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477B1 -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477B1
KR102425477B1 KR1020210192333A KR20210192333A KR102425477B1 KR 102425477 B1 KR102425477 B1 KR 102425477B1 KR 1020210192333 A KR1020210192333 A KR 1020210192333A KR 20210192333 A KR20210192333 A KR 20210192333A KR 102425477 B1 KR102425477 B1 KR 10242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
gly
arsenic
strain
bo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정
남인현
전철민
정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9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02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biological methods, i.e. 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40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할 수 있는 Bosea sp. BH3(KCTC 14680BP) 균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Bosea sp. BH3 strain having arsenic oxidation ability and arsenic removal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소(砒素, Arsenic)는 과거 사약의 재료 중 하나로 이용될 정도로 사람에게 유해한 성분이다. 이와 같은 비소는 생각보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비소는 채광 및 제련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용출되기도 한다. 비소의 만성적 노출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무기 비소를 발암성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사람의 비소 노출은 주로 식수를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WHO에서 비소의 최대 농도를 10 μg/L이하로 권장하고 있다. 이에 식수에서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소의 독성은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라 산화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비소는 -3가, 0가, +3가, 5가의 4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는 주로 As(III) 또는 As(V)로 발견된다. As(V)가 As(III)에 비해 호기성 환경에서 안정적인 형태이며,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생물에 대한 독성도 As(V)가 As(III)에 비해 평균적으로 100배 더 낮다. As(III)는 단백질의 sulfhydryl group에 강력한 친화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효소 활성 부위의 시스테인 자기 부분의 산화 · 환원에 영향을 미치고 활성을 저해한다. 또한, As(III)는 dithiol group과 반응하여, 세포내 산화 환원 항상성, DNA 합성 및 복구와 단백질 접힘(folding)을 방해한다. As(V)는 인산염과 유사체이므로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산염과 경쟁함으로써 ATP의존적 세포 과정을 손상시킬 수 있다.
현재 식수 등에서 비소를 제거하기 위해 흡착이나 역삼투, 여과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흡착을 통한 비소의 제거 시 As(III)의 경우 As(V)에 비해 흡착 정도가 낮아 쉽게 제거가 어렵다. 따라서 As(III)를 As(V)로 산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화학적 산화방법을 이용하여 As(III)를 As(V)를 산화시키는 경우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359, pp.527-534
본 발명의 일 목적은 2차 오염물질의 생성없이 As(III)를 As(V)를 산화시킬 수 있는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를 이용하여 As(III)를 As(V)를 산화시키고 분쇄된 형태의 철수산화물(GFH, Granual Ferric Hydroxide)을 이용하여 흡착할 수 있는 비소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는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할 수 있는 Bosea sp. BH3(KCTC 14680BP) 균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는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할 수 있는 Bosea sp. BH3(KCTC 14680BP) 균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소 제거 방법은 (a) As(III)를 포함하는 용액(물) 내에서 Bosea sp. BH3 균주를 생장시킴으로써 Bosea sp. BH3 균주가 용액 내의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생성된 As(V)를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비소흡착제를 이용하여 As(V)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용액 내의 As(III)의 농도는 9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As(III)의 농도는 5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용액의 온도는 8 ~ 40
Figure 112022057914059-pat00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용액의 pH는 5.5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용액의 pH는 6.5 ~ 6.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sea sp. BH3 균주는 As(III)를 As(V)로 산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소 제거 방법은 Bosea sp. BH3 균주를 이용하여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하고, 생성된 As(V)를 비소 흡착제를 이용하여 흡착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Bosea sp. BH3 균주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의 개략적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Bosea sp. BH3의 위상차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Bosea sp. BH3의 균 집락 사진이다.
도 4는 Bosea sp. BH3와 근연종간의 16S rRNA gene의 계통수이다.
도 5는 Arsenite oxidase large subunit (AoxB)의 계통수(amino acid기준)이다.
도 6은 Bosea sp. BH3의 비소 관련 유전자 클러스터이다.
도 7은 R2A broth에 2 mM As(III)를 첨가 한 후 미생물 생장과 비소 산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이다.
