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875B1 - 건전지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건전지 적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875B1
KR0148875B1 KR1019950039128A KR19950039128A KR0148875B1 KR 0148875 B1 KR0148875 B1 KR 0148875B1 KR 1019950039128 A KR1019950039128 A KR 1019950039128A KR 19950039128 A KR19950039128 A KR 19950039128A KR 0148875 B1 KR0148875 B1 KR 014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attery
conveyor
loading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352A (ko
Inventor
편도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875B1/ko
Publication of KR97002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Cel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전지 적재(積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베이어로 이송되는 건전지를 콘베이어로부터 파레트상에 자동적재토록 하여 생산성 향상 및 건전지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는 건전지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1)의 일측에 건전지(2)를 서있는 상태로 하류단으로 이송공급하는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와,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로부터 공급되는 건전지(2)를 하나씩 가압이송하는 공급실린더(20)와, 상기 공급실린더(20)에 의해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로부터 배출되는 건전지(2)를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회전플레이트(30)상에 정렬된 건전지를 파레트(3)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홈(31)의 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전개시키며 파레트(3)상부로 이송시키는 전개수단과, 파레트(3)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하부로 공급하는 파레트공급콘베이어(50)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하부에서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50)로부터 공급되는 파레트(3)를 인도받아 적재위치에 셋팅하는 적재콘베이어(60)와, 상기 적재콘베이어(60)를 적재위치로부터 배출위치로 단속이동토록 구동하는 이동수단과, 파레트 배출위치에서 상기 적재콘베이어(60)로부터 배출되는 파레트(3)를 인도받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는 파레트배출콘베이어(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전지 적재장치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건전지 적재장치의 구성을 개략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건전지 적재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에 따른 낙하홈의 구성을 보인 부분발췌사시도.
제4도는 본발명에 따른 적재콘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발명에 따른 건전지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건전지
3 : 파레트 10 : 공급콘베이어
20 : 공급실린더 30 : 회전플레이트
31 : 정렬홈 32 : 정렬모터
33 : 승강플레이트 34 : 승강실린더
40 : 가이드플레이트 41 : 가이드홈
42 : 낙하홈 43 : 전개실린더
44 : 전개플레이트 50 : 파레트공급콘베이어
60 : 적재콘베이어 61 : 슬라이더
62 : 랙기어 63 : 적재모터
64 : 피니언기어 65 : 가이더
70 : 파레트배출콘베이어
본 발명은 건전지 적재(積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베이어로 이송되는 건전지를 콘베이어로부터 파레트상에 자동적재토록 하여 생산성 향상 및 건전지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는 건전지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제조완료된 건전지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공정이 이루어 지는데, 최근 상기 각각의 건전지를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으므로 다수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파레트를 구비하고, 이들 파레트상에 건전지를 적재한후 각종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레트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건전지를 작은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재 보관하여 자연방전시키는 공정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건전지는 절연저항 검사공정, 핫셀(Hot Cell)검사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이어서 예비방전회로에 개입시켜 강제 방전시킨후 전압을 검사하여 불량품 예를들면, 전해액의 누액 또는 절연상태의 불량등의 건전지를 검출하는 예비방전검사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일정기간 자연방전시킨후에 다시 전압을 검사하여 건전지가 적절한 전압값을 갖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오픈/쇼트전압 검사공정을 거쳐 불안정한 상태의 건전지를 검출하게 된다. 오픈/쇼트전압 검사공정은 최초 테스트에 정상품으로 판정된 건전지라도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불량한 건전지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압의 변동이 거의 없는 양호한 건전지만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테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건전지를 일괄해서 처리할 수 있는 수단 즉, 파레트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은 파레트에 건전지를 수납하는 부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상기 건전지를 파레트상에 적재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콘베이어를 타고 이송중인 건전지를 하나씩 집어 파레트상에 제공되어 있는 건전지 홈상에 삽입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건전지 제조의 자동화 추세에 비추어 볼때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베이어상에서 이송되는 건전지를 파레트에 자동으로 이동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인원의 감소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건전지 제조의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건전지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일측에 건전지를 서있는 상태로 하류단으로 이송공급하는 건전지공급콘베이어와, 건전지공급콘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건전지를 하나씩 가압이송하는 공급실린더와, 상기 공급실린더에 의해 건전지공급콘베이어로 부터 배출되는 건전지를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정렬된 건전지를 파레트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홈의 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전개시키며 파레트상부로 이송시키는 전개수단과, 파레트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로 공급하는 파레트공급콘베이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파레트를 인도받아 적재위치에 셋팅하는 적재콘베이어와, 상기 적재콘베이어를 적재위치로부터 배출위치로 단속이동토록 구동하는 이동수단과, 파레트 배출위치에서 상기 적재콘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파레트를 인도받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는 파레트배출콘베이어를 설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발명의 개략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1)의 일측에 건전지(2)를 서있는 상태로 하류단으로 이송공급하는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가 구비된다. 