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판부(310)의 양측면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판부(310)의 상부에 놓인 상기 적재물이 상기 판부(3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310)의 상부면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톱니(2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가압부(230)가 상기 적재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판부(310)의 상부면에 상기 적재물이 놓일 시 상기 제1가압부(230)와 판부(31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압부(320)는 상기 승강부(300)가 상기 적재물을 상방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적재물을 후방으로 밀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공급부(4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가압부(320)의 하부면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톱니(2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가압부(320)가 후방으로 인출되더라도 상기 판부(31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압부(23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상기 판부(3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송된 후, 상기 제2가압부(320)가 상기 적재물을 후방으로 밀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공급부(400)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물은 정렬된 상태로 상기 공급부(400)로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제2가압부(32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저장부(500)로 이송시켜, 상기 저장부(500)에 상기 적재물이 정렬된 상태로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제2가압부(32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을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410)와 상기 회동부(410)가 회동되거나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프레임부(4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가압부(320)에 의해 상기 적재물은 지면에 수평한 상태로 상기 회동부(410)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420)는 상기 회동부(410)를 상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송시킨 후, 상기 회동부(410)는 좌측과 우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재물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시켜 상기 적재물이 지면과 수직하게 놓이도록 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부(420)는 상기 회동부(410)를 상기 저장부(500)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저장부(500)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410)는 상기 회동부(410)의 상부면에 상기 적재물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41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411)은 각각 상기 적재물과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320)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은 상기 삽입홀(41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삽입홀(411)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단부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부(410)가 상기 저장부(500)의 상방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적재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삽입홀(411)의 양단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적재물이 상기 삽입홀(411)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부(410)가 회동하고 이송되어 상기 저장부(500)의 상방에 놓일 때 까지는 상기 삽입홀(411)의 하단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저장부(500)로 이송시킬 때, 상기 삽입홀(411)의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저장부(5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홀(411)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적재물이 상기 삽입홀(411)의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회동부(41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정렬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적재물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장홀(511)이 마련되는 케이스부(5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부(510)는 상기 적재물이 정렬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상방에는 상기 복수개의 저장홀(511)이 형성되고 하방은 폐쇄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저장홀(5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5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안내부(520)는 상기 적재물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물이 상기 저장홀(511)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600)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저장부(500)를 하강시키고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물의 저장이 완료된 상기 저장부(500)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213)와 인접한 톱니(213)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출되어 상기 적재물의 일단부와 간섭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푸셔(215)와, 상기 푸셔(215)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푸셔(215)에 의해 직선 이동된 상기 적재물과 간섭되어 상기 적재물이 뒤집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파이프(216)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적재물은 원기둥 형상의 중공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적재물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가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적재물의 상부면은 개방된 상태이고 하부면은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적재물의 상부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놓이는 것을 정방향의 적재물(B)이라하면, 상기 적재물의 하부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놓이는 것이 역방향의 적재물(A)이 된다. 상기 정방향의 적재물(B)의 경우, 상부면이 전방으로 놓임으로써 상기 푸셔(215)가 인출되더라도 상기 푸셔(215)가 내부로 삽입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의 경우, 하부면이 전방으로 놓임으로써 상기 푸셔(215)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셔(215)의 직경이 상기 적재물의 중공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푸셔(215)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213)와 인접한 톱니(213) 사이에 안착되면 인출되되, 상기 정방향의 적재물(B)의 경우 상기 푸셔(215)가 상기 정방향의 적재물(B)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정방향의 적재물(B)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푸셔(215)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213)와 인접한 톱니(213) 사이에 안착되어 인출될 때,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의 경우 상기 푸셔(215)가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을 후방으로 직선이동시켜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상기 파이프(216)와 간섭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은 상기 회전부(21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216)의 외주면을 따라 지속적으로 간섭되어 상부면이 전방에 놓이도록 회동하게 된다.