도 8은 R2A broth에 5 mM As(III)를 첨가한 후 미생물 생장과 비소 산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할 수 있는 신규한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균주는 Bosea sp. BH3 균주이며, 이는 KCTC(Korea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서열번호(들)의 정보를 KCTC 14680BP로 등록하였다.
본 특허문서를 통해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할 수 있는 Bosea sp. BH3 균주를 제안한다.
도 1은 Bosea sp. BH3 균주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의 개략적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As(III)를 포함하는 용액(물) 내에서 Bosea sp. BH3 균주를 생장시킴으로써 Bosea sp. BH3 균주가 용액 내의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용액 내의 As(III)의 농도는 9 mM 미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용액의 온도는 8 ~ 4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25℃)일 수 있다. 또한, 용액의 pH는 5.5 ~ 10.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 6.5 일 수 있다. 상기한 조건에서 Bosea sp. BH3 균주의 생장이 활발하여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생성된 As(V)를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비소흡착제를 이용하여 As(V)를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용액에 비소흡착제를 투입하거나, 용액이 비소흡착제가 위치하는 흡착챔버를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V)를 흡착하기 위해서 망간사, 점토광물, 알루미나, 철 등의 다양한 흡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철수산화물(ferric hydroxide)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철수산화물을 잘게 분말 형태로 형성한 이른바 GFH(Granular Ferric Hydroxide)를 사용하는데, GFH는 잘게 분말 형태로 이루어져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철수산화물에 비하여 비표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비소를 흡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이와 같이, 비소흡착제를 이용하여 용액 내에 As(III)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소흡착제에 의해 잘 흡착되지 않는 As(III)를 Bosea sp. BH3 균주에 의해 산화시켜 As(V)로 전환하여야 한다. 아래에서는 Bosea sp. BH3 균주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균주 Bosea sp. BH3균주는 경상북도 봉화군 광미처리장 토양에서 확보하였다. 균주 확보를 위해 2 mM As(III)를 첨가한 50 ml R2A broth(MB cell)에 토양 1 g을 첨가하여, 25 ℃에서 2주간 배양을 진행 하였다. 배양 후 2 mM As(III)가 첨가된 R2A agar에 배양된 균액을 0.85% NaCl로 여러 배 희석하여 도말(spreading)하였다. 도말한 배지를 25 ℃에서 배양한 후 확보된 균 집락들을 새로운 동일 배지에 획선도말(streaking)을 통해 순수 분리를 진행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 집락 중 비소 산화능을 가지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균 집락 주변에 0.1% silver nitrate를 1 방울 떨어트려 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H3로 명명된 균주의 균집락 주변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균주의 계통학적 및 유전체 분석을 위해 배양체의 DNA를 DNeasy blood & tissue kit(Qiagen)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의 16S rRNA gene을 27F, 1492R primer쌍으로 증폭시킨 후 정제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확보된 서열은 Ezbiocloud시스템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균주와 16S rRNA gene의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계통수를 살펴보기 위해 관련 유전자 서열을 Bioedit으로 정렬하고, MEGA7을 통해 Neighbor-joining방법으로 그렸다. 유전체 분석을 위해 TruSeq Nano kit를 통해 library를 제작한 후 Illumina Hiseq 시퀀서를 통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확보한 서열들(reads)을 SPAdes assembler를 통해 유전체를 재조립하였고, NCBI PGAP 시스템을 통해 유전자 예측(gene prediction) 및 명명(annotation) 작업을 실시하였다. 평균 뉴클레오티드 아이덴티티(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와 평균 아미노산 아이덴티티(average amino acid identity, AAI)분석을 위해 ANI calculator와 CompareM을 사용하였다.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API 20NE와 ZYM kit를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기질 및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의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 집락은 R2A agar, 25 ℃서 3일간 배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균의 모양은 배양한 균주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올려 위상차현미경(Carl Zeiss, Axiolab5)으로 관찰하였다. 균주의 최적 생장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R2A broth에 균액을 넣고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적 온도의 경우 4, 8, 15, 20, 25, 30, 35, 40, 45 ℃ 조건에서 배양을 진행하였으며, pH는 4.5-10. (0.5 간격)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NaCl농도는 0-2%에서는 0.5% 간격으로, 3-10%에서는 1% 간격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균주의 비소산화능 검증을 위해서 0-20 mM까지 As(III)를 첨가한 R2A broth용액에 균액을 넣은 후 배양을 실시하였다. 균주의 생장과 비소 산화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2 mM과 5 mM의 As(III)를 첨가한 R2A broth배지에 균액을 첨가한 후 1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한 후 균액의 OD600과 상등액 비소의 종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OD600은 Microplate reader기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비소 종의 양적 분석을 위해 LC-ICP-MS(aglient)를 활용하였다. 배양액을 0.22 μm pore size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 여과액을 LC-ICP-MS에 주입 시 측정 범위 농도로 0.2%질산으로 희석 한 액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1260 infinity, Agilent, CA, US) 를 이용하여 3가 비소와 5가 비소를 분리하였고 ICP-MS (7800, Agilent, CA, US) 로 측정했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은 CAPCELL PAK C18 MG (4.6×5μm)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조성은 메탄올 0.05% (v/v), 소듐 1-부탄 설포네이트 10mM, 말론산 4mM,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오수화물 4mM 이며, pH 2.7로 적정하고, 측정 유속은 0.5ml/min로 설정하였다.