이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는 하류단이 프레임(1) 상면에 위치하고 하류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지며, 그 일측에는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로부터 공급되는 건전지(2)를 하나씩 가압이송하는 공급실린더(20)가 설치된다. 상기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의 절곡부에는 건전지(2)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가 설치되어 건전지(2)가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실린더(2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의 단부에는 공급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2)에 의해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로부터 배출되는 건전지(2)를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는 정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정렬수단은 원판형의 회전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있으며, 회전플레이트(30)의 하부중앙에는 정렬모터(32)가 연결되어 정렬모터(32)에 의해 회전플레이트(30)가 회전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모터(32)는 프레임(1)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34)에 의해 왕복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33)에 고정되어 승강실린더(3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렬모터(32) 및 회전플레이트(30)가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사이를 선택적으로 승강운동토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주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길이 파여지며 각각 하나의 건전지를 수용하게 되는 다수의 정렬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정렬홈(31)은 회전플레이트(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한조로하여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조를 구성하는 정렬홈(31)의 수는 파레트(3)상에서 한열을 이루는 삽입홈(3a)의 수와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정렬모터(32)는 정렬홈(31)과 그에 인접하는 정렬홈(31)이 이루는 각도만큼 수회에 걸쳐 단속회전하는 제 1모드및 건전지 수용이 완료된 한조의 정렬홈들을 배출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2모드로 구동제어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회전플레이트(30)상에 정렬된 건전지를 파레트(3)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홈(31)의 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전개시키며 파레트(3)상부로 이송시키는 전개수단이 구비된다.
이 전개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30)가 배출위치에 있을때 회전플레이트(3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가이드플레이트(4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0)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홈(31)과 동일한 깊이를 갖는 수개의 가이드홈(41)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홈(41)은 각각 상기 한조를 구성하는 정렬홈(31)과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수만큼 형성되며 각각의 가이드홈(41)의 일측은 정렬홈(31)과 대응하고, 타측은 점차 그 간격이 넓어져 단부에서는 파레트(3)상의 삽입홈(3a)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41)의 배출단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지(2)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낙하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에 지지되는 전개실린더(43)에 의해 회전플레이트(30)의 중심위치와 낙하홈(42)사이를 선택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전개플래이트(44)가 구비된다. 이 전개플래이트(44)는 가이드축(44a)에 의해 안내되는 피스톤로드(43a)의 선단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건전지(2)가 상기 회전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접하여 건전지(2)를 정렬홈(31)으로부터 인출하여 낙하홈(42)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플레이트(30)가 배출위치에 있을때 가능한 그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파레트(3)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하부로 공급하는 파레트공급콘베이어(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하부에는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50)로부터 공급되는 파레트(3)를 인도받아 적재위치에 셋팅하는 적재콘베이어(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50)와 적재콘베이어(60)는 동일선상에 설치되며, 이때 그 위치는 이송되는 파레트(3)의 제 1열(L1)이 상기 낙하홈(42)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콘베이어(6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형성된 가이더(65)에 의해 파레트(3)의 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레트투입위치와 배출위치사이를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6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61)의 일측에는 슬라이더(61)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랙기어(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상에는 상기 랙기어(62)에 치합하는 피니언기어(64)가 구비된 적재모터(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적재모터(63)는 일렬의 삽입홈(3a)과 그에 인접하는 삽입홈(3a)과의 간격만큼 슬라이더(61)를 수회에 걸쳐 단속이동시키는 제 1모드와, 배출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무단복귀하는 제 2모드로 구동제어된다.