일례로,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상기 톱니(213)와 인접한 톱니(213)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푸셔(215)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6)에 의해 지속적으로 간섭되어 180도 회동하게 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회동하게 되는 과정을 우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도 4 및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상기 푸셔(215)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상기 파이프(216)와 간섭된다. 이후, 도 4 및 도 5의 (c) 및 (d)와 같이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상기 회전부(210)에 의해 회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216)와 지속적으로 간섭되어 점차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도 4 및 도 5의 (e)와 같이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상기 회전부(210)의 최상단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은 지면에 수직으로 놓이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도 4 및 도 5의 (f)와 같이 상기 역방향의 적재물(A)이 180도 뒤집어져 상기 정방향의 적재물(B)과 같은 상태로 정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푸셔(215)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유압실린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타이징 장치의 작동순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자가 세척을 완료한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에 올려놓는다. 이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0)는 상기 적재물을 우측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적재물을 상기 판별부(12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판별부(120)는 양품의 적재물은 상기 정상통로(130)로 이송시키고 불량품의 적재물은 상기 불량통로(140)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분류한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상통로(13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물은 상기 정렬부(200)에 의해 정렬되어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상부면에 배열된 상태로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입부(100)에 투입되는 다수개의 적재물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상부면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의 상부면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적재물이 배열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압부(230)에 의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0)에 배열된 상기 적재물은 하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판부(310)의 상방에 놓이게 된다.
이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압부(230)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판부(310)는 상승하여 배열된 상기 적재물을 상방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가압부(320)에 의해 상기 판부(310)에 배열된 상기 적재물은 하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삽입홀(411)에 삽입된다.
이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2가압부(320)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회동부(410)는 상기 적재물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저장부(500)의 상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저장부(500)에 상기 적재물을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500)에 다수개의 열 중 하나의 열에 상기 적재물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저장홀(511)에 상기 적재물이 모두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도 14 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저장홀(511) 전체에 상기 적재물이 모두 저장되면, 상기 케이스부(510)가 하강하여 상기 배출부(600)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된다. 즉, 상기 케이스부(510)에 상기 적재물이 모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부(510)는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투입부(100), 정렬부(200), 승강부(300), 공급부(400), 저장부(500), 배출부(600) 및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도면 미도시)와 상기 투입부(100), 정렬부(200), 승강부(300), 공급부(400), 저장부(500) 및 배출부(6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도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300), 공급부(400) 및 배출부(600)의 이동 또는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파렛타이징 장치는 원기둥 형상의 상기 적재물을 상기 투입부(100)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복수개의 적재물이 나란하게 정렬되어 상기 저장부(500)에 오와 열을 맞춰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투입부
110 : 제1컨베이어벨트
120 : 판별부
121 : 홈
130 : 정상통로
140 : 불량통로
200 : 정렬부
210 : 회전부
211 : 제1회전부
212 : 제2회전부
213 : 톱니
214 : 가이드부
215 : 푸셔
216 : 파이프
220 : 제2컨베이어벨트
230 : 제1가압부
300 : 승강부
310 : 판부
320 : 제2가압부
400 : 공급부
410 : 회동부
411 : 삽입홀
420 : 프레임부
500 : 저장부
510 : 케이스부
511 : 저장홀
520 : 안내부
600 : 배출부
A : 역방향의 적재물
B : 정방향의 적재물

Claims (5)

  1.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정렬하는 정렬부;
    정렬된 상기 적재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
    승강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공급부;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를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투입부, 정렬부, 승강부, 공급부, 저장부 및 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적재물이 적재되면,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를 배출시키되,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적재물의 불량유무에 따라 상기 적재물의 이송방향을 설정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판별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이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정렬부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적재물을 회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회동된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부; 및