아래서는 그 결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Silver nitrate반응으로 확인한 비소 산화균으로 추정되는 BH3의 생리학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보한 균주는 R2A agar 또는 broth에서 자라며, 생장 온도 범위는 8-40 °C (최적 25°C), pH 5.5-10.0 (최적 pH 6-6.5), NaCl 0-2% (최적 0%)이다. 균주의 형태는 간균 (0.8 μm Х 1.6 μm) 이며(도 2 참조), 균집락은 1~2 mm의 동그랗고, 투명한 하얀색을 띄었다(도 3 참조). 균주의 기질 및 효소 활성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API결과를 다음의 표 1(Bosea sp. BH3의 API kit결과)에 정리하였다.
Reactions Bosea sp. BH3
Nitrate reduction + (Nitrite까지 환원)
Indole production -
D-glucose fermentation -
Arginine dihydrolase -
Urease +
Esculine hydrolysis +
Gelatin hydrolysis -
Utilization
D-glucose -
L-arabinose -
D-mannose -
D-mannitol -
N-acetyl-glucosamine -
D-maltose -
potassium gluconate +
capric acid -
adipic acid -
malic acid +
trisodium citrate -
phenylacetic acid -
Enzyme activity
Alkaline phosphatase +
Esterase(C4) -
Esterase Lipase(C8) -
Lipase(C14) -
Leucine arylamidase +
Valine arylamidase -
Crystine arylamidase -
Trypsin -
α-Chymotypsin +
Acid phospatase +
Naphtol-AS-Bi-phosphohydrolase +
α-galatosidase -
β-galactosidase -
β-glucuronidase -
α-glucosidase -
β-glucosidase -
N-acetyl-β-glucosaminidase -
α-mannosidase -
α-fucosidase -
분석 결과 BH3균주는 Bosea robiniae DSM 26672균주와 16S rRNA gene이 99.5%의 유전자 상동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H3균주가 Bosea속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근연종과의 관계를 계통수로 나타낸 결과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보한 유전자 서열은 아래 표 2 및 3과 같다.
