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446A -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446A
KR20020097446A KR1020010035388A KR20010035388A KR20020097446A KR 20020097446 A KR20020097446 A KR 20020097446A KR 1020010035388 A KR1020010035388 A KR 1020010035388A KR 20010035388 A KR20010035388 A KR 20010035388A KR 20020097446 A KR20020097446 A KR 20020097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test
plate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3333B1 (ko
Inventor
정백운
Original Assignee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3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PCB)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롬 라이팅 및 기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PCB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은 전 공정에서 인입되는 PCB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와, PCB이 다단으로 임시 저장되는 버퍼스택커와, 제1컨베이어로 이송된 PCB을 테스트 엘리베이터로 이송하는 제1이송장치와,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PCB을 탑재하여 롬라이팅 및 기능검사를 수행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스트 엘리베이터와, 테스트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며, 각기 PCB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컨텍터를 갖는 복수개의 테스트부와, PCB과 전기신호를 송수신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컨트롤러와, 불량으로 판정된 PCB 상에 불량 마크를 표시하는 마킹수단과, 테스트가 완료된 모든 PCB을 제2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와, 제2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PCB을 NG 스택커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PCB중에 불량으로 판정된 PCB이 적재되는 NG 스택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Printed Circuit Board Rom Writing and Function Testing System}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의 표면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연속 공급하여 롬 라이팅과 기능 검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수많은 전자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그 표면에 실장된다. 이러한 표면실장 작업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은 보통 소정의 기능검사를 거쳐 그 기능의 양,불을 판정받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의 기능 검사를 행하거나 특정 정보를 롬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대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 리드선부에 검사자가 일일이 검사기기의 컨텍터를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기능의 양,불을 판정한 후, 판정결과를 디스플레이어에 화면출력되도록 하여 검사자로 하여금 양,불 판정에 대한 표시값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을 선별 적체하도록 하고 있다.
또, 때에 따라서는 부품의 표면실장 작업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불량 판정된 인쇄회로기판에는 작업자에 의한 마킹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테스트 방법은, 검사대상 인쇄회로기판의 공급 초기시,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의 검사 후기시 인쇄회로기판의 기능 검사의 진행 상태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량에 대하여 완충이 이루어질 수 없어 검사를 충실히 수행하는 데에 방해 요건이 유발되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롬라이팅 작업과 기능 검사 작업이 별도의 장비와 장소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과다한 투자비용과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며,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리드선부에 검사기기의 컨텍터를 인력에 의해 일일이 다수 번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거나검사기기의 소켓에 삽입하여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 속도가 느리고 번거로우며, 따라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부품의 표면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연속 공급하여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를 한 장비 내에서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검사대상 인쇄회로기판의 공급 초기 시,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의 검사 후기 시 인쇄회로기판의 기능 검사의 진행 상태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량에 대하여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인쇄회로기판의 기능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버퍼스택커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장치 및 테스트 엘리베이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테스트 엘리베이터 및 컨텍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NG 스택커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NG 스택커에 적용된 안착돌기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마킹수단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시스템의 작용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도 8은 제1이송장치의 작동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9는 컨텍터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는 제2이송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이 NG 스택커에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퍼스택커13 : 체인
20 : 테스트 엘리베이터22 : 테스트 엘리베이터
23 : 안착플레이트24 : 지지부재
30 : 컨텍터34 : 접촉단자
40 : NG 스택커42,43 : 안착돌기
44 : 승강블록50 : 제1이송장치
60 : 제2이송장치70 : 마킹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은, 전 공정에서 인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다단으로 임시 저장되는 버퍼스택커와, 상기 제1컨베이어로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을 테스트 엘리베이터로 이송하는 제1이송장치와, 상기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을 탑재하여 롬라이팅 및 기능검사를 수행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스트 엘리베이터와, 상기 테스트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며, 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컨텍터를 갖는 복수개의 테스트부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신호를 송수신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불량 마크를 표시하는마킹수단과, 테스트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제2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와, 테스트가 완료되어 제2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 중에 불량 마크가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이 적재되는 NG 스택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버퍼스택커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장치 및 테스트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테스트 엘리베이터 및 컨텍터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적용된 NG 스택커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NG 스택커에 적용된 안착돌기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7은 마킹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의 작용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도 8은 제1이송장치의 작동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9는 컨텍터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2이송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이 NG 스택커에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은, 테스트 대상 인쇄회로기판(P)이 임시 저장되는 버퍼스택커(10),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테스트가 실행되는 테스트 엘리베이터(20), 테스트 엘리베이터(20)에 탑재된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텍터(30)와,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양불량을 판정하는 콘트롤러(미도시), 콘트롤러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P) 상에 'NG' 마크를 표시하는 마킹수단부(70), 불량 인쇄회로기판(P)이 적재되는 NG 스택커(40), 인쇄회로기판(P)을 각 단계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버퍼스택커(10)는, 기능 검사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이 공급초기 시에 그 이송속도에 따라 임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다이(11)와, 제1다이(11) 위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주보는 부분에 인쇄회로기판(P) 안착부(12)가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P)을 승강시키는 체인(13)으로 구성된다.