    상기 제1회전부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톱니가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적재물의 정렬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톱니;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와 인접한 톱니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적재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로부터 이송된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제1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적재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판부; 및
    상기 판부에 안착된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켜 상기 공급부에 안착시키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의 하부면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톱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가 상기 적재물에 힘을 가할 시 상기 적재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적재물은, 원기둥 형상의 중공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적재물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와 인접한 톱니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출되어 상기 적재물의 일단부와 간섭됨으로써 상기 적재물을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푸셔; 및
    상기 푸셔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푸셔에 의해 직선 이동된 상기 적재물과 간섭되어 상기 적재물이 뒤집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적재물이 상기 톱니와 인접한 톱니 사이에 안착된 후 상기 푸셔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의 타단부가 상기 파이프와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적재물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적재물의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와 지속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적재물이 뒤집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타이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4599A 2020-05-07 2020-05-07 파렛타이징 장치 KR10242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99A KR102425921B1 (ko) 2020-05-07 2020-05-07 파렛타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99A KR102425921B1 (ko) 2020-05-07 2020-05-07 파렛타이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09A KR20210136409A (ko) 2021-11-17
KR102425921B1 true KR102425921B1 (ko) 2022-07-28

Family

ID=7870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99A KR102425921B1 (ko) 2020-05-07 2020-05-07 파렛타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819B1 (ko) 2023-01-26 2023-04-17 주식회사 브릴스 파렛타이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9306A (ja) * 2012-03-15 2013-09-26 Shibuya Seiki Co Ltd 物品集積装置
KR101910624B1 (ko) * 2018-07-03 2018-10-23 진은규 통조림 캔 제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분류 적재 및 자동 포장이 가능한 통조림 캔 분류 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9429B2 (ja) * 2002-07-05 2010-02-0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カプセル充填封緘装置
KR20120004990U (ko)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파렛타이징 박스구조
KR101331241B1 (ko) * 2012-03-21 2013-1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채혈관 제조를 위한 튜브정렬장치
KR20170020024A (ko) * 2015-08-13 2017-02-22 김대영 상자 적재 장치 및 상자 적재 방법
KR101997676B1 (ko) * 2017-11-14 2019-07-08 (주)에스엠텍 광학테이블 상판용 캡 정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9306A (ja) * 2012-03-15 2013-09-26 Shibuya Seiki Co Ltd 物品集積装置
KR101910624B1 (ko) * 2018-07-03 2018-10-23 진은규 통조림 캔 제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분류 적재 및 자동 포장이 가능한 통조림 캔 분류 포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819B1 (ko) 2023-01-26 2023-04-17 주식회사 브릴스 파렛타이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09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239B1 (ko) 공작기계용 소재공급 및 적재장치
JPH04213512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623049B1 (ko) 알루미늄 튜브 다발 자동 인발장치
KR102425921B1 (ko) 파렛타이징 장치
CN106743785B (zh) 一种带自动分类输送线的辅料入库物流系统
KR101187149B1 (ko) 허브 어셈블리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JPH0834507A (ja) 段積ストック装置
TW201605702A (zh) 電子元件輸送單元及其應用之電子元件檢測設備
KR102291937B1 (ko) 개별 분배가 가능한 파렛타이징 장치
KR102395417B1 (ko) 파렛트용 굽 삽입 시스템
KR100223094B1 (ko) 수직식핸들러의 튜브 로딩 및 언로딩장치
KR20060071589A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의 이송트레이장치
KR980012392A (ko) 볼 그리드 어레이의 솔더볼 실장장치
CN209777702U (zh) 电池单元堆叠装置
KR20120006774A (ko)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2349762B1 (ko) 버 제거가 가능한 파렛타이징 장치
JP4583554B2 (ja) 容器バッファ・供給装置及び容器バッファ・供給方法
KR100265022B1 (ko) 공작물자동공급및취출장치
TWI551873B (zh) Electronic components operating equipment
JPH04354660A (ja) バイパス経路を有するトランスファマシン
CN219057593U (zh) 一种用于托盘上下线的设备
KR101282836B1 (ko) 팔레트 공급장치
KR960006764B1 (ko) 핸들러의 튜브 자동공급장치
KR0141624B1 (ko) 건전지 이재장치
KR0148875B1 (ko) 건전지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