서열번호 1
이름 Bosea sp. BH3, 16S rRNA gene sequence
서열목록(5'->3') CTCAGAGCGAACGCTGGCGGCAGGCTTAACACATGCAAGTCGAACGGGCACTTCGGTGCTAGTGGCAGACGGGTGAGTAACACGTGGGAACGTACCTTTCGGTTCGGAATAATTCAGGGAAACTTGGACTAATACCGGATACGCCCTTCGGGGGAAAGATTTATCGCCGATAGATCGGCCCGCGTCTGATTAGCTAGTTGGTGAGGTAATGGCTCACCAAGGCGACGATCAGTAGCTGGTCTGAGAGGATGATCA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GGGGAATATTGGACAATGGGCGCAAGCCTGATCCAGCCATGCCGCGTGAGTGATGAAGGCCTTAGGGTTGTAAAGCTCTTTTGTCCGGGAAGATAATGACTGTACCGGAAGAATAAGCCCCGGCTAACTTCGTGCCAGCAGCCGCGGTAATACGAAGGGGGCTAGCGTTGCTCGGAATCACTGGGCGTAAAGGGCGCGTAGGCGGACTTTTAAGTCGGAGGTGAAAGCCCAGGGCTCAACCCTGGAATTGCCTTCGATACTGGAAGTCTTGAGTTCGGAAGAGGTTGGTGGAACTGCGAGTGTAGAGGTGAAATTCGTAGATATTCGCAAGAACACCAGTGGCGAAGGCGGCCAACTGGTCCGATACTGACGCTGAGGCG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ATGAATGCCAGCCGTTGGGGAGCATGCTCTTCAGTGGCGCAGCTAACGCTTTAAGCATTCCGCCTGGGGAGTACGGTCGCAAGATTA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CAGAACCTTACCAGCTTTTGACATGTCCGGTTTGATCGGCAGAGATGCCTTTCTTCAGTTCGGCTGGCCGGAACACAGGTGCTGCATGGC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CGCCCCTAGTTGCCATCATTAAGTTGGGAACTCTAGGGGGACTGCCGGTGATAAGCCGCGAGGAAGGTGGGGATGACGTCAAGTCCTCATGGCCCTTACAGGCTGGGCTACACACGTGCTACAATGGCGGTGACAATGGGCAGCGAAAGGGCGACGTCGAGCTAATCTCAGAAAGCCGTCTCAGTTCAGATTGCACTCTGCAACTCGAGTGCATGAACGTGGAATCGCTAGTACTCGTGGATCACCATGCCACGC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GCCGTCAAACATGCGAGTTGGGTTTACCCGAAAGCATCAGGCTTACCGCCAGGACGTTAGCCACCACGGTTCGATCAAAGACTGGCGTGAACTCGTAAAAGGGGACCCGTAAGCCGGACATTAATCTGGGCGGGGTCTTATCCTGGCGGTTAATTATCTTCCCCGGGCAGAAAAAAATATTCT
비고 -
서열번호 2
이름 Bosea sp. BH3, arsenite oxidase large subunit, AoxB
서열목록(5'->3') MTYKRQIDRLPIVPADAKEHNVTCHFCIVGCGYKAYTWDINKQGGTDPSQNKFKADLSKQEGANSDAWYSPSMYNIVKQGGKDVHLVIMPDKGCSVNSGLGSVRGARMAETSFSEARSTQAQRLTDPMVWRYGAMSPTSWDDALDLVARVTCQVVRDQGEDGLFVSAFDHGGAGGGYENTWGTGKLYFGAMKVKNIRIHNRPAYNSEVHATRDMGVGELNNCYEDAQLADTIVMVGANSLETQTNYFLNHWVPNLRGTSIDKKKAELPNEPHAAGRIIIVDPRRTVTVNACETEAGKDNVMHLAINSGTDLALFNAWMTYIAEKGWTDKALIAASTNGFDKMVAANKTTLQQAATLTGLTVDQIRQSAEWIAMPKEGNARRRTMFAYEKGLIWGNDNYRTNGALVNVALATGNIGRPGGGCVRLGGHQEGYSRPSDAHVGRPAAYVDKLLLEGKGGVHHVWACDHYKTTLNAHQFKRNYKKRTDMVKEAMDSVPFGDRAALVTAIVDAIKKGGLFSVDVDIVPTQIGQAAHVWLPAATSGEMNLTSMNGERRMRLVERYMDPPGRAMPDCLIAARIANNMERVYREMGMAQVADNFEGFDWKTEEDAFMDGYAKHEKGGEHVTYARLKAMGTNGFQEPATGFADGKIVGTKRLFADGKFGGKDGKATFMETQWRGLQAAGKQAEKDKFAFLINNGRANLVWQSAYLDQQDDFVMARQPYPFIELNPADMTELGLKDGDLVEVFNDNGSTQAMAYPTPSAKRKQAFMLFAFPTGVQGNVVSAGVNEFVIPNYKQTWGNIRKIANAPEGTRHLSFKSQEYAV
비고 -
유전체 분석 결과 Bosea sp. BH3는 5,246,612 bp, 66.58 GC content, 4,811 코딩 유전자, 3 rRNA, 49 tRNA를 가짐이 확인되었다. 평균 뉴클레오티드 아이덴티티(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와 평균 아미노산 아이덴티티(average amino acid identity, AAI)분석 결과 근연종과 비교했을 때 각각84.2%, 84.4% 값으로 국제 신종 분류 규칙에 따라 Bosea sp. BH3는 신종으로 판명되었다.
