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196B1 -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196B1
KR102421196B1 KR1020200158864A KR20200158864A KR102421196B1 KR 102421196 B1 KR102421196 B1 KR 102421196B1 KR 1020200158864 A KR1020200158864 A KR 1020200158864A KR 20200158864 A KR20200158864 A KR 20200158864A KR 102421196 B1 KR102421196 B1 KR 10242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de
solid electrolyte
based solid
mix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088A (ko
Inventor
박건호
김경수
조우석
유지상
정구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7/00Compounds of hafnium
    • C01G27/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hafnium,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원료물질과, 이종원소로 하프늄(Hf)를 함유하는 이종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펠렛타이징하는 단계, 및 펠렛타이징된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하프늄(Hf)이 포함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xY1-xHfxCl6 (0<x≤0.7)으로 표시된다.

Description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Chloride-based solid electrolyte, all-solid batter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고체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원소 치환을 통해서 양호한 리튬이온전도도를 갖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및 대용량 전력 저장장치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지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리튬 이차전지는 다양한 이차전지 중에서 에너지밀도 및 출력 특성이 가장 우수하여 널리 상용화되었다. 리튬 이차전지로는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액체 타입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이하 '액체 타입 이차전지'라 함)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액체 타입 이차전지는 액체전해질이 전극 반응에 의해 분해되어 전지의 팽창을 야기하고 액체전해질의 누출에 의한 발화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타입 이차전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정성이 우수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리튬 이차전지(이하 '전고체전지'라 함)가 주목받고 있다.
고체전해질은 황화물계, 산화물계 및 염화물계로 나눌 수 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산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높은 리튬이온전도도를 가지고, 넓은 전압 범위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화학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산화물계 고체전해질보다 낮기 때문에, 전고체전지의 작동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잔존 L2S나 구조 내에 포함되어 있는 P2S7 가교황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대기 중 수분 또는 공정 상 유입되는 수분과 반응하기 쉬우며, 수분과의 반응 시 황화수소(H2S) 가스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글로브박스, 수분을 제거한 드라이룸 등의 환경에서 취급하고 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수분과의 반응성이 높아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으로 이온전도도가 저하되는 등의 제작 공정 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까다로운 취급 조건을 요구하기 때문에,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이용하는 전고체전지의 대면적화 및 대량 양산 시의 제작 공정성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고전압에서 안정한 염화 이온(Cl-)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전압 전지 적용에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낮은 리튬이온전도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고체전지에 실제 적용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2019-0079135호(2019.07.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킨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대기안정성과 고전압 안정성을 제공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원료물질과, 이종원소를 함유하는 이종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펠렛타이징하는 단계; 및 펠렛타이징된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이종원소가 포함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종원소는 하프늄(Hf)이다.
상기 이종물질은 HfCl4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물질은 LiCl 및 YCl3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xY1-xHfxCl6 (0<x≤0.7)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펠렛타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각각,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지 않는 글로브박스 또는 드라이룸 내에서 수행되거나,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Li6YCl6으로 표시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서, 이트륨(Y)의 일부를 하프늄(Hf)으로 치환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고체전지는 고체전해질막,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상기 고체전해질막,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분리막 중에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일부 원소를 이종원소로 치환함으로써, 기존의 염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리튬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트륨(Y)을 포함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있어서, 이트륨의 일부를 하프늄(Hf)으로 치환함으로써, 리튬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향상된 대기안정성과 고전압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은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원료물질과, 이종원소를 함유하는 이종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혼합물을 펠렛타이징하는 단계(S20), 및 펠렛타이징된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이종원소가 포함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따른 전체 단계는 대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글로브박스 또는 드라이룸에서 진행하거나 불활성가스 분위기에 진행한다.
먼저 S10단계에서 원료물질과 이종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혼합물은 고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원료물질과 이종물질을 유발을 이용해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원료물질은 LiCl 및 YCl3 을 포함한다. 이러한 원료물질로 제조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YCl6 이다.
이종물질은 이종원소로 하프늄(Hf)을 포함하는 물질이다. 예컨대 이종물질은 HfCl4일 수 있다.
다음으로 S20단계에서 혼합물을 펠렛타이징한다. 즉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여 치밀한 펠렛을 수득한 다음, 수득한 펠렛을 유리 앰퓰 내부에 진공 상태로 밀폐시켜 펠렛타이징한다.
그리고 S30단계에서 펠렛타이징된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이종원소가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xY1-xHfxCl6 (0<x≤0.7)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YCl6으로 표시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서, 이트륨(Y)의 일부를 하프늄(Hf)으로 치환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전고체전지에 사용된다. 전고체전지는 고체전해질막,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한다. 여기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고체전해질막, 양극, 음극 및 분리막 중에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기존의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일부를 이종원소로 치환함으로써, 기존의 염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리튬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트륨을 포함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있어서, 이트륨의 일부를 하프늄(Hf)으로 치환함으로써, 리튬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기존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향상된 대기안정성과 고전압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리튬이온전도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내지 7
원료물질 LiCl 및 YCl3과, 이종물질 HfCl4를 유발을 이용해 1시간 동안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에 360 MPa의 압력을 가하여 치밀한 펠렛을 수득 한 뒤, 유리 앰퓰 내부에 진공상태로 밀폐시켜 펠렛타이징한다. 그리고 펠렛타이징된 혼합물을 300℃에서 1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실시예1 내지 7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내지 7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있어서, 하프늄의 함량(x)은 0.1, 0.2, 0.3, 0.4, 0.5, 0.6 및 0.7 이다.
비교예1
원료물질 LiCl 및 YCl3를 혼합한 뒤, 550℃에서 1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비교예1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1~7 및 비교예1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 Li6YCl6과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1~7 및 비교예1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대한 AC 임피던스(impedance) 측정을 통하여 리튬이온전도도를 확인하였다. 측정한 리튬이온전도도는 아래의 표1과 같다.
조성 25℃ 리튬이온전도도(S/cm)
비교예1 Li3YCl6 7.4×10-5
실시예1 Li2.9Y0.9Hf0.1Cl6 2.5×10-4
실시예2 Li2.8Y0.8Hf0.2Cl6 4.8×10-4
실시예3 Li2.7Y0.7Hf0.3Cl6 8.2×10-4
실시예4 Li2.6Y0.6Hf0.4Cl6 6.0×10-4
실시예5 Li2.5Y0.5Hf0.5Cl6 8.4×10-4
실시예6 Li2.4Y0.4Hf0.6Cl6 6.1×10-4
실시예7 Li2.3Y0.3Hf0.7Cl6 4.7×10-4
표1을 참조하면, 실시예1~7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이, 비교예1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향상된 리튬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1~7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비교예1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이트륨 일부를 하프늄(Hf)으로 치환함으로써, 리튬이온전도도가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1~7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있어서, 하프늄의 함량이 0.1에서 0.5로 증가할수록 리튬이온전도도가 올라가다가, 0.5에서 0.7으로 증가할수록 리튬이온전도도가 내려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1~7에 따른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 있어서, 하프늄의 함량은 0.7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원료물질과, 이종원소로 하프늄(Hf)을 함유하는 이종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펠렛타이징하는 단계; 및
    펠렛타이징된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하프늄(Hf)가 포함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xY1-xHfxCl6 (0<x≤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물질은 HfCl4 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물질은 LiCl 및 YCl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펠렛타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각각,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지 않는 글로브박스 또는 드라이룸 내에서 수행되거나,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
  6. Li6-xY1-xHfxCl6 (0<x≤0.7)으로 표시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7. Li6YCl6으로 표시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에서, 이트륨(Y)의 일부를 하프늄(Hf)으로 치환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6-xY1-xHfxCl6 (0<x≤0.7)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체전지는 고체전해질막,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상기 고체전해질막,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분리막 중에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
KR1020200158864A 2020-11-24 2020-11-24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2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64A KR102421196B1 (ko) 2020-11-24 2020-11-24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64A KR102421196B1 (ko) 2020-11-24 2020-11-24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088A KR20220072088A (ko) 2022-06-02
KR102421196B1 true KR102421196B1 (ko) 2022-07-15

