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645B1 - 건전지 이재장치 - Google Patents

건전지 이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645B1
KR0141645B1 KR1019950024053A KR19950024053A KR0141645B1 KR 0141645 B1 KR0141645 B1 KR 0141645B1 KR 1019950024053 A KR1019950024053 A KR 1019950024053A KR 19950024053 A KR19950024053 A KR 19950024053A KR 0141645 B1 KR0141645 B1 KR 0141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lamp
pallet
expansion
batt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475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645B1/ko
Publication of KR97001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645B1/ko

Links

Landscapes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전지 이재(移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베어이어로 이송되는 건전지를 콘베이어로부터 파레트상에 자동적재토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 및 건전지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는 건전지 이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레트를 적재위치로 공급함과 동시에 적재완료후 배출하는 파네트 이송수단과 파레트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파레트를 향해 건전지를 이송공급하되 단부에 의해 건전지의 이송이 저지되는 건전지이송수단과, 상기 건전지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갯수의 건전지를 이송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정렬시키는 건전지정렬수단과, 상기 정렬된 상태의 한조의 건전지를 클램프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된 건전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전재시키는 확장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과 확장수단을 회전시켜 건저지가 파레트의 삽입홈배열과 일치되도독 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를 클램프위치로부터 회동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적재위치에서 건전지를 하강시켜 파레트내로 삽입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를 회동위치 또는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일축로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전지 이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이재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따른 건전지 이재장치의 건전지 투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이재장치의 건전지 정렬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이재장치의 건전지 확장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이재장치의 건전지 확장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파레트용콘베이어 12:파레트
20:건전지용콘베이어 22:건전지
30:정렬수단 31:실린더
32:가압플레이트 33:스토퍼
33a:경사면 34:건전지감지센서
40:일축로보트 42:메인가이드축
50:승강실린더 60:회전실린더
70:클램프수단 71:클램프모터
72:클램프이송축 73:클램프가이더
74:클램프레버 80:확장수단
80a:구동측확장부 80b:피동측확장부
81:확장모터 82:하우징
83:확장이송축 84:스톱레버
85:확장가이더 86:피치제어가이드축
87:지지레버 88:스프링
89:클램퍼 89a:파지홈
90:벨트 91:풀리
102:축소위치감지센서 104:확장위치감지센서
110:가변텐숀수단 113:텐숀로울러
본 발명은 건전지 이재(移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베어이어로 이송되는 건전지를 콘베이어로부터 파레트상에 자동적재토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 및 건전지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는 건전지 이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제조완료된 건전지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공정이 이루어 지는데, 최근 상기 각각의 건전지를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으므로 다수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파레트를 구비하고, 이들 파레트상에 건전지를 적재한 후 각종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레트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건전지를 작은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재 보관하여 자연방전시키는 공정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건전지는 절연저항 검사공정, 핫셀(Hot Cell)검사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이어서 예비방전회로에 개입시켜 강제 방전시킨후 전압을 검사하여 불량품 예를들면, 전해액의 누액 또는 절연상태의 불량 등의 건전지를 검출하는 예비방전검사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일정기간 자연방전시킨후에 다시 전압을 검사하여 건전지가 적절한 전압값을 갖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오픈/쇼트전압 검사공정을 거쳐 불안정한 상태의 건전지를 검출하게 된다. 오픈/쇼트전압 검사공정은 최초 테스트에 정상품으로 판정된 건전지라도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불량한 건전지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압이 변동이 거의 없는 양호한 건전지만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테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건전지를 일괄해서 처리할 수 있는 수단 즉, 파레트를 필요로 하게되고, 본 발며은 이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은 파레트에 건전지를 수납하는 부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상기 건전지를 파레트상에 적재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콘베이어를 타고 이송중인 건전지를 하나씩 집어 파레트상에 제공되어 있는 건전지 홈상에 삽입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건전지 제조의 자동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베이어상에서 이송되는 건전지를 파레트상에 자동으로 이동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인원의 감소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건전지 제조의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건전지 이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레트를 적재위치로 공급함과 동시에 적재완료후 배출하는 파송수단과, 파레트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파레트를 향해 건전지를 이송공급하되 단부에 의해 건전지의 이송이 저지되는 건전지이송수단과, 상기 건전지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갯수의 건전지를 이송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정렬시키는 건전지정렬수단과, 상기 정렬된 상태의 한조의 건전지를 클램프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된 건전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전개시키는 확장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과 확장수단을 회전시켜 건전지가 파레트의 삽입홈배열과 일치되도록 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를 클램프위치로부터 회동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적재위치에서 건전지를 하강시켜 파레트내로 삽입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를 회동위치 또는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일축로보트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본발명은 건전지 자동적재를 실현함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파레트의 삽입홈 간격과 건전지의 간격을 일치시켜야 하는 문제를 전개수단에 의해 가능케함으로써 건전지 적재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발명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데 따르면 본 발명은 파레트용콘베이어(10)를 타고 적재위치로 이송되고, 적재완료후에는 콘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파레트(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12)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건전지를 이송하는 건전지용콘베이어(20)가 구비된다. 이 건전지용콘베이어(20)의 단부는 상기 파레트용콘베이어(10)의 근처에서 마감되며 건전지(22)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20)의 소정위치에는 실린더(31)에 의해 출몰하며 일정수의 건전지를 가압정렬시키는 스토퍼(33)를 갖는 정렬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정렬수단(30)의 일측에는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20)상의 건전지를 감지하는 건전지감지센서(34)가 설치된다.