확보한 유전체 상에서 비소 산화와 관련된 유전자 정보를 살펴본 결과 Arsenite oxidase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6는 Bosea sp. BH3의 비소 관련 유전자 클러스터이며, 도 6을 보면 유전자 주변으로 비소 관련 유전자들이 cluster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R2A broth에 2 mM As(III)를 첨가한 후 미생물 생장과 비소 산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이며, 도 8은 R2A broth에 5 mM As(III)를 첨가한 후 미생물 생장과 비소 산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이다.
비소 산화는 9mM As(III)까지 균주가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9mM As(III) 이상에서는 균주가 제대로 생장하지 못했다. Bosea sp. BH3를 이용해 As(III)를 As(V)로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As(III)의 농도는 9mM 미만이어야 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주가 생장함에 따라 As(III)가 As(V)로 산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소의 농도에 따라 그 생장 속도 및 생장 정도가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다. 5 mM As(III)을 넣어 준 경우 2 mM As(III)를 첨가한 배양보다 균주 생장 정도(OD600)의 값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mM의 경우 5일만에 비소를 모두 산화함을 확인하였다. Bosea sp. BH3를 이용해 As(III)를 As(V)로 산화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As(III)의 농도는 5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11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20> BOSEA SP. BH3 STRAIN HAVING ARSENIC OXIDATION ABILITY AND ARSENIC REMOVAL METHOD USING SAME <130> 2021P1836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Bosea sp. BH3, 16S rRNA gene sequence <400> 1 ctcagagcga acgctggcgg caggcttaac acatgcaagt cgaacgggca cttcggtgct 60 agtggcagac gggtgagtaa cacgtgggaa cgtacctttc ggttcggaat aattcaggga 120 aacttggact aataccggat acgcccttcg ggggaaagat ttatcgccga tagatcggcc 180 cgcgtctgat tagctagttg gtgaggtaat ggctcaccaa ggcgacgatc agtagctggt 240 ctgagaggat gatcagccac attgggactg agacacggcc caaactccta cgggaggcag 300 cagtggggaa tattggacaa tgggcgcaag cctgatccag ccatgccgcg tgagtgatga 360 aggccttagg gttgtaaagc tcttttgtcc gggaagataa tgactgtacc ggaagaataa 420 gccccggcta acttcgtgcc agcagccgcg gtaatacgaa gggggctagc gttgctcgga 480 atcactgggc gtaaagggcg cgtaggcgga cttttaagtc ggaggtgaaa gcccagggct 540 caaccctgga attgccttcg atactggaag tcttgagttc ggaagaggtt ggtggaactg 600 cgagtgtaga ggtgaaattc gtagatattc gcaagaacac cagtggcgaa ggcggccaac 660 tggtccgata ctgacgctga ggcgcgaaag cgtggggagc aaacaggatt agataccctg 720 gtagtccacg ccgtaaacga tgaatgccag ccgttgggga gcatgctctt cagtggcgca 780 gctaacgctt taagcattcc gcctggggag tacggtcgca agattaaaac tcaaaggaat 840 tgacgggggc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aac gcgcagaacc 900 ttaccagctt ttgacatgtc cggtttgatc ggcagagatg cctttcttca gttcggctgg 960 ccggaacaca ggtgctgcat ggc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1020 ccgcaacgag cgcaaccctc gcccctagtt gccatcatta agttgggaac tctaggggga 1080 ctgccggtga taagccgcga ggaaggtggg gatgacgtca agtcctcatg gcccttacag 1140 gctgggctac acacgtgcta caatggcggt gacaatgggc agcgaaaggg cgacgtcgag 1200 ctaatctcag aaagccgtct cagttcagat tgcactctgc aactcgagtg catgaacgtg 1260 gaatcgctag tactcgtgga