버퍼스택커(10)의 체인(13)은 인쇄회로기판(P)의 이송경로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축(15a)의 전후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어 한 쌍을 이루면서 모터(미도시)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부(15)와 이 구동스프로킷부(15)의 상측에 역시 회전축(16a)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아이들스프로킷부(16)에 감겨 회전되면서 인쇄회로기판(P)을 다단으로 적층하게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을 버퍼스택커(10)의 체인(13)의 역구동에 의해 하나씩 제1컨베이어(14)에 위치시키고, 제1컨베이어(14)의 구동에 의해 제1이송장치(50)가 테스트 엘리베이터(20)로 이송하기 위한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P)은 이송되고,상기 제1이송장치(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을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테스트 엘리베이터(20)에 인쇄회로기판(P)의 적재가 이루어진다.
적재된 인쇄회로기판(P)에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을 수행하고, 그 동안에 다른 공정에서 제1컨베이어(14)에 의해 이송되어 온 인쇄회로기판(P)은 버퍼스택커(10)의 체인(13)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버퍼스택커(10)에 적재된다.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를 마친 인쇄회로기판(P)을 테스트 엘리베이터(20)가 한단씩 하강하면서 테스트부(22)로부터 제2이송장치(60)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2컨베이어(69)로 이송시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P)은 상기 제2컨베이어(69)에 의해 다음 과정으로 이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을 테스트 엘리베이터(20)에 공급하는 제1이송장치(50)는, 포스트(51) 상부의 플레이트(52) 상면 양측에 설치되는 실린더(53)와, 실린더(53)의 승강부(53a) 상면에 고정되는 승강플레이트(54)와, 승강플레이트(54)에 설치되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55)과, 승강플레이트(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피니언(55)이 치합되는 래크부(56)가 구비된 이송 플레이트(57)와, 이송 플레이트(57) 상에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P)을 걸어 테스트 엘리베이터(20)로 이송하는 걸림구(58)와, 상기 걸림구(58)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S)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P)이 더 이상 진행되지않고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제2이송장치(60)의 일측에 스토퍼(59)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59)는 제1이송장치(5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이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다수의 테스트부(22) 중 어느 하나에 이송될 때 승강되어 인쇄회로기판(P)이 정지되도록 구속한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테스트 엘리베이터(20)는, 버퍼스택커(10)에서 공급되는 인쇄회로기판(P)이 다수 적채된 상태에서 컨텍터(30)가 각 적채단에서 인쇄회로기판(P)의 다수 리드선부(R)에 전기적으로 동시에 일괄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테스트 엘리베이터(20)는 상승하면서 인쇄회로기판(P)을 하나씩 상단의 테스트부(22)부터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가 완료되면 테스트 엘리베이터(20)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을 순차적으로 하단의 테스트부(22)부터 하나씩 제2이송장치(60)에 의해 배출한다.