Family

ID=819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864A KR102421196B1 (ko) 2020-11-24 2020-11-24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1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321A1 (ja) *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20136951A1 (ja) * 2018-12-26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ハロゲン化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005B1 (ko) 2017-12-27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질소가 첨가된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321A1 (ja) * 2018-01-0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電池
WO2020136951A1 (ja) * 2018-12-26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ハロゲン化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088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005B1 (ko) 불순물 함량이 감소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불순물 함량이 감소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KR101954601B1 (ko) 유무기 복합고체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2838264A (zh) 一种固体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固态锂电池
KR102403927B1 (ko)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612403A (zh) 电解液组合物,使用它的锂电池和制造该电池的方法
KR102292653B1 (ko)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KR102379198B1 (ko) 고체전해질막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KR20180126251A (ko) 전고체 리튬공기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0721A (ko) 전고체 전지 음극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1196B1 (ko)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990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905703B1 (ko)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탄소계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CN112531203A (zh) 一种离子导电率高的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KR20210054129A (ko) 안정성이 향상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KR102401475B1 (ko) 전고체 리튬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KR20200052651A (ko) 대기 안정성이 향상된 황화물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510254B (zh) 一种新型硫化物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20069203A (ko) 에스터계 유기용매를 이용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전고체전지
CN114335735A (zh) 一种-70℃锂离子电池低温电解液及其制备方法
KR102657469B1 (ko)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2038690B (zh) 一种含硼聚合物固态电解质及其应用
KR102269019B1 (ko) 고체전해질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KR20230060607A (ko)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40000017A (ko) 염화물계 고체전해질, 전고체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4772627B (zh) 一种固态电解质的脱水提纯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