tcaccatgcc acgctgaata cgttcccggg ccttgtacac 1320 accggccgtc aaacatgcga gttgggttta cccgaaagca tcaggcttac cgccaggacg 1380 ttagccacca cggttcgatc aaagactggc gtgaactcgt aaaaggggac ccgtaagccg 1440 gacattaatc tgggcggggt cttatcctgg cggttaatta tcttccccgg gcagaaaaaa 1500 atattct 1507 <210> 2 <211> 820 <212> PRT <213> Unknown <220> <223> Bosea sp. BH3, arsenite oxidase large subunit, AoxB <400> 2 Met Thr Tyr Lys Arg Gln Ile Asp Arg Leu Pro Ile Val Pro Ala Asp 1 5 10 15 Ala Lys Glu His Asn Val Thr Cys His Phe Cys Ile Val Gly Cys Gly 20 25 30 Tyr Lys Ala Tyr Thr Trp Asp Ile Asn Lys Gln Gly Gly Thr Asp Pro 35 40 45 Ser Gln Asn Lys Phe Lys Ala Asp Leu Ser Lys Gln Glu Gly Ala Asn 50 55 60 Ser Asp Ala Trp Tyr Ser Pro Ser Met Tyr Asn Ile Val Lys Gln Gly 65 70 75 80 Gly Lys Asp Val His Leu Val Ile Met Pro Asp Lys Gly Cys Ser Val 85 90 95 Asn Ser Gly Leu Gly Ser Val Arg Gly Ala Arg Met Ala Glu Thr Ser 100 105 110 Phe Ser Glu Ala Arg Ser Thr Gln Ala Gln Arg Leu Thr Asp Pro Met 115 120 125 Val Trp Arg Tyr Gly Ala Met Ser Pro Thr Ser Trp Asp Asp Ala Leu 130 135 140 Asp Leu Val Ala Arg Val Thr Cys Gln Val Val Arg Asp Gln Gly Glu 145 150 155 160 Asp Gly Leu Phe Val Ser Ala Phe Asp His Gly Gly Ala Gly Gly Gly 165 170 175 Tyr Glu Asn Thr Trp Gly Thr Gly Lys Leu Tyr Phe Gly Ala Met Lys 180 185 190 Val Lys Asn Ile Arg Ile His Asn Arg Pro Ala Tyr Asn Ser Glu Val 195 200 205 His Ala Thr Arg Asp Met Gly Val Gly Glu Leu Asn Asn Cys Tyr Glu 210 215 220 Asp Ala Gln Leu Ala Asp Thr Ile Val Met Val Gly Ala Asn Ser Leu 225 230 235 240 Glu Thr Gln Thr Asn Tyr Phe Leu Asn His Trp Val Pro Asn Leu Arg 245 250 255 Gly Thr Ser Ile Asp Lys Lys Lys Ala Glu Leu Pro Asn Glu Pro His 260 265 270 Ala Ala Gly Arg Ile Ile Ile Val Asp Pro Arg Arg Thr Val Thr Val 275 280 285 Asn Ala Cys Glu Thr Glu Ala Gly Lys Asp Asn Val Met His Leu Ala 290 295 300 Ile Asn Ser Gly Thr Asp Leu Ala Leu Phe Asn Ala Trp Met Thr Tyr 305 310 315 320 Ile Ala Glu Lys Gly Trp Thr Asp Lys Ala Leu Ile Ala Ala Ser Thr 325 330 335 Asn Gly Phe Asp Lys Met Val Ala Ala Asn Lys Thr Thr Leu Gln Gln 340 345 350 Ala Ala Thr Leu Thr Gly Leu Thr Val Asp Gln Ile Arg Gln Ser Ala 355 360 365 Glu Trp Ile Ala Met Pro Lys Glu Gly Asn Ala Arg Arg Arg Thr Met 370 375 380 Phe Ala Tyr Glu Lys Gly Leu Ile Trp Gly Asn Asp Asn Tyr Arg Thr 385 390 395 400 Asn Gly Ala Leu Val Asn Val Ala Leu Ala Thr Gly Asn Ile Gly Arg 405 410 415 Pro Gly Gly Gly Cys Val Arg Leu Gly Gly His Gln Glu Gly Tyr Ser 420 425 430 Arg Pro Ser Asp Ala His Val Gly Arg Pro Ala Ala Tyr Val Asp Lys 435 440 445 Leu Leu Leu Glu Gly Lys Gly Gly Val His His Val Trp Ala Cys Asp 450 455 460 His Tyr Lys Thr Thr Leu Asn Ala His Gln Phe Lys Arg Asn Tyr Lys 465 470 475 480 Lys Arg Thr Asp Met Val Lys Glu Ala Met Asp Ser Val Pro Phe Gly 485 490 495 Asp Arg Ala Ala Leu Val Thr Ala Ile Val Asp Ala Ile Lys Lys Gly 500 505 510 Gly Leu Phe Ser Val Asp Val Asp Ile Val Pro Thr Gln Ile Gly Gln 515 520 525 Ala Ala His Val Trp Leu Pro Ala Ala Thr Ser Gly Glu Met Asn Leu 