테스트 엘리베이터(20)는, 제2다이(21)와, 제1이송장치(50)에 의해 버퍼스택커(10)로부터 연속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P)이 다단으로 탑재되는 테스트부(22)구성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테스트 엘리베이터(20)는 롬 라이팅과 기능 검사를 일체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하였지만 이는 롬 라이트용 엘리베이터와 기능검사용 엘리베이터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롬 라이트용 엘리베이터와 기능검사용 엘리베이터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한 것도 본원 발명의 기술범주에 들어간다.
상기 테스트부(22)는, 인쇄회로기판(P)의 이송경로의 양측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P)을 안착시키며 그 일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부재(24)를 갖는 안착플레이트(23)와, 고정블록(31)에 설치되는 컨텍터(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안착플레이트(23a)의 일측 내부에 탄성부재(24a)를 삽설하여 안착플레이트(23a,23b)에 탑재된 인쇄회로기판(P)의 폭에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인쇄회로기판(P)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여 타측의 안착플레이트(23b)에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이 형성된 부분이 밀착하여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텍터(30)는,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a,23b)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에 다수의 접촉단자(34)들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b)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블록(31)과, 상기 고정블록(31)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블록(33)과, 상기 회전블록(33)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누름부재(32)와, 상기 누름부재(32)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와 접촉되는 다수의 접촉단자(34)들이 구비된 테스트 소켓(35)과, 상기 접촉단자(34)들이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블록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36)로 구성된다.
상기 컨텍터(30)의 누름부재(32)는, 푸싱 실린더(37)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블록(37)을 밀어줌에 의해 접촉단자(34)로부터 상호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푸싱 실린더(37)는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상승/하강시에 간섭되지 않으며, 테스트부(22)의 회전블록(33)을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설치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의 콘트롤러(미도시)는, 상기 컨텍터(30)의 테스트 소켓(35)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 기능의 고유 특성에 대한 출력값이 입력되고, 입력된 값에 대하여 소정 연산을 행하여 검사된 인쇄회로기판(P)의 양,불을 판정한다.
테스트가 완료된 모든 인쇄회로기판(P)은 제2이송장치(60)에 의해 테스트 엘리베이터(20)로부터 인출되고, 제2컨베이어(69)에 의해 이송된다.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가 완료된 모든 인쇄회로기판(P)을 제2컨베이어(69)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60)는, 포스트(61) 상부의 플레이트(62) 상면 양측에 설치되는 실린더(63)와, 실린더(63)의 승강부(63a) 상면에 고정되는 승강플레이트(64)와, 승강플레이트(64)에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65)과, 승강플레이트(6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피니언(65)이 치합되는 래크부(66)가 구비된 이송 플레이트(67)와, 이송 플레이트(67)의 일측 상에 설치되며 테스트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P)의 후단부를 걸어 제2컨베이어(69)측으로 이송하는 걸림구(68)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컨베이어(69)는,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테스트부(22)로부터 제2이송장치(60)가 인출한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P)을 양불로 구분하여 양호한 인쇄회로기판(P)은 다음공정으로 보내고, 불량의 인쇄회로기판(P)은 NG 스택커(40)의 위치로 이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G 스택커(40)는, 제2컨베이어(69)의 상부 소정위치(인쇄회로기판(P)의 이송경로의 전후 양측)에 소정 간격을 갖고 입설되는 스택커 플레이트(41,41)와, 이 스택커 플레이트(41,41)의 마주보는 면에 4열로 배열되며 인쇄회로기판(P)이 다단으로 안착되는 안착돌기(42)(43)(안착돌기가 4열로 배열되지만 기능에 따라 중앙의 승강 안착돌기와 양쪽끝의 고정 안착돌기로 나뉘어지므로 동일하게 움직이는 안착돌기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44)는 불량 인쇄회로기판(P)를 NG 스택커(40)에 적재하기 위하여 1단 상승하고 다시 원위치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즉, 4열의 안착돌기(42)(43)중 가운데 2열의 승강블록(44)에 설치된 안착돌기(42)들은 상기 승강블록(44)이 상승하면 1단 위의 안착돌기(43)까지 상승되었다가 상기 승강블록(44)이 하강하면 다시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안착돌기(42)(43)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마주보는 면의 상단에 안착턱(42a)(43a)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시 자중에 의해 수평이 유지된다.