상기 파레트배출위치 즉, 슬라이더(61)가 도면상 좌측단에 있을때의 위치에는 파레트(3)의 투입방향과 반대방향에 적재콘베이어(60)로부터 배출되는 파레트(3)를 인도받아 다음의 공정으로 이송하는 파레트배출콘베이어(7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로부터 공급된 건전지(2)를 공급실린더(20)가 하나씩 가압하여 정렬수단으로 공급하고, 정렬수단에서는 건전지 공급이 완료되면 정렬모터(32)가 회전하여 각각의 정렬홈(31)이 각각의 가이드홈(41)에 일치하는 위치로 회전한후 승강실린더(34)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개실린더(43)가 작동하여 상기 각각의 정렬홈(31)상에 수용되어 있는 건전지(2)를 가이드홈(41)을 따라 낙하홈(42)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하단에는 미리 파레트(3)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가이드홈(41)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가 낙하홈(42)을 통해 자유낙하하여 파레트 상의 제 1열의 삽입홈(3a)에 삽입되면 적재모터(63)에 의해 슬라이더(61)가 삽입홈(3a)과 삽입홈(3a)사이의 간격만큼 이동되고, 다시 상기와 동작을 반복하여 제 2열의 삽입홈(3a)에 건전지를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레트상의 마지막 삽입홈이 이루는 열의 삽입이 완료되면 적재콘베이어(60) 및 파레트배출콘베이어(70)가 구동하여 적재완료된 파레트(3)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를 첨부된 제5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전지(2)가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로부터 서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하류단으로 공급(100)된다. 하류단으로 공급된 건전지가 절곡부에 도달(110)하게 되어 감지센서(12)가 이를 감지하여 공급실린더(20) 구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또한 공급실린더(20)는 승강실린더(34)가 하강(120)하여 회전플레이트(30)가 공급위치에 도달(130)한 후 정렬모터(32)가 회전(140)하여 초기위치 즉, 제 1정렬홈(31)이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의 단부에 셋팅(150)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12)의 신호를 받은 공급실린더(20)가 작동(160)하여 건전지(2)를 회전플레이트(3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건전지 투입이 완료되면 건전지 투입동작이 정렬홈(31)의 수만큼 수행되었는지를 판단(170)하여 카운트 완료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정렬모터(32)가 제 1모드 즉, 정렬홈(31)과 그에 인접하는 정렬홈(31)이 이루는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드로 구동하여 제 2정렬홈(31)을 건전지공급콘베이어(10)의 단부에 셋팅시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카운트가 완료되면 정렬모터(32)는 제 2모드 즉, 상기 건전지를 수용하고 있는 정렬홈(31)이 이루는 한조를 배출측으로 회전 셋팅시키는 모드로 구동(180)하여 각각의 정렬홈(31)이 상기 가이드홈(41)상에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190)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4)가 상승구동(200)하여 회전플레이트(30)를 가이드플레이트(40)의 상면과 일치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정렬홈(31)을 가이드홈(41)에 정확히 일치시키게 된다(210).
한편,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50)의 구동(220)에 의해 파레트(3)가 적재콘베이어(60)로 공급(230)되고, 이어서 적재모터(63)가 제 1모드 즉, 일렬의 삽입홈(3a)과 그에 인접하는 삽입홈(3a)과의 간격만큼 슬라이더(61)를 이동시키는 모드로 구동(240)하고, 이때 초기위치는 파레트(3)의 제 1열의 삽입홈(3a)이 낙하홈(42)의 하부에 셋팅(250)시키게 된다.
이어서 전개실린더(43)가 구동(260)하여 전개플래이트(44)가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전개플래이트(44)는 양측의 정렬홈(31)에 수용되어 있는 건전지를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홈(41)으로 밀어내기 시작하며 점차 전체의 건전지를 모두 일직선상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낙하홈(42)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41)을 따라 이동되는 건전지(2)는 낙하홈(42)상에 도달하게 되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며 그하부에 대기중인 삽입홈(3a)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적재동작이 삽입홈(3a)의 열의 수 만큼 수행되었는지를 판단(270)하여 카운트완료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한편 카운트가 완료되면 적재콘베이어(60)는 배출위치에 도달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콘베이어(60) 및 파레트배출콘베이어(70)가 구동(280)하여 파레트(3)배출이 완료(290)되면 상기 적재모터(63)는 제 2모드 즉, 최초위치로 무단복귀하는 모드로 동작(300)하여 다음의 파레트(3)를 공급받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적재장치는 수개의 건전지를 수용하는 건전지를 자동적재 가능토록 하므로서 파레트 상에 건전지를 적재하기 위한 작업에 필요한 작업인원의 감소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건전지 제조의 무인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5)

  1. 프레임의 일측에 건전지를 서있는 상태로 하류단으로 이송공급하는 건전지공급콘베이어와. 건전지공급콘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건전지를 하나씩 가압이송하는 공급실린더와. 상기 공급실린더에 의해 건전지공급콘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건전지를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정렬된 건전지를 파레트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홈의 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전개시키며 파레트상부로 이송시키는 전개수단과. 파레트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로 공급하는 파레트공급콘베이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파레트를 인도받아 적재위치에 셋팅하는 적재콘베이어와. 상기 적재콘베이어를 적재위치로부터 배출위치로 단속이동토록 구동하는 이동수단과. 