제3도에는 상기 정렬수단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브라켓(36)에 의해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20)에 고정되는 실린더(31)의 선단에는 가압플레이트(32)가 고정되고, 이 가압플레이트(32)에 건전지의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33)가 구비된다. 이 스토퍼(33)는 건전지의 진행방향으로 스프링(35)탄지되고, 역시 건전지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면은 경사면(33a)을 구성하여 실린더(31)전진시 스토퍼(33)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건전지를 건전지 진행방향으로 가압하여 스토퍼(33)에 의해 가압되는 건전지의 이전에 위치하는 건전지들은 상호 밀접한 상태를 유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일측이 상기 파레트용콘베이어(1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20)의 상부에 연장되는 메인가이드축(42)을 갖는 일축로보트(40)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가이드축(42)상에는 일축로보트(40)의 구동에 의해 메인가이드축(42)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승강실린더(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50)하부에는 승강실린더(50)에 의해 승강하는 회전실린더(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실린더(60)에는 회전실린더(60)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클램프수단(70)이 고정된다. 상기 회전실린더(60)의 회전각은 90。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수단(70)이 90。의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수단(70)은 회전실린더(60)의 회전축(61)상에 파레트(12)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클램프가이더(7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가 클램프가이더(73)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확장수단이 연결되는 클램프레버(7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클램프레버(74)의 중간에는 볼너트(74a)가 제공되고, 이 볼너트(74a)에는 클램프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클램프이송축(72)의 양단이 삽입되어 클램프모터(71)의 회전에 의해 확장수단(80)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구성된다.
상기 확장수단(80)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클램프이송축(72)의 양측에 각각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72a)(72b)를 형성하여 가능케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모터(71)는 작동시 자체유동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61)에 대해 고정토록 함이 바람직하며, 클램프이송축(72)과는 베벨기어(도시되지 않음)의 결합에 의해 동력전달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편, 제4도는 본발명의 피동측확장부(80b)를 생략하고 구동측확장부(80a) 만을 도시한 확장수단9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앙이 상기 클램프레버(74)에 고정되는 하우징(82)이 구비되고, 하우징(82)에는 양측에 상호 다른 방향의 나사(83a)(83b)가 형성되어 있는 확장이송축(8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확장이송축(83)일단부에는 구동풀리(91)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반대측(피동측확장부)의 확장이송축의 단부에는 상기 풀리(91)에 벨트(90)결합되는 풀 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측확장부와 피도측확장부는 상호 대칭구성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체계에 있어 피동측확장부에는 확장모터가 제공되지 않고 구동측확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되고, 이는 양측의 확장부가 동기작동하여 건전지 전개시 이탈 등의 우려를 방지토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 확장수단의 설명에 있어서는 구동측확장부만을 설명하나 실제 구동측과 피동측확장부의 구성이 상호 대칭되는 것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측확장부(80a)의 하우징(82)에는 확장모터(81)가 고정되면, 확장이송축(83)은 하우징(82)내에서 베벨기어(80c)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며, 각각 상기 건전지(22)의 이송방향으로 배열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하우징(82)에는 양측으로 다단 출몰하되 