NG 스택커(40)가 입설된 위치의 제2컨베이어(69)의 하부에는 NG 스택커(40)의 하단에 설치된 안착돌기(42,43)에 불량 인쇄회로기판(P)을 올려 놓기 위하여 승강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도1과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마킹수단(70)은, 인쇄회로기판(P)의 이송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71)와, 이 가이드(71)를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불량 판정을 받은 상태 하에서 테스트 엘리베이터(20)로부터 인출되어 제2이송장치(60)에서 제2컨베이어(69)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P) 상의소정 부위에 'NG'라는 문자를 인쇄하는 프린팅장치(7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은 제1컨베이어(14)에 의해 버퍼스택커(10)측으로 이송된 후, 버퍼스택커(10)에 임시 보관된다.
버퍼스택커(10)에 적재될 인쇄회로기판(P)은 그 좌우 양측이 체인(13)의 양측 안착부(12) 상면에 안착된다. 모터에 의해 구동스프로킷부(15)가 1단의 높이 만큼 회전됨에 따라 체인(13)이 1단의 높이만큼 상승되고,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이 일단 상승된다. 그 다음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P)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체인(13)에 차례로 적층된다.
한편, 테스트 엘리베이터(20)에서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가 완료되어 상기 테스트 엘리베이터(20)로부터 인쇄회로기판(P)이 모두 인출되면, 전 공정에서 인입되는 인쇄회로기판(P)이 없는 경우에는 버퍼스택커(10)에 보관된 인쇄회로기판(P)이 제1이송장치(50)에 의해 테스트 엘리베이터(20)로 이송된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이송장치(50)의 실린더(53)에 의해 승강플레이트(54)가 상승되어 이송 플레이트(57)의 걸림구(58)가 인쇄회로기판(P)의 일측에 접하게 되고,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a,23b)에서 인쇄회로기판(P)의 위치를 셋팅하기 위한 스토퍼(59)가 상승된다.
상기 제1이송장치(50)의 이송 플레이트(58)는, 모터가 구동되어 피니언(55)이 회전되고, 이 회전운동은 래크부(56)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테스트 엘리베이터(20)쪽으로 이동된다.
이송 플레이트(57)가 이동됨에 따라 걸림구(58)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이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테스트부(22)로 이송되면서 스토퍼(59)에 접하게 되면, 걸림구(58)가 탄력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감지센서(S)가 작동되고, 위치감지센서(S)에 의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콘트롤러가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송 플레이트(57)가 정지하게 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P)은 충격을 받지 않고 정확하고 안정되게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에 안착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57)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을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로 이송할 때 인쇄회로기판(P)의 폭에 따라 테스트부(22)의 지지부재(24)가 탄력적으로 삽입/인출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이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에 밀착되게 안착된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음 인쇄회로기판(P)을 이송하기 위하여 피니언(55)이 반대로 회전되고, 이송 플레이트(57)는 버퍼스택커(10)측으로 복귀 및 하강되어 다음 인쇄회로기판(P)의 이송을 준비하고, 테스트 엘리베이터(20)는 일단 상승하여 그 다음 테스트부(22)에 인쇄회로기판(P)을 탑재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체인(13)이 1단만큼 역회전되어 체인(13)에 적재되어 있던 인쇄회로기판(P)을 하강시켜 제1컨베이어(14)로 소정위치로 이송시키고, 제1이송장치(50)의 이송 플레이트(57)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P)을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테스트부(22)로 이송하여 탑재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다수의 테스트부(22)에 인쇄회로기판(P)을 탑재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테스트부(22)에 설정된 수량의 인쇄회로기판(P)이 탑재되면 컨텍터(30)가 인쇄회로기판(P)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가 개시된다.