530 535 540 Thr Ser Met Asn Gly Glu Arg Arg Met Arg Leu Val Glu Arg Tyr Met 545 550 555 560 Asp Pro Pro Gly Arg Ala Met Pro Asp Cys Leu Ile Ala Ala Arg Ile 565 570 575 Ala Asn Asn Met Glu Arg Val Tyr Arg Glu Met Gly Met Ala Gln Val 580 585 590 Ala Asp Asn Phe Glu Gly Phe Asp Trp Lys Thr Glu Glu Asp Ala Phe 595 600 605 Met Asp Gly Tyr Ala Lys His Glu Lys Gly Gly Glu His Val Thr Tyr 610 615 620 Ala Arg Leu Lys Ala Met Gly Thr Asn Gly Phe Gln Glu Pro Ala Thr 625 630 635 640 Gly Phe Ala Asp Gly Lys Ile Val Gly Thr Lys Arg Leu Phe Ala Asp 645 650 655 Gly Lys Phe Gly Gly Lys Asp Gly Lys Ala Thr Phe Met Glu Thr Gln 660 665 670 Trp Arg Gly Leu Gln Ala Ala Gly Lys Gln Ala Glu Lys Asp Lys Phe 675 680 685 Ala Phe Leu Ile Asn Asn Gly Arg Ala Asn Leu Val Trp Gln Ser Ala 690 695 700 Tyr Leu Asp Gln Gln Asp Asp Phe Val Met Ala Arg Gln Pro Tyr Pro 705 710 715 720 Phe Ile Glu Leu Asn Pro Ala Asp Met Thr Glu Leu Gly Leu Lys Asp 725 730 735 Gly Asp Leu Val Glu Val Phe Asn Asp Asn Gly Ser Thr Gln Ala Met 740 745 750 Ala Tyr Pro Thr Pro Ser Ala Lys Arg Lys Gln Ala Phe Met Leu Phe 755 760 765 Ala Phe Pro Thr Gly Val Gln Gly Asn Val Val Ser Ala Gly Val Asn 770 775 780 Glu Phe Val Ile Pro Asn Tyr Lys Gln Thr Trp Gly Asn Ile Arg Lys 785 790 795 800 Ile Ala Asn Ala Pro Glu Gly Thr Arg His Leu Ser Phe Lys Ser Gln 805 810 815 Glu Tyr Ala Val 820

Claims (8)

  1. (a) As(III)를 포함하는 용액 내에서 Bosea sp. BH3 (KCTC 14680BP) 균주를 상온에서 생장시킴으로써 Bosea sp. BH3 (KCTC 14680BP) 균주가 용액 내의 As(III)를 산화시켜 As(V)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생성된 As(V)를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비소흡착제를 이용하여 As(V)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소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용액 내의 As(III)의 농도는 0mM 초과, 9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 제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92333A 2021-12-30 2021-12-30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KR10242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333A KR102425477B1 (ko) 2021-12-30 2021-12-30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333A KR102425477B1 (ko) 2021-12-30 2021-12-30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477B1 true KR102425477B1 (ko) 2022-07-27

Family

ID=8270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333A KR102425477B1 (ko) 2021-12-30 2021-12-30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4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8857A1 (en) * 2011-10-19 2014-08-28 The Bio Nano Centre Limited Modified arsenite oxidase and a biosensor for detecting arsenite
CN105936884A (zh) * 2016-07-07 2016-09-14 中国地质大学(武汉) 一株能耐受高砷锑污染并氧化As(Ⅲ)的包西氏菌AS-1菌株及其用途
KR20160110049A (ko) * 2015-11-07 2016-09-21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비소 독성제거용 헤르미니모나스 속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독성 제거 방법
KR101974632B1 (ko) * 2017-12-28 2019-09-05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비소 독성저감 효능을 보유한 미생물 혼합체