최대출몰시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피치제어가이드축(86)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피치제어가이드축(86)상에는 건전지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레버(87)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레버(87)에는 동축상에 정렬되는 슬라이더(87a)가 제공되며, 이들 각각의 슬라이더(87a)를 관통하되 각각의 슬라이더(87a)사이에는 스프링(88)을 개재하여 각각의 지지레버(87)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갖도록 지지하는 확장가이더(8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스프링(88)의 탄성력은 상기 피치제어가이드축(86)을 충분히 확장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보유하여야 하며, 이때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약해지는 힘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레버(87)의 단부에는 각각의 건전지를 클램프하게 되는 클램퍼(89)가 고정된다. 이들 클램퍼(89)는 건전지의 파지를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대략 반원형의 파지홈(89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클램퍼(89)들은 상호 밀착시 파지홈(89a)간의 간격은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20)상에서 정렬수단(30)에 의해 밀착된 상태의 건전지(22)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확장가이더(85)의 중앙부는 일측이 상기 피치제어가이드축(86)의 중아에 고정되는 고정레버(87c)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버(87)중 가장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레버(87)는 구조상 상기 고정레버(87c)에 별도로 고정되는 가이드(87b)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이송축(83)과 확장가이더(85)의 일측(상세하게는 벨트(90)연결부의 반대측)은 브라켓(100)으로 연결되고, 브라켓(100)상에는 상기 확장이송축(83)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레버(87)의 위치를 감지하는 축소위치감지센서(102)와 확장위치감지센서(10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일측에는 상기 확장이송축(83)에 결합되는 볼너트(84a)가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확장가이더(8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단부는 상기 클램퍼(89)중 가장 바깥측의 클램프가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톱레버(84)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치제어가이드축(86)의 최대 확장시에는 이에 연동하는 상기 클램퍼(89)와 그와 인접하는 클램프간의 간격(파지홈(89a)의 중심과 그에 인접하는 파지홈(89a)의 중심거리)은 통상의 파레트(12)에 형성되는 건전지 삽입홈(14)의 중심거리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측확장부와 피동측확장부를 연결하는 벨트(90)는 클램프모터의 구동에 의한 구동측확장부와 피동측확장부의 상대운동시 발생되는 이완을 보완하기 위하여 예컨대, 텐숀로울러 등의 가변텐숀수단(110)을 필요로 한다. 이 가변텐숀수단은 상기 확장가이더(85)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어느 일측으로 스프링(111)탄지되는 브라켓(112)상에 벨트의 내측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텐숀로울러(1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설명에 필요한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면 클램프위치는 건전지용콘베이어(10)상에서 정렬수단(30)이 설치된 이후부터 콘베이어의 단부위치를 의미함, 그리고 회동위치는 승강실린더(50)에 의해 클램프수단(70) 및 확장수단(80)이 상승되는 위치를 의미함, 그리고 적재위치는 승강실린더(50)가 메인가이드축(42)을 따라 이동하여 파레트(12)상부에 위치하는 지저을 의미함, 이 적재위치는 파레트(12)의 삽입홈(14)이 이루는 열의 수만큼 변동되는 것임.
본 발명은 건전지용콘베이어(20)를 따라 건전지(22)가 이송되면 건전지감지센서(34)에 감지되는 건전지의 수가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실린더(31)가 구동하여 스토퍼(33)를 전진시킨다. 따라서 스토퍼(33)는 스프링(35)을 압축하며 후퇴하고, 그 반력으로 건전지를 진행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미 스토퍼위치를 통과하여 클램프위치에 진입되어 있는 각각의 건전지를 상호 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모터(71)가 구동하여 클램프이송축(72)을 회전시키면 클램프레버(74)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건전지(22)의 양측으로부터 구동측확장부(80a)와 피동측확장부(80b)가 각각 전진하여 상호 대향하는 한조의 클램퍼(89)가 각각 해당하는 건전지를 파지하게 된다.