인쇄회로기판(P)이 테스트부(22)의 안착플레이트(23)에 탑재되는 동안에는 푸싱 실린더(37)가 회전블록(33)을 밀어서 상기 회전블록(33)에 설치된 누름부재(32)를 들어올려 접촉단자(34)가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떨어진 상태이며, 상기 인쇄회로기판(P)이 안착플레이트(23)에 안착되고, 다음 인쇄회로기판(P)을 테스트부(22)에 탑재하기 위하여 테스트 엘리베이터(20)가 1단 상승함과 동시에 푸싱 실린더(37)가 후퇴하면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블록(33)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테스트 소켓(35)의 접촉단자(34)들이 누름부재(32)에 눌려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에 접촉한 상태로 테스트부(22)도 1단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은 테스트 엘리베이터(20)의 테스트부(22)에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의 적재가 완료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진행이 되며, 이어서, 콘트롤러와 인쇄회로기판(P) 사이에 전기신호가 송수신되면서 적재가 완료된 테스트부(22)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가 이루어진다.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가 완료되면, 컨트롤러(미도시)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P)에 양,불에 해당하는 임의의 값을 부여하게 되고, 이어서, 테스트 엘리베이터(20) 하단의 테스트부(22)의 인쇄회로기판(P)을 인출하기 위하여 푸싱실린더(37)가 구동되면 컨택터(30)의 회전블록(33)을 밀게되고, 따라서, 접촉단자(34)가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에 접촉되도록 누르고 있던 누름부재(32)를 들어올려 접촉단자(34)들이 인쇄회로기판(P)의 리드선부(R)에 떨어지게 된다.
누름부재(32)로부터 자유로워진 인쇄회로기판(P)은 제2이송장치(60)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제2컨베이어(69)로 이송된다.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린더(63)의 구동에 의해 승강플레이트(64)와 이송 플레이트(67)가 상승되어 이송 플레이트(67)의 걸림구(68)가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일측에 접하게 된다. 모터에 의해 피니언(65)이 회전되고, 이 회전운동은 래크부(66)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이송 플레이트(67)가 직선운동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P)이 제2컨베이어(69)에 이송된다.
테스트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P)에는 마킹수단(70)에 의해 불량을 나타내는 'NG'마킹을 하게 되는데, 도 7에서와 같이, 마킹수단(70)의 프린팅장치(72)는 가이드(71)를 따라 인쇄회로기판(P) 위쪽을 왕복 이동하면서 제2이송장치(60)가 인쇄회로기판(P)을 제2컨베이어(69)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P)에 'NG'라는 마크를 프린팅한다.
인쇄회로기판(P)은 제2컨베이어(69)에 의해 이송되며, 마킹수단(70)에 의해 'NG'마킹된 불량 인쇄회로기판(P)은 NG 스택커(40)에 적재되고, 양 판정을 받은 인쇄회로기판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불량 인쇄회로기판(P)이 제2컨베이어(69)에 의해 NG 스택커(40)의 하부위치에 도달하면 스택커 플레이트(41,41) 사이 하부에 설치된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불량 인쇄회로기판(P)은 스택커 플레이트(41,41)의 최하단 안착돌기(42F)(43F)에 올려지게 되며,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6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이 상승하면 최하단의 안착돌기(42F)(43F)를 밀게 되고, 상기 안착돌기(42F)(43F)가 위쪽으로 회동되어 인쇄회로기판(P)은 구속받지 않고 상승하게 되며, 인쇄회로기판(P)이 최하단 안착돌기(42F)(43F)를 넘어가게 되면, 안착돌기(42F)(43F)는 그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수평상태가 된다.
그 후, 승강장치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P)은 최하단 안착돌기(42F)(43F)에 안착된다.