KR20200079599A (ko) * 2018-12-26 2020-07-06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아크로모박터 속 jhr-b2 균주 및 금속 이중층수산화물을 이용한 아비산염 및 비산염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8857A1 (en) * 2011-10-19 2014-08-28 The Bio Nano Centre Limited Modified arsenite oxidase and a biosensor for detecting arsenite
KR20160110049A (ko) * 2015-11-07 2016-09-21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비소 독성제거용 헤르미니모나스 속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독성 제거 방법
CN105936884A (zh) * 2016-07-07 2016-09-14 中国地质大学(武汉) 一株能耐受高砷锑污染并氧化As(Ⅲ)的包西氏菌AS-1菌株及其用途
KR101974632B1 (ko) * 2017-12-28 2019-09-05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비소 독성저감 효능을 보유한 미생물 혼합체
KR20200079599A (ko) * 2018-12-26 2020-07-06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아크로모박터 속 jhr-b2 균주 및 금속 이중층수산화물을 이용한 아비산염 및 비산염 제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359, pp.527-534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359, pp.527-534(Epub.2018.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1635B (zh) 一种能够降解邻苯二甲酸酯的赤红球菌及其应用
Saurav et al. Biosorption of Cr (III) and Cr (VI) by Streptomyces VITSVK9 spp.
CN112551692B (zh) 具有好氧反硝化和异养硫氧化功能的盐单胞菌及其应用
KR101759826B1 (ko)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메가터리움 knu-01 균주 및 이의 이용
CN112625942A (zh) 一种好氧反硝化菌及其应用
KR101910275B1 (ko)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knu-05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080054047A (ko) 염류장해토양의 복원을 위한 인산염가용화 균주인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 씨앤7
CN110076193B (zh) 黎巴嫩假单胞菌株my及其在重金属污染盐渍土壤修复中的应用
Thesai et al. Removal of fluoride in aqueous medium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through intracellular accumulation in Bacillus flexus (PN4)
Curtis et al. Aciduric Proteobacteria isolated from pH 2.9 soil
KR102425477B1 (ko) 비소 산화 능력을 가지는 Bosea sp. BH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 방법
KR100817708B1 (ko)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신규 내염성 할로모나스 속 균주,이를 함유하는 임해매립지 토양 개량제 및 이를 이용한식물의 생장촉진 방법
KR20140097621A (ko)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CN114410509B (zh) 产气肠杆菌联用产气克雷伯氏菌的菌剂、组合物及应用
CN113604399B (zh) 具有园林植物促生功能的鞘脂菌及其用途
WO2009154234A1 (ja) 新種微生物、セレン酸化合物還元製剤、セレン酸化合物の還元方法および除去方法、並びに金属セレンの製造方法
JP2002125657A (ja) バチルス・サブチリスに属する新規微生物
KR20140096470A (ko) 연안 갯벌에서 분리 동정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갯벌 유기물 정화제
JP5227673B2 (ja) 新種微生物、セレン酸化合物還元製剤、セレン酸化合物の還元方法および除去方法、並びに金属セレンの製造方法
KR102251875B1 (ko) 염화나트륨 저감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JPH09248595A (ja) 新規微生物によるセレン酸化合物の還元方法
JP2005261234A (ja) 新規微生物と微生物によるヒ素類の除去方法
KR20200107631A (ko) 신규한 슈도모나스 파라풀바 PpaJBCS1880 균주 및 이의 이용
KR102531952B1 (ko) Se(IV) 환원 능력을 가지는 Rhodococcus sp. BH5균주 및 Se(IV) 환원 능력을 가지는 Rhodococcus sp. BH5 균주를 이용한 Se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KR102612095B1 (ko) 구슬말 추출물의 생물전환산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