이어서 승강실린더(50)가 구동하여 상기 클램프수단(70) 및 확장수단(80)을 회동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승 완료후에는 회전실린더(60)가 작동하여 상기 클램프수단을 90。회전시켜 건전지가 파레트(12)의 이송방향과 일치하는 형태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메인가이드축(42)을 따라 승강실린더(50)를 이동시켜 적재위치까지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확장모터(81)가 구동하여 확장이송축(83)을 회전시키면 이에 결합되어 있는 스톱레버(84)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레버(84)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스프링(88)이 탄성복원되며 각각의 슬라이더(87a)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각각의 지지레버(87)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클램퍼(89)에 지지되어 있는 건전지는 양측으로 전개되어 진다. 이때 상기 피동측확장부(80b)의 지지레버(87)는 벨트(9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구동측확장부와 동일하게 벌어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확장위치감지센서(104)가 스톱레버(84)를 감지하는 신호에 의해 확장모터(81)는 전지하게되고 이때, 상기 각각의 스프링(88)은 계속해서 지지레버(87)를 밀어내는 힘을 보유하게 되나 피치제어가이드축(86)가 확장한계에 도달하여 건전지는 더 이상 전개되지 못하고 상호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장 내측의 인접하는 클램프 또한 소정의 지점에서 확장이 저지되어 진다.
이와 같이 전개되어 있느 건전지의 간격은 파레트상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즉, 상기 확장위치감지센서(104)가 스톱레버(84)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승강실린더(50)가 하강하게 되면 각각의 건전지는 파레트(12)상의 해당하는 삽입홈(14)상에 삽입되어 지며, 이때 그 높이 즉, 승강실린더(50)의 하강거리는 파레트의 높이를 감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건전지(22)가 파레트(12)상에 적재된 후에는 클램프모터(71)가 역구동하여 상기 구동측확장부(80a)와 피동측확장부(80b)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건전지(22)가 클램퍼(89)로부터 해제되어 진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수단(70)은 상기 역순, 적재위치 및 회동위치로 이동하고, 최동위치에서 다시 90。회전후 클램프위치로 하강하고, 다시 확장수단을 축소히켜 다음 한열의 건전지를 클램프하게 된다.
상기 확장수단의 축소 동작에는 축소위치감지센서(102)가 스톱레버(84)의 진입을 감지하여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작동을 거듭 수행하며 적재위치로 도달하게 된다. 이때의 적재위치는 상기 전 동작에 설명했던 적재위치로부터 다음의 적재위치 즉, 적재완료된 한열의 삽입홈의 다음 한열의 삽입홈의 상부가 된다. 그리고 이 적재위치의 간격은 파레트(12)의 삽입홈(14)이 이루는 열들의 간격을 감안하여 미리 설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파레트(12)에 건전지 적재가 완료되면 파레트용콘베이어(10)가 구동하여 적재완료된 파레트를 배출함과 동시에 새로운 파레트를 적재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전지 이재장치는 콘베이어상의 건전지를 가압정렬시키는 정렬수단과, 이들 정렬된 건전지를 파지하는 클램프수단 및 클램프된 건전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하는 확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전지를 파레트의 홈에 맞는 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시켜 적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건전지의 적재를 무인화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인원수를 절감하게 됨음 물론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은 건전지 제조의 자동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0)

  1. 파레트를 적재위치로 공급함과 동시에 적재완료후 배출하는 파레트 이송수단과, 파레트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파레트를 향해 건전지를 이송공급하되 단부에 의해 건전지의 이송이 저지되는 건전지이송수단과, 상기 건전지이송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갯수의 건전지를 이송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정렬시키는 건전지정렬수단과, 상기 정렬된 상태의 한조의 건전지를 클램프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도니 건전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전재시키는 확장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과 확장수단을 회전시켜 건전지가 파레트의 삽입홈배열과 일치되도록 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를 클램프위치로부터 회동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적재위치에서 건전지를 하강시켜 파레트내로 삽입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를 회동위치 또는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일축로보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정렬수단은 브라켓에 의해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선단에는 고정되어 건전지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건전지의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건전지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면에 경사면을 갖는 스토퍼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스토퍼가 건전지의 진행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건전지용콘베이어상의 건전지의 진입수를 감지하여 소정갯수의 건전지 진입후 실린더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건전지감지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이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실린더의 회전각은 90。