도 11b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불량 인쇄회로기판(P)이 NG 스택커(40)에 적재되기 위하여 스택커 플레이트(41,41)의 양측의 승강블록(44)은 상기 새로운 불량 인쇄회로기판(P)이 탑재되도록 최하단 안착돌기(42F)(43F)에 안착되어 있던 인쇄회로기판을 갖고 최하단 안착돌기(42F)(43F) 중에 승강블록(44)에 설치된 2열의 안착돌기(42F)가, 두 번째 안착돌기(42S)(43S)가 자중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높이만큼 상승한다. 그리고 나서, 승강블록(44)이 하강하면, 최하단 안착돌기(42F)(43F)에 있던 불량 인쇄회로기판(P)은 두 번째 안착돌기(43S)에 안착되고, 상기 승강블록(44)의 제2단 안착돌기(42S)는 저항없이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 의해 밀리면서 하강하여 상기 안착돌기(43S)와 함께 상기 인쇄회로기판(P)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첫 번째 불량 인쇄회로기판(P)은 NG 스택커(40)의 제2단 안착돌기(42S)(43S)에 안착이 되고, 또한, 모든 안착돌기(42F,43F,42S,43S)는 원위치 상태로 된다. 그 후에, 두 번째 불량 인쇄회로기판(P)은 전술한 최하단 안착돌기(42F)(43F)에 올려놓는 과정을 밟게된다.
NG 스택커(40)에 불량 인쇄회로기판(P)을 적재하는 과정은 상기에서 언급했던 두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루어진다.
롬라이팅과 기능 검사를 완료한 인쇄회로기판(P)을 제2컨베이어(69)로 이송한 제2이송장치(60)의 이송 플레이트(67)는 모터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 후 그 다음의 상기 인쇄회로기판(P)을 제2컨베이어(69)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버퍼스택커(10), 테스트 엘리베이터(20), 테스트부(22), NG 스택커(40) 및 각 단계별 이송장치(50)(60)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의 롬라이팅 및 기능검사가 자동화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 작업자가 일일이 검사를 하는 수작업에 의한 공정이 줄어든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이 자동화 공정을 거치면서 롬라이팅 및 기능검사가 이루어지며, 특히, 인쇄회로기판이 다음 단계의 상황에 따라 원활하게 진행되므로 테스트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테스트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 공정에서 인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다단으로 임시 저장되는 버퍼스택커와;
    상기 제1컨베이어로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을 테스트 엘리베이터로 이송하는 제1이송장치와;
    상기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탑재하여 롬라이팅 및 기능검사를 수행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스트 엘리베이터와;
    상기 테스트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며, 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컨텍터를 갖는 복수개의 테스트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신호를 송,수신하여 양불을 판정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불량 마크를 표시하는 마킹수단과;
    테스트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제2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와;
    상기 제2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을 NG 스택커측으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와;
    테스트가 완료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 중에 불량 마크가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이 적재되는 NG 스택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버퍼스택커는, 구동모터와; 테스트 대상 인쇄회로기판의 이송경로상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부와; 구동스프로킷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아이들스프로킷부와; 상기 구동/아이들스프로킷부에 감겨 회전되며 마주보는 부분에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각각 구비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장치는, 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직선 왕복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상면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을 밀어서 테스트 엘리베이터로 이송되도록 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테스트부의 소정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부는, 인쇄회로기판을 안착시키며 그 일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부재를 갖는 안착플레이트와,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컨텍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지지부재는, 그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터는, 상기 고정블록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리드선부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들과; 상기 접촉단자들이 인쇄회로기판의 리드선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블록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터의 누름부재는, 푸싱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블록을 밀어줌에 의해 접촉단자로부터 상호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단은, 인쇄회로기판의 이송경로를 가로지르는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불량으로 판정된 인쇄회로기판의 소정부에 불량 마크를 표시하는 프린팅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장치는, 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직선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이송 플레이트를 