파레트 배출위치에서 상기 적재콘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파레트를 인도받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는 파레트배출콘베이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공급콘베이어는 하류단이 프레임상면에 위치하고 하류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공급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절곡부로 유입되어 건전지를 하나씩 가압이송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공급콘베이어의 절곡부에는 건전지의 유무를 감지하여 공급실린더로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구동하는 승강실린더와.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정렬모터와. 상기 모터에 고정되어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사이를 승강운동함과 동시에 모터를 의해 회전구동되고, 주연에 다수의 정렬홈이 형성된 원판형의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홈31은 회전플레이트의 주연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한조로 구성되어 회전플레이트의 주연에 적어도 한개조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홈은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한조로하여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조를 구성하는 정렬홈의 수는 파레트3상에서 한열을 이루는 삽입홈의 수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모터는 정렬홈과 그에 인접하는 정렬홈이 이루는 각도만큼 수회에 걸쳐 단속회전하는 제 1모드및 건전지 수용 완료된 한조의 정렬홈을 배출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2모드로 구동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배출위치에 있을때 회전플레이트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정렬홈과 일대일 대응하는 수개의 가이드홈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의 배출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자유낙하를 허용하는 낙하홈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전개실린더와. 전개실린더에 의해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위치와 낙하홈사이를 선택적으로 왕복운동하며 정렬홈상의 건전지를 낙하홈측으로 이동시키는 전개플레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의 일측은 각각 상기 한조에 속해있는 정렬홈과 각각 일대일 대응하고, 타측은 점차 그 간격이 넓어져 낙하홈에서는 파레트상의 삽입홈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플레이트는 하단은 회전플레이트가 상승되었을때 가능한 회전플레이트 상면에 근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공급콘베이어와 적재콘베이어는 동일선상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파레트의 제 1열이 상기 낙하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콘베이어는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더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콘베이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랙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선단에 상기 랙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기어를 갖는 적재모터를 구비하여 적재모터에 의해 파레트투입위치와 배출위치사이를 직선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모터는 일렬의 삽입홈과 그에 인접하는 삽입홈과 간격만큼 슬라이더를 수회에 걸쳐 단속이동시키는 제 1모드와, 배출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무단복귀하는 제 2모드로 구동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콘베이어는 적재콘베이어가 배출위치에 있을때 적재콘베이어와 동일선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적재장치.
KR1019950039128A 1995-10-31 1995-10-31 건전지 적재장치 KR014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128A KR0148875B1 (ko) 1995-10-31 1995-10-31 건전지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128A KR0148875B1 (ko) 1995-10-31 1995-10-31 건전지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352A KR970024352A (ko) 1997-05-30
KR0148875B1 true KR0148875B1 (ko) 1998-10-15

Family

ID=1943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128A KR0148875B1 (ko) 1995-10-31 1995-10-31 건전지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8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352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8387B (zh) 汽车第一代轮毂轴承装配线
JPH04213512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11146489A (zh) 一种电芯压扁下料一体机
CN112264331A (zh) 圆柱电芯高速分选机
CN108362914B (zh) 多转塔式测试设备
JPH03187815A (ja) ベルトの凹部への要素とくにチップ等の電気要素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KR0148875B1 (ko) 건전지 적재장치
CN201705819U (zh) 汽车第一代轮毂轴承装配线
EP3758074A1 (en) Automated wafer separating equipment for solar cells
CN101300643B (zh) 生产核燃料芯块的设备及采用该设备的生产方法
KR102425921B1 (ko) 파렛타이징 장치
CN214077935U (zh) 圆柱电芯高速分选机
US4832174A (en) Integrated circuit sleeve handler and method
KR100508412B1 (ko) 스마트 배터리의 배터리셀 용접장치 및 그 방법
CN209777702U (zh) 电池单元堆叠装置
CN210304640U (zh) 太阳能电池片的分选机
KR0141624B1 (ko) 건전지 이재장치
KR0144596B1 (ko) 건전지 자동 적재장치
KR0144597B1 (ko) 건전지 이재장치
KR0165972B1 (ko) 건전지 이재장치
KR200183933Y1 (ko) 피시비자동검사시스템의 피시비자동공급장치
KR20020097446A (ko)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KR0141645B1 (ko) 건전지 이재장치
CN221092463U (zh) 一种旋转定位上料机构
KR20040055873A (ko) 아이씨소자용 실드의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