로 정역회전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은 회전실린더의 회전축상에 고정되는 클램프가이더와, 상기 클램프가이더에 연결되는 클램프 모터와, 클램프가이더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클램프 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클램프이송축과, 중앙이 클램프송축의 양측에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클램프가이더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프레버와, 지지레버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대응하는 부분에 건전지를 파지하는 클램퍼를 갖는 구동측확장부 및 피동측확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이송축은 양측에 상호반대 방향의 나사를 형성하여, 이에 결합되는 클램프레버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동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클램프레버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관통하며 양측에 상호 다른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확장이송축과, 하우징에 고정되며 양측으로 다단 출몰하되 최대출몰시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피치제어가이드축과, 가각의 피치제어가이드축상에 고정되고 각각 동축상에 정렬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된 수개의 지지레버와,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를 관통하되 각각의 슬라이더사이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각각의 지지레버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갖도록 지지하는 확장가이드축과, 상기 각각의 지지레버의 단부에 고정되어 건전지를 파지하는 클램퍼와, 일측이 확장이송축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확장가이드축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중 가장 바깥측 클램퍼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레버로 이루어진 구동측확장부와; 또 다른 클램프레버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측확장부와 대칭구성되는 피동측확장부와; 상기 구동측확장부의 확장이송축을 정역회전 구동하는 확장모터와; 상기 구동측확장부의 확장이송축의 회전력을 피동측확장부의 확장이송축으로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구동측확장부와 피동측확장부의 상대이동시 벨트의 이완량을 보상하는 가변텐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프링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약해지는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선단에 건전지의 외측을 감싸도록 대략 반원형의 파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확장가이드축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피치제어가이드축의 중앙에 고정되는 고정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레버중 가장 중앙부에서 상호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레버는 상기 고정레버에 고정되는 가이드상에 제한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이송축과 확장가이드축의 일측은을 연결하는 브라켓과, 브라켓상에 상기 스톱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축소위치감지센서 및 확장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이재장치.
KR1019950024053A 1995-08-04 1995-08-04 건전지 이재장치 KR0141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053A KR0141645B1 (ko) 1995-08-04 1995-08-04 건전지 이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053A KR0141645B1 (ko) 1995-08-04 1995-08-04 건전지 이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75A KR970013475A (ko) 1997-03-29
KR0141645B1 true KR0141645B1 (ko) 1998-07-01

Family

ID=6659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053A KR0141645B1 (ko) 1995-08-04 1995-08-04 건전지 이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87B1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WO2020262874A1 (ko) * 2019-06-25 2020-12-30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투입정도 개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87B1 (ko) * 2012-12-27 2014-07-08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폴리머 전지 제조용 전지셀 전달장치
WO2020262874A1 (ko) * 2019-06-25 2020-12-30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투입정도 개선 시스템
KR20210000475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젤리롤 투입정도 개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75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8678A (zh) 一种自动装配铜套设备
US20020054813A1 (en) Apparatus for handling integrated circuits and trays for integrated circuits
CN114156524A (zh) 电芯热压机及电芯热压方法
CN204878388U (zh) 精密轴承保持架装配检测机
KR20130076721A (ko) 피치변경장치,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US6209194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using servo motors
CN215542836U (zh) 检测设备
KR0141645B1 (ko) 건전지 이재장치
CN215997609U (zh) 高效率芯片测试设备
KR100699459B1 (ko) 모듈 테스트 핸들러
KR100439523B1 (ko) 수평식 핸들러의 픽커 간격조절장치
CN218275486U (zh) 一种电路保险端子自动组装机
KR100297393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로딩 및 언로딩 픽커의 얼라인 장치
CN110732858B (zh) 一种带轮压装设备
CN112024428B (zh) Ocv测试机及电池
CN113732690A (zh) 一种磁钢片上料机构
TWI704585B (zh) 轉子鐵芯加工裝置及其加工方法
KR0144597B1 (ko) 건전지 이재장치
CN208459573U (zh) 电源定位固定装置和移动电源检测装置
KR0165972B1 (ko) 건전지 이재장치
CN111547495B (zh) 下料装置及卷绕设备
TWI822108B (zh) 載盤、搬運裝置及作業機
KR100223094B1 (ko) 수직식핸들러의 튜브 로딩 및 언로딩장치
CN219442525U (zh) 一种线圈分选机
CN217474157U (zh) 一种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