록킹하는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G 스택커는,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스택커 플레이트과; 상기 스택커 플레이트에 복수열 및 다단으로 배열되며 불량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이 안착되고, 그 자중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 상태가 유지되며, 외력에 의해 그 선단부가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안착돌기와; 제2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불량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안착돌기로 이송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열의 안착돌기중 양쪽 끝열의 안착돌기들은 블록에 고정되며, 양쪽 끝열의 안쪽에 배열된 복수열의 안착돌기들은 일단의 높이만큼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KR10-2001-0035388A 2001-06-21 2001-06-21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KR10053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88A KR100533333B1 (ko) 2001-06-21 2001-06-21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88A KR100533333B1 (ko) 2001-06-21 2001-06-21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46A true KR20020097446A (ko) 2002-12-31
KR100533333B1 KR100533333B1 (ko) 2005-12-05

Family

ID=2771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388A KR100533333B1 (ko) 2001-06-21 2001-06-21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3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99B1 (ko) * 2006-11-24 2007-11-19 권재승 인쇄회로기판의 기록 검사장치
WO2012053852A2 (ko) * 2010-10-22 2012-04-26 주식회사 미르기술 비전 검사 장치
KR20180001241A (ko) * 2016-06-27 2018-01-04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CN107932464A (zh) * 2017-12-20 2018-04-20 深圳市思霖自动化有限公司 电路板缓存设备
CN109901053A (zh) * 2019-03-22 2019-06-18 深圳市新永安电子有限公司 用于测试印刷电路板的测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518A (ko) *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코엠에스 인쇄회로기판 전기검사장치 및 전기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44A (ja) * 1988-06-28 1990-01-12 Toshiba Components Co Ltd 半導体製造装置
JPH08160102A (ja) * 1994-12-02 1996-06-21 Hitachi Ltd 電子回路パッケージ自動調整試験装置
KR970007177A (ko) * 1995-07-29 1997-02-21 배순훈 가스보일러의 온수 공급 방법
KR19980072995A (ko) * 1997-03-10 1998-11-05 김광호 불량포인트 마킹장치 및 불량포인트 마킹방법
KR100265727B1 (ko) * 1997-08-14 2000-09-15 윤종용 인쇄회로기판검사및마킹시스템
KR200177324Y1 (ko) * 1997-11-19 2000-04-15 김영환 메모리모듈 성능 측정장치
KR100320260B1 (ko) * 1999-04-20 2002-01-10 유홍준 반도체 소자 외관 검사기의 핸들러 운영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99B1 (ko) * 2006-11-24 2007-11-19 권재승 인쇄회로기판의 기록 검사장치
WO2012053852A2 (ko) * 2010-10-22 2012-04-26 주식회사 미르기술 비전 검사 장치
WO2012053852A3 (ko) * 2010-10-22 2012-06-21 주식회사 미르기술 비전 검사 장치
KR20180001241A (ko) * 2016-06-27 2018-01-04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CN107932464A (zh) * 2017-12-20 2018-04-20 深圳市思霖自动化有限公司 电路板缓存设备
CN109901053A (zh) * 2019-03-22 2019-06-18 深圳市新永安电子有限公司 用于测试印刷电路板的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3333B1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750B1 (ko) 반도체디바이스용트레이꺼내기장치및반도체디바이스용트레이수납장치
JP4500770B2 (ja) 搬送装置、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における搬送方法
CN107533102B (zh) 元件处理器
JP3940979B2 (ja) ソケットタイプのモジュールテスト装置
KR100334655B1 (ko) 모듈아이씨핸들러의모듈아이씨및캐리어핸들링방법
KR100533333B1 (ko)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JPH0498167A (ja) Ic検査装置
CN112676199A (zh) Pcb板全自动测试设备
KR101995691B1 (ko) Led 조명장치 제조 자동화 시스템
US5565008A (en) Process of raising a semiconductor device out of a pallet using a positioning rod
KR20060008844A (ko) 모듈 아이씨(ic)의 외관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55066B1 (ko) 메모리 모듈 오토 로딩/언로딩 장치
KR100429576B1 (ko) 인쇄회로기판의 기능 검사 시스템
JP3008867B2 (ja) 半導体試験装置及びテスト方法
KR200183933Y1 (ko) 피시비자동검사시스템의 피시비자동공급장치
KR100417279B1 (ko) 인쇄회로기판의 기능 검사 방법
KR101711737B1 (ko) 기판 검사장치
CN217550503U (zh) 自动电感测试机
KR19990059041A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마킹 장치
CN214718563U (zh) 可快速换型的pcb板上测试机构
KR100629523B1 (ko) 모듈핸들러
KR960001837Y1 (ko) 원격조정기 조립 및 검사장치
CN215278644U (zh) Pcb板全自动测试设备
CN215236016U (zh) 可快速换型的pcb板侧面测试机构
KR20060131463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시스템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128

Effective date: 200507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